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3402A - 치약 조성물 - Google Patents

치약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3402A
KR19980073402A KR1019970008642A KR19970008642A KR19980073402A KR 19980073402 A KR19980073402 A KR 19980073402A KR 1019970008642 A KR1019970008642 A KR 1019970008642A KR 19970008642 A KR19970008642 A KR 19970008642A KR 19980073402 A KR19980073402 A KR 19980073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oxide
effect
toothpaste composition
toothpaste
tooth whi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8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194291B1 (ko
Inventor
이종서
Original Assignee
이능희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능희, 주식회사 태평양 filed Critical 이능희
Priority to KR1019970008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4291B1/ko
Publication of KR19980073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3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4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4291B1/ko

Links

Landscapes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미백 효과와 치주질환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치아미백 효과를 목적으로 수분등에 의해 쉽게 분해되어 활성산소를 방출하는 과산화물로서 과산화칼슘(CaO2)과, 치주질환 억제효과를 목적으로 탄산수소나트륨을 필수성분으로 함유하며, 이들 조성에 있어서의, 보관 중의 조성물 내의 수분 및 타성분에 의해 방출되는 금속이온에 의한 과산화물의 분해 등에 의해 활성산소가 방출되어 장기간 보관이 어렵고, 목적하는 효과를 충분히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연마제로서 금속이온을 방출하지 않는 알루미나트리하이드레이트(alumina trihydrate)를, 안정제로서 흄드실리카와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필수 성분으로 혼합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조성물은 보관 중에 활성산소가 방출되지 않으므로 장기보존성이 우수하고 치아미백 효과 및 치주질환 억제효과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치약 조성물
본 발명은 치아미백 효과와 치주질환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아미백 효과를 목적으로 수분등에 의해 쉽게 분해되어 활성산소를 방출하는 과산화물로서 과산화칼슘(CaO2)과, 치주질환 억제효과를 목적으로 탄산수소나트륨, 연마제로서 금속이온을 방출하지 않는 알루미나트리하이드레이트, 및 안정제로서 흄드실리카와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혼합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치아미백 효과를 목적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에 있어서, 치아미백 효과를 위해 주로 수분등에 의해 쉽게 분해되어 활성산소를 방출하는 과산화물(peroxide)를 사용하여 왔으며, 그 일례로서 과산화수소, 과탄산나트륨 또는 과산화칼슘을 들 수 있다. 이들 과산화물은 분자량이 적고, 단백질을 변성시키는 성질이 있으며, 이온의 치아내 이동을 증가시키고, 착색의 원인이 되는 환원성 물질들을 산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들 과산화물들은 조성물 내의 수분에 의해 분해됨으로써 활성산소를 방출하며, 이들 활성산소가 갖고 있는 표백력에 의해 치아에 염착된 커피나 담배진에 의한 치아오염을 탈색시켜 주는 것이다. 또한, 이들은 치주질환의 원인이 되는 혐기성균들에 대한 살균작용과 프라그에서 방출되는 산성분을 중화시키 작용을 나타내어 치주질환을 완화시켜서 잇몸을 건강하게 유지시켜 주는 부수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다.
한편, 최근 Legier 등은 치약 조성물내에 pH 완충제로서 사용되어 온 탄산수소나트륨이 타액내의 뮤탄스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의 수를 감소시켜 항우식작용을 나타낸다고 보고하였다(1995). 또한 Yankell 등은 탄산수소나트륨을 배합한 치약 조성물이 치면세균막 형성을 억제하고, 치은염 완화효과를 나타낸다고 보고하였다(1993).
그러나, 치아미백을 목적으로 하는 과산화물과, 치주질환 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탄산수소나트륨을 동시에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의 경우, 수분에 의한 과산화물의 분해가 탄산수소나트륨에 의해 촉진되어 보관 중에 활성산소의 발생이 이루어지며, 발생된 가스에 의해 치약 튜브가 팽창되거나 터지는 등 장기간 보관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활성산소 공급원인 과산화물의 안정화를 위해, 미국특허 제 5,085,853호는 과산화수소를 함유한 젤과 탄산수소나트륨을 함유한 치약제형을 이중 타입의 챔버에 별도로 충진하여 사용시 토출구에서 합쳐져서 나오도록 한 특수한 치약 용기를 기재하고 있으며, 이는 활성산소 공급원의 활성화의 원인이 되는 금속이온으로부터 활성산소 공급원을 분리 저장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경우, 용기에 소요되는 부재료 비용이 과다하게 되고 용기의 부피가 커짐에 따라 사용하기 불편하고 제조시 이중 충진을 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또, 미국특허 제 4,891,211호는 활성산소 방출 치약 처방으로 폴리에틸렌글리콜 베이스에 탄산수소나트륨과 과탄산나트륨을 사용하는 처방을 제시하고 있으며, 치약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연마제를 사용하지 않고 탄산수소나트륨을 다량 함유시키고 있다. 그러나, 탄산수소나트륨은 연마력이 매우 낮아 치아에 끼어 있는 음식잔사, 치태, 치면오염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가 없으며, 치약에 다량 함유된 탄산수소나트륨에 의한 짠맛과 폴리에틸렌글리콜 베이스에 의한 쓴맛으로 인해 사용자에게 거부감을 주는 단점이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 5,565,190호는 과산화칼슘과 탄산수소나트륨을 함유한 치약조성물에서, 연마제로서 비정질실리카를 사용하였으며, 탄산나트륨과 같은 알칼리금속이온을 첨가함으로써 과산화칼슘과 탄산수소나트륨의 반응성을 억제하여 보관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으나, 기타 연마제인 탄산칼슘, 인산일수소칼슘, 알루미나 등의 적용은 부적절함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발명자는, 치아미백효과를 목적으로 과산화물과 치주질환 억제효과를 목적으로 탄산수소나트륨을 동시에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고, 보관 중 과산화물과 탄산수소나트륨과의 반응을 억제함으로써 활성산소의 방출이 없어 장기보존성이 개선된 치약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예의 연구한 결과, 안정제로서 흄드실리카를 함유함으로써 조성물 내의 수분을 수화시켜 수분에 의한 과산화물의 분해를 1차적으로 차단하고, 여기에 덧붙여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혼용함으로써 수소결합력을 증가시켜 수분에 의한 과산화물의 분해를 원천적으로 봉쇄하여 장기보존성을 개선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나아가, 음식잔사, 치태, 치면오염물의 효과적인 제거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연마제의 선정에 있어서, 과산화물의 수분에 의한 분해를 촉진하는 금속이온을 방출시키지 않는 알루미나트리하이드레이트를 사용함으로써, 보관 중 활성산소가 방출되지 않으므로 장기보존성이 우수하고, 치아미백효과 및 치주질환 억제효과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치약 조성물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치아미백효과 및 치주질환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치약 조성물에 있어서, 장기보존성이 개선된 치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조성물은, 활성산소 공급원으로서 과산화칼슘과, 치주질환 억제성분으로서 탄산수소나트륨을, 연마제로서 알루미나트리하이드레이트를, 및 안정제로서 흄드실리카와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필수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조성물은 활성산소 공급원으로서 과산화칼슘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6중량%, 치주질환 억제성분으로서 탄산수소나트륨을 11~20중량%, 연마제로서 알루미나트리하이드레이트를 10~40중량%, 및 안정제로서 흄드실리카 0.2~5중량%와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0.1~5중량%를 필수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조성물에 있어서 활성산소 공급원으로 사용되는 과산화칼슘(CaO2)는 종래 사용되어 온 과산화수소, 과탄산나트륨, 과산화요소 등과 같은 과산화물에 비해 물에 대한 친화력이 낮아 치약에 함유시킬 경우, 보관 중 활성산소의 보존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조성물이 과산화물의 수분에 의한 분해를 촉진하는 탄산수소나트륨을 필수성분으로 혼합 함유하고 있으므로, 보관 중의 활성산소의 보존력이 우수한 과산화칼슘을 활성산소 공급원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치아미백 효과를 목적으로 함유하고 있는 과산화칼슘의 조성물 내의 수분에 의한 분해를 원천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조성물 내의 수분을 수화시켜 제거할 수 있는 흄드실리카와, 강한 수소결합력에 의해 조성물내의 수분이나 과산화칼슘의 분해에 의해 발생되는 과산화수소를 포획할 수 있는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필수성분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에 사용되는 그외 성분들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활성산소 공급원의 활성화를 억제하기 위하여 습윤제로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의 사용이 바람직하나, 글리세린의 첨가를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소량 사용되는 첨가제로서는 치약에서 통상 사용되는 감미제, pH 조절제, 방부제, 착색제, 결합제 등을 첨가할 수 있으며, 충치예방제, 치석예방제 및 약용성분 중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미제로서는 삭카린나트륨, 아스파탐, 스테비오사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고, pH 조절제로서는 인산나트륨, 인산이나트륨, 인산삼나트륨,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주석산 등이 있고, 방부제로는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안식향산나트륨 등이 있다. 결합제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 카라기난, 산탄검, 폴리비닐피롤리돈, 알긴산나트륨, 기타 검류 등이 있다. 충치예방제로서는 불화나트륨, 일불소인산나트륨, 불화주석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치석예방제로서는 피로인산나트륨, 피로인산칼륨, 염화아연, 구연산아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약용성분으로는 알란토인클로로히드록시알루미네이트, 아미노카프론산, 클로로헥시딘, 초산토코페롤, 염산피리독신 중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포제로서 라우릴황산나트륨, N-라우로일살코실산나트륨, N-장쇄아실글루탐산염, 자당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등의 음이온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향료로서는 페퍼민트오일, 스페아민트오일, 멘돌, 카르본, 아네돌, 오이게놀 등을 혼합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조성물의 조성 및 그의 작용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 1]
.(중량%)
시험예 1 활성 과산화수소 측정
표 1에 따른 각 조성물의 장기보존성을 비교하기 위해 활성 과산화수소의 잔존량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여 활성산소의 안정성을 비교하고, 튜브 보관품의 상태를 관찰하였다. 결과는 표 2와 같다.
실험방법
시료 약 1g을 정확히 평량한 후, 물을 사용하여 250㎖의 요오드 플라스크에 옮겼다. 그런다음 빙초산 5㎖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요오드칼륨 2g과 1방울의 몰리브덴산암모늄 용액을 가한 후, 암소에서 10분간 보관하였다.
유리된 요오드를 0.1N의 티오황산나트륨으로 적정하였다. 적정점 근처에서 전분용액을 지시약으로 사용하였다.
[수학식1]
H2O2(%) =
.{티오황산나트륨 소비량(㎖)×0.1×34×100}/{시료중량(g)×1000×2}
[표 2]
안정도
시험예 2 치아미백효과
시험대상자는 상하악 4전치에 치아우식증이나 수복치료를 받은 적이 없고, 순면의 명도가 비교적 낮은 20대 초반의 남녀 36명으로 하였다. 이들 중 18인에게 실시예 1의 치약을 지급하고, 나머지 18인에게 비교예 5의 치약을 지급하여 사용전후의 치아명도차이를 Trubyte Bioform,색조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여, 색조를 문셀비색표에서의 명도로 치환하여 보정치아명도로서 측정하였다.
[표 3]
치아미백효과(보정치아명도)
시험예 3 치주질환 억제효과
시험대장자는 치주병이나 치아우식증이 심하지 않은 20대 초반의 남녀 36명으로 하였다. 이들 중 18인에게 실시예 1의 치약을 지급하고, 나머지 18인에게 비교예 5의 치약을 지급하여 사용전후의 차이를 5배율의 Loupe(SurgiTel,, General Scientific Corporations)를 사용하여 치은염 지수를 측정하였다.
[표 4]
치주질환 억제효과(보정치은지수)
이상의 시험예의 결과로부터, 실시예의 치약은 과산화수소가 95% 이상 보존되어 비교예에 비해 안정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과 비교예 4를 비교할 때, 과탄산나트륨에 비해 과산화칼슘의 안정화효과가 더 양호하며, 치아미백과 치주질환 억제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조성물은, 치아미백제로서 과산화칼슘을, 치주질환 억제를 목적으로 탄산수소나트륨을 동시에 함유하면서, 여기에 안정제로서 흄드실리카와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필수성분으로 함유하고, 연마제로서 알루미나트리하이드레이트를 선정하여 함유함으로써, 보관 중에 과산화물의 수분에 의한 분해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활성산소가 방출이 되지 않는 장기보존성이 우수한 치약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치아미백 효과 및 치주질환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치약 조성물에 있어서, 과산화칼슘, 탄산수소나트륨, 알루미나트리하이드레이트, 흄드실리카 및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필수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보존성을 증진시킨 치약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과산화칼슘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6중량%의 양으로, 상기한 탄산수소나트륨은 11~20중량%의 양으로, 상기한 알루미나트리하이드레이트는 10~40중량%의 양으로, 상기한 흄드실리카는 0.2~5중량%의 양으로, 및 상기한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는 0.1~5중량%의 양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KR1019970008642A 1997-03-14 1997-03-14 치약 조성물 KR100194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8642A KR100194291B1 (ko) 1997-03-14 1997-03-14 치약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8642A KR100194291B1 (ko) 1997-03-14 1997-03-14 치약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3402A true KR19980073402A (ko) 1998-11-05
KR100194291B1 KR100194291B1 (ko) 1999-06-15

Family

ID=65985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8642A KR100194291B1 (ko) 1997-03-14 1997-03-14 치약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42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250B1 (ko) * 2000-05-09 2007-04-2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안전한 미백치약 조성물
KR20150057727A (ko) * 2013-11-20 2015-05-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치아 미백 유지 효과를 갖는 미백 후-처리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250B1 (ko) * 2000-05-09 2007-04-2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안전한 미백치약 조성물
KR20150057727A (ko) * 2013-11-20 2015-05-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치아 미백 유지 효과를 갖는 미백 후-처리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194291B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41558B1 (en) Stabilized peroxide gels containing fluoride and a zinc compound
EP0559262B1 (en) Stabilized peroxide gels containing fluoride
US5632972A (en) Method for treating gingival and periodontal tissues
US5256402A (en) Abrasive tooth whitening dentifrice of improved stability
AU701758B2 (en) Stable aqueous abrasive peroxide tooth whitening dentifrice
EP0535816B1 (en) Abrasive tooth whitening dentifrice of improved stability
RU2636221C2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KR100704904B1 (ko) 치아미백용 치약 조성물
US7833539B2 (en) Tooth whitening hydrogels
JPH07103010B2 (ja) 安定な過酸化水素放出性歯磨
CA2083409A1 (en) Oral composition having improved tooth whitening effect
US6534043B2 (en) Stable peroxide dental compositions
KR101317439B1 (ko) 치아미백용 치약 조성물
KR100877981B1 (ko) 페이스트상의 치아 미백용 치약 조성물
SK79096A3 (en) Mixture for reduction or deposited plaque removing from the teeth and prosthesis
KR20030053944A (ko) 치약 조성물
KR100194291B1 (ko) 치약 조성물
JPH10245328A (ja) 粉状歯磨組成物
AU667341B2 (en) Stabilised peroxide gels containing fluoride
KR20230092592A (ko) 양치시간에 따라 탈색되는 치약 조성물
KR20050035760A (ko) 안정화된 미백용 치약 조성물과 미백조성물 및 그들의사용방법
GB2409976A (en) Tooth whitening composition
GB2409975A (en) Tooth whitening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