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7726U - 냉동실 냉기공급구조 - Google Patents

냉동실 냉기공급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7726U
KR19990007726U KR2019970021249U KR19970021249U KR19990007726U KR 19990007726 U KR19990007726 U KR 19990007726U KR 2019970021249 U KR2019970021249 U KR 2019970021249U KR 19970021249 U KR19970021249 U KR 19970021249U KR 19990007726 U KR19990007726 U KR 1999000772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air
freezer compartment
freezing chamber
discharge port
ai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12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계흠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700212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7726U/ko
Publication of KR199900077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726U/ko

Links

Landscapes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장고의 냉동실 냉기공급구조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냉동실내에 설치된 냉동실루버의 상부토출구와 하부토출구를 통해 냉동실내로 토출된 차가운 냉기에 의해 냉동실의 전면부와 중간부의 냉기공급은 상측과 하측 모두 잘 되고 있으나 냉동실의 후방하측에는 냉기공급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냉동실의 후방하측이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를 나타내게 되어 냉동실 내의 균일한 온도유지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어 왔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 냉동실 냉기공급구조는 냉동실루버의 상부토출구와 하부토출구 사이에 중간토출구를 형성하고 중앙 하단에 후면흡입구를 형성하여 전면흡입구 뿐만 아니라 냉동실의 후측에 형성된 후면흡입구 측으로도 냉기가 귀환되도록 유도하여 냉동실 후방하측가지 냉기가 충분히 공급되고 냉동실 후방하측의 냉기공급을 원활히 함으로써 냉동실 후방하측의 고온화를 방지하여 냉동실내의 균일한 온도유지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냉동실 냉기공급구조
본 고안은 냉장고의 냉동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동실의 전면부 및 중간부 뿐만 아니라 냉동실의 후면 하측까지 균일한 냉기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냉장고의 냉동실 냉기공급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듯이 냉장고의 냉동싸이클구조를 보면, 압축기에 의해 압축되어 고온고압으로 기체화된 냉매는 응축기를 거치면서 외부 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열방출되어 액화되며, 상기 응축기로부터의 액화냉매는 드라이어와 캐필러리튜브를 통과하면서 불순물과 수분등이 제거된 상태로 저온저압의 차가운 액상냉매를 이루어 냉동실 후측에 형성된 냉각기실 내의 냉각기로 보내진다.
상기 냉각기를 통과하는 저온저압의 액화냉매는 냉동실과 냉장실에서 온도상승되어 냉기귀환덕트를 통해 귀환된 냉기와 냉각기에 의해 열교환되며 상기 귀환냉기와 열교환되면서 가스화된 냉매는 어큐뮬레이터를 거치면서 액상냉매는 어큐뮬레이터의 저면에 잔류되고 가벼운 기상냉매는 압축기로 보내져 압축기에 의해 고온고압으로 압축되는 냉매의 반복순환이 이루어진다.
냉각기실 내의 냉각기에 의해 열교환된 차가운 냉기는 송풍팬의 급속회전에 의해 냉동실 및 냉장실로 토출되게 된다.
도 1은 종래 냉장고의 냉동실 내부를 도시한 정면사시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실(100)의 후측에는 냉동실루버(10')가 설치되는데 상기 냉동실루버(10')의 상부에는 양측으로 상부토출구(11)가 각각 형성되고, 그 하측으로는 하부토출구(13)가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어 상기 상부토출구(11)와 하부토출구(13)를 통해 냉각기실에서 생성된 냉기가 냉동실(100) 고내로 토출되게 된다.
한편 냉동실(100) 내측의 전면부 하면에는 양측으로 전면흡입구(50)가 사절부(40) 내측에 형성된 냉기귀환덕트(미도시)의 입구에 형성되어 있어 냉동실(100)내에서 열교환된 냉기가 상기 전면흡입구(50)와 냉기귀환덕트를 통해 냉각기실로 귀환되어 재차 열교환하여 냉각되는 순환을 반복한다.
그러나 이러한 냉동실 냉기공급구조는 상부토출구(11)와 하부토출구(13)를 통해 토출된 차가운 냉기에 의해 냉동실(100)의 전면부와 중간부의 냉기공급은 상측과 하측 모두 잘 되고 있으나 냉동실(100)이 후방하측에는 냉기공급이 충분히 이루어지질 않아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를 나타내게 되어 냉동실 내의 균일한 온도유지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 냉장고의 냉동실 냉기공급구조는 냉동실루버의 상부토출구와 하부토출구 사이에 중간토출구를 형성하고 중앙 하단에 후면흡입구를 형성하여 특히 송풍팬에 의해 중간토출구를 통해 토출된 냉기가 냉동실 내에서 열교환한 후 상기 후면흡입구로 귀환되도록 하여 냉동실 후방하측의 냉기공급을 원활히 함으로써 냉동실 내의 온도분포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도 1은 종래 냉장고의 냉동실 내부구조를 도시한 정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냉동실 내부구조를 도시한 정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냉동실 냉기공급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냉동실루버11...상부토출구
12...중간토출구13...하부토출구
14...후면흡입구40...귀환덕트
50...전면흡입구60...냉각기실
61...냉각기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 냉동실 냉기공급구조를 냉동실루버의 상부토출구와 하부토출구 사이에 송풍팬의 회전에 의해 냉동실의 후방하측으로 냉기가 공급되도록 형성된 중간토출구와, 상기 냉동실루버 및 루버절연물의 중앙하단에 냉동실에서 열교환된 냉기가 귀환되는 후면흡입구를 각각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냉동실 냉기공급구조를 도시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냉동실 내부구조를 도시한 정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냉동실 냉기공급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실(100)의 후측에 냉동실 루버(10)와 루버절연물(20)이 각각 설치되어 냉동실(100)과 냉각기실(60)을 분리 구획한다.
상기 냉동실루버(10)의 상부 양측에는 다수개의 직선형 홈이 횡으로 나란히 천공되어 이루어진 상부토출구(11)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토출구(11)의 하측 중앙에는 상기 상부토출구(11)와 마찬가지로 다수개의 직선형홈이 나란히 천공되어 냉기가 하측으로 안내되도록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중간토출구(12)가 형성되며 상기 냉동실루버(10)의 중간높이에는 양측으로 다수개의 장공이 천공되어 이루어진 하부토출구(1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냉동실루버(10)의 하단 중앙에는 냉동실 내에서 열교환된 냉기가 귀환되는 시각형태의 후면흡입구(14)가 형성되고, 상기 냉동실루버(10)의 후측에 설치된 루버절연물(20)에는 상기 후면흡입구(14)와 직결되도록 후면흡입구(14')가 형성된다.
냉동실(100)의 내측 전면에는 양측으로 전면흡입구(5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 냉동실 냉기공급구조는 상기 송풍팬(62)에 의해 냉각기실(60) 내의 차가운 냉기의 일부는 냉동실(100)로 공급되고 나머지 일부는 냉각기실(60) 후측의 메인덕트(30)를 통해 냉장실(90)로 공급된다.
송풍팬(62)의 급속회전에 의해 냉동실루버(10)의 상부토출구(11)로 토출된 냉기는 냉동실(100) 상부와 전면부까지 공급되어져 열교환한 후 전면 흡입구(50)로 귀환되고, 중간토출구(12)를 통해 토출된 냉기는 냉동실의 중간높이로 토출되어 주로 냉동실 후방하측에서 열교환된 후 냉동실 후측의 후면흡입구(14)로 귀환된다.
하부토출구(13)를 통해 토출된 냉기는 냉동실(100)의 중앙부로 공급되어 냉동실(100)의 중앙부에서 열교환된 후 전면흡입구(50)로 귀환된다.
그리하여 본 고안은 전면흡입구(50) 뿐만 아니라 냉동실(100)의 후측에 형성된 후면흡입구(14)측으로도 냉기가 귀환되도록 유도하여 냉동실(100) 후측 하부까지 냉기가 충분히 공급되도록 하여 냉동실 전체의 온도분포가 균일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냉동실 냉기공급구조는 냉동실루버의 상부토출구와 하부토출구 사이에 중간토출구를 형성하고 중앙하단에 후면흡입구를 형성하여 전면흡입구 뿐만 아니라 냉동실의 후측에 형성된 후면흡입구 측으로도 냉기가 귀환되도록 유도하여 냉동실 후방하측까지 냉기가 충분히 공급되게하고 냉동실 후방하측의 냉기공급을 원활히 함으로써 냉동실 후방하측의 고온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냉동실내의 온도분포가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냉각기실(60) 내의 냉기를 냉동실루버(10')에 형성된 냉기토출구를 통해 냉동실로 공급시키고 상기 냉동실의 내측 전면부 하면에 형성된 전면흡입구(50)를 통해 귀환덕트(40)로 냉기를 귀환시키도록 하는 냉동실 냉기공급구조에 있어서,
    상기 냉동실루버는 냉동실(100)의 후방하측으로 냉기를 집중적으로 토출시키도록 형성된 중간토출구(12)와, 냉동실(100)의 후방하측으로 토출된 냉기가 냉각기실(60)로 귀환되는 냉동실루버(10)와 루버절연물(20)의 하단중앙에 각각 형성된 후면흡입구(14),(14')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실 냉기공급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토출구(12)는 냉동실(100) 배면 중앙에 횡으로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실 냉기공급구조.
KR2019970021249U 1997-07-31 1997-07-31 냉동실 냉기공급구조 KR1999000772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1249U KR19990007726U (ko) 1997-07-31 1997-07-31 냉동실 냉기공급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1249U KR19990007726U (ko) 1997-07-31 1997-07-31 냉동실 냉기공급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726U true KR19990007726U (ko) 1999-02-25

Family

ID=69688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1249U KR19990007726U (ko) 1997-07-31 1997-07-31 냉동실 냉기공급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772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539B1 (ko) * 2007-02-23 2013-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539B1 (ko) * 2007-02-23 2013-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5039B1 (ko) 분리형 냉장고
KR19990007726U (ko) 냉동실 냉기공급구조
KR980010285A (ko) 분리형 냉장고
KR100493691B1 (ko) 냉장고의 냉기분배 시스템
KR200292006Y1 (ko) 냉장고
KR100336129B1 (ko) 냉장고용 냉기흡입덕트의 구조
KR20000011273U (ko) 냉장고의 냉동실 냉기 공급장치
KR200158930Y1 (ko) 보조냉각기를 설치한 냉장고
KR20030042756A (ko) 냉장고의 냉기 공급장치
KR970016440A (ko) 냉장고
KR100451353B1 (ko) 냉장고의 냉기 공급장치
KR20000034214A (ko) 냉장고의 냉동실 냉기 공급장치
KR20030042757A (ko) 냉장고의 냉기 공급장치
KR20000019916A (ko) 냉장고
KR100262395B1 (ko) 냉장고의 냉기순환 구조
KR100884953B1 (ko) 냉장고의 냉기 공급장치
KR19980021541U (ko) 흡기 및 토출구가 구분된 냉장고의 냉기 순환 구조
KR100451345B1 (ko) 냉장고의 냉기 공급장치
KR200212593Y1 (ko) 소음저감 구조를 갖는 냉장고의 기계실
KR100201622B1 (ko) 냉장고의 냉기순환유로
KR0119908Y1 (ko) 간냉식 냉장고의 열교환공기 유도장치
KR100232828B1 (ko) 냉장고의 냉기순환구조
KR100884952B1 (ko) 냉장고의 냉기 공급장치
KR200173972Y1 (ko) 냉장고의 쉬라우드
KR20200105152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