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7729A - 디지탈 코드분할 다원접속 단말기에서의 메시지 발신을 위한 문자편집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탈 코드분할 다원접속 단말기에서의 메시지 발신을 위한 문자편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7729A
KR19980077729A KR1019970014969A KR19970014969A KR19980077729A KR 19980077729 A KR19980077729 A KR 19980077729A KR 1019970014969 A KR1019970014969 A KR 1019970014969A KR 19970014969 A KR19970014969 A KR 19970014969A KR 19980077729 A KR19980077729 A KR 19980077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message
text
key input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4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성오
윤영배
하영일
조성호
Original Assignee
정태기
주식회사 신세기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태기, 주식회사 신세기통신 filed Critical 정태기
Priority to KR1019970014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77729A/ko
Publication of KR19980077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7729A/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단말기에서의 문자메시지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대방에게 문자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문자의 편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휴대용단말기의 문자편집버튼의 키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부위에 자모 문자열이 배치되고 그들 문자열의 중앙에는 문자지정 커서가 위치되게 하고, 상기 문자지정 커서는 휴대용단말기의 좌우 스크롤버튼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게 하고, 상기 커서의 스크롤 이동에 의해 지정된문자는 지정문자 선택버튼의 키입력에 따라 선택되어 원하는 문장이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게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상에서 편집된 문장은 메시지 전송버튼의 키입력에 의해 휴대전화 서비스센터의 메시지사서함에 저장되거나 상대방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나타나게 하는 디지탈 코드분할 다원접속 단말기에서의 메시지 발신을 위한 문자편집방법에 있다.

Description

디지탈 코드분할 다원접속 단말기에서의 메시지 발신을 위한 문자편집방법.
본 발명은 휴대용단말기에서의 문자메시쟈 서비스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대방에게 문자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문자의 편집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보급이 확대되고 있는 휴대용단말기의 부가 서비스 기능에는 음성사서함 기능이 있다.
음성 사서함 기능은 휴대용단말기를 포함한 전화기를 이용하여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번호에 원하는 음성메시지를 등록시킬 때 사용하는 기능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를 호출하였으나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 발신자의 음성메시지를 개별 전화번호의 음성사서함에 녹음할 수 있도록 하여 이동통신단말기 소유자가 자신의 음성 사서함을 열람하는 것으로 발신자의 메시지를 확인할수 있게 한다.
이러한 음성메시지 사서함 기능은 이동통신 단말기 소유자가 단말기의 배터리 완전방전 상태이거나 단말기 파워를 오프시켜 놓은 상태 또는 이동통신서비스 불가능 지역이어서 이동통신 서비스가 불가능한 경우에도 상호간의 의사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편리함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음성메시지 전송방식은 이동통신 음성 사서함 가입자가 자신의 사서함에 들어온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일부러 자신의 전화번호를 눌러서 이동통신 서비스센터 측과 접속한 후 서비스 센터 측의 음성안내에 따라 연속적인 키선택 후에야 비로소 음성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조작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음성메시지의 전송방식은 기록이 불가능하므로 잘못하여 메시지 내용의 일부를 놓쳤을 경우에는 다시 처음부터 음성메시지 확인 절차를 거쳐야하기 때문에 메시지 수신 시에는 매우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불편이 있게된다.
한편 0에서 9까지의 전화번호 키 입력버튼을 이용하여 한글문자를 편집할때의 일반적인 키패드의 자모 배열상태를 도 1에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키패드를 이용하여 원하는 문자를 편집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수개의 자음문자 또는 모음문자를 가지고 있는 키 버튼을 선택한 후 해당키의 연속 키잉에 따라 되돌려가면서 원하는 문자를 선택하는 식으로 소정의 문장을 편집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문자편집 방식은 10개의 숫자키 버튼마다 수개의 자(모)음문자 출력기능을 부여하고 이를 선택하여 원하는 문장을 편집해 나아가야 하므로 그 조작성이 매우 불편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단말기 콜시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 발신자의 메시지를 휴대용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문자로서 표시할 수 있도록 한 디지탈 코드분할 다원접속 단말기에서의 문자메시지 발신을 위한 문자편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휴대용단말기의 문자편집 선택버튼의 키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부위에 자모 문자열이 배치되고 그들 문자열의 중앙에는 문자지정 커서가 위치되게 하고, 상기 문자지정 커서는 휴대용단말기의 좌우스크롤버튼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게 하고, 상기 커서의 스크롤 이동에 의해 지정된 문자는 지정문자 선택버튼의 키입력에 따라 선택되어 원하는 문장이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게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편집된 문장은 메시지 전송버튼의 키입력에 의해 휴대전화 서비스센터의 메시지사서함에 저장되거나 상대방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나타나게 하는 발신 메시지 문자편집방법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숫자 키를 이용한 문자편집용 키패드의 자모배치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될 휴대용단말기의 정면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행을 위한 휴대용단말기의 문자편집용 하드웨어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휴대용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문자메시지 편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12 : 스크롤버튼
13 : 문자편집버튼 14 : 문자메시지 송출버튼
15 : 디스플레이 16 : 키 입력부
20 : 마이 컴 21 : 문자메시지 메모리
22 : 문자발생부 23 : RF송출부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메시지 편집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휴대용단말기의 정면 구조도를 보이고 있다. 여기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휴대용단말기본체(10)는 0부터 9까지의 숫자키 및 디스플레이(15)외에 좌, 우 스크롤버튼(11, 12), 문자편집버튼(13), 문자메시지 송출버튼(14)을 포함하고 있다. 키 입력부(16)는 상기외 좌, 우 스크롤버튼(11, 12), 문자편집버튼(13), 문자메시지 송출버튼(14)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의 문자편집버튼(13)과 문자메시지 송출버튼(14)의 설치위치에 있어 도면상 본체의 하단부에 설치하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휴대용단말기 본체의 설계조건에 따라 적절한 위치나 다른 기능 키에 중복시켜 설치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행을 위한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여기에 나타낸 바와같이, 휴대용단말기의 문자편집장치는 상기의 스크롤버튼(11, 12), 문자편집버튼(13), 문자메시지 송출버튼(14)을 포함하며 각종 기능키 입력 및 숫자키 입력신호를 발생하여 마이컴 측에 전송하는 키 입력부(16)와, 상기 키 입력부(16)로부터의 키 입력에 따라 문자발생부(22)에서 문자데이터를 가져와 디스플레이(15)상에 출력되게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편집된 문장 정보는 문자메시지메모리(21)에 저장되게 하고 상기 문자메시지 메모리(21)에 저장된 정보는 상기 키 입력부(16)의 문자메시지 송출버튼(14)의 키 입력에 따라 RF송출부(23)를 통하여 이동통신 서비스센터로 전송되게 제어하는 마이컴(20)을 포함하고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CDMA 단말기에서의 문자 메시지발신용 문자편집방법의 알고리즘을 도 4와 도 5를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휴대용단말기 소유자가 자신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른 휴대용단말기를 콜하였을 때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이동통신망 서비스 센터 측에서는 메시지를 남길 것인가 여부를 묻게될 것이다. 이때 메시지 전달을 선택하면 센터 측에서는 문자메시지와 음성메시지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고 여기에서 문자메시지 전송모드이면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자 측인 센터 측에서는 해당 휴대용단말기 측으로부터의 메시지 문자입력을 기다리도록 한다.
이러한 조건에서 발신자는 메시지 문장을 만들기 위해 본체(10)상에 마련된 문자편집버튼(13)을 누르게 될 것이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5)상에는 자음열(또는 모음열)이 출력되게 된다.
상기의 문자편집버튼(13)의 키입력에 따른 최초 문자열의 배열형태의 설정에 있어 ㄱ ㄴ ㄷ ㄹ ㅁ ... 순으로 나타나게 설정할 수도 있고 ㅌ ㅍ ㅎ ㅏ ㅑㅓ ㅕ ···순으로 나타나게 설정할 수도 있는데, 전자의 경우 문자지정 커서는 ㄱ에 위치되게 하고 후자의 경우 문자지정 커서가 ㅎ 에 위치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문자 메시지 편집기능의 선택에 따라 본체상의 디스플레이의 일측에 자, 모열의 문자가 출력되면 마이컴은 후속해서 좌, 우 스크롤버튼의 키 입력여부를 판단한다.
상기의 스크롤버튼에 의한 키입력 여부의 판단결과 스크롤 키 입력이 있으면 마이컴(20)은 왼쪽 스크롤버튼(11)의 키 입력인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왼쪽 스크롤 키 입력이면 문자지정 커서를 왼쪽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상기외 단계실행에서 왼쪽 스크롤 키 입력이 아니면 문자지정 커서를 오른쪽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후 엔터키의 입력이 있게되면 마이컴은 디스플레이 상에서 커서에 의해 지정된 문자를 선택하게 되고, 이러한 자, 모의 선택을 통하여 발신자가 원하는 문장(예를 들면 도 4의 아름다운 대한민국)을 편집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렇게 편집된 문자메시지는 키입력부의 메시지 전송키 입력이 있으면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RF송출부를 통하여 이동통신 서비스 센터 측에 전송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에 의해 휴대용단말기에서 생성 편집시킨 문자메시지 정보는 직접 상대방측 휴대용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리얼타임(실시간)으로 출력되거나 또는 문자메시지 사서함에 보관되어 있다가 해당 문자메시지 사서함 소유자의 등록메시지 열람에 의해 출력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기존의 음성메시지 전송방식에서의 문제점, 즉 서비스 센터 측의 음성안내에 따라 수회의 연속적인 키선택 후에야 비로소 음성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게되는 것처럼 그 조작성이 매우 복잡하고 또한 부주의로 인하여 메시지 내용의 일부를 놓쳤을 경우에는 다시 처음부터 음성메시지 확인 절차를 거쳐야 한다는 불편한 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간단한 문장의 문자 메시지를 단말기 측에서 생성 편집한 후 이를 상대방측 휴대용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실시간으로 출력되거나 또는 문자사서함에 등록되게 함으로써 발신자측의 정확한 메시지의 전달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Claims (4)

  1. 휴대용단말기로의 문자메시지 전송을 위한 단문 편집방법에 있어서, 단말기 본체 상에 마련된 문자편집버튼의 키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일측부위에 자모 문자열을 배치하고 그들 문자열의 중앙에 문자지정 커서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휴대용단말기의 좌우 스크롤버튼의 키 입력에 따라 상기 문자지정 커서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지정문자 선택버튼의 키입력에 따라 상기 커서에 의해 지정된 문자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여 문장을 편집하는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편집된 메시지 문장을 메시지 전송버튼의 키입력에 따라 휴대전화 서비스센터의 문자메시지 사서함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코드분할 다원접속 단말기에서의 메시지 발신을 위한 문자편집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문자편집버튼의 키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일측부위에 발생되는 자모 문자열은 자음(ㄱ ㄴ ㄷ ···)부터 출력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코드분할 다원접속 단말기에서의 메시지 발신을 위한 문자편집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문자편집버튼의 키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일측부위에 발생되는 자모 문자열은 자음 끝문자 모음 첫문자가 겹치는 부위(···ㅌ ㅍ ㅎ ㅏ ㅑ ㅓ···)부터 출력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코드분할 다원접속 단말기에서의 메시지 발신을 위한 문자편집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송버튼의 키입력에 따라 송출되는 편집 메시지는 이동통신 서비스센터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상대방 휴대용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코드분할 다원접속 단말기에서의 메시지 발신을 위한 문자편집방법.
KR1019970014969A 1997-04-22 1997-04-22 디지탈 코드분할 다원접속 단말기에서의 메시지 발신을 위한 문자편집방법 KR199800777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4969A KR19980077729A (ko) 1997-04-22 1997-04-22 디지탈 코드분할 다원접속 단말기에서의 메시지 발신을 위한 문자편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4969A KR19980077729A (ko) 1997-04-22 1997-04-22 디지탈 코드분할 다원접속 단말기에서의 메시지 발신을 위한 문자편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7729A true KR19980077729A (ko) 1998-11-16

Family

ID=65954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4969A KR19980077729A (ko) 1997-04-22 1997-04-22 디지탈 코드분할 다원접속 단말기에서의 메시지 발신을 위한 문자편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7772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617B1 (ko) * 2000-11-21 2007-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의 텍스트 입력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617B1 (ko) * 2000-11-21 2007-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의 텍스트 입력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5683B1 (en)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redictive editor application
US5737394A (en) Portable telephone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selectable functions activated by the use of dedicated and/or soft keys
US7495585B2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in electronic device
US6542170B1 (en)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redictive editor application
EP1901534B1 (en) Method of managing a language information for a text input and method of inputting a text and a mobile terminal
US5875403A (en) Mobile telephone
EP1113416A2 (en) User interface for text to speech conversion
US6965766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30153371A1 (en) Handphone capable of inputting characters like keyboard
KR19980077730A (ko) 조그키를 이용한 휴대용단말기에서의 문자편집방법
KR19990011816A (ko) 문자 메시지 발신을 위한 문자편집 방법
US2003001235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plified area code dialing
KR19980077729A (ko) 디지탈 코드분할 다원접속 단말기에서의 메시지 발신을 위한 문자편집방법
US6304646B1 (en) Man-machine interface device for telephone terminals
KR10058182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 검색 방법
US20040047457A1 (en) Dialing apparatus for international prepaid phone card
KR100243900B1 (ko) 전화기의 문자 송수신장치 및 휴대용 문자 송수신장치
KR100681193B1 (ko) 메시지 작성 기능을 갖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79595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
JP2947705B2 (ja) 無線通信装置への文字情報入力方法
KR19980082893A (ko) 문자 메시지 전송을 위한 문장편집 방법
KR100253074B1 (ko) 전화단말기의 지역번호 한글인식장치
KR0181111B1 (ko) 페이저의 문자편집 방법
KR10042637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업화면 복원 방법
KR100247239B1 (ko) 전화번호 저장이 가능한 전화기, 그 전화번호의 저장방법 및 그 저장된 전화번호로 피호출자의 호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