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5761U - 두피용 약제 주입용기 - Google Patents

두피용 약제 주입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5761U
KR19980065761U KR2019970010073U KR19970010073U KR19980065761U KR 19980065761 U KR19980065761 U KR 19980065761U KR 2019970010073 U KR2019970010073 U KR 2019970010073U KR 19970010073 U KR19970010073 U KR 19970010073U KR 19980065761 U KR19980065761 U KR 1998006576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lp
container body
drug
cap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00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배
Original Assignee
이원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배 filed Critical 이원배
Priority to KR20199700100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5761U/ko
Publication of KR199800657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5761U/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두피에 바르는 모발촉진제나 혹은 비듬약과 같은 액상의 약제를 두피부위에 직접적으로 바를 수 있도록 한 두피용 약제 주입용기를 제공 함에 있다.
두피에 바르도록된 액상의 약제에 있어서,약제를 수용 하기위한 용기본체를 형성 하고,상기 용기본체에는 그 용기본체에 수용된 약제를 외부로 배출하는 수개의 소공이 형성된 캡을 착탈되게 결합하고,상기 캡에는 상기 소공을 통과하게되는 약제를 외부로 유동되게 하는 안내통로가 형성된 유연성의 안내노즐을 상기 캡의 소공과 각각 연락되게 설치 한 것이다.
이에 의하여 모발촉진제와 같은 액상의 약제를 타부위에 묻게하는 일 없이 두피부위에 직접적으로 바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두피용 약제 주입용기
본 고안은 모발촉진제나 혹은 비듬약(이하,단지약제라고 합니다)과 같은 액상의 약제를 두피(頭皮)에 바르는 데에 사용 하도록한 두피용 약제 주입용기에 관한 것으로,특히 액상의 약제를 두피부위에 직접적으로 바를 수 있도록한 두피용 약제 주입용기에 관한것 이다.
일반적으로 두피에 바르도록한 모발촉진제나 혹은 비듬약과 같은 약제는 유리 용기나 혹은 프라스틱 용기에 수용되어져 있다.따라서 상기 약제를 두피에 바르고자 할 때에는 필히 별도의 도구 예컨데,면봉 등에 상기 약제를 묻게한후 이를 다시 두피에 바르고 있음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약제를 면봉에 묻게한후 두피에 바르게 되면 그 면봉에 흡수되는 약제로 인하여 그 만큼 약제의 불필요한 소비가 많게되는 페단이 있고,또한 별도의 도구에 묻혀서 사용하다 보면 사용자들의 손에 묻게되는 등의 폐단과 아울러 사용함에 불편이 있고,특히 사용량이 일정치 않은 페단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제반 결점들을 해소하고,약제를 수용하는 용기본체와 결합하여 사용할수 있게한 약제 주입용 안내노즐들을 갖는 캡을 구비한것에 의해,두피부위에 약제를 바름에 있어서 안전성과 편리성을 갖게한 두피용 약제 주입용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 하기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두피에 바르도록된 액상의 약제에 있어서,약제를 수용 하기위한 용기본체;상기 용기본체에 착탈되게 결합되며,상기 용기본체에 수용된 약제를 외부로 배출 하기위한 수개의 소공이 형성된 캡;및 안내통로가 형성된 소정길이의 관형태를 이루며,상기 캡의 소공과 각각 연락되게 설치되어 상기 소공을 통과하게되는 약제를 상기 안내통로를 통하여 외부로 유동되게 하는 유연재질의 안내노즐을 포함하는 두피용 약제 주입용기에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의거 본 고안에 따른 충전기용 콘택단자 구조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두피용 약제 주입용기의 일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이고,
도 2는 도 1의 I-I선 방향에 따른 결합상태의 단면도 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두피용 약제 주입용기의 또다른 일예를 나타낸 단면도 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 부호의설명〉
10,10a:용기본체 20,20a:캡 22,22a:소공 30,30a: 노즐 32,32a:안내통로 40:액상의 약제 50:밸브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두피용 약제 주입용기의 일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이고,도 2는 도 1의 I-I선 방향에 따른 결합상태의 단면도 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본 고안에 따른 두피용 약제 주입기는 액상물의 약제(40)을 수용하기위한 용기본체(10)을 구비하고 있다.상기 용기본체(10)은 내부에 수용된 약제(40)을 외부로 강제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위하여 탄성을 갖는 유연 재질로서 수축가능한 튜브형태로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10)에는 캡(20)이 착탈가능하게 나사(34)결합되어있으며,상기 캡(20)에는 상기 용기본체(10)의 내부와 연락되게 한 수개의 소공(22)들이 형성 되어있다.상기 소공(22)는 상기 용기본체(10)의 내부에 수용된 약제(40)을 외부로 배출 시키기 위하여 상기 용기본체(10)을 누르게 될시 상기 약제(40)이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안내구멍 역할을 하게 된다.상기 소공(22)의 크기는 상기 약제(40)이 통과함에 그다지 큰 저항을 갖지 않게되는 크기를 이루게 형성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공(22)의 각각에는 소정 길이를 갖는 관형상의 안내노즐(30)이 상기 소공(22)와 연락 가능하게 형성 되어있다.상기 안내노즐(30)의 각각에는 상기 소공(22)와 연락되게한 안내통로(32)가 형성 되어있다.상기 안내통로(32)는 상기 소공(22)들을 통과하게 되는 약제(40)을 소정의 목표까지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상기 안내노즐(30)은 사용자들의 두피부위에 직접적으로 맞닿게 되므로 가능한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게되는 연질의 재료로서 형성 함이 바람직 하다.또한 상기 안내노즐(30)의 길이는 소정의 강도를 갖도록 하기위하여 너무길지 않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캡(20)과 용기본체(10)과의 결합을 나사 결합한 것을 일예로 들어 설명 하였으나,나사결합 이외에 다른 결합수단을 채용하여도 무방 하다. 또 상기 캡(20)의 직경은 기존의 비듬약 이나 혹은 모발촉진제 등의 용기에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이들에 맞게되는 다양한 크기로서 만들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튜브형의 용기본체(10)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게 되면 상기 용기본체(10)의 수축과 아울러 그 내부에 수용된 약제(40)에는 수축압력이 작용되게 되고,이때의 압력으로 상기 약제(40)은 상기 캡(20)의 소공(22) 및 노즐(30)의 안내통로(32)를 따라서 목적지 까지 도달하게 되므로,상기 약제(40)이 상기 안내노즐(30)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때까지 신체의 다른 부위에 묻게 하는 일이 없이 상기 안내노즐(30)의 선단부위가 위치한 두피부위에만 정확히 묻도록 할 수가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두피용 약제 주입용기의 또다른 일예를 나타낸 단면도 로서,도 1 및 도 2의 표시와 동일부분에 대해서는 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동일부호로서 표시 하였다.
도면 표시와 같이,본 실시예는 용기본체(10a)를 금속이나 혹은 플라스틱 물질로서 딱딱한 경화특성을 갖는 용기로서 형성 하게 될시 그 내부에 수용된 약제(40)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하기위한 밸브(50)을 설치한 것이다.
상기 밸브(50)은 상기 캡(20a)와 일체로 하여 상기 용기본체(10a)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34a)결합 되어있다.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밸브(50)과 용기본체(10a)와의 결합은 나사(34a)결합이외에 다른 결합수단을 채용 할수도 있다.상기 밸브(50)은 제1,2밸브공들(51,53)이 형성된 밸브본체(52)를 구비하고 있다.상기 밸브본체(52)의 상기 제1,2밸브공들(51,53)은 상기 용기본체(10a)와 그리고 상기 캡(20a)의 소공(22a) 및 안내노즐(30a)의 안내통로(32a)를 상호 연락되게 한다.
상기 제1,2밸브공들(51,53)의 각각에는 그 제1,2밸브공들(51,53)을 개폐하도록 하는 제1,2밸브볼들(55,57)이 제1,2스프링들(56,58)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밸브공(53)의 일측에는 상기 제2밸브공(53)과 연락되게하는 수용실(59)가 형성 되어있고,상기 수용실(59)의 내부에는 상기 제1,2밸브볼들(55,57)을 작동함에 필요한 압력을 부여하도록한 가압버튼(54)가 스프링(60)의 탄성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 되어있다.상기 밸브(50)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으로,상기 용기본체(10a)의 내부에 수용된 약제(40)을 배출할 수가 있는 것이라고 하면 다른 어떠한 밸브를 사용하여도 무방 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실시예의 작용일예를 다시 도3을 참조하여 설명 하면 다음과 같다.딱딱한 경화성 물질로 형성한 상기 용기본체(10a)의 내부에 수용된 약제(40)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서는 상기 밸브(50)을 조작하여 작동할 필요가 있다.상기 밸브(50)의 작동은 상기 가압버튼(54)의 조작으로부터 실행 되게 된다.상기 가압버튼(54)를 누르게 되면,상기 스프링(60)의 수축과 아울러 상기 수용실(59)를 따라서 이동되게 되는 상기 가압버튼(54)로부터 작용되는 압력이 상기 제1스프링(56)에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상기 제1밸브공(51)을 폐쇄하고 있던 제1밸브볼(55)측으로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밸브볼(55)는 상기 제1스프링(56)에 저항 하면서 상기 캡(20a)쪽을 향하여 이동되게 되므로 상기 제1밸브공(51)은 상기 캡(20a)의 소공(22a) 및 상기 안내노즐(30a)의 안내통로(32a)와 연락되는 개방 상태를 이루게 된다.이러한 상태에서 그동안 누르고 있던 상기 가압버튼(54)로부터 손을 떼게 되면,상기 가압버튼(54)로부터의 압력 해제로 상기 제1밸브볼(55)는 상기 제1스프링(56)의 복원력으로 다시 원래의 위치로 신속히 복귀되면서 상기 제1밸브공(51)을 폐쇄함과 아울러 상기 가압버튼(54)역시 상기 스프링(60)에 의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려고 한다.이때 복귀되는 상기 가압버튼(54)로부터는 상기 수용실(59)의 내부로 흡입력을 유도되게 한다.따라서 이때에 발생되는 흡입력은 상기 제2밸브볼(57)에 가해지게 되고,그 흡입력을 받게되는 상기 제2밸브볼(57)은 상기 제2스프링(58)의 탄성력에 저항하면서 상기 제2밸브공(53)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2밸브공(53)을 개방 되게 하고,상기 제2밸브공(53)이 개방되는 순간 그 제2밸브공(53)을 통하여 상기 용기본체(10a)의 내부로 작용되는 흡입력으로 상기 용기본체(10a)의 내부에 수용되어있던 약제(40)은 개방된 상기 제2밸브공(53)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개방된 상기 제2밸브공(53)을 통하여 배출된 약제(40)은 상기 제1밸브볼(55)가 상기 제1밸브공(51)을 막고 있기 때문에 더이상의 진행은 하지 못하게 된다.한편 상기 가압버튼(54)가 상기 스프링(60)의 탄성력으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므로 인하여 상기 수용실(59)의 내부에 작용되던 흡입력이 떨어지게 되는 순간 상기 제2밸브볼(57)은 상기 제2스프링(58)의 탄성력으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면서 다시 상기 제2밸브공(57)을 폐쇄 하게되므로 약제(40)의 배출은 중단 하게 된다.
상기와같은 작용으로 상기 제2밸브공(57)을 통하여 배출되어져서 상기 제1밸브볼(55)와 상기 제2밸브볼(57)의 사이와 그리고 상기 수용실(59)의 내부로 수용되어있던 상기 약제(40)은 상기 가압버튼(54)을 누르게 될시 상기에서 설명한바와같이,그때의 가압력으로 상기 제1스프링(56)에 저항하면서 물러나게되는 상기 제밸브볼(55)에 의해서 개방되는 상기 제1밸브공(51)과 그리고 이와 연락되는 상기 캡(20a)의 소공(22a) 및 상기 안내노즐(30a)의 안내통공(32a)를 통하여 소정의 목적지인 사용자들의 두피부위로 정확히 주입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압버튼(54)로부터 손을 떼게 되면 상기한바와 같은 동일한 작용으로 상기 용기본체(10a)로부터는 다시 일정량의 약제(40)이 상기 제1밸브볼(55)와 제2밸브볼(57) 및 상기 수용실(59)의 내부로 유동된후 다음의 배출상태를 준비 하게 된다.상기와같은 일련의 작동은 상기 밸브(50)의 가압버튼(54)를 압압하는 동안에는 계속적으로 반복하여 실행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본 고안에 의하면 안내노즐들(30,30a)를 갖는 캡(20,20a)를 약제(40)을 수용하는 용기본체들(10,10a)라고 하면 어디라도 착탈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것에 의해,상기 안내노즐들(30,30a)에 의하여 상기 용기본체들(10,10a)의 내부에 수용되는 약제(40)을 다른 도구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사용자들의 두피에 정확하게 바를 수 있는 사용상의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항시 원하는 일정량만을 다른 부위에 묻지않게 하면서 두피부위에 바를수 있게 할 수가 있어서 종래의 경우와같은 약제(40)의 불필요한 소모를 줄일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사용자들의 두피부위에 닿게되는 상기 노즐들(30,30a)로 인하여 사용자들의 두피부위를 맛사지 하면서 약제를 바를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2)

  1. 두피에 바르도록된 액상의 약제에 있어서,
    약제를 수용 하기위한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에 착탈되게 결합되며,상기 용기본체에 수용된 약제를 외부로 배출 하기위한 수개의 소공이 형성된 캡; 및
    안내통로가 형성된 소정길이의 관형태를 이루며,상기 캡의 소공과 각각 연락되게 설치되어 상기 소공을 통과하게되는 약제를 상기 안내통로를 통하여 외부로 유동되게 하는 유연재질의 안내노즐을 포함하는 두피용 약제 주입용기.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용기본체는 딱딱한 경화용기이고,그 경화용기와 캡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내부에 수용된 약제를 외부로 배출하기위한 밸브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하는 두피용 약제 주입기.
KR2019970010073U 1997-05-07 1997-05-07 두피용 약제 주입용기 KR1998006576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0073U KR19980065761U (ko) 1997-05-07 1997-05-07 두피용 약제 주입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0073U KR19980065761U (ko) 1997-05-07 1997-05-07 두피용 약제 주입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761U true KR19980065761U (ko) 1998-12-05

Family

ID=69679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0073U KR19980065761U (ko) 1997-05-07 1997-05-07 두피용 약제 주입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576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101370A1 (en) * 2002-06-04 2003-12-11 Woo-Geun Chung Ampoule for antiseptic solution or inje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101370A1 (en) * 2002-06-04 2003-12-11 Woo-Geun Chung Ampoule for antiseptic solution or inje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1703A (en) Applicator for semisolid medications
US11661234B2 (en) Dispenser and process
JP4680463B2 (ja) 薬剤を鼻腔に供給する装置及び方法
US3354883A (en) Disposable syringe having frangible means for mixing plural medicaments
AU701047B2 (en) Fluid pump without dead volume
AU734535B2 (en) Discharge device for flowable media using a thrust piston pump
AU685751B2 (en) Needle protected syringe
US20050124945A1 (en) Wearable skin treatment device
US20020148482A1 (en) Foundation-retained cosmetic implement
KR101858427B1 (ko) 액체 도포가 가능한 두피 케어용기용 마개
KR20160114518A (ko) 액체 도포가 가능한 두피 케어용기용 마개
PL361236A1 (en) Disposable injection device
US20070225658A1 (en) Unit Dose Delivery Systems
WO2005070479A1 (ja) 携帯用噴出注入具
US20050054967A1 (en) Fome swab applicator for fluid-containing ampule
KR19980065761U (ko) 두피용 약제 주입용기
KR102658549B1 (ko) 약액통과 니들이 내장된 자동 주사기 장치
US20070100289A1 (en) Methods of applying a substance
EP3721920B1 (en) Liquid medicine injector comprising bolus counter
KR102465262B1 (ko) 물질 분사용 팁
KR102658497B1 (ko) 약액통과 니들이 내장된 수동 주사기 조립체
JPH0336358Y2 (ko)
CA3078139C (en) Medical fluid injector including bolus counter
KR20180039912A (ko) 액체 도포가 가능한 두피 케어용기용 마개
JPH0483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