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4448U - Support stopper for leaf spring for automobile - Google Patents

Support stopper for leaf spring for automob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4448U
KR19980064448U KR2019970009137U KR19970009137U KR19980064448U KR 19980064448 U KR19980064448 U KR 19980064448U KR 2019970009137 U KR2019970009137 U KR 2019970009137U KR 19970009137 U KR19970009137 U KR 19970009137U KR 19980064448 U KR19980064448 U KR 1998006444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leaf spring
support
attached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913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상진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700091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4448U/en
Publication of KR199800644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4448U/en

Links

Landscapes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리프스프링의 지지스토퍼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리프스프링에 부착된 스토퍼는 그 상단부가 반구형의 호형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스토퍼의 접하는 차체프레임의 지지스토퍼는 사각형의 평면을 이루고 있으므로 해서, 하측의 스토퍼가 일측으로 밀리면서 접촉을 하게되어 스토퍼의 변형 또는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 stopper for a leaf spring for a vehicle, the stopper attached to a conventional leaf spring has a hemispherical arc shape at the upper end thereof, and the support stopper of the body frame contacting the stopper forms a rectangular plan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opper of the lower side is pushed to one side and brought into contact, so that the stopper is deformed or broken.

이에 본 고안은 스토퍼(6)와 접촉되는 지지스토퍼(20)의 하단부(24)에 스토퍼(20)의 외형과 동일한 요홈부(22)를 형성함으로서, 주행중 노면의 충격으로 인해 하방향으로 구부러져 있던 리프스프링이 상방향으로 변형이 되면서 리프스프링의 상단에 부착된 스토퍼가 차체프레임의 지지스토퍼에 접촉되어 그 충격을 흡수하고 또한 완충시켜 차체에 직접적으로 강한 충격이 가해 지지않게 되어 차체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forms the same recess 22 as the outer shape of the stopper 20 at the lower end 24 of the support stopper 20 that is in contact with the stopper 6, thereby bending downward due to the impact of the road surface while driving. As the leaf spring is deformed upwards, the stopper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leaf spring contacts the support stopper of the body frame to absorb and cushion the shock, so that a strong impact is not applied directly to the body, thereby improving the ride comfort of the body. It can be effected.

Description

자동차용 리프스프링의 지지스토퍼Support stopper for leaf spring for automobile

본 고안은 자동차용 리프스프링의 지지스토퍼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차체의 현가장치를 구성하는 리프스프링의 상단부에 반구형상의 스토퍼를 부착하고, 상기 스토퍼와 접촉하는 차체프레임의 하단부에 반구형상의 요홈부가 형성된 지지스토퍼를 부착시켜 접촉위치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리프스프링의 지지스토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 stopper for a leaf spring for a vehicle, and in more detail, a hemispherical stopper is attached to an upper end of a leaf spring constituting a suspension of a vehicle body, and a hemispherical shape is attached to a lower end of a body frame in contact with the stopp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 stopper for an automotive leaf spring in which a support stopper having a recessed portion is attached to suppress a change in contact position.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현가장치는 차체와 차축을 연결하여 주행중에 차축이 노면으로 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차체와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하는 장치로서, 섀시스프링과 댐퍼 및 스테빌라이져등으로 구성되어 있다.In general, the suspension device of a car is a device that connects the vehicle body and the axle to prevent the axle from being transmitted directly to the vehicle body by absorbing vibrations or shocks received from the road surface while preventing the damage to the vehicle body and cargo and improving the ride comfort. It consists of spring, damper and stabilizer.

상기 섀시스프링은 노면으로 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 또는 완화시키는 작용을 하며, 상기 댐퍼는 섀시스프링의 자유진동을 제어하여 승차감을 좋게하고, 또한 상기 스테빌라이져는 차체의 롤링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The chassis spring acts to absorb or mitigate the impact from the road surface, and the damper controls the free vibration of the chassis spring to improve ride comfort, and the stabilizer serves to prevent rolling of the vehicle body.

상기 섀시스프링은 리프스프링, 토션바스프링, 공기스프링 등으로 구분이되며, 첨부된 예시도 1 은 일반적인 리프스프링과 차축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로서, 리프스프링(1)은 스프링강을 띠모양으로 성형한 판을 구부려서 포갠 것으로, 그립밴드(3)에 의해 일체를 이루며, 메인리프(2)의 양단을 둥글게 구부려 스프링아이(4)를 형성시켜 도면상 미도시 되었으나 스프링섀클과 섀클핀에 의해 차체프레임에 부착되어 있다.The chassis spring is divided into a leaf spring, a torsion bar spring, an air spring, and the like. The attached exampl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oupling state of a general leaf spring and an axle, and the leaf spring 1 is a spring steel. The plate formed in the shape of a band is bent and folded, which is integrally formed by the grip band 3, and the spring eye 4 is formed by bending both ends of the main leaf 2 roundly to form a spring eye 4, but the spring shackle and the shackle pin are not shown. It is attached to the body frame by

상기 리프스프링(1)의 중앙부 상단과 하단에 반구형의 스토퍼(5)가 부착된 고정브라켓(6)과 차축(7)을 고정시켜 주는 마운트(8)가 U보울트(9)게 의해 견고하게 결합되어 차축(7)을 정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주행중 노면으로 부터 가해지는 충격으로 인해 차축(7)이 진동하는 것은 판사이의 마찰에 의해 진동이 흡수되어 진다.The mounting bracket 6 to which the hemispherical stopper 5 is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enter of the leaf spring 1 and the mount 8 for fixing the axle 7 are firmly coupled by the U bolt 9. It is possible to fix the axle (7) in place, the vibration of the axle (7) due to the impact applied from the road surface while driving is the vibration is absorbed by the friction between the plates.

첨부된 예시도 2 는 종래의 리프스프링 상단부와 차체프레임의 하단부에 스토퍼와 지지스토퍼를 부착시킨 상태의 종단면도를 표현한 것으로, 상기 스프링강을 띠모양으로 성형하고, 그 길이가 서로 다른 판(리프 LEAF)을 하방으로 약간 구부려 포갠 것으로, 하측으로 갈수록 그 길이가 짧아지며, 각각의 판들은 앞서 설명한 밴드클립(3)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 리프스프링(1)을 이루고 있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leaf spring upper end portion and a lower end of a vehicle body frame in which a stopper and a support stopper are attached to each other, and the spring steel is formed in a strip shape, and plates having different lengths (leaf) LEAF) is bent slightly downward, the length thereof is shorter toward the lower side, each plate is integrally coupled by the band clip (3) described above to form a leaf spring (1).

상기 리프스프링(1)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러버재질의 반구형상으로 성형된 스토퍼(5)가 일체를 이루고 있는 고정브라켓(6)과 차축(7)을 하측으로 부터 받쳐주고 있는 마운트(8)가 U보울트(9)에 의해 견고하게 부착되어 일체를 이루게 된다.Mounting bracket (8) supporting the fixed bracket (6) and the axle (7) from which the stopper (5)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of rubber material is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leaf spring (1), respectively. Is firmly attached to the U-bolt (9) to form an integral.

이때 상기 리프스프링(1)은 하방으로 구부려져 있는 상태이므로 차체프레임(10)과 일정간격의 공간을 유지하고 있으며, 차체프레임(10)의 하단부에 지지브라켓에 의해 사각형상의 지지스토퍼(11)가 일체를 이루도록 부착되어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leaf spring 1 is bent downward, it maintains a space of the body frame 10 and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rectangular support stopper 11 is formed by a support bracket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frame 10. It is attached to form an integral part.

상기와 같이 차축(7)은 U보울트()에 의해 리프스프링(1)과 일체를 이루고 차체프페임(10)에 부착됨으로서, 노면의 충격으로 부터 발생되는 진동은 리프스프링(1) 자체의 마찰력에 의해 그 진동은 흡수되고, 상기 진동보다 큰 진동이 발생될 경우 리프스프링(1)의 스토퍼(5)와 차체프레임(10)에 부착된 지지스토퍼(11)에 의해 진동을 흡수하도록 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xle 7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leaf spring 1 by the U bolt and attached to the body frame frame 10, so that the vibration generated from the impact of the road surface is the friction force of the leaf spring 1 itself. The vibration is absorbed by the vibration, and when a vibration larger than the vibration occurs, the vibration is absorbed by the stopper 5 of the leaf spring 1 and the support stopper 11 attached to the body frame 10.

그러나, 상기 종래의 리프스프링(1)에 부착된 스토퍼(5)는 그 상단부가 반구형의 호형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스토퍼(5)의 접하는 차체프레임(10)의 지지스토퍼(11)는 사각형의 평면을 이루고 있으므로 해서, 하측의 스토퍼(5)가 일측으로 밀리면서 접촉을 하게되어 스토퍼(5)의 변형 또는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stopper 5 attached to the conventional leaf spring 1 has a hemispherical arc shape at its upper end, and the support stopper 11 of the body frame 10 in contact with the stopper 5 has a rectangular plane. As a result, the lower stopper 5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ile being pushed to one side, thereby deforming or breaking the stopper 5.

이에 본 고안은 종래 리프스프링의 스토퍼와 접하는 지지스토퍼가 지닌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리프스프링의 상단부에 반구형상의 스토퍼를 부착하고, 상기 스토퍼와 접촉하는 차체프레임의 하단부에 반구형상의 요홈부가 형성된 지지스토퍼를 부착시켜, 상기 스토퍼와의 접촉위치를 항시 일정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리프스프링의 지지스토퍼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solve the problem of the support stopper in contact with the stopper of the conventional leaf spring, attaching a hemispherical stopper to the upper end of the leaf spring, the hemispherical groove is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body frame in contact with the stopp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upport stopper for a leaf spring for an automobile in which a support stopper is attached so that the contact position with the stopper can be kept constan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리프스프링의 상단부에 U보울트에 의해 견고하게 부착된 반구형상의 스토퍼와 접하는 차체프레임의 하단부에 부착된 자동차용 리프스프링의 지지스토퍼에 있어서, 상기 지지스토퍼는 그 하단부에 수직상방향의 요홈부를 형성하되, 상기 요홈부는 리프스프링의 상단부에 부착된 스토퍼의 상단부와 동일한 반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pport stopper for an automotive leaf spring attached to a lower end of a vehicle frame contacting a hemispherical stopper firmly attached to an upper end of a leaf spring by a U bolt. A recess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at the lower end thereof, and the recess is formed in the same hemispherical shape as the upper end of the stopper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leaf spring.

상기와 같이 차체프레임의 하부에 지지스토퍼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해서, 주행중 노면의 충격이 차축에 가해지게 되면, 하방향으로 구부러져 있던 리프스프링이 상방향으로 변형이 되면서 리프스프링의 상단에 부착된 스토퍼가 차체프레임의 지지스토퍼에 접촉되어 그 충격을 흡수하고, 또한 완충시켜 차체에 직접적으로 강한 충격이 가해 지지 않도록 함으로서, 차체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Since the support stopper is attached to the lower part of the body frame as described above, if the road surface impacts the axle while driving, the stop spring bent upwards is deformed upward and the stopper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leaf spring By contacting the support stopper of the vehicle body frame, the shock is absorbed and buffered so that a strong impact is not applied directly to the vehicle body, thereby improving the ride comfort of the vehicle body.

도 1 은 일반적인 리프스프링과 차축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mbined state of the general leaf spring and the axle.

도 2 는 종래의 리프스프링 상단부와 차체프레임의 하단부에 스토퍼와지지스토퍼를 부착시킨 상태의 종단면도,FIG.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a stopper and a support stopper are attached to an upper end portion of a conventional leaf spring and a lower end portion of a vehicle body frame; FIG.

도 3 의 (가)와 (나)는 본 고안에 따른 리프스프링의 지지스토퍼 작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이다.3 (a) and (b)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upport stopper action state of the leaf sp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

20 - 지지스토퍼, 22 - 요홈부,20-support stopper, 22-groove,

24 - 하단부, 26 - 스토퍼,24-lower part, 26-stopper,

28 - 차축, 30 - 리프스프링,28-axle, 30-leaf spring,

32 - U보울트, 34 - 차체프레임.32-U bolt, 34-body frame.

이하, 본 고안에 대하여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과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고안은 차축(28)을 차체에 부착시켜 주는 리프스프링(30)의 상단부에 U보울트를(32)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부착된 반구형상의 스토퍼(26)와 상기 스토퍼(26)와 접촉되는 차체프레임(34)의 하단부에 부착된 자동차용 리프스프링의 지지스토퍼에 있어서, 상기 지지스토퍼(20)는 그 하단부(24)에 수직상방향의 요홈부(22)를 형성하되, 상기 요홈부(22)는 스토퍼(26)의 상단부와 동일한 반구형상으로 형성한 자동차용 리프스프링의 지지스토퍼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emispherical stopper 26 firmly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leaf spring 30 attaching the axle 28 to the vehicle body using the U-bolt 32 and the vehicle body in contact with the stopper 26. In the support stopper of the leaf spring for the vehicle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frame 34, the support stopper 20 forms a recess 22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lower end 24, the recess 22 ) Is a support stopper for an automotive leaf spring formed in the same hemispherical shape as the upper end of the stopper 26.

도면중 미 설명부호 40은 하단부(24)에 요홈부(22)가 형성된 지지스토퍼(20)를 차체프레임(34)에 부착시켜 주는 지지브라켓이고, 42는 반구형상의 스토퍼(26)를 리프스프링(30)의 상단부에 부착시켜 주는 고정브라켓이며, 44는 리프스프링(30)의 하단부에 차축(28)을 부착시켜 주는 마운트이다.In the drawing, reference numeral 40 denotes a support bracket for attaching the support stopper 20 having the recessed portion 22 formed on the lower end 24 to the vehicle frame 34, and 42 denotes a leaf spring having a hemispherical stopper 26. 30 is a fixing bracket for attaching to the upper end, 44 is a mount for attaching the axle 28 to the lower end of the leaf spring (30).

첨부된 예시도면 도 3 의 (가)와 (나)는 본 고안에 따른 리프스프링의 지지스토러 작용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도면에 표현된 바와 같이 리프스프링(30)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고정브라켓(42)과 일체를 이루는 스토퍼(26)와 마운트(46)에 의해 지지되는 차축(28)이 부착되어 있다.Figure 3 (a) and (b)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the support of the support spring of the leaf sp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leaf spring 30, respectively An axle 28 supported by a stopper 26 and a mount 46 integral with the fixing bracket 42 is attached.

상기 스토퍼(26)와 차축(28)은 U보울트(32)에 의해 리프스프링(30)과 견고하게 일체를 이루게 되며, 상기 스토퍼(26)는 수직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외형상 반구형상으로 형성되어 고정브라켓(42)과 함께 리프스프링(30)의 상단부에 얹어지고, 그 양측단에 U보울트(32)가 결합되어 일체를 이루며, 상기 U보울트(32)사이에 차축(28)이 삽입되고 그 하측으로 마운트(44)가 양측U보울트(32)의 단부d에 삽입되며 마운트(44)를 통해 하측으로 돌출된 U보울트(32)의 단부에 결합너트를 결합시키는 것으로 차축(28)과 스토퍼(26)는 동시에 리프스프링(30)과 일체를 이루게 된다.The stopper 26 and the axle 28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leaf spring 30 by the U bolt 32, and the stopper 26 protrud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emispherical shape. The upper end of the leaf spring 30 together with the fixing bracket 42, the U bolt 32 is coupled to both ends thereof to form an integrated body, and the axle 28 is inserted between the U bolt 32. The lower side of the mount 44 is inserted into the end d of both U-bolts 32, and the coupling nut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U-bolt 32 protruding downwardly through the mount 44 to stop the axle 28 and the stopper. 26 is integrated with the leaf spring 30 at the same time.

상기와 같은 리프스프링(30)은 예시도 1 에 표현된 바와 같이, 메인리프(2)의 양측단이 원형으로 구부러져 형성된 스프링아이(4)에 스프링섀클과 섀클핀을 이용하여 차체프레임(10)과 일체를 이루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ure 1, the leaf spring 30 as described above, the body frame 10 by using a spring shackle and a shackle pin on the spring eye 4 formed by bending both ends of the main leaf 2 in a circular shape. It is intended to be integrated with.

상기 리프스프링(30)은 하방향으로 약간 굴절되어 있어 리프스프링(30)과 차체프레임(34) 사이에는 일정공간을 이루고 있어 노면으로 부터 충격이 차측(28)에 가해지게 되면 리프스프링(30)의 탄발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진동하여 그 충격을 흡수,완충시키고, 상기 진동은 리프스프링(30)의 각각의 판들의 마찰에 의해 흡수되도록 되어 있다.The leaf spring 30 is slightly refracted downward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between the leaf spring 30 and the body frame 34 so that when the impact from the road surface is applied to the vehicle side 28, the leaf spring 30 is applied. Vibration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absorbs and absorbs the shock, the vibration is to be absorbed by the friction of the respective plates of the leaf spring (30).

상기 차체프레임(34)의 하부에는 리프스프링(30)의 상단부에 부착된 스토퍼(26)와 접촉되는 지지스토퍼(20)가 지지브라켓(40)에 의해 부착되어 지되, 지지스토퍼(20)는 그 하단부(24)에 수직 상방향의 요홈부(22)가 형성되어 주행중 노면의 충격으로 인해 리프스프링(30)은 상방향으로 변형이 되면서 리프스프링(30)의 상단에 부착된 스토퍼(26)가 지지스토퍼(20)의 요홈부(22)에 삽입되어 그 충격을 흡수하고 완충시킬 대 스토퍼(26)가 지지스토퍼(20)로 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The support stopper 2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stopper 26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leaf spring 30 is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frame 34 by the support bracket 40, the support stopper 20 is The upper groove 22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at the lower end 24 so that the leaf spring 30 is deformed upward due to the impact of the road surface while the stopper 26 is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leaf spring 30. The stopper 26 is inserted into the recess 22 of the support stopper 20 so as to absorb and cushion the shock so that the stopper 26 is not separated from the support stopper 20.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스토퍼(6)와 접촉되는 지지스토퍼(20)의 하단부(24)에 스토퍼(20)의 외형과 동일한 요홈부(22)를 형성함으로서, 주행중 노면의 충격으로 인해 하방향으로 구부러져 있던 리프스프링이 상방향으로 변형이 되면서 리프스프링의 상단에 부착된 스토퍼가 차체프레임의 지지스토퍼에 접촉되어 그 충격을 흡수하고 또한 완충시켜 차체에 직접적으로 강한 충격이 가해 지지않게 되어 차체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forms the same recess 22 as the outer shape of the stopper 20 at the lower end 24 of the support stopper 20 that is in contact with the stopper 6, so that the road surface moves downward due to the impact of the road surface. As the bent leaf spring is deformed in the upward direction, the stopper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leaf spring contacts the support stopper of the body frame, absorbs the shock and cushions it so that a strong impact is not applied directly to the body. There is an effect to improve.

Claims (1)

차축을 차체프레임에 부착시켜 주는 리프스프링은 그 상단부에 U보울트를를 이용하여 반구형상의 스토퍼가 부착되고, 상기 스토퍼와 접촉되는 차체프레임의 하단부에 부착되는 자동차용 리프스프링의 지지스토퍼에 있어서, 상기 지지스토퍼(20)는 그 하단부(24)에 수직상방향의 요홈부(22)를 형성하되, 상기 요홈부(22)는 스토퍼(26)의 상단부와 동일한 반구형상으로 형성된 자동차용 리프스프링의 지지스토퍼.The leaf spring for attaching the axle to the body frame has a hemispherical stopper attached to the upper end thereof using a U-bolt, and a support stopper for an automotive leaf spring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body frame in contact with the stopper. The stopper 20 forms a recess 22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lower end 24 thereof, and the recess 22 is a support stopper for an automotive leaf spring formed in the same hemispherical shape as the upper end of the stopper 26. .
KR2019970009137U 1997-04-29 1997-04-29 Support stopper for leaf spring for automobile KR19980064448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9137U KR19980064448U (en) 1997-04-29 1997-04-29 Support stopper for leaf spring for automob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9137U KR19980064448U (en) 1997-04-29 1997-04-29 Support stopper for leaf spring for automobi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448U true KR19980064448U (en) 1998-11-25

Family

ID=69684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9137U KR19980064448U (en) 1997-04-29 1997-04-29 Support stopper for leaf spring for automobi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4448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6887B1 (en)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s
KR19980064448U (en) Support stopper for leaf spring for automobile
KR100187453B1 (en) Shock-absorber of suspension system of a car
KR200161610Y1 (en) Shape structure of anti-vibration member for a car body
KR200179255Y1 (en) Leaf spring clamp structure
KR102579356B1 (en)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with composite spring
KR100412844B1 (en) suspension system for truck
KR100200524B1 (en) A device to increase a rebound stroke of shock absorber for a car
KR100243614B1 (en) Damping device for leaf spring
KR20020050610A (en) leafspring for rear wheel suspension of vehicle
KR19980025955U (en) Bumper Stopper for Chassis Spring in Vehicle
KR100423312B1 (en) The strut assembly of shock absorber in vehicle
KR20060016334A (en) Installation structure of bumper stopper in car
KR100428132B1 (en) strut assembly of suspension
KR200209836Y1 (en) A suspension system for an automobile
KR20010002005U (en) bumper stopper structure for suspension system of vehicle
JPH0629988U (en) Cab suspension system for lorries
KR0140743Y1 (en) Axle suspension system for a vehicle
KR19980047995A (en) Shock absorber of automobile suspension
KR19980055003U (en) Coil spring of automobile suspension
KR19990043216A (en) Suspensions on buses with leaf springs and air springs
KR19990059902A (en) Chassis Spring in Vehicle Suspension
KR19990035378A (en) Shock absorbing bush structure of coupling part of suspension suspension bar and phase control arm
KR20050025430A (en) Suspension system of a car
KR19980044088U (en) Vibration Absorber of Automotive Eng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