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0235A - 합성수지제의 관의 연결용 열수축성 연결부재 - Google Patents

합성수지제의 관의 연결용 열수축성 연결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0235A
KR19990000235A KR1019970022982A KR19970022982A KR19990000235A KR 19990000235 A KR19990000235 A KR 19990000235A KR 1019970022982 A KR1019970022982 A KR 1019970022982A KR 19970022982 A KR19970022982 A KR 19970022982A KR 19990000235 A KR19990000235 A KR 19990000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ynthetic resin
rail
connecting member
shrink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2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한
Original Assignee
권영화
주식회사 범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화, 주식회사 범진 filed Critical 권영화
Priority to KR1019970022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0235A/ko
Publication of KR19990000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0235A/ko

Link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제 관과 합성수지제 관을 연결하여 관과 관 사이에 연결 부분을 완전히 감싸서 그 틈새로부터 오수 또는 하수가 새어나오지 않게 하는 합성수지제 관의 연결용 열수축성 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열수축성 연결부재는 전체를 이루는 열수축성 적층체와, 상기 열수축성 적층제와 일체를 이루고 있는 레일부라고 정의할 수 있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열수축성 적층체는, 강화 직물층과, 상기 강화 직물층의 한쪽에 부착되어 있는 제1중합체성 매트릭스 층과, 상기 강화직물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중합체성 매트릭스 층과 반대 쪽에서 상기 강화직물층에 부착된 제2중합체성 매트릭스 층과, 상기 제2중합체층 표면에 부착된 접착체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레일은, 상기 열수축성 적층체의 끝단 중 상기 합성수지제 관의 연장방향으로 놓여지게 되는 제1끝단이, 상기 제1끝단 근처에 놓여진 제1로드를 감싸므로써 상기 열수축성 적층체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이루는 레일의 제1부분과, 상기 열수축성 적층체의 끝단 중 상기 제1끝단의 반대쪽에서 상기 합성수지제 관이 연장방향으로 놓여지게 되는 제2끝단이, 상기 제2끝단의 근처에 놓여지는 제2로드를 감싸는 형식으로 접혀졌다가 다시 외부로 연장되어 이루는 레일의 제2부분으로 정의되며; 상기 열수축성 적층체는 상기 레일의 제1부분에 의해 이루어진 제1모서리와 상기 레일의 제2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이루는 제2모서리 사이의 거리에 의해 그 폭이 정의되어; 상기 열수축성 적층체가 합성수지제 관의 연결부를 감쌀때, 상기 합성수지제 관의 연결부가 상기 열수축성 적층체의 제2중합체성 매트릭스층 표면에 부착된 상기 접착체층에 의해 완전히 포위되게 된다.

Description

합성수지제 관의 연결용 열수축성 연결부재
본 발명은 합성수지제 관과 합성수지제 관을 연결하는데 사용하는 열수축성 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합성수지제 관과 합성수지제 관을 연결하면서, 관과 관사이의 연결부분을 완전히 감사서 그 틈새로부터 오수 또는 하수가 새어나 오지 않게 하는 합성수지제 관의 연결용 열수축성 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하수관의 용도로 합성수지제 관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합성수지제 관은, 지금까지 사용되어 왔던 콘크리트관에 비해 그 무게가 가볍고 반 영구적인 잇점 때문에 널리 사용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합성수지제 관은, 그 직경에 따라 여러 종류의 것이 있는데, 작게는 150mm부터 1,000mm, 더욱 큰 것은 2,400mm의 것까지 있다. 이러한 합성수지제관을 제조하는 하나의 다음과 같다.
먼저 합성수지를 일단 일정한 굵기로 중공형태, 즉 파이프형태로 압출한 다음, 이를 일정한 직경을 갖는 파이브에 나선형태로 연속적으로 감으면서 나선과 나선 사이에 동일한 원료로 된 파리손을 부여 서로 부착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제조한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그 외벽이 중공형태를 이루는데, 이러한 중공형태는 합성수지제 관이 지하에 매설되었을 때,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충분히 견디게 한다. 이러한, 합성수지제 관의 외벽 중공형태는 원형을 이루거나, 사각형태 또는 사다리꼴의 단면을 갖는데, 어느 것이나 표면은 파리손에 의해 서로 부착되어 매끄러운 형태를 이룬다.
이러한 합성수지제 관은, 직경이 작은 것은 지중에 매설되는 전력선의 관로나, 하천에서 우회 수로로, 직경이 큰 것은 하수관으로서, 또는 하천 등에서 우회 수로로 사용된다.
합성수지제 관을 하수관 용도로 사용할 때, 발생하는 문제 중 하나는 합성수지제 관과 관의 연결에서 발생한다.
통상 합성수지제 관은 길이 6m의 규격으로 제조된다. 따라서 상당한 거리에 걸쳐 매설되는 하수관으로서의 합성수지제 관은, 여러개의 관을 길게 연결하게 되는데, 콘크리트로 된 하수관과는 달리 연결부분에 틈새가 생기고 그리로부터 오수 또는 하수가 누수되는 일이 흔히 발생한다.
하뵤성수지제 관과 관을 연결하는데 연결부분에 발생하는 틈새는 피할 수 없다. 그 이유의 하나는, 합성수지제 관은, 그 양쪽 단면이 균일하지 못하고, 굴곡을 이루고 있거나, 굴곡을 이루지 않고 있다하더라도 관의 중심축에 대해서 직각을 이루지 못하고 있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관과 관을 연결하는데 틈새가 발생하고 그리로부터 하수 또는 오수가 누수되게 된다.
또 하나는 합성수지제 관의 단면이 균일하고 직각을 이루고 있다고 하더라도 관과 관을 포설하는데 발생한다. 이는 지하에 매설되는 하수관은 곳에 따라서는 약간 경사지게, 곳에 따라서는 곡선을 이루도록 놓여지게 되는데, 이러한 경사 또는 곡선이루는 부분에서는 관과 관이 맞닫는 부분을 완전히 일치시키지 못하게 하며, 위쪽이나, 아래쪽 또는 좌측이나 우측에 틈새를 생기게 한다.
이러한 것은 합성수지제 관을 연결과정에서 발생한 틈새는 사용과정에서 하수 또는 오수의 누수의 원인을 제공한다.
따라서, 이러한 틈새를 완전히 막을 수 있는 연결부재가 요망된다.
이러한 연결부재 중 바람직한 형태는, 합성수지제 관이 하수관으로서의 기능을 올바르게 유지하도록 관과 관 사이의 연결부로부터 물이 새어나오는 것을 완전히 막을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다른 하나는, 파손되지 않고 상당한 기간동안, 바람직하게는 반영구적으로 그 기능을 유지하여야 한다.
합성수지제 관은 통상 지하에 묻혀있는 것이 보통인데, 합성수지제 관이 묻혀있는 지면 위로는 차량이 통행하는 등하여 높은 하중과 함께 진동이 발생하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외부로부터의 압력을 견디어 낼 수 있고 진동에 의해서 파괴되지 않아야 한다.
또 다른 하나는 작업의 용이성이다. 또 하나는 시공이 용이한 형태여야 한다. 콘크리트관 보다는 가벼우나, 그래도 수백 Kg에 달하고, 직경이 크기 때문에 양쪽 단면을 정확히 일치시켜 연결하기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더욱이 합성수지제 관의 설치는 좋지않는 주변환경, 예를 들면, 주변에 산재한 흙, 좁은 작업공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고, 더욱 합성수지제 관의 종단에 수분이 부착되어 있거나 흙과 같은 오물이 묻어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러한 합성수지제 관을 접속하는데 사용되는 연결연결부재는 합성수지제 관의 종단에 부착되어 있는 수분이나 오물에도 불구하고 어떠한 환경에서도 그 설치작업이 가능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합성수지제 관과 관을 연결하며, 관 사이의 연결부로부터 물이 새어나오는 것을 완전히 막을 수 있는 연결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열수축성 연결부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열수축성 연결부재의 실리이브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2의 열수축성 연결부재에서 레일의 제1부분 및 제2부분이 단면을 확대해서 본 도면이다.
도 3B는 도 3A에서 절단면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연결부재에서 열수축성 적층체를 분해해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열수축성 연결부재로 합성수지제 하수관의 연결부를 감싸는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열수축성 연결부재로 합성수지제 하수관의 연결부를 감싼후에 하수관의 축과 평행한 단면으로 절단한 모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열수축성 연결부재로 합성수지제 하수관의 연결부를 감싼 후 하수관의 축과 직각을 이루는 단면으로 절단한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합성수지제 관과 관을 연결하며, 관 사이의 연결부로부터 물이 새어나오는 것을 완전히 막을 수 있는 연결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합성수지제 관과 관을 연결하며, 관 사이의 연결부로 부터 물이 새어나오는 것을 완전히 막을 수 있으며, 오랫동안 파손되지 않고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연결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로부터의 압력을 견디어 낼 수 있는, 합성수지제 관과 관 사이의 연결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는 작업의 용이성한 합성수지제 관과 관 사이의 연결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이 밖에도 여러 가지 목적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목적들은 본 발명의 설명에서 같이 언급된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체를 이루는 열수축성 적층체와, 열수축성 적층체와 일체를 이루고 있는 레일부라고 정의할 수 있는 부분을 포함한다.
열수축성 적층체는, 강화직물층과, 강화직물층의 한쪽에 부착되어 있는 제1중합체성 매트릭스 층과, 강화직물층을 사이에 두고 제1중합체성 매트릭스 층과 반대 쪽에서 강화직물층에 부착된 제 2중합체성 매트릭스 층과, 제2중합체층 표면에 부착된 접착체층으로 이루어진다.
레일부는, 열수축성 적층체의 끝단 중 합성수지제 관의 연장방향으로 놓여지게 되는 제1끝단이 열수축성 적층체의 제1끝단 근처에 놓여진 제1로드를 감싸므로써 열수축성 적층체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이루는 레일의 제1부분과, 열수축성 적층체의 끝단 중 제1끝단의 반대쪽에서 합성수지제 관의 연장방향으로 놓여지게 되는 열수축성 적층체의 제2끝단이, 제2끝단의 근처에 놓여지는 제2로드를 감싸는 형식으로 접혀졌다가 다시 외부로 연장되면서 이루는 레일의 제2부분으로 정의 된다.
이러한 열수축성 적층체는 레일의 제1부분에 의해 이루어진 제1모서리와 레일의 제2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끝단을 이루는 제2모서리 사이의 거리에 의해 그 폭이 정의되고, 채널의 제2부분으로부터 제2모서리까지의 연장부는 열수축성 적층체가 합성수지제 관의 연결부를 감쌀 때, 합성수지제 관의 연결부가 열수축성 적층체의 제2중합체성 매트릭스 층 표면에 부착된 접착체층에 의해 합성수지제 관의 연결부가 완전히 포위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열수축성 연결부재를 합성수지제 관과 관 사이의 연결부분에 놓고, 레일의 제1부분과 제2부분 사이에 채널을 끼우면, 열수축성 연결부재는 랩라운드형이 되고 합성수지제 관의 연결부위는 포위되게 된다. 여기에 토치 또는 버너등으로 열을 가하면 열수축성 적층체는 수축하여 합성수지제 관의 표면에 밀착된다. 이때, 열수축성 적층체에 가해지는 열은 열수축성 적층체에 부착되어 있는 열용융접착제를 용융시키고, 용융된 열용융 접착제는 합성수지제 관의 외부 표면에 열수축성 중합체를 완전히 부착시키고, 특히 채널이 끼워지는 부분 아래쪽으로는 채널의 제2부분으로부터 제2모서리까지의 연장부가 위치하게되어 레일의 제1부분과 제2부분 사이의 틈새를 메꾸어주므로, 그리고 부터 하수 또는 오수가 누수되는 것을 완전히 막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열수축성 연결부재는, 합성수지제 관의 연결부를 완전히 감싸는 랩라운드형이 되도록 제1로드와 열수축성 적층체에 의해 이루어진 레일의 제1부분과, 제2로드와 열수축성 적층체에 의해 이루어진 레일의 제2부분에 끼워지는 채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연결부재는, 레일의 제1부분 및 레일의 제2부분에 채널을 용이하게 끼울 수 있도록 레일의 제1부분 및 레일의 제2부분의 열수축성 적층체는 일정한 각도로 구부려져 잇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레일의 제2부분으로부터 열수축성 적층체의 제2끝단까지의 거리는, 연결부재가 합성수지제 관의 연결부를 감쌀 때, 열수축성 적층체 내부에 위치하는 제1끝단을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길이 이상으로 되어 레일의 제1부분을 넘어 열이 가해졌을 때 반대쪽의 접착제에 완전히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열수축성 연결부재를 구성하는 열수축성 적층체의 열수축력은 제1 및 제2중합체성 매트릭스 층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또 필요하다면, 열수축력을 강화 직물층에 의해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및 제2중합체성 매트리스층에 의해 발생하도록 한다면, 중합체성 매트릭스층은 가교되고 연신되는 매트릭스층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교되고 연신된 중합체성 매트릭스층은, 미합중국 특허 제2,027,962호, 제3,086,242호 및 제3,597,37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탄성 소정의 기억특성을 지닌 중합체성 물질에 의해서 만들어질 수 있는데, 특히 미합중국 특허 제2,027,962호에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 치수적으로 열에 안정한 제 품을 연속공정에서 일시적인 한 형태에서, 치수적으로 불안정한 상태로 평창시킨 다음 냉각하여 고정시키는 형태이다.
이러한 열수축성 중합체성 재료는, 특히 열 수축시 미국특허 3,086,242호에 공개된 어떤 재료일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가교된 결정 가소성 재료일 수 있다; 에라스토머를 포하마는 다른 재료들 역시 적절하다. 예를 들면, 가교된 폴리올레핀, 예를 들면, 폴레에틸렌,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부텐인 에틸렌계 중합체, 예를 들면 폴리비닐리덴 루오라이드인 플루오르 중합체, 예를 들면 미합중국 특허 3, 597, 372호에 언급된 엘라스토머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재료들은 조사에 의해 또는 화학적인 방법에 의해 가교될 수 있다.
강화 직물층은 열안정성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열안정성 섬유는, 파이버글래스 스트립,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또는 에폭시결합 파이버, 파이버글래스 스트립 일 수 있고, 또는 제품의 수축온도에서 용융되지 않는 플라스틱 재료, 예를 들면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또는 폴리아미드(나일론)일 수 있다.
특히 적합한 폴리아미드를 예로 들면, 방향족 재료, 예를 들면 m 또는 p-페닐렌디아민과 텔레프탈산의 축합제품 그리고 p-아미노벤조산의 자기축합제품을 들 수 있다. 다른 비용융 또는 고용융 합성 또는 천연재, 예를 들면 셀루로스재료(예를 들면) 그릭 황마가 사용될 수 있다. 그들은 글래스 파이버 또는 강화성질과 유사한 다른 파이버로 선택적으로 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그 제품은 종합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 강화는 수축제품의 수축제품의 잔여부분 보다 두꺼운 단면부를 갖는 형태를 취하게 된다.
만약 강화 직물층에 의해 열 수축력을 발생하도록 한다면, 강화직물층은 가교되고 연신된 중합체성 섬유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수축력을 발생하는 중합체성 섬유 역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탄성 소정의 기억특성을 지닌 중합체성 물질에 의해서 만들어질 수 있는데, 치수적으로 불안정한 상태로 섬유를 인발한 다음, 이를 냉각하여 고정시키는 형태이다.
강화 직물층에 의해 열수축력을 발생하도록 한다면, 강화 직물층은 열수축성 섬유와 열안정성 섬유를 직조하여 직물로 만든 다음, 그 위에 중합체성 매트릭스층을 적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앞에서 설명한 열안정성 섬유 역시 파이버글래스 스트립,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또는 에폭시결합 파이버, 파이버글래스 스트립일 수 있고, 또는 제품의 수축온도에서 용융되지 않는 플라스틱 재료, 예를 들면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또는 폴리아미드(나일론)가 사용될 수 있다.
접착제는 열용융성 접착제일 수 있는데, 이러한 접착제는 폴리아마이드 폴리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기초로 한 접착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접착제는 예를 들면 미합중국 특허 제4,018,733호 및 제4,481,775호에 잘 나타나 있다.
본 발명 제품은 많은 용도를 가지고 있다. 실시예들은 특정용도에 더 적합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핫멜트 접착제 내 또는 매스틱내 또는 그 위에 매설되어 있는 알루미늄 와이어 또는 스트립구조를 갖는 랩라운드 형태의 제푸은 합성수지제 관의 연결부를 보호하고 하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적합하다. 제품은 수축하여 연결부를 단단히 둘러싸서, 큰 직경을 갖는 합성수지제관과 그 보다 좀더 작은 직경을 갖는 합성수지제 관을 단단히 결합하여 하수가 누수되는 것을 완전히 막을 수도 있다.
강화는, 굽힘, 비틀림 또는 응력에 대해 기계적 강도와 저항성을 제공한다. 특히 직물의 강인성 및 치수안정성은 중합체 시이트를 보강하는 역할을 하고, 중합체 시이트는 직물을 서로 보호유지하고 외력을 직물에 전단하거나 직물사이에 하중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환경조건에 따른 열화 또는 결함의 성장등으로부터 직물을 보호하는 상호보완역활을 한다. 강화부재의 치수는 특히 열수축제품의 치수, 요구되는 유연성의 정도, 사용되는 물체의 치수 및 관련된 모든 재료의 기계적 성질에 좌우된다. 주어진 용도에서 적정한 값을 결정하는 것은 일상적인 실험의 문제이며 또한 그것은 적정한 간격과 위치의 선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열수축성 연결부재는 첨부된 도면의 참조하여 오직예로서 기술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열수축성 연결부재의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열수축성 연결부재의 슬리이브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2의 열수축성 연결부재에서 레일의 제1부분 및 제2부분의 단면을 확대해서 본 도면이다.
도 3B는 도 3A에서 절단면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C도는 본 발명의 연결부재에서 열수축성 적층체를 분해해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열수축성 연결부재로 합성수지제 하수관의 연결부를 감싸는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열수축성 연결부재로 합성수지제 하수관의 연결부를 감싼후에 하수관의 축과 평행한 단면으로 절단한 모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열수축성 연결부재로 합성수지제 하수관의 연결부를 감싼 후 하수관의 축과 직각을 이루는 단면으로 절단한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열수축성 연결부재(10)은 중합체성 적층체(12)을 포함하는데, 중합체성 적층체(12)는 그 중앙부분으로부터 한쪽 끝단 근처에는 레일의 제1부분(141)이 형성되어 있고, 그 반대 쪽 끝단 근처에는 레일의 제2부분(144)가 형성되어 있고, 그리로부터 연장부(18)가 형성되어 있다.
레일의 제1부분(141)는 중합체성 적층체(12)를 그 끝단 근처에서 길이방향으로 놓여진 제1로드(161)를 완전히 감싸는 형식을 하여, 그 끝단을 적층체 내부인 중앙부(12)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형성된다. 이때, 중합체성 적층체의 아래쪽 면에는 붙어 잇는 접착제는 제1로드(161)을 단단히 부착시키고, 다시 끝단이 내부에 단단히 융착되게 한다.
레일의 제2부분(143)는 중합체성 적층체(12)의 반대쪽 끝단 근처에서 길이방향으로 놓여진 제2로드(163)을 감싸는 형식으로 하여 형성하는데, 중합체성 적층체는 이 레일의 제2부분(143)으로부터 더욱 외부로 연장되어 연장부(18)를 형성한다. 이때, 중합체성 적층체의 아래쪽 면에는 열용융성 접착제가 붙어있어 로드(16)을 단단히 붙잡는다.
이때, 레일의 제2부분(143)으로부터 상기 열수축성 적층체의 제2끝단까지의 거리, 연장부(18)는, 연결부재가 합성수지제 관의 연결부를 감쌀 때, 열수축성 적층체(12) 내부에 위치하는 제1끝다을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길이 이상으로 되어 있다.
또, 제1로드(161)와 열수축성 적층체(12)에 의해 이루어진 상기 레일의 제1부분(141)과, 제2로드(163)와 열수축성 적층체(12)에 의해 이루어진 레일의 제2부분(143) 사이에 채널을 용이하게 끼울 수 있도록, 레일의 제1부분(141) 및 레일의 제2부분(143) 근처는 열수축성 적층체(12)는 일정한 각도로 접어 레일연장부(165, 167)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된 열수축성 연결부재(10)의 레일의 제1부분 및 제2부분을 확대해 보면 도 3A와 같은 구성을 된다.
강화직물층(123)을 사이에 두고, 제1중합체성 매트릭스층(121)과 제2중합체성 매트릭스층(125)이 부착되어 잇으며, 제2중합체성 매트릭스 층(123)아래에는 열용융접착체층(127)가 부착되어 있다. 한편 제1로드(161)제2로드(163) 제2중합체성 매트릭스층(123) 아래에 부착된 열용융접착제 층(125)에 의해 포위되어 있다.
또 열수축성 연결부재의 적층체를 도 3B 및 도 3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중합체성 매트릭스층(121)과 제2중합체성 매트릭스층(125) 사이에는 보강직물층(123)이 위치하는데, 보강 직물층(123)은 직조된 직물형태를 이루고 있다. 이때, 제1 및 제2중합체성 매트리스층(121, 125)는 열에 의해 수축력을 발생하도록 가교되고 연신되어 있다.
강화 직물층(123)은, 하수관의 축방으로는 열안정성 섬유로, 파이버글래스가 놓여져 잇으며, 하수관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는 열가소성 섬유가 서로 직조된 형태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제2중합체성 매트릭스 층(125) 아래에는 폴리아마이드를 주재료로 한 열용융 접착체층(127)이 부착되어 있다.
또 다른 예에서는, 도 3C에서 강화 직물층(123)에 의해 열수축력을 발생하도록 한 형태로 되어 있다. 이때, 강화 직물층(123)은 열수축성 섬유와 열안정성 섬유를 직조하여 직물을 사이에 두고 위 아래에 제1 및 제2중합체성 매트릭스층(121, 125)가 적층되어 잇다.
이때, 파이버글래스 또는 폴리에스테르로 된 열안정성 섬유는 합성수지제 관의 축방향으로 놓여져 있으며, 열수축성 섬유는 축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놓여있다. 특히 열수축성 섬유는 연신되어 있는데, 열에 대해 넓은 온도범위를 갖도록 가교되어 있다.
접착제는 열용융성 접착제일 수 있는데, 이러한 접착제는 폴리아마이드 폴리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기초로 한 접착제 중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강화는, 굽힘, 비틀림 또는 응력에 대해 기계적 강도와 저항성을 제공한다. 특히 직물의 강인성 및 치수안정성은 중합체 시이트를 보강하는 역할을 하고, 중합체 시이트는 직물을 서로 보호유지하고 외력을 직물에 전단하거나 직물사이에 하중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환경조건에 따른 열화 또는 결함의 성장등으로부터 직물을 보호하는 상호보완역활을 한다. 강화부재의 치수는 특히 열수축제품의 치수, 요구되는 유연성의 정도, 사용되는 물체의 치수 및 관련된 모든 재료의 기계적 성질에 좌우된다. 주어진 용도에서 적정한 값을 결정하는 것은 일상적인 실험의 문제이며 또한 그것은 적정한 간격과 위치의 선정에 관한 것이다.
다음은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열수축성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합성수지제 하수관의 연결부를 감싸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합성수지제 관이 랩라운드 형태로 된 열수축성 연결부재(10)위에 놓여있다. 이때 관과 관 사이의 연결부는 축방향으로 연결부재 가운데 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연결부재(10)의 연장부(18)이 레일의 제1부분(141)의아래쪽으로 들어가도록 하고, 채널(19)로 레일의 제1부분(141)과 레일의 제2부분(143)을 체결하여 폐쇄되게한다. 그리고 토치와 같은 기구로 열을 가하여 열수축성 연결부재(10)을 수축시켜 합성수지제 관(20)의 외부표면에 밀착되게 한다. 이때, 열수축성 연결부재의 내부에 부착되어 있는 열용융 접착제은 용융되고 열수축성 연결부재(10)를 합성수지제 관(20)의 표면에 부착되게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가하고 있던 열을 제거하면, 열 용융접착제는 냉각되고 관과 관 사이의 연결부 및 합성수지제 관과 연결부재 사이의 틈새가 완전히 밀폐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열수축성 연결부재로 합성수지제 하수관의 연결부를 감싼 후에 하수관의 축과 평행한 단면으로 절단한 모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열수축성 연결부재로 합성수지제 관의 연결부를 감싼 후, 수축시킨 후 하수관의 축과 직각을 이루는 단면으로 절단한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합성수지제 관(20)은 열수축성 연결부재(10)의 내면에 부착되어 있는 접착제에 의해 포위되고 이 접착제(127)에 의해 열수축성 연결부재(10)와 단단히 결합되어 있다. 채널(19)은 제1로드(161)과 제2로드(163)를 그 내부에 두고 연결부재(10)으로 직각으로 세워진 레일연장부(165, 167)와 사이에 끼워져 있다. 연장부(18)은 그 끝단이 열수축성 연결부재의 내면에 부착되어 있는 접착제와 단단히 결합되어, 제1로드(161)과 제2로드(163) 사이의 틈새를 매꾸고 있다. 이때 필요하다면 연장부(18)의 바깥쪽면도 열 용융 접착제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합성수지제 관과 관이 열수축성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면서 연결부재의 내면에 부착되어 있는 영융착 접착제가 용융되면서 합성수지제 관과 연결부재를 완전히 결합시킴으로써, 합성수지제 관과 관 사이 연결부로부터 물이 새어나오는 것을 완전히 막을 수 있다.
더구나 이러한 본 발명은, 열수축성 연결부재는 그 내부에 강화직물을 갖는 적층체로 구성됨으로써 직물이 갖는 강인성은 시이트를 보강하는 역할을 하고, 중합체 시이트는 직물을 서로 보호유지하고 외력을 직물에 전단하거나 직물사이에 하중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여, 외부로부터의 압력을 견디어 낼 수 있게 한다.
또 이러한 본 발명은 단지 합성수지제 관의 연결부를 랩라운드형태로 감싸고 채널을 끼우고 열로 수축시킴으로써 연결을 매우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어, 라이너를 사용하지 않고도 합성수지제 관과 관의 연결부를 완전히 보호할 수 있다.

Claims (7)

  1. 합성수지제 관의 연결용 열 수축성 연결부재로:
    상기 열수축성 연결부재는 전체를 이루는 열수축성 적층체와, 상기 열수축성 적층제와 일체를 이루고 있는 레일부라고 정의할 수 있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열수축성 적층체는, 강화 직물층과, 상기 강화 직물층의 한쪽에 부착되어 있는 제1중합체성 매트릭스 층과, 상기 강화직물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중합체성 매트릭스 층과 반대 쪽에서 상기 강화직물층에 부착된 제2중합체성 매트릭스 층과, 상기 제2중합체층 표면에 부착된 접착체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레일은, 상기 열수축성 적층체의 끝단 중 상기 합성수지제 관의 연장방향으로 놓여지게 되는 제1끝단이, 상기 제1끝단 근처에 놓여진 제1로드를 감싸므로써 상기 열수축성 적층체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이루는 레일의 제1부분과, 상기 열수축성 적층체의 끝단 중 상기 제1끝단의 반대쪽에서 상기 합성수지제 관이 연장방향으로 놓여지게 되는 제2끝단이, 상기 제2끝단의 근처에 놓여지는 제2로드를 감싸는 형식으로 접혀졌다가 다시 외부로 연장되어 이루는 레일의 제2부분으로 정의되며;
    상기 열수축성 적층체는 상기 레일의 제1부분에 의해 이루어진 제1모서리와 상기 레일의 제2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이루는 제2모서리 사이의 거리에 의해 그 폭이 정의되어;
    상기 열수축성 적층체가 합성수지제 관의 연결부를 감쌀 때, 상기 합성수지제 관의 연결부가 상기 열수축성 적층체의 제2중합체성 매트릭스 층 표면에 부착된 상기 접착체층에 의해 완전히 포위되는 합성수지제 관의 연결용 열수축성 연결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합성수지제 관을 완전히 감싸는 랩라운드형이 되도록 제1로드와 열수축성 적층체에 의해 이루어진 레일의 제1부분과, 제2로드와 열수축성 적층체에 의해 이루어진 레일의 제2부분에 끼워지는 채널을 포함하는 합성수지제 관의 연결용 열수축성 연결부재.
  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제2부분으로부터 상기 열수축성 적층체로부터 일정한 각도로 접혀져 형성되는 레일 연장부와 레일의 제1부분 및 제2부분 사이에 끼워지는 열수축성 연결부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제2부분으로부터 상기 열수축성 적층체의 제2끝단까지의 거리는, 상기 연결부재가 합성수지제 관의 연결부를 감쌀 때, 상기 열수축성 적층체 내부에 위치하는 제1끝단을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길이 이상으로 되어 있는 합성수지제 관의 연결부를 감싸는데 사용되는 열수축성 연결부재.
  5. 제4항에 있어서, 열수축력은 상기 제1 및 제2중합체성 매트릭스층에 의해 발생하는 연결부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축력은 상기 강화 직물층에 의해 발생되는 연결부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직물층은 가교되고 연신된 중합체성 섬유를 포함하는 열수축성 연결부재.
KR1019970022982A 1997-06-03 1997-06-03 합성수지제의 관의 연결용 열수축성 연결부재 KR199900002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2982A KR19990000235A (ko) 1997-06-03 1997-06-03 합성수지제의 관의 연결용 열수축성 연결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2982A KR19990000235A (ko) 1997-06-03 1997-06-03 합성수지제의 관의 연결용 열수축성 연결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0235A true KR19990000235A (ko) 1999-01-15

Family

ID=65999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2982A KR19990000235A (ko) 1997-06-03 1997-06-03 합성수지제의 관의 연결용 열수축성 연결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023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9909A (ko) 2017-07-20 2019-01-30 니나노 주식회사 콘텐츠 싱크 생성 방법, 그 장치 및 이를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9909A (ko) 2017-07-20 2019-01-30 니나노 주식회사 콘텐츠 싱크 생성 방법, 그 장치 및 이를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02428A (en) Multi-layer wraparound heat shrink sleeve
US5169176A (en) Heat shrinkable clamping, connecting, repair, and reinforcing sleeve and method of use
KR100607213B1 (ko) 가열 수축 가능한 부재
US5236765A (en) Heat-recoverable article
US4944987A (en) Heat recoverable articles
US4866252A (en) Heat-recoverable article
KR100625895B1 (ko) 열수축성관
US4514241A (en) Reinsulation of pipe joints
HU181153B (en) Pipeline for furthering medium requiring thermal insulation as well as method for making and repairing the pipeline
KR19990000235A (ko) 합성수지제의 관의 연결용 열수축성 연결부재
EP0240230A2 (en) Assembly and method for joining elongate substrates
KR19990075589A (ko) 합성수지제 관의 연결용 열수축성 연결부재
KR19990002005A (ko) 합성수지제 관의 연결용 열수축성 연결부재
KR200220070Y1 (ko) 합성수지제 하수관 연결용 수밀쉬트 연결부재
KR20020036271A (ko) 합성수지제 하수관 연결용 수밀쉬트 연결부재
CN112648447A (zh) 一种用于连接胶管接头的热缩管及其制备方法
KR200246859Y1 (ko) 열수축 연결관
KR19990085132A (ko) 합성수지제 관의 수밀 연결부재의 제조방법
CA2114288C (en) Multi-layer wraparound heat shrink sleeve
KR200184213Y1 (ko) 지중매설관의 연결장치
KR200357476Y1 (ko) 수지관의 연결구조
CN212745545U (zh) 一种纤维增强型聚乙烯热收缩套
EP0610279A1 (en) Article and method for bonding to an elongate object
JP4219763B2 (ja) 配管ボックスへの管体接続構造
KR200307239Y1 (ko) 도로 공사용 나선관의 체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