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4605A - Mobile Phone Hand-free Device - Google Patents

Mobile Phone Hand-fre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4605A
KR19980064605A KR1019970073437A KR19970073437A KR19980064605A KR 19980064605 A KR19980064605 A KR 19980064605A KR 1019970073437 A KR1019970073437 A KR 1019970073437A KR 19970073437 A KR19970073437 A KR 19970073437A KR 19980064605 A KR19980064605 A KR 19980064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helmet
incoming
free device
micro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34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야마카와가쓰히코
마에다유지
Original Assignee
하라다슈이치
하라다고교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라다슈이치, 하라다고교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하라다슈이치
Publication of KR19980064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4605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30Mounting radio sets or communic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5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head, throat or bre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휴대 전화기 핸드프리 장치는, 휴대 전화기(10)와, 이에 접속 수단(20)을 거쳐 전장 부품 회로가 접속되는 두부 보호용 헬멧(30)과, 상기 헬멧(30)내의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 장착되어, 휴대 전화기(11)로부터 전송되는 착신 신호에 근거하여 발광하는 착신 보지(報知)용 발광 소자(32)와, 이 발광 소자(32)의 발광을 눈으로 확인했을 때에 온 조작되는 착신 확인 스위치(34)와, 이 스위치(34)가 온 조작되었을 때에 작동 상태로 되도록, 헬멧(30)내의 음성 입력 가능한 위치에 장착되는 마이크로폰(35)과, 이 마이크로폰(35)으로부터의 음성 입력 신호와 휴대 전화기(10)로 수신한 착신 신호 및 음성 입력 신호를 음향으로서 청취할 수 있도록, 헬멧(30)내의 귀에 닿는 부분 근방에 장착되는 스피커(36)로 구성되어 있다.The mobile phone hand-fre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dentified by the mobile phone 10, the head protection helmet 30 to which the electrical component circuit is connected via the connecting means 20, and the eyes in the helmet 30. It is mounted at a position and operated on when visual confirmation of the incoming light emitting element 32 and the light emitting element 32 which emit light based on the incom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phone 11. A reception confirmation switch 34, a microphone 35 mounted at a position capable of inputting voice in the helmet 30 so that the switch 34 is in an operating state when the switch 34 is operated on, and voice input from the microphone 35 The speaker 36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a part of the helmet 30 that contacts the ear so that the signal and the incoming signal and the voice input signal received by the mobile phone 10 can be heard as sound.

Description

휴대 전화기 핸드프리 장치Mobile phone handfree unit

본 발명은, 두부(頭部) 보호용 헬멧에 휴대 전화의 호출음이 착신한 것을 보지(報知)하기 위한 착신 보지용 발광 소자, 착신을 확인하였을 때 온 조작되는 착신 확인 스위치, 마이크로폰, 스피커 등을 장착한 휴대 전화기 핸드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head protection helmet, a light emitting element for an incoming call holding device for holding a call ringing signal of a mobile phone, a call confirmation switch, a microphone, a speaker, and the like which are operated when the incoming call is confirmed. One mobile phone hand-free device.

두부 보호용 헬멧은, 예를 들면 오토바이 탑승자나 공사 현장 작업자 등이 두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의 두부 보호용 헬멧에는, 통상의 경우 휴대 전화기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또한, 두부 보호용 헬멧에 휴대 전화기 기능의 일부 또는 전체를 일체적으로 결합하고, 또한 휴대 전화기를 핸드프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은, 지금까지는 찾아 볼 수 없었다.The head protection helmet is worn by a motorcycle occupant or a construction site worker to protect the head, for example. Therefore, these head protection helmets are usually not provided with a mobile phone. In addition, it has not been found so far that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the mobile phone are integrally combined with the head protection helmet, and the mobile phone can be used as a hand free.

따라서, 두부 보호용 헬멧을 착용하고 있는 사람이 이동할 때 소지하고 있는 휴대 전화에 전화가 걸려 오더라도, 헬멧이 가지고 있는 방음 작용 등에 의해 그 호출 신호의 착신음을 알아 차릴 수 없거나, 착신 사실은 알아 차리더라도 일단 헬멧을 벗지 않으면 통화를 할 수 없기 때문에, 즉시 응답하는 것을 게을리 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두부 보호용 헬멧 착용중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의 응답 조작은, 일반적으로 늦고, 부적확(不的確)하게 되기 쉽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두부 보호용 헬멧 착용자에게 긴급 연락을 하려고 하더라도, 해당 헬멧 착용자에게 빨리 연락을 취할 수 없어서, 그 때문에 예기치 않은 사고나 손실의 확대를 초래할 우려가 있었다.Therefore, even if a person who wears a head protection helmet makes a call to his mobile phone when he / she moves, he / she may not be aware of the ringing tone of the call signal due to the soundproofing effect of the helmet, You can't make a call unless you take off your helmet, so you often neglect to respond immediately. Therefore, the response operation of the cellular phone while wearing the head protection helmet is generally late and is likely to be inaccurate. For this reason, for example, even if an emergency contact is made to the head wearer of the head protection helmet, the wearer of the helmet cannot be contacted quickly, which may lead to an unexpected accident or an increase in loss.

즉, 두부 보호용 헬멧 착용자로서는, 휴대 전화기 본래의 신속하고 적확한 통신 기능을 충분히 누릴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In other words, there is a problem that a head protection helmet wearer cannot sufficiently enjoy the fast and accurate communication function inherent in a mobile phone.

본 발명의 목적은, 두부 보호용 헬멧 착용중에 있어서도, 휴대 전화에의 응답을 신속하고 적확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작업을 안전하게 계속하면서, 상대와의 통화를 적확하게 할 수 있는 휴대 전화기 핸드프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phone hand-free device capable of quickly and accurately responding to a mobile phone even while wearing a head protection helmet, and capable of accurately making a call with an opponent while continuing work safely. It is to offer.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휴대 전화기 핸드프리 장치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MEANS TO SOLVE THE PROBLEM In order to solve the said subject and achieve the objective, the portable telephone hand-free apparatus of this invention is comprised as follows.

① 본 발명의 휴대 전화기 핸드프리 장치(10)는,① The cellular phone hand-free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휴대 전화기(10)와, 이 휴대 전화기(10)에 접속 수단(20)을 거쳐 전장 부품 회로가 접속되어 마련된 두부 보호용 헬멧(30)과, 상기 헬멧(30)내의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휴대 전화기(10)로부터 전송되는 착신 신호에 근거하여 발광하는 착신 보지용 발광 소자(32)와, 이 착신 보지용 발광 소자의 발광을 눈으로 확인했을 때 온 조작되는 착신 확인 스위치(34)와, 이 착신 확인 스위치(34)가 온 조작되었을 때 작동 상태로 되도록, 상기 헬멧(30)내의 음성 입력이 가능한 위치에 장착되는 마이크로폰(35)과, 이 마이크로폰(35)으로부터의 음성 입력 신호와 상기 휴대 전화기(10)로 수신한 착신 신호 및 음성 입력 신호를 음향으로써 청취 가능하도록, 상기 헬멧(30)내의 귀에 닿는 부분(37, 38)의 근방에 장착되는 스피커(36)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A head protection helmet 30 provided with a mobile phone 10, an electronic component circuit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10 via a connecting means 20, and a position mounted in a position that can be seen by the eyes in the helmet 30. And the reception confirmation switch 34 which is operated when visual confirmation of the light emission of the incoming call emission light emitting element 32 and the incoming call emission light emitting element is performed based on the incom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ellular phone 10. ) And a microphone 35 mounted at a position where voice input is possible in the helmet 30 so that the incoming call confirmation switch 34 is in an operating state when the call reception confirmation switch 34 is operated on, and a voice input signal from the microphone 35. And a speaker 36 mounted near the portions 37 and 38 in contact with the ear in the helmet 30 so that the incoming signal and the voice input signal received by the mobile phone 10 can be heard as sound. Characterized The.

② 본 발명의 휴대 전화기 핸드프리 장치(10)는, 상기 ①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2) The mobile phone hand-free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 ①,

상기 접속 수단(20)은, 도중에 점등 회로(A)와, 증폭 회로(B)와 전지(C)를 내장한 중계기(23)를 구비하고, 또 양쪽 단부에 각각 커넥터(21, 22)를 구비한 접속 케이블(20X)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The connecting means 20 includes a relay 23 having a lighting circuit A, an amplifying circuit B, and a battery C interposed therebetween, and connectors 21 and 22 respectively provided at both ends.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one connection cable 20X.

③ 본 발명의 휴대 전화기 핸드프리 장치(10)는, 상기 ①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3) The mobile phone hand-free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①,

한 쌍의 스피커(36, 36')를 좌우의 귀에 닿는 부분(37, 38) 근방에 각각 장착하여, 전환 스위치(41)의 전환 조작에 의해, 어느 한 쪽 스피커(36 또는 36')를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A pair of speakers 36 and 36 'are mounted in the vicinity of the portions 37 and 38 that touch the left and right ears, and either speaker 36 or 36' is selectively selected by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changeover switch 41. It is characterized by enabling to us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휴대 전화기 핸드프리 장치의 구성을 일부 간략화하여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implified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a cellular phone hand-fre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헬멧 전장(電裝) 부품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lmet electrical component mounting stat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휴대 전화기와 접속 수단과 헬멧 전장 부품의 전기적 접속 관계를 나타내는 회로도.3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electrical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mobile telephone, a connecting means and a helmet electrical compon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휴대 전화기 11 : 휴대 전화기 본체10: mobile phone 11: mobile phone body

12 : 안테나 13 : 외부 접속 커넥터12: antenna 13: external connection connector

20 : 접속 수단 21, 22 : 커넥터20: connection means 21, 22: connector

23 : 중계기 30 : 두부 보호용 헬멧23: repeater 30: head protection helmet

31 : 안면 커버 32 : 착신 보지용 발광 소자31 face cover 32 light emitting element for incoming call holding

33 : 외부 접속 커넥터 34 : 착신 확인 스위치33: external connection connector 34: incoming confirmation switch

35 : 마이크로폰 36, 36' : 스피커35: microphone 36, 36 ': speaker

제 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휴대 전화기 핸드프리 장치의 구성을 일부 간략화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참조부호(10)는 휴대 전화기이고, 참조부호(20)는 휴대 전화기와 헬멧과의 접속 수단이며, 참조부호(30)는 두부 보호용 헬멧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implified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a cellular phone hand-fre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1, reference numeral 10 is a mobile phone, reference numeral 20 is a connecting means between the mobile phone and a helmet, and reference numeral 30 is a head protection helmet.

휴대 전화기(10)는 거의 통상의 기능을 갖는 휴대 전화기 본체(11)와, 이 본체(11)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탈이 자유롭도록 장착된 안테나(12)로 이루어져 있다. 이 휴대 전화기 본체(11)의 케이스(11a)에는 외부 접속 커넥터(13)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휴대 전화기(10)는 단축 전화 번호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bile phone 10 is composed of a mobile phone main body 11 having almost normal functions and an antenna 12 mounted on the main body 11 so as to be detachable. The external connection connector 13 is provided in the case 11a of this cellular phone main body 11.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ellular phone 10 can use a speed dial number.

접속 수단(20)은, 휴대 전화기(10)를 다음에 설명하는 두부 보호용 헬멧(30)의 전장 부품 회로에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이 접속 수단(20)은 접속 케이블(20X)을 주체로 하여 구성되어 있고, 그 한쪽 단부에는 전화기 접속용 커넥터(21)를 갖고, 다른쪽 단부에는 헬멧 접속용 커넥터(22)를 가지며, 중간부에 증폭 회로 등을 포함하는 중계기(23)를 구비하고 있다.The connection means 20 is for connecting the mobile phone 10 to the electric component circuit of the head protection helmet 30 described below. The connecting means 20 mainly comprises a connecting cable 20X, has one end of the telephone connection connector 21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or 22 for a helmet connection. The repeater 23 including an amplification circuit and the like is provided.

전화기 접속용 커넥터(21) 및 헬멧 접속용 커넥터(22)는, 모두 플러그인(plug-in)식의 커넥터로서, 전화기 접속용 커넥터(21)는 휴대 전화기 본체(11)의 외부 접속 커넥터(13)에 대하여 착탈이 자유롭도록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헬멧 접속용 커넥터(22)는 다음에 설명하는 두부 보호용 헬멧(30)의 외부 접속 커넥터(33)에 대하여 착탈이 자유롭게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telephone connection connector 21 and the helmet connection connector 22 are both plug-in connectors, and the telephone connection connector 21 is an external connection connector 13 of the cellular phone main body 11. It can be connected so that attachment / detachment can be freely performed. In addition, the helmet connection connector 22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connector 33 of the head protection helmet 30 which is demonstrated below.

두부 보호용 헬멧(30)은, 예를 들면 오토바이 탑승시에 두부를 보호하기 위해 착용되는 헬멧이다. 이 두부 보호용 헬멧(30)의 안면 커버(31)의 내부 공간에 있어서의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는, 상기 휴대 전화기(1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착신 신호에 근거하여 발광하는 LED 등으로 이루어지는 착신 보지용 발광 소자(3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헬멧(30)의 목둘레 주변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헬멧 접속용 커넥터(22)가 삽입 접속되는 외부 접속 커넥터(33)가 마련되어 있다. 이 외부 접속 커넥터(33)에는, 상기 착신 보지용 발광 소자(32)의 발광을 눈으로 확인했을 때에 온 조작되는 원터치식의 누름 버튼형의 착신 확인 스위치(34)가 설치되어 있다.The head protection helmet 30 is, for example, a helmet worn to protect the head when riding a motorcycle. An incoming call holding made of an LED or the like which emits light based on an incom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phone 10 at a position that can be seen by the eye in the inner space of the face cover 31 of the head protection helmet 30. The light emitting element 32 is provided. The outer peripheral connector 33 into which the said helmet connection connector 22 is inserted and connected is provided in the peripheral part of the neck of the said helmet 30 as mentioned above. The external connection connector 33 is provided with a one-touch push-button type confirmation switch 34 that is operated on when the light emission of the incoming call light emitting element 32 is visually confirmed.

상기 헬멧(30)의 안면 커버(31)의 내부 공간에 있어서의 음성 입력이 가능한 위치에는, 헬멧 착용자에 의해 착신 확인 스위치(34)가 온 조작되었을 때에 작동 상태로 되는 마이크로폰(35)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헬멧(30)의 귀에 닿는 부분의 근방에는, 상기 마이크로폰(35)으로 잡힌 자기의 음성 입력 신호와, 상기 휴대 전화기(10)로 수신한 호출음의 발생용의 착신 신호 및 통화 상대로부터의 음성 입력 신호 등을 헬멧 착용자가 음향으로서 청취 가능하도록 마련된 스피커(36)가 장착되어 있다.In the position where the voice input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face cover 31 of the helmet 30 is possible, the microphone 35 which becomes an operating state when the incoming call confirmation switch 34 is turned on by the helmet wearer is mounted. have. In the vicinity of the portion of the helmet 30 that touches the ear, the voice input signal of the person held by the microphone 35, the incoming signal for generating the ringing tone received by the mobile phone 10, and the voice input from the call partner. The speaker 36 provided so that a helmet wearer can listen to a signal etc. as a sound is attached.

도 2는 본 실시예에 관한 헬멧(30)의 전장 부품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에 있어서, 참조부호(37, 38)는 헬멧(30)의 내층 부분의 일부를 구성하는 두께가 3㎝ 정도의 좌우의 귀에 닿는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의 귀에 닿는 부분(37, 38)은 유연성이 우수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전장 부품의 장착 상태를 명시하기 하기 위하여, 전장 부품이 장착되어 있는 왼쪽 귀에 닿는 부분(37)을 가상선(일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전장 부품을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다.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unting state of electrical components of the helmet 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FIG. 2, reference numerals 37 and 38 represent portions where a part of the inner layer portion of the helmet 30 touches the left and right ears of about 3 cm in thickness. The parts 37 and 38 which contact these ears are made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flexibility. In addition, in FIG. 2, the part 37 which touches the left ear where the electric component is mounted is shown by the virtual line (a dashed-dotted line), and the electric component is shown by the solid line in order to specify the mounting state of the electric component.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착신 보지용 발광 소자(32)는, 그 발광부만을 외부에 노출시킨 상태로 다른 부분은 귀에 닿는 부분(37)에 매립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마이크로폰(35)은 그 음성 입력부를 외부에 노출시키고, 기단부가 귀에 닿는 부분(37)에 매립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외부 접속 커넥터(33)와 착신 확인 스위치(34)는 소형 케이스(40)에 일체적으로 수용된 상태로 귀에 닿는 부분(37)의 헬멧 개구부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매립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 접속 커넥터(33)의 결합 단부는, 헬멧 개구부의 단면측에서 외부로 약간 돌출되어 있고, 착신 확인 스위치(34)의 조작 버튼은 헬멧 개구부의 주면측(周面側)에서 외부로 약간 돌출되어 있다. 스피커(36)는 귀에 닿는 부분(37)의 거의 중앙 부위에 매립되어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귀에 닿는 부분(37)의 스피커(36)가 매립되어 있는 부위에는, 발생한 음향이 귀에 확실하게 도달하도록 슬릿 내지 작은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incoming holding light emitting element 32 is embedded in a portion 37 where the other part touches the ear while only the light emitting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Similarly, the microphone 35 exposes the voice input unit to the outside and is fixed in a state where the proximal end is embedded in the part 37 where the ear touches. In addition, the external connection connector 33 and the call reception confirmation switch 34 are embedded at the position closest to the helmet opening of the portion 37 which contacts the ear while being housed integrally in the small case 40. Then, the engaging end of the external connection connector 33 slightly protrudes outward from the end face side of the helmet opening portion, and the operation button of the reception confirmation switch 34 slightly outside from the main surface side of the helmet opening portion. It protrudes. The speaker 36 is embedded in an almost center portion of the part 37 which contacts the ear.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slits or small holes are formed in a portion where the speaker 36 of the portion 37 that reaches the ear is embedded so that the generated sound reaches the ear reliably.

또한, 우측의 귀에 닿는 부분(38)의 중앙 부위에도, 또 하나의 스피커(36')(도 3 참조)가 매립되어 있고, 왼쪽 귀가 부자유스러운 사용자 등은 오른쪽 귀로 청취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참조부호(39a, 39b)는 좌우의 스피커(36, 36')와 각각 접속하기 위한 리드선이다. 또한, 좌우의 스피커(36, 36')의 전환은 소형 케이스(40)에 마련되어 있는 전환 스위치(41)를 가압 조작함으로써, 적시에 실행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another speaker 36 '(see Fig. 3) is embedd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right ear 38, and the left ear is incapable of listening to the right ear. Reference numerals 39a and 39b denote lead wires for connecting to the left and right speakers 36 and 36 ', respectively. In addition, switching of the left and right speakers 36 and 36 'can be performed in a timely manner by pressing and operating the selector switch 41 provided in the small case 40.

도 3은, 휴대 전화기(10)와 접속 수단(20)과 헬멧 전장 부품(32, 34, 35, 36 등)과의 전기적 접속 관계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3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mobile phone 10, the connecting means 20, and the helmet electrical components 32, 34, 35, 36 and the like.

접속 수단(20)에 있어서의 중계기(23)는,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점등 회로(A)와, 증폭 회로(B)와 전지(C)를 케이스 내부에 수용한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repeater 23 in the connecting means 20 is configured by accommodating the lighting circuit A, the amplifying circuit B, and the battery C configured as shown in the case.

상기 점등 회로(A)는 휴대 전화기(1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호출음에 대응한 착신 신호에 근거하여, 착신 보지용 발광 소자(32)를 점등 발광시키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호출음이 연속 호출음이면 연속 점등 상태로, 단속(斷續) 호출음이면 그 주기에 따른 점멸 점등 상태로 점등 발광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lighting circuit A causes the incoming light emitting element 32 to light up and emit light on the basis of the incom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inging tone transmitted from the cellular phone 10. For example, if the ringing tone is the continuous ringing tone, the lighting is continuous. In the state, it is comprised so that it may light up in a blinking lighting state according to the period, if it is an interruption call sound.

또한, 증폭 회로(B)는 마이크로폰(35)으로부터 입력되는 헬멧 착용자의 음성 입력 신호와, 상기 휴대 전화기(1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착신 신호 및 통화 상대방으로부터의 음성 입력 신호를 충분한 음량으로 청취할 수 있도록 충분히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36)에 공급함으로써, 동일 스피커(36)를 울리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amplifying circuit B can listen to a voice input signal of the helmet wearer input from the microphone 35, an incom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phone 10, and a voice input signal from the call counterpart at a sufficient volume. The amplified signal is sufficiently amplified and supplied to the speaker 36 so as to ring the same speaker 36.

또한, 전지(C)는 상기 점등 회로(A) 및 증폭 회로(B)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며, 상기 중계기(23)의 케이스에 대하여 적시에 교환이 가능하도록 착탈이 자유롭게 장전된다.The battery C supplies power to the lighting circuit A, the amplifying circuit B, and the like, and is detachably loaded so that the case of the repeater 23 can be replaced in a timely manner.

이리하여, 두부 보호용 헬멧(30) 착용자가 긴급 연락 등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두부 보호용 헬멧을 착용한 상태로 휴대 전화기(10)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휴대 전화기(10)와 두부 보호용 헬멧(30)을 접속 수단(20)에 의해 접속한다. 즉, 전화기 접속용 커넥터(21)를 휴대 전화기 본체(11)의 외부 접속 커넥터(13)에 접속하고, 헬멧 접속용 커넥터(22)를 두부 보호용 헬멧(30)의 외부 접속 커넥터(33)에 접속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두부 보호용 헬멧(30) 착용중에 휴대 전화가 걸려 왔을 경우, 착신 확인 스위치(34)를 원터치로 온 조작하는 것만으로, 그 이후에는 두부 보호용 헬멧(30)을 착용한 상태 그대로, 또한 양손으로 소요 작업을 계속하는 상태 그대로, 또한 시선을 포함한 자세를 정상적인 상태에 유지한 그대로, 상기 전화에의 응답을 즉시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는 왼쪽 귀가 부자유스러운 사람, 혹은 오른쪽으로 청취하고자 하는 사람은, 미리 전환 스위치(41)를 전환 조작해 놓음으로써, 스피커(36)를 떼어 내고 스피커(36')를 접속해 두면 된다.Thus, in order to allow the wearer of the head protection helmet 30 to receive emergency contact or the like, in order to use the mobile phone 10 while wearing the head protection helmet, the mobile phone 10 and the head protection The helmet 30 is connected by the connecting means 20. That is, the telephone connection connector 21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connector 13 of the cellular phone main body 11, and the helmet connection connector 22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connector 33 of the head protection helmet 30. do. In this way, when the mobile phone is caught while the head protection helmet 30 is being worn, the user only needs to operate the reception confirmation switch 34 by one touch, and after that, the head protection helmet 30 is still worn and both hands are thereafter. The response to the call can be immediately executed as it is while the required work is continued and the posture including the gaze is maintained in a normal state. Alternatively, a person who has an inconvenient left ear or a person who wants to hear to the right may remove the speaker 36 and connect the speaker 36 'by switching the switching switch 41 in advance.

제 2 실시예Second embodiment

제 1 실시예에 나타난 휴대 전화기 핸드프리 장치는, 다음의 제 2 실시예를 포함하고 있다.The cellular phone hand-free device shown in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the following second embodiment.

① 착신 보지용 발광 소자(32)에 연속 점등, 점멸 점등, 다색광 점등 등의 점등 형태를 적시에 선택적으로, 혹은 적절히 조합하여 실행시키는 점등 수단을 부가하여, 착신 보지가 보다 적확하게 실행되도록 설계한 것.(1) Designed so that incoming call holding can be carried out more accurately by adding lighting means for executing the lighting mode such as continuous light, flashing light, multi-color light light, etc. selectively or appropriately in a timely manner. which.

② 안면 커버(31)를 가지고 있지 않은 유형의 두부 보호용 헬멧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것.②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head protection helmet of the type which does not have a face cover 31.

실시예에 있어서의 특징점의 종합Synthesis of feature points in example

실시예에 나타난 휴대 전화기 핸드프리 장치의 특징점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The feature points of the cellular phone hand-free device shown in the embodiment are as follows.

[1] 실시예에 나타난 휴대 전화기 핸드프리 장치는,[1] The mobile phone hand-free device shown in the embodiment,

휴대 전화기(10)와, 이 휴대 전화기(10)에 접속 수단(20)을 거쳐 전장 부품 회로가 접속되도록 마련된 두부 보호용 헬멧(30)과, 상기 헬멧(30)내의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휴대 전화기(10)로부터 전송되는 착신 신호에 근거하여 발광하는 착신 보지용 발광 소자(32)와, 이 착신 보지용 발광 소자(32)의 발광을 눈으로 확인했을 때 온 조작되는 착신 확인 스위치(34)와, 이 착신 확인 스위치(34)가 온 조작되었을 때 작동 상태로 되도록, 상기 헬멧(30)내의 음성 입력이 가능한 위치에 장착되는 마이크로폰(35)과, 이 마이크로폰(35)으로부터의 음성 입력 신호와 상기 휴대 전화기(10)로 수신한 착신 신호 및 음성 입력 신호를 음향으로서 청취 가능하도록, 상기 헬멧(30)내의 귀에 닿는 부분(37, 38) 근방에 장착되는 스피커(36)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head protection helmet 30 provided to connect the mobile phone 10, the electronic component circuit to the mobile phone 10 via a connecting means 20, and a position mounted in a position that can be seen by the eyes in the helmet 30. And the incoming confirmation performed when visual confirmation of the light emission of the incoming call retaining light emitting element 32 and the incoming call retaining light emitting element 32 is performed based on the incom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phone 10. A microphone 35 mounted at a position at which voice input is possible in the helmet 30 so that the switch 34 and the call receipt switch 34 are in an operating state when the reception confirmation switch 34 is operated on; and from the microphone 35 And a speaker 36 mounted near the portions 37 and 38 in contact with the ear in the helmet 30 so that the voice input signal, the incoming signal received by the mobile phone 10, and the voice input signal can be heard as sound. Characterized by .

상기 휴대 전화기 핸드프리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두부 보호용 헬멧(30)에 착신 보지용 발광 소자(32)와, 착신 확인 스위치(34)와, 마이크로폰(35)과, 스피커(36)가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두부 보호용 헬멧(30) 착용중, 예를 들면 오토바이 탑승자에게 전화가 걸려 온 경우에도, 착신 보지용 발광 소자(32)의 발광 동작을 눈으로 확인함으로써, 휴대 전화기(10)가 호출 신호를 착신하고 있다는 것을 적확하게 알 수 있다. 그리고, 착신 확인 스위치(34)를 원터치로 온 조작함으로써, 그 다음에는 두부 보호용 헬멧(30)을 착용한 상태 그대로, 또한 양손으로 운전용 핸들을 잡고 정면을 향한 상태 그대로, 마이크로폰(35) 및 스피커(36)를 통해 통화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성이 확보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용이하고 적확하게 휴대 전화에 응답할 수 있게 된다. 이때문에, 예를 들면 긴급 연락 등에 대해서도 신속하고 적확한 대응 조치를 할 수 있게 된다.The mobile phone hand-free device has the following effects. Since the head protection helmet 30 is equipped with the incoming light emitting element 32, the incoming call confirmation switch 34, the microphone 35, and the speaker 36, the head protection helmet 30 is being worn, For example, even when a call is made to a motorcycle occupant, by visually confirming the light emission operation of the incoming call holding light emitting element 32, it can be known that the cellular phone 10 is receiving a call signal. Then, by turning on the incoming confirmation switch 34 with one touch, the microphone 35 and the speaker are left as it is, while the head protection helmet 30 is worn, and the steering wheel is held with both hands to face the front. You can make a call via 36.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spond to the cellular phone easily and accurately while maintaining the state where safety is ensured. For this reason, for example, a quick and accurate countermeasure can be taken even for emergency contact.

이러한 점에 비해서, 종래에는 예를 들면 오토바이의 소음 등으로 인해 호출 신호의 착신을 알아 차리지 못하거나, 착신은 알아 차리더라도 헬멧(30)을 벗지 않으면 통화에 응할 수 없었다. 따라서, 응답 조작이 늦고 부적확하게 되기 쉽고, 또한 통화를 시작할 때까지의 조작이 번잡하기 때문에, 긴급 연락 등에 대한 신속하고 적확한 대응을 할 수 없었지만,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단점이 해소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ior art, for example, the noise of a motorcycle or the like does not recognize an incoming call signal, or even if the incoming call is noticed, the call cannot be answered without taking off the helmet 30. Therefore, since the response operation tends to be late and inaccurate, and the operation until the call is complicated, it is not possible to respond promptly and accurately to the emergency call or the like, but this disadvantage is solv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2] 실시예에 나타난 휴대 전화기 핸드프리 장치는, 상기 [1]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2] The mobile phone hand-free device shown in the embodiment is the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 [1].

상기 접속 수단(20)은, 도중에 점등 회로(A)와, 증폭 회로(B)와 전지(C)를 내장한 중계기(23)를 구비하고, 또 양쪽 단부에 각각 커넥터(21, 22)를 구비한 접속 케이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The connecting means 20 includes a relay 23 having a lighting circuit A, an amplifying circuit B, and a battery C interposed therebetween, and connectors 21 and 22 respectively provided at both ends.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one connection cable.

상기 휴대 전화기 핸드프리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1]과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나타내고, 또한 헬멧(30)에 장착되는 전장 부품의 수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헬멧(30) 구조 자체의 복잡화, 비대화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접속 수단(20)을 분리함으로써, 휴대 전화기(10)와 헬멧(30)이 분리되어, 각각 독자적으로 취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보관 저장할 경우에 편리하고, 또한 각각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용 형태의 다양화 내지 이용 범위의 확대화를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the above mobile phone hand-free device, the same effects as in the above [1] can be achieved, and the number of electrical components mounted on the helmet 30 can be reduced to a minimum, so that the structure of the helmet 30 itself is complicated. We can minimize hypertrophy. In addition, by separating the connecting means 20, the mobile phone 10 and the helmet 30 are separated, and each can be handled independently.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convenient in case of storage and storage, and since each can be used alone, it is possible to diversify the use form and to expand the use range.

[3] 실시예에 나타난 휴대 전화기 핸드프리 장치는, 상기 [1]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3] The mobile phone hand-free device shown in the embodiment is the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 [1].

한 쌍의 스피커(36, 36')를 좌우의 귀에 닿는 부분(37, 38) 근방에 각각 장착하여, 전환 스위치(41)의 전환 조작에 의해, 어느 한 쪽 스피커(36 또는 36')를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A pair of speakers 36 and 36 'are mounted in the vicinity of the portions 37 and 38 that touch the left and right ears, and either speaker 36 or 36' is selectively selected by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changeover switch 41. It is characterized by enabling the use.

상기 휴대 전화기 핸드프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1]과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나타내고, 또한, 본 장치의 사용자가, 예를 들면 왼쪽 귀가 부자유스러운 경우, 혹은 오른쪽 귀로 청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미리 전환 스위치(41)를 전환 조작해 놓음으로써, 오른쪽 귀로 청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In the above mobile phone hand-free device, the same operation and effect as in the above [1], and the user of the device, for example, when the left ear is inconvenient, or when the user wants to listen to the right ear, the switching switch in advance By changing the operation of 41, it is possible to listen to the right ear.

본 발명에 따르면, 두부 보호용 헬멧 착용중에 휴대 전화가 걸려온 경우라도, 원터치 착신 조작만 하면, 그 다음에는 두부 보호용 헬멧을 착용한 상태 그대로, 또한 양손으로 소요 작업을 계속하는 상태 그대로, 또한 시선을 포함한 자세를 정상적인 상태로 유지한 채로, 상기 전화 호출에 대하여 즉시 응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문에, 안전성이 확보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대방과 적확하게 통화하는 것이 가능해져, 예를 들면 긴급 연락 등에 대해서도 신속하고 적확한 대응 조치를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두부 보호용 헬멧 착용중에 있어서도, 휴대 전화에의 응답을 신속하고 적확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소요 작업을 안전하게 계속하면서, 상대와의 통화를 적확하게 할 수 있는 휴대 전화기 핸드프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a mobile phone is called while the head protection helmet is worn, only one-touch incoming operation is performed, and then the head protection helmet is worn as it is, and the required work is continued with both hands.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answer the telephone call while maintaining the posture in a normal state. 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to make an accurate call with the counterpart while maintaining the state where safety is ensured, and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promptly and accurately respond to an emergency call or the like.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head protection helmet is worn, the mobile phone hand-free capable of making a quick and accurate response to the mobile phone, and accurately making a call with an opponent while continuing the required work safely. A device can be provided.

Claims (3)

휴대 전화기(10)와,A mobile phone 10, 이 휴대 전화기(10)에 접속 수단(20)을 거쳐 전장 부품 회로가 접속되도록 마련된 두부 보호용 헬멧(30)과,A head protection helmet 30 provided to connect the electric component circuit to the cellular phone 10 via a connecting means 20; 상기 헬멧(30)내의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휴대 전화기(10)로부터 전송되는 착신 신호에 근거하여 발광하는 착신 보지용 발광 소자(32)와,An incoming light emitting element 32 mounted at a position visible to the eye in the helmet 30 and emitting light based on an incom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phone 10; 상기 착신 보지용 발광 소자(32)의 발광을 눈으로 확인했을 때 온 조작되는 착신 확인 스위치(34)와,An incoming call confirmation switch 34 which is operated when the light emission of the incoming call emitting light emitting element 32 is visually confirmed; 상기 착신 확인 스위치(34)가 온 조작되었을 때에 작동 상태로 되도록, 상기 헬멧(30)내의 음성 입력 가능한 위치에 장착되는 마이크로폰(35)과,A microphone 35 mounted at a position capable of inputting voice in the helmet 30 so that the reception confirmation switch 34 is operated when the reception confirmation switch 34 is operated on; 상기 마이크로폰(35)으로부터의 음성 입력 신호와 상기 휴대 전화기(10)로 수신한 착신 신호 및 음성 입력 신호를 음향으로서 청취 가능하도록, 상기 헬멧(30)의 귀에 닿는 부분(37 또는 38) 근방에 장착되는 스피커(36)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 핸드프리 장치.It is mounted near the part 37 or 38 which touches the ear of the helmet 30 so that the voice input signal from the microphone 35 and the incoming signal and the voice input signal received by the mobile phone 10 can be heard as sound. And a speaker (36) to be provid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접속 수단(20)은 도중에 점등 회로(A)와, 증폭 회로(B)와 전지(C)를 내장한 중계기(23)를 구비하고, 또 양 단부에 각각 커넥터(21, 22)를 구비한 접속 케이블(20X)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 핸드프리 장치.The connecting means 20 includes a repeater 23 having a lighting circuit A, an amplifying circuit B, and a battery C interposed therebetween, and connectors 21 and 22 respectively provided at both ends. A mobile phone hand-free device comprising a connection cable (20X).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한 쌍의 스피커(36, 36')를 좌우의 귀에 닿는 부분(37, 38) 근방에 각각 장착하여, 전환 스위치(41)의 전환 조작에 의해, 어느 한 쪽 스피커(36 또는 36')를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 핸드프리 장치.A pair of speakers 36 and 36 'are mounted in the vicinity of the portions 37 and 38 that touch the left and right ears, and either speaker 36 or 36' is selectively selected by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changeover switch 41. Mobile phone hand-fre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enabled.
KR1019970073437A 1996-12-25 1997-12-24 Mobile Phone Hand-free Device KR19980064605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345943 1996-12-25
JP8345943A JPH10191433A (en) 1996-12-25 1996-12-25 Portable telephone set hand-fre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605A true KR19980064605A (en) 1998-10-07

Family

ID=1838006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3437A KR19980064605A (en) 1996-12-25 1997-12-24 Mobile Phone Hand-free Device
KR1019970073437A KR100253828B1 (en) 1996-12-25 1997-12-24 A hands-free apparatus for a handheld telephon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3437A KR100253828B1 (en) 1996-12-25 1997-12-24 A hands-free apparatus for a handheld telephon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10191433A (en)
KR (2) KR19980064605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846B1 (en) * 2001-10-29 2005-02-21 우민환 Hands-free For Halmet Radi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0558A (en) * 2001-04-16 2002-10-26 주식회사 케이앤티텔레콤 Hands-free apparatus for a receiving signal detection and the controlling method
KR100495492B1 (en) * 2004-11-19 2005-06-16 주식회사 성일종합건축사사무소 Supervision detection helmet
KR200486882Y1 (en) * 2017-12-28 2018-07-10 주식회사 시코드 PTT communication system for safety ca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846B1 (en) * 2001-10-29 2005-02-21 우민환 Hands-free For Halmet Radi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3828B1 (en) 2000-04-15
JPH10191433A (en) 1998-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22281A1 (en) Wireless phone headset
CN108430248B (en) Ear protector, communication system and protective helmet
KR20160132575A (en) Neckband type bluetooth earset for moibile phone
EP2619995A2 (en) Sports musicom headset
KR100253828B1 (en) A hands-free apparatus for a handheld telephone
KR100392464B1 (en) Headset attachable to glasses
JP2006246420A (en) Mobile communication peripheral device
KR200373427Y1 (en) a multipurpose vest for leisure and sports
JP2007259276A (en) Wireless communication telephone conversation unit
US20030053650A1 (en) Earphone device for motorcycle rider and passenger
EP1317888A1 (en) Crash helmet for use with a cellular telephone, particulary for motorcyclists
CN105942647A (en) A hand-free communication device suitable for two-wheeled vehicles or exercising people
KR200187551Y1 (en) A wirelrss hands-free for a handy phone which is able to install in helmet
KR200297341Y1 (en) Helmet with a hand-free device
KR200315210Y1 (en) necklace-shaped ear mike
JPH09162961A (en) Cordless speech system utilizing infrared ray
JP2017046361A (en) Data transmission device and data transmission system
KR200315184Y1 (en) A hands free for bicycle
KR200302706Y1 (en) earphone inner sunglass
KR19990084177A (en) Hands-free system for portablephone
JPH11289370A (en) Telephone system
KR200228496Y1 (en) Necklace type hands free kit
KR200253194Y1 (en) Ear-Free Helmet For Motorcycle
KR200198714Y1 (en) Microphone/earphone set for cellular phones
JPH10327223A (en) Head set with incoming display function for portable tele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