KR19990007751U - 활어운반차량용 수족관의 여과기 - Google Patents

활어운반차량용 수족관의 여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7751U
KR19990007751U KR2019970021368U KR19970021368U KR19990007751U KR 19990007751 U KR19990007751 U KR 19990007751U KR 2019970021368 U KR2019970021368 U KR 2019970021368U KR 19970021368 U KR19970021368 U KR 19970021368U KR 19990007751 U KR19990007751 U KR 1999000775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 fish
aquarium
separation plate
filter
l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13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52594Y1 (ko
Inventor
황명찬
최상호
Original Assignee
황명찬
최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명찬, 최상호 filed Critical 황명찬
Priority to KR20199700213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2594Y1/ko
Publication of KR199900077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7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25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25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명칭]
활어운반차량용 수족관의 여과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활어를 운반하기 위해 차량에 적재된 수족관은 적재되는 어류에 비해 좁은 공간으로서 물이 쉽게 혼탁해지고 빨리 오염이 되어 장거리 운행중에 어류가 죽는 수가 상당하고 수시로 물갈이와 내부청소를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해결과제]
통상의 활어운반차량용 수족관에 있어서, 하부바닥에 수중모타(40)와 관(30)을 통해 본체(10) 상면 외부로 토출되고 여과제(26)를 수장한 케이싱(20)내부에서 격판(22,23)을 상하측으로 통과하면서 여과가 되도록 격판(22,23) 및 종분리판(21a,24), 횡분리판(21)등을 구성함.

Description

활어운반차량용 수족관의 여과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요부의 일부절개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에서의 A-A선 단면도로서 사용상태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본체12,12a:간막이
20:하우징21:횡분리판
21a,24:종분리판22,23:격판
25:밸브26:여과제
30:관40:수중모타
본 고안은 활어운반차량의 수족관 내부의 물이 어류의 배설물에 의해 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물을 여과시켜 주는 활어운반차량용 수족관의 여과기에 관한 것이다.
활어를 운반하기 위해 차량에 적재된 수족관은, 적재되는 어류에 비해 좁은 공간으로서 물이 쉽게 혼탁해지고 빨리 오염이 되어 장거리 운행중에 어류가 죽는 수가 상당하고 수시로 물갈이와 내부청소를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안고 있는 종래의 수족관은 별도의 여과장치가 없고 활어를 투입하는 뚜껑내부에 스폰지를 삽입하여 수면위로 부상하는 찌꺼기를 흡착하거나, 물이 뚜껑밖으로 흘러넘치도록 물을 투입하여 배출시키는 방법으로 여과 및 청소를 하게 되는데, 수면으로 부상하는 미량의 찌꺼기만이 여과되고 물의 소비가 과대한 것으로 효과적이지 못하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과 폐단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첨부한 도면에 의해 그 구성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부로 간막이(12,12a)가 서로 교차되면서 다수개의 활어저장실(13)을 형성시키고 상부로 저장실뚜껑(11)을 가지는 통상의 활어운반차량용 수족관에 있어서, 본체(10) 내부에서 교차되는 간막이(12,12a) 중앙지점으로 하부가 확장되어 공간부(31)를 가지고 하단에 요홈(41)이 형성된 관(30)을 입설한 뒤, 공간부(31)내부로는 하단의 요홈(41)으로 흡입되고 상측의 토출관(42)으로 배출되는 수중모타(40)를 삽입하고 외부의 작동스위치(도면에 미도시)에 연결을 시킨다.
그리고 각각의 활어저장실(13) 분기점에서 입설된 본체(10)내부의 관(30)은 본체(10) 상면 외부로 도출되는데 그 단부는, 간막이(12,12a)에 의해 형성된 각각의 활어저장실(13)의 상부에 위치하는 분리관(33)으로 나뉘어져 최선단은 하향되게 굴곡을 시킨다.
상기와 같이 도출된 관(30)의 외부로는 볼트로서 조립이 되는 뚜껑(20a)과 하우징(20)을 형성시키는데, 그 내부로 하방의 간막이(12,12a)과 같은 교차점을 갖는 종분리판(21a)과 횡분리판(21)이 도출된 관(30)을 중심으로 입설하여 외단부가 하우징(20)의 외벽체(200)에 접하게 하여 각각 분리가 되는 공간이 형성되게 한 후, 중심부로부터 외측으로 각각의 격판(22,23)을 입설하되, 각각의 활어저장실(13)을 향하는 상기한 관(30)들의 최단부가 향하는 하측이 첫 번째 통로가 되도록 격판(22)을 구성하는데, 이 첫 번째 격판(22)은 하부 바닥으로부터 띄워져 저면 통로가 되도록 하고 그 외향으로 두 번째 격판(23)은 하부바닥에 용접이 되고 상부가 통로가 되게 구성한 뒤, 최종적으로 종분리판(24)를 입설고정시키고 그 내부에 모래, 스폰지, 마사, 숫 등의 여과재(26)를 채운다.
이때 최종 외측의 종분리판(24)과 하우징(20)의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이 되는데 각각의 종분리판(24) 중앙에 도통되는 밸브(25)가 상기의 공간부에 위치토록 하여 그 단부의 배출관(25a)의 각각의 활어저장실(13)로 도통되게 구성을 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이 된 본 고안은, 저면 바닥에 가라앉은 어류의 분비물과 같은 찌꺼기 들이 수중모타(40)에 의해 관(30)을 따라 분리관(33)으로 분배되어 각각이 여과재(26)를 통과하되, 필요한 량의 적정수로 삽입고정을 시킨 각각의 격판(22,23)들 사이를 상,하로 통과하면서 여과되는 것으로 통로의 길이와 시간이 길어 최대의 효과를 가질 수 있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수족관의 본체(10)상부로 수족관의 크기와 활어저장실(13)의 수에 따라 적정수 부설하여 사용하고, 뚜껑(25)을 열고 밸브(25)를 조정함으로서 필요하지 않는 활어저장실(13)에는 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계속적으로 물이 강제순환되면서 여과되어 청결한 물을 장시간 보존함에 있어서 수시로 물갈이를 하지 않아도 되고 특히 장거리의 운반시에 오염된 물로 인해 고기가 죽는 우려를 하지 않고 안전한 운행을 하면서도 싱싱한 활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주기적으로 여과재(26)만 갈아주면 항상 청결한 활어저장실을 유지할 수 있어, 수시로 내부청소를 요하는 종래의 수족관에 비해 사용성 및 경제성이 뛰어나는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1. 필요에 따라 내부로 간막이(12,12a)가 서로 교차되면서 다수개의 활어저장실(13)을 가지는 통상의 활어운반차량용 수족관에 있어서, 본체(10) 내부에서 교차되는 간막이(12,12a) 중앙지점으로 하부가 확장되어 공간부(31)를 가지고 하단에 요홈(41)이 형성된 관(30), 그리고 공간부(31)내부로 하단의 요홈(41)과 상측의 토출관(42)이 형성한 수중모타(40), 본체(10) 상면 외부로 도출되는 관(30)의 단부가 각각의 활어저장실(13)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나뉘어진 분리관(33), 상기의 도출된 관(30)의 외부로 볼트로서 조립이 되는 뚜껑(20a)과 하우징(20), 그 내부로 하방의 간막이(12,12a)와 같은 수직상에 형성된 종분리판(21a)과 횡분리판(21), 그리고 이로 인해 형성된 각각 분리가 되는 공간에 중심부로부터 외측으로 각각의 격판(22,23)을 입설함에 있어 각각의 활어저장실(13)을 향하는 분리관(30)들의 최단부가 하측이 첫 번째 통로에 향하도록 함과 동시에 하부 바닥으로부터 띄워져 저면 통로를 형성한 격판(22)과, 그 외향으로 하부바닥에 용접이 되고 상부가 통로가 되게 구성한 격판(23), 최종적으로 종분리판(24)을 순차적으로 구성하 다음, 그 내부에 채워지는 모래, 스폰지, 마사, 숫 등의 여과재(26)와, 종분리판(24)과 하우징(20)의 사이에 위치하며 종분리판(24)중앙에 도통되게 조립된 밸브(25), 이 밸브(25)의 타단에 연결되어 각각의 활어저장실(13)로 도통되는 배출관(25a)이 조립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활어운반차량용 수족관의 여과기.
KR2019970021368U 1997-07-28 1997-07-28 활어운반차량용 수족관의 여과기 KR2001525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1368U KR200152594Y1 (ko) 1997-07-28 1997-07-28 활어운반차량용 수족관의 여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1368U KR200152594Y1 (ko) 1997-07-28 1997-07-28 활어운반차량용 수족관의 여과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751U true KR19990007751U (ko) 1999-02-25
KR200152594Y1 KR200152594Y1 (ko) 1999-07-15

Family

ID=19507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1368U KR200152594Y1 (ko) 1997-07-28 1997-07-28 활어운반차량용 수족관의 여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259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2257A2 (ko) * 2009-07-02 2011-01-06 주식회사 대일 건식여과장치가 구비된 활어수송용 컨테이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2257A2 (ko) * 2009-07-02 2011-01-06 주식회사 대일 건식여과장치가 구비된 활어수송용 컨테이너
WO2011002257A3 (ko) * 2009-07-02 2011-04-21 주식회사 대일 건식여과장치가 구비된 활어수송용 컨테이너
US8925487B2 (en) 2009-07-02 2015-01-06 Daeil Co., Ltd. Container equipped with dry-type filtering apparatus for transporting live fis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52594Y1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19104A (ko) 인공수조시스템의 수질보존을 위한 방법 및 장치
RU99119104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хлаждения компактного блока насоса и фильтра для бассейнов
US3362537A (en) Aquarium filter
CN110226551B (zh) 用于去除水族箱水的系统及方法
KR200152594Y1 (ko) 활어운반차량용 수족관의 여과기
KR20190121624A (ko) 어항용 분리 칸막이
RU2000126491A (ru) Компактный блок-фильтр для резервуара бассейна
US5047146A (en) Bidirectional flow vacuum filter for a swimming pool having influent and effluent conduits as structural members
KR820001697Y1 (ko) 가정용 폐수 처리조
KR200152595Y1 (ko) 활어운반차량용 수족관의 물 공급장치
RU89520U1 (ru) Емкость для системы водоснабжения
CN218789896U (zh) 提升式除虾壳装置
US4094022A (en) Apparatus for the removal of water from a swimming pool duct
KR0167134B1 (ko) 양어장 물 순환 여과 시스템
JP3567208B2 (ja) 水槽用上部式濾過装置
KR200211447Y1 (ko) 정수기용 활성탄 필터하우징
SU1728541A1 (ru) Гидробак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И.Кравченко
SU1554936A1 (ru) Фильтр дл очистки нефтесодержащих сточных вод
RU33944U1 (ru) Сорбционный фильтр и установка, например флотационная, для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ей на его основе
KR910000384Y1 (ko) 어항용 정수기
KR920003331Y1 (ko) 여과식 물통
SU1113151A1 (ru) Фильтр дл очистки воды
KR800002258Y1 (ko) 하천수(河川水)용 정수조
JPH033183Y2 (ko)
SU1699506A1 (ru) Самоочищающийс фильт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