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3971A - PDP driving device of PDP-TV - Google Patents

PDP driving device of PDP-TV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3971A
KR19990003971A KR1019970027966A KR19970027966A KR19990003971A KR 19990003971 A KR19990003971 A KR 19990003971A KR 1019970027966 A KR1019970027966 A KR 1019970027966A KR 19970027966 A KR19970027966 A KR 19970027966A KR 19990003971 A KR19990003971 A KR 19990003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ignal
data
screen
video deco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79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준석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70027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3971A/en
Publication of KR19990003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3971A/en

Links

Landscapes

  • Studio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DP텔레비전에서 PIP능을 갖는 화면 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인 텔레비전의 PIP구현 신호처리와 PDP-TV의 PIP구현 신호처리 방법이 상이하므로 PDP텔레비전에 적합한 PIP를 구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reen output device having a PIP capability in a PDP televis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implementing a PIP suitable for a PDP television because a signal processing method for PIP implementation of a general television and a PIP implementation signal processing method for a PDP-TV are different.

본 발명은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주화면에 대한 영상신호와, 부화면에 대한 영상신호를 2개의 비디오 디코더부로 인가해서 각각 독립적인 해상도를 출력시키며 또한, 비디오 디코더부의 출력 해상도를 시청자가 원하는 해상도로 전환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고화질의 화면을 시청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시청자가 텔레비전을 시청하면서 주화면에 대한 해상도를 부화면과는 독립적으로 전환할 수도 있고, 전체화면의 일측부에 해당하는 부화면의 해상도 역시 주화면에 독립적으로 시청자가 원하는 크기로 전환할 수 있다. 그럼으로 인해 한 대의 텔레비전으로 2채널을 동시에 시청할 때 부화면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도 있고, 주화면에 대한 화면의 크기도 자유조절이 가능한 PDP-TV의 PIP기능을 제시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independent resolutions by applying the video signal for the main picture and the video signal for the sub picture sent from a broadcasting station to two video decoders, and converts the output resolution of the video decoder to the resolution desired by the viewer. By providing the ability to watch a high-definition screen, the viewer can watch the television and change the resolution of the main screen independent of the sub-screen, or one side of the full screen The sub-screen resolution can also be converted to the size desired by the viewer independently of the main screen. Therefore, when watching two channels on one TV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freely adjust the size of the sub-screen, and the PIP-TV function of the PDP-TV that can freely adjust the screen size for the main screen is proposed.

Description

PDP-TV의 PIP 구동장치.(An apparatus for driving PIP of PDP-TV)An apparatus for driving PIP of PDP-TV

본 발명은 PIP기능을 갖는 PDP 텔레비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PIP기능을 갖는 PDP텔레비전의 메인화면에 대한 해상도와 서브화면에 대한 해상도를 시청자에 의해 각각 별도로 제어되도록 하는 PIP를 구현하는 PDP-TV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DP television having a PIP function.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DP television which implements a PIP for controlling a resolution of a main screen and a sub screen of a PDP television having a PIP function separately by a viewer. It's about TV.

일반적으로, 텔레비전은 각 방송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방송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여 화면에 해당하는 방송이 디스플레이 되는 것으로 방송국에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사물의 영상은 화상 신호로 변환되고, 상기 화상 신호는 일정한 고주파에 실어서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게 된다. 상기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된 고주파는 각 가정에 설치된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어 텔레비전에 인가된다. 상기 텔레비전에 수신된 고주파는 튜너회로를 통해 수신되어 텔레비전에 인가된다. 상기 텔레비전에 수신된 고주파는 튜너회로를 통해 일정 주파수로 변환된 후 화상 신호 및 음성신호로 분리되어 일정한 단계를 거친 후 화상 신호는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고, 음성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다. 이때 사용자가 채널 변환 스위치를 이용하여 텔레비전을 통해 수신할 방송채널을 선택하게 되면 화면에는 해당하는 방송국의 프로그램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다.In general, a television receives a broadcast signal transmitted from each broadcasting station through an antenna so that a broadcast corresponding to a screen is displayed. An image of an object photographed by a camera at the broadcasting station is converted into an image signal, and the image signal is a constant high frequency signal. It transmits through a transmit antenna. The high frequency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tting antenna is received through a receiving antenna installed in each home and applied to the television. The high frequency received by the television is received through the tuner circuit and applied to the television. The high frequency received by the television is converted into a predetermined frequency through a tuner circuit, and then divided into an image signal and an audio signal, and after a predetermined step, the image signal is displayed on a screen, and the audio signal is output through a speaker. At this time, when the user selects a broadcast channel to receive through a television by using a channel conversion switch, a program of a corresponding broadcasting stati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또한, 상기 수신 안테나에 접속되는 튜너회로는 PIP기능을 갖는 텔레비전의 경우에 두 개의 튜너회로로 구성된다. 즉, 텔레비전의 전체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상신호를 수신하는 메인튜너회로와, 전체화면의 일측부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상신호를 수신하는 서브튜너회로로 구성된다. 따라서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고주파는 메인튜너회로와 서브튜너회로에 동시에 인가되고, 메인튜너회로에 수신된 화상신호는 화면의 전체에 디스플레이 되고, 서브튜너회로에 수신된 화상신호는 PIP기능의 선택에 의해 나타나는 작은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다.Further, the tuner circuit connected to the receiving antenna is composed of two tuner circuits in the case of a television having a PIP function. That is, it is comprised of the main tuner circuit which receives the image signal displayed on the full screen of a television, and the sub tuner circuit which receives the image signal displayed on one side of a full screen. Therefore, the high frequency received through the receiving antenna is simultaneously applied to the main tuner circuit and the sub tuner circuit, the image signal received by the main tuner circuit is displayed on the entire screen, and the image signal received by the sub tuner circuit is selected by the PIP function. It is displayed on the small screen indicated by.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텔레비전 수상기에서 PIP기능을 갖는 화면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screen display device having a PIP function in a conventional digital television receiver.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압축된 주화면의 영상신호를 원래의 영상신호로 복원하는 영상복호기1(10a)과, 도 2에 도시한, 가변장 부호화된 부화면 영상신호를 일정한 길이의 부호로 복원한 다음 특정 프레임(I-프레임)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로부터 주화면 및 부화면에 필요한 디지털 값을 추출하여 축소된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영상복호기2(10b)와, 상기 영상복호기2(10b)에서 출력되는 축소된 영상데이터를 공급받고, 화면크기신호에 따라 그 영상데이터를 보간하거나 감쇄시켜 부화면의 영상데이터를 확대 또는 축소된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보간 및 감쇄기(12)와, 상기 보간 및 감쇄기(12)에서 출력되는 부화면의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6)와, 상기 영상복호기1(10a)에서 출력되는 주화면의 영상데이터와 메모리(16)에서 출력되는 부화면의 영상데이터를 합성하는 스위칭부(22)와, 부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화면크기신호 및 윈도우팬을 출력하는 마이크로컴퓨터(14)와, 상기 윈도우사이즈신호의 제어를 받아 유효한 부화면용 영상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상기 메모리(16)에 어드레스를 공급하는 어드레스 발생기(18)와, 상기 화면크기신호의 제어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22) 및 어드레스 발생기(18)에 타이밍신호를 공급하는 타이밍발생기(20)로 구성한 것으로,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한 제 3도 및 제 4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 shown in FIG. 1, a video decoder 1 (10a) for restoring a compressed main picture video signal to an original video signal, and a variable length coded sub picture video signal shown in FIG. And a video decoder 2 (10b) which extracts data for a specific frame (I-frame), extracts digital values necessary for the main picture and the sub picture, and outputs the reduced picture data. Interpolation and attenuator 12 for receiving the reduced image data output from 2 (10b) and interpolating or attenuating th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screen size signal to restore the image data of the sub-screen to the enlarged or reduced image data; Memory 16 for storing the image data of the sub-screen output from the interpolation and attenuator 12, Image data of the main screen output from the image decoder 1 (10a) and the sub-screen output from the memory 16 Spirit of A switching unit 22 for synthesizing the phase data, a microcomputer 14 for outputting a screen size signal and a window pan for controlling the sub-screen, and effective sub-screen image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window size signal. An address generator 18 for supplying an address to the memory 16, and a timing generator 20 for supplying a timing signal to the switching unit 22 and the address generator 18 under the control of the screen size signal. As described above,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attached to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prior ar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제 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압축된 영상 비트스트림(Bit Stream)은 A채널과 B채널로 동시에 입력된다고 가정한다. 이때, A채널과 B채널의 영상 비트스트림은 전송선로상으로 전송되어진 신호를 복조하여 에러정보를 정정하고, 트랜스포트 비트스트림에서 영상에 관한 정보만을 추출해낸 결과만을 일컫는다. A채널인 주채널 즉, 시청자가 주화면으로 보기를 원하는 화면에 대한 채널을 말하고, B채널은 부채널 즉, 시청자가 부화면으로 보기를 원하는 화면에 대한 채널을 말한다. 상기 B채널이 제 2도에서는 1개로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2개 이상 다수가 존재할 수 있다. 만일 PIP기능이 존재하지 않고 주채널의 영상만을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 A채널의 신호만이 영상복호기1(10a)을 통해 압축된 비트스트림이 원래의 영상신호로 복원된다. 상기 영상복호기1(10a)은 MPEG와 같은 방법으로 압축되어 있는 영상을 복호화하는 블록으로서 이는 어떤 공지된 복호기로도 대체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it is assumed that the compressed video bit stream is simultaneously input to the A channel and the B channel. At this time, the video bitstreams of the A and B channels refer to only the result obtained by correcting the error information by demodulating the signal transmitted on the transmission line and extracting only information about the image from the transport bitstream. A main channel, that is, A channel, that is, a channel for a screen that the viewer wants to view on the main screen, and a B channel refers to a subchannel, that is, a channel for a screen that the viewer wants to view on the sub screen. Although the B channel is illustrated as one in FIG. 2, two or more channels may exist. If there is no PIP function and only the video of the main channel is to be viewed, only the A channel signal is restored to the original video signal through the video decoder 1 (10a). The image decoder 1 (10a) is a block for decoding an image compressed in a method such as MPEG, which can be replaced by any known decoder.

부채널 즉, B채널을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는 상기 영상복호기1(10a)의 축소형으로서 이의 구현예를 제 2도에서 보여주고 있다. 제 2도에서, B채널의 영상신호는 가변장복호기(24)를 통하여 다른 복호기와 마찬가지로 일정한 길이의 부호로 복원되는데, 여기서 만일 영상신호가 움직임에 대한 보상을 해주는 부호화가 되어 있으면 그 가변장복호기(24)에서 움직임이 없는 프레임 즉, I-프레임에 대한 데이터만이 추출된다. 다시 말해서 MPEG의 경우와 같이 하나의 I-프레임 뒤에 여러개의 P-프레임과 B-프레임(움직임보상프레임)들이 따라오게 되면 이들 프레임에 대한 데이터들을 모두 제거해 버리고 I-프레임에 대한 데이터만을 추출해 낸다. 상기 가변장복호기(24)의 출력신호가 DC값보정기(26)에 공급되어 I-프레임에 대한 데이터 중에서 PIP에 필요한 DC값만 추출되는데, MPEG와 같은 경우에서는 8×8블록에 대한 DC값을 의미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가변장복호기(24)는 통상의 영상데이터 더 간단한 구조로 구현할 수 있게 되는데, 즉 움직임 보상에 관련된 회로가 불필요하게 되며 그로 인해 발생되는 부호 테이블등이 불필요하며, 단지, I-프레임에 대한 데이터를 가변장 부호에서 복호해주는 테이블만을 필요로 하게된다. DC값은 통상적으로 가변장이 아닌 부호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DC값은 DC값보정기(26)에 의해 축소화된 영상데이터로 복원되는데 이때, 축소된 영상데이터는 DCT블록의 수평, 수직사이즈만큼 축소된 영상이며, MPEG의 경우에는 가로, 세로로 1/8만큼 축소된 영상데이터이다.The video signal input through the subchannel, that is, the B channel, is a reduced type of the video decoder 1 (10a), and an embodiment thereof is shown in FIG. In FIG. 2, the video signal of the B channel is restored to a code of a constant length like the other decoders through the variable length decoder 24. If the video signal is encoded to compensate for motion, the variable length decoder At 24, only data for a frame without motion, i.e., an I-frame, is extracted. In other words, if multiple P-frames and B-frames (motion compensation frames) follow one I-frame as in the case of MPEG, all data for these frames are removed and only the data for the I-frame is extracted. The output signal of the variable length decoder 24 is supplied to the DC value corrector 26 to extract only the DC value necessary for the PIP from the data for the I-frame. In the case of MPEG, it means the DC value for 8 × 8 blocks. do. In this way, the variable length decoder 24 can be implemented with a simpler structure of ordinary image data, i.e., a circuit related to motion compensation is unnecessary, and a code table or the like generated therein is unnecessary. You only need a table that decodes the data in variable length code. The DC value is usually composed of a sign rather than a variable length, and the DC value is restored to the image data reduced by the DC value corrector 26, where the reduced image data is reduced by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ize of the DCT block. In the case of MPEG, the image data is reduced by 1/8 horizontally and vertically.

상기 가변장복호기(24)의 동작원리는 제 4도와 같으며, 이 원리는 어떠한 기존의 가변장복호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즉, 픽처헤더(Picture Header)를 체크하여 I-프레임인지를 확인하여 I-프레임 데이터이면 가변장복호기(24)를 통하여 가변장복호를 복원하고, 아니면 계속해서 그 다음의 픽쳐헤드를 체크하여 I-프레임이 검출될 때까지 스킵한다. 상기의 가변장복호화 과정을 종료한 후 DC값만을 추출하기 위하여 DC값인지를 확인해서 DC값이 아니면 데이터를 소거하고 DC값이면 출력한다.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variable length decoder 24 is shown in FIG. 4, and this principle can be applied to any existing variable length decoder. That is, the picture header is checked to determine whether it is an I-frame, and if it is I-frame data, the variable length decoder is restored through the variable length decoder 24, or the next picture head is continuously checked to check the I-frame. Skip until a frame is detected. After the above-mentioned variable length decoding process, in order to extract only the DC value, it is checked whether it is a DC value.

영상복호기2(10b)를 통해 출력되는 축소된 영상데이터는 보간 및 감쇄부(12)에 공급되어 부화면의 사이즈가 조정된다. 즉, 생산과정에서 큰 사이즈의 화면을 원할 경우에는 보간(Interpolation)과정을 통해 축소된 데이터를 좀더 큰 사이즈의 영상데이터로 복원시키고 작은 사이즈의 화면을 원할 때에는 다시 감쇄시키게 된다.The reduced image data output through the image decoder 2 (10b) is supplied to the interpolation and attenuation unit 12 to adjust the size of the sub picture. That is, when a large size screen is desired in the production process, the data reduced through interpolation is restored to a larger size image data, and when a small size screen is desired, it is attenuated again.

이때, 보간은 단순히 줌을 이용하거나 인접 화소간의 연산과정을 통해 계산해 낼 수 있으며, 이때 적용되는 보간과 감쇄회로는 어떠한 공지기술로서도 가능하다. 이렇게 원하는 사이즈의 영상데이터가 만들어지면 이는 메모리(16)에 저장되는데, 이 메모리에 저장된 작은 사이즈의 부화면 데이터는 스위칭부(22)에 의해 영상복호기1(10a)로부터 입력되는 주화면의 영상데이터와 합성된다.In this case, the interpolation may be calculated by simply using a zoom or a calculation process between adjacent pixels, and the interpolation and attenuation circuit applied at this time may be any known technique. When the image data of the desired size is made, it is stored in the memory 16. The small sized sub picture data stored in the memory is inputted from the image decoder 1 (10a) by the switching unit 22. And are synthesized.

이때, 상기 스위칭부(22)는 타이밍발생기(20)에서 출력되는 타이밍신호에 의해 제어되는데, 그 타이밍발생기(20)는 주화면용 영상신호와 부화면 영상신호의 스위칭되는 시점을 결정해 주고, 동시에 어드레스발생기(18)에서 메모리(16)의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해 출력하는 어드레스의 발생시점을 결정해준다.At this time, the switching unit 22 is controlled by the timing signal output from the timing generator 20, the timing generator 20 determines the time of switching between the main screen video signal and the sub-screen video signal, At the same time, the address generator 18 determines the time of occurrence of the address to output the data of the memory 16.

마이크로컴퓨터(14)는 생산자와 사용자가 원하는 윈도우 팬(Window pan) 즉, 부화면 영상의 위치와 화면크기 즉, 부화면의 크기와 정보들을 출력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타이밍발생기(20)측으로 출력하고, 그 타이밍발생기(20)에서는 부화면 영상데이터가 삽입되는 타이밍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4)는 상기 보간 및 감쇄기(12)에 윈도우의 사이즈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사이즈의 부화면용 영상데이터를 생성토록 하고, 상기 타이밍발생기(20)에도 그 사이즈정보를 출력하고 이에 따라 그 타이밍발생부에서 출력되는 해당 타이밍신호에 의해 상기 메모리(16)에서 유효한 부화면의 영상데이터가 출력된다.The microcomputer 14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outputting the position and screen size of the sub-screen image, that is, the size and information of the sub-screen, to the timing generator 20. The timing generator 20 outputs a timing signal into which sub-screen image data is inserted. In addition, the microcomputer 14 outputs the window size information to the interpolation and attenuator 12 to generate sub-screen image data of a desired size, and also outputs the size information to the timing generator 20. The video data of the sub-screen valid in the memory 16 is outputted by the timing signal outputted from the timing generator.

MPEG와 같은 I-프레임 뒤에 P-프레임이나 B-프레임이 연속해서 따라오는 경우에는 P-프레임이나 B-프레임은 제거되기 때문에 I-프레임을 축소한 영상이 다음 I-프레임을 축소한 영상이 다음 I-프레임이 발생될 때까지 중복하여 출력된다. 이때, 상기 메모리(16)에 이미 I-프레임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원하는 만큼의 프레임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If P-frames or B-frames follow consecutively after an I-frame such as MPEG, the P-frame or B-frame is removed, so the image with the reduced I-frame is next. The output is repeated until an I-frame is generated. At this time, since the data for the I-frame is already stored in the memory 16, it is possible to output as many frames as desired.

그런데 제 1도에서 보간 및 감쇄기(12)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제 4도에서와 같이 영상복호기의 출력을 그대로 일정용량의 램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기록된다.However, when the interpolation and attenuator 12 does not exist in FIG. 1, the output of the image decoder is recorded in a memory composed of RAM of a predetermined capacity as shown in FIG.

그리고, 2배의 줌영상일 경우 상기 어드레스발생기(18)는 한 어드레스의 데이터를 중복하여 읽어내도록 어드레스를 발생시키고, 1/2로 축소시킬 경우에는 그 메모리(16) 내의 어드레스를 하나씩 건너 뛰어서 발생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화면을 2배로 줄이거나 확대할 수 있게 된다.In the case of a 2x zoom image, the address generator 18 generates an address so that data of one address is repeatedly read, and when reduced to 1/2, the address generator 18 skips the addresses in the memory 16 one by one. Let's do it. This allows you to reduce or enlarge the screen twice.

그러나, 40″이상의 대형화와 칼라화가 쉬우며 넓은 시야각을 갖는 등 다른 평판 소자보다 유리한 특징을 갖고 있는 PDP-TV는 종래의 CRT와는 상이하므로 상기와 같은 PIP구현 방법을 그대로 적용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However, PDP-TVs that have advantages over other flat panel devices such as larger size and color, more than 40 ″, and wide viewing angles are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CRTs.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bove PIP implementation method cannot be applied as it is. .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방송국에서 송신하는 고주파 신호인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PIP기능을 갖는 텔레비전에 구비된 메인튜너 및 서브튜너에 의해 수신되어 각각 별도의 비디오 디코더부로 주신호와 부신호를 인가함으로서, PDP-TV의 전체화면에 해당하는 주화면과 전체화면의 일측부에 해당하는 부화면의 화질을 좋게 하고, 또한 각각의 리사이징부에 의해서 주화면과 부화면의 해상도를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ceive a video signal and an audio signal, which are high-frequency signals transmitted from a broadcasting station, by a main tuner and a sub-tuner provided in a television having a PIP function, respectively. By applying the main signal and the sub-signal to the video decoder unit, the picture quality of the main screen corresponding to the full screen of the PDP-TV and the sub-screen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the full screen can be improved, and the main screen and the sub-sized part are respectively resize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function that can independently adjust the resolution of the sub-screen.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텔레비전의 PIP구현에 관한 개략적인 블록도.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PIP implementation of a conventional digital televis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 2영상 복호기의 상세도.FIG. 2 is a detailed view of the second video decoder shown in FIG. 1. FIG.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변장 복호기의 동작원리에 대한 흐름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variable length decoder illustrated in FIG. 2.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PDP 텔레비전에서 PIP구현에 관한 개략적인 블록도.4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PIP implementation in a PDP televi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데이터 재배열부에 관한 상세도.FIG. 5 is a detailed view of the data rearrangement unit shown in FIG. 4.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비디오 디코더부 20 : 신호 전환부10: video decoder unit 20: signal switching unit

30 : 신호 제어부 32 : 프레임 버퍼부30: signal controller 32: frame buffer unit

34 : 데이터 재배열부 38 : 어드레스 생성부34: data rearrangement unit 38: address generation unit

40 : 메모리부 50 : 데이터 인터페이스부40: memory section 50: data interface section

60 : PDP부 70 : 쉬프트 레지스트부60: PDP portion 70: shift resist portion

80 : 멀티플렉서 90 : 3-상태 버퍼부80: multiplexer 90: 3-state buffer

우선 본 발명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메인튜너회로를 거친 주화면에 대한 신호와 서브튜너회로를 거친 부화면에 대한 신호를 입력 신호로해서 RGB 포맷의 일정한 해상도를 출력시키는 비디오 디코더부, 상기 비디오 디코더부와 접속되며, 주화면에 대한 비디오 디코더부의 출력 영상신호와 부화면에 대한 비디오 디코더부의 출력 영상신호를 입력 신호로 해서 신호주사모드인 비월주사모드를 순차주사모드로 전환하여 해상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하는 신호전환부, 상기 신호전환부와 접속되며, 신호 전환부의 출력신호를 일시 저장하는 프레임 버퍼부와 병렬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직렬로 출력시키는 데이터 재배열 기능을 갖는 데이터 재배열부 및 각각의 영상신호에 대한 어드레스 정보를 제공하는 어드레스 생성부로 이루어진 신호제어부, 상기 신호제어부와 접속되며, 신호제어부에서 출력되는 RGB 영상신호를 교번으로 판독 및 기록을 하는 A-메모리와 B-메모리로 구성된 메모리부, 상기 메모부와 접속되며, 메모리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PDP부의 어드레스 드라이브 IC에서 요구하는 데이터 형태로 맞추어서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부(50),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되는 PDP부(60)로 이루어진다.First, as shown in FIG. 1,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ideo decoder for outputting a constant resolution in an RGB format by using a signal for a main picture passed through a main tuner circuit and a signal for a sub picture passed through a sub tuner circuit as input signals. And the interlaced scanning mode, which is a signal scanning mode, is converted into a sequential scanning mode, which is connected to the video decoder unit and uses the output video signal of the video decoder unit for the main screen and the output video signal of the video decoder unit for the sub-screen as input signals. Signal cultivation unit for adjusting the resolution, the data cultivation having a data rearrangement function connected to the signal switching unit, and outputs the data serially input in parallel with the frame buffer unit for temporarily storing the output signal of the signal switching unit A signal controller comprising a column section and an address generator for providing address information for each video signal; A memory unit consisting of an A-memory and a B-memory connected to the signal control unit and alternately reading and writing an RGB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signal control unit, and connected to the memo unit, and outputting data from the memory unit to the PDP The data interface unit 50 serves to provide data in the form of data required by the negative address drive IC, and the PDP unit 60 is connected to the data interface unit.

본 발명에 따르면, PIP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PDP텔레비전을 시청자가 시청하면서 주화면과는 독립적으로 부화면의 해상도를 조절하고 싶을 때 예를들어, 시청하는 부화면의 해상도를 증가 시킬 수도 있고, 낮게할수도 있으며, 가로 또는 세로의 해상도를 늘일수도있고 또한, 부화면에 대해서 독립적으로 주화면의 해상도 조절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viewer watches a PDP television having a PIP function and wants to adjust the resolution of the sub-screen independently of the main screen, for example, the resolution of the sub-screen to be viewed may be increased or lowered. You can do this, you can increase the horizontal or vertical resolution, and you can also adjust the resolution of the main screen independently of the subscree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PIP기능을 갖는 텔레비전의 주화면과 부화면의 해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resolution of a main screen and a sub-screen of a television having a PIP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은 텔레비전 방송국으로부터 PIP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전에 송신되는 아날로그 TV신호 즉, 주화면의 영상신호와 부화면의 영상신호가 메인튜너회로부와 서브튜너회로부를 거쳐 일정한 신호로 전환되어 비디오 디코더부(10)로 인가된다. 상기의 주신호는 제 1비디오 디코더부(12)에 인가되고, 부신호는 제 2비디오 디코부(14)로 인가되어 각각 RGB포맷으로 전환되며, RGB포맷의 일정한 해상도를 갖는 예를들어 640×480 이나 720×480 및 853×480 등의 데이터가 제 1필드메모리(14)에 저장되며, 부신호의 데이터는 제 2필드메모리(18)에 저장된 후 신호전환부로 출력된다.As shown in Fig. 1, in the present invention, an analog TV signal transmitted from a television broadcasting station to a television having a PIP function, that is, a video signal of a main screen and a video signal of a sub-screen is fixed through a main tuner circuit portion and a sub tuner circuit portion. The signal is converted into a signal and applied to the video decoder unit 10. The main signal is applied to the first video decoder unit 12, and the sub-signal is applied to the second video decoder 14 to be converted into RGB format, respectively. Data such as 480 or 720x480 and 853x480 is stored in the first field memory 14, and the data of the sub-signals are stored in the second field memory 18 and then output to the signal switching unit.

상기의 비디오 디코더부에서 출력되는 주신호의 데이터는 제 1신호 전환부로 인가되고, 부신호의 데이터는 제 2신호 전환부로 인가된다. 각각의 신호 전환부는 라인더블러부와 리사이징부로 구성되며, 먼저 라인더블러부는 방송국에서 송신되는 비월신호를 순차신호로 전환하는 기능을 한다.The data of the main signal output from the video decoder unit is applied to the first signal switching unit, and the data of the sub signal is applied to the second signal switching unit. Each signal switching unit includes a line doubler unit and a resizing unit. First, the line doubler unit converts interlaced signals transmitted from broadcasting stations into sequential signals.

상기와 같이 비월신호를 순차신호로 전환하는 이유는, PDP-TV의 계조방식은 한 화소씩 구동하는 음극선관과는 달리 대상으로 하는 상(像)에서 만들어 내는 적·녹·청(RGB)의 3원색 광성분이 일정시간 라인별로 끊어서 순차 전기신호로 변환되어 송신·수신하는 라인 순차방식이기 때문이다. 한편, 컴퓨터의 영상화면도 순차 주사방식이므로 멀티기능을 내장한 컴퓨터와 호환이 가능하게 된다.The reason why the interlaced signal is converted into the sequential signal as described above is that, unlike the cathode ray tube which is driven one pixel at a time, the PDP-TV gradation method uses red, green and blue (RGB) produced by the target image. This is because the three primary color light components are separated by line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converted into electrical signals in order to transmit and receive. On the other hand, since the video screen of the computer is also a sequential scanning method, it is compatible with a computer with a built-in multi-function.

또한, 신호 전환부(20)의 리사이징부(22b, 24b)는 비디오 디코더부(10)로 부터 인가된 해상도에 대한 신호를 시청자가 원하는 해상도로 전환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제 1비디오 디코더부(12)의 출력 해상도가 640×480일 경우 720×480으로 전환하고자 한다면 버튼조작부(도시안됨)에서 마이컴(도시안됨)을 통해 전환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resizing units 22b and 24b of the signal switching unit 20 provide a function of converting a signal for a resolution applied from the video decoder unit 10 to a resolution desired by the viewer. That is, when the output resolution of the first video decoder unit 12 is 640 × 480, if the user wants to switch to 720 × 480, the button manipulation unit (not shown) can switch through the microcomputer (not shown).

그리고, 제 2신호 전환부의 리사이징부(24b)도 시청하고 있는 부화면의 크기를 버튼조작부(도시안됨)에 의해서 변경하는 기능을 제공하므로, 제 1신호 전환부(22)의 리사이징부(22b)와 같은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전환된 신호의 데이터는 프레임 버퍼부(32)로 인가된다.In addition, since the resizing unit 24b of the second signal switching unit also provides a function of changing the size of the sub-screen viewed by the button operating unit (not shown), the resizing unit 22b of the first signal switching unit 22 is provided. Functions like In addition, the data of the converted signal is applied to the frame buffer unit 32.

프레임버퍼부(32)는 상기 신호 전환부(30)에서 인가된 신호의 흐름속도가 다르다든지, 정보의 발생 시점이 다르면 이것을 보상하고, 데이터의 손실없이 효과적으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장소이며, 제어 신호에 의해서 데이터 재배열부(34)로 신호가 인가된다.The frame buffer unit 32 compensates for the difference in the flow rate of the signal applied from the signal switching unit 30 or when the information generation point is different, and temporarily stores the data in order to effectively transmit the information without losing data. The signal is applied to the data rearrangement unit 34 by the control signal.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데이터 재배열부(34)는 쉬프트 레지스트(70), D-FF(플립플롭)·멀티플렉서(80), 및 3-상태 버퍼(90)로 구성되어, 상기 프레임버퍼부(32)에서 병렬(MSB∼LSB)로 제공되는 영상 데이터가 프레임 메모리의 한 어드레스에 동일한 가중치(Weihgt)를 갖는 비트들로 저장되도록 재배열한다. 즉, 쉬프트 레지스트 A가 8개 샘플의 영상 데이터를 로드하는 동안, 쉬프트 레지스트 B에서는 이전에 로드되었던 8개 샘플의 영상 데이터가 최상위 비트(8비트)부터 최하위 비트(8비트)까지 순차적으로 쉬프트 하면서 출력된다.As shown in FIG. 5, the data rearrangement unit 34 is composed of a shift resist 70, a D-FF (flip-flop) multiplexer 80, and a three-state buffer 90. The image data provided in parallel (MSB to LSB) at 32 is rearranged so as to be stored as bits having the same weight Weihgt at one address of the frame memory. That is, while the shift resist A loads 8 samples of image data, the shift register B sequentially shifts the image data of 8 samples previously loaded from the most significant bit (8 bits) to the least significant bit (8 bits). Is output.

그러므로, 상기 프레임버퍼부(32)에서 제공하는 영상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재배열하기 위해, 쉬프트 레지스트A, B 2개를 마련하고, 이들이 교번으로 로드와 쉬프트 동작을 반복하도록 한다. D-FF과 멀티플렉서는 이들 중 쉬프트 모드에서 출력되는 동일한 가중치의 데이터(Reordered Data)를 선택하여 3-상태 버퍼로 공급한다.Therefore, in order to continuously rearrange the image data provided by the frame buffer unit 32, two shift resists A and B are provided so that the load and shift operations are alternately repeated. The D-FF and the multiplexer selects the same weighted data (Reordered Data) output in the shift mode and supplies them to the 3-state buffer.

그것은 한 장의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프레임 메모리(40) 또한, 2개를 마련하여 이들이 프레임 단위로 쓰고, 읽는 동작을 교번으로 수행함으로써, 연속적으로 영상 데이터를 저장,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3-상태 버퍼A, B는 D-FF과 멀티플렉서로부터 제공되는 재배열된 영상 데이터를 기록모드에 있는 프레임 메모리로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It also provides two frame memories 40 capable of storing a single piece of image data, and allows them to continuously store and display image data by alternately performing writing and reading operations in units of frames. Therefore, the tri-state buffers A and B serve to connect the rearranged image data provided from the D-FF and the multiplexer to the frame memory in the recording mode.

본 시스템은 비월방식으로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순차방식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므로, 기록 어드레싱과 판독 어드레싱의 순서가 다르게 된다. 즉 메모리에 저장된 1프레임의 영상 데이터는 1라인 분량의 홀수 라인 데이터를 판독 후, 짝수 라인 데이터 판독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 또한, PDP 계조 처리 상, 1필드를 몇 개의 서브필드로 나누고, 각 서브필드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를 차례로 판독하여 데이터 인터페이스부(50)로 제공하여야 하므로, 기록 순서와는 구조적으로 아주 다른 판독 순서를 갖게 된다. 그러므로 기록 발생기와 판독 발생기로 이루어진 어드레스 생성부가 필요하며, 프레임 메모리 A, B의 각 동작모드(기록, 판독 모드)에 따라 해당 어드레스를 제공해주는 역할을 한다.This system converts and displays video data input by interlacing in a sequential manner, so that the order of write addressing and read addressing is different. That is, the image data of one frame stored in the memory reads one line of odd line data and then repeats reading of even line data. Further, in the PDP gradation processing, one field is divided into several subfields, and image data corresponding to each subfield must be read in turn and provided to the data interface unit 50, so that the reading order is structurally very different from the recording order. Will have Therefore, an address generator consisting of a write generator and a read generator is required, and serves to provide a corresponding address according to each operation mode (write and read mode) of the frame memories A and B.

상기 어드레싱 신호에 의한 데이터 재배열부(30)의 출력신호는 프레임 메모리A(42)와 프레임 메모리B(44)에 교번으로 기록과 판독의 동작을 행하며, 메모리 A와 메모리 B에 저장된 데이터는 데이터 인터페이스부로 인가되어 RGB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였다가, PDP부(60)의 어드레스 드라이브 IC(도시안됨)에서 요구하는 데이터의 형태로 맞추어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The output signal of the data rearranging unit 30 by the addressing signal alternately writes and reads the frame memory A 42 and the frame memory B 44, and the data stored in the memory A and the memory B are the data interface. It is applied as a negative to temporarily store the RGB data, and serves to provide the data in the form of data required by the address drive IC (not shown) of the PDP unit 60.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스부의 출력신호는 데이터 스트림으로 PDP부(60)에 인가되고, PDP부는 어드레스 드라이브 IC에 저장된 한 라인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기입하고, 기입한 후 데이터를 빠른 주파수로 교번으로 켜 주게끔 되어서 한 장의 주화면과 부화면을 만들어 낸다.The output signal of the data interface unit is applied to the PDP unit 60 as a data stream, and the PDP unit writes information data for one line stored in the address drive IC, and turns on the data alternately at a high frequency after writing. Create a main and subscreen.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은 주신호와 부신호에 대한 영상신호를 각각의 비디오 디코더부에서 독립적으로 해상도를 결정하고 또한, 각각 다른 리사이징부를 사용해서 비디오 디코더부의 해상도를 독립적으로 전환할 수 있게 함으로서, PIP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텔레비전을 시청자가 시청하면서 현재 시청하고 주화면에 대한 해상도를 시청자가 원하는 해상도로 부화면과는 독립적으로 선택할 수 있게 하고, 부화면에 대한 해상도도 주화면과는 독립적으로 해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ndependently determines the resolution of the video signal for the main signal and the sub-signal in each video decoder unit, and also independently switches the resolution of the video decoder unit using different resizing units. This enables the viewer to watch the television with PIP function while watching the current screen, and to select the resolution of the main screen independently of the subscreen at the resolution desired by the viewer, and the resolution of the subscreen as the main screen. The effect is to be able to adjust the resolution independently.

Claims (4)

튜너회로부로부터 송출된 주화면의 신호와 부화면의 신호를 RGB포맷으로 전환해서 주화면에 대한 신호와 부화면에 대한 신호를 각각 독립적인 해상도로 출력시키는 비디오 디코더부(10), 상기 비디오 디코더부에서 인가된 비월신호를 순차신호로 전환하는 라인더블러부와, 비디오 디코더부에서 결정된 해상도를 시청자가 원하는 해상도로 전환하는 기능을 하는 리사이징부로 구성된 신호전환부(20), 상기 신호전환부의 출력신호를 일정한 신호로 데이터 재배열부에 전송하기 위해서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하는 프레임 버퍼부(40)와 프레임 버퍼부의 병렬데이터를 직렬로 출력시키는 데이터 재배열부(34) 및 데이터 재배열부의 출력신호를 프레임 메모리의 기록모드와 판독모드에 따라 해당 어드레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어드레스 생성부로 이루어진 신호제어부(30), 상기 신호전환부의 데이터 재배열부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기록, 판독 동작을 교번으로 수행해서 한 장의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2개의 필드메모리로 구성된 메모리부(40), 상기 메모리부에서 출력되는 RGB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였다가, PDP부의 어드레스 드라이브 IC부에서 요구하는 테이터 형태로 맞추어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부(50) 및 PDP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P-TV의 PIP구현장치.The video decoder unit 10 for converting the main screen signal and the sub-scree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uner circuit unit into the RGB format and outputting the signal for the main screen and the sub-screen signal at independent resolutions, respectively, and the video decoder unit. A signal switching unit (20) comprising a line doubler unit for converting the interlaced signal applied from the sequential signal into a sequential signal, a resizing unit for converting the resolution determined by the video decoder unit into a desired resolution, and an output signal of the signal switching unit. The output signal of the frame rearrangement unit 34 and the data rearrangement unit which outputs the parallel data of the frame buffer unit serially and the frame buffer unit 40 which temporarily store the data to be transferred to the data rearrangement unit as a constant signal are output to the frame memory unit. It is composed of an address generator which serves to provide a corresponding address according to a recording mode and a reading mode. A memory unit 40 comprising two field memories for storing one piece of image data by alternately writing and reading data provided by the data control unit of the call control unit 30 and the data rearranging unit of the signal switching unit in a frame unit; PIP of the PDP-TV, which comprises a data interface unit 50 and a PDP unit which temporarily store RGB data output from the memory unit and provide the data in the form of data required by the address drive IC unit of the PDP unit. Implementati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비디오 디코더부는 메인튜너부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입력으로 한 제 1비디오 디코더부(12)와 제 1비디오 디코더부에서 결정된 해상도를 저장하는 필드메모리 및 서브튜너회로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입력으로 한 제 2비디오 디코더부(16)와 제 2비디오 디코더부에서 결정된 부화면의 해상도를 저장하는 필드메모리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PDP-TV의 PIP구현장치.2. The video decoder un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ideo decoder unit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in tuner unit and a signal transmitted from a field memory and a subtuner circuit for storing the resolution determined by the first video decoder unit 12 and the first video decoder unit. And a field memory (2) for storing the resolution of the sub-screen determined by the second video decoder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신호 전환부는 비디오 디코더부에서 출력되는 주신호의 비월모드를 순차모드로 전환하는 라인더블러부(22a)와 비디오 디코더부에서 출력되는 해상도를 시청자가 원하는 크기로 전환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리사이징부(22b)로 이루어진 제 1신호 전환부(22) 및 비디오 디코더부에서 출력되는 부신호의 비월모드를 순차모드로 전환하는 라인더블러부(24a)와 부신호의 비디오 디코더부에서 출력되는 해상도를 시청자가 원하는 크기로 전환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리사이징부(24b)로 이루어진 제 2신호 전환부(2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P-TV의 PIP구현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signal switching unit provides a line doubler unit 22a for converting the interlaced mode of the main signal output from the video decoder unit into a sequential mode and a function for converting the resolution output from the video decoder unit to a desired size. The first signal switching unit 22 comprising the resizing unit 22b and the line doubler unit 24a for switching the interlacing mode of the sub-signals output from the video decoder unit to the sequential mode and the video decoder unit of the sub-signal A PIP-TV implementation apparatus for a PDP-TV, comprising a second signal switching unit (24) consisting of a resizing unit (24b) for providing a function for converting a resolution to a size desired by a viewer. 제 1 항에 있어서, 신호 제어부(30)는 제 1신호 전환부와 제 2신호 전환부의 출력신호를 데이터 재배열부로 데이터의 제어 신호에 맞춰서 출력시키도록 하는 프레임 버퍼부(32)와 프레임 버퍼부의 병렬 출력신호를 직렬로 메모리부에 제공하도록 하는 데이터 재배열부의 출력신호를 프레임 메모리의 기록모드와 판독모드에 따라 해당 어드레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어드레스 생성부(3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P-TV의 PIP구현장치.The frame buffer unit 32 and the frame buffer unit of claim 1, wherein the signal controller 30 outputs the output signals of the first signal switch unit and the second signal switch unit to the data rearrangement unit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of the data. A PDP comprising an address generator 38 which serves to provide an output signal of a data rearrangement unit for providing a parallel output signal in series to a memory unit according to a write mode and a read mode of a frame memory; -PIP implementation of TV.
KR1019970027966A 1997-06-27 1997-06-27 PDP driving device of PDP-TV KR1999000397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7966A KR19990003971A (en) 1997-06-27 1997-06-27 PDP driving device of PDP-TV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7966A KR19990003971A (en) 1997-06-27 1997-06-27 PDP driving device of PDP-TV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971A true KR19990003971A (en) 1999-01-15

Family

ID=65987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7966A KR19990003971A (en) 1997-06-27 1997-06-27 PDP driving device of PDP-TV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3971A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9273B1 (en) * 1999-11-08 2002-03-18 구자홍 Method and device for picture output in TV
KR20030054017A (en) * 2001-12-24 2003-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 Multi picture of TV
KR100560525B1 (en) * 2004-10-04 2006-03-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lasma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0672547B1 (en) * 1999-11-15 2007-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Apaaratus for display multi-screen
KR100767359B1 (en) * 2001-02-16 2007-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a pip func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0851707B1 (en) * 2001-06-28 2008-08-11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Video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959138B1 (en) * 2003-07-26 2010-05-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screen driving method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9273B1 (en) * 1999-11-08 2002-03-18 구자홍 Method and device for picture output in TV
KR100672547B1 (en) * 1999-11-15 2007-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Apaaratus for display multi-screen
KR100767359B1 (en) * 2001-02-16 2007-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a pip func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0851707B1 (en) * 2001-06-28 2008-08-11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Video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KR20030054017A (en) * 2001-12-24 2003-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 Multi picture of TV
KR100959138B1 (en) * 2003-07-26 2010-05-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screen driving method
KR100560525B1 (en) * 2004-10-04 2006-03-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lasma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33191B2 (en) Screen resolution enhancement by dithering
KR100635239B1 (en) On screen character display for television receiver
CA2241457C (en) High definition television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plural images contained in broadcasting signals of mutually different broadcasting systems
KR100315070B1 (en) Image display device
US6384868B1 (en) Multi-screen display apparatus and video switching processing apparatus
JP3617573B2 (en) Format conversion circuit and television receiver including the format conversion circuit
JP456846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recording and displaying two different video programs
CN102769728A (en) Shared memory multi video channe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s
CN102523372A (en) Shared memory multi video channe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s
KR20010053606A (en) Decimation of a high definition video signal
KR19990003971A (en) PDP driving device of PDP-TV
JPH1093909A (en) Method for storing video frame data in one memory
JP2008098710A (en) Digital broadcast receiver
JP3723657B2 (en) Method for storing decoded multi-color digital image bitmap in RAM for display
JP3925776B2 (en) Video display device
JP3745589B2 (en) Scan line conversion circuit
CN101461233A (en) Shared memory multi video channe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s
KR100385975B1 (en) Apparatus for converting video format and method thereof
JP2000333166A (en) Means for decoding high efficiency coded image and image display device having the means
KR19990003970A (en) PDP driving device of PDP-TV
JP2003274372A (en) Image format converting device whose line memory is reduced in capacity
KR970004192B1 (en) Pip circuit of digital television system
JPS63200681A (en) High definition television receiver
KR100269369B1 (en) Digital receiv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having multi-window
KR100295781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verting horizontal screen ratio of picture signal in wide screen picture proces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