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9606A -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호 전환방법 - Google Patents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호 전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9606A
KR19980069606A KR1019970006730A KR19970006730A KR19980069606A KR 19980069606 A KR19980069606 A KR 19980069606A KR 1019970006730 A KR1019970006730 A KR 1019970006730A KR 19970006730 A KR19970006730 A KR 19970006730A KR 19980069606 A KR19980069606 A KR 19980069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criber
service
transfer service
time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6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영호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70006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9606A/ko
Publication of KR19980069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9606A/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착신 호 전환서비스(Call Transfer:CTX)의 개시시점 및 해제시점이 가입자가 원하는 시각에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호 전환방법에 관한 것으로, 각각 다수의 가입자와 결합되는 다수의 기지국을 인공위성을 통해 결합하여 착신 호 전환기능을 제공하는 위성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임의의 발신가입자로부터의 통화요구신호가 수신되게 되면 착신가입자가 호전환서비스가입자인 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착신가입자가 호전환서비스가입자이게 되면 이 호전환서비스가입자에 대한 호전환서비스 설정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호전환서비스가입자가 호전환서비스를 설정한 상태이게 되면 호전환서비스 개시시각 및 해제시각과 현재시각을 비교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시각이 서비스개시시각 및 해제시각의 중간에 존재하는 시각이게 되면 대상서비스가입자측으로 통화요구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호 전환방법
본 발명은 인공위성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 착신 호 전환서비스(Call Transfer:CTX)의 개시시점 및 해제시점이 가입자가 원하는 시각에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호 전환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원격지에 위치하는 가입자가 인공위성을 통하여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위성통신이 점차 일반화되고 있는 바, 이와 같은 위성통신은 통화를 위해 별도의 신호선이 필요로 되지 않기 때문에 주로 국가간의 장거리 통신이나, 또는 우리나라와 같이 산악이 많은 나라의 통신방법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위성통신에 있어서는 그 채널할당방식에 따라 일정시간 전에 가입자별로 각각의 통신채널을 예약할당하는 PAMA(Pre-Assignment Multiple Access) 방식과 가입자의 요구에 따라 통신채널을 할당하는 DAMA(Demand Assignment Multiple Access) 방식으로 구분되는데, 일반적으로 통신채널의 가격과 그 효용성을 고려하여 음성통신은 DAMA 방식을, 데이터통신은 PAMA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위성통신 시스템의 전반적인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서 참조번호 1은 다수의 통신용 채널을 구비한 인공위성이고, 2는 전체 위성통신 시스템을 제어하는 중앙제어국, 3(3A, 3B)은 공중교환망(11A, 11B)이나 전화기(12A, 12B), 컴퓨터등의 데이터 단말기(13A, 13B) 및 팩시밀리(14A, 14B) 등의 단말기에 대한 인터페이스 기능을 갖춤과 더불어, 상기 중앙제어국(2)과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상기한 각종 단말기간의 통화기능을 제공하는 기지국이다.
또한, 도 1에서 참조부호 S는 제어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서비스 채널(Service Channel)을 나타내고, T는 데이터나 음성을 송수신하기 위한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을 나타낸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중앙제어국(2)은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서비스 채널(S)을 통해서 제어 메세지를 송출한 후 해당 기지국(3)으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응답 메세지를 근거로 각 기지국(3)의 상태, 즉 통신가능 용량이나 통신채널의 이용상태를 점검하는 폴링(Polling)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특정한 기지국 예컨대 기지국(3A)으로부터 기지국(3B) 관할의 단말기에 대해 통화요구(Calling)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폴링과정에서 얻어진 정보를 근거로 해당 기지국(3B)이 통신이 가능한 상태인 지를 판단하고, 통신가능 상태인 경우에는 인공위성의 이용가능한 트래픽 채널(T)을 양 기지국(3A, 3B)에 할당함으로써 양 기지국(3A, 3B)이 직접적으로 상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어, 중앙제어국(2)은 상기한 양 기지국(3A, 3B)간에 통신이 종료되어 통신 요구가 있었던 기지국(3A)으로부터 서비스 채널(S)을 통해 통신종료 신호가 인가되게 되면 양 기지국에 대해 통신종료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양 기지국(3A, 3B)에 대해 제공되었던 트래픽 채널(T)을 해제하게 된다.
한편, 중앙제어국(2)은 자동 착신 호 전환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는 바, 이는 자동 착신호 전환서비스에 등록된 가입자(이하, 호전환서비스가입자라 한다)에 대한 통화요구신호가 발생되게 되면 호전환서비스가입자에 의해 설정된 예컨대, 착신호가 전환될 착신가입자(이하, 대상서비스가입자라 한다)에 대한 전화번호를 근거로 해당 기지국(3)으로 이용가능한 통신채널 및 통신모뎀을 할당함으로써 착신 호 전환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임의의 가입자가 자동 착신호 전환서비스기능을 제공받기 위해서는 호전환서비스 등록 및 설정과정을 수행하여야 된다. 즉, 상기 가입자가 호전환서비스가입을 시스템운용자에게 신청하게 되면, 시스템운용자는 예컨대, 해당 가입자의 전화번호, 서비스종류(즉, 자동 착신호 전환서비스) 등을 소정의 운용대를 통해 입력하게 됨으로써 호전환서비스가입자 등록과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호전환서비스가입자가 호전환서비스기능을 제공받기 위한 일련의 절차를 개략하면 다음과 같다. 즉, 호전환서비스가입자가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호전환서비스에 대한 고유코드(예를 들어, *88), 대상서비스가입자의 전화번호, 기능설정 동작에 대한 종료코드(*) 등을 입력하게 되면, 해당 기지국(3)은 이를 중앙제어국(2)으로 송출하게 된다. 그러면, 중앙제어국(2)은 수신되는 일련의 데이터로부터 대상서비스가입자의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이를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하여 둠으로써 이후 호전환서비스가입자에 대한 호요구신호가 발생되게 되면 호전환서비스가입자측으로 통화요구신호를 발생시키지 않고 대상서비스가입자측으로 호요구신호를 송출함으로써 호전환서비스가입자에게 호전환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현재 제공되는 자동 착신호 전환서비스기능은 호전환서비스가입자가 대상서비스가입자측의 전화번호를 입력함과 동시에 그 서비스기능이 제공되기 때문에 예컨대, 그 서비스기능이 설정되는 것과 동시에 호전환서비스가입자에 대한 호요구신호가 발생되게 되는 때에 호전환서비스가입자는 그때의 호요구신호에 대한 적절한 응답을 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게 되는 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자동 착신 호 전환서비스의 개시시점을 호전환서비스가입자가 지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정된 서비스 개시시각부터 호전환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착신 호 전환방법이 앞서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호전환서비스가입자에 의해 지정되는 서비스개시시각부터 호전환서비스가 제공되는 착신 호 전환방법은 호전환서비스가입자와 대상서비스가입자간의 시간적인 한계를 극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지만 예컨대, 호전환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서비스가입자가 호전환서비스의 서비스개시시각 및 해제시각을 매일 지정하여 호전환서비스의 개시 및 해제를 수동적으로 선택해야 되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자동 착신 호 전환서비스(CTX)가 호전환서비스가입자에 의해 지정되는 서비스 개시시각 및 해제시각을 근거로 자동으로 반복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호 전환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위성통신 시스템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전반적인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호 전환방법을 하드웨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
도 3은 도 2에서의 네트워크제어부(3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호 전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 인공위성2 : 중앙제어국
3A, 3B : 기지국11A, 11B : 공중교환망
12A, 12B : 전화기13A, 13B : 데이터터미날
14A, 14B : 팩시밀리21 : 안테나
22 : RF 처리부23 : IF 조합분배부
24 : SCPC 채널유니트(SCU)30 : 네트워크제어부
50 : 망관리장치31 : 프로세서
32 : 서비스채널콘트롤러(SCC)33 : 듀얼포트 램(DP-RAM)
34 : 프로그램저장부35 : 기지국정보저장부
38 : 서비스등록정보저장부39 : 대상서비스가입자정보저장부
40 : 서비스설정상태정보저장부41 : 서비스개시시각정보저장부
42 : 서비스해제시각정보저장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호 전환방법은 각각 다수의 가입자와 결합되는 다수의 기지국을 인공위성을 통해 결합하여 착신 호 전환기능을 제공하는 위성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임의의 발신가입자로부터의 통화요구신호가 수신되게 되면 착신가입자가 호전환서비스가입자인 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착신가입자가 호전환서비스가입자이게 되면 이 호전환서비스가입자에 대한 호전환서비스 설정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호전환서비스가입자가 호전환서비스를 설정한 상태이게 되면 호전환서비스 개시시각 및 해제시각과 현재시각을 비교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시각이 서비스개시시각 및 해제시각의 중간에 존재하는 시각이게 되면 대상서비스가입자측으로 통화요구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한 바에 의하면, 자동 착신 호 전환서비스가 호전환서비스가입자에 의해 지정된 서비스개시시각 및 해제시각을 근거로 호전환서비스의 개시 및 해제가 반복하여 이루어짐으로써 호전환서비스가입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호 전환방법을 하드웨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도면에서 참조번호 21은 인공위성(1)과 상향링크(Up link) 신호와 하향링크(Down Link)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이고, 22는 주파수의 편파 성질을 이용하여 상기 안테나(21)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분리하여 입출력하는 직교모드변환기(Orthogonal Mode Transducer)와, 이 직교모드변환기를 통해 입력된 예컨대, 12.25∼12.75G㎐의 하향링크 주파수신호를 저잡음증폭하는 저잡음증폭기(Low Noise Amplifier), 이 저잡음증폭기를 통해 인가된 주파수신호를 예컨대, 70M㎐의 중간주파수신호(IF)로 변환하는 주파수하향변환기(Down Converter), 이후에 설명할 IF조합/분배부(23)로부터 인가되는 70M㎐의 IF 신호를 예컨대 14.0∼14.5G㎐의 극초단파로 변환하여 상향링크 주파수신호를 생성하는 주파수상향변환기(Up Converter) 및, 이 주파수상향변환기로부터 출력되는 상향링크 주파수신호를 증폭하는 고출력증폭기(High Power Amplifier)를 포함하여 구성된 RF 처리부이다.
또한, 참조번호 23은 상기 RF 처리부(22)로부터 인가되는 중간주파수신호를 다수의 중간주파수신호로 분리하여 출력함과 더불어, 이후에 설명할 SCPC(Single Channel Per Carrier) 채널유니트(24)로부터 인가되는 중간주파수신호를 조합하여 출력하는 IF 조합분배부(Combiner/Distributer)이고, 24는 이 IF 조합분배부(23)로부터 인가되는 중간주파수 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하여 출력하고, 이후에 설명할 네트워크 제어부(30)로부터 출력되는 메세지를 인코딩 및 변조하여 출력하는 SCPC 채널유니트이다.
여기서, 상기 IF 조합분배부(23)는 다수의 SCPC 채널유니트(24)를 사용하는 경우의 시스템 확장성을 위해 채용된 것이다.
그리고, 참조번호 30은 제어메세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소정의 SCPC 채널유니트(24)을 통해 각 기지국(3)으로 제어메세지를 송출한 후 해당 기지국(3)으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응답 메세지를 근거로 각 기지국(3)의 상태를 점검하는 폴링기능을 수행하고, 특정한 기지국으로부터 통화요구(Calling)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폴링과정에서 얻어진 정보를 근거로 상대방 기지국이 통신이 가능한 상태인 지를 판단하여 통신가능 상태인 경우에는 인공위성의 이용가능한 트래픽 채널(T)과 모뎀을 양 기지국(3)에 할당함으로써 양 기지국이 직접적으로 상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시스템제어를 수행하는 네트워크제어부이다. 또한, 이 네트워크제어부(30)는 호전환서비스가입자에 대하여 통화요구신호가 발생되게 되면, 대상서비스가입자측으로 통화요구신호를 전환하여 발생시킴으로써 자동 착신 호 전환서비스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참조번호 50은 시스템관리자가 상기 네트워크제어부(30)를 관리하여 위성통신 시스템의 전반적인 네트워크를 관리하기 망관리장치이다.
그리고, 참조부호 MPH(Main PCM Highway)는 음성신호나 데이터신호 등의 정보데이터가 송수신되는 데이터버스이고, UPH(Utility PCM Highway)는 네트워크제어부(30)와 각 장치간에 제어데이터가 송수신되는 제어버스이다.
한편, 도 3은 상술한 네트워크제어부(3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로, 도면에서 참조번호 31은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로서, 특히 이 프로세서(31)는 주기적으로 모든 기지국(3)에 대하여 폴링동작을 수행함과 더불어 자동 착신호 전환서비스에 대한 일련의 제어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고, 32는 상기 SCPC 채널유니트(24)에서 인가되는 메세지로부터 패킷 정보를 추출하여 S-ALOHA 패킷을 생성함과 더불어, 상기 SCPC 채널유니트(24)에 대해 TDM 스트림의 메세지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서비스채널 콘트롤러(Service Channel Controller)이다.
또한, 참조번호 33은 듀얼 포트 RAM으로서, 이는 상기 프로세서(31)와 서비스채널 콘트롤러(32)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제공된다.
또한, 참조번호 34는 상기 프로세서(31)의 동작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프로그램 저장부이고, 35는 상기 프로세서(31)의 폴링동작에 의해 얻어진 각 기지국의 상태정보, 현재 인공위성에 의해 허용되는 통신채널의 이용상태, 그리고 기지국(3)의 모뎀 사용상태 등의 정보가 저장되는 기지국정보저장부이다.
그리고, 참조번호 38은 호전환서비스에 가입된 가입자에 대한 소정의 가입자정보가 저장되는 서비스등록정보저장부이고, 39는 호전환서비스가입자에 의해 지정되는 대상서비스가입자에 대한 가입자정보가 저장되는 대상서비스가입자정보저장부, 40은 호전환서비스가입자로부터 입력되는 자동 착신호 전환서비스의 설정상태에 대한 소정의 플래그데이터가 저장되는 서비스설정상태정보저장부로서, 상기 프로세서(31)는 이는 호전환서비스가입자에 의해 대상서비스가입자의 전화번호가 지정되게 되면 예컨대, 1로, 호전환서비스가입자에 의해 대상서비스가입자의 전화번호가 지정되지 않은 상태이거나 착신호 전환서비스를 해제하게 되면 예컨대, 0으로 서비스설정상태정보저장부(40)의 저장데이터를 기록함으로써 호전환서비스의 설정상태를 보유하게 된다. 그리고, 참조번호 41은 호전환서비스가입자로부터 지정되는 호전환서비스 개시시각이 저장되는 서비스개시시각정보저장부이고, 42는 호전환서비스가입자로부터 지정되는 호전환서비스 해제시각이 저장되는 서비스해제시각정보저장부이다.
즉,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은, 임의의 발신가입자로부터의 통화요구신호가 수신되게 되면 우선, 해당 착신가입자가 호전환서비스가입자인 지를 판단하게 되고, 이어 호전환서비스가입자이게 되면 이 호전환서비스가입자에 대한 호전환서비스 설정상태를 판단하게 되며, 이어 상기 호전환서비스가입자가 호전환서비스를 설정한 상태이게 되면 호전환서비스 개시시각 및 해제시각과 현재 시각을 비교판단하여, 현재 시각이 서비스개시시각 및 해제시각의 사이에 존재하는 시각이게 되면 호전환서비스가입자에 의해 지정된 대상서비스가입자측으로 통화요구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호전환서비스를 수행하게 된다.
이어, 도 4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호전환서비스가입자가 호전환서비스를 현재 제공받기 위해서는 임의의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대상서비스가입자로써 지정입력함과 더불어 서비스개시시각 및 해제시각을 입력하여야 되는 바, 호전환서비스가입자에 의해 대상서비스가입자의 전화번호, 서비스개시시각 및 해제시각이 입력되게 되면 이를 해당 기지국(3)은 중앙제어국(2)으로 송출하게 된다. 그러면, 중앙제어국(2)은 대상서비스가입자의 전화번호를 상기 대상서비스가입자정보저장부(39)에 저장함과 더불어 서비스설정상태정보저장부(40)의 해당 영역의 데이터를 해당 호전환서비스 설정데이터로써 셋팅하게 되고, 수신되는 서비스개시시각 및 해제시각을 상기 서비스개시시각정보저장부(41) 및 서비스해제시각정보저장부(42)에 각각 저장하게 된다.
이후, 임의의 가입자로부터 호요구신호와 더불어 착신가입자번호가 입력되게 되면, 해당의 기지국(3)은 착신가입자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번호번역요구신호를 중앙제어국(2)으로 송출하게 된다.
이어, 중앙제어국(2)의 프로세서(31)는 임의의 기지국(3)으로부터 번호번역요구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착신가입자번호에 대한 번호번역을 수행하게 되는 바(ST1, ST2 단계), 이후 프로세서(31)는 번호번역된 착신가입자번호를 근거로 상기 서비스등록정보저장부(38)의 저장데이터를 검색하여 착신가입자가 호전환서비스에 등록이 되어 있는 지를 검색하게 된다(ST3, ST4 단계).
이때, 착신가입자가 호전환서비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게 되면, 프로세서(31)는 일반적인 착신호 처리를 수행 제어하게 된다(ST5 단계). 즉, 프로세서(31)는 상기 기지국정보저장부(35)에 저장된 데이터를 근거로 발신가입자 및 착신가입자를 각각 관할하는 해당 기지국(3)으로 이용가능한 통신채널 및 통신모뎀을 할당하여 양 기지국(3)간에 직접적으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ST4 단계에서 착신가입자가 호전환서비스에 등록되어 있게 되면, 프로세서(31)는 상기 서비스설정정보저장부(40)의 데이터를 검색하여 상기 착신가입자가 현재 호전환서비스를 설정하였는 지(대상서비스가입자의 전화번호를 지정 입력하였는 지)를 검색하게 된다(ST6, ST7 단계).
이때, 상기 호전환서비스가입자가 현재 호전환서비스를 설정하지 않은 상태이게 되면 상기 ST5 단계로 이행하여 일반적인 착신호 처리를 수행 제어하게 되지만, 상기 호전환서비스가입자가 현재 호전환서비스를 설정한 상태이게 되면, 프로세서(31)는 상기 서비스개시시각정보저장부(41) 및 서비스해제시각정보저장부(42)를 검색하여 상기 호전환서비스가입자와 대응되는 호전환서비스 개시시각정보 및 해제시각정보를 독출한 후(ST8 단계), 이 양 시각정보와 현재 시각정보를 비교 판단하게 된다(ST9 단계).
이때, 상기 ST9 단계에서 현재 시각정보가 상기 독출된 서비스개시시각정보 및 서비스해제시각정보와 사이에 존재하는 시각정보가 아니게 되면(예를 들어 현재시각이 서비스개시시각보다 이전시각이거나 서비스해제시각보다 이후의 시각인 경우), 프로세서(31)는 상기 ST5 단계로 이행하여 일반적인 착신호 처리를 수행 제어하게 된다. 그런데, 현재 시각정보가 서비스개시시각정보 및 서비스해제시각정보와 사이에 존재하는 시각정보이게 되면, 상기 대상서비스가입자정보저장부(39)의 데이터를 검색하여 상기 호전환서비스가입자에 대응되는 대상서비스가입자의 전화번호를 독출하게 된다(ST10 단계).
그리고, 프로세서(31)는 상기 ST10 단계에서 취득한 착신전화번호를 근거로 관할 기지국(3)을 파악한 다음 해당 기지국(3)으로 이용가능한 통신채널 및 통신모뎀을 할당함으로써 대상서비스가입자에게 착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착신 호 전환서비스를 수행 제어하게 된다(ST11 단계).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자동 착신 호 전환서비스가 호전환서비스가입자에 의해 지정된 서비스개시시각 및 해제시각을 근거로 호전환서비스의 개시 및 해제가 반복하여 이루어짐으로써 호전환서비스가입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 착신 호 전환서비스(CTX)가 호전환서비스가입자에 의해 지정되는 서비스 개시시각 및 해제시각을 근거로 자동으로 반복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호전환서비스가입자가 매일 서비스 개시 및 해제를 설정할 필요가 없도록 된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호 전환방법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각각 다수의 가입자와 결합되는 다수의 기지국을 인공위성을 통해 결합하여 착신 호 전환기능을 제공하는 위성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임의의 발신가입자로부터의 통화요구신호가 수신되게 되면 착신가입자가 호전환서비스가입자인 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착신가입자가 호전환서비스가입자이게 되면 이 호전환서비스가입자에 대한 호전환서비스 설정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호전환서비스가입자가 호전환서비스를 설정한 상태이게 되면 호전환서비스 개시시각 및 해제시각과 현재시각을 비교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시각이 서비스개시시각 및 해제시각의 중간에 존재하는 시각이게 되면 대상서비스가입자측으로 통화요구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호 전환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전환서비스 개시시각 및 해제시각과 현재시각을 비교판단한 후, 현재시각이 서비스개시시각 및 해제시각의 중간에 존재하는 시각이 아니게 되면 호전환서비스가입자측으로 통화요구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호 전환방법.
KR1019970006730A 1997-02-28 1997-02-28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호 전환방법 KR199800696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6730A KR19980069606A (ko) 1997-02-28 1997-02-28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호 전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6730A KR19980069606A (ko) 1997-02-28 1997-02-28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호 전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9606A true KR19980069606A (ko) 1998-10-26

Family

ID=65985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6730A KR19980069606A (ko) 1997-02-28 1997-02-28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호 전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960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7237B1 (ko) * 1997-11-20 2005-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고투과페이징모드의위성통신단말기를위한호전환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7237B1 (ko) * 1997-11-20 2005-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고투과페이징모드의위성통신단말기를위한호전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69606A (ko)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호 전환방법
KR19980069605A (ko)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호 전환방법
KR19980076220A (ko)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호 전환서비스 설정 및 해제방법
KR100250617B1 (ko)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지정시각 서비스 방법
KR100224562B1 (ko)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호 제한 장치 및 그 방법
KR100245159B1 (ko)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자기번호 호출방법
KR200170332Y1 (ko)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가입자상태 보정장치
KR100221019B1 (ko)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지정경로 통화방법
KR100226603B1 (ko)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불량이용자 통신거부방법
KR100264044B1 (ko) 위성통신시스템에서 일반전화망 호설정방법
KR100262304B1 (ko)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예약패킷 예약방법
KR100215718B1 (ko)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서브밴드 시그널링을 이용한 호설정 및 해제 방법
KR100240054B1 (ko)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번호정보 수신방법
KR100222265B1 (ko)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과금정보에 근거한 과부하 제어방법
KR100240056B1 (ko)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중대역 모뎀을 이용한 호 처리 방법
KR100240053B1 (ko)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번호정보 전송방법
KR100258686B1 (ko) 위성통신시스템에서 신속한 인터날 호설정방법
KR100258689B1 (ko) 위성통신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억세스방법
KR19990039717A (ko)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가입자번호 삭제방법 및 그 장치
KR19980038105A (ko)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분석데이터 저장 및 출력장치
KR19980052714A (ko)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과금정보 유실방지 방법
KR19980030381A (ko)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통신모뎀 상태 관리방법
KR19980037801A (ko)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비밀번호를 이용한 선택호 수용방법
KR19980036824A (ko)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지정번호 감청방법 및 그 장치
KR19990039718A (ko)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가입자보드 삭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