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9353A - Portable computer with handle - Google Patents

Portable computer with hand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9353A
KR19980079353A KR1019970046285A KR19970046285A KR19980079353A KR 19980079353 A KR19980079353 A KR 19980079353A KR 1019970046285 A KR1019970046285 A KR 1019970046285A KR 19970046285 A KR19970046285 A KR 19970046285A KR 19980079353 A KR19980079353 A KR 19980079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portable computer
main body
locking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62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건영
김중섭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US09/066,925 priority Critical patent/US6208504B1/en
Priority to JP10119017A priority patent/JPH1124791A/en
Publication of KR19980079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9353A/en

Links

Abstract

메인보드와 각종 주변장치가 내장되어 있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는 손잡이와;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입력된 명령에 따라 결과를 화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휴대용 컴퓨터의 사용 여부에 따라 상기 손잡이가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우묵하게 형성된 만곡부를 포함하는 손잡이가 있는 휴대용 컴퓨터는 본체부에 장착된 손잡이가 휴대용 컴퓨터를 사용할 때는 돌출되지 않고 이동중 또는 손잡이가 필요할 경우에만 외부로 돌출되므로써 별도의 휴대용 컴퓨터 케이스에 들어가는 비용을 절감하고 사용의 편리를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A main body having a main board and various peripheral devices therein; A handle coupled to the main body; A display unit rotatably mounted to the main body unit and outputting a result to a screen according to an input command; A portable computer with a handle including a curved portion formed in the front of the main body to prevent the handle from protruding out of the main body according to whether a portable computer is used or not, the handle mounted on the main body may use a portable computer. It does not protrude at the time, and it protrudes outside only when moving or when a handle is needed, thereby reducing the cost of entering a separate portable computer case and improving convenience of use.

Description

손잡이가 있는 휴대용 컴퓨터Portable computer with handle

이 발명은 손잡이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휴대용 컴퓨터의 본체부에 손잡이를 장착하여 이동을 편리하게 한 휴대용 컴퓨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omputer having a handl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omputer having a handle attached to a main body of the portable computer to facilitate move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종래의 휴대용 컴퓨터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ventional portable comput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1은 종래에 사용한 휴대용 컴퓨터가 휴대용 컴퓨터 케이스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conventional portable computer is stored in a portable computer case.

도11에 도시되어 있듯이, 종래에는 휴대용 컴퓨터(10)를 갖고 이동할 때, 단거리 이동시에는 휴대용 컴퓨터(10) 자체를 들어서 이동하고, 장거리 이동시에는 별도의 케이스(11)에 넣어서 케이스(11)에 달린 손잡이(12)나 멜빵(13)을 이용하여 운반하였다.As shown in FIG. 11, when moving with the portable computer 10 in the related art, the portable computer 10 itself is moved during a short distance movement, and when the long distance movement is carried, it is placed in a separate case 11 and attached to the case 11. It was carried using the handle 12 or suspenders 13.

또 휴대용 컴퓨터 자체에 손잡이를 부착한 제품도 개발되었다.In addition, a product with a handle attached to the portable computer itself was also developed.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손잡이가 없는 휴대용 컴퓨터의 경우, 장거리 이동시에 휴대용 컴퓨터를 수납할 별도의 케이스가 필요하므로 운반할 물품의 전체 부피와 무게가 늘어나게 되고 별도의 케이스에 대한 비용이 추가되는 단점이 있고, 단거리 이동시에는 휴대용 컴퓨터를 팔에 끼거나 손에 들고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휴대용 컴퓨터를 떨어뜨릴 경우 휴대용 컴퓨터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기존의 손잡이가 있는 휴대용 컴퓨터는 손잡이가 밖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컴퓨터를 사용할 때 불편함이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ology requires a separate case for storing a portable computer when the portable computer does not have a handle, thereby increasing the total volume and weight of the goods to be carried and adding a cost for the separate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when a short-distance movement of the portable computer is put in the arm or hand in hand, when the portable computer is dropped due to carelessness of the user, the portable computer may be damaged. Since it protrudes out, it is inconvenient when using the computer.

그러므로,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용 컴퓨터의 본체부에 사용하지 않을 때는 밖으로 돌출되지 않는 손잡이를 부착하여 휴대용 컴퓨터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불편함을 없애고, 장거리 또는 단거리 이동시 운반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가 있는 휴대용 컴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removing the inconvenience caused when using a portable computer by attaching a handle that does not protrude when not in use in the body portion of the portable computer, carrying in a long distance or short-distance movement It is to provide a portable computer with a handle to make it easier.

도1은 이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있는 휴대용 컴퓨터의 외관 사시도.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computer with a hand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이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탑 케이스의 배면도.Figure 2 is a rear view of the top case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3은 이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바텀 케이스의 평면도.Figure 3 is a plan view of a bottom case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4는 이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손잡이의 평면도.Figure 4 is a plan view of the handle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이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손잡이의 측면도.Figure 5 is a side view of the handle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이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장착된 탑 케이스의 배면도.Figure 6 is a rear view of the top case with a hand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7은 이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있는 휴대용 컴퓨터의 외관 사시도.7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computer with a hand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8은 이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사용 여부에 따라 변화하는 손잡이의 상태도.Figure 8 is a state diagram of a handle that varie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used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9의 9a 내지 9d는 이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있는 휴대용 컴퓨터의 손잡이를 나타낸 도면으로서,9A to 9D are views showing the handle of the portable computer with the hand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a는 휴대용 컴퓨터에 장착된 상태의 평면도.9a is a plan view of the portable computer mounted on it.

9b는 손잡이만을 나타낸 평면도.9b is a plan view showing the handle only.

9c는 손잡이의 측면도.9c is a side view of the handle.

9d는 9c에서 A-A', B-B'의 단면도.9d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A 'and B-B' at 9c.

도10은 도7의 (가) 부분의 확대 단면도로서,10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part (a) of FIG.

10a는 손잡이를 사용하지 않을 때를 나타내는 단면도.10a is a sectional view showing when the handle is not used.

10b는 손잡이를 사용할 때를 나타내는 단면도.10b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use of the handle.

도11은 종래에 사용한 휴대용 컴퓨터가 휴대용 컴퓨터 케이스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conventional portable computer is stored in a portable computer cas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20 : 본체부 2, 21 : 손잡이 3 : 디스플레이부1, 20 main body 2, 21 handle 3 display unit

11 : 탑 케이스 12 : 바텀 케이스 13 ∼ 16 : 플레이트11 top case 12 bottom case 13-16 plate

21a, 21b : 걸림턱21a, 21b: jamming jaw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구성은,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메인보드와 각종 주변장치가 내장되어 있는 본체부와;A main body having a main board and various peripheral devices therein;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는 손잡이와;A handle coupled to the main body;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입력된 명령에 따라 결과를 화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A display unit rotatably mounted to the main body unit and outputting a result to a screen according to an input command;

휴대용 컴퓨터의 사용 여부에 따라 상기 손잡이가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우묵하게 형성된 만곡부를 포함한다.It includes a curved portion formed in the front of the main body portion in order to prevent the handle from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depending on the use of the portable computer.

이하,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제1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first embodiment tha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1은 이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있는 휴대용 컴퓨터의 외관 사시도이고,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computer with a hand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이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탑 케이스의 배면도이고,2 is a rear view of the top case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3은 이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바텀 케이스의 평면도이고,3 is a plan view of a bottom case in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이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손잡이의 평면도이고,4 is a plan view of the handle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5는 이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손잡이의 측면도이고,5 is a side view of the handle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6은 이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장착된 탑 케이스의 배면도이다.Figure 6 is a rear view of the top case with a hand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있는 휴대용 컴퓨터는, 메인보드와 각종 주변장치가 내장되어 있으며 상면에 키보드(10)가 장착된 본체부(1)와, 상기 본체부(1)의 전면에 결합되며 탄성이 있는 플라스틱이나 고무 등으로 만들어지는 손잡이(2)와,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입력된 명령에 따라 결과를 화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3)와, 휴대용 컴퓨터의 사용 여부에 따라 상기 손잡이(2)가 상기 본체부(1)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본체부(1)의 전면에 우묵하게 형성된 만곡부(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 the portable computer with a hand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main body 1 having a main board and various peripheral devices and a keyboard 10 mount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the main body ( A handle (2)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1) and made of elastic plastic or rubber, and a display unit (3) rotatably mounted on the main body and outputting a result on the screen according to an input command; In order to prevent the handle 2 from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 according to the use of a portable computer, it comprises a curved portion 4 formed in the front of the main body 1.

상기 본체부(1)는 탑 케이스(11)와, 상기 탑 케이스(11)에 나사 체결되는 바텀 케이스(12)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탑 케이스(11)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하단 좌/우측에 각각 반원의 홈(13a, 14a)을 갖는 제1 및 제2플레이트(13, 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텀 케이스(12)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 케이스(11)에 형성된 제1 및 제2플레이트(13, 14)에 대응하도록 내측 하단 좌/우측에 반원의 홈(15a, 16a)을 갖는 제3 및 제4플레이트(15, 16)가 형성되어 있다.The main body 1 includes a top case 11 and a bottom case 12 which is screwed to the top case 11. The top case 11 has an inner side as shown in FIG. 2. The first and second plates 13 and 14 having semicircular grooves 13a and 14a are formed at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and the bottom case 12 has the top as shown in FIG. 3. Third and fourth plates 15 and 16 having semicircular grooves 15a and 16a are formed at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ner bottom to correspond to the first and second plates 13 and 14 formed in the case 11. have.

따라서, 상기 탑 케이스(11)와 바텀 케이스(12)를 나사 체결하면, 상기 제1플레이트(13a)와 상기 제3플레이트(15a)가 결합하고, 상기 제2플레이트(14a)와 상기 제4플레이트(16a)가 결합하여, 상기 본체부(1)의 내부에 손잡이(2)를 장착하기 위한 두 개의 걸림부가 형성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top case 11 and the bottom case 12 are screwed together, the first plate 13a and the third plate 15a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plate 14a and the fourth plate are coupled to each other. 16a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wo locking portions for mounting the handle 2 inside the main body portion 1 are formed.

그리고 각 걸림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1플레이트(13)에 형성된 반원의 홈(13a)과 상기 제3플레이트(15)에 형성된 반원의 홈(15a)이 결합하여 형성된 가이드 홀과, 상기 제2플레이트(14)에 형성된 반원의 홈(14a)과 상기 제4플레이트(16)에 형성된 반원의 홈(16a)이 결합하여 형성된 가이드 홀이 있다.In addition, a guide hole formed by coupling a semicircular groove 13a formed in the first plate 13 and a semicircular groove 15a formed in the third plate 15 to one side of each engaging portion, and the second plate. There is a guide hole formed by joining the semicircular groove 14a formed in 14 and the semicircular groove 16a formed in the fourth plate 16.

상기 손잡이(2)는,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통부(21)의 양단에 걸림턱(21a, 21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통부(21)와 각 걸림턱(21a, 21b)의 일부분에는 상기 손잡이(2)의 잦은 사용으로 인해 상기 몸통부(21)와 각 걸림턱(21a, 21b)의 경계 부분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강부재(24, 25)가 삽입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handle 2 has locking jaws 21a and 21b formed at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21, and the body portion 21 and each locking jaw 21a are formed. Reinforcing members 24 and 25 are inserted into a part of 21b to prevent the boundary portions of the body portion 21 and the engaging jaws 21a and 21b from being broken due to frequent use of the handle 2. It is.

각 보강부재(24, 25)의 일단에는 성형을 위한 보강부재 노출부(24a, 25a)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보강부재 노출부는 손잡이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One end of each of the reinforcing members 24 and 25 is formed with reinforcing member exposed portions 24a and 25a for molding, and the reinforcing member exposed portions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andle.

상기 몸통부(21)의 양단에 형성된 걸림턱(21a, 21b)은 각 가이드 홀을 통해 상기 본체부(1)의 각 걸림부의 내부로 장착된다.The locking jaws 21a and 21b formed at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21 are mounted into the respective locking portions of the main body portion 1 through the respective guide holes.

각 걸림부의 내부에는 상기 몸통부(21)가 가이드 홀을 통해 움직일 때 각 걸림턱(21a, 21b)이 움직일 수 있는 유동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휴대용 컴퓨터의 사용 여부에 따라 상기 손잡이(2)를 상기 만곡부(4)에 밀착할 수 있다.Inside the engaging portion is formed a flow space in which the engaging jaw (21a, 21b) can move when the body portion 21 is moved through the guide hole, the handle (2)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o use a portable computer It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urved portion 4.

상기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있는 휴대용 컴퓨터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ortable computer with a hand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bove configuration is as follows.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를 조립하기 위해, 탑 케이스(11)의 내측 하단 좌/우측에 형성된 제1 및 제2플레이트(13, 14)의 내부에 손잡이(2)를 장착하는데, 상기 손잡이(2)의 몸통부(21)가 상기 제1 및 제2플레이트(13, 14)에 각각 형성된 반원의 홈(13a, 14a)에 위치하고, 상기 몸통부(21)의 양단에 형성된 걸림턱(21a, 21b)이 각각 상기 제1 및 제2플레이트(13, 14)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장착한다.In order to assemble the main body portion 1 as shown in FIG. 6, the handle 2 is mounted inside the first and second plates 13 and 14 formed on the inn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op case 11. The body portion 21 of the handle (2) is located in the semicircular grooves (13a, 14a)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plates (13, 14), respectively, formed on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21 The locking jaws 21a and 21b are mounted so as to be positioned inside the first and second plates 13 and 14, respectively.

다음으로, 상기 본체부(1)의 조립을 완료하기 위해 상기 탑 케이스(11)에 바텀 케이스(12)를 나사 체결한다.Next, the bottom case 12 is screwed to the top case 11 to complete the assembly of the main body 1.

그러면 상기 제1플레이트(13)와 상기 바텀 케이스(12)의 내측 하단 좌측에 형성된 제3플레이트(15)가 결합하여 가이드 홀이 있는 제1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14)와 상기 바텀 케이스(12)의 내측 하단 우측에 형성된 제4플레이트(16)가 결합하여 가이드 홀이 있는 제2걸림부가 형성된다.Then, the first plate 13 and the third plate 15 formed at the lower left side of the inner bottom of the bottom case 12 are combined to form a first locking part having a guide hole, and the second plate 14 and the The fourth plate 16 formed on the inner lower right side of the bottom case 12 is coupled to form a second locking part having a guide hole.

따라서, 상기 제1걸림부의 내부에 상기 손잡이(2)의 제1걸림턱(21a)이 장착되고, 상기 제2걸림부의 내부에 상기 손잡이(2)의 제2걸림턱(21b)이 장착되며, 상기 몸통부(21)는 각 걸림부에 형성된 가이드 홀을 통해 움직이게 된다.Accordingly, the first locking jaw 21a of the handle 2 is mounted inside the first locking portion, and the second locking jaw 21b of the handle 2 is mounted inside the second locking portion. The body portion 21 is moved through the guide hole formed in each engaging portion.

상기 가이드 홀은 상기 제1플레이트(13)에 형성된 반원의 홈(13a)과 상기 제3플레이트(15)에 형성된 반원의 홈(15a)이 결합하고, 상기 제2플레이트(14)에 형성된 반원의 홈(14a)과 상기 제4플레이트(16)에 형성된 반원의 홈(16a)이 결합하여 형성된 것이다.The guide hole is a semicircular groove 13a formed in the first plate 13 and a semicircular groove 15a formed in the third plate 15, and the semicircular groove formed in the second plate 14 The grooves 14a and the semicircular grooves 16a formed in the fourth plate 16 are combined to each other.

상기 과정에 의해 조립이 완성되면, 사용자는 휴대용 컴퓨터의 사용 여부에 따라 손잡이의 상태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assembly is completed by the above process, the user can adjust the state of the handle according to the use of the portable computer.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휴대용 컴퓨터를 사용할 때는 상기 손잡이(2)가 휴대용 컴퓨터를 사용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상기 손잡이(2)의 몸통부(21)를 본체부(1) 방향으로 가압한다.In more detail, when using the portable computer, the body portion 21 of the handle 2 is urged toward the main body portion 1 so that the handle 2 does not interfere with the use of the portable computer.

그러면, 상기 몸통부(21)의 좌/우측 부분이 각 가이드 홀을 통해 상기 본체부(1)의 제1, 제2걸림부의 내부로 삽입되므로 각 걸림턱(21a, 21b)이 각 걸림부의 내부에 형성된 유동공간의 내부로 이동하여 상기 몸통부(21)가 상기 만곡부(4)에 밀착하게 되므로 상기 손잡이(2)가 상기 본체부(1)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Then, the left and right portions of the body portion 21 ar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ortions of the main body portion 1 through the respective guide holes, so that the locking jaws 21a and 21b are inside the respective locking portions. Since the body portion 2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urved portion 4 by moving to the inside of the flow space formed in the handle 2 does not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1).

그러나, 휴대용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고 이동할 때는 상기 손잡이(2)가 휴대용 컴퓨터의 본체부(1)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몸통부(21)를 잡아당긴다.However, when moving without using a portable computer, the handle 21 is pulled out so that the handle 2 protrudes out of the main body 1 of the portable computer.

그러면, 상기 본체부(1)에 형성된 각 걸림부의 내부에 삽입되었던 상기 몸통부(21)의 좌/우측 부분이 가이드 홀을 통해 각 걸림부의 외부로 빠져나오고, 이로 인해 상기 손잡이(2)가 본체부(1)의 외부로 돌출되어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2)의 몸통부(21)를 잡고 휴대용 컴퓨터를 운반할 수 있게 된다.Then, the left and right portions of the body portion 21 inserted into the respective locking portions formed in the main body portion 1 exit out of the respective locking portions through the guide holes, so that the handle 2 is moved into the main body. Protruding out of the unit 1 allows the user to carry the portable computer by holding the torso 21 of the handle 2.

이때, 상기 손잡이(2)는 본체부(1)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데, 이는 각 걸림부의 내부에 삽입된 상기 손잡이(2)의 제1 및 제2걸림턱(21a, 21b)의 크기가 각 가이드 홀의 크기 보다 커서 각 가이드 홀을 통과할 수 없기 때문이다.At this time, the handle 2 is not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 which is the size of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jaw (21a, 21b) of the handle 2 inserted into each of the engaging portion of each guide hole It is larger than the size and cannot pass through each guide hole.

그리고, 상기 몸통부(21)와 각 걸림턱(21a, 21b)의 일부분에 장착된 보강부재(24, 25)는 상기 몸통부(21)와 각 걸림턱(21a, 21b)의 경계 부분의 강도를 높여 주어, 상기 손잡이(2)의 잦은 사용으로 경계 부분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해 준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members 24 and 25 mounted on the trunk portion 21 and the portions of the latching jaws 21a and 21b have strengths at the boundary between the trunk portion 21 and the latching jaws 21a and 21b. By raising the, the frequent use of the handle (2) to prevent the boundary portion is broken.

각 보강부재(24, 25)는 금속판 등으로 만들어진다.Each reinforcing member 24, 25 is made of a metal plate or the like.

상기 손잡이(2)는 가압에 의해서만 상기 만곡부(4)에 밀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손잡이(2) 자체의 탄성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만곡부(4)에 밀착되게 할 수도 있다.The handle 2 may not onl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urved portion 4 by pressing, but may also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urved portion 4 automatically by the elasticity of the handle 2 itself.

다음으로,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제2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a second embodiment in which this inven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7은 이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있는 휴대용 컴퓨터의 외관 사시도이고,7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computer with a hand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8은 이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있는 휴대용 컴퓨터의 외관도로서 사용자가 이용할 때의 손잡이(21) 모양과 사용자가 이용하지 않을 때의 손잡이(21')의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Fig. 8 is an external view of a portable computer with a hand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hows the shape of the handle 21 when the user is using it and the shape of the handle 21 'when the user is not using it. ,

도9의 9a 내지 9d는 이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있는 휴대용 컴퓨터의 손잡이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9a는 휴대용 컴퓨터에 장착된 상태의 평면도이고, 9b는 손잡이만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9c는 측면도이고, 9d는 9c에서 A-A', B-B'의 단면도이고,9A to 9D show a handle of a portable computer with a hand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 9a is a plan view of a portable computer mounted state, 9b is a plan view showing only a handle, and 9c is a side view. 9d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A 'and B-B' at 9c,

도10은 도7의 (가) 부분의 확대 단면도로서 10a는 손잡이를 사용하지 않을 때를 나타내고, 10b는 손잡이를 사용할 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0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part (a) of FIG. 7, where 10a shows a time when no handle is used and 10b shows a time when a handle is used.

이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있는 휴대용 컴퓨터의 구성은, 양쪽 끝에 걸림턱(21a, 21b)이 형성된 손잡이(21)와;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computer with a hand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andle 21 having engaging jaws 21a and 21b at both ends thereof;

상기 손잡이(21)에 형성된 걸림턱(21a, 21b)이 각각 삽입되는 홀(hole)이 있는 두 개의 걸림부재(22)가 소정의 위치에 부착된 본체부(20)를 포함한다.The main body part 20 includes two locking members 22 having holes for inserting the locking jaws 21a and 21b formed in the handle 21.

상기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있는 휴대용 컴퓨터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th respect to the portable computer with a hand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bove configuration as follows.

도7 내지 도10에 도시되어 있듯이, 손잡이(21)는 탄성이 있는 플라스틱이나 고무 등으로 만들어지며, 양끝에 버섯 모양의 걸림턱(21a, 21b)이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21)의 각 걸림턱(21a, 21b)은 가압에 의해 걸림부재(22)의 홀에 삽입되면 빠지지 않도록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재(22)에 삽입된 상기 손잡이(21)는 도8에서와 같이 사용 여부에 따라 손잡이(21, 21')의 모양이 변화한다.As shown in Figure 7 to 10, the handle 21 is made of elastic plastic or rubber, etc., the mushroom-like engaging jaw (21a, 21b) is formed at both ends. Each of the locking jaws 21a and 21b of the handle 21 is formed so as not to be pulled out when it is inserted into the hole of the locking member 22 by pressure, and the handle 21 inserted into the locking member 22 is shown in FIG. 8. As in the shape of the handle (21, 21 ') change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used.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10에서와 같이 손잡이(21)는 사용될 때에는 손잡이(21)가 당겨져서 걸림부재(22)의 홀에 고정(도10b)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손잡이(21)의 자체 탄성에 의해, 걸림부재(22)와 본체부(20)의 하우징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 걸림부재(22)의 홀을 통해 소정 길이만큼 삽입(도10a)된다. 따라서 손잡이(21)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본체부(20)의 하우징 밖으로 손잡이(21)가 돌출되지 않고(손잡이 부분의 하우징은 안쪽으로 오목함), 본체부(20)의 하우징에 밀착되므로 휴대용 컴퓨터를 사용할 때 손잡이(21)에 의한 불편함이 없다.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10, the handle 21 is pulled into the hole of the locking member 22 when the handle 21 is used (FIG. 10B), and when the handle 21 is not used, the handle 21 itself is used. By elasticity, a predetermined length is inserted through the hole of the locking member 22 into the space formed by the housing of the locking member 22 and the main body 20 (FIG. 10A). Therefore, when the handle 21 is not used, the handle 21 does not protrude out of the housing of the main body 20 (the housing of the handle portion is concave inward), and the portable comput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housing of the main body 20. There is no inconvenience when using the handle 21.

상기 걸림부재(22)는 본체부(20)의 하우징 내부의 소정의 위치, 예를 들면 휴대용 컴퓨터를 사용하기 위해 책상에 올려놓았을 때 전면부 안쪽의 양쪽 끝(도7 및 도10참조)에 절곡된 형상으로 부착되며, 상기 손잡이(21)의 양쪽 걸림턱(21a, 21b)이 양쪽의 상기 걸림부재(22)의 홀에 각각 삽입된다.The locking member 22 is loca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side the housing of the main body 20, for example, at both ends inside the front portion (see FIGS. 7 and 10) when placed on a desk for use of a portable computer. Attached in a bent shape, both of the locking jaw (21a, 21b) of the handle 21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holes of the locking member (22).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손잡이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는, 본체부에 장착된 손잡이가 휴대용 컴퓨터를 사용할 때는 돌출되지 않고 이동중 또는 손잡이가 필요할 경우에만 외부로 돌출되므로써 별도의 휴대용 컴퓨터 케이스에 들어가는 비용을 절감하고 사용의 편리를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computer having the handle provid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protrude when the portable computer is used when the portable computer is used. It is effective in reducing the cost and convenience of use.

Claims (9)

메인보드와 각종 주변장치가 내장되어 있는 본체부와;A main body having a main board and various peripheral devices therein;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는 손잡이와;A handle coupled to the main body;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입력된 명령에 따라 결과를 화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A display unit rotatably mounted to the main body unit and outputting a result to a screen according to an input command; 휴대용 컴퓨터의 사용 여부에 따라 상기 손잡이가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우묵하게 형성된 만곡부를 포함하는 손잡이가 있는 휴대용 컴퓨터.The portable computer with a handle including a curved portion formed in the front of the body portion to prevent the handle from protruding outside the body portion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portable computer is u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portion, 소정 위치에 가이드 홀이 형성된 다수의 걸림부가 설치되고, 상기 걸림부의 내부에 유동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있는 휴대용 컴퓨터.A portable computer with a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locking portions formed with a guide hole in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flow space is formed inside the locking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ocking portion, 탑 케이스(11)의 내측 하단 좌/우측에 형성된 반원의 홈(13a, 14a)이 있는 두 개의 플레이트(13, 14)와, 이에 대응하도록 바텀 케이스(12)의 내측 하단 좌/우측에 형성된 반원의 홈(15a, 16a)이 있는 두 개의 플레이트(15, 16)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있는 휴대용 컴퓨터.Two plates 13 and 14 having semicircular grooves 13a and 14a formed on the inn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op case 11 and semicircles formed on the inn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ttom case 12 to correspond thereto. Handheld computer with a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ombination of two plates (15, 16) having grooves (15a, 16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홀은,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guide hole, 상기 제1플레이트(13)에 형성된 반원의 홈(13a)과 상기 제3플레이트(15)에 형성된 반원의 홈(15a)이 결합하고, 상기 제2플레이트(14)에 형성된 반원의 홈(14a)과 상기 제4플레이트(16)에 형성된 반원의 홈(16a)이 결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있는 휴대용 컴퓨터.A semicircular groove 13a formed in the first plate 13 and a semicircular groove 15a formed in the third plate 15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semicircular groove 14a formed in the second plate 14 is combined. And a semicircular groove (16a) formed in the fourth plate (16) is formed by coupl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handle, 상기 본체부에 설치된 각 걸림부의 내부로 몸통부(21)의 양단에 형성된 걸림턱(21a, 21b)이 장착되며, 각 걸림부에 형성된 가이드 홀을 통해 몸통부(21)가 움직이고, 상기 몸통부(21)의 움직임에 따라 각 걸림턱(21a, 21b)이 유동공간의 내부를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있는 휴대용 컴퓨터.The locking jaws 21a and 21b formed at both ends of the trunk portion 21 are mounted in the respective locking portions installed in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trunk portion 21 moves through the guide holes formed in the locking portions, and the trunk portion Handheld computer with a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each locking jaw (21a, 21b) moves inside the flow space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2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에는,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handle, 빈번한 사용으로 상기 손잡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몸통부(21)와 각 걸림턱(21a, 21b)의 일부분에 보강부재(24, 25)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있는 휴대용 컴퓨터.Portable computer with a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ing member (24, 25) is inserted into the body portion (21) and a portion of each engaging jaw (21a, 21b) to prevent damage to the handle due to frequent use. 메인보드와 각종 주변장치가 내장되어 있으며, 소정위치에 가이드 홀이 형성된 다수의 걸림부가 설치되고, 각 걸림부의 내부에 유동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와;A main body having a main board and various peripheral devices installed therein, and having a plurality of engaging portions formed with guide holes at predetermined positions, and having a flow space formed in each of the engaging portions; 몸통부가 상기 걸림부에 형성된 가이드 홀을 통해 움직이고, 상기 몸통부의 움직임에 따라 몸통부의 양단에 형성된 걸림턱이 상기 걸림부의 내부에 형성된 유동공간을 움직일 수 있게 장착되는 손잡이와;A handle, the body portion of which is moved through a guide hole formed in the locking portion, and the locking jaw formed at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body portion to move the flow space formed inside the locking portion;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입력된 명령에 따라 결과를 화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A display unit rotatably mounted to the main body unit and outputting a result to a screen according to an input command; 휴대용 컴퓨터의 사용 여부에 따라 상기 손잡이가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우묵하게 형성된 만곡부를 포함하는 손잡이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The portable computer having a handle including a curved portion formed in the front of the body portion to prevent the handle from protruding out of the body portion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portable computer is used. 양쪽 끝에 걸림턱이 형성된 손잡이와;A handle having a locking jaw formed at both ends thereof; 상기 손잡이에 형성된 걸림턱이 각각 삽입되는 홀이 있는 두 개의 걸림부재가 소정의 위치에 부착된 컴퓨터 본체를 포함하는 손잡이가 있는 휴대용 컴퓨터.A portable computer having a handle including a computer body having two locking members each having a hole into which a locking step formed in the handle is inserted.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손잡이의 걸림턱(21a, 21b)은 버섯 모양이며, 상기 손잡이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기 손잡이의 자체 탄성에 의해 상기 손잡이가 상기 본체부(20)에 밀착되는 손잡이가 있는 휴대용 컴퓨터.The latching jaw (21a, 21b) of the handle is a mushroom shape, when not using the handle is a portable computer having a handle in close contact with the main body 20 by the elasticity of the handle itself.
KR1019970046285A 1997-04-28 1997-09-09 Portable computer with handle KR19980079353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066,925 US6208504B1 (en) 1997-04-28 1998-04-28 Portable computer having a rectractable handle
JP10119017A JPH1124791A (en) 1997-04-28 1998-04-28 Portable compu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70008996 1997-04-28
KR97-008996 1997-04-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9353A true KR19980079353A (en) 1998-11-25

Family

ID=66044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6285A KR19980079353A (en) 1997-04-28 1997-09-09 Portable computer with hand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79353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448Y1 (en) * 2011-05-06 2014-12-03 김영선 Strap structure of mobile termin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448Y1 (en) * 2011-05-06 2014-12-03 김영선 Strap structure of mobile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83091A (en) Grip and protective casing for cellular telephone
KR100238181B1 (en) A portable computer
US7374438B2 (en) Electronic apparatus incorporating latch mechanism
USD324036S (en) Combined electronic computer and telephone
US6314625B1 (en) Zipper handle structure
US20070090106A1 (en) Vanity case
US6208504B1 (en) Portable computer having a rectractable handle
US7068495B2 (en) Battery cover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D466122S1 (en) Elements of docking station for a portable computer device
KR19980079353A (en) Portable computer with handle
CN212034176U (en) Handheld device protective shell with replaceable keys
USD361754S (en) Combined portable phone organizer and computer
JPH08147071A (en) Pedestal and cover structure
JPH11207A (en) Falling prevention tool for portable item
KR0158914B1 (en) Clasp
KR200179543Y1 (en) A case for handphone
KR200145646Y1 (en) Keyboard mounting device in a portable computer
KR200267980Y1 (en) Case Capped On The Mini-Mouse
KR200342552Y1 (en) Slide mechanism with guide groove and contact pin and cellular phone port cover using the same
KR200159851Y1 (en) Holder for cordless phone
KR200180089Y1 (en) Apparatus holding documents
KR200172287Y1 (en) Cover for portable radiotelephone
KR100565288B1 (en) Battery cover assembling/disassembling apparatus for inner battery type mobile terminal
JPH0740046Y2 (en) Latch device
KR930008106Y1 (en) Locking apparatus of lcd panel for portable compu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