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6441U - Arm rest device of rear seat for car - Google Patents

Arm rest device of rear seat for c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6441U
KR19990006441U KR2019970019907U KR19970019907U KR19990006441U KR 19990006441 U KR19990006441 U KR 19990006441U KR 2019970019907 U KR2019970019907 U KR 2019970019907U KR 19970019907 U KR19970019907 U KR 19970019907U KR 19990006441 U KR19990006441 U KR 1999000644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rest
cover
rear seat
locking hole
accommoda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990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병준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199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6441U/en
Publication of KR199900064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441U/en

Links

Landscapes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리어 시트의 아암 레스트 장치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arm rest device of a rear seat for an automobile.

본 고안은 상면 전방에 대략 함몰형의 수용홈(31)이 형성되고, 수용홈(31)의 전방 양쪽 내벽에 힌지구멍(32)이 형성되며, 수용홈(31)의 후방 내벽에 로킹구멍(33)이 형성되는 아암 레스트(30)와; 아암 레스트(30)의 힌지구멍(32)에 그 힌지축(41)이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힌지축(41)에 열림 상태가 유지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토션 스프링(42)이 장착되며, 상면 한쪽에 로킹구멍(33)에 서로 대응되게 로킹되어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 로커(43)가 형성되는 커버(40)와; 로킹구멍(33)과 로커(43)의 로킹 상태를 해제시키는 푸시버튼(45)과; 커버(40)의 상면에 다수의 기능설정버튼(51)들을 갖도록 장착되는 컨트롤 패널(50)과; 커버(40)의 하면에 장착되는 액정 텔레비전(55)으로 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pproximately recessed accommodating groove 31 is formed in front of the upper surface, hinge holes 32 are formed in both front inner walls of the accommodating groove 31, and a locking hole is formed in the rear inner wall of the accommodating groove 31. An arm rest 30 on which 33 is formed; The hinge shaft 41 is inserted into the hinge hole 32 of the arm rest 30 so as to be rotatably mounted, and a torsion spring 42 is provided to impart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hinge shaft 41 is kept open. A cover 40 having a locker 43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to be locked to the locking hole 33 to maintain a closed state; A push button 45 for releasing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hole 33 and the rocker 43; A control panel 50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40 to have a plurality of function setting buttons 51; It consists of the liquid crystal television 55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40.

따라서, 단순한 구성 및 구조에 의해 아암 레스트의 상면에 장착되는 컨트롤 패널의 조작이 용이하고 편리해져 승객의 조작성이 향상되므로, 제품의 경쟁력 및 고급화가 가능해지는 것이다.Therefore,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panel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rm rest is simple and convenient due to the simple configuration and structure, thereby improving the operability of the passengers, thereby enabling the competitiveness and quality of the product.

Description

자동차용 리어 시트의 아암 레스트 장치Arm rest device of rear seat for car

본 고안은 자동차용 리어 시트(rear seat)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이 용이하고 편리해지도록 한 자동차용 리어 시트의 아암 레스트 장치(arm rest appatatus)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r seat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rm rest appatatus of a rear seat for a vehicle that is easy to use and convenient.

자동차는 엔진(engine)의 동력을 이용하여 도로를 주행하는 것으로, 자동차의 구조는 기능적으로 크게 주행에 필요한 장치를 구비한 섀시(chassis)와, 사람이나 화물을 수용하기 위한 차체로 나눌 수 있다.A vehicle travels on a road using engine power, and the structure of a vehicle can be divided into a chassis having a device functionally large for driving and a vehicle body for accommodating people or cargo.

자동차의 차체는 외형을 이루는 부분으로 차실과 엔진이 탑재되는 엔진룸, 트렁크 및 펜더(fender)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동차의 차실에는 사람이 착석할 수 있는 프론트 시트(front seat)와 리어 시트가 구비된다.The body of the car consists of the exterior and consists of the engine compartment, the trunk and the fender where the engine and the engine are mounted, and the front of the car has a front seat and a rear seat for seating. It is provided.

이러한 종래 자동차의 차실에 프론트 및 리어 시트가 배치되는 하나의 예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실(10)의 전방에 운전자와 승객이 착석할 수 있는 도시하지 않은 두 개의 프론트 시트가 독립적으로 각각 배치되고, 프론트 시트의 후방에 2~3인의 승객이 착석할 수 있는 리어 시트(11)가 배치된다.One example in which the front and rear seats are disposed in a vehicle compartment of such a conventional vehicle is, as shown in FIG. 1, two front seats (not shown), in which a driver and a passenger may be seated independently in front of the vehicle compartment 10, respectively. The rear seat 11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back of a front seat, which can seat 2 or 3 passengers.

여기에서, 프론트 시트는 운전자와 승객이 착석하는 것에 따라 운전석과 조수석이라고도 하며, 리어 시트(11)는 모양에 따라 긴 의자 형태의 벤치 시트(bench seat)와 분리할 수 있는 형태의 세퍼레이트 시트(separate seat)로 분류된다.Here, the front seat is also referred to as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 seat as the driver and passenger seats, and the rear seat 11 is a separate seat that can be separated from the bench seat in the form of a chaise longue according to the shape. are classified as seats.

한편, 리어 시트(11)의 대략 중앙에 승객의 팔을 올려놓고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는 아암 레스트(15)가 구비되고, 이때 아암 레스트(15)는 필요에 따라 리어 시트(11)의 삽입홈(12)에 삽입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arm rest 15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rear seat 11 to rest the passenger's arms and take a comfortable position, wherein the arm rest 15 is inserted groove of the rear seat 11 as necessary. It is rotatably provided so that it may be inserted in (12).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자동차용 리어 시트의 아암 레스트 장치는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암 레스트(20)의 상면 전방에 대략 함몰형의 수용홈(21)이 형성되고, 이 수용홈(21)의 바닥에 컨트롤 패널(control panel: 22)이 장착된다.In the arm rest device of the conventional rear seat for a vehicle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S. 2A and 2B, an approximately recessed accommodating groove 21 is formed in fron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arm rest 20, and this accommodating groove ( On the bottom of 21 is a control panel 22 mounted.

또한, 컨트롤 패널(22)의 상면에는 승객에 의해 조작되는 다수의 기능설정버튼(23)들이 장착되며, 이 기능설정버튼(23)들은 예를 들어 오디오 및 에어컨, 그리고 윈도우 버튼 등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function setting buttons 23 operated by a passenger ar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rol panel 22, and these function setting buttons 23 are made of, for example, audio and air conditioners, window buttons, and the like.

한편, 아암 레스트(20)의 수용홈(21)은 커버(25)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것으로, 커버(25)는 힌지(hinge: 26)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개폐되고, 커버(25)의 내면에 액정 텔레비전(27)이 장착된다.On the other hand, the receiving groove 21 of the arm rest 20 is selectively opened by the cover 25, the cover 25 is rotated about the hinge (26) to open and close, the cover 25 The liquid crystal television 27 is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액정 텔레비전(27)은 고체와 액체의 중간적인 상태로 전압의 변화에 의해 빛의 반사와 투과율 등이 변하는 액정을 패널로 제작한 것인 바, 액정 텔레비전(27)은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기술 내용으로서, 그 구체적인 기술 내용의 설명은 생략한다.The liquid crystal television 27 is a panel of a liquid crystal in which the reflection of light and the transmittance of the light change due to the change of voltage in the intermediate state between the solid and the liquid, and the liquid crystal television 27 is a general technical cont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description of the specific technical content is omitted.

따라서, 승객이 리어 시트(11)에 착석한 상태에서 커버(25)를 열게 되면, 액정 텔레비전(27)의 시청이 가능해지게 된다.Therefore, when the passenger opens the cover 25 while seated on the rear seat 11, viewing of the liquid crystal television 27 becomes possible.

그러나, 상기한 바오 같은 종래 자동차용 리어 시트의 아암 레스트 장치는, 컨트롤 패널(22)의 기능설정버튼(23)들을 조작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커버(25)를 열어 주어야만 하므로, 기능설정버튼(23)의 조작이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arm rest device of the rear seat of Bao, such as Bao, the cover 25 must be opened in order to operate the function setting buttons 23 of the control panel 22. Operation was cumbersome and inconvenient.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단순한 구성 및 구조에 의해 사용이 용이하고 편리해지도록 한 자동차용 리어 시트의 아암 레스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rm rest device of the rear seat for a vehicle made easy and convenient by a simple configuration and structure.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리어 시트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ar seat of a typical vehicle,

도 2a 및 도 2b는 종래 자동차용 리어 시트의 아암 레스트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2A and 2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rm rest device of a rear seat for a conventional vehicle;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리어 시트의 아암 레스트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rm rest device of the rear sea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리어 시트의 아암 레스트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rm rest device of the rear sea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 차실 11: 리어 시트10: Cabin 11: Rear Seat

30: 아암 레스트 31: 수용홈30: Arm Rest 31: Receiving Home

32: 힌지구멍 33: 로킹구멍32: hinge hole 33: locking hole

40: 커버 41: 힌지축40: cover 41: hinge axis

42: 토션 스프링 43: 로커42: torsion spring 43: rocker

45: 푸시버튼 50: 컨트롤 패널45: pushbutton 50: control panel

51: 기능설정버튼 55: 액정 텔레비전51: function setting button 55: liquid crystal television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차실의 후방에 승객이 차석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리어 시트의 중앙에 구비되는 아암 레스트 장치로서, 상면 전방에 대략 함몰형의 수용홈이 형성되고, 수용홈의 전방 양쪽 내벽에 힌지구멍이 형성되며, 수용홈의 후방 내벽에 로킹구멍이 형성되는 아암 레스트와; 아암 레스트의 힌지구멍에 그 힌지축이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힌지축에 열림 상태가 유지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토션 스프링이 장착되며, 상면 한쪽에 로킹구멍에 서로 대응되게 로킹되어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 로커가 형성되는 커버와; 로킹구멍과 로커의 로킹 상태를 해제시키는 푸시버튼과; 커버의 상면에 다수의 기능설정버튼들을 갖도록 장착되는 컨트롤 패널과; 커버의 하면에 장착되는 액정 텔레비전으로 구성되는 자동차용 리어 시트의 아암 레스트 장치에 있다.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n arm rest device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rear seat that is arranged to allow passengers to occupy the rear of the cabi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approximately recessed type is formed in front of the upper surface, Arm rests having hinge holes formed at both front inner walls of the receiving groove, and locking holes formed at the rear inner wall of the receiving groove; The hinge shaft is inserted into the hinge hole of the arm rest so as to be rotatably mounted, and a torsion spring is provided to impart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hinge shaft remains open. The upper surface is lock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in the locking hole to maintain the closed state. A cover having a rocker formed therein; A push button for releasing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hole and the rocker; A control panel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ver to have a plurality of function setting buttons; It is in the arm rest apparatus of the rear seat for automobiles comprised from the liquid crystal television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a cover.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리어 시트의 아암 레스트 장치에 대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rm rest device of the rear sea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리어 시트의 아암 레스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1에서 설명한 자동차의 차실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3 and 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arm rest device of the rear sea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compartment described in Figure 1 will be describ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먼저, 도 1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차실(10)의 전방에 운전자와 승객이 착석할 수 있는 도시하지 않은 두 개의 프론트 시트가 독립적으로 각각 배치되고, 프론트 시트의 후방에 2~3인의 승객이 착석할 수 있는 리어 시트(11)가 배치된다.First, referring to FIG. 1, two front seats (not shown), which may be seated by a driver and a passenger, may be independently disposed in front of the cabin 10, and two or three passengers may be rearward of the front seat. The rear seat 11 which can be seated is disposed.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어 시트(11)의 대략 중앙에 승객의 팔을 올려놓을 수 있는 아암 레스트(30)가 구비되며, 아암 레스트(30)의 상면 전방에 대략 함몰형의 수용홈(31)이 형성된다. 이때, 아암 레스트(30)의 수용홈(31)은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 3, an arm rest 30 capable of placing a passenger's arm in the center of the rear seat 11 is provided, and an accommodation recess 31 having a substantially recessed shape in fron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arm rest 30 is provided. ) Is formed. At this time, the receiving groove 31 of the arm rest 3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또한, 아암 레스트(30)는 수용홈(31)의 전방 양쪽 내벽에 힌지구멍(32)이 형성되고, 수용홈(31)의 후방 내벽에는 로킹구멍(33)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arm rest 30 has hinge holes 32 formed in both front inner walls of the receiving groove 31, and locking holes 33 are formed in the rear inner wall of the receiving groove 31.

그리고, 아암 레스트(30)의 힌지구멍(32)에 커버(40)의 힌지축(41)이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커버(40)의 힌지축(41)에는 커버(40)가 열려져 열림 상태가 유지되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부여하는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 42)이 장착된다. 여기에서, 커버(40)의 상면은 아암 레스트(30)의 수용홈(31)에 닫혀진 상태에서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inge shaft 41 of the cover 40 is rotatably mounted in the hinge hole 32 of the arm rest 30, and the cover 40 is opened and opened to the hinge shaft 41 of the cover 40. A torsion spring 42 is provided to impart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so that the state is maintained. Here,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40 is preferably mounted so as not to protrude upward in a closed state in the receiving groove 31 of the arm rest 30.

커버(40)의 상면 한쪽에 로커(locker: 43)가 형성되고, 커버(40)의 로커(43)는 아암 레스트(30)의 로킹구멍(33)에 서로 대응되게 로킹되어 커버(40)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며, 로킹구멍(33)과 로커(43)의 로킹 상태는 푸시버튼(push button: 45)의 조작에 의해 원터치 방식으로 해제된다.A locker 4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40, and the locker 43 of the cover 40 is lock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in the locking hole 33 of the arm rest 30 so that the cover 40 is closed. The closed state is maintained, and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hole 33 and the rocker 43 is released in a one-touch manner by the operation of the push button 45.

한편, 커버(40)의 상면에 컨트롤 패널(50)이 장착되고, 컨트롤 패널(50)의 상면에는 승객에 의해 조작되는 다수의 기능설정버튼(51)들이 장착되며, 이 기능설정버튼(51)들은 예를 들어 오디오 및 에어컨의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버튼, 그리고 도어 글래스를 개폐시키기 위한 윈도우 버튼 등으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panel 50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40, a plurality of function setting buttons 51 which are operated by a passenger ar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rol panel 50, the function setting button 51 These include, for example, buttons for setting the functions of audio and air conditioners, and window button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glass.

또한, 커버(40)의 하면에 액정 텔레비전(55)이 장착되고, 이에 따라 액정 텔레비전(55)은 커버(40)가 열려진 상태에서 시청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the liquid crystal television 55 is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40, so that the liquid crystal television 55 can be viewed while the cover 40 is opened.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리어 시트의 아암 레스트 장치에 대한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arm rest device of the rear sea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암 레스트(30)의 로킹구멍(33)에 커버(40)의 로커(43)이 로킹되어 수용홈(31)이 커버(40)에 의해 닫혀진 상태에서 푸시버튼(45)을 조작하게 되면, 로킹구멍(33)과 로커(43)의 로킹 상태가 해제되면서 커버(40)가 토션 스프링(42)의 탄성력을 부여받아 힌지축(41)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열려지게 된다. 이로 인하여 리어 시트(11)에 착석한 승객은 액정 텔레비전(55)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4, the pusher 45 with the locker 43 of the cover 40 locked to the locking hole 33 of the arm rest 30 so that the receiving groove 31 is closed by the cover 40. When the) is operated,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hole 33 and the locker 43 is released and the cover 40 is rotated about the hinge shaft 41 to be opened by being given the elastic force of the torsion spring 42. . As a result, the passenger seated on the rear seat 11 can watch the liquid crystal television 55.

그리고, 열려진 상태의 커버(40)를 회전시켜 닫아주게 되면, 커버(40)의 로커(43)가 아암 레스트(30)의 로킹구멍(33)에 로킹되어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When the cover 40 in the open state is rotated and closed, the locker 43 of the cover 40 is locked to the locking hole 33 of the arm rest 30 to maintain the closed state.

이러한 상태에서 커버(40)의 상면은 아암 레스트(30)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게 수용홈(31)에 수용된 상태이므로, 승객은 팔을 아암 레스트(30)에 올려놓고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게 된다.In this state, since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4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31 so as not to protrud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arm rest 30, the passenger can put his arm on the arm rest 30 and take a comfortable posture. .

또한, 컨트롤 패널(50)의 기능설정버튼(51)들을 용이하고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즉, 아암 레스트(30)의 상면에 컨트롤 패널(50)의 기능설정버튼(51)들이 위치되어 승객의 조작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종래와 같이 커버(22)를 열어준 상태에서 기능설정버튼(23)들을 조작하는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가 해결되고, 결과적으로 제품의 경쟁력 및 고급화가 가능해진다.In addition, the function setting buttons 51 of the control panel 50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operated. That is, the function setting button 51 of the control panel 50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rm rest 30 to improve the operability of the passenger, and the function setting button 23 in the state in which the cover 22 is opened as in the prior art. The cumbersome and inconvenient problem of manipulating the devices is solved, and as a result, the competitiveness and quality of the product can be achieved.

한편,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merely to describe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nd can be changed appropriately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For example, the shape and structure of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리어 시트의 아암 레스트 장치에 의하면, 단순한 구성 및 구조에 의해 아암 레스트의 상면에 장착되는 컨트롤 패널의 조작이 용이하고 편리해져 승객의 조작성이 향상되므로, 제품의 경쟁력 및 고급화가 가능해지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rm rest device of the vehicle rear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panel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rm rest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operated by the simple configuration and structure, thereby improving the operability of the passenger. It will be possible to compete and upscale.

Claims (1)

차실의 후방에 승객이 차석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리어 시트의 중앙에 구비되는 아암 레스트 장치로서,An arm rest device provided in the center of a rear seat disposed behind a passenger compartment to allow passengers to occupy seats, 상면 전방에 대략 함몰형의 수용홈(31)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31)의 전방 양쪽 내벽에 힌지구멍(32)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31)의 후방 내벽에 로킹구멍(33)이 형성되는 아암 레스트(30)와;An approximately recessed accommodating groove 31 is formed in front of the upper surface, and hinge holes 32 are formed in both front inner walls of the accommodating groove 31, and a locking hole 33 is formed in the rear inner wall of the accommodating groove 31. Arm rest 30 is formed; 상기 아암 레스트(30)의 힌지구멍(32)에 그 힌지축(41)이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힌지축(41)에 열림 상태가 유지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토션 스프링(42)이 장착되며, 상면 한쪽에 상기 로킹구멍(33)에 서로 대응되게 로킹되어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 로커(43)가 형성되는 커버(40)와;A hinge shaft 41 is inserted into the hinge hole 32 of the arm rest 30 so as to be rotatably mounted, and a torsion spring 42 is provided to impart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hinge shaft 41 is kept open. A cover 40 having a locker 43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hole 33 to be lock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상기 로킹구멍(33)과 상기 로커(43)의 로킹 상태를 해제시키는 푸시버튼(45)과;A push button (45) for releasing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hole (33) and the rocker (43); 상기 커버(40)의 상면에 다수의 기능설정버튼(51)들을 갖도록 장착되는 컨트롤 패널(50)과;A control panel 50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40 to have a plurality of function setting buttons 51; 상기 커버(40)의 하면에 장착되는 액정 텔레비전(55)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리어 시트의 아암 레스트 장치.An arm rest device for a rear seat for an automobile, comprising a liquid crystal television (55) mounted on a lower surface of the cover (40).
KR2019970019907U 1997-07-26 1997-07-26 Arm rest device of rear seat for car KR19990006441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907U KR19990006441U (en) 1997-07-26 1997-07-26 Arm rest device of rear seat for c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907U KR19990006441U (en) 1997-07-26 1997-07-26 Arm rest device of rear seat for ca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441U true KR19990006441U (en) 1999-02-25

Family

ID=69697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9907U KR19990006441U (en) 1997-07-26 1997-07-26 Arm rest device of rear seat for c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6441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92743A (en) * 2020-03-19 2021-10-12 现代自动车株式会社 Armrest assembly mounted on console of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92743A (en) * 2020-03-19 2021-10-12 现代自动车株式会社 Armrest assembly mounted on console of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5883B2 (en) Overhead console assembly
US20060108816A1 (en) Vehicle console with armrest extension
KR19990006441U (en) Arm rest device of rear seat for car
JP4356255B2 (en) Interior materials for vehicles
CN220243123U (en) Translation turnover mechanism for vehicle-mounted display screen and vehicle-mounted display screen system
KR100466800B1 (en) Tray for automobile
KR100324960B1 (en) Structure of arm rest for vehicle
KR100215401B1 (en) Door armrest for a car
KR200262982Y1 (en) Sun visor having storing space
KR20020012729A (en) Glove box for automobiles
KR0122195Y1 (en) Device for receiving the car-phone of automobile
KR0141281B1 (en) Console lid for a car
KR200143695Y1 (en) Console box for a vehicle
KR19980031774A (en) Automotive console box allows opening of console leads in four directions
KR200209015Y1 (en) Headrest with lamp
JPH0683461U (en) Vehicle table
KR200155105Y1 (en) Main power window switch for a driver's seat
KR19980035656A (en) Car LCD TV Installation
KR19980048014U (en) Automotive Glove Box with Mirror
JPH0781488A (en) Lock structure receiving small article for vehicle
KR19980026114U (en) Arm rest integrated cup holder of the vehicle
KR19980024301U (en) Vehicle console box noise prevention structure
KR19980035799U (en) Car convenience controller
KR19980036367A (en) Console box of car
KR19980024384U (en) Central retractable car console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