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5346U - Refrigerant pipe of refrigeration cycle system - Google Patents

Refrigerant pipe of refrigeration cycl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5346U
KR19980065346U KR2019980015626U KR19980015626U KR19980065346U KR 19980065346 U KR19980065346 U KR 19980065346U KR 2019980015626 U KR2019980015626 U KR 2019980015626U KR 19980015626 U KR19980015626 U KR 19980015626U KR 19980065346 U KR19980065346 U KR 1998006534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illary tube
refrigerant
evaporator
heat exchang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562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재정
Original Assignee
박재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정 filed Critical 박재정
Priority to KR20199800156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5346U/en
Publication of KR199800653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5346U/en

Links

Landscapes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동사이클장치의 팽창기와 증발기 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모세관 및 증발기 흡입관의 결합 구조를 개선한 냉동사이클장치의 냉매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nt tube of a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that improves the coupling structure of a capillary tube and an evaporator suction tube in which heat exchange between an expander and an evaporator of a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is performed.

본 고안에 따른 냉동사이클장치의 냉매관은 모세관과 증발기의 흡입관을 인접 배치하여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냉매관 고정 구조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의 내측 소정 구간에 모세관을 삽입 설치하여 고정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refrigerant pipe of the refrigerating cycl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frigerant pipe fixing structure in which heat exchange is performed by arranging a capillary tube and a suction tube of an evaporator adjacent to each other, wherein the capillary tube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a predetermined section inside the suction tube. do.

따라서, 증발기의 흡입관 내에 모세관을 배치 고정함으로써 약간의 솔더링 공정만이 요구되어 땜납의 유독성에 의한 환경 오염 및 작업자의 납중독 위험성이 현저히 줄어들고, 이에 따른 솔더링 장비(수소발생기)의 조작시 역화(逆火)에 의한 폭발의 위험성도 거의 없으며, 제작비용의 절감을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할 경우에도 열교환 성능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고, 상기 열교환 효율이 현저히 향상되며, 냉매관의 절곡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관막힘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냉매의 흐름을 원활히 유지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효과를 갖는다.Therefore, by placing and fixing the capillary tube in the suction pipe of the evaporator, only a small soldering process is required, which significantly reduces the risk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lead poisoning of the worker due to the toxicity of the solder, and thus the backfire during operation of the soldering equipment (hydrogen generator). Almost no risk of explosion due to), can be expected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heat exchange performance can be maintained even in the long-term us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is significantly improved, even when the refrigerant pipe bent The clogging phenomenon does not occur and has various effects such as keeping the refrigerant flowing smoothly.

Description

냉동사이클장치의 냉매관Refrigerant pipe of refrigeration cycle system

본 고안은 냉동사이클장치의 냉매관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증발기의 흡입관 내에 모세관을 배치 고정함으로써 상기 흡입관과 모세관 간의 열교환이 활발히 이루어짐은 물론, 소정 부분을 절곡하는 경우에도 모세관의 찌그러짐에 의한 관막힘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냉매의 흐름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된 냉동사이클장치의 냉매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nt pipe coupling structure of a refrigerating cycle apparatus, and in particular, by arranging and fixing a capillary tube in a suction tube of an evaporator, heat exchange between the suction tube and the capillary tube is actively performed, and even when bending a predetermined portion, It is related with the refrigerant pipe of the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that the pipe blockage does not occur to facilitate the flow of the refrigerant.

일반적인 냉동사이클장치는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온저압의 기체냉매를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로 변화시키는 압축기(10)와, 이 압축기(10)에서 변화된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를 상온고압의 액체냉매로 변화시키는 응축기(20)와, 이 응축기(20)를 거친 상온고압의 액체냉매를 제습하기 위한 드라이어(25)와, 이 드라이어(25)를 거쳐 제습된 상온고압의 액체냉매를 저온저압의 액체냉매로 변화시키는 팽창기(30)와, 이 팽창기(30)에서 변화된 저온저압의 액체냉매를 기체상태로 변화시키면서 외부의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4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압축기(10)가 가동됨에 따라 방열 및 흡열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응축과정 및 증발과정을 통해 냉각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기기의 내부에는 각 구성부품 간을 연결하는 배관을 통해 순환하며 열교환을 수행하기 위한 냉매가 충전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a general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includes a compressor 10 for converting a low-temperature low-pressure gas refrigerant into a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gas refrigerant, and a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gas refrigerant changed by the compressor 10 at room temperature. A condenser 20 for changing into a high-pressure liquid refrigerant, a dryer 25 for dehumidifying the liquid refrigerant having a normal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through the condenser 20, and a liquid refrigerant of normal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dehumidified through the dryer 25. And an evaporator 40 for absorbing external heat while changing the low temperature and low pressure liquid refrigerant changed in the gas state into a gaseous state. As 10) is operated, cooling is performed through a condensation process and an evaporation process in which heat dissipation and endotherm are continuously performed. 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device is circulated through a pipe connecting each component and the refrigerant for performing heat exchange.

상기 팽창기(30)는 가정용 냉장고나 실내 온도조절장치 또는 소규모 냉동시설에 적합한 모세관(31)을 주로 사용하며, 길이가 길고 지름이 작은 관으로서, 상기 모세관(31)을 지나는 동안 냉매의 흐름을 감소시킴으로써 압력을 저하시켜 주게 된다.The inflator 30 mainly uses a capillary tube 31 suitable for a domestic refrigerator, an indoor thermostat, or a small refrigerator, and has a long length and a small diameter tube, and reduces the flow of refrigerant while passing through the capillary tube 31. This lowers the pressure.

즉, 상기 모세관(31)은 압축기(10)가 작동되는 동안 증발기(40)에서 기화하는 양을 충당할 수 있는 정도에 해당하는 알맞은 양의 액체냉매를 통과시킴으로써 냉매를 조절하게 되고, 고압의 액체냉매를 증발 압력으로 저하시켜 모세관(31)의 끝부분에 이르렀을 때 냉매의 10∼20% 정도에 해당하는 양이 기화하게 된다.That is, the capillary tube 31 controls the refrigerant by passing an appropriate amount of liquid refrigerant corresponding to the amount that can cover the amount of vaporization in the evaporator 40 while the compressor 10 is operated, and the high pressure liquid When the refrigerant is lowered to the evaporation pressure and reaches the end of the capillary tube 31, the amount corresponding to about 10 to 20% of the refrigerant is vaporized.

또한, 상기 모세관(31)은 도3a 및 도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증발기(40)와 압축기(10) 사이에 연결된 흡입관(41)의 외주면 상에 연납땜 또는 경납땜으로 용착되어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밀착 고정되거나, 또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관(41)의 외주면 길이방향으로 상기 모세관(31)을 배열한 후 상기 흡입관(41) 및 모세관(31)의 외주에 수축필름(52)을 씌워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수축필름(52) 방식은 냉, 온수기 등에 주로 사용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50은 열교환부, 51은 땜납을 각각 나타낸다.In addition, the capillary tube 31 is welded or braz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ction pipe 41 connected between the evaporator 40 and the compressor 10, as shown in FIGS. 4, or the capillary tube 31 i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ction tube 41, and then the shrinkage film 52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uction tube 41 and the capillary tube 31. ) So that it can be fixed tightly. The shrink film 52 method is mainly used for cold, water heaters, and the like. In the drawings, reference numeral 50 denotes a heat exchange unit, and 51 denotes a solder.

이러한 일반적인 냉동사이클장치의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inciple of this general refrigeration cycle device is as follows.

먼저, 열을 흡수하여 주변을 냉각시켜주는 증발기(40)를 통과하면서 저온저압의 상태로 변화된 기체냉매가 상기 압축기(10) 내부로 흡입되어 압축됨으로써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로 변화되고, 상기 압축기(10)는 이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를 상기 응축기(20)로 토출해주게 된다. 상기 응축기(20)는 주위온도가 상온인 상태에서 약 35∼38。C의 온도분포를 이루게 되며, 이 온도분포에 의한 상기 응축기(20) 내의 냉매 압력은 약 7∼9 기압이 된다.First, a gas refrigerant changed into a state of low temperature and low pressure while passing through an evaporator 40 that absorbs heat to cool the surroundings is sucked into the compressor 10 to be compressed into a gas refrigerant having a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and the compressor ( 10) discharges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gas refrigerant to the condenser 20. The condenser 20 has a temperature distribution of about 35 to 38 ° C. at ambient temperature, and the refrigerant pressure in the condenser 20 by this temperature distribution is about 7 to 9 atmospheres.

계속해서, 상기 응축기(20) 내부로 유입된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는 주변의 물 또는 공기와 열교환을 하여 냉각됨으로써 상온 이상의 고압 포화액체냉매로 변화된 후 상기 모세관(31)으로 유입되고, 고압의 액체냉매는 상기 모세관(31)의 저항에 의해 압력이 저하되어 저온저압의 액체냉매로 변화된 후, 다시 상기 증발기(40)로 유입되는 것이다.Subsequently,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gas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condenser 20 is converted into a high pressure saturated liquid refrigerant at room temperature or higher by being cooled by heat exchange with surrounding water or air, and then flows into the capillary tube 31 and the high pressure liquid. The refrigerant is reduced in pressure by the resistance of the capillary tube 31, is changed into a liquid refrigerant of low temperature and low pressure, and then flows back into the evaporator 40.

실제로, 상기 응축기(20)를 통해 팽창기(30)로 유입되는 액체냉매의 일부는 상기 팽창기(30)의 감압작용에 의해 증기화하여 기체와 액체가 혼합된 습증기의 형태를 유지하게 된 후 상기 증발기(40)로 유입되며, 상기 증발기(40)로 유입된 저온저압의 냉매는 주변 온도에 비해 저온 상태를 유지함으로 주변열을 흡수하면서 활발한 증발이 이루어져 냉각작용을 수행하게 되고, 이 증발기(40)를 경유하게 되면 다소 과열된 포화증기로 변화한다.In fact, a part of the liquid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expander 30 through the condenser 20 is vaporized by the depressurization of the expander 30 to maintain the form of wet steam in which gas and liquid are mixed. The low temperature low pressur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evaporator 40 maintains a low temperature state compared to the ambient temperature, absorbs ambient heat, and actively evaporates to perform a cooling operation. When the gas is changed into a slightly overheated saturated steam.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냉동사이클장치의 냉매관은 상기 흡입관(41)과 모세관(31)을 고정하는 과정에서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있거나, 파손 또는 사용중에 이격되어 열교환 성능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refrigerant pipe of the refrigerating cycl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problem such as a risk of a safety accident in the process of fixing the suction pipe 41 and the capillary tube 31, or the heat exchange performance is degraded by being damaged or separated during use. there was.

즉, 솔더링(용접)에 의한 고정방식에서는 공정 진행중 땜납(51)의 유독성에 의해 환경 오염 및 작업자의 납중독 위험성이 있고, 솔더링 장비(수소발생기)의 조작시 역화(逆火)에 의한 폭발의 위험성이 있으며, 상기 솔더링 장비의 오동작으로 인한 제품 불량률이 높고, 이에 따른 제작비용의 상승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모세관(31)의 길이 규격을 정확히 유지하기에 곤란하고, 장기간 사용할 경우, 용접부가 이격되어 열교환 성능 및 효율이 저하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한 개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기존의 솔더링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은 30∼40초 정도이다.That is, in the fixing method by soldering, there is a risk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lead poisoning of the worker due to the toxicity of the solder 51 during the process, and the risk of explosion due to backfire when operating the soldering equipment (hydrogen generator). There is a high defect rate of the product due to the malfunction of the soldering equipment, resulting in an increase in the manufacturing cos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maintain the length specifications of the capillary tube 31, in the case of long-term use, the weld is spaced apart heat exchange Performance and efficiency are deteriorated. Typically, the time required for conventional soldering to produce a single product is about 30 to 40 seconds.

이러한 종래의 솔더링 방식에 의하면, 기계 자체의 노화에 따른 부품 교체 비용도 고려하여야 하므로, 상기 솔더링 장비를 보수, 유지 및 관리하는데 따른 상당한 추가 부대비용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soldering method, the cost of replacing parts due to the aging of the machine itself must als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considerable additional incidental cost for repairing, maintaining, and managing the soldering equipment is generated.

또한, 상기와 같이 용접된 상태에서 냉매관의 절곡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관경이 매우 작은 모세관(31)이 꺾이면서 관막힘 현상이 발생하여 냉매의 흐름을 방해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refrigerant pipe is bent in the welded state as described above, the capillary tube 31 having a very small pipe diameter is bent, which causes a blockage of the tube, thereby preventing the flow of the refrigerant.

한편, 수축필름(52)을 씌워 고정하는 방식에 있어서는 공정 진행이 수월하고 경제적인 장점이 있으나, 진동 소음이 발생하게 되고, 열교환 작용시의 열전달에 의해 재질 자체가 점진적으로 경화됨으로써 겨울철에 파손되기 쉬운 취약성이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method of covering and fixing the shrink film 52, the process proceeds easily and economically, but vibration noise is generated and the material itself is gradually hardened by heat transfer during heat exchange, thereby being damaged in winter. There is an easy vulnerability.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증발기의 흡입관 내에 모세관을 배치 고정함으로써 상기 흡입관과 모세관 간의 열교환이 활발히 이루어짐은 물론, 소정 부분을 절곡하는 경우에도 모세관의 찌그러짐에 의한 관막힘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냉매의 흐름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된 냉동사이클장치의 냉매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by arranging and fixing the capillary tube in the suction tube of the evaporator, the heat exchange between the suction tube and the capillary tube is actively performed, as well as by bending of the capillary tube when bending a predetermined por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frigerant pipe of a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in which a pipe blockage does not occur so that the flow of refrigerant can be smoothly performed.

도1은 일반적인 냉동사이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general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도2는 일반적인 냉동사이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general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도3a는 종래 기술에 따른 모세관 및 증발기 흡입관의 열교환 구조를 도시한 도2의 A부확대 사시도이다.3A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ortion A of FIG. 2 illustrating a heat exchange structure of a capillary tube and an evaporator suction tub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3b는 도3a의 I-I선 단면도이다.FIG. 3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3A.

도4는 종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세관 및 증발기 흡입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capillary tube and an evaporator suction tub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도5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세관 및 증발기 흡입관의 열교환 구조를 도시한 도2의 A부확대 사시도이다.5A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ortion A of FIG. 2 showing a heat exchange structure of a capillary tube and an evaporator suction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b는 도5a의 II-II선 단면도이다.FIG. 5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5A.

도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세관 및 증발기 흡입관의 열교환 구조를 도시한 도2의 A부확대 단면도이다.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portion A of FIG. 2 illustrating a heat exchange structure of a capillary tube and an evaporator suction tub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세관 및 증발기 흡입관의 열교환 구조를 도시한 도2의 A부확대 단면도이다.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portion A of FIG. 2 showing a heat exchange structure of a capillary tube and an evaporator suction tub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code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 ; 압축기 20 ; 응축기10; Compressor 20; Condenser

25 ; 드라이어 30 ; 팽창기25; Dryer 30; Inflator

31 ; 모세관 40 ; 증발기31; Capillary tube 40; evaporator

41 ; 흡입관 50 ; 열교환부41; Suction pipe 50; Heat exchanger

51 ; 땜납 52 ; 수축필름51; Solder 52; Shrink film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냉동사이클장치의 냉매관은 모세관과 증발기의 흡입관을 인접 배치하여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냉매관 고정 구조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의 내측 소정 구간에 모세관을 삽입 설치하여 고정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refrigerant pipe of the refrigerating cycl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refrigerant pipe fixing structure in which the heat exchange can be made by arranging the capillary tube and the suction tube of the evaporator adjacent, inserting the capillary tube in a predetermined section inside the suction tube It is characterized by installing and fixing.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2는 본 고안의 냉매관이 적용되는 냉동사이클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5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세관(31) 및 증발기(40) 흡입관(41)의 열교환 구조에 대한 도2의 A부확대 사시도, 도5b는 도5a의 II-II선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며, 도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세관(31) 및 증발기(40) 흡입관(41)의 열교환 구조에 대한 도2의 A부확대 단면도, 도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세관(31) 및 증발기(40) 흡입관(41)의 열교환 구조에 대한 도2의 A부확대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Figure 2 schematically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to which the refrigerant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5a is a heat exchange structure of the capillary tube 31 and the evaporator 40 suction pipe 4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art A of FIG. 2, and FIG. 5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5A, and FIG. 6 is a capillary tube 31 and an evaporator 40 suction tube 4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portion A of FIG. 2 and FIG. 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portion A of FIG. 2 of a heat exchange structure of a capillary tube 31 and an evaporator 40 suction tube 4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2와, 도5a 내지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냉동사이클장치의 냉매관은 모세관(31)과 증발기(40)의 흡입관(41)을 인접 배치하여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냉매관 고정 구조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41)의 내측 소정 구간에 모세관(31)을 삽입 설치하여 고정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냉동사이클장치의 전체 구성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2 and 5a to 7, the refrigerant pipe of the refrigerating cycl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so that the heat exchange can be made by arranging the capillary 31 and the suction pipe 41 of the evaporator 40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refrigerant pipe fixing structure, the capillary tube 31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a predetermined section inside the suction pipe 41. Here, since the entire configuration of the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is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on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5a 및 도5b는 본 고안에 따른 제 1 실시예를 제시하고 있다. 즉, 상기 모세관(31)은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상기 흡입관(41)의 내측에 삽입 고정된 구조를 이루는 것이다.5a and 5b show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capillary tube 31 forms a structure fixedly inserted into the suction tube 41 over its entire length.

상기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세관(31)의 외측과 흡입관(41)의 내측 간에는 실납을 사용하여 용착 고정시킬 수도 있고, 또는 이들 간에 어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하지 않은채 단순히 상기 흡입관(41)의 냉매중에 상기 모세관(31)을 배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실납을 사용한 용접방법은 상기 모세관(31)의 외측과 흡입관(41)의 내측 간에 실납을 개재한 상태에서 가열로 내에 투입하여 고주파 가열함으로써 용착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수백개의 냉매관을 가열로에 투입하여 동시 제작이 가능하므로 수초 내에 동일한 제품을 다량 생산할 수 있게 된다.In the first embodiment, welding may be fixed between the outer side of the capillary tube 31 and the inner side of the suction tube 41 by using solder, or the suction tube 41 is simply maintained without any coupling state therebetween. The capillary tube 31 may be disposed in the coolant in the FIG. Here, the welding method using the solder is put in a heating furnace by welding between the outside of the capillary 31 and the inside of the suction pipe 41 in a heating furnace with welding. As a result, hundreds of refrigerant pipes can be put into a heating furnace to simultaneously produce a large amount of the same product within a few seconds.

이와 같은 구조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흡입관(41)을 절곡하게 되는 경우에도 상기 모세관(31)의 꺾임에 의한 관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열교환 성능 및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By maintain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even when the suction pipe 41 is bent, the clogging phenomenon due to the bending of the capillary tube 31 can be prevented and heat exchange performance and efficiency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한편,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제 2 실시예를 제시하고 있다. 즉, 상기 흡입관(41)은 소정 구간에 해당하는 양쪽 위치에 삽입구멍이 각각 형성되고, 이 삽입구멍을 통해 상기 흡입관(41)의 내측으로 상기 모세관(31)의 전체 길이중 소정 구간이 삽입 고정된 구조를 이루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6 shows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suction pipe 41 has insertion holes respectively formed at both positions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section, and the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entire length of the capillary tube 31 is fixedly inserted into the suction pipe 41 through the insertion hole. It is to achieve the structure.

또한,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제 3 실시예를 제시하고 있다. 즉, 상기 흡입관(41)은 소정 위치에 삽입구멍이 형성되고, 이 삽입구멍을 통해 상기 흡입관(41)의 내측으로 상기 모세관(31)의 전체 길이중 일부가 삽입 고정된 구조를 이루는 것이다.In addition, Figure 7 shows a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suction pipe 41 has an insertion hole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part of the entire length of the capillary tube 31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inside of the suction pipe 41 through the insertion hole.

상기의 제 2 실시예나 제 3 실시예에 있어서도, 전술한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은 작용 및 효과가 발휘된다. 다만, 상기 모세관(31)의 삽입 구간 및 이에 따른 절곡 구조에 변화가 있을 뿐이며, 상기 흡입관(41) 내에 상기 모세관(31)이 인입 또는 인출되는 삽입구멍의 둘레를 밀봉하기 위하여 그 둘레를 용접하는 별도의 공정이 진행되어야 한다.Also in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same operations and effects as in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are exhibited. However, there is only a change in the insertion section of the capillary tube 31 and the bending structure according thereto,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capillary tube 31 is welded to seal the circumference of the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the capillary tube 31 is inserted or drawn out in the suction tube 41. A separate process must be carried out.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냉동사이클장치의 냉매관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nt pipe of the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본 고안에 따른 냉동사이클장치에 의하면, 먼저, 열을 흡수하여 주변을 냉각시켜주는 증발기(40)를 통과하면서 저온저압의 상태로 변화된 기체냉매가 상기 압축기(10) 내부로 흡입되어 압축됨으로써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로 변화되고, 상기 압축기(10)는 이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를 상기 응축기(20)로 토출해주게 된다. 상기 응축기(20)는 주위온도가 상온인 상태에서 약 35∼38。C의 온도분포를 이루게 되며, 이 온도분포에 의한 상기 응축기(20) 내의 냉매 압력은 약 7∼9 기압이 된다.According to the refrigerating cycl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gas refrigerant changed into a state of low temperature low pressure while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40 to absorb the heat to cool the surroundings is sucked into the compressor 10 to compress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Is converted into a gas refrigerant, and the compressor 10 discharges the gas refrigerant of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to the condenser 20. The condenser 20 has a temperature distribution of about 35 to 38 ° C. at ambient temperature, and the refrigerant pressure in the condenser 20 by this temperature distribution is about 7 to 9 atmospheres.

계속해서, 상기 응축기(20) 내부로 유입된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는 주변의 물 또는 공기와 열교환을 하여 냉각됨으로써 상온 이상의 고압 포화액체냉매로 변화된 후 상기 모세관(31)으로 유입되고, 고압의 액체냉매는 상기 모세관(31)의 저항에 의해 압력이 저하되어 저온저압의 액체냉매로 변화된 후, 다시 상기 증발기(40)로 유입되는 것이다.Subsequently,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gas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condenser 20 is converted into a high pressure saturated liquid refrigerant at room temperature or higher by being cooled by heat exchange with surrounding water or air, and then flows into the capillary tube 31 and the high pressure liquid. The refrigerant is reduced in pressure by the resistance of the capillary tube 31, is changed into a liquid refrigerant of low temperature and low pressure, and then flows back into the evaporator 40.

상기 응축기(20)를 통해 팽창기(30)로 유입되는 액체냉매의 일부는 상기 팽창기(30)의 감압작용에 의해 증기화하여 기체와 액체가 혼합된 습증기의 형태를 유지하게 된 후 상기 증발기(40)로 유입되며, 상기 증발기(40)로 유입된 저온저압의 냉매는 주변 온도에 비해 저온 상태를 유지함으로 주변열을 흡수하면서 활발한 증발이 이루어져 냉각작용을 수행하게 되고, 이 증발기(40)를 경유하게 되면 다소 과열된 포화증기로 변화한다.A portion of the liquid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expander 30 through the condenser 20 is vaporized by the depressurization of the expander 30 to maintain the shape of wet steam in which gas and liquid are mixed, and then the evaporator 40. ), The low temperature low pressur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evaporator 40 maintains a low temperature state compared to the ambient temperature, thereby absorbing ambient heat and actively performing evaporation to perform a cooling operation, and through the evaporator 40. This results in a slightly overheated saturated steam.

이때, 상기 모세관(31)은 증발기(40)의 흡입관(41) 내부를 통과하고 있으므로, 상기 흡입관(41)의 내측을 흐르는 선행 냉매와의 열교환이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since the capillary tube 31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suction pipe 41 of the evaporator 40, heat exchange with the preceding refrigerant flowing inside the suction pipe 41 can be actively performed.

아울러, 본 고안의 구조는 흡입관(41) 및 모세관(31)의 재질에 관계없이(예컨데, 구리, 강, 스테인레스 스틸, 알미늄 또는 특수 플라스틱 등에 해당함.) 폭넓게 적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und to be widely applicable regardless of the material of the suction pipe 41 and the capillary tube 31 (for example, copper, steel, stainless steel, aluminum or special plastics, etc.).

이상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냉동사이클장치의 냉매관에 의하면, 증발기의 흡입관 내에 모세관을 배치 고정함으로써 단순 솔더링 공정만이 요구되어 땜납의 유독성에 의한 환경 오염 및 작업자의 납중독 위험성이 현저히 줄어들고, 이에 따른 솔더링 장비(수소발생기)의 조작시 역화(逆火)에 의한 폭발의 위험성도 거의 없으며, 가열로를 이용하여 솔더링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수백개의 제품을 수초 내에 동시 제작할 수 있게 되어 대량 생산 및 제품 규격화에 적합하고, 솔더링 장비의 오동작으로 인한 제품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제작비용의 절감을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할 경우에도 열교환 성능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고, 상기 열교환 효율이 현저히 향상되며, 냉매관의 절곡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관막힘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냉매의 흐름을 원활히 유지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refrigerant tube of the refrigerating cycl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placing and fixing the capillary tube in the suction pipe of the evaporator, only a simple soldering process is required, which significantly reduces the risk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lead poisoning of the operator due to the toxicity of the solder. There is almost no risk of explosion due to backfire when operating the soldering equipment (hydrogen generator) according to this, and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hundreds of products simultaneously in a few seconds because soldering work is performed by using a heating furnace. It is suitable for product standardization and minimizes product defect rate due to malfunction of soldering equipment, which can be expected to reduce production costs, and can maintain heat exchange performance even after long-term use. It is very improved, and even when the coolant pipe is bent, the clogging phenomenon does not occur and thus various effects such as smoothly maintaining the flow of the coolant are provided.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하나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의 구체예를 바탕으로 한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for only one preferred embodiment, but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above embodiments. It is natural that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4)

모세관과 증발기의 흡입관을 인접 배치하여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냉매관 고정 구조에 있어서,In the refrigerant pipe fixing structure that the heat exchange can be made by arranging the capillary tube and the suction pipe of the evaporator, 상기 흡입관의 내측 소정 구간에 모세관을 삽입 설치하여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사이클장치의 냉매관.A refrigerant pipe of a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capillary tube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a predetermined section inside the suction pip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모세관은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상기 흡입관의 내측에 삽입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냉동사이클장치의 냉매관.The capillary tube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inside of the suction pipe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refrigerant pipe of the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흡입관은 소정 구간에 해당하는 양쪽 위치에 삽입구멍이 각각 형성되고, 이 삽입구멍을 통해 상기 흡입관의 내측으로 상기 모세관의 전체 길이중 소정 구간이 삽입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냉동사이클장치의 냉매관.The suction pipe has insertion holes respectively formed at both positions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section, and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entire length of the capillary tube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inside of the suction pipe through the insertion hole. .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흡입관은 소정 위치에 삽입구멍이 형성되고, 이 삽입구멍을 통해 상기 흡입관의 내측으로 상기 모세관의 전체 길이중 일부가 삽입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냉동사이클장치의 냉매관.The suction pipe has an insertion hole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the refrigerant pipe of the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 part of the entire length of the capillary tube is inserted into the suction pipe through the insertion hole.
KR2019980015626U 1998-08-20 1998-08-20 Refrigerant pipe of refrigeration cycle system KR19980065346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626U KR19980065346U (en) 1998-08-20 1998-08-20 Refrigerant pipe of refrigeration cycl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626U KR19980065346U (en) 1998-08-20 1998-08-20 Refrigerant pipe of refrigeration cycle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346U true KR19980065346U (en) 1998-11-25

Family

ID=69510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5626U KR19980065346U (en) 1998-08-20 1998-08-20 Refrigerant pipe of refrigeration cycl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5346U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470B1 (en) * 2010-07-26 2011-05-09 태성전기(주) Heat exchange pipe manufacturing equipment for freezing cycle
KR20170081919A (en) * 2016-01-05 201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470B1 (en) * 2010-07-26 2011-05-09 태성전기(주) Heat exchange pipe manufacturing equipment for freezing cycle
KR20170081919A (en) * 2016-01-05 201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11115B2 (en) Air conditioner
KR20130097346A (en) Refrigerator
JP2008524550A (en) Heat exchanger and heat pump circuit
KR20130108274A (en) Heat storage device, and air conditioner provided with said heat storage device
KR19980065346U (en) Refrigerant pipe of refrigeration cycle system
KR200386639Y1 (en) Heat exchanger of suction side for kimchi refrigerator
KR100667692B1 (en) Strainer of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00031340A (en) Indoor heat exchanger
KR102608402B1 (en) co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ion metho of piping for vehicle air conditioner
KR102385752B1 (en) Heat exchange assembly for refrigeration cy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of
KR200351613Y1 (en) Heat pump for liquid preheater
KR200284797Y1 (en) Capillary tube for air-conditioner
KR100686583B1 (en) Heat Pump with Defrosting Function using Heat Pipe to be attached on the Fan Motor
KR200352292Y1 (en) Heat pump for receiver tank
KR0160867B1 (en) Refrigerant pipe fixing structure for airconditioner condenser
KR100453270B1 (en) Heat exchanger assembly of condenser for refrigerator
KR100211252B1 (en) A coil type condens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0156827Y1 (en) A variable volume evaporation saucer of a refrigerator
KR100512418B1 (en) condensation system using refrigerant
KR100512525B1 (en) Pipe laying structure of refrigerant of Kim-Chi Storage
KR200275709Y1 (en) Heat exchanger assembly of condenser for refrigerator
KR100237792B1 (en) Cooling device for showcase
CN1940411B (en) Capillary-tube fixing structure of freezing circulator
KR100235875B1 (en) Airconditioner for a car
KR20240051445A (en) Integral pipe for refrigerating cycle, manufactu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