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6037U - 정온 냉기토출 에어커튼 냉장고 - Google Patents

정온 냉기토출 에어커튼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6037U
KR19980066037U KR2019970010397U KR19970010397U KR19980066037U KR 19980066037 U KR19980066037 U KR 19980066037U KR 2019970010397 U KR2019970010397 U KR 2019970010397U KR 19970010397 U KR19970010397 U KR 19970010397U KR 19980066037 U KR19980066037 U KR 1998006603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rtment
cold air
refrigerating compartment
refrigerating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03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갑용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700103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6037U/ko
Publication of KR199800660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6037U/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정온 냉기토출 에어커튼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냉장실(6)의 후면측에 설치된 증발기(12A)가 삽입되어 저온상태로 유지되도록 상변화물질을 내측에 주입한 열교환박스(24)와, 상기 냉장실(6) 도어(16)의 개폐에 관계없이 냉장실(6)내의 냉기를 순환시키는 횡류팬(22)을 구비한 것으로서, 상기 냉장실(6)의 온도가 일정수치이상 올라가 압축기(32)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 냉장실(6)의 도어(16)를 개방하더라도 종래와 같이 압축기(32)가 작동되는 경우에 형성되는 기류막에 비하여 온도가 높은 기류막이 냉장실(6)의 전면부에 형성되지 않고 상기 엔-테트라데케인(36)의 냉각작용에 의하여 냉장실(6)내에 냉기가 발생하도록 하여 냉장실(6)의 전면부에 압축기(32)가 작동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기류막과 같은 차가운 기류막이 형성되도록 하여 외부의 온도가 높은 공기가 냉장실(6)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냉장실(6)내에 저장된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하여 에어커튼 냉장고(2)의 기능을 향상시키고, 상기 냉장실(6) 도어(16)의 개폐에 관계없이 상기 횡류팬(22)에 의하여 냉장실(6)에 냉기가 순환되도록 하여 별도의 냉장실 순환팬을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됨으로써 에어커튼 냉장고(2)의 제작비용를 절감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정온 냉기토출 에어커튼 냉장고
본 고안은 정온 냉기토출 에어커튼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장실에 증발기를 설치하고 상기 증발기를 냉각시키는 냉매가 주입된 열교환박스를 구비함으로써 에어커튼발생장치에 의하여 냉장실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기류막을 항상 낮은 온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에어커튼 냉장고의 기능을 향상시키고, 냉장실의 냉기를 항상 횡류팬으로 순환시킴으로써 별도의 냉장실 순환팬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여 에어커튼 냉장고의 제작비용를 낮추는 정온 냉기토출 에어커튼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냉장고는 냉장고의 도어를 개방시킬 경우 냉장실의 냉기가 냉장고의 외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온도가 높은 외기가 냉장실내로 유입되어 냉장고에 저장된 식품의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냉장고의 기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와 같이 냉장실의 도어를 개방할 경우 온도가 높은 외기가 내장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류막이 냉장실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에어커튼 냉장고가 개발되었는데, 이와 같은 에어커튼 냉장고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면측에는 본체의 압축기(80)가 작동됨에 따라 주위의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62)가 설치되고 상기 증발기(62)의 상측에는 냉동실 순환팬(58)과 냉장실 순환팬(60)이 설치된 냉동실(52)과, 상기 냉동실(52)과 구획벽(65)에 의하여 구분되고 상기 구획벽(65)의 하방으로 에어커튼 발생장치가 설치된 냉장실(5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52)의 상부에는 상기 증발기(62)와 냉동실 순환팬(58) 그리고 냉장실 순환팬(60)을 제어하는 제어부(64)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에어커튼 발생장치는 상기 냉장실(54)의 도어(56)측으로 냉기토출구(70)가 형성된 냉기공급덕트(68)와, 상기 냉기공급덕트(68)의 후면측에 설치되고 별도의 모터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횡류팬(7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54)의 후면측에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상기 냉기공급덕트(68)와 연통된 귀환덕트(74)가 형성되는데, 상기 귀환덕트(74)에는 냉장실(54)의 수납공간(76)마다 냉기회수구(78)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냉동실(52)과 냉장실(54)에는 상기 제어부(64)에 연결되고 상기 냉동실(52)의 도어(56)와 상기 냉장실(54)의 도어(66)가 개폐되는 것을 감지하는 도어센서(도시안됨)와, 냉동실(52)과 냉장실(54)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도시안됨)가 각각 설치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에어커튼 냉장고(50)의 작용을 냉장실(54)의 도어(66)가 닫혀있는 경우와 냉장실(54)의 도어(66)가 개방된 경우로 나누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냉장실(54)의 도어(66)가 닫힌 상태에서는 본체내의 압축기(80)가 작동하여 냉동실(52)에 설치된 증발기(62)로 냉매를 순환시키고, 상기 증발기(62)는 순환냉매를 증발시켜 주위의 공기에서 열을 빼앗음으로써 주위의 공기를 냉각시킨다.
이때 상기 냉동실(52)에 설치된 증발기(62)의 상측 냉장실 순환팬(60)이 제어부(64)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여 상기 냉기를 멀티덕트(도시안됨)를 통하여 냉장실(54)로 공급하여 순환시킴으로써 냉장실(54)에 저장된 식품을 신선하게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하여 냉장실(54)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하로 강하되는 경우에는 냉장실(54)에 설치된 온도센서에서 일정온도 이하의 수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64)에 신호를 보낸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64)의 제어에 의해 압축기(80)가 작동되지 않고 이에 따라 상기 증발기(62)로 냉매가 순환되지 않음으로써 증발기(62)의 냉각작용이 중지되며 이와 동시에 냉장실 순환팬(60)이 정지하여 냉장실(54)로 냉기가 더 이상 공급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냉장실(54)의 온도가 일정수치 이상 상승하면 냉장실(54)에 설치된 온도센서가 온도상승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64)에 신호를 보낸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64)는 상기 압축기(80)를 가동시키고 상기 압축기(80)는 냉매를 증발기(62)로 순환시켜 상기 증발기(62)가 순환냉매를 증발시킴으로써 주위의 공기를 냉각시킨다. 이와 동시에 상기 냉장실 순환팬(60)이 작동되어 냉장실(54)에 냉기를 공급함으로써 냉장실(54)의 기온을 강하시킨다.
한편, 상기와 같이 냉장실(54)의 도어(66)를 닫은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센서가 감지하여 제어부(64)에 신호를 보냄으로써 냉장실(54)의 횡류팬(72)은 작동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냉장실(54)의 도어(66)를 개방시킨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냉장실(54)의 도어(66)를 개방시키면, 상기 도어센서가 도어(66)의 개방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64)에 신호를 보내고 상기 제어부(64)는 냉장실 순환팬(60)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그와 동시에 상기 제어부(64)는 횡류팬(72)에 연결된 모터에 전원을 인가하여 횡류팬(72)을 작동시키면, 상기 냉기는 횡류팬(72)을 통과하면서 층류로 바뀌어 냉장실(54) 전면 상단에서 냉기공급덕트(68)의 냉기토출구(70)를 통하여 하방으로 분사된다. 그러면 상기 냉기는 냉장실(54)의 전면부를 지나면서 차가운 기류막을 형성한다.
이때, 횡류팬(72)에 의하여 분사된 냉기는 횡류팬(72)의 흡입력에 의해 냉장실(54) 배면에 형성된 냉기회수구(78)로 흡입되고 상기 귀환덕트(74)를 통하여 횡류팬(72)을 통과하면서 층류로 바뀐 다음 다시 상기 냉기공급덕트(68)의 냉기토출구(70)로 분사되어 냉장실(54)의 전면부에 연속적으로 차가운 기류막을 형성하여 외부의 온도가 높은 공기가 냉장실(54)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냉장실(54)에 저장된 식품을 신선하게 유지시킨다.
상기의 상태에서 냉장실(54)의 도어(66)를 닫으면 도어센서가 도어(66)의 닫힘을 감지하여 제어부(64)에 신호를 보냄으로써 냉장실(54)의 횡류팬(72)의 작동이 중지되고 냉동실(52)에 설치된 냉장실 순환팬(60)이 작동하여 멀티덕트(도시안됨)를 통하여 냉장실(54)에 냉기를 공급하여 순환시킨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에어커튼 냉장고(50)는 냉장실(54)의 도어(66)가 닫힌 상태에서 냉장실(54)의 온도가 일정수치이상 높아지면 냉장실(54)의 온도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냉장실(54)의 냉각작용이 중지되는데, 이때 냉장실(54)의 도어(66)를 개방시키면 냉장실(54)의 도어센서가 냉장실(54) 도어(66)의 개방을 감지하여 제어부(64)에 신호를 보내 냉장실 순환팬(60)을 정지시키고 상기 횡류팬(72)을 구동시킴으로써 냉장실(54)의 전면부에 기류막을 형성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상태의 종래 에어커튼 냉장고(50)의 기류막은 냉동실(52)의 증발기(62)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냉장실(54)의 전면부에 형성되므로 냉장실(54)의 증발기(62)가 작동되는 경우에 형성되는 기류막에 비하여 온도가 높은 기류막이 형성됨으로써 온도가 높은 외기가 냉장실(54)내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지 못하여 에어커튼 냉장고(50)의 기능이 저하되는 결점이 있었으며,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에어커튼 냉장고(50)는 냉동실(52)에 냉동실 순환팬(58)과 냉장실 순환팬(60)이 설치되고 냉장실(54)에 횡류팬(72)이 설치되는데, 이와 같이 에어커튼 냉장고(50)에 3개의 팬이 설치됨으로써 에어커튼 냉장고(50)의 제작비용이 상승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냉장실에 증발기를 설치하고 상기 증발기를 냉각시키는 냉매가 주입된 열교환박스를 구비함으로써 에어커튼 발생장치에 의하여 냉장실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기류막을 본체의 압축기의 작동 또는 비작동에 관계없이 낮은 온도로 유지하고, 냉장실의 냉기를 냉장실 도어의 개폐에 관계없이 횡류팬으로 순환시킴으로써 냉장실 순환팬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여 에어커튼 냉장고의 제작비용를 낮추는 정온 냉기토출 에어커튼 냉장고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냉장실의 후면측에 설치된 증발기가 삽입되어 저온상태로 유지되도록 상변화물질을 내측에 주입한 열교환박스와, 상기 냉장실 도어의 개폐에 관계없이 냉장실의 냉기를 순환시키는 횡류팬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에어커튼 냉장고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정온 냉기토출 에어커튼 냉장고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인 냉장실에 설치된 열교환박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냉장실 12A : 냉장실의 증발기
16 : 냉장실의 도어 20 : 냉기토출구
22 : 횡류팬 24 : 열교환박스
34 : 핀 36 : 엔-테트라데케인
이하,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 예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정온 냉기토출 에어커튼 냉장고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면측에는 증발기(12)가 설치되고 상기 증발기(12)의 상측에는 냉동실 순환팬(10)이 설치된 냉동실(4)과, 상기 냉동실(4)과 구획벽(15)에 의하여 구분되고 상기 구획벽(15)의 하방으로 에어커튼 발생장치가 설치되며 후면측으로 별도의 증발기(12A)가 설치된 냉장실(6)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6)의 증발기(12A)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으로 다수의 핀(34)을 형성하고 내측에 상변화물질인 파라핀계열의 엔-테트라데케인(N-TETRADECANE;C14H30)(36)이 주입된 열교환박스(24)내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냉동실(4)의 상부에는 상기 냉동실(4)의 증발기(12)와 냉동실 순환팬(10) 그리고 냉장실(6)의 증발기(12A)와 에어커튼 발생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14)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커튼 발생장치는 상기 냉장실(6)의 도어(16)측으로 냉기토출구(20)가 형성된 냉기공급덕트(18)와, 상기 냉기토출구(20)에 설치된 횡류팬(22)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냉장실(6)의 후면측에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상기 냉기공급덕트(18)와 연통된 순환덕트(26)가 형성되는데, 상기 순환덕트(26)에는 냉장실(6)의 수납공간(28)마다 냉기회수구(3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4)과 냉장실(6)에는 상기 제어부(14)에 연결되고 냉장실(6) 도어(16)가 개폐되는 것을 감지하는 도어센서(도시안됨)와 냉동실(4)과 냉장실(6)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도시안됨)가 각각 설치된다.
한편, 상기 열교환박스(24)내에 주입되는 상변화물질인 엔-테트라데케인(36)은 어는점이 1.7℃이고 잠열량은 206KJ/kg으로서 상기 냉장실(6)의 증발기(12A)를 냉장실(6)의 설정온도인 2∼3℃이하로 유지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정온 냉기토출 에어커튼 냉장고의 작용을 냉장실(6)의 도어(16)를 닫은 경우와 냉장실(6)의 도어(16)를 개방한 경우로 나누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냉장실(6)의 도어(16)를 닫은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냉장실(6)의 도어(16)를 닫은 경우에는 본체내의 압축기(32)가 작동하여 냉매를 상기 냉장실(6)에 설치된 증발기(12A)로 순환시키고 상기 증발기(12A)는 순환냉매를 증발시켜 주위의 공기를 냉각시키는 동시에 상기 냉장실(6)에 설치된 증발기(12A)의 외측을 둘러싸고 있는 열교환박스(24) 내측에 주입되어 있는 엔-테트라데케인(36)을 냉각시킨다.
이때, 상기 냉장실(6)의 상부에 설치된 횡류팬(22)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냉기가 횡류팬(22)을 통과하면서 층류로 바뀌어 냉장실(6)내를 순환하게 되는데, 상기 냉기는 상기 냉기공급덕트(18)의 냉기토출구(20)를 통하여 냉장실(6)의 상부에서 하부로 분사되어 냉장실(6)의 전면부에 차가운 기류막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분사된 냉기는 상기 횡류팬(22)의 흡입력에 의하여 각 수납공간(28)마다 형성된 순환덕트(26)의 냉기회수구(30)로 흡입되어 다시 상기 냉기공급덕트(18)를 통하여 상기 횡류팬(22)을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냉기가 횡류팬(22)을 통과하면서 층류로 바뀌어 냉기토출구(20)를 통하여 분사되어 차가운 기류막을 형성하면서 냉장실(6)내를 연속적으로 순환함으로써 상기 냉장실(6)에 저장된 내용물을 신선하게 유지시킨다.
그리고, 냉장실(6)에 설치된 온도센서에서 일정온도 이하의 수치가 감지되어 상기 제어부(14)에 신호를 보내면 상기 제어부(14)의 제어에 의해 압축기(32)의 작동이 중단되어 증발기(12A)에 의한 냉기공급이 중단되고, 냉장실(6)의 상부에 설치된 횡류팬(22)이 정지하여 냉장실(6)에 냉기가 더 이상 공급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냉장실(6)에 설치된 증발기(12A)의 외측을 둘러싸고 있는 열교환박스(24)내에 들어 있는 엔-테트라데케인(36)이 증발기(12A)를 일정수치이하의 온도로 유지시키고 주위의 공기가 열교환박스(24)에 형성된 다수의 핀(34)과 접촉하면서 냉각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냉장실(6)의 온도가 일정수치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는 냉장실(6)에 설치된 온도센서가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14)가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으면 본체의 압축기(32)가 작동되고 이에 따라 증발기(12A)의 냉기공급이 이루어지며 이와 동시에 상기 횡류팬(22)이 작동되어 상기 냉기를 순환시킴으로써 냉장실(6)내의 온도를 강하시킨다.
다음으로 냉장실(6)의 도어(16)를 개방한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냉장실(6)의 도어(16)를 개방하면, 상기 횡류팬(22)이 작동되지 않고 있던 경우에는 냉장실(6)의 도어센서가 도어(16)의 개방을 감지하여 제어부(14)에 신호를 보내 횡류팬(22)을 작동시키고 본체내의 압축기(32)가 작동하여 냉매를 상기 냉장실(6)에 설치된 증발기(12A)로 순환시키고 상기 증발기(12A)는 순환냉매를 증발시켜 주위의 공기를 냉각시키는 동시에 상기 냉장실(6)에 설치된 증발기(12A)의 외측을 둘러싸고 있는 열교환박스(24) 내측에 들어 있는 엔-테트라데케인(36)을 냉각시킨다.
이때, 상기 냉장실(6)의 상부에 설치된 횡류팬(22)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냉기가 층류로 바뀌어 냉장실(6)내를 순환하게 되는데, 상기 냉기는 상기 냉기공급덕트(18)의 냉기토출구(20)를 통하여 냉장실(6)의 상부에서 하부로 분사되어 냉장실(6)의 전면에 차가운 기류막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분사된 냉기는 상기 횡류팬(22)의 흡입력에 의하여 각 수납공간(28)마다 형성된 순환덕트(26)의 냉기흡입구(30)로 흡입되고 상기 냉기는 다시 상기 냉기공급덕트(18)를 통하여 상기 횡류팬(22)을 통과함으로써 층류로 바뀌어 냉기토출구(20)를 통하여 냉장실(6)의 하방으로 분사되어 냉장실(6)의 전면에 차가운 기류막을 형성하는 등 상기 냉기가 냉장실(6)내를 연속적으로 순환함으로써 상기 냉장실(6)에 저장된 식품을 신선하게 유지한다.
또한, 냉장실(6)에 설치된 온도센서에서 일정온도 이하의 수치가 감지되어 상기 제어부(14)에 신호를 보내면 상기 제어부(14)의 제어에 의해 압축기(32)의 작동이 중단되어 증발기(12A)의 냉각작용이 중단되고, 냉장실(6)의 상부에 설치된 횡류팬(22)이 정지하여 냉장실(6)에 냉기가 더 이상 공급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냉장실(6)에 설치된 증발기(12A)의 외측을 둘러싸고 있는 열교환박스(24)내에 들어 있는 엔-테트라데케인(36)이 증발기(12A)를 냉각시키고 열교환박스(24)에 형성된 핀(34)에 의하여 주위의 공기에서 열을 빼앗음으로써 주위공기를 냉각시킨다.
한편, 상기와 같이 냉장실(6)의 온도가 일정수치이하로 내려가 압축기(32)와 횡류팬(22)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 냉장실(6)의 도어(16)를 개방하면 냉장실(6)의 도어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냉장실(6)의 횡류팬(22)이 작동함으로써 냉장실(6)의 전면부에 기류막이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압축기(32)가 작동하지 않더라도 열교환박스(24) 내측에 주입된 엔-테트라데케인(36)에 의하여 발생한 냉기가 상기 횡류팬(22)을 통과하면서 층류로 바뀌어 상기 냉기공급덕트(18)의 냉기토출구(20)를 통하여 냉장실(6)의 하방으로 분사됨으로써 냉장실(6)의 전면부에 차가운 기류막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열교환박스(24)내의 엔-테트라데케인(36)에 의하여 생성된 냉기가 냉장실(6)의 내부를 순환하다가 냉장실(6)의 온도가 일정수치이상 높아지면 냉장실(6)의 온도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4)에 신호를 보냄으로써 압축기(32)가 작동되고 이에 따라 냉장실(6)의 증발기(12A)에 의하여 냉기가 생성되어 냉장실(6) 전면부에 차가운 기류막이 형성됨으로써 외부의 온도가 높은 외기가 냉장실(6)내로 유입하는 것을 차단한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정온 냉기토출 에어커튼 냉장고는 횡류팬(22)이 냉장실(6)의 전면측의 냉기토출구(20)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냉기토출구(20)에서 냉장실(6)의 전면부에 분사되는 냉기의 속도가 빨라진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정온 냉기토출 에어커튼 냉장고는 냉장실(6)에 별도의 증발기(12A)를 설치하고 상기 증발기(12A)를 냉각시키는 엔-테트라데케인(36)이 주입되어 있는 열교환박스(24)를 구비하여, 상기 냉장실(6)의 온도가 일정수치이상 올라가 압축기(32)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 냉장실(6)의 도어(16)를 개방하더라도 종래와 같이 압축기(32)가 작동되는 경우에 형성되는 기류막에 비하여 온도가 높은 기류막이 냉장실(6)의 전면부에 형성되지 않고 상기 엔-테트라데케인(36)의 냉각작용에 의하여 냉장실(6)내에 냉기가 발생하도록 하여 냉장실(6)의 전면부에 압축기(32)가 작동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기류막과 같은 차가운 기류막이 형성되도록 하여 외부의 온도가 높은 공기가 냉장실(6)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냉장실(6)내에 저장된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하여 에어커튼 냉장고(2)의 기능을 향상시키고, 상기 냉장실(6) 도어(16)의 개폐에 관계없이 상기 횡류팬(22)에 의하여 냉기가 상기 냉장실(6)을 순환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냉장실 순환팬을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어 에어커튼 냉장고(2)의 제작비용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냉장실(6)의 도어(16) 개방시 냉기토출구(20)에서 기류막이 분사되어 외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에어커튼 냉장고(2)에 있어서,
    상기 냉장실(6)의 후면측에 설치된 증발기(12A)가 삽입되어 저온상태로 유지되도록 상변화물질을 내측에 주입한 열교환박스(24)와,
    상기 냉장실(6) 도어(16)의 개폐에 관계없이 냉장실(6)내의 냉기를 순환시키는 횡류팬(2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온 냉기 토출 에어커튼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변화물질은 엔-테트라데케인(3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온 냉기토출 에어커튼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박스(24)는 외측에 다수의 핀(3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온 냉기토출 에어커튼 냉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횡류팬(22)은 상기 냉장실(6)의 전면측 냉기토출구(20)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온 냉기토출 에어커튼 냉장고.
KR2019970010397U 1997-05-12 1997-05-12 정온 냉기토출 에어커튼 냉장고 KR1998006603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0397U KR19980066037U (ko) 1997-05-12 1997-05-12 정온 냉기토출 에어커튼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0397U KR19980066037U (ko) 1997-05-12 1997-05-12 정온 냉기토출 에어커튼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037U true KR19980066037U (ko) 1998-12-05

Family

ID=69684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0397U KR19980066037U (ko) 1997-05-12 1997-05-12 정온 냉기토출 에어커튼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603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3867A (ko) * 2000-01-22 2001-08-03 박호군 식품의 신선도 인디케이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3867A (ko) * 2000-01-22 2001-08-03 박호군 식품의 신선도 인디케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33337B2 (ja) 温度制御室を有する冷蔵庫
US6038880A (en) Refrigerator having a device for generating an air curtain
KR20080003661A (ko) 온도 전환실의 에어 커튼을 갖는 냉장고
KR19980066037U (ko) 정온 냉기토출 에어커튼 냉장고
KR200152091Y1 (ko) 정온 냉기토출 에어커튼 냉장고
KR20140058164A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0382480B1 (ko) 냉장고의 냉기순환구조
KR100194358B1 (ko) 댐퍼를 이용한 냉기단속구조를 갖는 냉장고
KR100221548B1 (ko) 냉장고의 증발기 설치구조
KR100220969B1 (ko) 에어커튼 냉장고의 기계실 냉각장치
KR100194359B1 (ko) 에어커튼냉장고의 냉기순환구조
KR100208885B1 (ko) 냉동실에 설치된 냉기차단장치
KR0136062Y1 (ko) 냉장고
KR100595434B1 (ko) 냉장고
KR0164765B1 (ko) 에어커튼용 냉기전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100606754B1 (ko) 냉장고의 운전 제어 방법
KR200165325Y1 (ko) 냉장고용 냉기덕트
KR200145880Y1 (ko) 냉장고의 냉기토출 장치
KR100597292B1 (ko) 냉장고
KR200236940Y1 (ko) 냉장고의야채실냉기공급구조
KR100377748B1 (ko) 냉장고의 냉기공급구조
KR100205923B1 (ko) 냉장고의 냉기공급 방법 및 장치
KR200207424Y1 (ko) 냉장고
KR19980083063A (ko) 에어커튼을 이용한 냉동실 냉기단속구조를 갖는 냉장고
KR970004266Y1 (ko) 쇼우케이스의 냉기누설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