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4360A - 휘도 및 색 신호 분리기 - Google Patents

휘도 및 색 신호 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4360A
KR19980084360A KR1019970020131A KR19970020131A KR19980084360A KR 19980084360 A KR19980084360 A KR 19980084360A KR 1019970020131 A KR1019970020131 A KR 1019970020131A KR 19970020131 A KR19970020131 A KR 19970020131A KR 19980084360 A KR19980084360 A KR 19980084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mplifier
mhz
output
lumi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0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덕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70020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84360A/ko
Publication of KR19980084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4360A/ko

Links

Landscapes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복합 영상 신호로부터 휘도 신호와 색 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2H 콤 필터를 포함하는 휘도 및 색 신호 분리기가 개시되어 있다. 영상 분리부는 입력된 복합 영상 신호로부터 휘도 및 색 신호를 분리하고, 3.58MHz 검출부는 입력된 복합 영상 신호와 상기 영상 분리부의 중간 신호로부터 3.58MHz 주파수 성분을 검출하고, 제어부는 상기 3.58MHz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3.58MHz 주파수 성분 값에 따라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증폭부는 상기 영상 분리부로부터 분리된 휘도 신호와 색 신호를 증폭하고, 선택 출력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출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선택된 휘도 신호와 색 신호를 외부로 출력한다. 휘도 신호 및 색 캐리어의 유무에 따라 계산된 신호를 선택 출력시킴으로써 2H 콤필터를 사용하여 복합 영상 신호로부터의 휘도 및 색 신호 분리하는 경우에, 행잉 도트를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휘도 및 색 신호 분리기
본 발명은 텔레비젼 수신기의 콤 필터를 포함하는 휘도 및 색 신호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아티팩트(artifact)가 없이 휘도 신호와 색 신호를 복호화할 수 있도록 텔레비젼 신호를 콤필터링시 발생하는 행잉 도트를 제거하기 위한 2H 콤 필터를 포함하는 휘도 및 색 신호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람의 눈은 동일 선명도의 화질과 영상에 있어서 색조(Hur), 채도(Saturation)등의 색 정보가 휘도에 대해 필요한 정보만큼 상세할 필요가 없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텔레비젼의 주파수 대역에서 휘도 신호에 가장 큰 주파수 대역을 할당하고 있다. 이에 반해 휘도의 변화량에 대응하지 않는 색조, 채도에 대해서 사람의 눈은 명도(Brightness)에 필요한 해상도의 1/10 내지 1/3 이면 충분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성질에 의해 색부 반송파로서 변조된 색 신호들은 휘도 신호 대역보다 훨씬 좁은 대역에 넣어진다. 예를 들면, NTSC 방식에서는 색부 반송파로서 변조된 색 신호의 I 신호 성분은 1.3MHz 대역을 사용되고, Q 신호 성분은 0.5MHz의 대역을 사용한다. 상기 색 신호의 Q 신호 성분에 비해 I 신호 성분에 보다 넓은 대역을 제공하는 것은 I 신호가 컬러 해상도에 보다 좋기 때문이다.
색부 반송파의 주파수가 3.58MHz 이므로 변조된 색 신호는 휘도 신호의 고주파 측파대에 인터리브(Interleave)되어 복합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복합 영상 신호로부터 휘도 신호와 상기 휘도 신호에 인터리브된 색 신호를 분리할 때 휘도 신호의 감쇄와 색 신호의 휘도 신호에 의한 방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콤필터링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콤 필터 중 2H 콤 필터는 가격이 저렴하고 비교적 좋은 성능을 나타내므로 가장 많이 사용되지만 수직 방향으로 급격한 변화를 갖는 영상 신호에 대해서는 휘도 및 색 신호의 분리가 불완전하므로 종래의 콤필터와 마찬가지로 행잉 도트와 번짐 현상이 발생한다.
도 1은 통상의 2H 콤필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로서, 제1 지연기(12), 제2 지연기(13), 제1 가산기(14), 제1 1/2 증폭기(15), 제2 가산기(16), 제2 1/2 증폭기(17), 제1 감산기(18), 및 제3 1/2 증폭기(19)로 구성된다.
입력 단자(11)로부터 입력된 복합 영상 신호(Y+C)는 상기 제1 지연기(12)와 상기 제1 가산기(14)에 입력된다. 상기 제1 지연기(12)는 입력된 복합 영상 신호를 1H 지연시킨 후에, 1H 지연된 복합 영상 신호를 상기 제2 지연기(13), 상기 제2 가산기(16), 및 상기 제1 감산기(18)로 출력시킨다. 상기 제2 지연기(13)는 상기 제1 지연기(12)로부터 1H 지연된 복합 영상 신호를 1H 더 지연시킨 후에, 2H 지연된 복합 영상 신호를 상기 제1 가산기(14)로 출력시킨다.
상기 제1 가산기(14)는 상기 입력 단자(11)로부터 입력된 복합 영상 신호와 제2 지연기(13)로부터 출력된 2H 지연된 복합 영상 신호를 합산하여 제1 합산 신호를 상기 제1 1/2 증폭기(15)에 제공한다.
상기 제1 1/2 증폭기(15)는 상기 제1 가산기(14)로부터 출력된 제1 합산 신호를 입력받아 1/2 증폭한 후에 1/2 증폭된 신호를 제2 가산기(16), 및 제1 감산기(18)에 출력시킨다.
상기 제2 가산기(16)는 상기 제1 지연기(12)로부터 출력된 1H 지연된 복합 영상 신호와 상기 제1 1/2 증폭기(15)로부터 출력된 1/2 증폭된 신호를 합산하여, 합산한 제2 합산 신호를 제2 1/2 증폭기(17)에 출력한다.
상기 제2 1/2 증폭기(17)는 상기 제2 가산기(16)로부터 출력된 제2 합산 신호를 1/2배 증폭하여, 1/2 증폭된 신호인 휘도 신호(Y)를 휘도 신호 출력 단자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시킨다.
상기 복합 영상 신호(Y+C)가 제1 지연기(12), 제2 지연기(13), 제1 가산기(14), 제1 1/2 증폭기(15), 제2 가산기(16) 및 제2 1/2 증폭기(17)를 거치면서 출력되는 휘도 신호(Y)의 연산 결과는 하기 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식 1]
또한, 상기 제1 감산기(18)는 상기 제1 지연기(12)로부터 출력된 1H 지연된 복합 영상 신호에서 상기 제1 1/2 증폭기(15)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감산하여, 감산한 신호를 제3 1/2 증폭기(19)에 출력한다. 상기 제3 1/2 증폭기(19)는 상기 제1 감산기(18)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1/2배 증폭하여, 1/2 증폭된 신호인 색 신호(C)를 색 신호 출력 단자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시킨다.
상기 복합 영상 신호(Y+C)가 제1 지연기(12), 제2 지연기(13), 제1 가산기(14), 제1 1/2 증폭기(15), 제1 감산기(18) 및 제3 1/2 증폭기(19)를 거치면서 출력되는 휘도 신호(C)의 연산 결과는 하기 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식 2]
상기 도 1의 통상의 2H 콤필터에 의한 경우에는, 불완전한 휘도 및 색 신호 분리로 인하여 크로스토크 현상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서 화질이 수직 방향으로 변화가 있는 행잉 도트가 발생한다. 이러한 행잉 도트 현상에 의해 화질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합 영상 신호로부터 휘도 신호와 색 신호를 행잉 도트없이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행잉 도트를 제거하기 위한 2H 콤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통상의 2H 콤 필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행잉 도트를 제거하기 위하여 2H 콤 필터를 포함한 휘도 및 색 신호 분리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휘도 및 색 신호 분리시에 행잉 도트가 발생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4는 도2에 나타낸 휘도 및 색 신호 분리기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101 : 입력단자 12, 13, 110, 120 : 지연기
14, 16, 130, 150 : 가산기 15, 17, 19, 140, 430, 450 : 1/2 증폭기
18 , 160 : 감산기 210, 220, 230 : 3.58MHz 검출기
310 : 제어박스 440 : 3.58MHz 트랩
460 : 2/3 증폭기 510, 520 : 스위치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력된 복합 영상 신호로부터 휘도 및 색 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영상 분리부;
입력된 복합 영상 신호와 상기 영상 분리부의 중간 신호로부터 3.58MHz 주파수 성분을 검출하기 위한 3.58MHz 검출부;
상기 3.58MHz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3.58MHz 주파수 성분 값에 따라 제어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영상 분리부로부터 분리된 휘도 신호와 색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출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휘도 신호와 색 신호를 선택 출력하기 위한 선택 출력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도 및 색 신호 분리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후 라인의 색 캐리어 유무를 판단하여 휘도 신호 및 색 캐리어의 유무에 따라 계산된 신호를 선택 출력시킴으로써 2H 콤필터를 사용하여 복합 영상 신호로부터의 휘도 및 색 신호 분리하는 경우에, 행잉 도트를 제거할 수 있어서 휘도 및 색 신호의 분리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행잉 도트를 제거하기 위한 2H 콤필터를 포함하는 휘도 및 색 신호 분리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2H 콤필터(600) 회로는 영상 분리부(100), 3.58MHz 검출부(200), 제어부(300), 증폭부(400) 및 선택 출력부(500)로 구성된다.
상기 영상 분리부(100)는 도1의 통상의 2H 콤필터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 분리부는 제1 지연기(110), 제2 지연기(120), 제1 가산기(130), 제1 1/2 증폭기(140), 제2 가산기(150), 및 제1 감산기(160)로 구성된다.
입력 단자(101)로부터 입력된 복합 영상 신호는 상기 제1 지연기(110)와 상기 제1 가산기(130), 및 상기 3.58MHz 검출부(200)에 입력된다. 상기 제1 지연기(110)는 입력된 복합 영상 신호를 1H 지연시킨 후에, 1H 지연된 복합 영상 신호를 상기 제2 지연기(120), 상기 제2 가산기(150), 상기 제1 감산기(160) 및 상기 3.58MHz 검출부(200)로 출력시킨다. 상기 제2 지연기(120)는 상기 제1 지연기(110)로부터 1H 지연된 복합 영상 신호(122)를 1H 지연시킨 후에, 2H 지연된 복합 영상 신호를 상기 제1 가산기(130), 및 상기 3.58MHz 검출부(200)로 출력시킨다.
상기 제1 가산기(130)는 상기 입력 단자(101)로부터 입력된 복합 영상 신호(102)와 제2 지연기(120)로부터 출력된 2H 지연된 복합 영상 신호(122)를 합산하여 상기 제1 1/2 증폭기(140)에 제공한다. 상기 제1 1/2 증폭기(140)는 상기 제1 가산기(130)로부터 출력된 합산 신호를 입력받아 1/2 증폭한 후에 1/2 증폭된 신호를 제2 가산기(150), 및 제1 감산기(160)에 출력시킨다.
상기 제2 가산기(150)는 상기 제1 지연기(110)로부터 출력된 1H 지연된 복합 영상 신호(112)와 상기 제1 1/2 증폭기(14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합산하여, 합산한 신호를 상기 증폭부(400)에 출력한다.
상기 제1 감산기(160)는 상기 제1 지연기(110)로부터 출력된 1H 지연된 복합 영상 신호에서 상기 제1 1/2 증폭기(14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감산하여, 감산한 신호를 상기 증폭부(400)에 출력한다.
상기 3.58MHz 검출부(200)는 제1 3.58MHz 검출기(210), 제2 3.58MHz 검출기(220), 및 제3 3.58MHz 검출기(23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3.58MHz 검출기(210)는 입력 단자(101)로부터 입력된 복합 영상 신호(212)로부터 3.58MHz 주파수 성분을 검출한 후에, 검출된 3.58MHz 주파수 성분값(a, 212)을 상기 제어부(300)에 출력한다. 상기 제2 3.58MHz 검출기(220)는 상기 제1 지연기(110)로부터 출력된 1H 지연된 복합 영상 신호(220)로부터 3.58MHz 주파수 성분을 검출한 후에, 검출된 3.58MHz 주파수 성분값(b, 222)을 상기 제어부(300)에 출력한다. 상기 제3 3.58MHz 검출기(230)는 상기 제2 지연기(120)로부터 출력된 2H 지연된 복합 영상 신호(122)로부터 3.58MHz 주파수 성분을 검출한 후에, 검출된 3.58MHz 주파수 성분값(c, 232)을 상기 제어부(300)에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300)는 제어 박스(310)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 박스(310)는 상기 제1, 제2, 및 제3 3.58MHz 검출기(210, 220, 및 230)로부터 출력된 3.58MHz 주파수 성분값(a, b, c)을 입력받은 후에, 입력된 3.58MHz 주파수 성분값(a, b, c)에 따라 생성된 제어 신호(312)를 상기 선택 출력부(500)에 제공한다.
상기 증폭부(400)는 휘도 신호 증폭부(410), 및 색 신호 증폭부(420)로 구성된다.
휘도 신호 증폭부(410)는 제2 1/2 증폭기(430), 및 3.58MHz 트랩(4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 1/2 증폭기(430)는 상기 제2 가산기(150)로부터 출력된 신호(152)를 1/2배 증폭하여, 1/2 증폭된 신호인 휘도 신호(Y, 432)를 상기 3.58MHz 트랩(440), 및 상기 선택 출력부(500)에 제공한다. 상기 3.58MHz 트랩(440)은 상기 제2 1/2 증폭기(430)로부터 출력된 1/2 증폭된 휘도 신호(Y, 432)를 입력받아 3.58MHz 트랩을 통과시킨 후에 통과된 신호(442)를 상기 선택 출력부(500)에 제공한다.
상기 색 신호 증폭부(420)는 제3 1/2 증폭기(450), 및 제1 2/3 증폭기(460)로 구성된다.
상기 제3 1/2 증폭기(450)는 상기 제1 감산기(160)로부터 출력된 신호(162)를 1/2배 증폭하여, 1/2 증폭된 신호인 색 신호(C, 452)를 상기 선택 출력부(500)에 제공한다. 상기 제1 2/3 증폭기(460)는 상기 제1 감산기(160)로부터 출력된 신호(162)를 2/3배 증폭하여, 2/3 증폭된 신호인 색 신호(C, 452)를 상기 선택 출력부(500)에 제공한다.
상기 선택 출력부(500)는 제1 스위치(sw1, 510), 및 제2 스위치(sw2, 52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스위치(sw1, 510)는 상기 제어부(300)의 상기 제어 박스(31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312)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및 제2 입력 단자(T1, 및 T2)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제2 1/2 증폭기(430), 및 상기 3.58 MHz 트랩(440)으로부터 출력된 휘도 신호를 휘도 신호 출력 단자(Y)에 선택 출력한다.
상기 제2 스위치(sw2, 520)는 상기 제어부(300)의 상기 제어 박스(31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312)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제2, 및 제3 입력 단자(T1, T2, 및 T3)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제3 1/2 증폭기(450), 상기 제1 2/3 증폭기(460)로부터 출력된 휘도 신호와 접지 단자(5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색 신호 출력 단자(C)에 선택 출력한다.
상기 선택 출력부(600)의 상기 제1 스위치(610) 및 상기 제2 스위치(630)를 중심으로 휘도 및 색 신호를 생성하는 상세한 동작 원리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휘도 및 색 신호 분리시에 행잉 도트가 발생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행잉 도트가 발생하는 경우는 도 3의 A, B, C, D 의 경우이다.
도 3의 A 패턴인 경우, 휘도 신호는 (4Y-C)/4 이고, 색 신호는 -3C/4 이다. 이때는 휘도 신호에서 색 신호를 제거해야 하고, 색 신호에 4/3을 곱하면 된다.
도 3의 B 패턴인 경우, 색 신호가 없는 경우로서, 휘도 신호는 (4Y+C)/4 이고, 색 신호는 -C/4 이다. 이때는 휘도 신호에서 색 신호를 제거하고, 색 신호를 없애 주어야 한다.
도 3의 C 패턴인 경우, 색 신호가 없는 경우로서, 휘도 신호는 (4Y-C)/4 이고, 색 신호는 C/4 이다. 이때는 휘도 신호에서 색 신호를 제거하고, 색 신호도 없애 주면 된다.
도 3의 D 패턴인 경우, 휘도 신호는 (4Y+C)/4 이고, 색 신호는 3C/4 이다. 이때는 휘도 신호에서 색 신호를 제거하고, 색 신호에 4/3을 곱하면 된다.
이를 종합하면, A, B, C, D일 경우 모두 휘도 신호에서 색 신호를 없애 주고, 색 신호에서는 A, D 인 경우 색 신호에 4/3을 곱해 주고, B, C 인 경우 색 신호를 없애 주면 된다. 도 3의 신호에 의하여 도표를 그리면 하기 표 1과 같다.
[표 1]
제어 신호에 따른 선택 출력부의 동작 다이어그램
a b c sw1 sw2
0 0 0 T1 T1
1 1 0 T2 T2
1 0 0 T2 T3
0 0 1 T2 T3
0 1 1 T2 T2
1 1 1 T1 T1
도 4는 도2에 나타낸 휘도 및 색 신호 분리기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어, 상기한 구성을 갖는 휘도 및 색 신호 분리 회로의 동작을 도 4에 나타낸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 지연기(110)에 입력된 복합 영상 신호(102)는 1H 지연된 후에, 상기 제2 지연기(120), 상기 제2 가산기(150), 상기 제1 감산기(160) 및 상기 3.58MHz 검출부(200)에 제공된다. 상기 제2 지연기(120)에 입력된 1H 지연된 복합 영상 신호(112)는 1H 지연된 후에, 상기 제1 가산기(130)에 입력된 복합 영상 신호(102)와 합산하여 제1 1/2 증폭기(140)로 출력시킨다. 상기 제1 1/2 증폭기(140)는 입력된 복합 영상 신호(102)와 상기 제2 지연기(120)로부터 출력된 2H 지연된 복합 영상 신호(122)를 합산한 결과를 1/2배 증폭하여, 증폭된 결과(142)를 상기 제2 가산기(150), 및 제1 감산기(160)로 출력시킨다.
상기 제2 가산기(150)는 상기 제1 지연기(110)로부터 출력된 1H 지연된 복합 영상 신호(112)와 상기 제1 1/2 증폭기(14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합산하여, 합산한 신호를 상기 증폭부(400)의 제2 1/2 증폭기(430)에 출력한다. 상기 제1 감산기(160)는 상기 제1 지연기(110)로부터 출력된 1H 지연된 복합 영상 신호에서 상기 제1 1/2 증폭기(14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감산하여, 감산된 신호를 상기 증폭부(400)의 제2 1/2 증폭기(430)와 제1 2/3 증폭기(460)에 출력한다(단계 S1).
상기 제1 3.58MHz 검출기(210)는 입력 단자(101)로부터 입력된 복합 영상 신호(212)로부터 3.58MHz 주파수 성분을 검출한 후에, 검출된 3.58MHz 주파수 성분값(a, 212)을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 박스(310)에 출력하고, 상기 제2 3.58MHz 검출기(220)는 상기 제1 지연기(110)로부터 출력된 1H 지연된 복합 영상 신호(220)로부터 3.58MHz 주파수 성분을 검출한 후에, 검출된 3.58MHz 주파수 성분값(b, 222)을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 박스(310)에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3 3.58MHz 검출기(230)는 상기 제2 지연기(120)로부터 출력된 2H 지연된 복합 영상 신호(122)로부터 3.58MHz 주파수 성분을 검출한 후에, 검출된 3.58MHz 주파수 성분값(c, 232)을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 박스(310)에 출력한다(단계 S2).
상기 제1, 제2, 및 제3 3.58MHz 검출기(210,220, 및 230)로부터 출력된 3.58MHz 주파수 성분값(a, b, c)을 입력받은 상기 제어 박스(310)는 입력된 3.58MHz 주파수 성분값(a, b, c)에 따라 생성된 제어 신호(312)를 상기 선택 출력부(500)의 상기 제1 스위치(510), 및 상기 제2 스위치(520)에 제공한다(단계 S3).
상기 제2 1/2 증폭기(430)는 상기 제2 가산기(150)로부터 출력된 신호(152)를 1/2배 증폭하여, 1/2 증폭된 신호인 휘도 신호(Y, 432)를 상기 3.58MHz 트랩(440), 및 상기 제1 스위치(510)에 제공한다. 상기 3.58MHz 트랩(440)은 상기 제2 1/2 증폭기(430)로부터 출력된 1/2 증폭된 휘도 신호(Y, 432)를 입력받아 3.58MHz 트랩을 통과시킨 후에 통과된 신호(442)를 상기 제1 스위치(510)에 제공한다(단계 S4).
상기 제3 1/2 증폭기(450)는 상기 제1 감산기(160)로부터 출력된 신호(162)를 1/2배 증폭하여, 1/2 증폭된 신호인 색 신호(C,452)를 상기 제2 스위치(520)에 제공한다. 상기 제1 2/3 증폭기(460)는 상기 제1 감산기(160)로부터 출력된 신호(162)를 2/3배 증폭하여, 2/3 증폭된 신호인 색 신호(C, 452)를 상기 선택 제2 스위치(520)에 제공한다(단계 S5).
상기 제1 스위치(sw1, 510)는 상기 제어부(300)의 상기 제어 박스(31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312)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및 제2 입력 단자(T1, 및 T2)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제2 1/2 증폭기(430), 및 상기 3.58 MHz 트랩(440)으로부터 출력된 휘도 신호를 휘도 신호 출력 단자(Y)에 선택 출력한다(단계 S6).
상기 제2 스위치(sw2, 520)는 상기 제어부(300)의 상기 제어 박스(31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312)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제2, 및 제3 입력 단자(T1, T2, 및 T3)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제3 1/2 증폭기(450), 상기 제1 2/3 증폭기(460)로부터 출력된 휘도 신호와 접지 단자(5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색 신호 출력 단자(C)에 선택 출력한다(단계 S7).
상기 3.58MHz 검출부(200), 상기 제어부(300), 및 상기 선택 출력부(500)의 동작 원리를 표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어 박스(310)에 입력되는 상기 제1, 제2 및 제3 3.58MHz 검출기(210,220, 및 230)로부터 출력되는 3.58MHz 주파수 성분값(a, b, c)에 따른 상기 선택 출력부(500)의 제1 스위치(510), 및 제2 스위치(520)의 동작 원리는 다음과 같다.
제1 3.58MHz 검출기(210)의 출력값 a가 로우이고, 제2 3.58MHz 검출기(220)의 출력값 b 로우이고, 제3 3.58MHz 검출기(230)의 출력값 c가 로우인 경우에, 제1 스위치(sw1, 510)는 제1 입력 단자(T1)가 접속되고 제2 스위치(sw2, 520)는 제1 입력 단자(T1)가 접속된다. a 및 b가 하이이고, c가 로우인 경우에, 제1, 및 제2 스위치(510,520)는 제2 입력 단자(T2)가 접속된다. a가 하이이고, b 및 c가 로우인 경우와 a가 로우이고, b 및 c가 하이인 경우에, 제1 스위치(510)는 제2 입력 단자(T2)가 접속되고 제2 스위치(520)는 제3 입력 단자(T3)가 접속된다. a가 하이 또는 로우이고, b 및 c가 하이인 경우에, 제1 스위치(510)는 제2 입력 단자(T2)가 접속되고 제2 스위치(520)는 제1 입력 단자(T1)가 접속된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전후 라인의 색 캐리어 유무를 판단하여 휘도 신호 및 색 캐리어의 유무에 따라 계산된 신호를 선택 출력시킴으로써 2H 콤필터를 사용하여 복합 영상 신호로부터의 휘도 및 색 신호 분리시 행잉 도트가 제거되어 분리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 발명은 2H 콤필터를 사용하여 복합 영상 신호로부터 휘도 신호와 색 신호를 행잉 도트 없이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행잉 도트 제거기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자의 통상적인 지식의 범위내에서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하다.

Claims (7)

  1. 입력된 복합 영상 신호로부터 휘도 및 색 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영상 분리부(100);
    입력된 복합 영상 신호와 상기 영상 분리부(100)의 중간 신호로부터 3.58MHz 주파수 성분을 검출하기 위한 3.58MHz 검출부(200);
    상기 3.58MHz 검출부(200)에 의해 검출된 3.58MHz 주파수 성분값에 따라 제어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부(300);
    상기 영상 분리부(100)로부터 분리된 휘도 신호와 색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400); 및
    상기 제어부(300)에 의해 출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휘도 신호와 색 신호를 선택 출력하기 위한 선택 출력부(5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도 및 색 신호 분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분리부(100)는
    입력된 복합 영상 신호를 1H 지연시키기 위한 제1 지연기(110);
    상기 제1 지연기(110)에 의해 1H 지연된 복합 영상 신호를 1H 지연시키기 위한 제2 지연기(120);
    입력된 복합 영상 신호와 상기 제2 지연기(120) 로부터 출력된 2H 지연된 복합 영상 신호를 연산하기 위한 제1 가산기(130);
    상기 제1 가산기(130)로부터 출력된 합산 신호를 1/2 증폭하기 위한 제1 1/2 증폭기(140);
    상기 제1 지연기(110)로부터 출력된 1H 지연된 복합 영상 신호와 상기 제1 1/2 증폭기(140)로부터 출력된 1/2 증폭된 신호를 연산하기 위한 제2 가산기(150); 및
    상기 제1 지연기(110)로부터 출력된 1H 지연된 복합 영상 신호와 상기 제1 1/2 증폭기(140)로부터 출력된 1/2 증폭된 신호를 연산하기 위한 제1 감산기(1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도 및 색 신호 분리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3.58MHz 검출부(200)는
    입력 단자(101)로부터 입력된 복합 영상 신호(212)로부터 3.58MHz 주파수 성분을 검출하기 위한 제1 3.58MHz 검출기(210);
    상기 제1 지연기(110)로부터 출력된 1H 지연된 복합 영상 신호(112)로부터 3.58MHz 주파수 성분을 검출하기 위한 제2 3.58MHz 검출기(220); 및
    상기 제2 지연기(120)로부터 출력된 2H 지연된 복합 영상 신호(122)로부터 3.58MHz 주파수 성분을 검출하기 위한 제3 3.58MHz 검출기(2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도 및 색 신호 분리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부(400)는
    상기 영상 분리부(100)로부터 분리된 휘도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휘도 신호 증폭부(410); 및
    상기 영상 분리부(100)로부터 분리된 색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색 신호 증폭부(4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도 및 색 신호 분리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신호 증폭부(410)는 상기 영상 분리부(100)로부터 분리된 휘도 신호를 1/2배 증폭하기 위한 제2 1/2증폭기(430); 및 상기 제2 1/2 증폭기(430)로부터 1/2 배 증폭된 신호를 3.58MHz 트랩하기 위한 3.58MHz 트랩(440)으로 구성되고, 상기 색 신호 증폭부(420)는 상기 영상 분리부(100)로부터 분리된 색 신호를 1/2배 증폭하기 위한 제3 1/2증폭기(450); 및 상기 영상 분리부(100)로부터 분리된 색 신호를 2/3배 증폭하기 위한 제1 2/3증폭기(4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도 및 색 신호 분리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출력부(500)는
    상기 휘도 신호 증폭부(410)로부터 출력된 휘도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1 스위치(510); 및
    상기 색 신호 증폭부(420)로부터 출력된 색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2 스위치(5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도 및 색 신호 분리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분리부(100)는
    입력된 복합 영상 신호를 1H 지연시키기 위한 제1 지연기(110);
    상기 제1 지연기(110)에 의해 1H 지연된 복합 영상 신호를 1H 지연시키기 위한 제2 지연기(120);
    입력된 복합 영상 신호와 상기 제2 지연기(120) 로부터 출력된 2H 지연된 복합 영상 신호를 연산하기 위한 제1 가산기(130);
    상기 제1 가산기(130)로부터 출력된 합산 신호를 1/2 증폭하기 위한 제1 1/2 증폭기(140);
    상기 제1 지연기(110)로부터 출력된 1H 지연된 복합 영상 신호와 상기 제1 1/2 증폭기(140)로부터 출력된 1/2 증폭된 신호를 연산하기 위한 제2 가산기(150); 및
    상기 제1 지연기(110)로부터 출력된 1H 지연된 복합 영상 신호와 상기 제1 1/2 증폭기(140)로부터 출력된 1/2 증폭된 신호를 연산하기 위한 제1 감산기(160)를 포함하고,
    상기 3.58MHz 검출부(200)는
    입력 단자(101)로부터 입력된 복합 영상 신호(212)로부터 3.58MHz 주파수 성분을 검출하기 위한 제1 3.58MHz 검출기(210);
    상기 제1 지연기(110)로부터 출력된 1H 지연된 복합 영상 신호(112)로부터 3.58MHz 주파수 성분을 검출하기 위한 제2 3.58MHz 검출기(220); 및
    상기 제2 지연기(120)로부터 출력된 2H 지연된 복합 영상 신호(122)로부터 3.58MHz 주파수 성분을 검출하기 위한 제3 3.58MHz 검출기(230)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 출력부(500)는 상기 제1 3.58MHz 검출기(210)에 의해 검출된 3.58MHz 주파수 성분(212)이 a이고, 상기 제2 3.58MHz 검출기(220)에 의해 1H 지연된 휘도 및 색 신호(112)로부터 검출된 3.58MHz 주파수 성분(222)이 b이고, 그리고 상기 제3 3.58MHz 검출기(230)에 의해 2H 지연된 휘도 및 색 신호(122)로부터 검출된 3.58MHz 주파수 성분(232)이 c인 경우에서, a가 논리 로우이고 b가 논리 로우이고 c가 논리 로우인 경우, 또는 a가 논리 하이이고 b가 논리 하이이고 c가 논리 하이인 경우에 접속되어 상기 제2 1/2증폭기(430)로 부터의 휘도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1 입력 단자(T1), 및 a가 논리 하이이고 b가 논리 하이이고 c가 논리 로우인 경우, a가 논리 하이이고 b가 논리 로우이고 c가 논리 로우인 경우, a가 논리 로우이고 b가 논리 로우이고 c가 논리 하이인 경우, 또는 a가 논리 로우이고 b가 논리 하이이고 c가 논리 하이인 경우에 접속되어 상기 3.58MHz 트랩(440)으로부터의 휘도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2 입력 단자(T2)를 포함한 제1 스위치(510); 및
    a가 논리 로우이고 b가 논리 로우이고 c가 논리 로우인 경우, 또는 a가 논리 하이이고 b가 논리 하이이고 c가 논리 하이인 경우에 접속되어 상기 제3 1/2증폭기(450)로 부터의 색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1 입력 단자(T1), a가 논리 하이이고 b가 논리 하이이고 c가 논리 로우인 경우, 또는 a가 논리 로우이고 b가 논리 하이이고 c가 논리 하이인 경우에 접속되어 상기 제1 2/3증폭기(460)로부터의 색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2 입력 단자(T2), 및 a가 논리 하이이고 b가 논리 로우이고 c가 논리 로우인 경우, a가 논리 로우이고 b가 논리 로우이고 c가 논리 하이인 경우에 접속되어 색 신호를 차단하기 위한 제3 입력 단자(T3)를 포함한 제2 스위치(5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도 및 색 신호 분리기.
KR1019970020131A 1997-05-23 1997-05-23 휘도 및 색 신호 분리기 KR199800843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0131A KR19980084360A (ko) 1997-05-23 1997-05-23 휘도 및 색 신호 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0131A KR19980084360A (ko) 1997-05-23 1997-05-23 휘도 및 색 신호 분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4360A true KR19980084360A (ko) 1998-12-05

Family

ID=65991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0131A KR19980084360A (ko) 1997-05-23 1997-05-23 휘도 및 색 신호 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8436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48305A (en) Comb filter capable of reducing cross-color phenomena and noises
KR930003178B1 (ko) 상관적응형 휘도신호와 색신호 분리회로
JPS59151592A (ja) 輝度信号及び色信号分離回路
KR940000414Y1 (ko) 화상신호의 휘도 신호 및 색신호 분리장치
KR0136232B1 (ko) 휘도 신호/컬러 신호 분리 회로
US5373328A (en) Apparatus for separating luminance and color signals by detecting the horizontal and vertical variations
JPS63310296A (ja) Y/c分離回路
KR19980030424A (ko) 콤 필터
US20060125965A1 (en) Method and device for separating a chrominance signal from a composite video baseband signal
KR19980084360A (ko) 휘도 및 색 신호 분리기
KR19980079061A (ko) 휘도 및 색 신호 분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휘도 및 색 신호 분리 회로
KR100238800B1 (ko) 휘도 및 색 신호 분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휘도 및 색 신호 분리 회로
KR100248991B1 (ko) 휘도 및 색 신호 분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휘도 및 색 신호 분리 회로
KR100244519B1 (ko) 운동 적응 휘도 및 색 신호 분리 회로
JPH04108286A (ja) Y/c分離回路
JP2698637B2 (ja) 輝度信号・色度信号分離回路
JP3428148B2 (ja) フィルタ回路
KR100251536B1 (ko) 수직 해상도가 보정된 휘도 및 색 신호 분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휘도 및 색 신호 분리 회로
KR100238801B1 (ko) 휘도 및 색 신호 분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휘도 및 색 신호 분리 회로
KR940002613B1 (ko) 적응형 필터를 이용한 휘도 및 색신호 분리회로 및 방법
KR19980084359A (ko) 행잉 도트가 제거된 콤 필터
KR100251537B1 (ko) 휘도및색신호분리방법및이를수행하기위한휘도및색신호분리회로
KR19980079062A (ko) 행잉 도트를 제거한 휘도 및 색 신호 분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19990002920A (ko) 휘도 및 색 신호 분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휘도 및 색신호 분리 회로
KR19980056045A (ko) 에너지 감지 휘도 및 색신호 분리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