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5310A - 종합 정보 통신망(isdn)에서의 지연등화 프로토콜을 위한 초기 타이머 종료 프리미티브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종합 정보 통신망(isdn)에서의 지연등화 프로토콜을 위한 초기 타이머 종료 프리미티브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5310A
KR19990005310A KR1019970029505A KR19970029505A KR19990005310A KR 19990005310 A KR19990005310 A KR 19990005310A KR 1019970029505 A KR1019970029505 A KR 1019970029505A KR 19970029505 A KR19970029505 A KR 19970029505A KR 19990005310 A KR19990005310 A KR 19990005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call
primitive
timer
ini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9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09810B1 (ko
Inventor
이진호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70029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9810B1/ko
Publication of KR19990005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5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9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98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 H04Q11/0428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i.e. systems for transmission of different types of digitised signals, e.g. speech, data, telecentral, television signals
    • H04Q11/0435Details
    • H04Q11/0457Connectio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1Equali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8Timers or timing mechanisms used i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09ISD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502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primitives - inc. service-independent building blocks [SIB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합 정보 통신망(ISDN)의 지연등화 프로토콜에서 최초 채널 교섭 진행시에 시작되어 단말간의 초기 교섭 진행이 완료될 때 타이머를 종료하는 발신 단말측에서의 초기 타이머 종료(TCINIT_EXP) 프리미티브 처리를 고속으로 실현할 수 있도록 한 초기 타이머 종료 프리미티브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간의 최초 채널 교섭 완료될 때, 호 설정 시작에 따라 진행중인 초기 타이머를 종료시키기 위한 초기 타이머 종료 프리미티브가 지연등화 교섭 제어 계층에서 발생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체크결과, 지연등화 교섭 제어 계층에서 초기 타이머 종료 프리미티브가 발생될 때 호가 설정된 현재 채널의 상태가 기설정된 다수의 채널 상태중 어느 한 상태인지를 체크하는 단계, 현재 채널의 상태가 기설정된 다수의 채널 상태중 어느 한 상태일 때, 현재 채널의 현재 상태를 유지하면서 설정된 호의 절단을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절단 메시지의 전송과 동시에 절단 타이머를 시작하고, 발신 단말을 호 절단 대기 상태로 천이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종합 정보 통신망(ISDN)에서의 지연등화 프로토콜을 위한 초기 타이머 종료 프리미티브 처리 방법
본 발명은 종합 정보 통신망(ISDN)에서 광대역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다수개의 56/64 kbit/s 채널을 결합(bonding)하는 데 사용되는 지연등화 프로토콜(Delay EQualization Protocol)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호 제어 계층(Call Control Layer), 지연등화 교섭 제어 계층(DEQ Negotiation Control Layer) 및 지연등화 다중 프레임 제어 계층(DEQ Multiframe Control Layer)으로 구성된 지연등화(DEQ) 프로토콜 구조에서 호 제어 계층에 의해 지연등화 교섭 제어 계층에서 생성되는 초기 타이머 종료(TCINIT EXP) 프리미티브를 처리하는 데 적합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같이, 음성, 영상, 데이터 등을 개별적으로 취급하는 개별망의 서비스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등장한 것이 각 개별망을 통합하고 각 데이터들을 디지탈화하여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합 정보 통신망(ISDN)이다. 이러한, 종합 정보 통신망은 다양한 단말기들을 적응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와 망간의 인터페이스가 디지탈 가입자선 신호방식(DSS 1 : Digital Subscriber Signalling System 1)으로 현재 표준화되어 있으며, 망간의 인터페이스는 No. 7 공통선 신호방식(CCS)으로 표준화되어 있다.
즉, 사용자 망간 인터페이스(UNI)의 신호방식인 DSS 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개방형 시스템간 상호접속(OSI) 참조모델에 의하여 계층 1에서부터 계층 3까지의 다중계층으로 구현되는 데, 이러한 각 계층의 개요 및 ITU-T 의 권고안과의 관계는 다음의 표 1과 같다.
계 층 기능 개요 권고안
계층 1 전기, 물리적인 조건 I.430, I.431
계층 2 메시지 전송을 위한 링크 설정 제어, 오류 제어 등 Q.920, Q.921
계층 3 호의 설정, 개방 등 Q.930, Q.931
도 1을 참조하면, 가입자선을 통해 주택(또는 건물)내에 위치한 제1망 단말장치(NT1)가 전화국내에 위치한 ISDN 교환기에 연결되며, 또한 건물내에서는 S/T 점을 통해 ISDN 단말기(ET1) 또는 제2망 단말장치(NT2)가 제1망 단말장치(NT1)에 접속된다.
여기에서, NT1은 가입자선으로 디지탈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주택내의 송수신장치이고, NT2는 사설교환기(PBX)에 해당하는 장치로서 내선에 ISDN 단말기(TE1)를 수용할 수 있으며, TE1은 ISDN 표준단말로서 NT1에 직접 접속되거나 NT2를 경유하여 접속될 수 있고, ISDN 대응기능을 갖는 기존 단말인 TE2는 도시 생략된 터미널 어댑터를 통해 ISDN 망에 접속된다.
또한, NT1과 NT2 사이의 인터페이스 점을 T점이라 하며, NT2와 TE1 사이의 인터페이스점을 S점이라 하는 데, S점의 인터페이스 사양은 T점에 준거하는 것이라 정해져 있으므로 TE1이 NT1과 접속되는 점을 S/T점이라 한다.
그리고, ISDN 단말기와 같은 가입자측 단말은 ISDN 교환기와 접속되기 위하여, 전술한 바와같은 계층 1 내지 계층 3의 프로토콜에 따라 접속되는 데, 이러한 접속을 규정한 권고안은 상술한 표 1에 기재된 바와같다.
즉, 상기한 표 1에서 계층 1은 ISDN 권고안 I.430, I.431 로 권고된 물리계층의 사용자 망 인터페이스로서, 2B+D 접속의 기본 인터페이스와 23B+D 또는 30B+D 의 일차군속도 인터페이스가 있으며, 기본 인터페이스에서 프레임 구조는 250㎛ 단위의 48 비트로 구성된다.
한편, 계층 2는 일반적으로 LAPD(Link Access Procedure on the D channel) 라고 하는 데, 먼저 표준화된 데이터 링크 계층의 표준인 HDLC 의 평형(BALANCE) 모드를 기본으로 채용하고 있으며, 그 기본 포맷은 플래그, 어드레스 필드, 제어 필드, 정보 필드, 프레임 체크 시퀀스(FCS)로 구성되어 있다.
다른한편, 계층 3은 망이 제공하는 회선교환 서비스와 패킷교환 서비스에 필요한 통신경로(path)의 설정, 유지, 해제 및 각종 부가서비스 요구 등을 제어하는 데, 이를 위하여 계층 1 및 계층 2를 통해 상대측으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를 분석하고, 호 설정 관련 메시지들을 생성하며, 이 생성된 메시지들을 하위계층을 통해 상대측으로 전송한다. 이러한 계층 3과 관련된 일반적인 내용은 Q.930 에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으며, 기본 호에 대한 호 처리 절차는 Q.931 에 의해 권고되어 있다.
따라서, ISDN 단말기를 구현하는 데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같은 기능들이 필연적으로 실현되어야 하는 데, 이때 동일한 계층간의 약속이“프로토콜”이고, 상하 계층간의 논리적인 교환을 정의한 것이“프리미티브(primitive)”이다. 즉, 각 계층에는 해당 계층의 기능을 구현하는 엔티티(entity)들이 있고, 이 엔티티들이 프리미티브를 통해 상하 계층간에 정보를 교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프리미티브는 요구(REQUEST), 표시(INDICATE), 응답(RESPONSE), 확인(CONFIRM)과 같은 4가지 형태로 구분되는 데, 데이터 전송에 관련된 대부분의 프리미티브는 상위계층에서 하위계층으로 전달되는 요구 프리미티브와, 하위계층에서 상위계층으로 전달되는 표시 프리미티브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확인 프리미티브는 상위계층으로부터의 특정 요구 프리미티브에 관련하여 하위계층이 이에 응답해야할 의무가 있을 때 상위계층에 이를 알리는 프리미티브이고, 응답 프리미티브는 하위계층으로부터의 특정 요구 프리미티브에 관련하여 상위계층이 이에 응답해야할 의무가 있을 때 하위계층에 이를 알리는 프리미티브이다.
한편, ISDN에서 제공되는 채널은 64kbps 의“B”채널과 16kbps 의“D”채널, 34kbps 의“H0”채널 및 2.048Mbps 의“H1”채널 등이 있으며, 이러한 채널의 결합으로 제공되는 기본 인터페이스는“2B+D”로 정의되어 있고, 일차군 인터페이스는 23B+D 또는 30B+D 로 정의되어 있다. 이때, 협대역 ISDN에서 비디오 서비스 등을 위하여 광대역의 통신접속이 요구될 경우에는 다수개(N)의 56 또는 64kbit/s 채널을 다중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기본 인터페이스 또는 일차군 인터페이스는 대역폭이 고정되어 있으나 서비스에 따라 다양한 대역폭이 요구될 경우, ISDN 망에서는“N × 56/64kbit/s”대역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같은“N × 56/64kbit/s”대역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각각 독립적으로 설정되는 56/64kbit/s 채널들의 결합(bonding)이 요구되는 데, 이때 각각의 56/64kbit/s 채널들이 디지탈 교환망에 의해 개별적으로 접속되기 때문에 각 채널에는 개별적인 지연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다중 결합에 있어서, 핵심적인 기술내용중의 하나는 지연등화(DEQ)와 관련되므로, 56/64kbit/s 를 원활하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지연등화 프로토콜(DEQ Protocol)을 따라야만 한다. 즉, 지연등화 프로토콜은 본딩 프로토콜(BONDING Protocol)이라고도 하는 데, N개의 56/64kbit/s 채널을 결합할 경우에 각 채널들간에 발생되는 지연을 등화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며, 본 발명은 이러한 지연등화 프로토콜의 개선에 관련된다.
한편, 지연등화 프로토콜은, 일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호 제어 계층(Call Control Layer : 25), 지연등화 교섭 제어 계층(DEQ Negotiation Control Layer : 22), 지연등화 다중 프레임 제어 계층(DEQ Multiframe Control Layer : 23)으로 이루어져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 21)으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데이터(user data)를 전송하며, 각 계층간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은, 각종 프리미티브들이 서로 전달된다. 또한, 지연등화 다중 프레임 제어 계층(23)은 하위의 각 채널 제어 계층(Channel control Layer : 24a - 24c) 및 각 물리 매체 의존 계층(PMDL Layer : 25a - 25c)을 통해 도시 생략된 물리계층에 접속된다.
도 3을 참조하면, 호 제어 계층(25)으로부터 지연등화 교섭 제어 계층(22)으로 전달되는 프리미티브로서는 DQ_INIT_REQ, DQ_DISC_REQ, DQ_DEL_CH__REQ, DQ_ADD_CH__REQ, DQ_ABORT__REQ, DQ_RL__REQ, DQ_LL__REQ, DQ_LL_OFF__REQ 등이 있다.
또한, 지연등화 교섭 제어 계층(22)으로부터 호 제어 계층(25)으로 전달되는 프리미티브로서는 DQ_INIT_IND, DQ_DISC_IND, DQ_INIT_CONF, DQ_DEL_CH_CONF, DQ_DEL_CH_IND, DQ_DEL_CH_FAIL_IND, DQ_ADD_CH_IND, DQ_ADD_CH_CONF, DQ_ADD_CH_FAIL_IND, DQ_CID_FAIL_IND, DQ_LLOS_IND, DQ_RLOS_IND, DQ_ABORT_CONF, DQ_LL_IND, DQ_LL_OFF_IND, DQ_RL_IND, DQ_RL_OFF_IND 등이 있으며, 이 계층에서 사용되는 타이머로서는 TCID_EXP, TCINIT_EXP, TAINIT_EXP, TANULL_EXP, TCADDO1_EXP, TAADDO1_EXP, TCDISC_EXP, TADISC_EXP 등이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초기 타이머 종료 프리미티브를 의미하는 TCINIT_EXP 의 처리에 관련된다.
여기에서, ××_××××_REQ 는 요구 프리미티브를 나타내고, ××_××××_IND 는 표시 프리미티브를 나타내며, ××_××××_RES 는 응답 프리미티브를 나타내고, ××_××××_CFM 는 확인 프리미티브를 나타낸다. 또한, CC_××××_××× 는 지연등화 교섭 제어 계층(22)과 지연등화 다중 프레임 제어 계층(23) 사이의 전달되는 프리미티브를 의미한다.
즉, 지연등화 교섭 제어 계층(22)으로부터 지연등화 다중 프레임 제어 계층(23)으로 전달되는 프리미티브는 CC_ADD_REQ, CC_INFO_REQ, CC_DEL_REQ 가 있고, 이 계층에서 사용되는 타이머로는 TAFA_EXP, TXDEQ_EXP 가 있으며, 지연등화 다중 프레임 제어 계층(23)으로부터 지연등화 교섭 제어 계층(22)으로 전달되는 프리미티브로서는 CC_LSYNCH_IND, CC_RSYNCH_IND, CC_LSYNCH_FAIL_IND, CC_INFO_IND, CC_FAIL_IND, CC_LLOS_IND, CC_RLOS_IND 등이 있다. 이러한 프리미티브들에 대해서는 1993년 9월 2일자로 본딩 콘소시움에서 발행된“N × 56/64kbit/s 호를 위한 상호운용 규격(버젼 1.1)”에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한편, 논리적인 정보를 정의하는 프리미티브를 상하 계층, 예를들면 호 제어 계층(25)과 지연등화 교섭 제어 계층(22)간, 지연등화 교섭 제어 계층(22)과 지연등화 다중 프레임 제어 계층(23)간 등과 같은 상하 계층간에 주고 받을 때, 종래에는 현재 호가 설정되거나 설정을 진행중인 상태에서 특정 프리미티브의 처리시에 해당 채널(즉, 가상채널)의 현재 상태(즉, 모드), 예를들면, 채널의 널(NULL), 호 초기화(CALL INIT), 호 초기화 대기(CALL INIT WAIT), 디렉토리 넘버 수신 대기(AWAIT DN), 채널 추가 대기(ADDITIONAL CHANNEL), 액티브(ACTIVE) 등과 같은 상태를 먼저 체크한 다음, 그 상태에 상응하여 타계층으로부터 수신된 프리미티브(예를들면, DQ_INIT_IND, DQ_DISC_IND, DQ_INIT_CONF, DQ_DEL_CH_CONF 등) 또는 자체에서 발생된 프리미티브(예를들면, TCID_EXP, TCINIT_EXP, TAINIT_EXP, TANULL_EXP 등)의 처리루틴을 결정하며, 이 결정된 처리루틴에 따라 해당 프리미티브를 처리하도록 하고 있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지연등화 교섭 제어 계층(22)에서 타이머로써 사용되며 채널 초기화를 위한 교섭 진행시에 시작되는 초기 타이머 종료(TCINIT_EXP) 프리미티브는 각 단말간(즉, 발신단말(CU : calling unit)과 착신 단말(AU : answering unit))에 초기 교섭 진행이 완료될 때, 즉 파라메터 교섭 및 디렉토리 넘버 요구가 완료될 때 해당 채널의 초기 타이머를 종료시키는 데, 종래방법에서는 채널의 현재 상태(즉, 현재 모드)를 먼저 체크, 즉 각 모드에 따른 메시지를 분석/처리한 다음 해당 모드에 따라 초기 타이머 종료(TCINIT_EXP) 프리미티브의 처리루틴을 결정하여 해당 프리미티브를 처리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같은 종래방법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프리미티브에 대해 채널의 다른 상태에서 그 처리가 유사하거나 동일한 경우가 많은 점을 고려할 때, 각 모드에 따른 메시지를 분석/처리한 다음 해당 프리미티브(즉, 초기 타이머 종료(TCINIT_EXP) 프리미티브)를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하게 코드가 중복(즉, 메시지 처리를 위한 코드량 증가)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또한 서브루틴 호 방식을 이용하여 코드의 중복(즉, 코드량의 증가)을 피하더라고 채널의 각 모드(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분할된 서브루틴을 구성하는 것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실제로 이를 구현한다 할지라도 호 절차에 따른 처리속도의 저하가 초래되는 문제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합 정보 통신망의 지연등화 프로토콜에서 최초 채널 교섭 진행시에 시작되어 단말간의 초기 교섭 진행이 완료될 때 타이머를 종료하는 발신 단말측에서의 초기 타이머 종료(TCINIT_EXP) 프리미티브 처리를 고속으로 실현할 수 있는 초기 타이머 종료 프리미티브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호 제어 계층, 지연등화 교섭 제어 계층, 지연등화 다중 프레임 제어 계층을 포함하는 계층 구조를 가지고 N개의 채널을 다중 결합하는 종합 정보 통신망의 지연등화 프로토콜에서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간의 초기 교섭 진행이 완료될 때 진행중인 타이머를 종료하는 발신 단말측에서의 초기 타이머 종료 프리미티브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간의 최초 채널 교섭이 완료될 때, 호 설정 시작에 따라 진행중인 초기 타이머를 종료시키기 위한 초기 타이머 종료 프리미티브가 상기 지연등화 교섭 제어 계층에서 발생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의 체크결과, 상기 지연등화 교섭 제어 계층에서 상기 초기 타이머 종료 프리미티브가 발생될 때 호가 설정된 현재 채널의 상태가 기설정된 다수의 채널 상태중 어느 한 상태인지를 체크하는 제 2 단계, 상기 현재 채널의 상태가 상기 기설정된 다수의 채널 상태중 어느 한 상태일 때, 상기 현재 채널의 현재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설정된 호의 절단을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절단 메시지의 전송과 동시에 절단 타이머를 시작하고, 상기 발신 단말을 호 절단 대기 상태로 천이시키는 제 4 과정으로 이루어진 종합 정보 통신망에서의 지연등화 프로토콜을 위한 초기 타이머 종료 프리미티브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종합 정보 통신망(ISDN)에서 사용자 망간 접속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계통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지연등화 프로토콜의 레퍼런스 아키텍쳐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ISDN에서 지연등화 프로토콜의 구현을 위해 3계층간에 전달되는 프리미티브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지연등화 프로토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프레임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정보 채널 프레임 메시지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ISDN에서 지연등화 프로토콜에서 호를 설정하고 데이터를 전달을 수행하는 통상적인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지연등화 프로토콜을 위한 초기 타이머 종료 프리미티브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응용 계층 22 : 지연등화 교섭 제어 계층
23 : 지연등화 다중 프레임 제어 계층
24a - 24c : 채널 제어 계층 25a - 25c : 물리매체 의존 계층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여러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핵심 기술요지는, 단말간의 초기 교섭 진행이 완료될 때 타이머를 종료하는 초기 타이머 종료(TCINIT_EXP) 프리미티브를 발신단말(AU)측에서 처리할 때, 해당 채널의 모드를 분석/처리한 다음 TCINIT_EXP 프리미티브의 처리루틴을 결정하여 수행하는 종래방법과는 달리, 채널의 각 모드에 존재하는 동일 프리미티브(TCINIT_EXP)에 대해 각 모드마다 해당 프리미티브를 처리하는 절차가 유사 또는 동일하다는 점을 이용한다는 것으로, 상하 계층간의 프리미티브 전달에 따른 지연등화를 위한 각종 모드 상태(즉, 호 초기화 모드, 호 초기화 대기 모드, 디렉토리 넘버 대기 모드)에서 도 2의 지연등화 교섭 제어 계층(22)에서 TCINIT_EXP 프리미티브가 발생하면, 이 TCINIT_EXP 프리미티브의 발생을 체크하고, 해당 채널의 모드(즉, 현재 상태)를 판단한 다음 해당 프리미티브의 처리루틴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각 모드(즉, 호 초기화 모드, 호 초기화 대기 모드, 디렉토리 넘버 대기 모드)에 따라 존재 가능한 TCINIT_EXP 프리미티브의 처리루틴을 하나로 병합하므로써 TCINIT_EXP 프리미티브의 처리시에 코드량의 발생 억제 및 그 처리속도의 증진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앞에서 이미 언급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관련되는 지연등화 프로토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호 제어 계층(25), 지연등화 교섭 제어 계층(22) 및 지연등화 다중 프레임 제어 계층(23)에 의해 구현되는 데, 이들 각 계층간에는, 일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은 각종 프리미티브들이 전달된다.
이때, 응용 계층(21)으로부터 전달되는 직렬 비트 스트림을 N개의 56/64kbit/s 채널의 다중 결합에 의해 전달하기 위해서는, 일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은 프레임 구조가 요구되는 데, 이러한 구조의 프레임 데이터들이 각 베어러 채널에 할당되어 전달된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지연등화 프로토콜에 따른 프레임 구조는 하나의 프레임이 256 옥탯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구성을 갖는 64 개의 프레임이 모여 하나의 다중 프레임을 형성한다. 여기에서, 베어러 채널은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된 망이 제공되는 채널을 의미한다.
한편, 각 프레임의 옥탯에는, 예를들면 1에서 256까지의 번호가 부여되는 데, 256 개의 옥탯중 4개의 옥탯(즉, 64, 128, 192, 256 옥탯)이 정보 교환과 프레임 구조의 설정을 위한 오버헤드 옥탯으로 사용된다. 즉, 옥탯 64는 프레임 얼라인먼트 워드(FAW : frame alignment word)에 할당되고, 옥탯 128은 정보 채널(IC : information channel)에 할당되며, 옥탯 192는 프레임 카운트(FC : frame count) 정보에 할당되고, 옥탯 256은 에러정정을 위한 순환코드(CRC : cyclic redundancy check) 정보에 할당된다.
여기에서, 옥탯 64는“0001 1011”의 고정된 값을 가지며, 옥탯 128은 단말간이 정보 교환을 위해 사용되고, 옥탯 192는 각 채널 사이의 상대적 지연변화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데 64 카운터(6 비트) 모듈로서 프레임 마다 1씩 증가하면서 다중 프레임의 경계상에서 순환한다. 즉, 다중 프레임의 첫 번째 프레임에는 프레임 카운트값“0”을 포함될 것이다.
다른한편, 정보 채널 프레임의 메시지 포맷은,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총 16 옥탯으로 이루어지는 데, 이러한 정보 채널은 두 단말간(예를들면, 발신단말과 착신 단말간)에 제어정보를 통신하는 데 사용된다. 이때, 정보 채널 프레임의 옥탯 1을 제외한 옥탯 2 내지 옥탯 16의 첫 번째 비트(b1)값은“1”로 세트되며, 또한 모든 옥탯의 8번째 비트값(b8)은 56kbit/s 베어러 채널을 사용한 호와 64kbit/s 베어러 채널을 사용한 호 사이에서 일관성 있는 지원을 위해“1”로 세트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정보 채널 프레임의 옥탯 1은 정보 채널 프레임의 구성된 절차 정보를 제공하는 얼라인먼트(ALIGN)로써 최초 옥탯에서 단일 정렬 양식의“0111 1111”의 상수값을 가지며, 옥탯 2는 채널식별자(CID : Channel ID)로서 동시에 N개의 호를 다이얼링(호출)할 때 각 호의 설정에서 개별적인 채널을 식별하는 데 사용된다. 여기에서, CID는 0 내지 63 범위에서 숫자로 부호화된 6 비트 이진수로 표현되는 데, CID가“0”일 때는 파라메터 교섭을 의미한다. 그리고, 옥탯 3은 그룹식별자(GID : Group ID)로서, 특별한 호를 연계시키는 베어러 채널 그룹을 식별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옥탯 4에서 비트 b2 내지 b4는 동작모드(Operating Mode)를 나타내고, 비트 b5 내지 b7은 전송시에“1”로 세트되고 수신상에서 무시되는 예비 비트(Res)를 나타내는 데, 동작모드의 비트값“000”은 동작모드 0을, 비트값“001”은 동작모드 1을, 비트값“010”은 동작모드 2을, 비트값“011”은 동작모드 3을 각각 의미하고, 나머지(“100”내지“111”)는 예비 비트를 나타낸다.
그리고, 옥탯 5는 레이트 멀티플라이어(RMULT : Rate Multiplier)로서, 옥탯 6의“SUBMULT”와 함께 호에 대한 응용의 대역폭을 정의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옥탯 6의 BCR(Bearer Channel Rate)은 베어러 채널을 나타내는 것으로, 그 값이“0”이면 56kbit/s 기반을 의미하고, 그 값이“1”이면 64kbit/s 기반을 의미하며, 옥탯 6의“MFG”제조자 ID 플래그로서 그 값이“1”로 세트되면 전화번호 다이얼 디지트를 나타내는 옥탯 10 내지 옥탯 16의 디지트 필드에 제조자 ID가 실린 것을 의미한다.
한편, 옥탯 7에 있어서, RI(Remote Indicator) 영역은 지연등화의 완료를 지시하는 것이고, RL Req(Remote Loopback Request)는 원격(remote) 단말이 지역(local) 단말로 루프백을 요청하는 데 사용되며, RL IND(Remote Loopback Indication)는 원격 단말측에서 지역 단말이 원격 단말로 모든 채널을 루프백하는 것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REV(REVision level)는 지역 단말과 원격 단말간의 버전 적합성(version compatibility)을 점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옥탯 8은 호의 서브 어드레스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옥탯 9는 전송 플래그를 나타내며, 나머지 옥탯 10 내지 옥탯 16은 전화번호 다이얼 디지트를 각각 나타낸다.
따라서, 통신을 위한 호 설정을 원하는 단말간(예를들면, 발신단말과 착신 단말간)에는 상기한 바와같은 구성을 갖는 정보 채널 프레임으로 된 제어정보를 교신함으로써, 예를들면 지연등화, 호 설정, 호 해제 등의 동작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관련되는 지연등화 프로토콜은, 전술한 바와같이, 각 3 비트로 표현되는 4가지의 동작모드로 정의되며, 이러한 동작모드 정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은 정보 채널 프레임의 옥탯 4(b2 - b4)에 포함되는 데,“동작모드 0”은 마스터 채널에서 최초 파라메터 교섭과 전화번호(즉, 디렉토리 넘버) 교환을 지원한 후에 호 설정이 완료되면 지연등화 없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모드인 것으로, 발신단말이 전화번호를 요구할 때 유용하지만 지연등화는 어떤 다른 수단에 의해 수행된다.
또한, 지연등화 프로토콜의“동작모드 1”은 베어러 레이트의 곱이 되는 사용자 데이터 레이트를 지원하는 것으로, 사용자 데이터 레이트에 매우 유용한 대역폭을 제공하는 지연등화 프로토콜의 기본(공통) 모드이며, 에러에 대한 인밴드 모니터링 기능은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오류를 검출하기 위한 오버헤드 옥탯은 호가 정렬된 후에 제거되며, 모든 시스템의 동기화를 방해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채널상 오류상태는 호가 액티브된 후에 자동적으로 인식되지 않는다.
그리고, 지연등화 프로토콜의“동작모드 2”는 베어러 레이트의 63/64의 곱이 되는 사용자 데이터 레이트를 지원하는 것으로, 인밴드 모니터링을 제공하고, 또한 사용자 데이터 레이트는 오버헤드 옥탯을 삽입한 후에 남는 대역이다. 즉, 이 동작모드는 액티브된 후에도 다중 프레임 구조가 계속 유지되면서 에러를 검사한다.
마지막으로, 지연등화 프로토콜의“동작모드 3”은 사용자 데이터 레이트가 N × 56 과 N × 64kbit/s를 포함하는 8kbit/s의 정수배이다. 여기에서, 모든 채널은 같은 베어러 채널 레이트를 사용하고, 인밴드 모니터링을 제공하여 지연등화와 종단간 비트 에러 테스트에 대한 연속적인 검사(CRC)를 지원하며, 에러 감시에 요구되는 오버헤드 옥탯은 대역폭이 추가로 제공된다. 따라서, 이 동작모드에서는 충분한 사용자 데이터 레이트를 제공할 수 있으며, 오버헤드 옥탯은 각 베어러 채널에 포함된다.
다음에, ISDN에서 호를 설정하고 호가 설정된 상태에서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상적인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ISDN에서 지연등화 프로토콜에서 호를 설정하고 데이터의 전달을 수행하는 통상적인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지연등화 프로토콜은, 그 동작을 크게 분류할 때, 호를 설정하는 과정, 호 설정에 의해 채널 접속이 이루어진 후 기존의 호에 대역폭을 추가하는 과정 및 전체 호의 급격한 저하없이 사용자 데이터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기존 호로부터 대역폭을 삭제하는 과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또한 호를 설정하는 과정은 최종 채널(즉, 마스터 채널)을 설정하는 과정, 최초 채널이 설정된 후 N-1 개의 다른 채널을 다중 결합에 의해 설정하는 과정 및 각 채널이 접속되면 지연등화를 구현하는 지연등화(DEQ) 과정을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최초 호의 설정 진행은 N × 56/64kbit/s 호에서 첫 채널의 접속과 함께 시작되는 데, 호의 설정을 위한 최초 진행(즉, 접속)을 위해 해당 단말에서는 마스터 채널을 초기화시킨다(단계 601). 이때, 파라메터 교섭 프로세스는 이러한 마스터 채널에 의해 수행되는 데, 발신 단말에서는 완전한 교섭 프로세스가 완성된 후에 추가적인 호를 만들게 될 것이다.
다음에, 상기 단계(601)를 통해 발신 단말이 마스터 채널에 접속되면, 발신 단말은“0”으로 세트된 채널식별자(CID)를 포함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은 정보 채널 메시지를 반복적으로 전송하여 교섭 프로세스를 시작함과 동시에 초기 타이머(TCINIT_EXP)를 중지, 즉 발신 단말의 지연등화 교섭 제어 계층(도 2의 22)에서는 초기 타이머 정지를 위한 초기 타이머 종료(TCINIT_EXP) 프리미티브를 발생한다(단계 602). 이때, 발신 단말에서는 정보 채널 메시지의 각 파라메터들을 특정값으로 설정하여 전송하는 데, 그룹식별자(GID), RI 및 RL 은 모두“0”으로 세트된다.
여기에서 발생하는 초기 타이머 종료(TCINIT_EXP) 프리미티브는 채널 초기화를 위한 교섭 진행시에 시작되어 단말간의 초기 교섭 진행이 완료될 때 타이머를 종료하는 프리미티브로서, 본 발명에 직접 관련되는 것으로, 이러한 초기 타이머 종료(TCINIT_EXP) 프리미티브가 발생될 때 이를 처리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 7을 참조하여 후에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같은 교섭 프로세스에 의한 호가 수신되어 접속되면, 즉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이 접속되면, 착신 단말에서는 채널에“1”을 전송함과 동시에 도 2의 지연등화 교섭 제어 계층(22)에서는 TANULL_EXP 타이머를 시작하고, 다중 프레임 정보 또는 정보 채널 메시지를 탐색하며, 탐색을 통해 유효한 정보 채널 메시지가 감지되면, 해당 채널을 새로운 호의 마스터 채널로 간주하여 진행중인 TANULL_EXP 타이머를 정지시킨다.
여기에서, 탐색결과 다중 프레임이 감지되면, 착신 단말은 현재 호를 추가채널로 간주하여 진행중인 TANULL_EXP 타이머를 정지시킨 후 현재 호를 식별하기 위하여 그룹식별자(GID)를 사용하게 될 것이다.
또한, 새로운 호의 마스터 채널에서 만약 착신 단말이 요청된 파라메터를 수용하면 수신된 값과 동일한 값을 발신 단말로 리턴함과 동시에 착신 단말의 지연등화 교섭 제어 계층(22)에서는 TAINIT_EXP 타이머를 시작하며, 이와는 달리 착신 단말이 요청된 파라메터를 수용하지 않으면, 착신 단말에서는 정보 채널 메시지에서 유효 모드값과 함께 RMULT 및 SUBMULT = 0을 발신 단말로 리턴한 다음, TA DISC 프리미티브를 시작하거나 파라메터와 다른 세트를 리턴함과 동시에 TAINIT_EXP 타이머를 시작한다. 더욱이, 현재 호의 추가 채널에서 착신 단말은 해당 호의 그룹식별자(GID)를 할당하고, 이 할당된 그룹식별자(GID) 영역에서 호를 리턴하는 데, 이 그룹식별자에 의해 착신 단말로 수신된 호중에서 해당 호를 식별할 수 있으며, 이때 정보 채널 메시지의 XFLAG 영역은 1로 세트된다.
한편, 발신 단말에서는 착신 단말로부터 CID가 0 이고 모드가 유효한 정보 채널 메시지가 수신될 때 이를 착신 단말로부터의 응답으로 간주한다. 따라서, 발신 단말은 수신된 정보 채널 메시지의 각 파라메터를 분석하여 착신 단말에서 요청한 파라메터를 수용하거나 혹은 수용할 수 없는 경우 절단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수신된 정보 채널 메시지내 MFG 플래그가 1이면 디지트 필드에 실린 제조자 ID를 수신하고, 0이면 디지트 영역을 무시하며, 또한 XFLAG 는 무시한다.
다음에, 발신 단말에서는 CID를 0으로, 전송 플래그를 1로 각각 세트하고, 디지트 필드를 모두 1로 세트한 정보 채널 메시지를 착신 단말에 전송하여 최초 전화번호를 요청한다.
따라서, 최초 응답후 XFLAG 가 1로 세트된 정보 채널 메시지가 착신 단말에 수신될 때, 착신 단말이 정보 채널 메시지내의 XFLAG를 1로 세트한 후 디지트 필드에 전화번호를 실은 정보 채널 메시지를 발신 단말로 반송함으로써,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간의 전화번호 교환이 수행된다(단계 603). 이때, 채널수가 N이라면,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간에는 N-1 번의 전화번호 교환이 수행될 것이다.
즉, 발신측의 호 제어 계층(25)으로부터 DQ_CONN_REQ 프리미티브가 지연등화 교섭 제어 계층(22)으로 수신될 때, 지연등화 프로토콜에서는 CC_INFO_IND상에 INIT REQ 메시지를 실어 착신측에 전달하며, 착신측에서는 CC_INFO_IND를 통해 INIT REQ 메시지가 수신되면 그에 상응하는 INIT ACK 메시지를 발신측으로 전달한다. 또한, 발신측은 DN REQ 메시지를 착신측으로 전달하여 전화번호를 요구하는 데, 착신측에서는 발신측으로부터 DN REQ 메시지가 수신될 때 이에 대응하는 DN RESP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화번호를 발신측으로 전달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같은 과정을 통해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간의 전화번호 교환이 완료되면, CID를 1로 세트한 정보 채널 메시지를 착신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교섭 프로세스가 종결되었음을 통지하며, 이와같이 CID가 1로 세트된 정보 채널 메시지가 수신될 때 착신 단말에서는 CID를 1로 세트한 정보 채널 메시지를 발신 단말로 반송함으로써, 추가 채널에 대한 수용이 준비되었음을 발신 단말에 통지한다(단계 604). 이와 동시에, 착신 단말에서는 TAINIT_EXP 타이머를 정지시키고, TAADDO1_EXP 타이머를 시작한다(단계 605).
다음에, 발신 단말에서는 CID가 1인 정보 채널 메시지가 착신 단말로부터 수신될 때, 본 발명에 관련되는 TCINIT_EXP를 정지시키고, TCADDO1_EXP 타이머를 시작한 후에 부가 채널에 대한 접속을 개시하며(단계 606), 각 채널이 접속되면 각 단말은 TXADDO1 타이머를 정지시킨다.
또한, 각 채널의 준비가 완료되면 착신 단말에서는 TXDEQ_EXP 타이머를 시작하며, N × 56/64kbit/s 호의 각 채널 사이의 상대적 지연균형을 측정하기 위하여 프레임 카운터(FC)를 사용하고, 이때 들어온 호의 도착순서가 호의 설정순서와 같다는 것을 보장할 수 없기 때문에 각 단말은 채널의 정렬을 위해 도착되는 CID를 사용하여 각 채널의 상대적인 지연을 측정한다(단계 607).
그런다음, 설정된 모든 채널들의 지연을 등화시키며, 지연등화가 각 채널이 타임슬롯을 재배열하여 호 설정을 완료하고(단계 608,609), 호 설정이 완료될 때 TXDEQ_EXP 타이머를 정지시키고 액티브 상태로 천이, 즉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은 사용자 데이터 전송 상태로 천이한다(단계 610).
따라서, 동작모드 1에서 각 단말이 RI=1을 수신하면, 데이터 전송을 위한 준비표시를 위해 모든 베어러 채널에서 A=0 수신을 대기한다. 즉, A=0이 전송되면 각 단말은 각 베어러 채널에서 A=0의 수신을 대기한다. 따라서, 각 단말이 베어러 채널에서 A=0을 수신하면, 프레임 패턴의 전송을 중지하고 호 설정이 완료된 것으로 간주한다. 이때, 각 단말은 모든 채널에서 다중 프레임 구조를 제거하게 될 것이다.
또한, 단말이 RI=1과 A-0을 전송한 후 A=0을 수신하기 전에 모든 베어러 채널에서 프레임 동기화 실패가 감지되면 호 설정이 완료된 것으로 간주하고 베어러 채널에서 다중 프레임 구조를 제거한다.
한편, 동작모드 2,3에서 각 단말은 지연등화와 프레임 배열에 대한 호의 각 채널을 연속적으로 감시하는 데, 이때 단말간의 비트에러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감시한다. 즉, 각 단말은 RI=1을 전송하고, RI=1을 감지하면 TXDEQ_EXP 타이머를 정지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같은 다중 결합을 통해 각 단말간의 호가 설정되면, 호 설정된 단말간의 사용자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질 것이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같은 다중 결합에 의한 호 설정시에 본 발명에 따라 지연등화 교섭 제어 계층에서 사용되는 초기 타이머 종료 프리미티브를 처리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처리하고자 하는 초기 타이머 종료(TCINIT_EXP) 프리미티브는 종합 정보 통신망의 지연등화 프로토콜에서 채널 초기화를 위한 교섭 진행시에 시작되어 단말간의 초기 교섭 진행이 완료될 때 타이머를 종료시키는 발신 단말측에서의 프리미티브인 것으로, 이러한 TCINIT_EXP 프리미티브는, 예를들면 호 초기화(CALL INIT) 상태, 호 초기화 대기(CALL INIT WAIT) 상태, 디렉토리 대기(AWAIT DN) 상태에서 각각 발생될 수 있는 데, 각 상태에서의 TCINIT 타이머의 유효 발생범위는, 예를들면 500msec - 10sec 정도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초기 타이머를 시작한 후 기설정된 소정시간 동안에 초기 타이머를 정지시키기 위한 초기 타이머 종료 프리미티브가 발생하지 않으면 초기 타이머를 자동 정지시키며, 발신 단말에서는 채널의 현재 상태를 유지하면서 다음 메시지의 수신을 대기하게 될 것이다.
여기에서, 호 초기화(CALL INIT) 상태는 발신 단말측에서 초기 파라메터 교환을 위한 최초 채널상에 INIT REQ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에 대응하는 착신 단말로부터 응답을 포함하는 INIT ACK 메시지를 대기하는 상태이며, 호 초기화 대기(CALL INIT WAIT) 상태는 발신 단말에서 파라메터 교섭 및 디렉토리 넘버(DN) 전송을 완료하고, CID를 1로 세트한 정보 채널 메시지를 전송한 상태에서, 착신 단말로부터 그에 상응하는 메시지의 수신을 대기, 즉 CID가 1로 세트된 정보 채널 메시지의 수신을 대기하는 상태이고, 또한 디렉토리 대기(AWAIT DN) 상태는 발신 단말에서 착신 단말에 디렉토리 넘버를 요청한 상태에서 요청한 디렉토리 넘버의 수신을 대기하는 상태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에 따라 처리하고자 하는 초기 타이머 종료(TCINIT_EXP) 프리미티브는 상기한 3가지의 경우, 호 초기화 상태, 호 초기화 대기 상태, 디렉토리 대기 상태에서 발생될 수 있다. 즉, 초기 타이머 종료(TCINIT_EXP) 프리미티브는 호 교섭을 위한 초기화가 완료될 때, 상대측 단말(즉, 착신 단말)로부터 CID가 1로 세트된 정보 채널 메시지의 수신될 때 혹은 상대측 단말(즉, 착신 단말)로부터 디렉토리 넘버(DN)가 수신될 때, 도 2의 호 제어 계층(25)으로부터 제공되는 대응하는 정보(즉, 프리미티브)에 의거하여 지연등화 교셥 제어 계층(22)에서 각각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해당 채널의 상태(즉, 모드)를 먼저 분석/처리한 다음 TCINIT_EXP 프리미티브의 처리루틴을 결정하여 수행하는 종래방법과는 달리, 상하 계층간의 프리미티브 전달에 따른 지연등화를 위한 각종 모드 상태 (즉, 호 초기화 모드, 호 초기화 대기 모드, 디렉토리 대기 모드)에서 도 2의 지연등화 교섭 제어 계층(22)에서 TCINIT_EXP 프리미티브가 발생하면, 이 TCINIT_EXP 프리미티브의 발생을 체크하고, 해당 채널의 모드(즉, 현재 상태)를 판단한 다음 해당 프리미티브의 처리루틴을 수행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지연등화 프로토콜을 위한 초기 타이머 종료 프리미티브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동도면을 참조하면,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같이, 다중 결합에 의한 호 설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현재 진행중인 TXDEQ_EXP 타이머를 정지시키기 위해 도 2의 지연등화 교섭 제어 계층(22)에서 TCINIT_EXP 프리미티브가 발생하면(단계 702), 현재 호가 설정된 채널의 상태를 체크, 즉 지연등화 교섭 제어 계층(22)에서는 호 제어 계층(25)으로부터 제공되는 채널 상태 정보(즉, 프리미티브 신호)에 의거하여 현재 채널의 상태를 체크하여 그에 상응하는 프리미티브 처리루틴을 결정한다.
즉, 단계(704)에서는, 호 제어 계층(25)으로부터 제공되는 채널 상태 정보(즉, 프리미티브 신호)에 의거하여, 호가 설정된 현재 채널이, 발신 단말측에서 초기 파라메터 교환을 위한 최초 채널상에 INIT REQ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에 대응하는 착신 단말로부터 응답을 포함하는 INIT ACK 메시지를 대기하는 호 초기화(CALL INIT) 상태인지의 여부를 체크하며, 여기에서의 체크결과 현재 채널이 호 초기화 상태이면 처리는 후술하는 단계(710)로 진행하고, 체크결과 현재 채널이 호 초기화 상태가 아니면 처리는 단계(706)로 진행한다.
다음에, 단계(706)에서는, 호 제어 계층(25)으로부터 제공되는 채널 상태 정보(즉, 프리미티브 신호)에 의거하여, 호가 설정된 현재 채널이, 발신 단말에서 파라메터 교섭 및 디렉토리 넘버(DN) 전송을 완료하고, CID = 1을 전송한 상태에서, 착신 단말로부터 그에 상응하는 메시지의 수신을 대기, 즉 CID가 1로 세트된 정보 채널 메시지의 수신을 대기하는 호 초기화 대기 상태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단계(706)에서의 체크결과 현재 채널이 호 초기화 대기 상태이면 처리는 후술하는 단계(710)로 진행하며, 체크결과 현재 채널이 호 초기화 대기 상태가 아니면 발신 단말에서는 현재 채널이 디렉토리 넘버 대기 상태인 것으로 간주하며(단계 708), 이후의 처리는 단계(710)로 진행된다. 이때, 현재 채널이 호 초기화 상태 및 호 초기화 대기 상태가 아닐 때, 디렉토리 넘버 대기 모드인 것으로 간주하는 것은 TCINIT_EXP 프리미티브가 상기한 3가지 경우에만 발생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각 모드, 즉 호 초기화 모드, 호 초기화 대기 모드, 디렉토리 넘버 대기 모드에 따라 각각 존재 가능한 TCINIT_EXP 프리미티브의 처리루틴을 하나로 병합하고, TCINIT_EXP 프리미티브가 발생할 때 현재 채널의 상태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TCINIT_EXP 프리미티브를 처리할 때 발생하는 코드량을 최대한 작게 하고, 또한 각 상태에 따라 진행되는 TCINIT_EXP 프리미티브의 처리를 위한 서브 루틴을 대폭적으로 줄여 프리미티브 처리속도의 대폭적인 증진을 도모할 수 있다.
물론, 상기한 3가지의 상태가 아닌 경우에 TCINIT_EXP 프리미티브가 발생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겠지만, 이와같이 3가지 상태가 아닌 경우에 TCINIT_EXP 프리미티브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바이패스시키고 현재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설정함으로써 원활하게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에, 단계(710)에서는 호가 설정된 현재 채널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 채, TCINIT_EXP 프리미티브의 발생에 따라 초기 타이머를 정지시키고 상대측 단말(즉, 착신 단말)로 해당 호의 절단을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며, 이와 동시에 발신 단말측의 지연등화 교섭 제어 계층(22)에서는 절단 타이머(TCDISC)를 시작한다(단계 712).
여기에서, 절단 타이머(TCDISC)는 발신 단말이 호의 절단을 요구할 때 시작되며 이에 대응하는 착신 단말로부터의 응답에 따라 호의 절단이 완료될 때 정지되는 것으로, 이러한 절단 타이머의 유효 발생범위는, 예를들면 1sec - 10sec 정도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절단 타이머를 시작한 후 기설정된 소정시간 동안에 응답 메시지의 수신이 없으면 절단 타이머를 자동 정지시키며, 발신 단말에서는 채널의 현재 상태를 유지하면서 다음 메시지의 수신을 대기하게 될 것이다.
그런다음, 발신 단말은 현재의 상태를 호 절단 대기 상태로 천이, 즉 호가 설정된 현재 채널이 호 초기화 모드, 호 초기화 대기 모드, 디렉토리 넘버 대기 모드중의 어느 하나일 때 이를 호 절단 대기 상태로 천이시킨다(단계 714).
이때, 발신 단말측의 지연등화 교섭 제어 계층(22)에서 현재 진행중인 절단 타이머(TCDISC)는, 발신 단말에서 전달한 호 절단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 메시지가 착신 단말로부터 수신될 때, 이에 상응하여 호 제어 계층(25)으로부터 제공되는 수신 확인 정보(즉, 프리미티브)에 의거하여 정지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TCINIT_EXP 프리미티브를 처리할 때, 해당 채널의 상태(즉, 모드)를 먼저 분석/처리한 다음 TCINIT_EXP 프리미티브의 처리루틴을 결정하여 수행하는 종래방법과는 달리, 상하 계층간의 프리미티브 전달에 따른 지연등화를 위한 각종 모드 상태 (즉, 호 초기화 모드, 호 초기화 대기 모드, 디렉토리 대기 모드)에서 TCINIT_EXP 프리미티브가 발생하면, 이 TCINIT_EXP 프리미티브의 발생을 체크하고, 해당 채널의 모드(즉, 현재 상태)를 판단한 다음 해당 프리미티브의 처리루틴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메시지 처리를 위한 코드량의 증가를 억제하여 용이한 구현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각 상태에 따라 진행되는 TCINIT_EXP 프리미티브의 처리를 위한 서브 루틴을 대폭적으로 줄임으로써 TCINIT_EXP 프리미티브 처리속도의 대폭적인 증진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7)

  1. 호 제어 계층, 지연등화 교섭 제어 계층, 지연등화 다중 프레임 제어 계층을 포함하는 계층 구조를 가지고 N개의 채널을 다중 결합하는 종합 정보 통신망의 지연등화 프로토콜에서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간의 초기 교섭 진행이 완료될 때 진행중인 타이머를 종료하는 발신 단말측에서의 초기 타이머 종료 프리미티브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간의 최초 채널 교섭이 완료될 때, 호 설정 시작에 따라 진행중인 초기 타이머를 종료시키기 위한 초기 타이머 종료 프리미티브가 상기 지연등화 교섭 제어 계층에서 발생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의 체크결과, 상기 지연등화 교섭 제어 계층에서 상기 초기 타이머 종료 프리미티브가 발생될 때 호가 설정된 현재 채널의 상태가 기설정된 다수의 채널 상태중 어느 한 상태인지를 체크하는 제 2 단계, 상기 현재 채널의 상태가 상기 기설정된 다수의 채널 상태중 어느 한 상태일 때, 상기 현재 채널의 현재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설정된 호의 절단을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절단 메시지의 전송과 동시에 절단 타이머를 시작하고, 상기 발신 단말을 호 절단 대기 상태로 천이시키는 제 4 과정으로 이루어진 종합 정보 통신망에서의 지연등화 프로토콜을 위한 초기 타이머 종료 프리미티브 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현재 채널의 상태가 상기 기설정된 다수의 채널 상태중 어느 한 상태가 아닐 때, 상기 발생된 초기 타이머 종료 프리미티브를 바이패스시키고 현재 상태를 유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정보 통신망에서의 지연등화 프로토콜을 위한 초기 타이머 종료 프리미티브 처리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타이머는, 기설정된 소정의 시간범위 동안만 동작하며, 상기 기설정된 소정 시간동안 상기 초기 타이머 종료 프리미티브의 발생이 없을 때, 상기 초기 타이머를 자동 정지시키고 상기 채널의 현재 상태를 유지하면서 다음 메시지의 수신을 대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정보 통신망에서의 지연등화 프로토콜을 위한 초기 타이머 종료 프리미티브 처리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채널의 기설정된 다수의 상태는, 호 초기화 상태, 호 초기화 대기 상태, 디렉토리 대기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정보 통신망에서의 지연등화 프로토콜을 위한 초기 타이머 종료 프리미티브 처리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타이머는, 기설정된 소정의 시간범위 동안만 동작하며, 상기 기설정된 소정 시간동안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의 응답 메시지 수신이 없을 때, 상기 절단 타이머를 자동 정지시키고 상기 채널의 현재 상태를 유지하면서 다음 메시지의 수신을 대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정보 통신망에서의 지연등화 프로토콜을 위한 초기 타이머 종료 프리미티브 처리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타이머의 시작과 정지는, 상기 지연등화 교섭 제어 계층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정보 통신망에서의 지연등화 프로토콜을 위한 초기 타이머 종료 프리미티브 처리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호는, 상기 호 절단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그에 상응하는 응답 메시지가 수신될 때, 상기 호 제어 계층으로부터 제공되는 수신 확인 정보에 의거하여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정보 통신망에서의 지연등화 프로토콜을 위한 초기 타이머 종료 프리미티브 처리 방법.
KR1019970029505A 1997-06-30 1997-06-30 종합 정보 통신망(isdn)에서의 지연등화 프로토콜을 위한 초기 타이머 종료 프리미티브 처리 방법 KR100209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9505A KR100209810B1 (ko) 1997-06-30 1997-06-30 종합 정보 통신망(isdn)에서의 지연등화 프로토콜을 위한 초기 타이머 종료 프리미티브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9505A KR100209810B1 (ko) 1997-06-30 1997-06-30 종합 정보 통신망(isdn)에서의 지연등화 프로토콜을 위한 초기 타이머 종료 프리미티브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310A true KR19990005310A (ko) 1999-01-25
KR100209810B1 KR100209810B1 (ko) 1999-07-15

Family

ID=19512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9505A KR100209810B1 (ko) 1997-06-30 1997-06-30 종합 정보 통신망(isdn)에서의 지연등화 프로토콜을 위한 초기 타이머 종료 프리미티브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981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09810B1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9810B1 (ko) 종합 정보 통신망(isdn)에서의 지연등화 프로토콜을 위한 초기 타이머 종료 프리미티브 처리 방법
KR100229547B1 (ko) 종합 정보 통신망(isdn)에서의 지연등화 프로토콜을 위한 호 동기 지시 프리미티브 처리 방법
KR100229548B1 (ko) 종합 정보 통신망(isdn)에서의 지연등화 프로토콜을 위한 지연등화 채널 삭제 요구 프리미티브 처리 방법
KR100209811B1 (ko) 종합 정보 통신망(isdn)에서의 지연등화 프로토콜을 위한 채널 실패 지시 프리미티브 처리 방법
KR100209812B1 (ko) 종합 정보 통신망(isdn)에서의 지연등화 프로토콜을 위한 채널 추가 요구 프리미티브 처리 방법
KR100229549B1 (ko) 종합 정보 통신망(isdn)에서의 지연등화 프로토콜을 위한 접속 요구 프리미티브 처리 방법
KR100209434B1 (ko) 종합 정보 통신망(isdn)에서의 지연등화 프로토콜을 위한 채널 절단 요구 프리미티브 처리 방법
KR100248660B1 (ko) 종합정보통신망에서 지연등화 프로토콜에 따른 채널 삭제 요구프리미티브 처리방법
KR100248662B1 (ko) 종합정보통신망에서 지연등화 프로토콜에 따른 프레이밍 탐색타이머 종료 프리미티브 처리 방법
KR100237487B1 (ko) 종합정보통신망에서 지연등화 프로토콜에 따른 채널추가 타이머종료 프리미티브 처리방법
KR100248661B1 (ko) 종합정보통신망에서 지연등화 프로토콜에 따른 채널 추가 요구프리미티브 처리방법
KR100248663B1 (ko) 종합정보통신망에서 지연등화 프로토콜에 따른 프레이밍 지연보상 타이머 종료 프리미티브 처리 방법
KR100212855B1 (ko) Isdn 통신망에서 지연등화 프로토콜에 따른 최초요구 메시지 처리방법
KR100226707B1 (ko) Isdn 통신망에서 지연등화 프로토콜에 따른 프리미티브 처리방법
KR100248664B1 (ko) 종합정보통신망에서 지연등화 프로토콜에 따른 정보 채널 요구프리미티브 처리방법
KR100237488B1 (ko) 종합정보통신망에서 지연등화 프로토콜에 따른 초기 타이머 종료 프리미티브 처리방법
KR100243481B1 (ko) 종합정보통신망의 지연보상 프로토콜에 따른 절단 응답 메시지처리방법
KR100287754B1 (ko) 종합정보통신망에서 지연등화 프로토콜에 따른 부가채널 설정방법
KR100243482B1 (ko) 종합정보통신망의 지연보상 프로토콜에 따른 채널 식별 메시지처리 방법
KR100257546B1 (ko) 종합정보통신망에서 지연등화 프로토콜에 따른 절단 메시지 처리방법
KR100243480B1 (ko) 종합정보통신망의 지연보상 프로토콜에 따른 최초 승인 메시지처리 방법
KR100248666B1 (ko) 종합정보통신망의 지연보상 프로토콜에 따른 마스터 채널 식별메시지 처리 방법
KR19990032814A (ko) 종합정보통신망에서 지연등화 프로토콜에 따른 절단 타이머 종료 프리미티브 처리방법
KR19990032817A (ko) 종합정보통신망에서 지연등화 프로토콜에 따른 널 타이머 종료 프리미티브 처리방법
KR19990032816A (ko) 종합정보통신망에서 지연등화 프로토콜에 따른 채널식별자 타이머 종료 프리미티브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