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2129U - Reinforcement safety net - Google Patents

Reinforcement safety n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2129U
KR19990002129U KR2019970015651U KR19970015651U KR19990002129U KR 19990002129 U KR19990002129 U KR 19990002129U KR 2019970015651 U KR2019970015651 U KR 2019970015651U KR 19970015651 U KR19970015651 U KR 19970015651U KR 19990002129 U KR19990002129 U KR 1999000212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net
bat
reinforcing
safety
construction 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565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동만
Original Assignee
이동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만 filed Critical 이동만
Priority to KR20199700156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2129U/en
Publication of KR199900021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2129U/en

Links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1. TECHNICAL FIELD OF THE INVENTION

보강용 안전망Reinforcement safety net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요지2. The technical gist of the invention

낙하물이나 인명추락등의 제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안전망을 보강하는 보강용 안전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s purpose is to provide a reinforcing safety net that reinforces the safety net installed to prevent any safety accidents such as falling objects or falling people.

3. 고안의 해결 방법의 요지3. Summary of solution of design

본 고안에 따른 보강용 안전망은 건축물, 건설현장 또는 그 밖의 공사현장에서 각 층의 공간부에 설치되며, 소정 메쉬를 가지는 방망; 및 상기 방망 사이에 가로, 세로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엮어져 상기 방망을 보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afety net for reinforc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space portion of each floor in a building, construction site or other construction site, the bat having a predetermined mesh; And means for reinforcing the ba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between the bat.

또한, 건축물, 건설현장 또는 그 밖의 공사현장에서 각 층의 공간부에 설치되며, 소정 메쉬를 가지는 방망; 및 상기 방망에 부착된 유연성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uilding is installed in the space of each floor in a building, construction site or other construction site, the bat having a predetermined mesh;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lexible film attached to the bat.

4. 고안의 중요한 용도4. Important uses of the devise

낙하물이나 인명추락등의 제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임.It is designed to prevent all safety accidents such as falling objects and falling people.

Description

보강용 안전망Reinforcement safety net

본 고안은 건축물, 건설현장 또는 그 밖의 공사현장등에서 낙하물이나 인명추락등의 제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안전망에 관한 것으로, 특히 로우프를 이용하여 소정의 하중에도 견딜 수 있도록 한 보강용 안전망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net installed in order to prevent safety accidents such as falling objects or life-falls in buildings, construction sites or other construction sites, and in particular, a safety net for reinforcement that can withstand a predetermined load by using a rope. It is about.

일반적으로, 건축현장에서 빌딩 철골작업이나 공장 트러스, 개보수작업에 따른 철골구조물의 증축 공사시에 부주의로 인한 추락사고나, 건축공구나 볼트와 같은 건축자재의 낙하로 인해 하층작업자의 제반 안전사고에 대한 발생을 예방할 수 있도록 안전망을 설치하고 있다.In general, safety accidents of lower-level workers due to accidental fall due to inadvertent fall or construction materials such as construction tools or bolts during construction of steel structures due to building steel frame work, factory truss, and renovation work. Safety nets are in place to prevent outbreaks.

상기와 같은 안전망에는 크게 고소 작업시 인명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서 설치하는 추락 방지망과 낙하물이 떨어져 아래에 있는 작업자나 통행인에게 위해를 줄 수 있는 상황을 예방하는 낙하물 방지망으로 구분할 수 있다.The safety net as described above can be largely divided into a fall prevention net that is installed in order to prevent the fall of the human life at the height of the falling and fall prevention net to prevent the situation that can damage the workers or passers below.

상기의 안전망에 사용되는 재료로서는 일반 어망과 같은 종류의 결망과 일반 어망과 달리 짜여진 매듭이 없으며 그물눈이 작게 짜여진 망(그물눈이 작아지면 망 자중이 커져 매듭을 맺지 않고 짬)인 무결망이 사용되고 있다.As the material used in the safety net, the same kind of netting as general fishing nets and netless nets, unlike net fishing nets, is used. .

일반적으로 현장에 설치하여 사용중인 안전망은 로우프의 보강 없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순히 방망만으로 제작하여 사용하여 왔으나, 이로서는 안전확보의 어려움이 있었고, 안전확보를 위해서는 방망의 굵기를 굵게 해야하는데 상기와 같은 경우 방망 자체의 자중이 커지게 되므로 빔에 묶이는 부분의 하중이 커지게 되어 안전을 유지하기가 어려웠다.In general, the safety net installed and used in the field has been produced by simply using the bat as shown in Fig. 1 without reinforcing the rope, but there was a difficulty in securing the safety, and the thickness of the bat must be thickened to secure the safety. In such a case, since the weight of the bat itself becomes large, the load of the part tied to the beam becomes large, and it is difficult to maintain safety.

또한, 방망의 굵기를 굵게 하여 제작할 경우 추락하는 작업자에게 타격을 가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방망의 굵기는 낙하물의 하중을 유지할 수 있는 최소의 굵기이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thickness of the bat is made thick, there is an effect of hitting the falling worker, the thickness of the bat had a difficulty to be the minimum thickness that can maintain the load of the falling object.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안전확보를 위해 방망에 로우프를 보강을 하여서 추락하는 낙하물이나 작업자에게 충격이 가하지 않도록 하는 보강용 안전망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fety net for reinforcement so that impacts do not fall on falling objects or workers by reinforcing the rope to ensure safety. The purpose i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안전망의 개략도,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afety net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강용 안전망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reinforcing safety 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내지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망이 설치되는 위치를 나타낸 상태도,3a to 3b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position where the safety net is instal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내지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보강용 안전망에서 로우프를 철골 구조물의 빔에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연결상태도,4a to 4b is a connection state showing a state connecting the rope to the beam of the steel structure in the reinforcing safety 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보강용 안전망의 방망과 로우프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결합상태도,5 is a coupling state diagram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bat and the rope of the reinforcing safety 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는 본 고안에 따른 보강용 안전망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개략도,Figure 6a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reinforcing safety 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b는 안전망의 설치시 안전망의 처짐을 나타낸 개략도,Figure 6b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deflection of the safety net at the time of installation of the safety net,

도 7a내지 도 7b는 안전망이 낙하물에 의한 충격시 하중이 전달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7a to 7b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that the load is transmitted when the safety net is impacted by falling objects,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보강용 안전망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reinforcing safety 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안전망 20 : 보강용 안전망10: safety net 20: reinforcement safety net

21 : 방망 22 : 로우프21: Bat 22: Rope

23 : 합성수지막 24 : 빔23 synthetic resin film 24 beam

25 : 트러스25: Trus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한 측면에 따르면, 건축물, 건설현장 또는 그 밖의 공사현장에서 각 층의 공간부에 설치되며, 소정 메쉬를 가지는 방망; 및 상기 방망 사이에 가로, 세로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엮어져 상기 방망을 보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보강용 안전망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stalled in the space of each floor in a building, construction site or other construction site, the bat having a predetermined mesh; And means for reinforcing the ba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between the bat.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건축물, 건설현장 또는 그 밖의 공사현장에서 각 층의 공간부에 설치되며, 소정 메쉬를 가지는 방망; 및 상기 방망에 부착된 유연성막을 포함하는 보강용 안전망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in the space portion of each floor in a building, construction site or other construction site, the bat having a predetermined mesh; And a reinforcing safety net including a flexible membrane attached to the ba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안전망의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강용 안전망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3a내지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망이 설치되는 위치를 나타낸 상태도, 도 4a내지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보강용 안전망에서 로우프를 철골구조물의 빔에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연결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보강용 안전망의 방망과 로우프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결합상태도, 도 6a는 본 고안에 따른 보강용 안전망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6b는 안전망의 설치시 안전망의 처짐을 나타낸 개략도, 도 7a내지 도 7b는 안전망이 낙하물에 의한 충격시 하중이 전달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보강용 안전망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of a safety net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afety net for reinforc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to 3b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position where the safety 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ure 4a to 4b is a connection state showing a state connecting the rope to the beam of the steel structure in the reinforcing safety 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oupling state showing the coupling state of the bat and the rope of the reinforcing safety 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a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reinforcing safety 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b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deflection of the safety net at the time of installation of the safety net, Figure 7a to Figure 7b is a safety net load is transmitted when impacted by falling objects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reinforcing safety 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내지 도 8에서, 도면부호 10은 안전망, 20은 보강용 안전망, 21은 방망, 22는 로우프, 23은 합성수지막, 24는 빔, 25는 트러스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1 to 8, reference numeral 10 denotes a safety net, 20 a reinforcement safety net, 21 a bat, 22 a rope, 23 a synthetic resin film, 24 a beam, and 25 a truss.

도 2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보강용 안전망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2 to 7b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reinforcing safety 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보강용 안전망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보강용 안전망은 방망과 로우프를 이용하여 제작하는데, 상기 안전망은 소정 결망으로 이루어진 방망(21)과 상기 방망의 강도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그의 가로, 세로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로우프(22)로 엮어진 격자형 구조를 하고 있다. 이때 상기 로우프(22)의 간격은 추락하는 작업자의 신장이 2M를 넘어서지 않으므로 가급적 신체가 로우프에 걸리지 않는 범위에서의 보강을 위하여 필히 소정 간격(2∼3M)을 유지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reinforcing safety 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ing safety net is manufactured by using a bat and a rope, the safety net is made of a predetermined net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bat 21 and the bat. In order to make it possible, a lattice structure is woven into the ropes 22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reof. At this time, the interval of the rope 22, the height of the falling worker does not exceed 2M, it is preferable to maintain and install a predetermined interval (2 ~ 3M) for reinforcement in the range that the body does not catch the rope as possible.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보강용 안전망의 설치는 도 3a내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각 층의 공간을 커버할 수 있도록 펼쳐서 철골구조물의 빔(24)등에 로우프(22)로 묶어 설치하고 있으며, 이때 상기 안전망의 설치위치는 대부분의 현장에서 빔(24)의 상부에 설치하고 있으나(도 4a참조), 도 4b에서와 같이 빔(24)의 하단부에 위치되도록 설치하여 작업 도중 작업자가 왕래할 때 신발바닥의 홈이 망에 걸려서 넘어질 우려가 없도록 반드시 빔의 하부에 설치하여야 안전하다.And the installation of the reinforcing safety ne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to bundle the rope 22 to the beam 24 of the steel structure to expand to cover the space of each layer as shown in Figure 3a to 3b, At this tim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afety net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eam 24 in most sites (see Fig. 4a), but as installed in the lower end of the beam 24 as shown in Figure 4b when the operator is in and out of work It is safe to install at the bottom of the beam so that the groove of the shoe sole is not caught by the net.

한편, 상기 방망의 규격은 직조한 원사의 굵기인 합수로 나타내는데, 보통 45합,51합,60합,90합,120합등 3배수의 합수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tandard of the bat is represented by the sum of the thickness of the woven yarn, usually a sum of three times, such as 45, 51, 60, 90, 120.

또한, 보강용 로우프는 현재 7,9,12mm의 규격품이 있으나 12mm의 규격은 강도가 높기는 하지만 추락하는 작업자에게 타격을 가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사용에 적합하지 않으므로 직경 9mm의 로우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rope currently has a standard product of 7,9,12mm, but the 12mm standard is high, but it is not suitable for use because it has the effect of damaging the falling worker, it is preferable to use a rope of diameter 9mm. .

그리고 상기 로우프를 보강하는 방법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물코의 결을 맞추어 끼워 넣어서 설치하여야 신뢰성 있는 보강용 안전망이 되는 것이다.In the method of reinforcing the rope, as shown in FIG.

다음으로 안전망을 설치함에 있어서 안전망과 빔 사이에는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유격(B)이 생기게 되는데 안전망과 빔과의 유격은 20cm이하가 되어야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안전망과 빔 사이로 낙하물이나 작업자 등이 떨어지는 안전사고가 일어날 수 도 있다.Next, in installing the safety net, there is a predetermined clearance B between the safety net and the beam as shown in FIG. 6A. The clearance between the safety net and the beam should be 20 cm or less, otherwise, the falling object between the safety net and the beam will fall. Safety accidents, such as falling off workers or workers, may occur.

또한, 안전망의 설치시에는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전망의 처짐이 클 경우 안전망 위로 떨어져 있던 낙하물(쐐기 등)이 안전망 위로 떨어진 낙하자에게 퉁겨져서 타박에 의한 손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안전망의 자연 처짐이 작을수록 더 안전한 보강용 안전망이 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installing the safety net, as shown in FIG. 6B, if the deflection of the safety net is large, falling objects (wedges, etc.) dropped on the safety net may be struck by the dropper falling on the safety net, resulting in damage by bruises. The smaller this is, the safer the safety net will be.

현재 법규상에서의 안전망의 처짐을 설명하면,Explaining the deflection of the safety net under current legislation,

LA일 때 S=0.25(L+2A)÷3S = 0.25 (L + 2A) ÷ 3 when LA

L≥A일 때 S=0.75L÷3 이다.When L≥A, S = 0.75L ÷ 3.

상기의 식에서 L은 안전망의 가로, 세로중 짧은 길이이고, A는 안전망을 묶는 지지점의 간격이다.In the above formula, L is the short length between the length and width of the safety net, and A is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ing points that bind the safety net.

도 6a에서 나타낸 보강용 안전망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Referring to the reinforcing safety net shown in Figure 6a as an example,

상기와 같은 규격의 안전망에서In the safety net of the above standard

L≥A일 때 S=0.75×10÷3=2.5M 이다.When L≥A, S = 0.75 × 10 ÷ 3 = 2.5M.

그러므로 2.5M가 자연 처짐으로 인정된다는 것인데, 만약 그 위로 작업자가 떨어질 경우 이미 안전망 위로 떨어져 있던 낙하물이 안전망 위로 떨어진 작업자에게 퉁겨져 타박에 의한 손상이 예견되므로,Therefore, 2.5M is considered to be a natural deflection. If the worker falls on it, a falling object that has already fallen on the safety net will be struck by the worker who falls on the safety net, and damage from the bruise is foreseen.

안전망의 처짐 S는 S=L×0.05이내 여야 한다.The deflection S of the safety net shall be within S = L × 0.05.

한편, 안전망의 강도측정은 실험용사를 사용하여 10cm의 그물코망은 120Kgf 이상, 5cm의 그물코망은 50Kgf 이상의 강도를 유지해야 한다고 되어있으나, 이 규정은 로우프의 보강 없이 방망만을 설치할 때의 규정이며, 또한 소기의 강도로서도 미흡하다.On the other hand, the strength of the safety net is measured by using a thermal spraying test, the 10cm mesh network should maintain the strength more than 120Kgf, 5cm mesh network is 50Kgf or more, but this rule is a rule when installing only the bat without reinforcing the rope, In addition, the desired strength is also insufficient.

그러므로 안전망의 강도규정은 인명이 추락할 때의 충격하중을 견딜 수 있는 다음과 같은 수치로 결정을 해야 한다.Therefore, the strength requirements of the safety ne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values that can withstand the impact load when a person falls.

P=mghP = mgh

상기의 식을 이용하여 체중이 100Kg인 사람의 경우를 예를 들면,For example, a person having a weight of 100 Kg using the above formula,

P=100Kg×9.8×10m=9800Kgm 과 같이 되는데, 적어도 10톤의 충격을 이길 수 있어야 안전망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P = 100Kg × 9.8 × 10m = 9800Kgm, which must be able to overcome at least 10 tons of impact to act as a safety net.

보통 일반 빌딩 철골 공사의 경우 3개층에 하나의 안전망을 설치하고, 3개층 높이에서 추락하는 인명을 구조할 수 있는 내충격 강도를 유지해야 하는데, 현재 일반 현장에서 사용중인 방법은 로우프 보강 없이 설치하여 상기와 같은 강도를 유지할 수 없으므로 필히 로우프를 보강하여 안전망을 설치하여야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In general, in the case of general building steel construction, one safety net should be installed on three floors, and the impact resistance to save lives falling from three floors should be maintained. Since it is not possible to maintain the same strength, the safety net must be installed by reinforcing the rope to ensure safety.

또한, 건축물, 건설현장 또는 그 밖의 공사현장에서 각 층의 공간부에 설치되는 안전망에서 안전망을 빔에 묶어서 설치할 때 철근 또는 철사, 철근 결속선 등으로 지지하는데, 상기와 같은 방식은 안전망이 낙하물이나 인명추락 등으로 충격을 받으면 하중이 지지점에 집중되어 안전망이 절단되어 빔에서 분리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로우프를 이용하여 안전망을 보강하여 로우프를 빔에 결속시키면 하중이 각 로우프와 로우프 사이로 골고루 전달되기 때문에 안전망이 절단되어 빔에서 분리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도 7a, 도 7b참조)In addition, when a safety net is installed in the space of each floor in a building, construction site or other construction site, the safety net is supported by reinforcing bars or wires, reinforcing bar, etc. when the safety net is tied to the beam. When impacted by life-fall, etc., the load is concentrated on the support point and the safety net can be cut off and separated from the beam. Therefore, when the rope is bound to the beam by reinforcing the safety net using the rope, the load is transmitted evenly between each rope and the rope. This is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safety net is cut off and can be separated from the beam (see Fig. 7a, 7b).

이어서, 본 고안에 따른 보강용 안전망의 다른 실시예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Next, another embodiment of the reinforcing safety 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살펴보면, 보강용 안전망은 방망과 로우프를 이용하여 제작하는데, 상기 안전망은 소정 결망으로 이루어진 방망(21)과 상기 방망의 강도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그의 가로, 세로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로우프(22)로 엮어진 격자형 구조를 하고 있고, 상기 방망과 로우프위에 유연성막(23)을 덧씌운 구조로 된 것으로서, 지붕 교체 공사시 인명 구조 효과는 물론 낙하물의 차단효과로 기존 공장의 내부 생산 라인의 중단 없이도 공사를 수행할 수 있으며, 공장 가동중 생산품 및 설치된 설비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8, the reinforcing safety net is manufactured using a bat and a rope, the safety net is a bat 21 made of a predetermined net and its horizontal, to enhance the strength of the bat, It has a lattice structure woven into the ropes 22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 flexible film 23 is overlaid on the bat and the ropes. With this effect, the construction can be carried out without interruption of the internal production line of the existing plant, and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damage of the product and the installed equipment during the plant operation.

상기 유연성막(23)은 공지의 접착제 또는 다른 결합수단에 의해 방망과 로우프위에 부착되어 지고, 상기 유연성막(23)은 자유롭게 펼쳐지고 굽혀질 수 있는 직물지,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lexible film 23 is attached to the bat and the rope by a known adhesive or other coupling means, the flexible film 23 may be made of a woven paper, synthetic resin, etc. that can be freely stretched and bent, but is made of synthetic resin desirable.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who hav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보강용 안전망은 건축물, 건설현장 또는 그 밖의 공사현장등에서 낙하물이나 인명추락 등의 안전사고 뿐 아니라, 지붕 교체 공사시 인명 구조 효과는 물론 낙하물의 차단효과로 기존 공장의 내부 생산 라인의 중단 없이도 공사를 수행할 수 있으며, 공장 가동중 생산품 및 설치된 설비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reinforcing safety 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a safety accident such as falling objects or falling people in buildings, construction sites or other construction sites, but also the existing factory as a result of blocking the falling objects as well as the life-saving effect during roof replacement construction. The construction can be carried out without interruption of the internal production line, and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damage of products and installed equipment during the operation of the factory.

Claims (7)

건축물, 건설현장 또는 그 밖의 공사현장에서 각 층의 공간부에 설치되며, 소정 메쉬를 가지는 방망; 및A bat having a predetermined mesh and installed in a space part of each floor in a building, a construction site or another construction site; And 상기 방망 사이에 가로, 세로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엮어져 상기 방망을 보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용 안전망.Reinforcing safety ne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eans for reinforcing the ba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transvers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ba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방망을 보강하는 수단은 로우프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용 안전망.Reinforcing safety net, characterized in that the means for reinforcing the bat is low.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방망 보강수단의 간격이 2∼3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용 안전망.Safety net for reinforce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val of the bat reinforcing means is 2 to 3M.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방망과 보강수단에 부착된 유연성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용 안전망.Reinforcing safety ne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lexible film attached to the bat and reinforcing means.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유연성막이 합성수지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용 안전망.Reinforcing safety net, characterized in that the flexible film is a synthetic resin film. 건축물, 건설현장 또는 그 밖의 공사현장에서 각 층의 공간부에 설치되며, 소정 메쉬를 가지는 방망; 및A bat having a predetermined mesh and installed in a space part of each floor in a building, a construction site or another construction site; And 상기 방망에 부착된 유연성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용 안전망.Reinforcing safety ne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lexible film attached to the bat.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유연성막이 합성수지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용 안전망.Reinforcing safety net, characterized in that the flexible film is a synthetic resin film.
KR2019970015651U 1997-06-25 1997-06-25 Reinforcement safety net KR19990002129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5651U KR19990002129U (en) 1997-06-25 1997-06-25 Reinforcement safety n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5651U KR19990002129U (en) 1997-06-25 1997-06-25 Reinforcement safety n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129U true KR19990002129U (en) 1999-01-15

Family

ID=69674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5651U KR19990002129U (en) 1997-06-25 1997-06-25 Reinforcement safety n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2129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99992B1 (en) Safety device for a fall restraint
US10221579B2 (en) Safety band longitudinal and transverse control
CA1299001C (en) Debris barrier
KR100626420B1 (en) Safety belt of shock absorption for high place work
US8991126B2 (en) Fall protection systems and methods
US20150259937A1 (en) Band hardness in fall protection system
CA2869391C (en) Band spacing in fall protection system
US4896864A (en) Safety barrier
US20030051429A1 (en) Roof safety system
KR19990002129U (en) Reinforcement safety net
KR101928383B1 (en) Vertically installed net for fall prevention
EP0889178A1 (en) A support system
US20150259936A1 (en) Band hardness and transverse control
KR200392820Y1 (en) Gang Form Falling Prevention Apparatus
KR200233705Y1 (en) Construction safety net
KR200258849Y1 (en) Multifunctional Falling Safety Net for Construction Worker
KR0129735Y1 (en) Shock-absorbing safety net
KR200145486Y1 (en) Hanger for safety ropes of steel structure
KR200397194Y1 (en) Gang Form Falling Prevention Apparatus
GB1572015A (en) Safety apparatus for breaking falls
CN217602183U (en) Turnover type elevator shaft protection device
KR200334047Y1 (en) use a wire rope to tower fixing device of tower crane
CN215408436U (en) Anti-falling purse net for crawling ladder
CZ291727B6 (en) Safety net for catching persons and/or objects during building and/or assembly work
US11311756B1 (en) Ballasted fall preven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