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5380A - 움직임 벡타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움직임 벡타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5380A
KR19980065380A KR1019970000328A KR19970000328A KR19980065380A KR 19980065380 A KR19980065380 A KR 19980065380A KR 1019970000328 A KR1019970000328 A KR 1019970000328A KR 19970000328 A KR19970000328 A KR 19970000328A KR 19980065380 A KR19980065380 A KR 19980065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ion vector
average value
angle
motion
detection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0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31894B1 (ko
Inventor
김인겸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70000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1894B1/ko
Publication of KR19980065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5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1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18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04N19/137Motion inside a coding unit, e.g. average field, frame or block difference
    • H04N19/139Analysis of motion vectors, e.g. their magnitude, direction, variance or reli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spatial prediction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영상 데이타를 압축하는 방법에서 동영상 데이타로부터 움직임 벡타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동영상 데이타로부터 움직임 벡터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움직임 벡터의 크기 및 각도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움직임 벡터들의 각도 성분을 평균하여 각도 평균값을 구하는 단계; 상기 각도 평균치를 기준으로 소정 범위 이내의 움직임 벡터를 군집화하는 단계; 및 상기 군집화된 매크로 블럭에 한 개의 움직임 벡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며, 각도 평균치를 기준으로 일정 범위 이내의 움직임 벡터를 군집화한 다음 군집화된 매크로 블럭에 한 개의 움직임 벡터를 전송함으로써, 전송되는 움직임 벡터의 수와 양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움직임 벡타 검출 방법
본 발명은 동영상 데이타를 압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영상 데이타로부터 움직임 벡타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영상 데이타의 압축을 진행하는 경우, 일정한 크기의 매크로 블럭(macro block)을 기준으로 한 인트라 코딩(intra coding)과 그 매크로 블럭의 움직임 성분을 검출하기 위하여 움직임 벡터(Motion Vecter)의 검출이 이루어진다. 이 때 매크로 블럭들의 움직임이 많은 경우 압축된 데이타의 양이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일정한 방향으로 적절히 움직임 벡터가 군을 이루는 경우에 이를 움직임 얼룩(Motion Smear)으로 정의하여 움직임 벡터의 양을 줄일 수 있는 움직임 벡타 검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동화상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움직임 벡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움직임 벡타 검출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움직임 벡타 검출 방법은,
동영상 데이타로부터 움직임 벡터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움직임 벡터의 크기 및 각도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움직임 벡터들의 각도 성분을 평균하여 각도 평균값을 구하는 단계; 상기 각도 평균치를 기준으로 소정 범위 이내의 움직임 벡터를 군집화하는 단계; 및 상기 군집화된 매크로 블럭에 한 개의 움직임 벡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동화상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여러 개의 동화상은 각각의 정지화상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정지화상들은 여러 개의 매크로 블럭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음 정지화상인 P-픽쳐(P-picture)는 이전의 기준화상과의 비교를 통하여 움직임 벡터들을 갖게 된다.
도 2는 움직임 벡터를 도시한 것으로, 움직임 벡터벡터의 기본성질인 크기와 각도를 갖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움직임 벡타 검출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을 통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움직임 벡터를 검출(31)하고, 그 움직임 벡터의 크기 및 각도 성분을 추출(32)한다. 이 때, 움직임 벡터들의 각도 성분을 평균하여 각도 평균값을 구한다(33). 이렇게 구한 평균값을 기준값으로 하여, 평균값의 일정 배율(예를 들면 3%-5%) 이내의 값을 갖는 매크로 블럭들의 움직임은 배경화상이 중심이 되는 객체를 기준으로 균일하게 움직임을 갖는 것으로 판단하여 더 큰 범위의 블럭을 구성(34)하여 한 개의 움직임 벡터를 전송(35)한다. 즉 각도 평균치를 기준으로 일정 범위 이내의 움직임 벡터를 움직임 얼룩(motion smear)로 규정하고 이를 군집화한 다음 군집화된 매크로 블럭에 한 개의 움직임 벡터를 전송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움직임 벡타 검출 방법에 의하면, 각도 평균치를 기준으로 일정 범위 이내의 움직임 벡터를 군집화한 다음 군집화된 매크로 블럭에 한 개의 움직임 벡터를 전송함으로써, 전송되는 움직임 벡터의 수와 양을 줄일 수 있다.

Claims (4)

  1. 동영상 데이타로부터 움직임 벡터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움직임 벡터의 크기 및 각도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움직임 벡터들의 각도 성분을 평균하여 각도 평균값을 구하는 단계;
    상기 각도 평균치를 기준으로 소정 범위 이내의 움직임 벡터를 군집화하는 단계; 및
    상기 군집화된 매크로 블럭에 한 개의 움직임 벡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 벡타 검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군집화단계는
    상기 각도 평균값의 일정 배율 이내의 값을 갖는 움직임 벡터를 군집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 벡타 검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평균값의 일정 배율을 3%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 벡타 검출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평균값의 일정 배율을 5%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 벡타 검출 방법.
KR1019970000328A 1997-01-09 1997-01-09 움직임 벡타 검출 방법 KR100231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0328A KR100231894B1 (ko) 1997-01-09 1997-01-09 움직임 벡타 검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0328A KR100231894B1 (ko) 1997-01-09 1997-01-09 움직임 벡타 검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380A true KR19980065380A (ko) 1998-10-15
KR100231894B1 KR100231894B1 (ko) 1999-12-01

Family

ID=19494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0328A KR100231894B1 (ko) 1997-01-09 1997-01-09 움직임 벡타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18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788B1 (ko) * 1999-02-01 2007-11-0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동영상의 움직임 활동 특징 기술 방법 및 장치
KR100841176B1 (ko) * 2007-09-19 2008-06-2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동영상의 움직임 활동 특징 기술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788B1 (ko) * 1999-02-01 2007-11-0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동영상의 움직임 활동 특징 기술 방법 및 장치
KR100841176B1 (ko) * 2007-09-19 2008-06-2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동영상의 움직임 활동 특징 기술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31894B1 (ko) 1999-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20355B1 (en) Apparatus for determining motion vectors through the use of an adaptive median filtering technique
Park et al. Fast multi-type tree partitioning for versatile video coding using a lightweight neural network
US6690729B2 (en) Motion vector search apparatus and method
US6748113B1 (en) Noise detecting method, noise detector and image decoding apparatus
US6418168B1 (en) Motion vector detection apparatus, method of the same,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CN100579233C (zh) 变换域中零的早期检测
EP0722252A1 (en) Boundary matching motion estimation apparatus
CN107646194A (zh) 用于视频运动补偿的装置和方法
EP0720356B1 (en) Apparatus for determining motion vectors
KR100231894B1 (ko) 움직임 벡타 검출 방법
KR100649654B1 (ko) 모션 벡터의 송신 비용 절감을 위한 모션 추정 방법
JP2003143609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記録媒体及びプログラム
US8253817B2 (en) Image compression method, device, electronic camera, and program
CN111770334B (zh) 数据编码方法及装置、数据解码方法及装置
KR19980036073A (ko) 움직임 벡터 검출 방법 및 장치
JP3769773B2 (ja) 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および検出方法
Vella et al. Robust digital image stabilization algorithm using block motion vectors
JPH05236452A (ja) 動ベクトル検出方法及び検出装置
US7092575B2 (en) Moving image encoding apparatus and moving image encoding method
JP3237815B2 (ja) 動きベクトル探索方法および装置
KR100208984B1 (ko) 물체의 윤곽선을 이용한 움직임 벡터 추정 장치
JP4003149B2 (ja) 画像符号化装置及びその方法
JPH07288817A (ja) 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
KR20010012110A (ko) 화상 부호화 장치 및 방법
CN110191347B (zh) 基于特征点检测的全景视频的传输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