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2739A - 단축 메시지 착신 기능을 갖는 지에스엠(gsm) 이동 통신 교환기 - Google Patents

단축 메시지 착신 기능을 갖는 지에스엠(gsm) 이동 통신 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2739A
KR19990002739A KR1019970026442A KR19970026442A KR19990002739A KR 19990002739 A KR19990002739 A KR 19990002739A KR 1019970026442 A KR1019970026442 A KR 1019970026442A KR 19970026442 A KR19970026442 A KR 19970026442A KR 19990002739 A KR19990002739 A KR 19990002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 message
request signal
incoming reque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6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25527B1 (ko
Inventor
안희정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70026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5527B1/ko
Publication of KR19990002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2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5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5527B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비스 센터로부터의 단축 메시지 착신 요구 신호를 해당 단말에 전송하기 위한 GSM 이동 통신 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서비스 센터로부터의 단축 메시지 착신 요구 신호를 교환기 내부의 신호 형태로 전환시켜 출력하며, 인가되는 응답 메시지및 에러 메시지를 상기 서비스 센터로 송신하는 MAP 정합부(10)와; 이동 통신 교환기가 관리하는 지역의 단말들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단축 메시지 착신 요구 신호에 대응하는 단말에 대한 단축 메시지 착신 서비스의 실행 승인및 단말에 대한 통화/휴지 상태의 정보를 제공하는 레지스터 억세스 제어부(30)와; MAPC(10)로부터의 단축 메시지 착신 요구 신호를 입력하며, 해당 단말에 대한 단축 메시지 수행이 레지스터 억세스 제어부(20)로부터 승인 될 때 단축 메시지 착신 요구 신호를 재출력하며, 단축 메시지 수행이 승인되지 않을 때의 에러 메시지, 단말기의 통화 여부 정보 및 입력된 응답 메시지를 MAPC(10)에 제공하는 단축 메시지 게이트웨이및 인터워킹 제어부(20)와; 입력되는 단축 메시지 착신 요구 신호를 이동 기지국에 제공하며, 이동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되는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이동 통신 가입자 인터페이스부(70)와; 입력되는 단축 메시지 착신 요구 신호를 타켓 이동 통신 교환기로 제공하며, 앵커 이동 통신 교환기로부터 제공되는 단축 메시지 착신 요구 신호를 이동 통신 가입자 인터페이부(70)에 제공하는 핸드 오버 제어부(60)와; 단말들의 핸드 오버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이동호 제어부(50)와; 단축 메시지 게이트 웨이및 인터워킹 제어부(20)로부터의 단축 메시지 착신 요구 신호에 대한 단말기의 핸드오버 여부를 이동호 제어부(50)로부터 확인하고, 단말기가 핸드 오버 되었으면 핸드 오버 제어부(60)에 단축 메시지 착신 요구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단말기기 핸드오버 상태가 아니면 단축 메시지 착신 요구 신호를 이동 통신 가입자 인터페이스부(70)에 제공하며, 이동 통신 가입자 인터페이스부(70)의 응답 메시지를 상기 단축 메시지 게이트웨이및 인터워킹 제어부(20)에 제공하는 단축 메시지 제어부(4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단축 메시지 착신 기능을 갖는 지에스엠(GSM) 이동 통신 교환기
본 발명은 서비스 센터로부터의 단축 메시지를 단말기에 착신할 수 있게 한 GSM 이동 통신 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및 개인 통신 서비스의 부가 서비스중의 하나인 단축 메시지 서비스는 유럽 등지에서 상용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단축 메시지 기능이란 각 단말기간에 문자 등의 메시지를 전송이 가능하도록 한 기능으로서, 현재의 GSM 이동 통신 방식에서는 구현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비스 센터로부터 제공되는 단축 메시지를 단말기에 착신할 수 있게 한 GSM 이동 통신 교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비스 센터로부터의 단축 메시지 착신 요구 신호를 해당 단말기에 전송하기 위한 GSM 이동 통신 교환기로서, 서비스 센터로부터의 단축 메시지 착신 요구 신호를 교환기 내부의 신호 형태로 전환시켜 출력하며, 인가되는 응답 메시지및 에러 메시지를 서비스 센터로 송신하는 MAP 정합부(10)와; 이동 통신 교환기가 관리하는 지역의 단말기들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단축 메시지 착신 요구 신호에 대응하는 단말기에 대한 단축 메시지 착신 서비스의 실행 승인및 단말기에 대한 통화/휴지 상태의 정보를 제공하는 레지스터 억세스 제어부와; MAP 정합부로부터의 단축 메시지 착신 요구 신호를 입력하며, 해당 단말기에 대한 단축 메시지 수행이 레지스터 억세스 제어부로부터 승인 될 때 단축 메시지 착신 요구 신호를 재출력하며, 단축 메시지 수행이 승인되지 않을 때의 에러 메시지, 단말기의 통화 여부 정보 및 입력된 응답 메시지를 MAP 정합부에 제공하는 단축 메시지 게이트웨이및 인터워킹 제어부와; 입력되는 단축 메시지 착신 요구 신호를 이동 기지국에 제공하며, 이동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되는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이동 통신 가입자 인터페이스부와; 입력되는 단축 메시지 착신 요구 신호를 타켓 이동 통신 교환기로 제공하며, 앵커 이동 통신 교환기로부터 제공되는 단축 메시지 착신 요구 신호를 이동 통신 가입자 인터페이부에 제공하는 핸드 오버 제어부와; 단말기들의 핸드 오버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이동호 제어부와; 단축 메시지 게이트 웨이및 인터워킹 제어부로부터의 단축 메시지 착신 요구 신호에 대한 단말기의 핸드오버 여부를 이동호 제어부로부터 확인하고, 단말기가 핸드 오버 되었으면 핸드 오버 제어부에 단축 메시지 착신 요구 신호를 제공하고, 단말기가 핸드오버 상태가 아니면 단축 메시지 착신 요구 신호를 이동 통신 가입자 인터페이스부에 제공하며, 이동 통신 가입자 인터페이스부의 응답 메시지를 단축 메시지 게이트웨이및 인터워킹 제어부에 제공하는 단축 메시지 제어부를 구비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축 메시지 착신 기능을 갖는 지에스엠(GSM) 이동 통신 교환기의 개략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교환기가 행하는 작동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MPC 정합부20 : 단축 메시지 게이트웨이및 인터워킹 제어부
30 : 레지스터 억세스 제어부
40 : 단축 메시지 제어부50 : 이동호 제어부
60 : 핸드 오버 제어부70 : 이동 통신 가입자 인터페이스부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단축 메시지를 착신 처리하는 GSM 이동 통신 교환기의 블록도이다.
여기서, 도시하지 않은 서비스 센터로부터 GSM 이동 통신 교환기로 단축 메시지 착신 요구 신호가 인가되며, GSM 이동 통신 교환기는 이 단축 메시지를 해당 단말에 착신시켜야 하나, 이 경우 해당 단말은 통상 3가지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즉, 해당 단말은 휴지 상태일 수 있고, 또는 통화중일 수 있으며 또는 핸드 오버상태일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GSM 이동 통신 교환기는 단말기의 3 가지 상태에 대하여 적절히 처리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도 1 에는 2개의 이동 통신 교환기(100,200)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두 개의 이동 통신 교환기(100,200)를 도시한 이유는 단말이 앵커(Anchor)인 교환기(100)의 영역으로부터 타겟(Target)이된 교환기(200)의 영역으로 핸드 오버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교환기(100, 2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하게 형성되는 바, 앵커로 가정된 교환기(100)를 중심으로하여 본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여기서, 도시하지 않은 서비스 센터로부터의 단축 메시지 착신 요구 신호가 교환기(100)내의 MAP 정합 블록인 MAPC(10)에 인가되는 경우에(이것에 의하여 교환기(100)는 앵커가 된다.) MAPC(10)는 이 단축 메시지 착신 요구 신호를 교환기 내부의 신호 형태로 전환시키게 구성된다.
그리고, MAPC(10)에 의하여 전환된 단축 메시지 착신 요구 신호는 단축 메시지 게이트웨이및 인터워킹 제어부(Short Message Gateway Interworking Control ; 이하, SMGIC라 함)(20)에 인가된다. 여기서, SMGIC(2)는 교환기와 서비스 센터간의 루트 관리 블록으로서, 내부 데이터 베이스(HLR : Home Location Register)를 이용하여 단축 메시지를 착신하여야하는 단말까지의 루틴을 확인하게 된다. 또한, SMGIC(20)는 이동성 관리 블록인 레지스터 억세스 제어부(Location Register Access Control ; 이하 LRAC라 함)(30)를 이용하여 단축 메시지 착신 서비스의 실시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즉, LRAC((30)내에는 데이터 베이스인 VLR(Vistor Location Register)이 구성되어 있으며, VLR에는 교환기가 관리하는 지역에 존재하는 단말기에 대한 모든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LRAC(30)는 VLR내 정보에 의하여 단축 메시지 서비스 제공 승인을 결정하여 SMGIC(20)에 인가하는 한편 단말의 통화 또는 휴지 상태 여부를 같이 통지하게 된다.
여기서, SMGIC(20)는 LRAC(30)로부터 단축 서비스 제공이 승인되면, 단축 메시지 제어부(Short Message Control ; 이하, SMCO라 함)(40)로 단축 메시지 착신 요구 신호를 제공하는 한편 단말의 휴지 또는 통화 상태를 통지한다. 또한, SMGIC(20)는 LRAC(30)로부터 단축 서비스의 제공이 승인되지 않는 경우에는 서비스 센터에 단축 서비스의 제공이 불가능하다는 에러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 에러 메시지를 MAPC(10)를 통하여 서비스 센터에 제공하므로써 서비스 센터로 하여음 단축 메시지 서비스의 제공을 중단케 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SMCO(40)로부터 단축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알리는 응답 메시지가 SMGIC(20)로 제공되며, SMGIC(20)는 MAPC(10)를 통하여 이 응답 메시지를 서비스 센터에 제공하게 된다.
한편, SMCO(40)는 단축 메시지 착신 요구 신호가 인가되며, 이동호 제어부(Mobile Call Control ; 이하 MCC라 함)(50)을 통하여 해당 단말의 핸드 오버(hand over)여부를 검색하게 된다. 즉, MCC(50)는 단말들에 대한 핸드 오버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바, SMCO(40)는 단말의 핸드 오버 상태를 탐색하여 핸드 오버 상태일 때에는 단축 메시지 착신 요구 신호를 핸드 오버 제어부(Handover Control ; 이하, HOC라 함)(60)에 인가하고, 핸드 오버 상태가 아니면 이동 통신 가입자 인터페이스부(Mobile Subscriber Interface; 이하, MSI라 함)(70)에 단축 메시지 착신 신호를 제공한다.
또한, SMCO(4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HOC(60)및 MSI(70)로 제공되는 응답 메시지를 SMGIC(20)로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MSI(70)는 SMCO(40)의 단축 메시지 착신 요구 신호를 인코딩하여 도시하지 않은 기지국 제어기로 인가하므로써 기지국 제어기로 하여금 해당 단말에 단축 메시지를 송신케 한다. 이때, 해당 단말들은 단축 메시지의 수신되며, 단축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응답 메시지를 기지국을 통하여 MSI(70)에 제공하며 MSI(70)는 이 응답 메시지를 SMCO(40)에 인가하게 된다.
또한, HOC(60)는 핸드 오버된 해당 교환기(200)의 HOC(60-1)에 단축 메시지 착신 요구 신호를 인가하며, 이 HOC(60-1)은 수신된 단축 메시지 착신 요구 신호를 교환기(200)내의 MSI(70-1)에 인가하게 된다
이 MSI(70-1)은 MSI(70)에서와 같이 단축 메시지 착신 요구 신호를 인코딩하여 도시하지 않은 기지국 제어기로 인가하므로써 기지국 제어기로 하여금 해당 단말에 단축 메시지를 송신케 한다. 여기서, 해당 단말들은 단축 메시지의 수신되며, 단축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응답 메시지를 기지국을 통하여 MSI(70-1)에 제공하는 바, MSI(70-1)는 이 응답 메시지를 HOC(70-1,70)을 통하여 SMCO(40)에 인가하게 된다.
한편, 교환기(200)에서의 단축 메시지 착신 요구 신호가 교환기(100)로 핸드 오버 된 상태인 경우에, HOC(70-1,70)을 통하여 MSI(70)로 인가될 것이며, 이 경우 MSI(70)는 (70-1)과 동일한 작동을 행하는다는 것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2 에는 상술한 구성을 갖는 GSM 이동 통신 교환기의 각 구성 요소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작동하는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센터는 단축 메시지 착신 요구 신호를 MAPC(1)에 인가한다(단계101).
MAPC(1)는 이 단축 메시지 착신 요구 신호를 내부 신호 형태로 변환시켜 SMGIC(2)로 인가하므로써 SMIC(20)는 단축 메시지를 착신할 단말까지의 루트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SMIC(20)는 LRAC(30)에 단축 메시지 착신 서비스의 실시 여부를 LRAC(30)에 확인한다(단계 102), 이때, LRAC(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VLR을 통하여 단축 메시지 착신 서비스의 실시 여부및 해당 단말가 휴지 또는 통화 상태인가를 SMIC(20)에 통지하게 된다.
단계(102)의 수행에 의하여 단축 메시지 착신 서비스가 승인되지 않으면, SMIC(20)는 단축 메시지 착신 서비스의 실시가 불가능함을 알리는 소정의 에러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 에러 메시지는 MAPC(10)를 통하여 서비스 센터에 인가되므로써 서비스 센터는 단축 메시지 착신 서비스의 수행을 중지한다(단계 104,105).
그러나, 단계(102)의 수행에 의하여 단축 메시지 착신 서비스가 승인되면, SMIC(20)는 단축 메시지 착신 요구 신호를 SMCO(40)에 단축 메시지 착신 요구 신호를 인가하고, SMCO(40)는 MCC(50)를 통하여 해당 단말가 핸드오버 상태인가를 판단하게 된다(단계106).
단계(106)에 의하여 해당 단말이 핸드오버 상태가 아닌 경우에, SMCO(40)는 단축 메시지 착신 요구 신호를 MSI(70)에 인가하고, MSI(70)는 이 단축 메시지 착신 요구 신호를 인코딩하여 기지국 제어기에 인가하게 된다(단계 107,108).
기지국 제어기는 이 단축 메시지 착신 요구 신호를 해당 단말에 전송하게 되며, 해당 단말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단축 메시지의 수신후에는 소정의 응답 메시지를 기지국 제어기에 인가하게 되고(단계 109), 기지국 제어기는 이 응답 메시지를 MSI(70)에 인가한다. 이러한 응답 메시지는 상술한 MAPC(10), SMGIC(20), SMCO(40)를 통하여 서비스 센터에 인가될 것이다(단계 110).
이러한 응답 메시지및 해당 단말이 통화중인가에 대한 정보를 인가받은 서비스 센터는 해당 단말이 통화중인 경우에는 단축 메시지 착신 서비스의 제공을 중단하나, 응답 메시지에 의하여 단축 메시지가 소정 단말에 착신되었음이 확인되면 호해제 절차를 수행하는 것이다(단계 111,112)
그러나, 단계(106)에서 해당 단말이 핸드 오버 상태인 경우에, SMCO(40)는 HOC(60)를 통하여 핸드 오버된 지역(Target)의 교환기(200)내의 HOC(60-1)에 단축 메시지 착신 요구 신호를 인가한다(단계 112). 이러한 단축 메시지 착신 요구 신호를 인가받은 HOC(60-1)은 교환기(200)내 MSI(701-1)에 인가하므로써 MSI(70-1)가 핸드 오버된 해당 단말에 단축 메시지 착신 요구 신호를 인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GSM 이동 통신 방식에서 서비스 센터로부터의 단축 메시지를 해당 단말의 핸드 오버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착신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서비스 센터로부터의 단축 메시지 착신 요구 신호를 해당 단말에 전송하기 위한 GSM 이동 통신 교환기로서,
    상기 서비스 센터로부터의 단축 메시지 착신 요구 신호를 교환기 내부의 신호 형태로 전환시켜 출력하며, 인가되는 응답 메시지및 에러 메시지를 상기 서비스 센터로 송신하는 MAP 정합부(10)와;
    상기 이동 통신 교환기가 관리하는 지역의 단말들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단축 메시지 착신 요구 신호에 대응하는 단말에 대한 단축 메시지 착신 서비스의 실행 승인및 상기 단말에 대한 통화/휴지 상태의 정보를 제공하는 레지스터 억세스 제어부(30)와;
    상기 MAPC(10)로부터의 상기 단축 메시지 착신 요구 신호를 입력하며, 해당 단말에 대한 단축 메시지 수행이 상기 레지스터 억세스 제어부(20)로부터 승인 될 때 상기 단축 메시지 착신 요구 신호를 재출력하며, 단축 메시지 수행이 승인되지 않을 때의 에러 메시지, 상기 단말기의 통화 여부 정보 및 입력된 응답 메시지를 상기 MAPC(10)에 제공하는 단축 메시지 게이트웨이및 인터워킹 제어부(20)와;
    입력되는 단축 메시지 착신 요구 신호를 이동 기지국에 제공하며, 상기 이동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되는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이동 통신 가입자 인터페이스부(70)와;
    입력되는 단축 메시지 착신 요구 신호를 타켓 이동 통신 교환기로 제공하며, 앵커 이동 통신 교환기로부터 제공되는 단축 메시지 착신 요구 신호를 상기 이동 통신 가입자 인터페이부(70)에 제공하는 핸드 오버 제어부(60)와;
    단말들의 핸드 오버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이동호 제어부(50)와;
    상기 단축 메시지 게이트 웨이및 인터워킹 제어부(20)로부터의 단축 메시지 착신 요구 신호에 대한 단말기의 핸드오버 여부를 상기 이동호 제어부(50)로부터 확인하고, 상기 단말기가 핸드 오버 되었으면 상기 핸드 오버 제어부(60)에 상기 단축 메시지 착신 요구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단말기기 핸드오버 상태가 아니면 상기 단축 메시지 착신 요구 신호를 상기 이동 통신 가입자 인터페이스부(70)에 제공하며, 상기 이동 통신 가입자 인터페이스부(70)의 응답 메시지를 상기 단축 메시지 게이트웨이및 인터워킹 제어부(20)에 제공하는 단축 메시지 제어부(40)를 구비하는 단축 메시지 착신 기능을 갖는 지에스엠(GSM) 이동 통신 교환기.
KR1019970026442A 1997-06-23 1997-06-23 단축 메시지 착신 기능을 갖는 지에스엠(gsm) 이동 통신 교환기 KR100225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6442A KR100225527B1 (ko) 1997-06-23 1997-06-23 단축 메시지 착신 기능을 갖는 지에스엠(gsm) 이동 통신 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6442A KR100225527B1 (ko) 1997-06-23 1997-06-23 단축 메시지 착신 기능을 갖는 지에스엠(gsm) 이동 통신 교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739A true KR19990002739A (ko) 1999-01-15
KR100225527B1 KR100225527B1 (ko) 1999-10-15

Family

ID=19510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6442A KR100225527B1 (ko) 1997-06-23 1997-06-23 단축 메시지 착신 기능을 갖는 지에스엠(gsm) 이동 통신 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55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478B1 (ko) * 1999-06-07 2008-03-07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이동 단말기 장치와 인터워킹 펑션 간의 패킷 네트워크 호확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478B1 (ko) * 1999-06-07 2008-03-07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이동 단말기 장치와 인터워킹 펑션 간의 패킷 네트워크 호확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5527B1 (ko) 199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91958A (en) Mobile stations' geographical position determination, method and arrangement
FI109260B (fi) Menetelmä lisäpalveluproseduurien hallitsemiseksi GSM/VLR:ssä HLR:n suuntaan
EP1223781B1 (en) Interworking and interoperability of GPRS systems with systems of other technology families
RU2296436C2 (ru) Передача обслуживания, вызываемая определением местоположения
KR100297033B1 (ko) 셀룰러 이동 무선 네트워크에 등록된 이동체 가입자의 위치 결정 방법 및 시스템
US8326289B2 (en) Methods, system, and apparatus for interconnecting different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7706797B2 (en) Method for inter-system inter-MSC handover to UMA
WO1997026764A1 (en)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s for processing a terminating call
EP1856924B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transmission of short messages in a mixed wireless and wireline telecommunication network
CN101389131B (zh) 一种通知终端重定向的方法和装置
KR100225527B1 (ko) 단축 메시지 착신 기능을 갖는 지에스엠(gsm) 이동 통신 교환기
US20070206632A1 (en) Not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conversion of communication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225529B1 (ko) 핸드 오버시 단축 메시지 발신 처리가 가능한 지에스엠(gsm) 이동 통신 교환기
WO2002025981A1 (en) Method of performing roaming between networks and corresponding device
US7599379B2 (en) Registering stations between protocols
KR100225528B1 (ko) 단축 메시지 발신 기능을 갖는 지에스엠(gsm) 이동 통신 교환기
KR100418805B1 (ko) 단말기간의 메시지 교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01045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페이징 처리 방법
KR100551170B1 (ko) 착신 전환 서비스를 이용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호처리 방법
KR100748271B1 (ko) Wcdma망에서 sms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277687B1 (ko) 지능망 기반의 이동통신망에서의 무선 페이징 서비스 방법
KR100447715B1 (ko) 3세대 이동 교환 시스템에서의 단문 메시지 발/착신 처리장치 및 방법
KR100310322B1 (ko) 개인통신교환기에서인터시스템페이징방법
KR100821201B1 (ko) 교환장치에서의 인증 방법 및 그 교환장치
WO2001039539A2 (en) Method for monitoring authentication performa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