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6929A - Transmission Output Control Circuit and Method in Portable Device of Wireless Telephone System - Google Patents

Transmission Output Control Circuit and Method in Portable Device of Wireless Telephon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6929A
KR19980076929A KR1019970013845A KR19970013845A KR19980076929A KR 19980076929 A KR19980076929 A KR 19980076929A KR 1019970013845 A KR1019970013845 A KR 1019970013845A KR 19970013845 A KR19970013845 A KR 19970013845A KR 19980076929 A KR19980076929 A KR 19980076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eld strength
current
power amplifier
transmission output
electric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38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남훈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13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76929A/en
Publication of KR19980076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6929A/en

Links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e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ngs

무선전화시스템의 휴대장치에 관한 것이다.A portable device of a wireless telephone system.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I. The technical problem that the invention is trying to solve

휴대장치의 송신출력을 통화거리에 따라 제어하는 회로를 구현한다.Implement a circuit that controls the transmission output of the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the call distance.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All. Summary of Solution of the Invention

무선전화시스템의 휴대장치에서 수신신호의 전계강도를 검출하여 통화거리를 판단하고, 이 판단결과에 따라 휴대장치가 고정장치와 멀리 있는 경우(통화거리가 원거리인 경우)에는 송신출력을 키우고, 가까이 있는 경우(통화거리가 근거리인 경우)에는 송신출력을 줄이는 송신출력 제어회로를 제안한다.The portable device of the radiotelephone system detects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to determine the distance of the call.If the portable device is far from the fixed device (when the distance is far), the transmission output is increased. If there is a call distance (short distance), a transmission output control circuit for reducing the transmission power is proposed.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la. Important uses of the invention

무선전화기에 이용될 수 있다.It can be used for a cordless telephone.

Description

무선전화시스템의 휴대장치에서 송신출력 제어회로 및 방법Transmission Output Control Circuit and Method in Portable Device of Wireless Telephone System

본 발명은 무선전화시스템의 휴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장치의 송신출력을 제어하는 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device of a radiotelephon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transmission output of the portable device.

일반적으로 무선전화시스템은 고정장치와 이 고정장치에 대응하는 휴대장치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장치와 휴대장치는 각각 내부에 송신부 및 수신부를 구비하여 무선통화를 위한 신호들을 송수신하게 된다. 이러한 무선전화시스템에서 휴대장치(소위 무선전화기)는 일정한 전력레벨(예컨대 10mW) 이하의 송신신호를 출력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통상의 무선전화기의 경우 통화시 10mW의 전력레벨을 가지는 신호를 송신하는데, 이때의 송신출력은 고정장치와의 거리가 근거리이냐 아니면 원거리이냐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하다.In general, a radiotelephone system consists of a fixing device and a portabl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fixing device. The fixed device and the portable device each have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therein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for a wireless call. In such a radiotelephone system, a portable device (so-called radiotelephone) is prescribed to output a transmission signal of a constant power level (for example, 10 mW) or less. In the case of a normal radiotelephone, a signal having a power level of 10mW is transmitted during a call, and the transmission power at this time is always constant regardless of whether the distance to the fixed device is short or long distance.

한편 무선전화시스템의 통화시 휴대장치에서 전류를 소모시키는 가장 커다란 원인중의 하나가 송신 전력증폭기에 의한 것이다. 이 송신 전력증폭기는 휴대장치와 고정장치 사이의 거리에 관계없이 송신출력이 일정하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이 전력증폭기에서 소모되는 전류는 휴대장치 전체에서 소모되는 전류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이와 같이 소모전류가 많다는 것은 결과적으로 무선전화기의 통화 가능시간을 단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무선전화기에서 통화 가능시간이 단축된다는 것은 무선전화기의 가장 중요한 기능인 통화를 곤란하게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무선전화기에서 소모전류를 줄여 통화 가능시간을 연장시키는 방법이 강구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무선전화기의 송신출력이 휴대장치와 고정장치와의 통화거리에 관계없이 일정하도록 하는 대신에 이 통화거리를 고려하여 제어하는 경우, 근거리에서 필요없이 소모전력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one of the biggest causes of current consumption in portable devices when talking on a wireless telephone system is due to a transmission power amplifier. The transmit power amplifier plays a role of keeping the transmit power constant regardless of the distance between the portable device and the fixed device. The current consumed in the power amplifier accounts for more than half of the current consumed in the portable device. As a result, the large current consumption acts as a factor in reducing the talkable time of the wireless telephone. Shortening the callable time in a wireless telephone has a problem of making a call, which is the most important function of the wireless telephone, difficult.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find a way to extend the talk time by reducing the current consumption in the wireless telephone. For example, if the transmission output of the radiotelephone is controlled in consideration of the communication distance instead of the constant distance regardless of the communication distance between the portable device and the fixed device, power consumption may be reduced at a short distanc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전화시스템에서 휴대장치의 송신출력을 통화거리에 따라 제어하는 회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power of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a call distance in a wireless telephone system.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전화시스템에서 휴대장치의 통화시간을 연장시키는 회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ircuit and a method for extending the talk time of a portable device in a wireless telephone system.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전화시스템에서 휴대장치의 통화시 소모전류를 줄이는 회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ircuit and a method for reducing current consumption during a call of a portable device in a wireless telephone system.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전화시스템의 휴대장치에서 수신신호의 전계강도를 검출하여 통화거리를 판단하고, 이 판단결과에 따라 휴대장치가 고정장치와 멀리 있는 경우(통화거리가 원거리인 경우)에는 송신출력을 키우고, 가까이 있는 경우(통화거리가 근거리인 경우)에는 송신출력을 줄이는 송신출력 제어회로를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detect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in the portable device of the wireless telephone system to determine the call distance, and the portable device is far from the fixed devic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call distance is far In this case, a transmission output control circuit is proposed that increases the transmission output and decreases the transmission output when it is close (when the distance is short).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 인가되는 전류량에 따라 송신을 위한 신호의 전력레벨을 증폭시키는 전력증폭기를 구비하는 무선전화시스템의 휴대장치에서 송신출력을 제어하는 회로는, 수신되는 신호의 전계강도와 소정 기준 전계강도를 비교하는 비교기와, 상기 수신신호 전계강도가 상기 기준 전계강도보다 강한 경우에는 상기 전력증폭기로 미리 설정된 양의 전류가 인가되도록 제어하고, 약한 경우에는 상기 전력증폭기로 인가되는 전류량을 증가시켜 송신신호의 전력레벨을 키우는 제어부를 적어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제어부는, 상기 전력증폭기에 미리 설정된 양의 전류를 인가하는 주전류 인가소자와, 상기 비교기의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전력증폭기에 부가적인 전류를 인가하는 부가전류 인가소자로 이루어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ircuit for controlling a transmission output in a portable apparatus of a radiotelephone system having a power amplifier for amplifying a power level of a signal for transmission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amount of applied current,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a received signal and a predetermined reference A comparator comparing the electric field strength, and if the received signal electric field strength is stronger than the reference electric field strength, control to apply a predetermined amount of current to the power amplifier, and if weak, increase the amount of current applied to the power amplifier. And a control unit for increasing the power level of the transmission signal.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main current applying device for apply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current to the power amplifier, and an additional current applying device for applying an additional current to the power amplifier according to a comparison result of the comparat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화시스템의 휴대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device of a wireless telephon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송신부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2 is a view showing in more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transmitter shown in FIG.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송신출력을 제어하는 처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 transmission outp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칩설계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chip designer, and the definition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화시스템의 휴대장치는 크게 수신부 10과 송신부 20와, 제어부 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신부 10과 제어부 40의 사이에는 비교기 30이 접속되며, 송신부 20은 전력증폭기 22와 송신전력 제어부 24를 적어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수신부 10 및 송신부 20은 본 발명에 관련된 사항들에 대해서만 언급한다는 사실에 유의하여야 한다.Referring to FIG. 1, the portable apparatus of the wireless telephon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rised of a receiver 10, a transmitter 20, and a controller 40. A comparator 30 is connected between the receiver 10 and the controller 40, and the transmitter 20 includes at least a power amplifier 22 and a transmit power controller 24. It should be noted that the receiver 10 and the transmitter 20 only refer to matter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 수신부 10은 안테나 ANT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의 전계강도(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를 검출한 후 이 검출결과를 RSSIS로서 출력한다. 비교기 30은 상기 검출된 수신신호 전계강도 RSSIS와 기준 전계강도 RSSIR을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를 제어부 40으로 출력한다. 상기 출력되는 검출결과 RSSIS 및 RSSIR은 모두 DC전압의 크기로 변환된 신호로, 비교기 30은 두 신호의 전압레벨을 비교하는 것이다. 그러면 제어부 40은 상기 비교기 30의 출력으로부터 현재 수신신호가 약전계인지, 강전계인지를 인식하고, 그에 따른 제어신호 CONT를 송신부 20의 송신전력 제어부 24로 출력한다. 즉, 제어부 40은 휴대장치와 고정장치의 거리가 원거리인지, 근거리인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른 결과를 제어신호 CONT로서 송신전력 제어부 24로 인가한다.In FIG. 1, the receiver 10 detects a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 of 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ANT and outputs the detection result as an RSSIS. The comparator 30 compares the detected received signal field strength RSSIS with the reference field strength RSSIR and outputs the comparison result to the controller 40. The output detection result RSSIS and RSSIR are both signals converted to the magnitude of the DC voltage, and comparator 30 compares the voltage levels of the two signals. Then, the controller 40 recognizes whether the current received signal is a weak field or a strong field from the output of the comparator 30, and outputs the control signal CONT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power controller 24 of the transmitter 20. That is, the controller 40 may determine whether the distance between the portable device and the fixed device is far or near, and applies the result to the transmit power controller 24 as a control signal CONT.

도 2를 참조하면, 송신전력 제어부 24는 저항 R1과, 저항 R2와, 트랜지스터 Q로 구성되어 전력증폭기 22로 소정의 전류량을 인가한다. 그러면 전력증폭기 22는 상기 송신전력 제어부 24로부터 인가되는 전류량에 따라 송신을 위한 신호의 전력레벨을 증폭시켜 출력하게 된다. 상기 송신전력 제어부 24의 저항 R1은 일측이 전력증폭기 22의 전류인가단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을 통해 전원전압 Vcc를 제공받아 미리 설정된 량의 전류를 전력증폭기 22로 인가하게 된다. 한편 저항 R2는 상기 R1에 병렬로 접속되어 상기 전력증폭기 22로 부가적인 전류를 인가하게 된다. 이때 저항 R2를 통한 부가적인 전류의 인가 여부는 제어부 40으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 CONT의 레벨에 따라 트랜지스터 Q가 턴온되었느냐 아니면 턴오프되었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제어신호 CONT가 하이레벨의 신호인 경우에 트랜지스터 Q는 턴온되므로 저항 R2를 통한 부가전류가 생성되어 전력증폭기 22로 인가된다. 이와 달리 제어신호 CONT가 로우레벨의 신호인 경우에는 트랜지스터 Q는 턴오프되므로 저항 R2를 통한 부가전류는 생성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2, the transmission power control unit 24 includes a resistor R1, a resistor R2, and a transistor Q to apply a predetermined amount of current to the power amplifier 22. Then, the power amplifier 22 amplifies and outputs the power level of the signal for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amount of current applied from the transmission power control unit 24. One end of the resistor R1 of the transmission power control unit 24 is connected to the current applying terminal of the power amplifier 22, and receives the power supply voltage Vcc through the other side to apply a predetermined amount of current to the power amplifier 22. On the other hand resistor R2 is connected in parallel to R1 to apply additional current to the power amplifier 22. At this time, whether to apply the additional current through the resistor R2 is determined depending on whether the transistor Q is turned on or off depending on the level of the control signal CONT output from the controller 40. When the control signal CONT is a high level signal, since the transistor Q is turned on, an additional current through the resistor R2 is generated and applied to the power amplifier 22. In contrast, when the control signal CONT is a low-level signal, the transistor Q is turned off, so that an additional current through the resistor R2 is not generated.

전력증폭기 22는 상기 송신전력 제어부 24로부터 인가되는 전류량에 따라 송신신호의 전력레벨을 증폭시켜 출력한다. 상기 전력증폭기 22는 전류인가단으로 인가되는 전류가 저항 R1과 저항 R2 모두를 통한 전류인 경우에는 저항 R1만을 통해 인가되는 전류의 경우에 비해 송신신호의 전력레벨을 더 증폭시켜 출력한다. 이와 달리 전력증폭기 22는 저항 R1만을 통해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레벨만큼만 송신신호의 전력을 증폭시켜 출력한다.The power amplifier 22 amplifies and outputs the power level of the transmission signal according to the amount of current applied from the transmission power control unit 24. The power amplifier 22 further amplifies and outputs a power level of the transmission signal when the current applied to the current applying stage is a current through both the resistor R1 and the resistor R2 compared to the current applied only through the resistor R1. In contrast, when a current is applied through only the resistor R1, the power amplifier 22 amplifies and outputs the power of the transmission signal only by a predetermined level.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송신출력 제어회로에 의해 송신신호의 전력레벨이 제어됨을 보여주는 처리흐름도이다.3 is a flow chart showing that the power level of a transmission signal is controlled by a transmission output control circuit as shown in FIGS. 1 and 2.

도 1의 수신부 10은 우선 도 3의 31단계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RSSI를 검출하고 이 검출결과를 RSSIS로서 출력한다. 비교기 30은 32단계에서 상기 RSSIS와 기준 전계강도 RSSIR을 비교한다. 상기 비교결과 RSSIS가 RSSIR보다 강한 경우, 제어부 40은 33단계에서 로우(L)레벨의 제어신호 CONT를 송신전력 제어부 24로 출력한다. 그러면 송신전력 제어부 24의 트랜지스터 Q는 턴오프되므로 저항 R1을 통한 일정한 양의 전류가 전력증폭기 22로 인가되어, 결과적으로 전력증폭기 22는 34단계에서 송신신호를 일정한 전력레벨만큼 증폭시켜 출력한다. 즉, 일정한 전력레벨을 유지하는 송신신호가 출력되도록 처리한다. 이와 달리 상기 비교결과 RSSIS가 RSSIR보다 약한 경우, 제어부 40은 35단계에서 하이(H)레벨의 제어신호 CONT를 송신전력 제어부 24로 출력한다. 그러면 송신전력 제어부 24의 트랜지스터 Q는 턴오프되므로 저항 R1을 통한 일정한 양의 전류와 저항 R2를 통한 부가전류가 전력증폭기 22로 인가되어, 결과적으로 전력증폭기 22는 36단계에서 송신신호의 전력레벨을 34단계에 비해 더 증가시켜 출력한다. 즉, 정상적인 경우보다 더 증가된 전력레벨을 가지는 송신신호가 출력되도록 처리한다.The receiving unit 10 of FIG. 1 first detects the RSSI of the signal received in step 31 of FIG. 3 and outputs the detection result as the RSSIS. Comparator 30 compares the RSSIS and the reference field strength RSSIR in step 32. When the RSSIS is stronger than the RSSIR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the control unit 40 outputs a low (L) level control signal CONT to the transmission power control unit 24 in step 33. Then, since the transistor Q of the transmission power control unit 24 is turned off, a certain amount of current through the resistor R1 is applied to the power amplifier 22. As a result, the power amplifier 22 amplifies and outputs the transmission signal by a predetermined power level in step 34. That is, it processes so that the transmission signal which maintains a constant power level is output. On the contrary, when the RSSIS is weaker than the RSSIR, the control unit 40 outputs the control signal CONT having a high (H) level to the transmission power control unit 24 in step 35. Since the transistor Q of the transmission power control unit 24 is turned off, a constant amount of current through the resistor R1 and an additional current through the resistor R2 are applied to the power amplifier 22. As a result, the power amplifier 22 increases the power level of the transmission signal in step 36. Increased output compared to step 34. In other words, it processes so that a transmission signal having an increased power level is output than the normal case.

요약하면, 제어부 40은 약전계(휴대장치와 고정장치가 원거리)일 경우에는 트랜지스터 Q를 턴온시켜 전력증폭기 22에 많은 양의 전류가 공급되도록 하여 송신출력을 증가시키고, 강전계(휴대장치와 고정장치가 근거리)일 경우에는 트랜지스터 Q를 턴오프시켜 전력증폭기 22에 저항 R1을 통한 전류만이 공급되도록 하여 송신출력이 일정하도록 한다. 이때 강전계에서 약전계로 전환되거나 약전계에서 강전계로 전환하는 경우 일정시간 이상 전환된 상태가 지속되어야 트랜지스터 Q가 제어될 것이다. 이는 순간적인 전계강도의 변화에 송신출력이 변화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In summary, the control unit 40 turns on the transistor Q when the weak electric field (the portable unit and the fixed unit is remote) increases the transmission output by supplying a large amount of current to the power amplifier 22, and increases the transmission field. In the case of a short range device, the transistor Q is turned off so that only the current through the resistor R1 is supplied to the power amplifier 22 so that the transmission output is constant. In this case, when switching from a strong electric field to a weak electric field or switching from a weak electric field to a strong electric field, the transistor Q will be controlled only when the switched state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This is to ensure that the transmission output does not change due to a change in the instantaneous field strength.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전화시스템의 휴대장치에서 수신신호의 전계강도를 검출하여 통화거리를 판단하고, 이 판단결과에 따라 휴대장치가 고정장치와 멀리 있는 경우(통화거리가 원거리인 경우)에는 송신출력을 키우고, 가까이 있는 경우(통화거리가 근거리인 경우)에는 송신출력을 줄이는 송신출력 제어회로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휴대장치의 송신출력을 통화거리에 따라 제어할 수 있으므로, 휴대장치의 통화시 소모전류를 줄일 수 있고, 결과적으로 휴대장치의 통화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in the portable device of the wireless telephone system to determine the call distance, and when the portable device is far from the fixed device (when the distance is far)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Provides a transmission output control circuit that increases the transmission output and reduces the transmission output when it is close (when the distance is short). Accordingly, since the transmission output of the portable device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all distanc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urrent consumption when talking on the portable device, and consequently, the talk time of the portable device can be extended.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제어신호의 레벨에 따라 트랜지스터가 선택적으로 동작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트랜지스터 이외에도 동일한 스위칭 기능을 수행하는 소자들을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않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n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istor is selectively operated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control signal. However, in addition to these transistors, devices that perform the same switching function may be used.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Claims (6)

무선전화시스템의 휴대장치에서 송신출력을 제어하는 회로에 있어서,In a circuit for controlling a transmission output in a portable apparatus of a radiotelephone system, 수신신호의 전계강도를 검출하여 상기 수신신호 전계강도가 기준 전계강도보다 강한 경우에는 송신출력을 키우고, 약한 경우에는 송신출력을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출력 제어회로.And detecting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and increasing the transmission output when the received signal field strength is stronger than the reference electric field strength, and decreasing the transmission output when the signal is weak. 소정 인가되는 전류량에 따라 송신을 위한 신호의 전력레벨을 증폭시키는 전력증폭기를 구비하는 무선전화시스템의 휴대장치에서 송신출력을 제어하는 회로에 있어서,A circuit for controlling a transmission output in a portable apparatus of a radiotelephone system having a power amplifier for amplifying a power level of a signal for transmission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amount of applied current, 수신되는 신호의 전계강도와 소정 기준 전계강도를 비교하는 비교기와,A comparator for comparing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electric field strength, 상기 수신신호 전계강도가 상기 기준 전계강도보다 강한 경우에는 상기 전력증폭기로 미리 설정된 양의 전류가 인가되도록 제어하고, 약한 경우에는 상기 전력증폭기로 인가되는 전류량을 증가시켜 송신신호의 전력레벨을 키우는 제어부를 적어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출력 제어회로.If the received signal electric field strength is stronger than the reference electric field strength, the control unit is controlled to apply a predetermined amount of current to the power amplifier, and if weak, the control unit increases the power level of the transmission signal by increasing the amount of current applied to the power amplifier. Transmission output control circu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전력증폭기에 미리 설정된 양의 전류를 인가하는 주전류 인가소자와,A main current applying device for apply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current to the power amplifier; 상기 비교기의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전력증폭기에 부가적인 전류를 인가하는 부가전류 인가소자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출력 제어회로.And an additional current applying device for applying an additional current to the power amplifier according to a comparison result of the comparato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전류 인가소자는 일측이 상기 전력증폭기에 접속되고 다른 일측을 통해 소정 전원전압을 인가받는 저항임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출력 제어회로.4. The transmission output control circuit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main current applying element is a resistor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power amplifier and receiving a predetermined power supply voltage through the other sid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전류 인가소자는,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additional current applying device, 일측이 상기 전력증폭기에 접속되는 저항과,A resistor connected at one side to the power amplifier, 상기 저항의 다른 일측과 소정 전원전압단의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비교기의 비교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되는 스위칭소자임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출력 제어회로.And a switching element connected between the other side of the resistor and a predetermined power supply voltage terminal and selectively operated according to a comparison result of the comparator. 소정 인가되는 전류량에 따라 송신을 위한 신호의 전력레벨을 증폭시키는 전력증폭기를 구비하는 무선전화시스템의 휴대장치에서 송신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A method of controlling a transmission output in a portable apparatus of a radiotelephone system having a power amplifier for amplifying a power level of a signal for transmission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amount of applied current, 수신되는 신호의 전계강도를 검출하는 전계강도 검출과정과,A field strength detection process for detecting field strength of a received signal; 상기 수신신호 전계강도와 소정 기준 전계강도를 비교하는 전계강도 비교과정과,An electric field strength comparison process for comparing the received signal electric field strength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electric field strength; 상기 수신신호 전계강도가 상기 기준 전계강도보다 강한 경우 상기 전력증폭기로 미리 설정된 양의 전류가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전류량 유지과정과,Maintaining the amount of current to control a predetermined amount of current to be applied to the power amplifier when the received signal field strength is stronger than the reference field strength; 상기 수신신호 전계강도가 상기 기준 전계강도보다 약한 경우 상기 전력증폭기로 인가되는 전류량을 증가시키는 전류량 증가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출력 제어방법.And when the received signal field strength is weaker than the reference field strength, increasing the amount of current applied to the power amplifier.
KR1019970013845A 1997-04-15 1997-04-15 Transmission Output Control Circuit and Method in Portable Device of Wireless Telephone System KR1998007692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3845A KR19980076929A (en) 1997-04-15 1997-04-15 Transmission Output Control Circuit and Method in Portable Device of Wireless Telephon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3845A KR19980076929A (en) 1997-04-15 1997-04-15 Transmission Output Control Circuit and Method in Portable Device of Wireless Telephone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6929A true KR19980076929A (en) 1998-11-16

Family

ID=65954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3845A KR19980076929A (en) 1997-04-15 1997-04-15 Transmission Output Control Circuit and Method in Portable Device of Wireless Telephon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7692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6135A (en) * 2000-11-10 2001-03-05 송형선 Power Control Method for Long-Run Data Transmission Through Phonel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6135A (en) * 2000-11-10 2001-03-05 송형선 Power Control Method for Long-Run Data Transmission Through Phonel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1780B1 (en) Power saving apparatus for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US5815821A (en) Method and a device for conserving power in a battery powered transceiver
US4893348A (en) Power source control device in car telephone mobile station system
US5854972A (en) Circuit for adjusting transmit power
KR19990073978A (en) Power supply method and apparatu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6240279B1 (en) Transmission power control apparatus and a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including the transmission power control apparatus
US20130165057A1 (en) Rf transmission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aving power thereof
US6304139B1 (en) Transmitter adjusting output power
JP485633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the continuous operation capability of a mobile terminal by amplifying and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mobile terminal
KR19980076929A (en) Transmission Output Control Circuit and Method in Portable Device of Wireless Telephone System
JPH1013293A (en) Receiver, having antenna switch
KR0144202B1 (en) Transmitting power control
US7190228B2 (en) Gain control device of transmitter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of
US20050221871A1 (en) Circuit and method for saving pow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7444172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radio mobile terminal connected to hands-free kit
JPH069565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0556470B1 (en) driving control circuit of power amplifier for be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930010840B1 (en) Transmission output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KR100303787B1 (en) Power booster circuit of potable terminal
KR100312423B1 (en) Booster control apparatus for mobile stations and the method
JPS6313525A (en) Portable radio equipment
KR20060120809A (en)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electric power of mobile phone and mobile phone thereof
KR20060057078A (en) An apparatus for power control for gsm station
JP2605360Y2 (en) High frequency output control circuit
KR100309375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of tx/rx amplifier in wireless telephone set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