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4215U - earring - Google Patents

earr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4215U
KR19990004215U KR2019980020594U KR19980020594U KR19990004215U KR 19990004215 U KR19990004215 U KR 19990004215U KR 2019980020594 U KR2019980020594 U KR 2019980020594U KR 19980020594 U KR19980020594 U KR 19980020594U KR 19990004215 U KR19990004215 U KR 1999000421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
earrings
earring
shapes
deco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059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성장규
Original Assignee
성장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장규 filed Critical 성장규
Priority to KR20199800205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4215U/en
Publication of KR199900042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4215U/en

Link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귀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착용자의 귓볼에 착용되며 일측에 마련되는 힌지부(13)를 중심으로 전면부(11)와 후면부(12)로 구획 형성된 귀걸이(10)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11)에 하나의 장식(20) 및 이에 따른 형상, 모양이 형성되고, 상기 후면부(12)는 전면부와 다른 이미지를 줄 수 있도록 다수의 장식(20) 및 이에 따른 형상, 모양이 형성되어 각각 전후면측을 착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인바, 하나의 귀걸이 제품에 각기 다른 장식 및 형상, 모양을 다르게 함으로써, 2가지 이미지 표현이 가능하여 착용자로 하여금 실용적인 액세서리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ring, which is worn on the ear of the wearer and is divided into a front part 11 and a rear part 12 centered on a hinge part 13 provided on one side, the front part ( 11) one decoration 20 and its shape and shape are formed, and the rear part 12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decorations 20 and its shape and shape so as to give an image different from the front part, respectively. It is to be able to wear the front and back side, by changing the different decorations, shapes, shapes in one earring product, it is possible to express the two images can be used by the wearer as a practical accessory.

Description

귀걸이earring

본 고안은 장신구용으로 귀에 착용하는 귀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하나의 귀걸이에 각각 장식 및 형태가 다른 디자인을 부여하여 착용하는 이로 하여금 2가지 개성적인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게 함은 물론, 2개의 귀걸이 구입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귀걸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arrings worn on the ear for ornaments, and more particularly, to give a wearer to express two distinctive images by giving each earring a different design and decoration. It relates to one earring to reduce the cost of purchasing two earrings.

인류의 문명이 계속적으로 발전되면서도 오래 전부터 인간은 몸에 치장을 하여 자신의 신분위치를 표현하거나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부적의 개념으로 장신구를 착용하였다. 현대에 있어 장신구의 착용은 자신만의 미려함을 나타내거나 자신만의 독창적인 면을 보여주기 위하여 정장차림, 또는 캐주얼복장, 고유의상 등에 어울리도록 다양하게 디자인된 장신구를 착용하는 많아 졌다. 이러한 장신구로서는 목걸이, 귀걸이, 팔찌 등 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Even as human civilization continued to develop, humans have long been wearing ornaments as a talisman to embody their body or to protect themselves. In modern times, the wearing of jewelry has been increased to wear various designs designed to suit a dress, a casual dress, or a unique costume in order to express one's own beauty or to show a unique aspect of oneself. As such ornaments, necklaces, earrings and bracelets are representative.

상기 장신구 가운데 본원이 설명하고자 하는 귀걸이에 대해 설명하면, 귀걸이는 귓볼부위에 착용하는 장신구로서 신체중 귓볼에 착탈형의 귀걸이를 물려 고정하는 방식이 있거나, 귓볼에 구멍을 뚫어 귀걸이의 일부를 관통시켜 착용되는 방식이 있다.When describing the earrings to be described in the present ornaments among the ornaments, earrings are ornaments worn on the earlobe, there is a way to bite removable earrings on the earlobe in the body, or a hole in the earlobe is worn through a part of the earrings There is a way.

상기 귀걸이는 단순한 디자인부터 크기에 따라 여러 형태를 갖는 형상, 모양에 각종 보석류(예를 들면, 다이아, 큐빅, 진주 등)가 부착 적용된 다양한 패턴으로 착용에 따라 예식행위, 사진촬영, 캐주얼형태 등의 복장상태에 따라 자신의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액세서리로 고정적인 물품인데 반하여, 유행성이 강한 물품으로 그 형태 및 디자인성은 수시로 변모해 가고 있는 실정이다.The earrings have a variety of shapes and shapes having a variety of shapes depending on the size, shape, shape, shape, etc., such as diamonds, cubic, pearls, etc. It is an accessory that can create one's atmosphere according to the state of clothing, whereas it is a fixed item, and its shape and design are changing from time to time as a fashionable item.

이에 대하여 유행성이 강한 만큼 귀걸이를 구입하는 구매자는 각자 취향에 따라 단순하면서 깨끗한 느낌의 멋을 낼 수 있는 귀걸이나, 화려한 복장에 잘 어울릴 수 있도록 보석류 등이 화려하게 장식된 귀걸이를 각각 구입하여 외출시 분위기에 맞는 귀걸이를 골라 착용하는 예가 대부분이다. 상기 귀걸이를 착용하는 이에 있어 적어도 2가지 이상의 귀걸이를 소장하고 있거나 필요에 따라 귀걸이를 착용하면서 유행에 따르는 귀걸이를 구입하여 다수로 소장하는 예가 많다.Buyers who buy earrings are as fashionable as they can be, and each one buys earrings that can make a simple and clean look, or earrings that are colorfully decorated with jewelry to suit a colorful outfit. Most people choose the earrings that fit their needs. Those who wear the earrings have at least two or more earrings, or buy earrings according to the fashion while wearing earrings as needed, and many collect.

첨부된 도 1에서는 보편적으로 이용되는 귀걸이를 착용한 상태를 보인 측면도로, 귀걸이(1)는 소정크기를 갖으며 다양한 형상을 갖는 판 및 링형태에 동일한 크기, 또는 다양한 소재(1a)에 하나 또는 다양한 크기의 보석류 장식(2)이 적용되고, 그 전면으로부터는 착용하는 이의 귓볼에 형성된 구멍에 꽂아 고정할 수 있는 고정핀(3)이 마련되며, 귓볼의 후면측으로 관통되는 고정핀(3)측에는 귀걸이(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구(4)가 축 설치되는 구조이다.1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of wearing a commonly used earring, the earring 1 has a predetermined size and the same size in the form of a plate and ring having a variety of shapes, or one or a variety of materials (1a) Jewelry ornaments of various sizes (2) are applied, from the front is provided with a fixing pin (3) that can be fixed to the hole formed in the ear ball of the wearer, the fixing pin (3) side penetrates to the rear side of the ear ball The support 4 for preventing the detachment of the earrings 1 is a structure in which the shaft is installed.

상기 귀걸이의 제작은 귀걸이에 적용되는 보석이 화려하게 부착된 귀걸이로 제작되거나, 단순형태로 각각 제작되어 구입하고자 하는 구매자가 각 취향에 맞도록 각자 나름대로 필요에 따라 치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종류가 제작된다.The production of the earrings are made of earrings with the jewels applied to the earrings ornately attached, or various types are produced so that buyers who wish to purchase each can be dressed according to their needs according to their tastes. .

상기와 같이 귀걸이란 물품은 고가로 제작되거나 저가인 재료로 제작되어 구입자의 선택하에 구입하게 되는데, 때에 따라서는 그 구입량 및 구입액수가 적지 않아 물품구입에 따른 사치성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the earrings are made of expensive or inexpensive materials, and are purchased under the purchaser's choice. In some cases, the amount of purchase and the amount of the purchase are not small, resulting in a luxury factor due to the purchase of the goods.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하나의 귀걸이 제품에 2가지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는 기능성을 부여하여 착용자로 하여금 실용적인 액세서리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oint, the purpose is to give a functional accessory that can express two images in one earring product to be used as a practical accessory for the wear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귓볼의 고정공에 착용되며 일측에 마련되는 힌지부를 중심으로 전,후면부로 구획 형성된 귀걸이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에 하나의 장식 및 이에 따른 형상, 모양이 형성되고, 상기 후면부에 다수의 장식 및 이에 따른 형상, 모양이 형성되어 각각 전후면측을 착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earrings partitioned into the front, rear portion around the hinge portion is worn in the fixing hole of the ear ball, the one decoration and the shape, shape according to the front part And a plurality of decorations, and shapes and shapes according to the rear part, are formed so as to be able to wear the front and rear sides, respectively.

도 1은 일반적인 귀걸이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1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wearing a general earring,

도 2는 본 고안인 귀걸이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or earrings,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귀걸이를 착용하기 위한 상태를 보인 측면도,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for wearing an ear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 귀걸이가 착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arring is worn in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 of drawing

10: 귀걸이 11: 전면부10: Earring 11: Front

12: 후면부 13: 힌지부12: rear part 13: hinge part

20: 장식20: decoration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ing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mbodiment as follows.

첨부된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귓볼에 마련한 구멍에 착용되도록 소정길이의 고정핀(11a)이 일측에 부착 설치된 전면부(11)와, 상기 전면부(11)와 대칭되도록 일측에 상기 고정핀(11a)의 일단이 안내되어 지지되도록 걸림홈(12a)이 형성된 후면부(12)와, 상기 전면부(11) 및 후면부(12) 일측에 상호 연결되는 힌지부(13)를 갖는 귀걸이(10)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11)에 하나의 장식(20) 및 이에 따른 형상, 모양이 형성되고, 상기 후면부(12)에 다수의 장식(20) 및 이에 따른 형상, 모양이 형성되어 각각 전면측과 후면측을 바꾸어 착용할 수 있도록 한 구조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2 and 3, a front side 11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fixed pin 11a attached to one side so as to be worn in a hole provided in the ear ball, and one side to be symmetrical with the front side 11. One end of the fixing pin (11a) is guided to have a rear portion 12 is formed with a locking groove (12a), and the front portion 11 and the hinge portion 13 is interconnected to one side of the rear portion 12 In the earring 10, one decoration 20 and its shape and shape are formed on the front part 11, and a plurality of decorations 20 and its shape and shape are formed on the rear part 12. It is composed of a structure that can be worn by changing the front and rear sides respectively.

상기 전면부(11) 및 후면부(12)측에 적용되는 장식(20), 형상 및 모양은 도시하고 있는 도면과 달리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장식 및 형상 및 모양으로 제작될 수 있다.The decoration 20, the shape and the shape applied to the front part 11 and the rear part 12 are not limited to the drawings, but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decorations, shapes and shapes.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 첨부된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폭을 갖는 ∪자 형상의 소재(15) 또는 ∪자와 같이 상측의 소정부분이 개방된 링 형상소재의 어느 한 방향에서 일자형의 고정핀(16)을 꽂아 착용하는 귀걸이(10)에 있어서, 상기 ∪자 형상소재(15)의 전후면측 길이방향의 해당하는 일면은 다수의 장식(20) 및 형상, 모양을 갖고, 타측면에는 하나의 장식(20) 및 형상, 모양을 갖도록 하여 각각 전.후면측을 착용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4 attached to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y one of the U-shaped material 15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or a ring-shaped material is opened i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upper side such as In the earring 10 worn by inserting a straight pin 16 in the direction, the corresponding one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ont and back side of the U-shaped material 15 has a number of decorations 20 and shapes, shapes , The other side to have one decoration 20 and the shape, shape so that the front and rear sides can be worn respectively.

또한, 귀걸이의 전,후면부(11, 12)에 각기 형상, 모양이 다른 면에 다수의 장식(20)을 적용하거나, 각기 형상, 모양이 다른 면에 하나의 장식을 적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decorations 20 may be applied to the front and rear parts 11 and 12 of the earrings, respectively, or may have a different decoration or shap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귀걸이의 사용상에 따른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and effects according to the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earring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귀걸이(10)를 착용하고자 하는 이의 선택에 따라 귀걸이를 귓볼에 고정시키되, 착용하는 상태는 각자 자신의 분위기에 맞는 디자인쪽을 선택하여 착용할 수 있다.First, the earrings 10 are fixed to the earlobe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person to wear the earrings 10, and the state of wearing can be selected by wearing a design that fits their mood.

즉, 귀걸이(10)의 전면부(11)측과 후면부(12)측에 적용된 장식중 단순하면서 깨끗한 이미지를 표현하고자 할 경우에는 전면부(11)측을 전면으로 하여 착용하고, 화려한 이미지를 표현하고 싶을 때는 후면부(12)측을 전면으로 위치시켜 착용하여 각기 다른 느낌이 들 수 있는 이미지 변신이 가능하다.That is, if you want to express a simple and clean image of the decoration applied to the front part 11 side and the rear part 12 side of the earring 10, wear the front part 11 side as the front side and express a colorful image. When you want to wear the rear part 12 to the front side to transform the image can feel different.

상기 전,후면부(11, 12)측은 꼭 정해진바 없이 한쪽은 단순형태의 이미지를, 타측은 화려한 형태를 이미지를 부여할 수 있게 된다.The front and rear parts 11 and 12 may be provided with an image of a simple form and the other side with a colorful form without being fixed.

따라서, 귀걸이(10)의 착용에 있어, 고정핀(11a)과 고정홈(12a) 등은 전후면부에 꼭 한정하지 않고 어느 쪽이나 상관없이 형성될 수 있어 착용에 따른 불편함은 없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n the wearing of the earrings 10, the fixing pins 11a and the fixing grooves 12a, etc., are not limited to the front and rear portions, and may be formed regardless of which, so that there is no inconvenience in wearing. .

상기와 같은 귀걸이(10)는 전면부(11)와 후면부(12)측을 있는 힌지부(13)에 의해 첨부된 도 3에서와 같이 원형의 링형태인 귀걸이일 경우 별다른 간섭없이 착용 및 해체시킬 수 있다.The earring 10 as described above is worn and disassembled without any interference in the case of the earring having a circular ring shape as shown in FIG. 3 attached by the hinge part 13 having the front part 11 and the rear part 12 side. Can be.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 귀걸이(10)가 ∪자형 소재(15) 및 링형태로 일체로 형성되어 소재(15)를 귓볼의 아래쪽에서부터 위치시켜 고정핀(16)을 이용하여 착용하는 귀걸이에 있어서도, 소재(15)의 전후측을 구획하여 장식 및 형상, 모양이 보는 이로 하여금 다른 이미지를 줄 수 있도록 제작되어 상술한 귀걸이와 같이 귀걸이(10)의 전,후측을 맞바꾸어 착용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arring 10 is formed integrally in the shape of the U-shaped material 15 and the ring shape to place the material 15 from the bottom of the ear ball to be worn using the fixing pin 16 Also,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material 15 can be partitioned, and the decoration, shape, and shape can be made to give a different image to the viewer so that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earring 10 can be worn interchangeably as described above. do.

여기서 참고적으로 상기 소재와 귓볼을 관통하는 고정핀(16)의 우면측에서는 통상적으로 지지구(17)가 축 설치되어 소재(15)의 이탈을 방지시켜 주는데 상기 지지구(17)의 재질은 자석으로 제작하여 착용하는 이로 하여금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범위에서 적용될 수 있다.For reference, on the right side of the fixing pin 16 penetrating the material and the ear ball, the support 17 is generally installed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material 15. The material of the support 17 is a magnet. Produced by the wearer can be applied in a range that can help health by promoting blood circulation.

한편, 상기한 귀걸이를 착용하는 경우에 있어 머리카락을 길게 뒤로 내린 착용자에 있어서는 귀걸이의 전/후면부중 어느 한쪽만을 보여줄 수 있고, 머리카락을 묶어 올리거나 짧은 숏커트형 디자인인 상태에서는 보는 이로 하여금 귀걸이의 전후측면을 동시에 드러나게 할 수 있어, 새로운 미적 감각을 더해 줄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wearing the earrings described above, a wearer whose hair is extended backwards may show only one of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earrings. The front and back sides can be revealed at the same time, adding a new aesthetic sense.

또한, 상기와 같은 귀걸이의 전후면부는 각 화려한 상태, 단순하면서 깨끗한 이미지를 줄 수 있는 형태로 제작할 수 있어 이를 각 선호하는 구매자에게는 한쌍의 귀걸이로 하여금 디자인이 각기 다른 2가지의 귀걸이를 교체하여 가면서 착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귀걸이를 구입하는 과정에 있어서도 귀걸이 제품의 선택의 폭이 넓은 잇점이 있다.In addition, the front and rear parts of the earrings as described above can be produced in a form that can give a colorful state, a simple and clean image, so that each pair of preferred buyers have a pair of earrings while replacing two different earrings with different designs. I can wear it. Accordingly, even in the process of purchasing earrings, there is a wide range of choice of earring products.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하나의 귀걸이 제품에 각기 다른 장식 및 형상, 모양을 다르게 함으로써, 2가지 이미지 표현이 가능하여 착용자로 하여금 실용적인 액세서리로 이용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useful effect that can be used as a practical accessory by the wearer can be represented by two different images by different decorations, shapes, shapes on one earring product.

Claims (3)

착용자의 귓볼에 착용되며 일측에 마련되는 힌지부(13)를 중심으로 전면부(11)와 후면부(12)로 구획 형성된 귀걸이(10)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11)에 하나의 장식(20) 및 이에 따른 형상, 모양이 형성되고, 상기 후면부(12)는 전면부와 다른 이미지를 줄 수 있도록 다수의 장식(20) 및 이에 따른 형상, 모양이 형성되어 각각 전후면측을 착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In the earring 10 partitioned into the front part 11 and the rear part 12 with respect to the hinge part 13 provided on one side and worn on the wearer's ear ball, one decoration 20 in the front part 11 is provided. ) And thus the shape and shape are formed, and the rear part 12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decorations 20 and accordingly the shape and shape are formed to give an image different from the front part so that the front and rear sides can be worn. Earrings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에 있어서, 귀걸이(10)의 전면부(11) 및 후면부(12)에 각기 형상, 모양이 다른 면에 다수의 장식(20)을 대칭되게 형성하거나, 각기 형상, 모양이 다른 면에 하나의 장식(20)을 대칭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ornaments 20 are formed symmetrically on the front face 11 and the rear face 12 of the earring 10 in different shapes and shapes, or on different faces. Earrings characterized in that one decoration 20 is formed symmetrically. 소정 폭을 갖는 ∪자 형상의 소재(15) 또는 ∪자와 같이 상측의 소정부분이 개방된 링 형상소재의 어느 한 방향에서 일자형의 고정핀(16)을 꽂아 착용하는 귀걸이(10)에 있어서, 상기 ∪자 형상소재(15)의 전,후면중 어느 한면은 다수의 장식(20) 및 형상, 모양을 갖고 타측면에는 하나의 장식(20) 및 형상, 모양을 갖도록 하여 각각 전.후면측을 착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In the earring 10, which wears a straight fixing pin 16 in one direction of a U-shaped material 15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or a ring-shaped material having an upper predetermined portion opened such as a U-shape, Any one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U-shaped material 15 has a plurality of decorations 20 and shapes and shapes, and the other side has one decoration 20 and a shape and shapes, respectively. Earrings characterized in that wearable.
KR2019980020594U 1998-10-27 1998-10-27 earring KR19990004215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594U KR19990004215U (en) 1998-10-27 1998-10-27 ear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594U KR19990004215U (en) 1998-10-27 1998-10-27 earr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215U true KR19990004215U (en) 1999-01-25

Family

ID=69511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0594U KR19990004215U (en) 1998-10-27 1998-10-27 earr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4215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1357B1 (en) * 2023-09-27 2024-02-27 김의겸 Replaceable earrings with removable pi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1357B1 (en) * 2023-09-27 2024-02-27 김의겸 Replaceable earrings with removable pi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05438A (en) Bar pin with changeable non-rotatably secured ornament and intermediate member
US2016679A (en) Interlocking jewelry ornament
US5682768A (en) Jewelry ring with hinged ring segments
US7322213B2 (en) Modifiable jewelry
US3098364A (en) Necklaces useable separately or in parallel strands
US6550276B2 (en) Reversible and interchangeable jewelry
JPH027901A (en) Ornament piece
KR19990004215U (en) earring
KR20010013456A (en) Jewellery piece with interchangeable decorative element
KR102359670B1 (en) A multi-hollow decoration manufacturing method that can set up a three-dimensional volume increase structure and a multi-expression structure
KR101522907B1 (en) The pendant is available with compatible accessories
KR200307420Y1 (en) Earing haveing consecutive aesthetic between form members
KR200271413Y1 (en) Rotary type personal ornaments
RU2217029C1 (en) Composite set of jewelry (helenki)
KR100362990B1 (en) A personal ornaments
KR101967202B1 (en) knotted accessories with design scalability
KR200241289Y1 (en) precious metal accessory structure
KR101959518B1 (en) Combination type accessory with knot accessories
KR200336056Y1 (en) Chain for decoration
JP2002315613A (en) Personal ornaments
KR20110011681U (en) Mounting structure of pendant for accessary
KR200289765Y1 (en) ring
KR200279482Y1 (en) A ring
JP2005501633A (en) Double-sided jewelry
KR200476010Y1 (en) Stone house for accessary with Jewel of protection and improved appear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