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0703A - cleaner - Google Patents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0703A
KR19980070703A KR1019980001872A KR19980001872A KR19980070703A KR 19980070703 A KR19980070703 A KR 19980070703A KR 1019980001872 A KR1019980001872 A KR 1019980001872A KR 19980001872 A KR19980001872 A KR 19980001872A KR 19980070703 A KR19980070703 A KR 19980070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vacuum cleaner
cleaner
cleaner body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18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300699B1 (en
Inventor
스즈끼류지
사가와고이찌
가와우찌세이이찌
스나가와마사오
가지마사끼
사또스스무
Original Assignee
가나이쯔도무
가부시끼가이샤히다찌세이사꾸쇼
모리도시로
히다찌다가테크놀로지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9964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201675A/en
Priority claimed from JP9965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201682A/en
Priority claimed from JP9963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201674A/en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쯔도무, 가부시끼가이샤히다찌세이사꾸쇼, 모리도시로, 히다찌다가테크놀로지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나이쯔도무
Publication of KR19980070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07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0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0699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47L5/30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with driven dust-loosening tools, e.g. rotating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05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11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driven by electric 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기 본체를 흡입구 부재의 상방에 위치시킨 때 흡기구의 적어도 일부를 폐색하도록 하여 대기 중에 있어서의 소음을 저감시키도록 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leaner body is positioned above the suction port member, at least a part of the intake port is closed to reduce noise in the atmosphere.

또 본 발명은 청소기 본체를 흡입구 부재의 상방에 위치시킨 때 상기 청소기 본체의 외주를 따라서 만곡한 만곡부를 갖도록 하여 흡입구 본체로부터 흡입구 커버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urved portion that is curv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cleaner body when the cleaner body is located above the suction port member so that the suction port cover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suction port body.

게다가 또 본 발명은 청소기 본체에 전원 코드를 삽입하는 전원 코드 삽입부를 배치하고, 상기 전원 코드를 L자형 형상으로 하는 동시에 상기 청소기 본체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배치하고 청소기 본체의 소형화를 도모한 것이다.Moreover, this invention arrange | positions the power cord insertion part which inserts a power cord into a cleaner body, arrange | positions the said power cord in an L-shape, detachably arrange | positions from a said cleaner body, and aims at downsizing of a cleaner body.

Description

전기 청소기cleaner

본 발명은 전기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흡입구 부재의 상방에 집진부 및 전송 송풍기를 수납한 청소기 본체를 갖는 세로형 전기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rtical type vacuum cleaner having a cleaner body in which a dust collector and a transmission blower are stored above the suction port member.

종래, 일반적으로 에어 터빈을 갖는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는 흡입구 부재를 들어올린 때 회전 브러시가 고속 회전함으로써 소음이 발생한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를 들면 일본 실용 신안 공개 소61-188549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흡입구 본체가 하방으로 회전함으로써 외기와 연통하는 통기 구멍이 개방하고, 에어 터빈의 회전수를 저감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 실용 신안 공개 소61-188549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에 있어서는 연통 구멍에 먼지 등이 걸리거나 하면 외기가 유입하기 어려워지며, 에어 터빈의 회전수가 저하하지 않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Conventionally, in the vacuum cleaner which has an air turbin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at a noise generate | occur | produces by rotating a rotating brush at high speed, when lifting an inlet member, it is disclosed by Unexamined-Japanese-Patent No. 61-188549, 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a technique has been proposed in which a vent hole communicating with outside air is opened by the intake main body rotating downward to reduce the rotation speed of the air turbine. In the technique described in Japanese Utility Model Laid-Open No. 61-188549, there is a drawback that, if dust or the like is caught in the communication hole, outside air becomes difficult to enter, and the rotation speed of the air turbine does not decrease.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일본 특허 공개 평7-116093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흡입구 본체를 들어올린 때 흡입구 본체의 베어링부를 따라서 회전 브러시가 자중에 의해 흡입구 본체의 하방으로 하강하고, 회전 브러시의 일부가 흡입구 본체의 개구 모서리에 접촉하여 회전 브러시의 회전수를 저하시키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To solve this problem, as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7-116093, when the suction inlet body is lifted up, the rotary brush is lowered down the inlet body by its own weight along the bearing portion of the inlet body, and a part of the rotary brush is removed. The technique which reduces the rotation speed of a rotating brush by contacting the opening edge of a suction port main body is proposed.

그러나, 일본 특허 공개 평7-116093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에 있어서는 흡입구 부재를 들어올린 때만 회전 브러시의 회전수를 저하시키는 것이며, 수직형 청소기로 행해지도록 청소기 본체를 세운 때 회전 브러시의 회전수를 저하시키는 점에 대해서는 일절 고려되어 있지 않았다.However, in the technique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7-116093,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ating brush is reduced only when the suction inlet member is lifted, and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ating brush is lowered when the cleaner body is erected to be performed by a vertical vacuum cleaner. It was not considered at all.

그리고, 일본 특허 공개 평7-116093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에 있어서는 사용되고 있는 흡입구 부재의 상부 케이스와 흡입구 커버의 맞춤부는 흡입구 부재를 상방으로부터 보면 거의 직선이었으므로, 흡입구 커버의 형상이 장방형의 바닥이 얕은 하우징형으로 이루어져 강도적으로 약하고, 또한 성형품에 있어서는 휨이 발생하기 쉬우며, 상부 케이스와 흡입구 커버의 맞춤부는 조합시 단차가 커서 외관 의장상 바람직하지 않다. 게다가, 상부 케이스와 흡입구 커버의 맞춤부에 간극이 발생하면 청소기 본체의 흡입하는 기류가 간극으로부터 인입하고, 본래 하부 케이스의 흡입구로부터 들어오는 풍량이 감소하고, 흡입 성능이 저하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In the technique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7-116093, the upper case of the inlet member and the fitting portion of the inlet cover which are used are almost straight when the inlet member is viewed from above, so that the shape of the inlet cover has a rectangular bottomed housing. It is made of a mold and is weak in strength, and it is easy to cause warpage in a molded article. In addition, when a gap occurs in the fitting portion of the upper case and the inlet cover, airflow suctioned by the cleaner body flows in from the gap,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mount of air flowing from the inlet of the lower case inherently decreases and the suction performance is lowered.

또, 종래 전기 청소기는 신축하는 내부 파이프를 청소기 본체측에서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내부 파이프의 축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고정용 구멍을 구비하고, 본체측에는 고정용 구멍에 삽입하고 내부 파이프를 고정하는 고정 핀과 고정 핀을 회전하는 클램프를 구비한 것이 있으며, 내부 파이프를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 가능하게 하고, 또 클램프를 동작함으로써 내부 파이프를 신축 가능하게 하는 구조였다.In addition, a conventional vacuum cleaner is a means for fixing a stretched inner pipe on the cleaner main body side, and has a fixing hole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inner pipe, and is fixed to the main body side by inserting it into the fixing hole and fixing the inner pipe. There existed a clamp which rotates a pin and a fixed pin, and it was the structure which made it possible to fix an inner pipe at arbitrary positions, and to make an inner pipe stretchable by operating a clamp.

이로 인해, 고정 핀이 클램프와 동일 방향으로 원동작하기 위해 내부 파이프의 고정용 구멍을 긴 원형으로 하거나, 혹은 고정 핀보다도 큰 구멍을 개방해 덜걱거림을 크게 할 필요가 있으며, 핸들 상하 방향 중 어느 한 쪽으로부터 큰 힘을 가하면 고정 핀이 빠진다는 결점이 있었다.For this reason, in order for the fixing pin to be circular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clamp, it is necessary to make the fixing hole of the inner pipe long, or to open the hole larger than the fixing pin to increase the rattling. The drawback was that the pins could be pulled out with a large force from one side.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 수직형 전기 청소기의 청소기 본체를 세운 상태에 있어서의 회전 브러시의 회전수를 저하시키는 데에 유효한 전기 청소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vacuum cleaner which is effective in solving the above problems and reducing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rotating brush in a state in which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of the vertical electric vacuum cleaner is set up.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조작성, 수납성이 우수한 전기 청소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cleaner excellent in operability and storag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으로 하는 바는 전동 송풍기 및 집진부를 내장하는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접속된 흡입구 부재를 갖는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 부재는 하면에 흡입구를 갖는 흡입구 본체와, 상기 흡입구 본체의 흡입구에 배치된 회전 청소 부재와, 상기 흡입구 본체의 상부를 덮는 상부 케이스와, 상기 회전 청소 부재를 구동하기 위한 적어도 한개의 터빈과, 상기 흡입구 본체의 하류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 본체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흡입 통로를 갖는 흡입구 커플링과, 상기 상부 케이스에 상기 터빈을 회전시키기 위한 공기를 유입하는 흡기구를 갖고 상기 청소기 본체를 상기 흡입구 부재의 상방에 위치시킨 때 상기 흡기구의 적어도 일부를 폐색하도록 한 데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acuum cleaner having a vacuum cleaner body having an electric blower and a dust collector and a suction port member connected to the vacuum cleaner body, wherein the suction port member has a suction port at a lower surface thereof. A main body, a rotary cleaning member disposed at an inlet of the inlet body, an upper case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inlet main body, at least one turbine for driving the rotary cleaning member, and disposed downstream of the inlet body, An inlet coupling having an inlet passage rotatably disposed in an up-down direction with respect to an inlet body, and an inlet for introducing air for rotating the turbine into the upper case, and placing the cleaner body above the inlet member. At least a part of the intake port is blocked.

또, 본 발명의 특징으로 하는 바는 전동 송풍기 및 집진부를 내장하는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접속된 흡입구 부재를 갖는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 부재는 하면에 흡입구를 갖는 하부 케이스에 상부 케이스를 씌워서 형성한 흡입구 부재와, 상기 흡입구 본체의 흡입구에 배치된 회전 청소 부재와, 상기 흡입구의 상부를 덮는 흡입구 커버와, 상기 회전 청소 부재의 회전축과 동일축 상에서 상기 회전 청소 부재의 외측에 위치하고 또 상기 회전 청소 부재를 구동하기 위한 적어도 한개의 터빈과, 상기 흡입구 본체의 하류측에 배치된 흡입 통로를 갖는 흡입구 커플링을 갖고 상기 흡입구 커버의 상기 청소기 본체측의 일부는 상기 청소기 본체를 상기 흡입구 부재의 상방에 위치시킨 때 상기 청소기 본체의 외주를 따라서 만곡한 만곡부를 갖는 데 있다.In addition,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ic vacuum cleaner having a vacuum cleaner body having an electric blower and a dust collector and a suction port member connected to the vacuum cleaner body, wherein the suction port member is provided on an upper case in a lower case having a suction port on a lower surface thereof. A suction inlet member formed by covering an inlet, a rotary cleaning member disposed at an inlet of the suction inlet body, an inlet cover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suction inlet, and positioned outside the rotary cleaning member on the same axis as a rotation axis of the rotary cleaning member. A suction inlet coupling having at least one turbine for driving the rotary cleaning member and a suction passage disposed downstream of the suction inlet body, wherein a part of the cleaner body side of the inlet cover covers the cleaner body with the suction inlet member; Curv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cleaner body when positioned above Having the having.

게다가 본 발명의 특징으로 하는 바는 전동 송풍기 및 집진실을 내장하는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 하부에 집진실과 연통하는 흡입구 부재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에 상기 전동 송풍기와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코드를 삽입하는 전원 코드 삽입부를 배치하고, 상기 전원 코드를 L자형 형상으로 하는 동시에 상기 청소기 본체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배치한 데 있다.In addition,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vacuum cleaner body including an electric blower and a dust collecting chamber, and a suction inlet member communicating with the dust collecting chamber under the vacuum cleaner body, wherein the electric cleaner and the electric blower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acuum cleaner body. And a power cord insertion section for inserting a power cord for connecting and supplying power, and having the L-shaped shape of the power cord detachably from the cleaner body.

게다가 또, 본 발명의 특징으로 하는 바는 전동 송풍기 및 집진실을 내장한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의 하방에 상기 집진실과 연통하는 흡입구 부재를 갖는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에 배치된 외부 파이프와, 상기 외부 파이프에 삽입되어 미끄럼 이동하는 내부 파이프를 갖고 상기 외부 파이프에는 상기 내부 파이프의 위치를 고정하는 동시에 소직경부를 갖는 고정 핀과, 상기 고정 핀을 가동하기 위한 클램프를 갖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고정 핀을 수직 방향으로 동작하도록 한 데 있다.In addition,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acuum cleaner having a vacuum cleaner body having an electric blower and a dust collecting chamber and a suction port member communicating with the dust collecting chamber below the vacuum cleaner body, wherein the vacuum cleaner is disposed on the vacuum cleaner body. The clamp having an outer pipe, an inner pipe inserted into the outer pipe and sliding, the outer pipe having a fixing pin having a small diameter portion while fixing the position of the inner pipe, and having a clamp for operating the fixing pin. The fixing pin is to oper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청소기 본체를 흡입구 부재의 상방에 위치시킨 때, 흡기구의 적어도 일부를 폐색하도록 하였으므로, 대기 중에 있어서의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leaner body is positioned above the suction port member, at least a part of the inlet port is closed, so that noise in the atmosphere can be reduced.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청소기 본체를 흡입구 부재의 상방에 위치시킨 때 상기 청소기 본체의 외주를 따라서 만곡한 만곡부를 갖도록 하였으므로, 흡입구 본체로부터 흡입구 커버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고 회전 청소 부재의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acuum cleaner body is positioned above the suction port member to have a curved portion curv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vacuum cleaner body, the suction port cover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suction port body, and maintenance of the rotary cleaning member is easy. It can be done.

게다가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청소기 본체에 전원 코드를 삽입하는 전원 코드 삽입부를 배치하고, 상기 전원 코드를 L자형 형상으로 하는 동시에 상기 청소기 본체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배치하였으므로, 청소기 본체를 소형화할 수 있어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다.Furtherm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ower cord insertion portion for inserting the power cord into the cleaner body is disposed, and the power cord is formed in an L-shape and detachably disposed from the cleaner body, the cleaner body can be miniaturized and operability. Can improve.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흡입구 부재의 상면도.1 is a top view of an inle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흡입구 부재의 종단면도.Figure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le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흡입구 부재의 상단면도.Figure 3 is a top view of the inle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흡입구 부재의 분해 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le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청소기 본체로부터 흡입구 부재를 제거한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ction port member removed from the cleaner body;

도6은 도1에 있어서의 A-A 단면도.Fig. 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1;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전체 외관 사시도.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verall appearance of an electric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전체 외관 사시도.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verall appearance of an electric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청소기 본체의 단면도.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leaner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0은 청소기 본체와 전원 코드의 접속 관계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Fig. 10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principal parts of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cleaner body and the power cord.

도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측면도.Fig. 11 is a side view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2는 청소기 본체를 후방으로 쓰러뜨린 상태에 있어서의 측면도.12 is a side view in a state where the cleaner main body is knocked backward;

도13은 코드 걸이부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Fig. 1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principal parts of the cord hanger structure;

도14는 코드 걸이부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Fig. 1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principal parts of a cord hanger structure;

도15는 고정 핀과 클램프의 동작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Fig. 1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on relationship between a fixing pin and a clamp.

도16은 고정 핀과 클램프의 동작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Fig. 1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on relationship between a fixing pin and a clamp.

도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전체 외관 사시도.1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verall appearance of an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8은 도15에 있어서의 B-B 단면도.FIG. 18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15; FIG.

도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테이프형 전선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Fig. 19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a tape-shaped wi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0은 도19b에 있어서의 내부 파이프의 선단부를 확대한 도면.Fig. 20 is an enlarged view of the distal end of the inner pipe in Fig. 19B.

도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내부 파이프와 핸들 고정 부분의 단면도.Figure 21 is a sectional view of an inner pipe and a handle fixing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2는 핸들을 축소한 때와 신장한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전기 청소기의 측면도.Fig. 22 is a side view of the vacuum cleaner showing a state when the handle is reduced and extended;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흡입구 본체100: inlet body

101 : 하부 케이스101: lower case

102 : 상부 케이스102: upper case

104 : 회전 청소 부재104: rotating cleaning member

105 : 흡입구 커버105: inlet cover

106 : 개폐 레버106: opening and closing lever

117 : 케이싱117 casing

118, 119 : 차륜118, 119: wheel

120 : 흡입구120: suction port

125 : 터빈125: turbine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세로형 전기 청소기의 전체 외관 사시도이다.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verall appearance of a vertical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7에 있어서, 701은 제어 회로나 전동 송풍기 등을 내장하는 청소기 본체, 702는 청소기 본체(701)의 상방에 일체적으로 배치된 손잡이이다. 청소기 본체(701)의 배면측 및 측면측에는 전기 청소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코드(703)를 청소기 본체(701)에 유지하기 위한 코드 걸이부(704, 705)가 배치되어 있다.In Fig. 7, reference numeral 701 denotes a cleaner body incorporating a control circuit, an electric blower, and the like, and 702 denotes a handle integrally disposed above the cleaner body 701. Cord hangers 704 and 705 for holding the power cord 703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to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701 are disposed on the back side and the side of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701.

청소기 본체(701)의 상방에는 전동 송풍기의 회전수를 조정하는 제어 스위치(706)를 갖는 핸들부(707)가 청소기 본체(701)에 대해 신축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신축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 청소기 본체(701)의 하방에는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 부재(708)가 배치되어 있다.Above the cleaner main body 701, the handle part 707 which has the control switch 706 which adjusts the rotation speed of an electric blower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a contraction with respect to the cleaner main body 701 is possible. In addition, a stretch structure is mentioned later. In addition, a suction port member 708 is disposed below the cleaner main body 701 for sucking dust.

다음에 도1 내지 도6에 의해 흡입구 부재(708)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the structure of the inlet member 708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도1은 흡입구 부재(708)의 상면도, 도2는 흡입구 부재(708)의 종단면도, 도3은 흡입구 부재(708)의 상부 단면도, 도4는 흡입구 부재(708)의 분해 사시도, 도5는 흡입구 부재(708)와 청소기 본체(701)의 착탈 상태를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 도6은 도1에 있어서의 A-A 단면도, 도7은 본 실시예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외관 사시도이다.1 is a top view of the inlet member 708, FIG.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inlet member 708, FIG. 3 is a top sectional view of the inlet member 708,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let member 708, and FIG.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tachable state between the suction port member 708 and the cleaner main body 701, FIG. 6 is an AA sectional view in FIG. 1, and FIG. 7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흡입구 부재(708)의 골격이 되는 흡입구 본체(100)는 그 대략 중앙의 높이에서 상하로 2분할되어 있으며, 외곽을 형성하는 하부 케이스(101)와, 그 상부 후방에 배치하는 상부 케이스(102)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The suction inlet body 100 serving as the skeleton of the suction inlet member 708 is divided into two vertically at a height approximately at the center thereof, and has a lower case 101 forming an outline and an upper case 102 disposed above and behind the upper case 102. It is formed by.

하부 케이스(101)와 상부 케이스(102)가 접촉하는 위치의 외주에는 기밀을 유지하는 동시에 가구 등에 손상을 입히는 것을 방지하는 충격 흡수 범퍼(103)가 끼워 넣음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The outer periphery of the position where the lower case 101 and the upper case 102 contact is attached by inserting a shock absorbing bumper 103 that maintains airtightness and prevents damage to furniture and the like.

흡입구 본체(100)의 전방에는 회전 청소 부재(104) 흡입구 커버(105)가 배치되어 있다.In front of the inlet body 100, the rotary cleaning member 104 and the inlet cover 105 are disposed.

흡입구 커버(105)의 내측에는 가로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한 쌍의 개폐 레버(106)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를 조작함으로써, 흡입구 본체(100)로부터 흡입구 커버(105)를 착탈할 수 있다.A pair of opening / closing levers 106 sli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re disposed inside the inlet cover 105, and by operating the inlet cover 105, the inlet cover 105 may be detached from the inlet cover 100.

상부 케이스(102)는 흡입구 커버(105)측에 일부 만곡한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서 홈부(108)가 형성되어 있다. 또, 흡입구 커버(105)에는 상기 홈부(108)에 끼워넣도록 동일 만곡 형상으로 리브(109)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02)와 흡입구 커버(105)의 맞춤부(110)는 흡입구 부재(708)를 상방으로부터 보면 만곡 형상으로 되어 있다.The upper case 102 has a partially curved shape on the inlet cover 105 side, whereby the groove 108 is formed. In addition, since the rib 109 is arranged in the same curved shape so as to fit in the groove 108, the inlet cover 105 has the upper case 102 and the inlet cover 105 as shown in FIG. The fitting portion 110 is curved when the suction port member 708 is viewed from above.

만곡 형상으로 리브(109)가 설치되어 있는 흡입구 커버(105)는 직선형으로 형성한 흡입구 커버보다도 강도적으로 강하고, 또 흡입구 커버(105)의 성형시 휨도 적다. 이로 인해, 상부 케이스(110)와 흡입구 커버(105)와 상부 케이스(102)의 맞춤부(110)의 간극이 미소해지므로, 청소기 본체(601)로부터의 흡입 기류의 누설이 감소하고, 흡입 성능, 회전 청소 부재(104)의 긁어 올림 성능이 향상된다. 게다가, 외관 의장면에서도 우수한 것이 된다.The inlet cover 105 having the rib 109 in a curved shape is stronger in strength than the inlet cover formed in a straight line, and also has less warpage during molding of the inlet cover 105. As a result, the gap between the upper case 110, the inlet cover 105, and the fitting portion 110 of the upper case 102 becomes small, so that leakage of the intake airflow from the cleaner body 601 is reduced, and the suction performance is reduced. , The scraping-up performance of the rotary cleaning member 104 is improved. In addition, it is excellent also in appearance appearance.

상부 케이스(110)와 흡입구 커버(107)의 맞춤부(116)의 라인은 도5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소기 본체(601) 하부 형상(501)과 동일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청소기 본체(701)를 흡입구 부재(708) 상에 세운 경우에도, 흡입구 본체(100)로부터 흡입구 커버(105)를 착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The line of the fitting part 116 of the upper case 110 and the inlet cover 107 becomes the same shape as the lower shape 501 of the cleaner main body 601 as shown to FIG. 5 and FIG. This is so that even when the cleaner main body 701 is placed on the inlet member 708, the inlet cover 105 can be detached from the inlet body 100.

흡입구 본체(100)의 후방에는 상하회전 가능한 케이싱(117)이 배치되어 있다.The casing 117 which can rotate up and down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back of the inlet body 100. As shown in FIG.

하부 케이스(101)에는 흡입구 부재(708)의 하면과 청소면을 일정 간격으로 유지하는 동시에 흡입구 부재(708) 전체를 전후 및 전후의 경사 방향으로도 이동하기 쉽도록 한 쌍의 전방 차륜(118)과, 그 전방 차륜(118)보다도 직경이 큰 후방 차륜(119)이 배치되어 있다. 또, 이 후방 차륜(120)은 차륜축을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The lower case 101 maintains the lower surface and the cleaning surface of the inlet member 708 at regular intervals, and at the same time, the pair of front wheels 118 and the front inlet member 708 are easy to move in the inclined direction. And a rear wheel 119 larger in diameter than the front wheel 118 is disposed. Moreover, this rear wheel 120 integrally forms the wheel shaft.

그리고, 하부 케이스(101)에는 흡입구(120) 내의 흡입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려 하는 압력 제어판(121, 122)이 그 흡입구(120) 전후에 배치되어 있다.In the lower case 101, pressure control panels 121 and 122, which are intended to maintain a constant suction pressure in the suction port 120, are disposed before and after the suction port 120.

게다가, 하부 케이스(101)에는 물 빠짐 구멍(123)이 구비되어 있다. 이 물 빠짐 구멍(123)에는 전체 주위 라운딩(124)이 실시되어 있다.In addition, the lower case 101 is provided with a water draining hole 123. The circumference rounding 124 is given to this water drain hole 123.

회전 청소 부재(104)는 먼지의 긁어 올림, 청소 바닥면의 훔치기 등을 목적으로 행하기 위한,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형성된 홈에 부드러운 브러시와 딱딱한 브러시를 교대로 배치하여 그 양단부에는 터빈(125)이 견고하게 접착 삽입되어 있다.The rotary cleaning member 104 alternately disposes a soft brush and a hard brush in a groove formed of metal such as aluminum for the purpose of scraping up dust, stealing the bottom of the cleaning, and the like, and turbines 125 at both ends thereof. The adhesive is firmly inserted.

터빈(125)은 터빈(A126)과 터빈(B127)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3개의 접합면은 초음파 용착에 의해 견고하게 고착되어 있다.The turbine 125 is formed of the turbine A126 and the turbine B127, and the three joining surfaces are firmly fixed by ultrasonic welding.

한 쌍의 터빈(125) 양단부에는 회전축(128)이 압입되어 있으며, 미끄럼 베어링(129)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저어널되어 있다.The rotating shaft 128 is press-fitted in the both ends of the pair of turbines 125, and is rotatably journaled by the sliding bearing 129. As shown in FIG.

미끄럼 베어링(129)은 베어링 커버(130)에 압입되어 있으며, 하부 케이스(101)에 구비한 홈부(131)에 의해 유지하고 있다.The sliding bearing 129 is press-fitted into the bearing cover 130 and is held by the groove portion 131 provided in the lower case 101.

도6에 있어서, 흡입구 부재(708) 내에는 터빈(125)의 외부 주위를 거의 덮도록 터빈(125)을 향해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다익 노즐(132, 133)이 배치되어 있다.In Fig. 6, the intake member 708 is provided with multiple nozzles 132 and 133 for introducing air toward the turbine 125 so as to almost cover the outer periphery of the turbine 125. As shown in Figs.

이 다익 노즐(132, 133)은 상하로 2분할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상측 다익 노즐(132)은 나사에 의해 흡입구 커버(107)의 이면에 고정하고, 또 하측 다익 노즐(133)은 하부 케이스(101)에 나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The multiple blade nozzles 132 and 133 are divided into two vertically, and the upper blade nozzle 132 is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inlet cover 107 by a screw, and the lower blade nozzle 133 is a lower case ( 101) is fixed by screws.

이로써, 다익 노즐(132)을 흡입구 커버(107)와 함께 흡입구 본체(100)로부터 제거할 수 있으므로, 터빈(125)과 동축 상에 있는 회전 청소 부재(104)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Thereby, since the blade nozzle 132 can be removed from the inlet body 100 together with the inlet cover 107, the rotary cleaning member 104 which is coaxial with the turbine 125 can be easily removed.

상술한 나사 및 전방 차륜(118)에 사용하고 있는 차축의 재질은 철에 아연 도금을 실시한 것으로 물에 닿아도 녹슬기 어려운 것이다. 또, 회전 청소 부재(104)에 사용하고 있는 회전축(128)의 재질은 스테인레스강 봉이며 방청성이 우수하다. 게다가 미끄럼 베어링(129)에는 폴리아세탈 수지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세척이 가능해지며, 기타 흡입구 부재(708)를 구성하는 전체 부재의 재질도 합성 수지제이므로 전체 부재 세척이 가능하다.The material of the axle used for the screw and the front wheel 118 mentioned above is galvanized iron, and it is hard to rust even if it touches water. Moreover, the material of the rotating shaft 128 used for the rotating cleaning member 104 is a stainless steel rod, and is excellent in rust prevention property. Furthermore, since the polyacetal resin is used for the sliding bearing 129, washing is possible, and since the material of the entire member constituting the other inlet member 708 is also made of synthetic resin, the entire member can be washed.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흡입구 부재(708)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inlet member 708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터빈(125)을 구동하기 위한 공기는 상부 케이스(102)의 상부에 구비한 다수의 통기 구멍을 갖는 흡기구(136)에 의해 흡기하고 다익 노즐(132, 133)로 유도된 후, 터빈(125)을 향해 유입된다. 이로써, 터빈(125)이 회전하고 일체로되어 있는 회전 청소 부재(104)도 회전한다. 그 후, 터빈(125)을 향해 불어 댄 공기는 벨마우스 부분(134), 케이싱(117)을 통하여 청소기 본체로 흡입된다.The air for driving the turbine 125 is intaken by the intake port 136 having a plurality of vent holes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upper case 102 and guided to the multi-nozzle nozzles 132, 133, and then the turbine 125. Flows toward As a result, the turbine 125 rotates and the rotary cleaning member 104 that is integrated also rotates. Thereafter, the air blown toward the turbine 125 is sucked into the cleaner body through the bell mouse portion 134 and the casing 117.

한편, 먼지를 함유한 공기는 흡입구(121)로부터 직접 벨마우스 부분(134), 케이싱(117)을 통하여 청소기 본체로 흡입된다.On the other hand, the air containing the dust is sucked into the cleaner body through the bell mouth portion 134, the casing 117 directly from the suction port 121.

상부 케이스(102)의 상부에 구비한 다수의 통기 구멍을 갖는 흡기구의 일부(137, 138, 139)는 청소기 본체(701)를 흡입구 부재(708) 상에 세운 상태로 하면, 청소기 본체(701)의 하부 형상(501)에 의해 폐색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터빈(125)을 구동하기 위한 공기의 양이 감소하므로, 회전 청소 부재(104)의 회전수가 정지 혹은 저속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로써, 청소기 본체(701)를 흡입구 부재(708)상에 세운 상태에서는 터빈이 고속 회전함으로써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A part of the inlet port 137, 138, and 139 having a plurality of vent holes provided in the upper case 102 is placed on the inlet member 708 when the cleaner body 701 is placed on the inlet member 708. It is arranged to be blocked by the lower shape (501) of the. In addition, since the amount of air for driving the turbine 125 is reduced,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ary cleaning member 104 is stopped or rotated at a low speed. As a result, in the state where the cleaner main body 701 is placed on the inlet member 708, noise generated by the turbine rotating at high speed can be reduced.

(제2 실시예)(2nd Example)

다음에 도8 내지 도14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Nex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도8에 있어서, 청소기 본체(701) 측면에는 전원 코드 삽입부(801)가 구비되어 있고, 전원 코드(703) 일단측의 L자형 플러그(802)를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In FIG. 8, the power cord insertion part 801 is provided in the side surface of the cleaner main body 701, and the L-shaped plug 802 of the one end side of the power cord 703 is removable.

그리고, 전원 코드(703)는 청소기 본체(701)의 전원 코드 삽입부(801)보다 상방에 구비한 코드 걸이부(704)와 전원 코드 삽입부(801)보다 하방에 구비한 코드 걸이부(705)에 귄취함으로써 보관할 수 있다.The power cord 703 includes a cord hook portion 704 provided above the power cord inserting portion 801 of the cleaner body 701 and a cord hook portion 705 provided below the power cord inserting portion 801. ) Can be stored by smelling.

도9는 청소기 본체(701)의 구조 단면도이다.9 is a structur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leaner body 701.

청소기 본체(701) 내부에는 전동 송풍기(901), 집진실(902)이 내장되어 있으며, 전동 송풍기(901)로부터 발생하는 흡인력에 의해 흡입한 먼지를 흡입구 부재(708), 케이싱(117)을 거쳐서 집진실(902)에 집진하도록 하고 있다.The electric blower 901 and the dust collecting chamber 902 are built in the cleaner main body 701, and the dust sucked in by the suction force generated from the electric blower 901 passes through the suction port member 708 and the casing 117. The dust collecting chamber 902 is to be collected.

전동 송풍기(901)의 상부에는 흡입력을 조정하기 위한 제어 장치(903)를 수납하는 제어 장치 수납부(904)가 구비되어 있다. 이 제어 장치 수납부(904)는 단면이 대략 삼각 형상을 갖고 있으므로, 청소기 본체(701) 내부의 무효 공간을 없애고 청소기 본체(701)를 소형화할 수 있다.The upper part of the electric blower 901 is provided with the control apparatus accommodating part 904 which accommodates the control apparatus 903 for adjusting a suction force. Since this control apparatus accommodating part 904 has a substantially triangular cross section, the void space inside the cleaner main body 701 can be eliminated, and the cleaner main body 701 can be miniaturized.

그리고, 제어 장치 수납부(904)의 상부에는 청소기 본체(701)와 일체로 형성된 핸들(905)이 구비되어 있으며, 제어 장치 수납부(904)의 상방으로부터 외력이 가해져도 핸들(905)에 의해 제어 장치 수납부(906)로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In addition, a handle 905 formed integrally with the cleaner main body 701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rol device housing 904, and the handle 905 is applied eve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from above the control device storage unit 904. Impact on the control device housing 906 can be alleviated.

전원 코드 삽입부(801)에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소기 본체(701)와는 별개 부재의 전원 코드 삽입용 커넥터(1001)가 내부에 구비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power cord insertion unit 801 is provided with a power cord insertion connector 1001 that is separate from the cleaner body 701.

게다가 도10에 있어서, 청소기 본체(701)에는 이 청소기 본체(701)보다도 오목한 오목부(1002)를 구비하고, 오목부(1002)의 내측에 전원 코드 삽입용 커넥터(1001)를 구비하고 있다.10, the cleaner main body 701 has a concave portion 1002 that is more concave than the cleaner body 701, and a power cord insertion connector 1001 is provided inside the concave portion 1002. In FIG.

전원 코드 삽입부(801)의 형상은 청소기 본체(701)의 외형을 따라서 형성되고, 삽입부(상부)(1003)보다도 삽입부(하부)(1004)의 형상을 돌출시키고 있다.The shape of the power cord insertion portion 801 is formed along the outer shape of the cleaner main body 701, and protrudes the shape of the insertion portion (lower portion) 1004 than the insertion portion (upper portion) 1003.

본 실시예에서는 전원 코드(703)의 청소기측 플러그(802)를 대략 L자형으로 하고 있으므로, 플러그(802)와 삽입부(하부)(1004)가 접촉하여 전원 코드(703)를 반대 방향으로 삽입할 수 없다. 또, 전원 코드 삽입용 커넥터(1001)에는 플랜지부(1005)가 구비되고, 플랜지부(1005)를 2분할한 청소기 본체(701a)와 청소기 본체(701b)로 끼워 넣음으로써, 전원 코드 삽입용 커넥터(1001)를 고정한다.In this embodiment, since the cleaner plug 802 of the power cord 703 is substantially L-shaped, the plug 802 and the insertion portion (lower) 1004 contact each other to insert the power cord 703 in the opposite direction. Can not. In addition, the power cord insertion connector 1001 is provided with a flange portion 1005, and the power cord insertion connector is inserted into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701a and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701b obtained by dividing the flange portion 1005 into two parts. Secure (1001).

그리고, 코드(1006)는 청소기 본체(701)의 소비 전력이 최대 1000W에 대응할 수 있도록 도체의 유효 단면적이 2 × 1.25 ㎟로 절연 부재를 2중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코드(53)의 단면이 긴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2종류의 비닐캡타이어 긴 원형 코드(HVCTFK)를 사용하고 있다.In addition, the cord 1006 has a double cross-section of the insulating member having an effective cross-sectional area of 2 × 1.25 mm 2, so that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cleaner main body 701 can correspond to a maximum of 1000 W. Two types of vinyl cap tire long circular cords (HVCTFK) are used.

도11은 전원 코드(703)를 핸들(707)에 구비한 코드 유지부(1101)에 고정한 외관 측면도이다.Fig. 11 is an external side view of the power cord 703 fixed to the cord holding portion 1101 provided on the handle 707. Figs.

도11에 있어서, 전원 코드 삽입부(801)는 청소기 본체(701) 측면에 구비되어 있으며, 전원 코드(703)의 청소기측 플러그(801)의 형상을 대략 L자형으로 함으로써, 청소기 본체(701)가 직립한 상태일 때 전원 코드(703)는 청소기 본체(701)의 상방으로밖에 인출할 수 없으므로 전원 코드(703)가 흡입구 부재(708)에 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Fig. 11, the power cord insertion section 801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701. The cleaner main body 701 is formed by making the shape of the cleaner plug 801 of the power cord 703 substantially L-shaped. The power cord 703 can be pulled out only above the cleaner body 701 when is in an upright state, and thus the power cord 703 can be prevented from being wound around the suction port member 708.

게다가, 전원 코드(703)는 청소기 본체(701)의 상방으로밖에 인출할 수 없으므로 핸들(707)이 상하로 신축해도 전원 코드(703)는 항상 핸들(707)을 따른 형상이 되며, 청소를 행하는 사용자에게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ower cord 703 can only be pulled out above the cleaner body 701, the power cord 703 always has a shape along the handle 707 even when the handle 707 expands and contracts up and down. It can prevent the user from being disturbed.

도12에 청소기 본체(701)를 후방으로 회전한 때의 외관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12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청소기 본체(701)가 후방으로 회전한 때, 전원 코드 삽입용 커넥터(1001)의 삽입 방향이 정면으로부터 보아 측방이 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로써, 전원 코드 삽입용 커넥터(1001)에 먼지가 퇴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12 is an external side view when the cleaner body 701 is rotated backward. In Fig. 12,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cleaner main body 701 is rotated backward,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power cord insertion connector 1001 is laterally viewed from the front. Thereby, dust can be prevented from accumulating on the connector 1001 for power cord insertion.

도13a, 도13b는 청소기 본체(701)에 구비한 코드 걸이부(704)의 단면도이다.13A and 13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cord hanger 704 provided in the cleaner main body 701.

도13에 있어서, 코드 걸이부(704)는 회전식으로 되어 있으며, 도13b와 같이 코드 걸이부(704)의 선단부를 상방으로 향함으로써 이 부분에 전원 코드(703)를 권취하여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소기를 사용할 때는 코드 걸이부(704)를 축(130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킴으로써 도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 코드(703)를 청소기 본체(701)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In Fig. 13, the cord hanger 704 is rotatable. As shown in Fig. 13B, the tip end portion of the cord hanger 704 can be wound upward so that the power cord 703 can be wound and stored therein. . When the cleaner is used, the cord hanger 704 can be rotated about the shaft 1301 to remove the power cord 703 from the cleaner body 701 as shown in FIG. 13A.

도14a, 도14b는 청소기 본체(701)에 구비한 코드 걸이부(705)의 단면도이다.14A and 14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cord hanger 705 provided in the cleaner body 701.

코드 걸이부(705)는 회전식으로 되어 있으며, 청소기를 사용할 때는 도14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외형상을 따른 상태에서 본체 표면에 수납된다. 청소가 종료한 경우에는 도11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코드 걸이부(705)를 외측으로 회전시키고, 코드 걸이부(705)에 전원 코드(703)를 권취하여 수납할 수 있다.The cord hanger 705 is rotatable, and when the cleaner is used, it is stored in the main body surface in a state along the main body outline as shown in Fig. 14A. When the cleaning is finished, the cord hanger 705 can be rotated outward as shown in Fig. 11B, and the power cord 703 can be wound and stored in the cord hanger 705.

그리고, 도7 및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드 걸이부(704)를 청소기 본체(701)의 후방에 코드 걸이부(705)를 청소기 본체(701)의 측방으로 늦추어서 배치하고 있으므로 전원 코드(703)를 권취한 때에 경사지게 권취하게 되며, 전원 코드(703)를 코드 걸이부(704)와 코드 걸이부(705)에 권취한 때의 한번 감은 거리가 길어지며, 전원 코드(703)의 권취 수가 작아지도록 하고 있다.As shown in Figs. 7 and 8, the cord hanger 704 is arranged behind the cleaner main body 701 by the cord hanger 705 to the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701. When winding up 703, it winds up inclinedly, and when the winding the power cord 703 is wound by the cord hook part 704 and the cord hook part 705, the distance becomes long, and winding up the power cord 703 The number is getting smaller.

(제3 실시예)(Third Embodiment)

다음에 도9 및 도15 내지 도22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5 to 22. FIG.

청소기 본체(701) 배면부에는 상하로 신축하는 핸들(703)에 접속한 내부 파이프(906)와 그를 유지하는 외부 파이프(907)를 구비하고, 외부 파이프(907)는 2분할한 청소기 본체(701)와 일체로 나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The back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701 is provided with the inner pipe 906 connected to the handle 703 which expands and contracts up and down, and the outer pipe 907 holding it, and the outer pipe 907 is divided into two parts of the cleaner main body 701. It is fixed by screws integrally with.

내부 파이프(906)의 원주 방향으로는 고정 구멍(908)이 구비되어 있으며, 고정 핀(909)을 고정 구멍(908)에 삽입함으로써 내부 파이프(906)를 신축하는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하고 있다.A fixing hole 908 is provid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pipe 906, and the fixing pipe 906 is fixed at an arbitrary position of the inner pipe 906 by inserting the fixing pin 909 into the fixing hole 908.

도15 및 도16은 고정 핀(909), 클램프(910)의 움직임을 도시한 단면도, 도18은 고정 핀 부분의 단면 B-B를 도시한 도면이다.15 and 16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movement of the fixing pin 909 and the clamp 910, and FIG. 18 is a view showing the section B-B of the fixing pin portion.

도15 및 도16에 있어서, 고정 핀(909)은 클램프(910)에 의해 미끄럼 이동하고 있으며, 클램프(910)가 축(1501)을 중심으로 원동작하는 데에 반해 고정 핀(909)은 내부 파이프의 축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만 가동하도록 하고 있다.15 and 16, the fixing pin 909 is slid by the clamp 910, while the fixing pin 909 is internal while the clamp 910 is circumferentially about the axis 1501. It operates only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pipe.

이것은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핀(909)의 소직경부(909a)를 끼워넣도록 2갈래로 나누어진 클램프(910a, 910b)가 배치되고, 이 부분을 소직경부(909a)가 미끄러지도록 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핀(909)을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므로 고정 구멍(908)을 긴 원형 등으로 할 필요가 없고, 또 긴 원형으로 함에 따른 덜걱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8, two divided clamps 910a and 910b are arranged to sandwich the small diameter portion 909a of the fixing pin 909, and this portion causes the small diameter portion 909a to slide. Because there i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fixing pin 909 can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not necessary to make the fixing hole 908 into a long circle or the like, and the rattling of the long circle can be prevented.

또, 본 실시예에서는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파이프(906)에는 고정 핀(909)과 끼워 맞추는 고정 구멍(908)이 복수개 구비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청소기를 조작하는 사람이 알맞은 높이로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17, the inner pipe 906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xing holes 908 to be fitted with the fixing pins 909, so that the person who operates the cleaner can adjust the height appropriately. have.

게다가 또,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파이프(906)의 내측에는 시트(1801)가 마련되어 있으며, 고정 구멍(908)으로부터 내부 파이프(906) 내부로 먼지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내부 파이프(906)의 외관을 향상시키고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8, a sheet 1801 is provided inside the inner pipe 906 to prevent dust from entering the inner pipe 906 from the fixing hole 908 and at the same time the inner pipe. The appearance of 906 is improving.

도9에 있어서, 핸들(707) 내부에는 전동 송풍기(901)의 제어 장치(903)로 신호를 발신하는 제어 스위치(706)를 구비하고 있으며, 내부 파이프(906)와 외부 파이프(907)의 신축 동작에 한정되지 않고, 항상 흡입력의 조정이 가능하다.9, the handle 707 is provided with a control switch 706 which transmits a signal to the control device 903 of the electric blower 901, and expands and contracts the inner pipe 906 and the outer pipe 907. As shown in FIG. It is not limited to the operation, and the suction force can always be adjusted.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 스위치(706)로부터 본체 내부의 제어 장치(903)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테이프형의 전선(911)을 이용하고 있다. 또, 테이프형 전선(911)은 내부 파이프(906)의 내부를 통하여 내부 파이프(906)의 선단부에서 신축에 필요한 길이를 느슨해지게 한 후 청소기 본체(701)와 외부 파이프(907) 사이에서 고정하고 있다.In this embodiment, a tape-shaped wire 911 is used to transmit a signal from the control switch 706 to the control device 903 inside the main body. In addition, the tape-type wire 911 loosens the length required for expansion and contraction at the distal end of the inner pipe 906 through the inside of the inner pipe 906, and then fixes it between the cleaner body 701 and the outer pipe 907. have.

도19a, 도19b, 도19c는 내부 파이프(906)와 외부 파이프(907)의 미끄럼 이동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19A, 19B, and 19C are views showing sliding states of the inner pipe 906 and the outer pipe 907.

도19a는 핸들이 최대 신장시, 도19b는 핸들이 약 1/2 신장시, 도19c는 핸들이 최소 축소시의 각 테이프형 전선(911)의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19A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each tape-type wire 911 when the handle is fully extended, Fig. 19B is about 1/2 extended, and the handle is at least reduced.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 스위치(706)로부터 제어 장치(903)까지 단일한 테이프형의 전선(911)을 이용하고 있지만, 내부 파이프(906)의 선단부로부터 외부 파이프(907)의 선단부까지의 테이프형 전선(911)이 굴곡하는 부분이 중요하며, 기타 부분은 테이프형의 전선(911) 이외의 통신 수단을 이용해도 상관없다.In this embodiment, a single tape-shaped wire 911 is used from the control switch 706 to the control device 903, but the tape-type wire from the tip of the inner pipe 906 to the tip of the outer pipe 907 is used. The portion where the 911 is bent is important, and other portions may be used for communication means other than the tape-shaped wire 911.

도20은 내부 파이프(906)의 선단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며, 내부 파이프(906)의 선단부에는 대략 원통형의 덮개 부재(912)가 구비되어 있으며, 테이프형의 전선(911)은 내부 파이프(906)의 내부를 통하여 덮개 부재(38)에 고정하고, 덮개 부재(912)는 내부 파이프(906) 선단부를 덮는 내부 파이프(906)에 고정하고 있다. 또, 내부 파이프(906)에는 회전 방지 핀(913)을 구비하고 내부 파이프(906)에 직접 고정하고 있으며, 회전 방지 핀(913)에 의해 핸들(707)과 내부 파이프(906) 회전을 방지하는 동시에 내부 파이프(906)가 외부 파이프(907)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20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tal end of the inner pipe 906. The distal end of the inner pipe 906 is provided with a substantially cylindrical cover member 912, and the tape-shaped electric wire 911 is the inner pipe 906. As shown in FIG. The cover member 912 is fixed to the cover member 38 through the inside of the cover, and the cover member 912 is fixed to the inner pipe 906 covering the tip of the inner pipe 906. In addition, the inner pipe 906 includes an anti-rotation pin 913 and is directly fixed to the inner pipe 906, and the anti-rotation pin 913 prevents the handle 707 and the inner pipe 906 from rotating. At the same time, the inner pipe 906 is prevented from falling out of the outer pipe 907.

도21b는 핸들(707)과 내부 파이프(906)를 고정하는 부분의 단면도 C-C이다.FIG. 21B is a cross sectional view C-C of the portion that secures the handle 707 and the inner pipe 906. FIG.

핸들(707)은 핸들L(2101)과 핸들R(2102)로 2분할하고 내부 파이프(906)에 구비한 핸들 고정용 관통 구멍(2103)에 의해 내부 파이프(906)와 일체로 나사(2104)로 고정되어 있다.The handle 707 is divided into a handle L 2101 and a handle R 2102, and is integrally screwed with the inner pipe 906 by a handle fixing through hole 2103 provided in the inner pipe 906. It is fixed as.

도2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2분할한 핸들L(2101)과 핸들R(2102)에 구비한 둥근 보스(2105a, 2105b)의 길이가 거의 동일하면, 핸들L(2101), 핸들R(2102)과 내부 파이프(906)를 조립할 때 테이프형의 전선(911)을 끼워 넣는 위험성이 있었지만, 도21b와 같이 둥근 보스(2105a보다도 2105b)의 길이를 길게 함으로써 테이프형 전선(911)을 끼워 넣는 위험성을 감소시키고 있다.As shown in Fig. 21A, if the length of the rounded bosses 2105a and 2105b provided in the handle L 2101 and the handle R 2102 divided into two is substantially the same, the handle L 2101 and the handle R 2102 are the same. While assembling the inner pipe 906, there was a risk of fitting the tape-shaped wire 911, but the risk of sandwiching the tape-shaped wire 911 by reducing the length of the round boss 2105a rather than 2105a as shown in Fig. 21B. I'm making it.

그리고, 도21c와 같이 2분할한 핸들(707)의 한쪽에만 둥근 보스(2105a)를 구비하고 핸들L(2101), 핸들R(2102)과 내부 파이프(906)의 고정을 행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shown in Fig. 21C,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even if the bosses 2105a are provided on only one side of the handle 707 divided into two, and the handle L 2101, the handle R 2102 and the inner pipe 906 are fixed. Can be.

이상 서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 송풍기(901)의 흡입력을 조정 가능한 제어 스위치(706)를 구비한 상하로 신축하는 핸들(707)의 높이를 최소 축소시에는 700 ㎜ 이하로, 최대 신장시에는 1000 ㎜ 이상으로 신축 가능하며, 벽장을 수납 장소로 한 경우, 대부분의 가정에 있는 벽장 하단의 높이는 약 700 ㎜ 이상이므로 핸들의 로크를 클램프에 의해 제거하고 핸들을 최하부까지 낮추는 것만으로 대부분의 가정에 있는 벽장에 수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청소기를 사용하는 경우, 청소기의 최상부인 핸들의 높이는 청소자가 직립한 상태에서 약 800 ㎜ 필요하며 청소기 본체를 전후 조작을 행할 때 흡입구로부터 핸들까지의 높이는 청소기를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약 1000 ㎜ 필요해지지만 본 발명의 청소기는 핸들을 최상부까지 신장한 것만으로 통상의 청소가 가능하므로 수납 상태에서 사용 상태로의 조작성이 매우 우수하다. 따라서 핸들 높이가 복수 단층에서 확실히 고정 가능한 조작성과 수납성이 우수한 전기 청소기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22, the height of the handle 707 which expands and contracts up and down with the control switch 706 which can adjust the suction force of the electric blower 901 is reduced to the minimum. It can be stretched to less than 700 mm at the time of expansion and to more than 1000 mm at the maximum extension. When the closet is used as a storage area, the height of the lower part of the closet in most homes is about 700 mm or more. Simply lowering the handle to the bottom makes it possible to store it in the closet in most homes. In the case of using a vacuum cleaner, the height of the handle, which is the uppermost part of the vacuum cleaner, is about 800 mm in a state where the cleaner is upright. Although necessary, the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excellent in operability from a stored state to a used state because normal cleaning is possible only by extending the handle to the top. Therefore, an electric vacuum cleaner excellent in operability and storage property which can be fixed securely in a plurality of faults can be obtained.

Claims (8)

전동 송풍기 및 집진부를 내장하는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접속된 흡입구 부재를 갖는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In the vacuum cleaner having a vacuum cleaner body having a built-in electric blower and a dust collector, and a suction port member connected to the vacuum cleaner body, 상기 흡입구 부재는 하면에 흡입구를 갖는 흡입구 본체와, 상기 흡입구 본체의 흡입구에 배치된 회전 청소 부재와, 상기 흡입구 본체의 상부를 덮는 상부 케이스와, 상기 회전 청소 부재를 구동하기 위한 적어도 한개의 터빈과, 상기 흡입구 본체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 본체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흡입 통로를 갖는 흡입구 커플링과, 상기 상부 케이스에 상기 터빈을 회전시키기 위한 공기를 유입하는 흡기구를 갖고,The inlet member includes an inlet body having an inlet on a lower surface thereof, a rotary cleaning member disposed at an inlet of the inlet body, an upper case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inlet body, at least one turbine for driving the rotary cleaning member; A suction inlet coupling having a suction passage disposed downstream of the suction inlet body and rotatably disposed in an up-dow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ction inlet body, and an inlet for introducing air for rotating the turbine into the upper case; 상기 청소기 본체를 상기 흡입구 부재의 상방에 위치시킨 때, 상기 흡기구의 적어도 일부를 폐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And at least a part of the inlet port is closed when the cleaner body is positioned above the inlet member. 전동 송풍기 및 집진부를 내장하는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접속된 흡입구 부재를 갖는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In the vacuum cleaner having a vacuum cleaner body having a built-in electric blower and a dust collector, and a suction port member connected to the vacuum cleaner body, 상기 흡입구 부재는 하면에 흡입구를 갖는 하부 케이스에 상부 케이스를 씌워서 형성한 흡입구 본체와, 상기 흡입구 본체의 흡입구에 배치된 회전 청소 부재와, 상기 흡입구의 상부를 씌우는 흡입구 커버와, 상기 회전 청소 부재의 회전축과 동일축 상에서 상기 회전 청소 부재의 외측에 위치하고, 또 상기 회전 청소 부재를 구동하기 위한 적어도 한개의 터빈과, 상기 흡입구 본체의 하류측에 배치된 흡입 통로를 갖는 흡입구 커플링을 갖고,The inlet member includes an inlet body formed by covering an upper case on a lower case having an inlet on a lower surface thereof, a rotary cleaning member disposed on an inlet of the inlet body, an inlet cover that covers an upper portion of the inlet port, and a rotary cleaning member. A suction inlet coupling having an at least one turbine located on the same axis as the rotational shaft outside of the rotary cleaning member and for driving the rotary cleaning member, and having a suction passage disposed downstream of the suction inlet body, 상기 흡입구 커버의 상기 청소기 본체측의 일부는 상기 청소기 본체를 상기 흡입구 부재의 상방에 위치시킨 때, 상기 청소기 본체의 외주를 따라서 만곡한 만곡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A part of the cleaner main body side of the suction port cover has a curved portion that is curv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leaner main body when the cleaner main body is positioned above the suction port member. 전동 송풍기 및 집진실을 내장하는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 하부에 집진실과 연통하는 흡입구 부재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An electric vacuum cleaner comprising a vacuum cleaner body including an electric blower and a dust collecting chamber, and a suction port member communicating with the dust collecting chamber below the vacuum cleaner body, 상기 청소기 본체에 상기 전동 송풍기와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코드를 삽입하는 전원 코드 삽입부를 배치하고, 상기 전원 코드를 L자형 형상으로 하는 동시에 상기 청소기 본체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And a power cord insertion section for inserting a power cord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 blower to supply electric power to the cleaner body, and the power cord has an L shape and is detachably arranged from the cleaner body. Electric clean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코드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상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The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power cord is arranged to extend upward of the cleaner bod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코드 삽입부의 하방을 돌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The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a lower portion of the power cord insertion portion is protruded. 전동 송풍기 및 집진실을 내장한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의 하방에 상기 집진실과 연통하는 흡입구 부재를 갖는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A vacuum cleaner having a vacuum cleaner body having an electric blower and a dust collecting chamber therein and a suction port member communicating with the dust collecting chamber below the vacuum cleaner body, 상기 청소기 본체에 배치된 외부 파이프와, 상기 외부 파이프에 삽입되어 미끄럼 이동하는 내부 파이프를 갖고,An outer pipe disposed in the cleaner body and an inner pipe inserted into the outer pipe and sliding; 상기 외부 파이프에는 상기 내부 파이프의 위치를 고정하는 동시에 소직경부를 갖는 고정 핀과, 상기 고정 핀을 가동하기 위한 클램프를 갖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고정 핀을 수직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The outer pipe has a fixing pin having a small diameter at the same time to fix the position of the inner pipe, and a clamp for operating the fixing pin, the clamp is to operate the fixing pin in the vertical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ic cleaner . 전동 송풍기 및 집진실을 내장한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의 하방에 상기 집진실과 연통하는 흡입구 부재를 갖는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A vacuum cleaner having a vacuum cleaner body having an electric blower and a dust collecting chamber therein and a suction port member communicating with the dust collecting chamber below the vacuum cleaner body, 상기 청소기 본체에 배치된 외부 파이프와, 상기 외부 파이프에 삽입되어 미끄럼 이동하는 내부 파이프를 갖고,An outer pipe disposed in the cleaner body and an inner pipe inserted into the outer pipe and sliding; 상기 외부 파이프에는 상기 내부 파이프의 위치를 고정하는 동시에 소직경부를 갖는 고정 핀과, 상기 고정 핀을 가동하기 위한 클램프를 갖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고정 핀의 소직경부를 끼워넣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The outer pipe has a fixing pin having a small diameter portion while fixing the position of the inner pipe, and a clamp for moving the fixing pin, wherein the clamp is arranged to fit the small diameter portion of the fixing pin. clean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파이프 내에 테이프형 전선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8. The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a tape-type electric wire is disposed in the inner pipe.
KR1019980001872A 1997-01-23 1998-01-22 Vacuum cleaner KR10030069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6497A JPH10201675A (en) 1997-01-23 1997-01-23 Vacuum cleaner
JP996597A JPH10201682A (en) 1997-01-23 1997-01-23 Vacuum cleaner
JP97-9965 1997-01-23
JP97-9964 1997-01-23
JP996397A JPH10201674A (en) 1997-01-23 1997-01-23 Vacuum cleaner
JP97-9963 1997-01-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0703A true KR19980070703A (en) 1998-10-26
KR100300699B1 KR100300699B1 (en) 2001-10-27

Family

ID=27278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1872A KR100300699B1 (en) 1997-01-23 1998-01-22 Vacuum cleane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300699B1 (en)
CN (1) CN1107480C (en)
TW (1) TW339273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82191B2 (en) * 2003-06-13 2007-02-14 ツインバード工業株式会社 Electric vacuum cleaner
CN2822495Y (en) * 2005-10-14 2006-10-04 苏志平 Floor brush of duster
JP6435204B2 (en) * 2015-01-28 2018-12-05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Electric vacuum cleaner
CN105476543A (en) * 2015-12-27 2016-04-13 天津达瑞福科技有限公司 Energy-saving intelligent road sweeper
JP6604881B2 (en) * 2016-03-24 2019-11-13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Vacuum cleaner
CN108493662B (en) * 2018-04-27 2024-03-19 苏州市春菊电器有限公司 Firm charging terminal seat and dust catcher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093A (en) * 1994-06-27 1996-01-19 Sony Corp Body feeling simulator system
DE69529176T2 (en) * 1995-03-15 2003-08-21 Hitachi Ltd SUCTION MOUTH PIECE FOR A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7480C (en) 2003-05-07
CN1194128A (en) 1998-09-30
TW339273B (en) 1998-09-01
KR100300699B1 (en) 200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81241C (en) Wet/dry vacuum with reduced operating noise
EP0289987B1 (en) Vacuum cleaner
JPH10201682A (en) Vacuum cleaner
CN107374505A (en) Dirt box and clean robot
KR100300699B1 (en) Vacuum cleaner
JPH11206629A (en) Upright type electric vacuum cleaner
KR100208134B1 (en) Suction device of vacuum cleaner
CN2354491Y (en) Multifunctional dust vacuum cleaner
CN208566867U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CN208573565U (en) Dustbin type dust catcher
JPH0856873A (en) Vacuum cleaner
KR100404453B1 (en) Electric cleaner
JP3300607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JPH01268526A (en) Suction port for rotary brush of vacuum cleaner
JP2000300483A (en) Vacuum cleaner
CN218495252U (en) Multi-functional bladeless fan that multi-scene used
CN207763091U (en) Cabinet air-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JP2001025450A (en) Suction port body for vacuum cleaner
JP2001292941A (en) Vacuum cleaner and floor brush
KR101065685B1 (en) suction nozzle for vacuum cleaner
JP2910760B2 (en) Vacuum cleaner and its suction body
JPH1142181A (en) Vacuum cleaner
JP3669554B2 (e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JP3858213B2 (en) Vacuum cleaner suction tool
JPH09253009A (en) Vacuum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