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2195U - 입설다리 및 착탈가능한 장식구를 구비하는 칫솔 - Google Patents

입설다리 및 착탈가능한 장식구를 구비하는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2195U
KR19990002195U KR2019970015738U KR19970015738U KR19990002195U KR 19990002195 U KR19990002195 U KR 19990002195U KR 2019970015738 U KR2019970015738 U KR 2019970015738U KR 19970015738 U KR19970015738 U KR 19970015738U KR 19990002195 U KR19990002195 U KR 1999000219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ornament
groove
coupling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57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72897Y1 (ko
Inventor
전강팔
Original Assignee
전강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강팔 filed Critical 전강팔
Priority to KR20199700157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2897Y1/ko
Publication of KR199900021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21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28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28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97Self supporting, e.g. brushes that stand upright or in other particular way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89Brushes with figurines such as animals on the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입설다리와 착탈가능한 장식구를 구비하는 칫솔에 관한 것으로; 칫솔모와 칫솔대로 구성되는 통상의 칫솔에 있어서; 칫솔을 입설시키기 위해 칫솔대의 하단에 형성되도록 한 입설다리와, 장식구의 착탈을 위해 칫솔대 전면의 소정영역에 형성되도록 한 체결홈과, 칫솔대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 및 체결돌기를 구비하는 장식구 등의 요소를 부가적으로 구비시켜 구성한 것이며; 칫솔의 디자인을 다양화시켜 상품경쟁력의 우위를 선점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장식구가 부착된 칫솔을 독자적으로 입설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위생상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칫솔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입설다리 및 착탈가능한 장식구를 구비하는 칫솔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칫솔대의 사시도임.
제 2 도 (가)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식구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임.
(나)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식구의 측단면도임.
제 3 도는 칫솔대에 장식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칫솔20. 칫솔대
21. 입설다리22. 결합부
23. 체결홈24. 압지부
25. 칫솔모30. 장식구
31. 결합홈32. 체결돌기
본 고안은 입설(立說)다리 및 착탈가능한 장식구를 구비하는 칫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칫솔을 독자적으로 입설시킬 수 있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칫솔대의 하부영역에 소망하는 소정의 모양을 갖는 각종의 장식구를 착탈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칫솔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칫솔은 손잡이부가 구비되는 칫솔대의 상단영역에 칫솔모를 심어 놓은 것이다. 상기한 종래의 칫솔은 그 형태가 일률천편적인바, 상품경쟁력의 우위를 선점하기가 어렵다. 또한, 사용한 칫솔의 보관시에는 가장 조심스럽게 다루어져야 할 칫솔모가 함부로 다루어질 수 밖에 없는 구조이므로 위생상의 문제점을 야기시킬 수 있었다. 그리고, 칫솔질은 그 특성상 자주 반복될 수 밖에 없는 것으로서 대다수의 어린이들이 기피하고 있는바, 이의 해결을 위해서는 어린이들에게는 그 나이 및 정서에 맞는 디자인의 칫솔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주므로서 식상함을 적게 느낄 수 있도록 하므로서 칫솔질에 대한 의욕을 고취시켜줄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나, 현재 제조되어 유통되고 있는 대부분의 칫솔은 그러하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칫솔대에 다양한 디자인으로 구비되는 장식구를 선택적으로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칫솔의 디자인을 다양화시켜 상품경쟁력의 우위를 선점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칫솔을 독자적으로 입설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위생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독특한 심미감을 창출할 수 있도록 고안된 칫솔을 제공하여 종래 칫솔의 제반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칫솔모와 칫솔대로 구성되는 통상의 칫솔에 있어서; 칫솔을 입설시키기 위해 칫솔대의 하단에 형성되도록 한 입설다리와, 장식구의 착탈을 위해 칫솔대 전면의 소정영역에 형성되도록 한 체결홈과, 장식구를 칫솔대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홈과 장식구를 체결시켜 주기 위한 체결돌기를 구비하는 장식구 등의 부가적인 요소가 구비되어 구성되어짐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부수되는 도면과 함께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칫솔대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칫솔대(20)의 하단부에는 칫솔대(20)의 하단면과 평행을 이루며 전측으로 돌출되도록 한 입설다리(21)가 칫솔대(20)와 일체를 이루며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예시도면에서는 칫솔대(20)에 형성되는 입설다리(21)가 V형태를 이루며 성형되도록 하였으나, 기타의 다른 형태(원형이나 장방형 등)로도 성형되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칫솔대(20)의 하부영역을 결합부(22)로 선택하여 결합부(22)의 좌.우측에는 그 단턱이 만곡지도록 한 상.하의 체결홈(23)을 형성시킨다. 상기 칫솔대(20)의 중앙부 소정영역에는 칫솔대(20)를 좀더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압지부(24)가 형성한다. 상기 칫솔대(20)의 상부영역에는 칫솔모(25)가 구비된다.
제2도 (가).(나)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식구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장식구(30)는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조형화된 인형이다. 한편, 상기 장식구(30)는 조형화된 각종의 동물형상이나 캐릭터물, 로봇 등도 그 대상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장식구(30)의 배면에는 칫솔대(20)의 전폭과 그 폭을 같이 하는 결합홈(31)이 형성된다.
상기 형성된 결합홈(31) 내벽의 상.하에는 반원형의 체결돌기(32)가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형성되는 상.하의 체결돌기(32)의 간격은 칫솔대(20)의 하부영역에 형성된 체결홈(23)의 간격과 일치되도록 함은 물론이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칫솔(10)은 칫솔대(20)의 저면에 형성된 입설다리(21)를 이용하여 바닥면에 입설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망하는 소정형상을 갖는 장식구(30)에 형성된 결합홈(31)내에 칫솔대(20)의 결합부(22)를 삽착시켜 결합홈(31)내에 형성된 체결돌기(32)가 칫솔대(20)의 결합부(22)에 형성된 체결홈(23)에 끼워지도록 하면 장식구(30)가 칫솔대에 견고히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장식구(30)를 칫솔대(20)에 결착시키게 되면 장식구(30)의 자중에 의해 칫솔의 무게중심이 하단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입설다리(21)를 이용한 칫솔(10)의 입설이 더욱 용이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필요에 따라 소망하는 디자인의 장식구를 칫솔대에 결착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 디자인을 다양화시켜 칫솔의 상품경쟁력의 우위를 선점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칫솔을 바닥면으로부터 입설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독특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음은 물론 칫솔모가 함부로 다루어지는 위생상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인형이나 각종 캐릭터를 조형화한 장식구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어린이들이 칫솔에 식상하지 않고 늘 가까이 대하려는 마음가짐을 갖도록 유도할 수 있어 칫솔질의 의욕을 고취시켜줄 수 있는 등 그 기대효과가 실로 다채로운 매우 유익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통상의 칫솔대와 칫솔모로 칫솔을 구성하되; 하단부에 칫솔대(20)의 하단면과 평행을 이루며 돌출되도록 한 입설다리(21)가 형성되고, 전면의 하부영역을 결합부(22)로 선택하여 결합부(22)의 좌.우측에 체결홈(23)이 형성되도록 하고, 중앙부의 소정영역에는 파지를 위한 압지부(24)가 형성되도록 한 칫솔대(20)와;
    합성수지로 인형이나 각종의 캐릭터를 조형화하여 그 배면에는 칫솔대(20)의 전폭과 그 폭을 같이 하는 결합홈(31)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형성된 결합홈(31)내에는 칫솔대(20)의 하부영역에 형성된 체결홈(23)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한 체결돌기(32)가 형성되도록 한 장식구(30)로 칫솔(10)을 대분구성하므로서 장식구(30)가 칫솔대(20)에 착탈가능하도록 구성되어짐을 그 특징으로 하는 입설다리 및 착탈가능한 장식구를 구비하는 칫솔.
KR2019970015738U 1997-06-20 1997-06-20 입설다리 및 착탈가능한 장식구를 구비하는 칫솔 KR2001728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5738U KR200172897Y1 (ko) 1997-06-20 1997-06-20 입설다리 및 착탈가능한 장식구를 구비하는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5738U KR200172897Y1 (ko) 1997-06-20 1997-06-20 입설다리 및 착탈가능한 장식구를 구비하는 칫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195U true KR19990002195U (ko) 1999-01-25
KR200172897Y1 KR200172897Y1 (ko) 2000-04-01

Family

ID=19504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5738U KR200172897Y1 (ko) 1997-06-20 1997-06-20 입설다리 및 착탈가능한 장식구를 구비하는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289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2897Y1 (ko) 2000-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3568B1 (en) Child's utensil
US7917986B2 (en) Toothbrush
US6015328A (en) Toothbrush toy having interchangeable bendable and posable character handles
USD451681S1 (en) Brush handle
USD434563S (en) Set of bristles for a brush
US20010034917A1 (en) Novelty toothbrush
US5022886A (en) Toy doll and accessories therefor
CA110428S (en) Toothbrush
CA98650S (en) Toothbrush
CA96826S (en) Tooth brush
US6234182B1 (en) Prefabricated dental floss device
US20020112302A1 (en) Child's utensil
US20170303674A1 (en) Sculpted handle toothbrush
KR200172897Y1 (ko) 입설다리 및 착탈가능한 장식구를 구비하는 칫솔
USD569625S1 (en) Toothbrush with sports handle
JP3128548U (ja) 飾り付き歯ブラシ
WO1993010688A1 (en) Child's utensil
KR200387249Y1 (ko) 칫솔
USD383612S (en) Round hair brush handle
KR102652899B1 (ko) 구강 관리 기구 및 그 제작방법
KR200176428Y1 (ko) 조립식 컬러 손잡이를 갖는 칫솔
KR200264996Y1 (ko) 칫솔질 시간을 알려주는 칫솔
KR200476679Y1 (ko) 유아용 칫솔
GB2336524A (en) Toothbrush
JPH011811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