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7596U - 조립식 평상 - Google Patents

조립식 평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7596U
KR19980067596U KR2019970012180U KR19970012180U KR19980067596U KR 19980067596 U KR19980067596 U KR 19980067596U KR 2019970012180 U KR2019970012180 U KR 2019970012180U KR 19970012180 U KR19970012180 U KR 19970012180U KR 19980067596 U KR19980067596 U KR 1998006759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upling
support
flat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21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53130Y1 (ko
Inventor
조복운
Original Assignee
조복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복운 filed Critical 조복운
Priority to KR20199700121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3130Y1/ko
Publication of KR199800675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75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31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31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5/00Furniture convertible into other kinds of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6Fl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평상에 관한 것으로서, 평상의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과 이러한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는 받침다리 및 상측에 설치되는 재치판을 상호 조립하여 구성되는 조립식 평상에 있어서, 각 프레임의 결합이 수평적으로 결합되도록 몸체의 일측면 외측으로는 돌출된 돌출부(12)(22), 몸체의 타측면에는 내측으로 요입형성된 요홈부(13)(23)가 형성되며 몸체의 양단면에는 외부로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14)(24) 및 결합공(25)이 구비된 연결프레임(10)과 지지프레임(20)을 상호 조립하고 받침다리와 재치판(30), 그리고 차양막을 조립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각 프레임이 수평적으로 조립되므로 하중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되고 지형에 관계없이 견고한 설치상태를 이루게 된다.

Description

조립식 평상
본 고안은 조립식 평상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평상의 골격을 이루는 각 프레임이 상호 수평적으로 결합되도록 형성하여 설치후 그 고정상태가 견고하며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한 조립식 평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상(平牀)은 밖에다 내어 앉거나 드러누워서 쉴 수 있도록 만든 침상의 일종으로서, 보통은 목재를 이용하여 제작되며 종래에는 다수개의 각목을 이용하여 골격을 형성하고 이러한 골격에 판자 등을 부착하여 제작하였다.
이러한 종래 일반적인 평상은 그 부피와 무게 등으로 인하여 원거리 이동이 곤란하므로 이에 대하여 본 출원인은 선 출원(조립식 평상 ; 1995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19379호)에서 평상의 외측 골격을 이루는 지지프레임 및 연결프레임이 상호 상하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각각 모양을 형성하여 조립하고 여기에 평상의 상면을 이루는 삽입판을 상부에서 끼워 설치하는 조립식 평상을 제공한 바 있다.
상기 조립식 평상은 여러개를 연결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하며 야외로 나갈 때 차량 등에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그 이용도가 높고 편리하고, 설치되는 지면으로부터 소정높이를 갖게 되므로 숲 등 야외에서 해충이나 뱀 등으로부터 안전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선 출원 조립식 평상은 조립식으로 되어 있어서 원거리 이동이 가능하며 다수개의 평상을 서로 연결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각 프레임의 상호 조립이 상하 결합식이어서 설치되는 지형 조건이 고르지 못할 때 각 프레임 결합상태가 해제되어 상하방향 서로 이탈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선 출원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개량고안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평상의 골격을 이루도록 조립된 프레임의 상호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며 설치되는 지형이 고르지 못하여도 평상의 조립상태가 견고히 유지되도록 한 조립식 평상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연결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지지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차양막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지지프레임의 상호 직렬 연결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지지프레임 및 연결프레임의 상호간 병렬결합상태를 나타낸 도 1의 A-A선 및 B-B선 공통 단면도,
도 7은 지지프레임과 연결프레임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사용되는 재치판의 저면부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재치판 조립상태를 나타낸 평상의 예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받침다리의 조립 예시도,
도 11은 수직의 폴설치공을 이용하여 차양막을 텐트로 사용한 상태 예시도,
도 12는 경사진 폴설치공공을 이용하여 차양막을 플라이로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결프레임11 ; 장홈
12 ; 돌출부13 ; 요홈부
14 ; 결합돌기20 ; 지지프레임
21 ; 장홈22 ; 돌출부
23 ; 요홈부24 ; 결합돌기
25 ; 결합공26 ; 사각공
28, 29 ; 폴설치공30 ; 재치판
31 ; 걸림부40, 50 ; 받침다리
51 ; 받침판60 ; 폴
70 ; 차양막71 ; 재봉선
72 ; 지퍼
상기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고안은 평상의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과 이러한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는 받침다리 및 상측에 설치되는 재치판을 상호 조립하여 구성되는 조립식 평상에 있어서,
사각기둥 형상의 몸체 각각의 모서리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각형의 장홈(11)이 구비되고 몸체의 일측면 외측으로는 돌출된 돌출부(12) 및 몸체의 타측면에 내측으로 요입형성된 요홈부(13)가 형성되며 몸체의 양단면에는 외부로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14)를 각각 구비한 연결프레임(10);
상기 연결프레임(10)과 같이 사각기둥 형상의 몸체 각각의 모서리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각형의 장홈(21)과 몸체의 일측면 외측으로 돌출부(22) 및 몸체의 타측면에 요홈부(23)가 구비되며, 상기 요홈부(23)의 양측 소정거리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프레임(10)의 결합돌기(14)가 직각방향으로 삽설되도록 하는 사각공(26)과 몸체 상면 양쪽에 각각 형성한 2개의 폴설치공(28)(29), 몸체의 일단면에 외부로 돌출된 결합돌기(24) 및 타단면에 상기 결합돌기(24)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한 결합공(25)으로 구성되어 상기 연결프레임(10)의 직각방향 조립되는 지지프레임(20);
상기 지지프레임(20) 및 연결프레임(10)의 조립후 상호 연결된 각각의 장홈(11)(21)에 재치되도록 외곽부에 걸림부(31)를 갖는 판형으로 된 다수의 재치판(30); 및
상기 지지프레임(20)의 폴설치공(28)(29)에 삽설되는 폴(60)을 이용하여 텐트와 플라이를 겸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각 가장자리에 수용부를 갖는 재봉선(71)이 구비되며 텐트로 사용할 때 전후 방향 입구를 커버할 수 있는 측막(73)을 연결하도록 지퍼(72)가 구비된 차양막(7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평상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조립식 평상의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고안의 프레임은 설치된 방향에 따라 연결프레임(10)과 지지프레임(20)으로 구분되어 진다. 이러한 연결프레임(10)과 지지프레임(20)은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 연결 조립되어 평상의 골격을 이루게 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프레임 중 연결프레임(10)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사시도로서, 상기 연결프레임(10)은 사각기둥 형상으로 된 몸체의 길이방향 각각의 모서리에 각형의 장홈(11)이 구비된다. 그리고 몸체의 일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2)가 구비되며, 이와 반대 방향인 몸체의 타측면에는 상기 돌출부(12)와 반대로 내측으로 요입형성된 요홈부(13)가 형성된다. 또한 몸체의 양단면에는 외부로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14)가 각각 구비된다.
도 3은 상기 연결프레임(10)과 조립되어 평상의 골격을 이루도록 하는 지지프레임(20)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사시도로서, 이러한 지지프레임(20)은 상기 연결프레임(10)과 같이 사각기둥 형상의 몸체 각각의 모서리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각형의 장홈(21)과 몸체의 일측면 외측으로 돌출부(22) 및 몸체의 타측면에 요홈부(23)가 구비된 것은 동일한 형태이다.
그러나 상기 장홈(21)은 연결프레임(10)의 장홈(11)과는 달리 양 끝의 소정부위는 제외하고 형성되는 바, 이는 지지프레임(20)에 상기 연결프레임(10)이 직각방향 조립될 때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요홈부(23)의 양측 소정거리 위치에는 상기 연결프레임(10)의 결합돌기(14)가 직각방향으로 삽설되도록 하는 사각공(26)이 구비되고, 몸체 상면 양쪽에는 각각 형성한 2개의 폴설치공(28)(29)이 형성된다. 또한 몸체의 일단면에는 상기 연결프레임(10)과 같이 외부로 돌출된 결합돌기(24)를 구비하고 있으나 타단면에는 상기 결합돌기(24)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한 결합공(25)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폴설치공(28)(29)은 필요에 따라 설치되는 차양막의 지지대인 폴(Pole)이 삽착되어 고정되도록 형성한 것이며, 이 폴설치공(28)(29) 중 하나(28)는 직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하나(29)는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경사진 폴설치공(29)의 경사각은 약 70°정도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폴설치공(28)(29)에 폴을 삽설함에 따라 텐트와 플라이(Fly ; 덮개)를 겸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차양막(70)이 구비되는 바, 이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가장자리에 끈이나 상기 폴이 끼워지도록 수용부를 이루는 재봉선(71)이 형성되며 텐트로 사용할 때 전후 방향 입구를 커버할 수 있는 별도의 측막을 연결하도록 지퍼(72)가 구비된다. 이때 지퍼(72)가 설치된 차양막(70)의 짧은 변의 길이(Y)는 조립된 평상의 긴 변의 길이(P)와 일치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저면 소정부위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받침다리(40)를 조립하여 끼울 수 있도록 하는 지지캡(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는 바, 이는 본 출원인의 선출원에 예시한 것이므로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연결프레임(10)의 결합돌기(14)(15)와 지지프레임(20)의 결합돌기(24) 및 결합공(25)은 특별히 모양을 한정하지 않으나 보다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다각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고안의 도면에서는 사각형으로 형성한 것을 예시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지지프레임(20)과 연결프레임(10)은 상호 결합시켜 조립하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되는 바, 먼저 지지프레임(20)과 지지프레임(20)의 결합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 연결프레임의 결합돌기(24)를 다른 연결프레임의 결합공(25)에 끼워 조립함으로써 일렬로 배치하게 된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20) 중 중간에 위치된 것은 상호 나란하게 병렬로 결합된 것인데 이는 도 1의 A-A선 및 B-B선 공통 단면도로 나타낸 도 6에 보인 바와 같이 일방 지지프레임(20)의 돌출부(22)를 다른 지지프레임의 요홈부(23)에 서랍을 끼우듯이 끼워 조립한 것이다. 이에 따라 2개의 지지프레임(20)은 몸체가 일체로 된 병렬조립상태를 이룬다.
이같은 지지프레임(20)의 병렬 조립은 연결프레임(10)의 상호 병렬 조립에도 그대로 적용되며 이러한 상태를 나타낸 도 1의 B-B선 단면도는 상기 도 6과 동일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조립되는 지지프레임(20) 상호간의 결합과 함께 양 지지프레임(20) 사이에 연결프레임(10)을 직각 방향 조립하게 되는 바, 이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프레임(10)의 양단부 결합돌기(14)를 지지프레임(20)의 사각공(26)에 각각 끼워 조립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조립과정을 거쳐서 도 1과 같은 형태의 프레임이 완성되며 여기에 받침다리(40)를 끼우고 상기 연결프레임(10) 및 지지프레임(20)이 조립되어 서로 연결된 장홈(11)(21)에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재치판(30)이 다수개 재치된다. 이러한 재치판은 상기 장홈(11)(21)에 안착하여 지지되도록 가장자리에 걸림부(31)가 형성된 판형의 것이며, 도 9에 완성된 프레임의 각 구역에 재치판(30)이 다수개 재치되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상태로 평상의 조립은 완료되는 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면적이 넓은 받침판(51)을 갖춘 형상의 받침다리(50)를 구비하여 기존의 받침다리(40)와 교체하여 끼우면 설치 지반이 취약한 모래 등에 설치하여도 지반으로 받침다리가 침하되지 않고 평상이 견고한 지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평상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한 차양막(70)으로 텐트나 플라이를 설치할 수 있는 바, 도 11에 상기 차양막(70)을 텐트로 사용한 예를 도시하였다. 즉, 예시한 바와 같이 차양막(70)의 긴 쪽 가장자리(X)에 있는 재봉선(71)이 이루는 수용부에 연질의 폴(60)을 끼우고 아치(Arch) 형상으로 휘어서 폴(60)의 양단부를 지지프레임(20)의 각 모서리에 형성된 폴설치공(28)(29) 중 수직으로 형성된 폴설치공(28)에 폴(60 ; Pole)을 끼우면 도시한 바와 같은 텐트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때 차양막(70)의 짧은 쪽 변(Y)의 길이는 평상의 긴 변의 길이(P)와 일치하는 길이이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치된 상태를 이룬다.
그리고 지퍼가 형성된 별도의 측막(73)을 상기 차양막(70)의 지퍼(72)를 연결하여 설치하면 텐트의 측부를 커버할 수 있는 차단막 및 문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텐트 설치상태에서 하단에 위치되는 각 재봉선에 끈(도시되지 않음)을 내장하여 묶어 주면 외부로부터 바람이나 여타 해충이 텐트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양막(70)을 플라이로 사용할 때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폴(60)을 각각 외곽방향으로 경사진 폴설치공(29)에 끼우고 폴(60)의 상단부에 차양막(70)을 설치하면 된다. 이때 상기 텐트로 사용할 때와는 달리 차양막(70)의 긴 변(X)이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된다.
한편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80'은 이러한 차양막의 설치상태를 견고히 고정할 수 있도록 묶은 끈으로서 플라이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차양막을 이용하여 텐트나 플라이 설치하면 우천시에는 비를 피할 수 있게 되며, 평상시에도 강한 자외선을 차단하여 그늘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등 여러모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고안은 평상의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의 상호 결합이 수평적으로 이루어 지므로 바닥 조건이 고르지 않은 지형에서 평상을 사용할 때에도 프레임 상호간의 이탈을 방지하게 되어 견고한 조립상태를 이루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받침다리를 이용하여 해변의 백사장같은 모래지형이나 자갈밭같은 장소에서도 사용이 가능하게 되므로 바캉스나 물놀이 등에서도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야외에서 평상을 여러 조각으로 분해하여 그 중 하나를 식탁으로 사용하고 나머지는 의자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 이용도가 높아 편리하며, 또한 차양막을 이용하여 평상에 텐트나 플라이를 겸하여 설치하게 되므로 편의성과 사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평상의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과 이러한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는 받침다리 및 상측에 설치되는 재치판을 상호 조립하여 구성되는 조립식 평상에 있어서,
    사각기둥 형상의 몸체 각각의 모서리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각형의 장홈(11)이 구비되고 몸체의 일측면 외측으로는 돌출된 돌출부(12) 및 몸체의 타측면에 내측으로 요입형성된 요홈부(13)가 형성되며 몸체의 양단면에는 외부로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14)를 각각 구비한 연결프레임(10);
    상기 연결프레임(10)과 같이 사각기둥 형상의 몸체 각각의 모서리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각형의 장홈(21)과 몸체의 일측면 외측으로 돌출부(22) 및 몸체의 타측면에 요홈부(23)가 구비되며, 상기 요홈부(23)의 양측 소정거리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프레임(10)의 결합돌기(14)가 직각방향으로 삽설되도록 하는 사각공(26)과 몸체 상면 양쪽에 각각 형성한 2개의 폴설치공(28)(29), 몸체의 일단면에 외부로 돌출된 결합돌기(24) 및 타단면에 상기 결합돌기(24)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한 결합공(25)으로 구성되어 상기 연결프레임(10)의 직각방향 조립되는 지지프레임(20);
    상기 지지프레임(20) 및 연결프레임(10)의 조립후 상호 연결된 각각의 장홈(11)(21)에 재치되도록 외곽부에 걸림부(31)를 갖는 판형으로 된 다수의 재치판(30); 및
    상기 지지프레임(20)의 폴설치공(28)(29)에 삽설되는 폴(60)을 이용하여 텐트와 플라이를 겸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각 가장자리에 수용부를 갖는 재봉선(71)이 구비되며 텐트로 사용할 때 전후 방향 입구를 커버할 수 있는 측막(73)을 연결하도록 지퍼(72)가 구비된 차양막(7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평상.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20)의 폴설치공(28)(29) 중 하나는 직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하나는 바깥쪽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평상.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10)의 결합돌기(14)와 지지프레임(20)의 결합돌기(24) 및 결합공(25)은 보다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다각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평상.
  4. 제 1항에 있어서, 지지면적이 넓은 받침판(51)을 갖춘 형상의 받침다리(50)를 구비하여 기존의 받침다리(40)와 교체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평상.
KR2019970012180U 1997-05-28 1997-05-28 조립식 평상 KR2001531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2180U KR200153130Y1 (ko) 1997-05-28 1997-05-28 조립식 평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2180U KR200153130Y1 (ko) 1997-05-28 1997-05-28 조립식 평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596U true KR19980067596U (ko) 1998-12-05
KR200153130Y1 KR200153130Y1 (ko) 1999-08-02

Family

ID=19501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2180U KR200153130Y1 (ko) 1997-05-28 1997-05-28 조립식 평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313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2227A (ko) * 2002-10-08 2004-04-17 주식회사 신우테크 다용도 조립식 평상
WO2014017747A1 (ko) * 2012-07-23 2014-01-30 Kim Young Jo 조립식 평상
KR20180121005A (ko) * 2017-04-28 2018-11-07 유영배 사용자 기반 맞춤형 조립식 블럭
KR102052732B1 (ko) * 2019-03-20 2019-12-11 김응래 조립식 다목적 부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083B1 (ko) * 2011-09-21 2014-01-14 이용만 평상 바디의 결합장치
KR200474103Y1 (ko) 2013-07-31 2014-08-22 김형숙 조립식 평상과 이를 이용한 텐트
KR102222321B1 (ko) * 2014-05-15 2021-03-04 주식회사 스페이스락 바닥데크형성방법
KR101960251B1 (ko) * 2017-09-19 2019-03-20 장영국 다용도 테이블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2227A (ko) * 2002-10-08 2004-04-17 주식회사 신우테크 다용도 조립식 평상
WO2014017747A1 (ko) * 2012-07-23 2014-01-30 Kim Young Jo 조립식 평상
KR20180121005A (ko) * 2017-04-28 2018-11-07 유영배 사용자 기반 맞춤형 조립식 블럭
KR102052732B1 (ko) * 2019-03-20 2019-12-11 김응래 조립식 다목적 부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53130Y1 (ko) 1999-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16140Y1 (ko) 휴대용 조립식 원두막
US4793371A (en) Portable shelter
KR200153130Y1 (ko) 조립식 평상
CA1272425A (en) Building structures
US20060283103A1 (en) Gazebo
CA2491305C (en) Ring and pole connector assembly for a tent corner
KR101065925B1 (ko) 천막 구조물
CN111119566B (zh) 一种篷房框架、单元篷房及可延展式立方篷房组
CN109138513B (zh) 一种凉亭建筑系统
KR102126430B1 (ko) 조립식 텐트 프레임 착탈 설치용 장식 패널조립체
US20050178421A1 (en) Tent with asymmetrical pole sleeves
JPH11141196A (ja) 木製フェンス
KR100663935B1 (ko) 조립식 텐트
KR100292947B1 (ko) 조립식 납골함단
KR100674128B1 (ko) 조립식 텐트
KR200390378Y1 (ko) 펜스
US7398792B2 (en) Bar table shelter
KR102574424B1 (ko) 확장 가능한 텐트
KR102480059B1 (ko) 타일데크블럭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타일데크블럭 구조체
KR200203596Y1 (ko) 조립하우스
KR102594889B1 (ko) 조립식 연결소켓, 조립식 연결소켓을 이용한 차양 프레임과 구조물
CN220538867U (zh) 一种伸缩棚骨架机构及伸缩棚
KR102359953B1 (ko) 유골함 안치단 조립구조
KR200461786Y1 (ko) 차양구조를 구비한 야외용 테이블
KR900002945Y1 (ko) 조립식 철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