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4856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4856A
KR19990004856A KR1019970029010A KR19970029010A KR19990004856A KR 19990004856 A KR19990004856 A KR 19990004856A KR 1019970029010 A KR1019970029010 A KR 1019970029010A KR 19970029010 A KR19970029010 A KR 19970029010A KR 19990004856 A KR19990004856 A KR 19990004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ator
duct
washing
wash wate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9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원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29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4856A/ko
Priority to TW087101482A priority patent/TW389805B/zh
Priority to CN98105501A priority patent/CN1085754C/zh
Priority to JP10074651A priority patent/JP2859609B2/ja
Priority to IDP980464A priority patent/ID20485A/id
Priority to US09/050,126 priority patent/US5941100A/en
Publication of KR19990004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4856A/ko

Links

Landscapes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펄세이터가 회전되면 펄세이터의 중앙 상측으로 세탁수가 분출되도록 하는 덕트의 유입구가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회전되면서 세탁수를 교반하는 펄세이터와 함께 회전되게 다수의 덕트를 설치하고 이 덕트를 통하여 세탁수가 펄세이터의 중앙상측으로 분출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덕트의 각 유입구는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Description

세탁기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펄세이터가 회전되면 펄세이터의 중앙 상측으로 세탁수가 분출되도록 하는 덕트의 유입구가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하듯이 종래의 세탁기는, 외부케이스(100)가 마련된다. 외부케이스(100)의 내부에는 세탁조(110)와 탈수조(120)가 설치되어 있고 탈수조(120)의 내부에는 세탁수를 휘저어 섞는 다수의 날개를 가지는 펄세이터(130)가 마련되어 있다. 이 펄세이터(130)는 세탁조(110)의 저면에 결합된 구동부(140)에 의하여 정,역회전을 반복한다. 미설명부호 141은 세탁시에는 펄세이터만 회전되게 하고,탈수시에는 탈수조와 펄세이터가 동일하게 회전되게 하는 클러치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세탁기는 펄세이터의 회전시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하여 원심수류가 발생된다. 그러면 펄세이터 중앙측의 수위가 펄세이터 외측의 수위보다 낮아지게 되므로 펄세이터의 중앙부에는 많은 세탁물이 모이게 된다. 즉,펄세이터의 중앙부에는 많은 세탁물이 모여서 정,역회전을 반복하게 되고, 이로인해 세탁물은 펄세이터의 중앙부에서 특히 많이 엉키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펄세이터의 중앙부로 세탁수가 분출될 수 있도록 펄세이터에 다수의 덕트를 마련하고,이 덕트를 통하여 분출되는 세탁수가 큰 압력으로 분출되도록 각 덕트의 유입구를 같은 방향으로 배치하여 펄세이터의 중앙부에 세탁물이 모이지 못하도록 한 세탁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세탁기의 개략적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개략적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펄세이터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펄세이터부의 저면도.
*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
210:외부케이스, 220:펄세이터, 230:구동부,
240:덕트, 250:분출캡.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정,역회전을 반복하면서 세탁수를 교반하는 펄세이터, 상기 펄세이터와 함께 회전되게 유입구측은 펄세이터의 하면에 결합되고 토출구측은 펄세이터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되,그 회전방향에 대하여 유입구가 동일방향을 향하도록 마련된 다수의 덕트, 상기 덕트의 토출구측과 연통되어 상기 덕트의 각 토출구에서 분출되는 세탁수가 펄세이터의 중앙 상측으로 정확하게 분출되도록 모아서 분출시키는 분출캡이 마련된 구성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200)는 도 2에 도시하듯이,세탁기의 외관을 이루는 외부케이스(210)가 마련된다. 상기 외부케이스(210)의 상면에는 뚜껑(211)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내부에는 방진봉(213)에 지지된 세탁조(212)가 설치된다. 상기 방진봉(213)은 세탁시 발생되는 세탁조의 진동이 외부케이스(210)로 덜 전달되게 진동을 흡수한다. 상기 세탁조(212)는 세탁수를 저장하며 그 내부에는 세탁물이 유입되는 탈수조(214)가 마련된다. 상기 세탁조(212)와 탈수조(214)는 연통되게 마련되는데,이로인해 탈수조(214)에 유입된 세탁수는 세탁조에도 저장된다. 상기 탈수조(214)의 내부에는 세탁수를 교반하는 다수의 날개(221)를 가지는 펄세이터(220)가 마련된다. 상기 펄세이터(220)는 세탁조(212)의 저면 외측에 결합된 구동부(230)와 연결되어 세탁시 정,역회전을 반복한다. 상기 구동부(230)는 모타(231)와 상기 펄세이터(220)와 연결된 모타축(233)과 상기 모타(231)와 모타축(233)을 연결하는 벨트(232)와 세탁시에는 펄세이터(220)만 회전되게 하고 탈수시에는 탈수조(214)와 펄세이터(220)가 동일하게 회전되게 하는 클러치(234)로 이루어진다.
탈수조(214)에 마련된 상기 펄세이터(220)가 회전되면 원심력이 발생되고 이로인해 세탁수는 펄세이터의 외측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상기 펄세이터 외측의 수위는 높아지고 펄세이터 중앙의 수위는 낮아지므로 세탁물은 펄세이터의 중앙으로 많이 모이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에는 상기 펄세이터 중앙 상측으로 세탁물이 모이지 못하도록 펄세이터의 하측에서 펄세이터 중앙 상측으로 세탁수를 분출시키기 위한 덕트(240)가 마련된다.
이를 도 3,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펄세이터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펄세이터의 하면을 보인 저면도이다.
상기 덕트(240)의 일단은 세탁수가 유입되는 유입구(241)로 타단은 토출되는 토출구(242)로 형성된다. 상기 유입구(241)측은 상하면은 평면이고 양측면은 곡면인 형태로 마련되어 펄세이터의 저면에 결합되고 상기 토출구(242)측은 4면이 평면인 형태로 마련되어 펄세이터의 중앙 상측으로 돌출된다. 즉,상기 덕트의 유입구(241)측과 토출구(242)측은 둔각을 이루면서 벤딩되어 있다. 이때,상기 유입구(241)는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펄세이터의 회전방향을 중심으로 정,역방향중 어느 한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덕트는 유입구(241)에서 토출구(242)측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작도록 마련된다(후술한다). 위와같이 상기 펄세이터(220)에 덕트(240)가 결합된 상태에서 탈수조(214)로 세탁수가 유입되어 저장되면 상기 유입구(241)를 통하여 턱트(240)의 내부로도 세탁수가 수용된다. 그리하여 펄세이터(220)가 회전되면 덕트(240)도 회전되는데,이때 덕트에 수용된 세탁수는 가만이 있는 상태이다. 즉,덕트(240)에 수용된 세탁수는 가만히 있는데,상기 덕트는 회전되므로 덕트에 수용된 세탁수는 덕트 외측에 있는 세탁수에 밀려서 토출구(242)로 토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전술했듯이,유입구(241)측에서 토출구(242)측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작아지므로 덕트로 유입되는 세탁수의 양이 토출되는 세탁수의 양보다 많다. 그러므로 세탁수는 센 힘으로 분출되는 것이다. 정리하면 상기 덕트는 유입구로 유입되는 세탁수를 수용함과 동시에 세탁수가 펄세이터의 중앙 상측으로 분출되도록 안내하는 유로의 기능을 하는 것이다.
정리하면 도 4와 같은 상태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펄세이터가 회전된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덕트(240)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세탁수는 X축과 Y축 사이에 있는 세탁수에 밀려서 토출구로 분출된다. 그런데 유입구(241)측의 단면적이 토출구측의 단면적 보다 훨씬 크므로 세탁수는 센 힘으로 분출되고 이로인해 펄세이터의 중앙부에는 세탁물이 모이지 않게되는 것이다.
상기 덕트(240)는 다수개 마련되는데,이로인해 상기 덕트(240)에 수용된 세탁수가 토출구(242)로 분출될 때,그 방향이 분산될 수가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덕트의 토출구(242)에는 분출캡(250)이 결합된다. 상기 분출캡(250)은 상기 토출구(242)에서 토출되는 세탁수를 모아서 펄세이터의 중앙 상측으로 정확하게 분출되도록 토출방향을 안내한다.
이를 설명하면,상기 분출캡(250)의 상면에는 다수의 분출공(251)이 형성되고 측면 내측에는 상기 분출공(251)과 연통되는 일정공간(252)이 형성된다. 상기 분출캡의 공간(252)과 덕트의 토출구(242)는 연통되게 결합되는데,이로인해 상기 토출구(242)로 분출되는 세탁수는 상기 분출공(251)을 통하여 펄세이터의 중앙 상측으로 토출되는 것이다. 즉,상기 분출캡 공간(252)에 세탁수가 모였다가 분출공(251)을 통하여 분출되는 것과 같은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하듯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덕트에 수용된 세탁수가 펄세이터가 회전되면 덕트 외측에 있는 세탁수에 밀려서 펄세이터 중앙 상측으로 분출된다. 그러므로 세탁물은 펄세이터의 중앙 상측에 모이지 못하게되고 이로인해 펄세이터의 중앙 상측에서는 세탁물이 엉키지 않는 특징이 있다.

Claims (1)

  1. 정,역회전을 반복하면서 세탁수를 교반하는 펄세이터,
    상기 펄세이터와 함께 회전되게 유입구측은 펄세이터의 하면에 결합되고 토출구측은 펄세이터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되,그 회전방향에 대하여 유입구가 동일방향을 향하도록 마련된 다수의 덕트,
    상기 덕트의 토출구측과 연통되어 상기 덕트의 각 토출구에서 분출되는 세탁수가 펄세이터의 중앙 상측으로 정확하게 분출되도록 모아서 분출시키는 분출캡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19970029010A 1997-06-30 1997-06-30 세탁기 KR19990004856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9010A KR19990004856A (ko) 1997-06-30 1997-06-30 세탁기
TW087101482A TW389805B (en) 1997-06-30 1998-02-05 Washer
CN98105501A CN1085754C (zh) 1997-06-30 1998-03-10 洗衣机
JP10074651A JP2859609B2 (ja) 1997-06-30 1998-03-23 洗濯機
IDP980464A ID20485A (id) 1997-06-30 1998-03-30 Mesin pencuci
US09/050,126 US5941100A (en) 1997-06-30 1998-03-30 Clothes washing machine having a water-ejecting pulsator for ejecting filtered w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9010A KR19990004856A (ko) 1997-06-30 1997-06-30 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856A true KR19990004856A (ko) 1999-01-25

Family

ID=65999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9010A KR19990004856A (ko) 1997-06-30 1997-06-30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485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2528B1 (ko) 세탁기의 수류형성장치
KR100315625B1 (ko) 상향분출수류를형성하는세탁기용펄세이터조립체
JPH1133287A (ja) 洗濯機
KR100313643B1 (ko) 회전세탁조를가진세탁기
JP3098234B2 (ja) 洗濯機
KR19990004856A (ko) 세탁기
KR100218966B1 (ko) 세탁기
JPH11179087A (ja) 洗濯機用パルセータ組立体
KR100218287B1 (ko) 세탁기
US5906118A (en) Clothes washing machine having a reinforced pulsator
KR19990004853A (ko) 세탁기
KR100218285B1 (ko) 세탁기
KR19990004851A (ko) 세탁기
KR19990004844A (ko) 세탁기
KR200241488Y1 (ko) 세탁기의펄세이터
KR100213611B1 (ko) 세탁기
KR100218286B1 (ko) 세탁기의 펄세이터
KR100229485B1 (ko) 세탁기용 펄세이터
KR100213617B1 (ko) 세탁기
KR100213620B1 (ko) 세탁기
KR100292267B1 (ko) 세탁기의펄세이터
KR100291030B1 (ko) 세탁기의가이드워터플로워
KR100283660B1 (ko) 세탁기의가이드워터플로워
KR200288761Y1 (ko) 세탁기용세탁수류안정화부재
KR100218924B1 (ko) 세탁기용 펄세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