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6359A - 문자 인식 장치 및 문자 인식 방법 - Google Patents

문자 인식 장치 및 문자 인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6359A
KR19990006359A KR1019980007800A KR19980007800A KR19990006359A KR 19990006359 A KR19990006359 A KR 19990006359A KR 1019980007800 A KR1019980007800 A KR 1019980007800A KR 19980007800 A KR19980007800 A KR 19980007800A KR 19990006359 A KR19990006359 A KR 19990006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oke
character
strokes
linear
correspond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7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9725B1 (ko
Inventor
다케노리 가와마타
후미오 요다
Original Assignee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 덴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 덴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19990006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9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97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32Digital in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14Image acquisition
    • G06V30/142Image acquisition using hand-held instruments;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instruments
    • G06V30/1423Image acquisition using hand-held instruments;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instruments the instrument generating sequences of position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handwri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14Image acquisition
    • G06V30/148Segmentation of character regions
    • G06V30/153Segmentation of character regions using recognition of characters or w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Abstract

온 라인으로 입력한 손으로 쓴 문자를 판독 출력하는 손으로 쓴 문자 인식에 있어서, 필순, 획수가 변동된 입력문자인 경우에도 인식 대상 문자를 고정밀도, 고속 순으로 인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입력수단(1)으로 손으로 쓴 문자(입력패턴)을 입력하고, 입력된 손으로 쓴 문자를 구성하는 스트로크의 특징을 스트로크 추출수단(2)으로 추출하여, 이 특징에 근거하여 스트로크 분류수단(4)으로 스트로크를 직선 스트로크, 비직선 스트로크, 연속 문자 스트로크로 분류하며, 분류된 각 스트로크의 특징을 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5), 비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7), 연속문자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8)으로 스트로크 특징 사전(3)에 격납되어 있는 인식대상 문자(표준패턴)의 스트로크 특징과 대응 부가를 행하고, 이 결과에 근거하여 문자평가수단(10)에서 손으로 쓴 문자를 인식하도록 구성하고, 연속 문자 스트로크 대응부가 수단(8)은 직선 스트로크 대응부가 수단(5) 또는 비직선 스트로크 대응부가 수단(7)에 의해 대응 부가된 인식 대상 문자에 관해 대응 부가를 행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문자 인식 장치 및 문자 인식 방법
본 발명의 태블릿상에 펜으로 필기된 손으로 쓴 문자를 읽어들인 손으로 쓴 문자 인식에 관한 것으로서, 손으로 쓴 문자에 대해 문자를 구성하는 각 스트로크로 분류하고, 분류된 스트로크의 특징에 근거하여 인식 대상 문자를 인식하는 문자 인식 장치 및 문자 인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필순 변동 및 획수 변동의 양쪽을 흡수하는 온라인 수기(손으로 쓴) 문자 인식 장치는, 손으로 쓴 문자의 스트로크를 특징점 열로 기술하고, 스트로크 결합은 필순대로 생긴다는 가정에 의거하여, 과잉 대응 해소형과 부족 대응 해소형과 같은 2개의 상보적인 최적 대응 부가 알고리즘에 의해, 필순·획수 변동을 포함한 손으로 쓴 문자 패턴의 스트로크와 필순·획수가 바른 해서체에 의한 표준 문자 패턴의 스트로크를 1 대 1로 대응 부가함으로써 필순 변동을 흡수하고, 미대응의 스트로크에 관해서는 전후의 스트로크에 결합된 경우에 가장 작은 거리가 되는 대응부가에 의해 획수 변동을 흡수하며, 문자 인식을 행하였다(스트로크 대응 부가에 의한 온라인 수기 한자 인식, NTT R D Vol. 45 No.11 1996).
예를 들면, 도 34는 종래 예에 예시된 필순·획수 변동을 흡수하는 종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4에 있어서, 201은 태블릿상에 펜으로 필기한 손으로 쓴 문자인 입력 패턴을 입력하는 입력수단, 202는 입력 패턴의 표본화, 위치, 크기 등의 정규화를 행하는 전처리 수단, 203은 입력 패턴을 구성하는 각 스트로크를 등간격으로 새긴 점을 특징점으로서 추출하는 특징점 추출 수단, 204는 정확한 필순·획수로 필기된 다수의 해서 문자로 작성된 평균적인 문자 패턴인 표준 패턴을 격납한 표준 패턴 사전, 205는 입력 패턴의 스트로크와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의 스트로크간 거리를 계산하는 스트로크간 거리 계산 수단, 206은 2종류의 상보적인 탐색 알고리즘에 의해 입력 패턴의 스트로크와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와의 1 대 1의 대응 부가에 의해 필순 변동을 흡수하는 1 대 1 스트로크 대응부가 수단, 207은 표준 패턴 중의 미대응 스트로크를 전후의 스트로크에 결합함으로써 획수 변동을 흡수하는 선택적 스트로크 결합수단, 208은 대응부가 결과를 토대로 패턴간 거리를 산출하는 패턴간 거리 산출 수단, 209는 각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이다.
도 34의 블럭도를 참조하여 종래 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제어수단(209)은 입력수단에 지시하고, 입력 패턴을 입수한다.
다음에, 제어수단(209)은 입력수단(201)에 의해 입력된 입력 패턴을 전처리 수단(202)으로 이송하고, 표본화, 위치·크기의 정규화를 행한다.
제어수단(209)은 전처리 후의 입력패턴을 특징점 추출수단(203)으로 이송하고, 입력패턴을 입력패턴의 각 스트로크상을 등간격으로 새긴 특징점 열로 변환한다.
제어수단(209)은 입력패턴의 특징점 열을 1 대 1 스트로크 대응부가 수단(206)으로 보낸다. 1 대 1 스트로크 대응부가 수단(206)은 입력 패턴과 표준 패턴 사전(204)의 표준 패턴을 스트로크 수가 적은 쪽의 스트로크를 기준으로 각 특징점을 과잉의 대응부가 없도록 대응부가를 행한다(과잉 대응 해소형의 대응부가 알고리즘).
다음에, 1 대 1 스트로크 대응부가 수단(206)은 입력패턴과 표준 패턴 사전(204)의 표준 패턴을 스트로크 수가 많은 쪽의 스트로크를 기준으로 각 특징점을 부족한 대응부가가 없도록 대응부가를 행한다(부족 대응 해소형의 대응 부가 알고리즘).
상기 2개의 대응 부가 알고리즘에 의해 얻어진 대응 부가 결과 중, 거리가 작은 결과를 최종적인 1 대 1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206)에서 얻은 결과로 한다.
여기에서, 대응 부가시에 스트로크간 거리 산출 수단(205)에서 산출하는 거리에는 개시점간 및 종료점 간의 거리의 합을 2로 나눈 값인 끝점 매칭 거리, 점수가 적은 쪽의 스트로크의 점을 점수가 많은 쪽의 스트로크의 선두점으로부터 순서대로 대응 부가하여 점간 거리의 합을 산출하여 점수비를 곱한 값인 부분 매칭을 사용한다.
다음에, 선택적 스트로크 결합수단(207)은 1 대 1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206)에 의해 대응 부가된 스트로크를 스트로크가 많은 쪽의 필순에 맞추어 나열한다. 1 대 1 스트로크 대응부가 수단(206)으로 대응 부가된 스트로크에 관해서는「스트로크의 결합은 필순대로 생긴다」라는 가정에 근거하여 스트로크의 결합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1 대 1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206)에 의해 대응 부가된 스트로크의 선두 스트로크 보다 먼저 필기된 미대응의 스트로크에 관해서는 선두 스트로크에 필순대로 결합된다. 마찬가지로 최종 스트로크보다 뒤에 필기된 미대응의 스트로크에 관해서는 최종 스트로크에 필순대로 결합된다. 그외의 미대응 스트로크는 1 대 1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206)으로 대응 부가된 스트로크 중의 어느 하나의 스트로크 사이에 존재하기 때문에, 미대응의 스트로크를 전후의 스트로크와 일단 결합시키고, 2개의 스트로크간 거리가 최소로 되는 곳에서 절단됨으로써 2개의 스트로크로 나눈다.
여기에서, 선택적 스트로크 결합수단(207)에서는 점수가 많은 쪽의 스트로크의 점을 등간격으로 솎아내어 적은 쪽의 점수에 맞추어 순서대로 대응 부가하여 점간 거리의 합을 산출하고, 적은 쪽의 점수로 나눈 값인 전체 매칭 거리를 사용한다. 다만, 고속화를 위해 큰 분류 처리에서는 끝점 매칭 거리를 사용한다.
마지막으로, 대응 부가된 결과에서, 결합 스트로크에 관해서는 적당한 거리의 정규화를 행하여, 최종적인 거리를 산출하고, 가장 거리가 작은 문자를 인식결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예의 필순· 획수 변동을 흡수하는 문자 인식장치에서는 손으로 쓴 문자의 각 스트로크를 등간격으로 새긴 특징점 열을 사용하여, 스트로크간 거리를 구하고 있기 때문에, 붓끝을 위로 치켜 올리는 필법에 의한 글씨, 억누름 등의 잡음성분이나 스트로크의 변형, 위치 어긋남에 의한 특징점의 좌표치의 어긋남이 스트로크 거리에 영향을 주게 되어, 오판독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한자 등의 획수가 많은 문자에서는 개개의 스트로크는 단순한 직선 스트로크로 구성되는 것이 많기 때문에, 스트로크내의 특징점은 중요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특징점 레벨로 대응부가를 행하기 때문에, 대응 부가에 시간이 걸리며, 좌표치의 어긋남의 영향을 쉽게 받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획수 변동 흡수시에, 계산량을 감소하기 위해서「스트로크의 결합은 필순대로 생긴다」라는 가정을 사용하고 있고, 획수 변동이 필순대로 생기지 않는 변동에는 대응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필순·획수가 변동된 손으로 쓴 문자의 스트로크와 스트로크 사전의 스트로크의 대응부가를 완전히 행할 수 있어, 스트로크가 국소적인 변형이나 위치 어긋남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고정도(高精度)의 오차를 실현함과 동시에, 고속으로 문자 인식이 가능한 문자 인식 장치 및 문자 인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 발명은, 손으로 쓴 문자를 온 라인으로 입력하는 입력수단과,
다수의 인식 대상 문자에 대하여 각 인식 대상 문자를 구성하는 직선 스트로크 및 비직선 스트로크의 특징이 이미 격납된 스트로크 특징 사전과,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상기 손으로 쓴 문자로부터 이 손으로 쓴 문자를 구성하는 스트로크의 특징을 추출하는 스트로크 특징 추출수단과,
상기 스트로크 특징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특징에 근거하여, 상기 손으로 쓴 문자의 각 스트로크를, 상기 직선 스트로크, 상기 비직선 스트로크 또는 상기 인식 대상 문자를 구성하는 스트로크와의 대응부가가 불가능한 연속 문자 스트로크 중의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스트로크 분류수단과,
상기 스트로크 분류 수단에 의해 분류된 직선 스트로크의 특징과 상기 스트로크 특징 사전에 격납된 인식 대상 문자를 구성하는 직선 스트로크의 특징의 대응 부가를 행하는 직선 스트로크 대응부가 수단과,
상기 스트로크 분류 수단에 의해 분류된 비직선 스트로크의 특징과 상기 스트로크 특징 사전에 격납된 인식 대상 문자를 구성하는 비직선 스트로크의 특징의 대응부가를 행하는 비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과,
상기 스트로크 분류 수단에 의해 분류된 연속 문자 스트로크를, 상기 직선 스트로크 또는 상기 비직선 스트로크로 분할하여, 이 분할된 직선 스트로크 또는 비직선 스트로크의 특징과 상기 스트로크 특징 사전에 격납된 인식 대상 문자를 구성하는 직선 스트로크 또는 비직선 스트로크의 특징의 대응부가를 행하는 연속 문자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과,
상기 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 상기 비직선 스트로크 대응부가 수단 또는 상기 연속 문자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에 의해 얻어진 대응 부가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손으로 쓴 문자를 인식하는 문자 평가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연속 문자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은, 상기 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 또는 상기 비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에 의해 대응 부가된 상기 인식 대상 문자에 대하여 대응 부가를 행하는 것이다.
제 2 발명은, 손으로 쓴 문자를 온라인으로 입력하는 입력 스텝과,
상기 입력 스텝에 의해 입력된 상기 손으로 쓴 문자로부터 이 손으로 쓴 문자를 구성하는 스트로크의 특징을 추출하는 스트로크 특징 추출 스텝과,
이 스트로크 특징 추출 스텝에 의해 추출된 특징에 근거하여, 상기 손으로 쓴 문자의 각 스트로크를, 상기 직선 스트로크, 상기 비직선 스트로크 또는 상기 인식 대상 문자를 구성하는 스트로크와의 대응 부가가 불가능한 연속 문자 스트로크 중의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스트로크 분류 스텝과,
이 스트로크 분류 스텝에 의해 분류된 직선 스트로크의 특징과 상기 스트로크 특징 사전에 격납된 인식 대상 문자를 구성하는 직선 스트로크의 특징의 대응 부가를 행하는 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스텝과,
상기 스트로크 분류 스텝에 의해 분류된 비직선 스트로크의 특징과 상기 스트로크 특징 사전에 격납된 인식 대상 문자를 구성하는 비직선 스트로크의 특징의 대응 부가를 행하는 비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스텝과,
상기 스트로크 분류 스텝에 의해 분류된 연속 문자 스트로크를, 상기 직선 스트로크 또는 상기 비직선 스트로크로 분할하여, 이 분할된 직선 스트로크 또는 비직선 스트로크의 특징과 상기 스트로크 특징 사전에 격납된 인식 대상 문자를 구성하는 직선 스트로크 또는 비직선 스트로크의 특징의 대응 부가를 행하는 연속 문자 스트로크 대응 부가 스텝과,
상기 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스텝, 상기 비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스텝 또는 상기 연속 문자 스트로크 대응 부가 스텝에 의해 얻어진 대응 부가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손으로 쓴 문자를 인식하는 문자 평가 스텝을 구비하는 것이다.
제 3 발명은, 상기 연속 문자 스트로크 대응 부가 스텝은, 상기 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스텝 또는 상기 비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스텝에 의해 대응 부가된 상기 인식 대상 문자에 관해 대응 부가를 행하는 것이다.
도 1은 실시예 1의 문자인식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실시예 1의 문자인식 장치의 처리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실시예 1의 입력수단(1)에 필기된 입력 패턴「亞」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실시예 1의 스트로크 특징 추출수단(2)에서 추출된 입력패턴의 스트로크 특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실시예 1의 스트로크 특징 중의 스트로크의 방향, 가상 스트로크의 방향을 16 방향으로 양자화하기 위한 방향의 할당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실시예 1의 스트로크 분류수단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실시예 1의 스트로크 분류수단이 방향 성분 분포를 구할 때에 사용하는 8방향 성분 분포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실시예 1의 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5)의 처리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도 9a 및 도 9b는 실시예 1의 스트로크 대응 부가 가능영역 결정수단(6)이 직선 스트로크의 대응부가의 경우에 사용하는 영역 분할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실시예 1의 스트로크 대응 부가 가능영역 결정수단(6)이 사용하는 대응 부가 영역 결정을 위한 정보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실시예 1의 입력 스트로크의 대응 부가 가능 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실시예 1의 스트로크 특징 사전 중의 문자「亞」의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열 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실시예 1의 스트로크 특징 사전 중의 문자「亞」의 표준 패턴에 있어서의 스트로크 특징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실시예 1의 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5), 비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7), 연속문자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8)에서 사용하는 스트로크 형상에 따라서 대응부가의 가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실시예 1의 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5)에 있어서의 후보 스트로크의 압축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실시예 1의 비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7)의 처리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도 17은 실시예 1의 연속문자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8)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도 18은 실시예 1의 스트로크 대응 부가 가능 영역 결정수단(6)이 직선 스트로크 이외의 대응부가의 경우에 사용하는 영역 분할을 도시한 도면.
도 19는 실시예 1의 입력패턴의 각 스트로크가 스트로크 대응 부가 가능영역 결정수단(6)에서 사용하는 영역의 어디에 존재하고 있는가를 도시한 도면.
도 20은 실시예 1의 스텝 S54 처리의 상세한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도 21은 실시예 1의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에 있어서의 특징점을 도시한 도면.
도 22는 실시예 1의 입력패턴의 스트로크를 일정 간격으로 샘플링한 샘플링점을 도시한 도면.
도 23은 실시예 1의 표준 패턴의 특징점과, 입력 패턴의 샘플링 점과의 대응 부가 결과를 도시한 도면.
도 24는 실시예 1의 입력패턴을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에 함유시켜 분단한 스트로크를 도시한 도면.
도 25는 실시예 1의 입력수단(1)에 필기된 문자「言」의 각 스트로크를 도시한 도면.
도 26은 실시예 1의 입력패턴의 각 스트로크가 스트로크 대응 부가 가능영역결정수단(6)에서 사용하는 영역의 어디에 존재하고 있는가를 도시한 도면.
도 27은 실시예 1의 스트로크 특징 사전(3) 중의 문자「言」의 표준 패턴을 도시한 도면.
도 28은 실시예 1의 부분 스트로크의 대응부가의 상세한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도 29는 실시예 1의 입력패턴의 연속문자 스트로크의 분단 후보점을 도시한 도면.
도 30은 실시예 1의 부분 스트로크를 도시한 도면.
도 31은 도 28의 스텝 S72 처리의 상세한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도 32는 도30의 부분 스트로크에서 얻어진 분단 스트로크를 도시한 도면.
도 33은 부분 스트로크에서 얻어진 분단 스트로크를 도시한 도면.
도 34는 종래의 온 라인 문자 인식 장치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입력수단 2: 스트로크 특징 추출 수단
3: 스트로크 특징 사전 4: 스트로크 분류수단
5: 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
6: 스트로크 대응 부가 가능영역 결정수단
7: 비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
8: 연속문자 스트로크 대응부가 수단
9: 부분 스트로크 추출수단 10: 문자평가 수단
11: 제어수단
(실시예 1)
이하, 실시예 1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문자 인식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면에 있어서, 1은 태블릿형 입력장치에 문자를 손으로 써서 입력하는 입력수단, 2는 입력수단(1)에 의해 입력된 손으로 쓴 문자로부터 이 손으로 쓴 문자를 구성하는 스트로크의 특징을 추출하는 스트로크 특징 추출 수단,
3은 복수의 인식 대상 문자에 대하여, 정확한 필순대로 기록된 각 인식 대상 문자인 표준 패턴을 구성하는 직선 스트로크 및 비직선 스트로크의 스트로크 특징이 미리 격납된 스트로크 특징 사전,
4는 스트로크 특징 추출 수단(2)에 의해 추출된 특징에 의거하여, 손으로 쓴 문자의 각 스트로크를, 직선 스트로크, 비직선 스트로크, 연속 문자 스트로크 중의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스트로크 분류 수단이다.
5는 상기 스트로크 분류 수단(4)으로 분류된 직선 스트로크의 특징과 스트로크 특징 사전(3)에 격납된 표준 패턴을 구성하는 직선 스트로크의 특징의 대응 부가를 행하는 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
6은 스트로크 특징 추출 수단(2)에 의해 추출된 특징에 근거하여, 손으로 쓴 문자의 각 스트로크의 존재 영역을 결정하는 스트로크 대응 부가 영역 결정 수단,
7은 스트로크 분류 수단(4)에 의해 분류된 비직선 스트로크의 특성과 스트로크 특징과 스트로크 특징 사전(3)에 격납된 표준 패턴을 구성하는 비직선 스트로크의 특징의 대응 부가를 행하는 비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
8은 스트로크 분류 수단에 의해 분류된 연속 문자 스트로크를, 직선 스트로크 또는 비직선 스트로크로 분할하여 이 분할된 직선 스트로크 또는 비직선 스트로크의 특징과 스트로크 특징 사전(3)에 격납된 표준 패턴을 구성하는 직선 스트로크 또는 비직선 스트로크의 특징의 대응 부가를 행하는 연속 문자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
9는 연속 문자 스트로크로부터 부분 스트로크를 작성하는 부분 스트로크 작성 수단이다.
10은 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5), 비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7), 연속 문자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8)에 의해 얻어진 대응 부가 결과로부터 문자의 평가치를 구하여, 손으로 쓴 문자를 인식하는 문자 평가 수단, 11은 각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문자 인식 장치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의 문자 인식 장치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를 참조하여, 처리순서의 예를 설명한다.
먼저, 스텝 Sl에서 입력수단(1)에 의해 태블릿형 입력장치에 펜으로 문자를 손으로 써서 입력한다.
도 3은 입력수단(1)에 입력한 손으로 쓴 문자의 입력패턴「亞」를 도시한 것으로, 60 내지 65는 시간적으로 순서대로 입력된 스트로크이다. 이 예에서는 필순, 획수와 함께 정규가 아닌 필기를 하고 있고, 6개의 스트로크로 구성되어 있다.
스텝 S2로 진행하여 스트로크 특징 추출 수단(2)에서, 손으로 쓴 문자의 입력 패턴을 구성하는 각 스트로크의 특징을 추출한다. 이 예에서는 도 3의 입력패턴의 스트로크(60 내지 65)의 스트로크 특징을 추출한다.
도 4는 스트로크 특징 추출 수단(2)에서 추출한 입력 패턴의 스트로크 특징이고, 도 3의 입력 패턴의 스트로크(60 내지 65)로부터 얻게 된 스트로크 특징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의 스트로크 특징 중에서, 스트로크의 방향 및 1 개의 스트로크와 다음 스트로크를 연결하는 실제로는 필기되지 않은 가상 스트로크의 방향은 도 5에 도시된 스트로크를 16 방향으로 양자화하기 위해서 방향 할당을 한 16방향 분포도를 사용하여 구한다.
다음에, 스텝 S3으로 진행하여, 스트로크 분류수단(4)은 입력 패턴의 스트로크를 그 형상에 따라 분류한다.
도 6은 스트로크 분류 수단(4)의 처리량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스트로크 분류 수단(4)의 동작을 도 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6의 스텝 S10에서, 스트로크 분류 수단(4)은 선두 스트로크로부터 순서대로 현재의 스트로크가 직선 스트로크인지가 판정되고, 직선 스트로크인 경우는 스텝 S11로, 그 이외인 경우는 스텝 S13으로 진행한다. 도 3의 입력 패턴에서는 도 4의 스트로크 특징의 형상으로부터 5 개의 스트로크(60, 61, 62, 63, 65)가 직선 스트로크로 판정되어, 스텝 S11로 진행한다.
스텝 S11에서, 스트로크 분류 수단(4)은 스트로크의 방향 성분 분포를 추출한다. 스트로크의 방향 성분 분포는 입력 스트로크를 적당한 간격으로 샘플링한 점 사이를 직선으로 연결한 각 직선의 방향분포에 의해 구한다. 여기에서, 스트로크 분류 수단(4)이 방향 분포를 구할 때에는 도 7에 도시된 8 방향 성분 분포를 사용한다.
스텝 S12로 진행하여, 스트로크 분류수단(4)은 구해진 방향 성분이 일정방향만인지를 확인하여, 일정 방향만인 경우는 스텝 S15로 진행하여 직선 스트로크라고 판정하고, 그 이외는 스텝 S13으로 진행한다. 도 3의 입력 패턴의 예에서는 모든 직선 스트로크가 일정방향 성분만을 갖기 때문에, 스텝 S15로 진행하여 직선 스트로크로 판정된다.
방향 성분이 일정 방향만이 아닌 경우는 스텝 S13에서, 스트로크 분류 수단(4)은 다방향 성분을 갖는 직선 스트로크 및 직선 이외의 스트로크에 관해, 스트로크 특징 사전(3)에 존재하는 스트로크 형상인가를 체크하여 사전 내에 존재하지 않는 스트로크인 경우는 스텝 S16으로 진행하여 연속 문자 스트로크로 판정한다. 사전내에 존재하는 스트로크인 경우는 스텝 S14로 진행하여 비직선 스트로크로 판정한다. 도 3의 입력 패턴의 예에서는 미지의 스트로크(64)는 사전내에 존재하지 않는 스트로크이기 때문에, 스텝 S16으로 진행하여, 연속 문자 스트로크로 판정된다.
다음에, 도 2의 스텝 S4로 진행하고, 제어수단(11)은 스트로크 분류 수단(4)에서 직선 스트로크로 판정된 스트로크를 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5)으로 이송하고, 입력 패턴의 직선 스트로크와 스트로크 특징 사전(3)의 표준 패턴의 직선 스트로크의 대응 부가를 행한다. 도 3에 도시된 입력 패턴의 예에서는 직선 스트로크(60, 61, 62, 63, 65)가 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5)으로 이송된다.
도 8은 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5)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5)은 스텝 S21에서 각 직선 스트로크를 길이에 따라 3종류(긴, 중간, 짧은)로 분류한다. 스트로크의 길이는 스트로크의 개시점, 종료점의 유클리드 거리에 의해 구한다. 이 예에서는 긴 스트로크를 70이상, 짧은 스트로크를 30이하, 그 중간을 중간 스트로크로 정의한다. 도 4의 입력 패턴의 스트로크 특징에 예시된 입력 스트로크의 길이 정보로부터 스트로크(60, 61, 62, 65)가 긴 스트로크, 스트로크(63)가 짧은 스트로크로서 분류된다.
스텝 S22로 진행하여, 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5)은 스트로크 대응 부가 가능 영역 결정 수단(6)에서 스트로크의 방향, 스트로크의 시종(始終)점 좌표, 스트로크의 길이로부터, 스트로크의 존재 영역을 결정한다.
도 9a 및 도 9b는 직선 스트로크의 대응 부가에 있어서 사용하는 영역 분할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에서는 문자를 외부 접속 직사각형으로 수평방향, 수직방향 각각으로 4 분할된 영역에 의한 스트로크의 존재 영역을 결정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스트로크 대응 부가 가능 영역 결정 수단(6)에서 사용하는 영역결정을 위한 정보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중의 스트로크 방향은 스트로크의 개시점에서 종료점으로의 방향을, 도 5의 16 방향 분포도로 방향을 양자화한 값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도 10의 수평직선 스트로크에 관해서는 스트로크 방향은 4, 5, 6, 12, 13, 14의 방향의 표준 패턴의 수평 스트로크와 대응 부가 가능성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영역(1)에 존재하는 수평 직선 스트로크는 영역(1), 영역(2)에 존재하는 수평직선 스트로크와 대응 부가할 가능성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로크 대응 부가 가능 영역 결정 수단(6)은 입력 패턴의 스트로크 방향과 수직 방향의 거리적인 변동은 적어 비교적 안정하다고 판단하고, 인접하는 영역까지를 존재영역으로 한다. 단, 다수의 영역에 걸친 경우는 그 다수 영역에 대한 인접 영역을 존재영역으로 한다.
도 11은 도 3의 입력패턴에 대한 스트로크의 존재영역 및 대응 부가 가능 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스텝 S23으로 진행하여, 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5)은 입력패턴의 스트로크에 대하여, 대응 부가 대상이 되는 스트로크 특징 사전(3)의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를 결정한다.
도 12는 스트로크 특징 사전(3)에 격납되어 있는 문자「亞」의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스트로크 특징 사전(3)에 격납되어 있는 도 12의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 특징이다.
대응 부가 가능한 조건으로서는 1) 스트로크 형상 조건, 2) 스트로크의 길이 조건, 3) 스트로크의 대응 부가 가능 영역 조건의 3개에 의해 대응 부가 대상이 되는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를 결정한다.
도 14는 스트로크 형상에 따른 대응 부가의 여부를 도시한 것으로, 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5), 비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7), 연속 문자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8)으로 사용하는 스트로크형상에 따른 대응부의 가부를 결정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스트로크의 형상 조건은, 도 14에 도시된 대응관계로 입력패턴의 스트로크 형상과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 형상에서, ○이 부가 되어 있는 대응 부가를 대응 부가 가능으로 하고, ×는 대응부가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또한, 스트로크의 길이 조건은 긴 스트로크는 긴 스트로크 혹은 중간 스트로크와 대응 부가 가능하고, 중간 스트로크는 긴 스트로크 및 짧은 스트로크와도 대응 부가 가능하며, 짧은 스트로크는 중간 스트로크 혹은 짧은 스트로크와 대응 부가 가능하게 한다. 또한, 스트로크의 대응 부가 가능 영역 조건은 스트로크 대응 부가 가능영역 결정수단(6)의 결과를 이용한다.
이 예에서는 도 12의 표준 패턴에 대하여 도 13의 스트로크 특징이 스트로크 특징 사전(3)에 격납되어 있다. 이 스트로크 특징에 근거하여, 입력패턴의 각 스트로크에 대하여, 대응 부가 가능한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를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의 입력패턴의 각 스트로크에 대하여, 대응 부가 가능한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를 결정한다.
도 15는 스트로크 형상 조건, 스트로크의 대응 부가 가능 영역 조건, 스트로크의 길이 조건에 의해, 대응 부가 가능한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가 압축되는 모양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에서, 각 조건에 의한 압축은 그것까지로 압축된 것만을 대상으로 순차 행한다.
도 15에서, 스트로크(60)는 스트로크(70, 73)로, 스트로크(61)는 스트로크(74, 75)로, 스트로크(62)는 스트로크(75)로, 스트로크(63)는 스트로크(71)로, 스트로크(65)는 스트로크(73, 76)로 압축된다. 여기에서, 1개로 압축된 스트로크에 관해서는 그것 이외의 대응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1개로 압축된 좌표 스트로크는 다른 입력 스트로크의 대응 부가에 이용할 수 없다. 여기에서는 스트로크(71, 75)가 1개로 압축되어 있기 때문에, 그 밖의 입력 스트로크의 후보 스트로크로부터 스트로크(71, 75)를 제외한다. 이것에 의해, 스트로크(61)가 스트로크(74)에 압축되고, 최종적으로 스트로크(60), 스트로크(65)에만, 2 개의 스트로크의 후보가 존재한다.
다음에, 스텝 S24로 진행하여, 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5)은 입력패턴의 스트로크에 대하여, 표준 패턴의 후보 스트로크와의 대응 부가를 상세하게 행하여, 대응 부가가 성공한 결과를 모두 직선 스트로크의 대응 부가 결과로 한다.
여기에서, 상세한 대응 부가의 체크에는 스트로크의 방향, 스트로크의 폭, 스트로크의 높이, 스트로크의 시종점의 좌표치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대응부가의 한계치와 비교하여, 대응 부가가 가능한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이 때, 표준 패턴의 연속되는 스트로크에 대하여 입력 스트로크가 대응 부가되는 경우는 가상 스트로크의 대응 부가 결과도 사용하여 대응부가의 검정을 행한다.
또한, 입력패턴 필순 변동을 흡수하기 위해서, 입력패턴이 표준 패턴의 필순과 다른 경우에도 스트로크의 대응 부가를 행할 수 있도록, 각 입력패턴의 스트로크와 대응 부가가 가능한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의 모든 후보 스트로크에 관해 대응 부가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4의 입력패턴의 스트로크 특징과 도 13의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 특징으로 비교한다.
이 예에서는 입력패턴의 스트로크(61, 62, 63)에 관해서는 이미 대응부가의 후보가 1개로 압축되어 있고, 어느쪽의 스트로크도 정확한 대응 부가로 되어 있기 때문에, 대응 부가는 성공한다. 스트로크(60, 65)에 관해서는 2개의 후보가 존재하기 때문에, 각각의 입력패턴의 스트로크에 대하여 표준 패턴의 후보 스트로크를 대응 부가한다. 즉, 입력패턴의 스트로크(60)에는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70) 및 스트로크(73), 스트로크(65)에 대해서는 스트로크(73) 및 스트로크(76)를 대응 부가한다.
먼저, 입력패턴의 스트로크(60)의 대응 부가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스트로크(60)와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70, 73)의 대응 부가를 행한다. 여기에서, 스트로크(60)와 스트로크(73)를 대응 부가한 경우는 시종점의 Y 좌표치의 차가 커진다. 또한, 스트로크 간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가상 스트로크를 이용하여 대응 부가 결과를 체크하면, 스트로크(73)의 경우는 다음 스트로크(74)로의 가상 스트로크의 방향은 도 13으로부터「16」으로 된다. 스트로크(60)의 경우 사전의 표준 스트로크(74)에 대응 부가되어 있는 입력패턴의 스트로크는 스트로크(61)이기 때문에, 스트로크(60)의 가상 스트로크의 방향은 스트로크(60)의 종료점에서 스트로크(61)의 개시점의 방향이 되어,「13」으로 된다. 따라서, 가상 스트로크 방향의 차는 16-13=3이 된다.
한편, 스트로크(60)와 스트로크(70)의 대응 부가에서는 시종점 좌표치의 차가 작고, 가상 스트로크의 방향의 차도 작고 (대응 부가 결과의 거리가 작다), 정확한 대응 부가이다.
다음에, 스트로크(65)와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73, 76)와의 대응 부가를 행한다. 스트로크(65)와 스트로크(73)를 대응 부가한 경우는 시종점의 좌표치의 차(스트로크 특징의 차)가 커진다. 한편, 스트로크(65)와 스트로크(76)를 대응 부가한 경우는 스트로크 특징의 차가 작고 정확한 대응 부가이다.
이 결과, 직선 스트로크의 대응 부가는 입력패턴의 스트로크(60)가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70)에, 스트로크(61)가 스트로크(74)에, 스트로크(62)가 스트로크(75)에, 스트로크(63)가 스트로크(71)에, 스트로크(65)가 스트로크(76)에 대응이 부가되어, 1 대 1의 대응 부가로 압축된다.
상기의 예와 같이, 상기 대응 부가 처리에 의해 입력패턴의 스트로크의 필순은 표준 패턴의 필순과 다른 경우에도 대응 부가가 가능하게 된다.
스텝 S25로 진행하여, 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5)은 입력패턴의 직선 스트로크가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 중의 어느 하나에 대응하고 있는 경우는 스텝S27으로 진행하여 대응부가를 가능(OK)하게 하고, 1 개라도 미대응의 스트로크가 존재하는 경우는 스텝 S28로 진행하며, 현재의 표준 패턴과의 대응 부가를 불가능(NG)으로 한다.
이 예에서는 모든 입력패턴의 직선 스트로크가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와 정확하게 대응 부가가 이루어졌다.
다음에, 도 2의 스텝 S5로 진행하여, 제어수단(11)은 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결과를 체크하여, 대응 부가가 불가능(NG)한 경우는 스텝 S8로 진행하고, 다음 표준 패턴과의 대응 부가를 행한다. 또한, 대응 부가가 성공한 경우에는 스텝 S6으로 진행하며, 비직선 스트로크와의 대응 부가를 행한다.
도 16은 비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7)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비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7)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스텝 S30에서, 비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7)은, 직선 스트로크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비직선 스트로크에 대하여 스트로크 대응 부가 가능영역 결정수단(6)으로, 입력패턴의 스트로크와 대응 부가되는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를 결정한다. 이 대응 부가는 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와 같이 도 10의 영역 결정을 위한 정보도를 참조한다.
여기에서, 입력패턴의 비직선 스트로크와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의 대응 부가는 상기 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5)으로 대응 부가된 직선 스트로크가 존재하는 표준 패턴에 한해서 행해진다.
스텝 S31로 진행하여, 비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7)은 입력패턴의 스트로크 형상별로 표준 패턴의 해당 스트로크와의 대응 부가를 행한다.
먼저, 스텝 S30의 처리에서 구한 입력패턴의 각 스트로크에 대한 표준 패턴의 대응 부가 가능한 스트로크에 대하여, 스트로크 형상에 의한 대응 부가의 체크를 행한다. 스트로크 형상의 대응부가의 규칙은 도 14의 스트로크 형상에 따른 대응 부가의 가부를 도시한 도를 참조한다.
다음에, 대응 부가가 가능하면 판독된 스트로크는 직선 스트로크와 동일하게 상세한 스트로크의 대응 부가의 체크를 행한다.
스텝 S32로 진행하여, 비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7)은 입력패턴의 스트로크가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 중의 어느 하나와 대응 부가되었다고 판정된 경우는 스텝 S34로 진행하여 대응 부가가 성공했다고 판정한다. 여기에서, 대응 부가되지 않은 경우는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에 일치하는 것이 없는 것으로 간주하고, 스텝 S33로 진행하여, 연속 문자 스트로크로 판정한다.
스텝 S35로 진행하여, 비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7)은 모든 비직선 표준 스트로크에 대하여 대응 부가를 행하였는지를 조사하고, 행하지 않았으면 스텝 S30으로 진행하고, 다음 비직선 스트로크의 대응 부가를 행한다. 또한, 모든 대응 부가가 종료된 경우는 비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7)의 대응 부가를 종료한다.
다음에, 도 2의 스텝 S7로 진행하며, 제어수단(11)은 연속문자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8)으로 연속문자 스트로크의 대응 부가를 행한다.
도 17은 연속문자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8)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17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연속 문자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8)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스텝 S50에서, 연속문자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8)은 스트로크 대응 부가 가능영역 결정수단(6)에서 입력패턴의 연속문자 스트로크의 대응 부가 가능영역을 결정하여, 입력패턴의 연속 문자 스트로크에 대응 부가 가능한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 후보를 구한다.
여기에서, 입력패턴의 연속문자 스트로크 대응 부가는 상기 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5), 상기 비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7)에서 대응 부가된 직선 스트로크, 비직선 스트로크가 존재하는 표준 패턴에 한해서 행해진다.
도 18은 스트로크 대응 부가 가능영역 결정수단(6)이 직선 스트로크 이외의 대응부가인 경우에 사용하는 영역분할의 일례를 도시한 도이다. 스트로크 대응 부가 가능영역 결정수단(6)은 도 10의 대응 부가 가능영역 결정을 위한 정보도에 도시된 스트로크 이외의 경우는 도 18의 영역분할을 사용하여 스트로크 대응 부가 가능영역을 결정한다. 스트로크 대응 부가 가능영역은 입력패턴의 스트로크의 외부 접속 직사각형이 포함된 영역의 1개 외측의 영역까지를 대상으로 한다. 도 3의 입력패턴의 예에서는 스트로크(64)가 연속문자 스트로크로 판단되고, 도 10에 도시된 스트로크 형상이 아니기 때문에, 우선 스트로크(64)가 포함되는 영역을 결정한다.
도 19는 도 3의 입력패턴을 도 18의 영역분할로 분할하여, 스트로크(64)의 외부접속 직사각형(80)을 구한 예이고, 입력패턴의 각 스트로크가 스트로크 대응 부가 가능영역 결정수단(6)에서 사용하는 영역의 어디에 존재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서, 스트로크(64)의 외부접속 직사각형(80)은 영역(A 내지 H)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고, 스트로크의 대응 부가 가능영역은 영역(A 내지 L)으로 한다.
다음에, 연속문자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8)은 결정된 대응 부가 가능영역에 존재하는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를 구한다. 도 12에 도시된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의 예의 경우, 영역(A 내지 L)에 포함되는 것은 스트로크(70, 71, 72, 73)의 4개의 예인 경우, 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5)과 비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7)에 의해 입력 스트로크와 1 대 1로 대응 부가된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는 대응 부가가 확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외한다. 따라서, 이 예에서는 스트로크(70, 71)가 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으로 확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외된다. 이 결과, 스트로크(72, 73)가 후보 스트로크로서 선택된다.
스텝 S57로 진행하여, 연속문자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8)은 모든 연속문자 스트로크에 대하여 대응 부가 가능영역을 결정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 결정되어 있으면 스텝 S51로 진행하고, 결정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 S50으로 되돌아간다.
도 3의 입력패턴에서는 연속문자 스트로크는 1 개밖에 없기 때문에, 스텝 S51로 진행하며, 입력패턴의 연속문자 스트로크의 개시 스트로크, 종료 스트로크가 되는 표준 패턴의 후보 스트로크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입력패턴의 연속문자 스트로크의 연속점에 대해서 그 시종점이 존재하는 영역을 도 18의 영역분할로 구하여, 존재영역의 1 개 외측까지의 영역을 대응 부가 가능영역으로 한다.
다음에, 입력패턴의 연속문자 스트로크의 개시점이 존재하는 대응 부가 가능영역에 대응하는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로 시점이 포함되는 스트로크를 개시 스트로크의 후보로서 선택한다. 동일하게, 입력의 연속 문자 스트로크의 종료점이 존재하는 대응 부가 가능영역에 대응하는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로 종료점이 포함되는 스트로크를 종료 스트로크의 후보로서 선택한다.
도 19에 도시된 예의 경우, 입력패턴의 연속문자 스트로크(64)의 시점은 영역(A)에 존재하기 때문에, 시점의 대응부가 가능영역은 영역(A, B, E, F)으로 된다. 스텝 S50의 처리에서 구한 표준 패턴의 후보인 스트로크(72, 73)의 시점은 모두 이 영역에 포함되기 때문에, 개시 스트로크의 후보는 스트로크(72, 73)의 2 개가 된다. 동일하게, 연속문자 스트로크(64)의 종료점은 영역(H)에 존재하기 때문에, 대응부가 가능영역은 영역(C, D, G, H, K, L)으로 된다. 이것에 의해, 종료점 스트로크의 후보도 스트로크(72, 73)로 된다.
스텝 S52로 진행하여, 연속문자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8)은 스텝 S51에서 구한 시종점 후보의 스트로크 수의 합계(단, 동일한 스트로크는 중복하여 카운트하지 않는다)가 3 개 이하로 되는지를 조사하여, 3 개 이하인 경우는 스텝 S54로 진행하고, 3 개 이상인 경우는 스텝 S53으로 진행한다. 도 3의 연속문자 스트로크인 경우는 후보 스트로크 수는 2개이기 때문에, 스텝 S54로 진행한다.
스텝 S54에서 입력패턴의 연속문자 스트로크와 표준 패턴의 후보 스트로크의 대응 부가를 행한다. 도 20은 스텝 S54의 대응 부가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0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연속문자 스트로크의 대응 부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스텝 S60에서, 연속문자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8)은 표준 패턴의 후보 스트로크의 필순을 결정한다. 여기에서, 스텝 S60에서는 표준 패턴의 후보 스트로크 수는 반드시 3 개 이하로 압축된다. 연속문자 스트로크는 최저 2 개의 스트로크로 구성되기 때문에,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의 후보가 3 개의 경우의 필순의 조합은 3C2×P2+P3=12 종류가 된다.
마찬가지로 표준 패턴의 후보 스트로크가 2 개인 경우는 2 종류가 된다.
최악의 케이스에서 12 종류로 되기 때문에, 충분히 실시간으로 처리 가능한 조합이지만, 다시 이하의 2개의 제약조건에 의해 조합수를 제한한다.
1) 스텝 S51에서 결정한 개시 스트로크의 후보, 종료 스트로크의 후보에 의한 제약
2) 삭제불능 스트로크에 의한 제약
여기에서, 소거불능 스트로크란, 현재의 입력패턴의 스트로크 후보 외엔 대응하지 않는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인 것을 가리킨다. 스텝 S50의 처리에서 각 입력패턴의 스트로크에 대응 부가 가능한 표준 패턴 스트로크의 후보가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소거 스트로크는 이 정보에 의해 결정된다.
입력패턴의 스트로크(64)인 경우는 후보 스트로크 수는 2 개 존재하고, 어떤 스트로크도 개시 스트로크, 종료 스트로크의 후보로 되어 있고, 소거 스트로크에도 없기 때문에, 2 종류의 필순으로 된다. 이 예에서는 우선 스트로크(72, 73)와 같은 필순으로 대응 부가를 행한다.
스텝 S61로 진행하여, 연속 문자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8)은 입력패턴의 연속문자 스트로크와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의 대응 부가를 행한다. 대응 부가는 특징점 레벨로 행하여,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 특징점 정보는 직선 스트로크인 경우는 개시점, 종료점만, 직선 스트로크 이외는 개시점, 종료점 및 스트로크의 굴곡점 주변에 특징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스트로크 특징 사전(3)에 격납되어 있는 이 특징점도 사용한다. 또한, 입력패턴의 스트로크 특징점 정보는 전처리 후에 적당한 간격으로 표현된 샘플링점으로 한다.
도 13의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 특징에서, 스트로크(72)의 특징점 정보는 개시점, 스트로크 중의 특징점, 종료점의 3점 존재하고, 스트로크(73)의 특징점 정보는 개시점, 종료점의 2점이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 특징점은 5점 존재한다. 얻어진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 특징점을 도 21중의 ○표로 나타낸다. 또한, 입력패턴의 연속문자 스트로크(64)의 특징점을 도 22중의 ○표로 나타낸다.
다음에 연속문자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8)은 입력패턴의 스트로크 특징점과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 특징점의 거리가 최소가 되는 대응 부가를 행한다. 일반적으로, 입력패턴의 스트로크(A)와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B)의 대응 부가는 입력패턴의 스트로크(A)의 특징점의 요소열의 집합{0, 1, …, I}에서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B)의 특징점의 요소열의 집합{0, 1, …, J}으로의 사상
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결정된다.
여기에서, ω는 스트로크(A)와 스트로크(B)의 양끝점을 일치시키는 사상으로, ω(0)=:0, ω(I)=j(즉 개시점, 종료점은 일치한다)를 만족하고, 구성요소의 순서는 역회전을 허용하지 않는 단조로운 사상이기 때문에, 신축(伸縮)사상이라고 불린다. 또한, 스트로크(A)의 i번째의 요소를 ai, 스트로크(B)의 j번째의 요소를 bj, ai와 bj의 거리를 d(ai, bj): 특징점(ai 와 bj) 사이의 유클리드 거리, 스트로크(A)의 i번째의 요소, 스트로크(B)의 j번째의 요소까지의 누적 거리를 g(i, j)로 하면, 점화식(漸化式)
1≤i≤I, 0≤j≤J에 대하여,
단, g(0, 0)=d(a0, b0), g(0, j) =∞ (j0일 때)가 성립한다.
이것에 의해, 입력패턴의 스트로크(A)와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B)의 대응부가의 정보를 얻게된다. 여기에서 min{g(i-1, k)|0≤k≤j)을 제공하는 k의 값을 기록해 두면, 특징점간의 최적의 대응 부가의 정보를 얻게 된다. 즉,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의 각 특징점이 입력패턴의 연속 문자 스트로크 등의 특징점에 대응하고 있는가를 알 수 있다.
도 21의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의 특징점과, 도 22의 입력패턴의 스트로크 특징점(샘플링점)의 대응 부가를 동적 계획법에 의해 행하면, 대응부가의 평가치와 도 23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대응 부가 결과를 얻게 된다.
스텝 S62로 진행하여, 연속 문자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8)은 얻어진 대응 부가 결과로부터 분단 스트로크의 스트로크 특징을 스트로크 특징 추출수단(2)에서 구한다. 스트로크 특징을 구하기 위해서, 먼저, 입력패턴의 연속문자 스트로크를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의 시종점에 대응 부가된 특징점에 의해 분단하여, 시종점에 끼워진 스트로크를 분단 스트로크로서 추출한다.
다음에, 스트로크 특징 추출수단(2)에서, 분단 스트로크의 스트로크 특징을 추출한다. 도 24는 입력패턴의 스트로크(64)로부터 분단 스트로크(130, 131)를 구한 예이다.
스텝 S63으로 진행하여, 연속 문자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8)은 현재의 후보 스트로크에 대하여, 모든 필순에 관해 입력패턴의 연속문자 스트로크와의 대응 부가를 행하였는지를 체크한다. 체크 결과, 모든 스트로크에서의 조합에 의한 대응 부가를 행하지 않는 경우는 스텝 S60으로 진행하여, 그 외의 필순에 대하여 대응 부가를 행한다.
입력패턴의 스트로크(64)인 경우는 스텝 S60으로 진행하여, 스트로크(73, 72)라고 하는 필순으로 대응 부가를 행한다. 대응 부가 처리는 스트로크(72, 73)인 경우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에서는 스트로크(72, 73)의 경우가, 입력패턴의 스트로크 특징점과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 특징점과의 거리가 작아지는 것이므로, 정확한 부분 스트로크의 대응 부가 결과로서 선택된다.
연속문자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8)은 현재의 입력패턴의 연속 문자 스트로크에 대하여, 모든 필순의 대응 부가가 종료하면, 도 17의 스텝 S56으로 진행하고, 모든 연속문자 스트로크에 대하여 대응 부가를 행하였는지를 체크하여, 대응 부가를 종료하고 있는 경우는 연속 문자 스트로크에 대한 대응 부가 수단(8)의 처리를 종료하여, 도 2의 스텝 S8로 진행한다. 대응 부가가 종료하지 않은 경우는 도 17의 스텝 S51로 복귀된다. 도 3의 입력패턴에서는 연속 문자 스트로크는 1개이기 때문에 여건이 만족되어, 스텝 S8로 진행한다.
스텝 S8에서, 제어수단(11)은 스트로크 특징 사전(3)의 모든 표준 패턴에 대하여, 매칭을 행하였는의 여부를 체크하여, 종료되어 있는 경우는 스텝 S9로 진행하고, 종료되지 않은 경우는 스텝 S4로 진행하여, 다음 표준 패턴과의 대응 부가를 행한다.
도 3의 입력패턴에 관해서는 모든 표준 패턴과의 대응 부가가 종료하였기 때문에, 스텝 S9로 진행한다.
스텝 S9에서, 제어 수단(11)은 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5), 비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7), 연속문자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8)에서 얻어진 대응 부가 결과를 문자평가 수단(10)에 보낸다.
문자평가수단(10)은 이송된 대응 부가 결과에 근거하여, 문자의 평가치를 구하여, 가장 거리가 작은 인식대상문자(표준 패턴)를 최종적인 인식결과로서 선택한다.
문자의 평가치(D)는 이하의 수학식 3에서 구한다.
여기에서, 스트로크 방향의 정규화 후의 거리(Dd), 스트로크 폭의 정규화 후의 거리(Dw), 스트로크 높이의 정규화 후의 거리(Dh), 가상 스트로크 폭의 정규화 후의 거리(Dvw), 가상 스트로크 높이의 정규화 후의 거리(Dvh), 가상 스트로크 방향의 정규화 후의 거리(Dvd), Wd는 스트로크 방향의 가중, Ww는 스트로크 폭의 가중, Wh는 스트로크 높이의 가중, Wvw는 가상 스트로크 폭의 가중, Wvh는 가상스트로크 높이의 가중, Wvd는 가상 스트로크 방향의 가중, k는 현재의 표준 패턴의 획수를 나타낸다. 또한,
Wd+Ww+Wh+Wvw+Wvh+Wvd=1
로 한다.
단, 직선 스트로크, 비직선 스트로크 및 연속문자 스트로크의 대응 부가 결과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는, 입력패턴 중의 어느쪽의 스트로크에도 대응부가 없는 미대응의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가 존재하는 것이나, 1개의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가 복수의 입력패턴의 스트로크에 대응하는 것의 모순이 생기지 않도록 고려한다.
다음에, 부분 스트로크 추출수단(9)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5는 7획의 문자「言」을 4획으로 필기한 연속문자 스트로크를 포함하는 입력패턴의 예이다.
이하, 도 25의 입력패턴을 예로, 부분 스트로크 추출수단(9)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 예에서, 스트로크(141, 142, 143)는 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5) 및 비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7)에 의해 대응 부가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스트로크(140)는 연속문자 스트로크이기 때문에, 도 2의 스텝 S7로 진행하여, 연속문자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8)으로 대응 부가가 행해진다.
먼저, 도 17의 스텝 S50으로 진행하여, 연속문자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8)은 스트로크 대응 부가 가능영역 결정수단(6)으로 입력패턴의 연속문자 스트로크의 대응 부가 가능영역을 결정하여, 연속문자 스트로크에 대응 부가 가능한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 후보를 구한다.
스트로크 대응 부가 가능영역 결정수단(6)은 도 18의 영역분할 정보를 사용하여, 대응 부가 가능영역을 결정한다. 대응 부가 가능영역은 입력패턴의 스트로크의 외부접속 직사각형이 포함되는 영역의 1개 외측의 영역까지를 대상으로 한다. 도 26은 도 25의 입력패턴에 대하여 도 18에 도시된 영역분할을 행한 예이다. 도 26에서 스트로크(140)의 외부접속 직사각형(144)은 영역(A 내지 L)이 포함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결과, 스트로크(140)의 스트로크 대응 부가 가능영역은 모든 영역(A 내지 P)이 된다.
연속문자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8)은 결정된 대응 부가 가능영역에 존재하는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를 구한다. 도 27은 문자「言」의 표준 패턴에 있어서, 영역(A 내지 P)에 포함되는 것은 모든 스트로크이지만, 이중 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5)과 비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7)에 의해 입력패턴의 스트로크와 1 대 1로 대응 부가된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는 대응 부가가 확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외한다. 이 예에서는 스트로크(154, 156)가 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5)에서 확정하고, 스트로크(155)가 비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7)에서 확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외된다. 이 결과, 스트로크(50, 151, 152, 153)의 4개가 후보 스트로크로서 선택된다.
다음에, 연속문자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8)은 도 17의 스텝 S57로 진행하여, 모든 연속 문자 스트로크에 대하여 대응 부가 가능 영역이 결정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 결정되어 있으면 스텝 S51로 진행하고, 결정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 S50으로 진행한다. 도 25의 입력 패턴에서는 연속문자 스트로크는 1개밖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스텝 S51로 진행하며, 연속문자 스트로크의 개시 스트로크, 종료 스트로크로 되는 표준 패턴의 후보 스트로크를 결정한다.
도 26에서, 입력패턴의 스트로크(140)의 개시점은 영역 B에 존재하기 때문에, 대응 부가 가능영역은 영역(A, B, C, E, F, G)으로 되어, 이 영역에 개시점이 포함되는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150, 151, 152)가 개시 스트로크의 후보가 된다. 마찬가지로, 스트로크(152, 153)가 종료 스트로크의 후보가 된다.
스텝 S52에 진행하여, 연속 문자 스트로크 대응 부가수단(8)은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 후보수를 체크하는데, 이 예에서는 후보 스트로크 수는 4개이기 때문에 스텝 S53으로 진행한다.
스텝 S53에서, 연속문자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8)은 부분 스트로크 추출수단(9)에 의해, 입력패턴의 연속문자 스트로크로부터 부분 스트로크를 추출한다.
도 28은 스텝 S53의 부분 스트로크의 대응 부가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8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조하여, 부분 스트로크 추출 수단(9)의 동작을 설명한다.
스텝 S70에서, 부분 스트로크 추출 수단(9)은 입력패턴의 스트로크의 굴곡점을 부분 스트로크 분단 후보점으로서 추출하여, 부분 스트로크의 개시점을 입력패턴의 스트로크의 개시점으로 한다.
도 29는 입력패턴의 연속문자 스트로크의 분단점 후보를 도시한 도이다. 도 29에 있어서, 160 내지 165는 입력패턴의 스트로크(140)의 부분 스트로크 분단후보점, 166은 부분 스트로크의 개시점, 167은 부분 스트로크의 종료점이다.
스텝 S71로 진행하여, 부분 스트로크 추출 수단(9)은 입력패턴의 스트로크의 종료점에서 분단점을 역방향으로 더듬어가고, 현재의 부분 스트로크의 개시점에서 분단점까지의 스트로크의 후보 스트로크 수가 3개 이하가 되는 분단점을 구하고, 그 분단점을 부분 스트로크의 종료점으로 한다. 도 29의 예에서는 우선 개시점(166)으로부터 분단 후보점(160, 161, 162, 163, 164, 165)까지의 부분 스트로크가 선택되지만, 이 부분 스트로크는 영역(A, B, C, D, E, F, G, I, J, K)에 존재하기 때문에, 대응 부가 가능 영역은 모든 영역이 되며, 후보 스트로크 수는 4 개인 채이기 때문에, 분단 후보점(165) 전의 분단 후보점(164)으로 진행한다. 마찬가지로, 순차 분단점을 개시점 방향으로 이동하고, 부분 스트로크를 구하여, 그 후보 스트로크를 추출한다. 이 예에서는 개시점(166)으로부터 분단 후보점(160,161, 162)까지의 부분 스트로크의 후보 스트로크 수가 3 개가 되기 때문에, 이 스트로크를 부분 스트로크로서 선택한다.
스텝 S72로 진행하여, 연속 문자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8)은 얻어진 부분 스트로크와 후보 스트로크의 대응 부가를 행한다.
도 31은 스텝 S72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스텝 S72의 처리를 도 31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텝 S80에서, 부분 스트로크의 외부 접속 직사각형과 각 후보 스트로크의 외부접속 직사각형에 의해, 대응 부가 가능한 후보를 압축한다. 구체적으로는 부분 스트로크의 외부 접속 직사각형을 소정의 한계치로 확장된 영역에, 외부 접속 직사각형이 포함되는 후보 스트로크를 선택한다. 도 30의 180이, 확장된 부분 스트로크의 외부 접속 직사각형이다. 이 예에서는 후보의 스트로크(150, 151, 152) 중 스트로크(152)가 후보에서 제외된다.
스텝 S81로 진행하여, 연속문자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8)은 후보 스트로크 수가 3개 이하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표준 패턴의 후보 스트로크의 필순을 결정한다.
여기에서, 필순의 조합의 결정은 현재의 부분 스트로크가 입력패턴의 연속 문자 스트로크의 개시점을 포함하는 경우는 개시 스트로크의 후보, 종료점을 포함하는 경우는 종료 스트로크의 후보인 정보도 사용한다. 현재의 부분 스트로크의 후보 스트로크 수는 2개 존재하며, 어느쪽의 스트로크도 개시 스트로크의 조건을 만족하고 있기 때문에, 2 종류의 필순으로 된다.
여기에서는 먼저, 스트로크(150, 151)와 같은 필순에서의 대응 부가를 행한다.
스텝 S82로 진행하며, 연속문자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8)은 부분 스트로크와 표준 패턴의 후보 스트로크의 대응 부가를 행한다. 대응부가의 방법은 도 20의 스텝 S61과 마찬가지(상기 연속 문자 스트로크의 대응부가의 경우와 동일)이다. 도 20의 스텝 S61에서, 스트로크(150, 151)는 공통으로 직선 스트로크이기 때문에, 각각의 개시점 종료점이 특징점으로 되며, 부분 스트로크의 특징점과의 대응 부가를 동적 계획법에 의해 구한다.
스텝 S83으로 진행하고, 연속 문자 스트로크 대응부가 수단(8)은 얻어진 대응부가 결과로부터 부분 스트로크를 분단하여, 그 분단된 스트로크의 스트로크 특징을 스트로크 특징 추출 수단(2)으로 구한다. 도 32는 도 30의 부분 스트로크로부터 분단 스트로크(190, 191)를 구한 예이다.
스텝 S84으로 진행하여, 연속 문자 스트로크 대응부가 수단(8)은 현재의 후보 스트로크에 대하여 모든 필순에 관한 입력 패턴의 부분 스트로크와의 대응부가를 행하였는가를 체크한다. 체크결과, 모든 조합에 관해 행하지 않은 경우는 스텝 S81로 진행하여, 다른 필순에 관해 대응부가를 행한다.
이 예에서는 스텝 S81로 진행하며, 스트로크(151, 150)와 같은 다른 필순에서의 대응 부가를 행한다. 대응부가 처리는 스트로크(151, 150)의 경우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에서는 스트로크(150, 151)의 필순인 경우가 입력패턴의 스트로크 특징점과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의 대응부가 결과로서 채용된다.
다음에, 연속 문자 스트로크 대응부가 수단(8)은 도 28의 스텝 S73으로 진행하며, 현재의 연속 문자 스트로크의 대응부가가 종료했는가를 판정하고, 종료된 경우는 스텝 S75, 종료하지 않은 경우는 스텝 S74로 진행한다.
도 29의 예에서는 종료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스텝 S74로 진행한다. 스텝 S74에서는 현재의 부분 스트로크의 종료점을 다음 부분 스트로크의 개시점으로 한다. 여기에서는 도 29의 분단 후보점(162)이 다음 부분 스트로크의 개시점으로 된다.
스텝 S71로 진행하며, 연속 문자 스트로크 대응부가 수단(8)은 부분 스트로크 추출수단(9)을 이용하여 다음의 부분 스트로크를 작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부분 스트로크 추출수단(9)은 새로운 부분 스트로크에 관해, 부분 스트로크의 종료점으로부터 분단점을 역방향으로 더듬어가고, 현재의 부분 스트로크의 개시점으로부터 분단점까지의 스트로크의 후보 스트로크 수가 3개 이하로 되는 분단점을 구하여, 그 분단점을 부분 스트로크의 종료점으로 한다.
도 29의 예에서는 이미 확정된 스트로크(150, 151)를 후보로부터 제외하기 때문에, 후보로서는 스트로크(152, 153) 중의 어느 하나가 된다. 따라서, 분단 후보점(162, 163, 164, 165)과 부분 스트로크의 종료점(167)으로 구성되는 나머지 모든 부분 스트로크가 선택된다.
스텝 S72로 진행하여, 연속문자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8)은 얻어진 부분 스트로크와 후보 스트로크의 대응 부가를 행한다.
도 31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부분 스트로크의 대응부가의 동작을 설명한다.
스텝 S80에서, 부분 스트로크의 외부 접속 직사각형과 각 후보 스트로크의 외부 접속 직사각형에 의해, 대응 부가 가능한 후보를 압축한다. 이 예에서는 후보 스트로크(152, 153)는 양쪽 모두 조건을 만족하는 대응부가의 대상이 된다.
다음에, 스텝 S81로 진행하여, 연속문자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8)은 필순을 결정한다. 현재의 부분 스트로크의 후보 스트로크 수는 2개 존재하여, 어느쪽의 스트로크도 종료 스트로크의 조건을 만족하고 있기 때문에, 2가지의 필순이 된다.
여기에서는 우선, 스트로크(152, 153)와 같은 필순으로의 대응 부가를 행한다.
스텝 S82로 진행하여, 연속 문자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8)은 부분 스트로크와 표준 패턴의 후보 스트로크의 대응 부가를 행한다. 대응부가의 방법은 도 20의 스텝 S61과 같고, 스트로크(52, 153)는 동시에 직선 스트로크이기 때문에, 각각의 시종점이 특징점으로 되고, 부분 스트로크의 특징점과의 대응 부가를 동적 계획법에 의해 행한다.
여기에서, 현재의 부분 스트로크의 개시점(162)은 그 점까지의 부분 스트로크의 종료점과 일치하기 때문에, 그 동안에 스트로크와 스트로크 간의 실제로는 필기되지 않은 가상 스트로크 성분이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분단 후보점(162)을 개시점으로 하는 대응 부가와 다음 분단 후보점(163)을 개시점으로 하는 대응부가의 양쪽을 행하여, 직사각형이 작은 쪽을 최종적인 결과로 한다. 이 예에서는 분단 후보점(163)을 개시점으로 하는 대응 부가가 선택된다.
스텝 S83으로 진행하여, 연속 문자 스트로크 대응부가 수단(8)은 얻어진 대응부가 결과로부터 부분 스트로크를 분단하고, 그 스트로크 특징을 스트로크 특징 추출수단(2)에서 구한다. 도 33은 부분 스트로크로부터 분단 스트로크(192, 193)를 구한 예이다.
스텝 S84로 진행하여, 연속문자 스트로크 대응부가 수단(8)은 현재의 후보 스트로크에 대해, 모든 필순에 관해 입력 패턴의 부분 스트로크와의 대응부가를 행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체크 결과, 모든 조합에 관해 행하지 않은 경우는 스텝 S81로 진행하여, 다른 필순에 관해 대응부가를 행한다.
상기의 예에서는 스텝 S81로 진행하며, 스트로크(153, 152)와 같은 필순으로 대응부가를 행한다. 대응부가 처리는 스트로크(152, 153)의 경우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에서는 스트로크(152, 153)의 필순인 경우가 입력 패턴의 스트로크 특징점과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 특징점과의 거리가 작기 때문에, 올바른 부분 스트로크의 대응부가 결과로서 채용된다.
다음에, 도 28의 스텝 S73으로 진행하고, 연속 문자 스트로크 대응부가 수단(8)은 현재의 연속 문자 스트로크의 대응 부가가 종료했는지를 판정하고, 종료된 경우는 스텝 S75, 종료되지 않은 경우는 스텝 S74로 진행한다. 상기의 예에서는 종료되었기 때문에, 스텝 S75로 진행한다.
스텝 S75에서, 연속 문자 스트로크 대응부가 수단(8)은 각각의 부분 스트로크의 대응부가 결과로부터 연속 문자 스트로크의 대응부가 결과를 구한다. 여기에서는 각각의 부분 스트로크에 2개씩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가 대응 부가되어 있기 때문에, 양쪽을 부분 스트로크의 순으로 나열한 것을 최종적인 연속문자 스트로크로서 채용한다.
이 예의 경우,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 중에 대응 부가되지 않은 스트로크는 존재하지 않았지만, 대응 부가되지 않은 스트로크가 존재하는 경우는 연속되는 부분 스트로크를 연결한 스트로크와의 대응 부가를, 대응 부가되지 않은 스트로크를 포함하여 행하고, 대응 부가의 거리가 작게 되는 경우는 그 스트로크를 채용한다. 이 때, 각 부분 스트로크 사이에 삽입하는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 수는 1개만으로 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연속문자 스트로크로부터 부분 스트로크를 추출하여 스트로크 대응 부가가 종료되고, 문자평가수단(10)에서 최종적인 문자의 평가치를 계산하여, 인식결과가 확정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연속문자 스트로크의 대응 부가 특징점의 좌표 정보를 사용하였지만, 스트로크를 일정 간격으로 샘플링하여, 그 샘플점 간의 방향 코드를 사용하여 대응 부가를 행하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스트로크 대응 부가 가능영역을 결정하기 위해서, 문자를 4×1, 1×4, 4×4로 분할한 영역(각각, 수평방향×수직 방향의 분할영역을 나타낸다)을 사용하였지만, 분할수는 임의의 수라도 무방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연속 문자 스트로크의 분단 후보점을 굴곡점으로 하였지만, 일정 간격으로 샘플링된 점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계속해서 필기되지 않은 스트로크에 관해서는 스트로크 특징점에서만 대응 부가를 행하고, 또한, 최종적으로 스트로크 특징만을 사용하여 평가를 행하기 때문에, 고속으로 문자인식이 가능함과 동시에, 문자의 변형에 강한 인식방식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계속하여 필기되지 않은 스트로크만이 아니고, 계속하여 필기된 스트로크에 대하여도 필순의 대응 부가를 행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획수, 필순의 양방향이 변동된 패턴도 고정밀도로 문자인식이 가능하다.
또한, 극단적으로 계속해서 필기된 스트로크에 관하여는 부분 스트로크로 분할하여 대응 부가를 행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처리시간을 늘리는 것이 아니고, 필순 변동을 고려한 대응 부가가 가능하다.
또한, 손으로 쓴 문자인 입력 스트로크를 직선 스트로크, 비직선 스트로크 또는 연속문자 스트로크로 분류하여, 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비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연속문자 스트로크 대응부가의 순서로 대응 부가를 행하여, 각각의 대응 부가로 대응 부가가 실패한 표준 패턴에 대해서는 그것 이후의 대응 부가의 처리를 행하지 않도록 하였기 때문에, 정답과 다른 표준 패턴과의 대응 부가는 행하지 않고, 효율성 있게 대응 부가 처리를 할 수 있어, 고속으로 문자인식이 가능하다.
또한, 연속 문자 스트로크의 대응 부가를 스트로크의 개시점, 종료점 레벨의 특징점에서 행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대응 부가가 고속으로 가능하고, 또한 스트로크 특징 사전의 용량을 작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와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제 1 또는 제 2 발명에서는 태블릿상에 필기된 손으로 쓴 문자(입력패턴) 스트로크의 형상으로부터 스트로크를 직선 스트로크, 비직선 스트로크, 연속 문자 스트로크로 분류하여, 각각의 스트로크 특징을 표준 패턴(인식 대상 문자)의 스트로크 특징과 대응 부가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필순, 획수가 변동된 입력 패턴에 관해서도, 고속으로 또한 고정밀도로 문자인식을 할 수 있다.
제 1 또는 제 3 발명은 입력 패턴의 각 스트로크의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의 대응부가를 직선 스트로크에 대응 부가하고, 비직선 스트로크로 대응 부가된 표준 패턴에 대하여 행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고속으로 문자 인식이 가능하다.

Claims (3)

  1. 손으로 쓴 문자를 온라인으로 입력하는 입력수단과,
    다수의 인식 대상 문자에 대해 각 인식 대상 문자를 구성하는 직선 스트로크 및 비직선 스트로크의 특징이 미리 격납된 스트로크 특징 사전과,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상기 손으로 쓴 문자로부터 상기 손으로 쓴 문자를 구성하는 스트로크의 특징을 추출하는 스트로크 특징 추출수단과,
    상기의 스트라이크 특징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특징에 근거하여, 상기 손으로 쓴 문자의 각 스트로크를, 상기 직선 스트로크, 상기 비직선 스트로크 또는 상기 인식 대상 문자를 구성하는 스트로크의 대응부가가 불가능한 연속문자 스트로크 중의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스트로크 분류수단과,
    상기 스트로크 분류수단에 의해 분류된 직선 스트로크의 특징과 상기 스트로크 특징 사전에 격납된 인식 대상 문자를 구성하는 직선 스트로크의 특징의 대응부가를 행하는 직선 스트로크 대응부가 수단과,
    상기 스트로크 분류수단에 의해 분류된 비직선 스트로크의 특징과 상기 스트로크 특징 사전에 격납된 인식 대상 문자를 구성하는 비직선 스트로크의 특징의 대응부가를 행하는 비직선 스트로크 대응부가 수단과,
    상기 스트로크 분류 수단에 의해 분류된 연속 문자 스트로크를, 상기 직선 스트로크 또는 상기 비직선 스트로크로 분할하여, 이 분할된 직선 스트로크 또는 비직선 스트로크의 특징과 상기 스트로크 특징 사전에 격납된 인식 대상 문자를 구성하는 직선 스트로크 또는 비직선 스트로크의 특징의 대응부가를 행하는 연속 문자 스트로크 대응부가 수단과,
    상기 직선 스트로크 대응부가 수단, 상기 비직선 스트로크 대응부가 수단 또는 상기 연속 문자 스트로크 대응부가 수단에 의해 얻어진 대응부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손으로 쓴 문자를 인식하는 문자 평가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연속 문자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은, 상기 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 또는 상기 비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수단에 의해 대응 부가된 상기 인식 대상 문자에 대하여 대응 부가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인식 장치.
  2. 다수의 인식 대상 문자에 대하여 각 인식 대상 문자를 구성하는 직선 스트로크 및 비직선 스트로크의 특징이 미리 격납된 스트로크 특징 사전을 구비한 문자 인식 방법에 있어서,
    손으로 쓴 문자를 온라인으로 입력하는 입력 스텝과,
    상기 입력 스텝에 의해 입력된 상기 손으로 쓴 문자로부터 상기 손으로 쓴 문자를 구성하는 스트로크의 특징을 추출하는 스트로크 특징 추출 스텝과,
    상기 스트로크 특징 추출 스텝에 의해 추출된 특징에 근거하여, 상기 손으로 쓴 문자의 각 스트로크를, 상기 직선 스트로크, 상기 비직선 스트로크 또는 상기 인식 대상 문자를 구성하는 스트로크의 대응부가가 불가능한 연속 문자 스트로크 중의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스트로크 분류 스텝과,
    상기 스트로크 분류 스텝에 의해 분류된 직선 스트로크의 특징과 상기 스트로크 특징 사전에 격납된 인식 대상 문자를 구성하는 직선 스트로크의 특징의 대응부가를 행하는 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스텝과,
    상기 스트로크 분류 스텝에 의해 분류된 비직선 스트로크의 특징과 상기 스트로크 특징 사전에 격납된 인식 대상 문자를 구성하는 비직선 스트로크의 특징의 대응부가를 행하는 비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스텝과,
    상기 스트로크 분류 스텝에 의해 분류된 연속 문자 스트로크를, 상기 직선 스트로크 또는 상기 비직선 스트로크로 분할하여, 이 분할된 직선 스트로크 또는 비직선 스트로크의 특징과 상기 스트로크 특징 사전에 격납된 인식 대상 문자를 구성하는 직선 스트로크 또는 비직선 스트로크의 특징의 대응부가를 행하는 연속 문자 스트로크 대응 부가 스텝과,
    상기 직선 스트로크 대응부가 스텝, 상기 비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스텝 또는 상기 연속 문자 스트로크 대응 부가 스텝에 의해 얻은 대응 부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손으로 쓴 문자를 인식하는 문자 평가 스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인식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문자 스트로크 대응 부가 스텝은, 상기 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스텝 또는 상기 비직선 스트로크 대응 부가 스텝에 의해 대응 부가된 상기 인식 대상 문자에 대해 대응 부가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인식 방법.
KR1019980007800A 1997-06-05 1998-03-10 문자인식장치및문자인식방법 KR1002997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47634 1997-06-05
JP14763497A JP3419251B2 (ja) 1997-06-05 1997-06-05 文字認識装置及び文字認識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359A true KR19990006359A (ko) 1999-01-25
KR100299725B1 KR100299725B1 (ko) 2001-11-30

Family

ID=15434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7800A KR100299725B1 (ko) 1997-06-05 1998-03-10 문자인식장치및문자인식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419251B2 (ko)
KR (1) KR100299725B1 (ko)
CN (1) CN1093966C (ko)
TW (1) TW3854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802B1 (ko) * 2007-06-29 2009-12-09 엔에이치엔(주) 이미지를 이용한 브라우저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8094941B1 (en) * 2011-06-13 2012-01-10 Google Inc. Character recognition for overlapping textual user input
JP6797869B2 (ja) * 2018-08-08 2020-12-09 シャープ株式会社 書物電子化装置および書物電子化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334187A (ja) 1998-12-18
CN1201955A (zh) 1998-12-16
TW385414B (en) 2000-03-21
CN1093966C (zh) 2002-11-06
KR100299725B1 (ko) 2001-11-30
JP3419251B2 (ja) 2003-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2099B2 (en) Stroke segmentation for template-based cursive handwriting recognition
US7756335B2 (en) Handwriting recognition using a graph of segmentation candidates and dictionary search
US7369702B2 (en) Template-based cursive handwriting recognition
US7437001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cognition of a handwritten pattern
US5787197A (en) Post-processing error correction scheme using a dictionary for on-line handwriting recognition
WO2006091155A1 (en) Segmentation-based recognition
EP0689153A2 (en) Character recognition
JP3761937B2 (ja) パターン認識方法及び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制御装置
CN112101237A (zh) 一种柱状图数据提取和转化方法
CN103927535A (zh) 一种汉字书写识别方法及装置
Elanwar et al. Simultaneous segmentation and recognition of Arabic characters in an unconstrained on-line cursive handwritten document
US5659633A (en)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utilizing compass directions and torsion points as features
KR100299725B1 (ko) 문자인식장치및문자인식방법
Singh et al. Online handwritten Gurmukhi words recognition: An inclusive study
KR0126800B1 (ko) 한글필기체 온라인 문자인식 장치 및 방법
Islam et al. Bengali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using modified syntactic method
JP3817281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JP2671985B2 (ja) 情報認識方法
JP2671984B2 (ja) 情報認識装置
JP3198218B2 (ja) オンライン手書き文字認識方法
Xie On the recognition of handwritten mathematical symbols
KR940001048B1 (ko) 온라인 필기체문자인식방법
Hsieh et al. Handwritten Chinese characters recognition by greedy matching with geometric constraint
Sin et al. Network-based approach to Korean handwriting analysis
JP3290097B2 (ja) ストロークの判定方法および判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