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3294U - Audio remote control for the blind - Google Patents

Audio remote control for the bli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3294U
KR19980063294U KR2019970007790U KR19970007790U KR19980063294U KR 19980063294 U KR19980063294 U KR 19980063294U KR 2019970007790 U KR2019970007790 U KR 2019970007790U KR 19970007790 U KR19970007790 U KR 19970007790U KR 19980063294 U KR19980063294 U KR 1998006329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button
braille
visually impaired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779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준범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077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3294U/en
Publication of KR199800632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294U/en

Links

Landscapes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e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ngs:

오디오 시스템Audio system

나.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I. The technical challenge the invention is trying to solve:

시각 장애인을 위한 리모콘 제공Remote control for the visually impaired

다. 그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All. The gist of the solution of the design:

본 고안은, 리모콘의 버튼상에 버튼용도를 나타내는 점자를 새겨 놓고, 시각장애인이 점자를 해독하기 위해 상기 버튼을 터치할 시 발생 가능한 리모콘의 오동작을 발생하기 위해 리모콘에 오동작방지용 스위치를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witch for preventing a malfunction on the remote control to inscribe a braille indicating the purpose of the button on the button of the remote control, to generate a malfunction of the remote control that can occur when the visually impaired touch the button to decipher the braille.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la. Important uses of the devise:

시각 장애인을 위한 리모콘Remote Control for the Visually Impaired

Description

시각 장애인을 위한 오디오 리모콘Audio remote control for the blind

본 고안은 오디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각 장애인을 위한 오디오 리모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dio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dio remote control for the visually impaired.

오디오 재생기 등과 같은 가청 가능한 시스템은 시각 장애인들도 사용할 수 있다. 그렇지만 현재 사용되는 오디오 시스템은 시각 장애인들이 조작하기에는 매우 불편한 조작판넬로 되어 있다. 즉 조작을 위한 각종 키(버튼)에는 정상적인 시각을 가진 사람만이 볼 수 있는 키(버튼)용도 문자가 표시되어 있을 뿐이다.Audible systems, such as audio players, can also be used by the visually impaired. However, the current audio system has a control panel which is very inconvenient for the visually impaired to operate. In other words, the various keys (buttons) for operation are only displayed for the key (buttons) character that can only be seen by a person with normal vision.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오디오시스템에서 시각 장애인을 위한 리모콘을 제공하는데 있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mote control for the visually impaired in the audio system.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고안은, 오디오 시스템의 리모콘에 있어서, 리모콘의 버튼상에 버튼용도를 나타내는 점자를 새겨 놓음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remote control of the audio system, the braille indicating the button use is engraved on the button of the remote control.

또한 본 고안은, 리모콘의 버튼상에 버튼용도를 나타내는 점자를 새겨 놓고, 시각장애인이 점자를 해독하기 위해 상기 버튼을 터치할 시 발생 가능한 리모콘의 오동작을 발생하기 위해 리모콘에 오동작방지용 스위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a switch for preventing a malfunction on the remote control to inscribe a braille indicating the button use on the button of the remote control, to generate a malfunction of the remote control that can occur when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touch the button to decipher the braille. It is characterized by.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리모콘의 정면도 및 우측면도.1 is a front view and a right side view of a remote controller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의 블럭 구성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remote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in the figures are denoted by the same numerals wherever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리모콘의 정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콘의 버튼 4상에 버튼용도를 나타내는 점자 6을 새겨 놓고, 시각장애인이 점자 6을 해독하기 위해 해당 버튼 6을 터치할 시 발생 가능한 리모콘의 오동작을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리모콘에 락 스위치(lock switch)버튼 2를 구비한다. 버튼 4상에 새겨진 점자 6은 볼록형이 바람직하다. 락 스위치버튼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리모콘의 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락 스위치버튼 2상에도 락스위치를 표시하는 점자 6가 새겨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락 스위치버튼 2의 위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으로 정해졌지만 필요에 따라 정면, 후면 등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락 스위치버튼 2는 별도의 스위치로 구현되었지만 별도의 스위치를 구비하지 않고서 기존의 있던 버튼으로서도 구현될 수 있다.1 is a front view and a right side view of a remote controller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on the button 4 of the remote control inscribed in braille 6 indicating the purpose of the button, the visually impaired when the user touches the button 6 to decipher the braille 6 The remote control is provided with a lock switch button 2 to prevent a malfunction. The braille 6 engraved on the button 4 is preferably convex. Lock switch button 2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remote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braille 6 to display the lock switch on the lock switch button 2 is engraved. The position of the lock switch button 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t to the side as shown in Figure 1, but may be determined in various ways, such as the front, rear as needed. In addition, the lock switch button 2 is implemented as a separate switch, but may be implemented as a conventional button without having a separate switch.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의 블럭 구성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은 키입력부 10, 변조부 12, 적외선 발광부 14, 전원부 16 및 락 스위치 18로 구성된다. 키입력부 10에는 도 1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락 스위치버튼 2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으며, 각 버튼들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각장애인을 위해 버튼용도를 나타내는 점자 6이 새겨져 있다.2 is a block diagram of a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ey input unit 10, a modulator 12, an infrared light emitting unit 14, a power supply unit 16, and a lock switch 18. The key input unit 10 further includes a lock switch button 2 as mentioned in FIG. 1, and each button is embossed with Braille 6 indicating a button use for the visually impaired as shown in FIG. 1.

지금 시각 장애를 가진 오디오 사용자는 리모콘에 새겨진 점자로서 각 버튼 용도를 알 수 있으며, 만약 락 스위치버튼 2를 누르면 그에 대응하는 락 스위칭신호 LOCK_SW가 스위치 18에 인가된다. 그러면 락 스위치 18은 오프된다. 그에 따라 전원부 16의 전원이 변조부 12, 및 적외선발광부 14에 공급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리모콘은 작동하지 않는다. 리모콘이 작동하지 않을 때 시각장애를 가진 오디오 사용자는 각 버튼의 기능을 각종 버튼에 새겨진 점자 6을 통해 인식하게 된다. 그후 시각장애를 가진 오디오 사용자가 락 스위치버튼 2를 한번 더 누르면 락 스위치 18은 온된다. 그에 따라 전원부 16의 전원이 변조부 12, 및 적외선발광부 14에 공급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버튼을 누르면 그에 대응된 키신호는 변조부 12에서 변조되고 적외선발광부 14에서 적외선 형태로 발광되어, 오디오시스템의 본체로 송신되어 진다. 그에 따라 오디오 시스템은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Now visually impaired audio users can know the use of each button as braille inscribed on the remote control. If the lock switch button 2 is pressed, the corresponding lock switching signal LOCK_SW is applied to the switch 18. Lock switch 18 is then off. As a result,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16 is not supplied to the modulation unit 12 and the infrared light emitting unit 14. Therefore, the remote control does not work. When the remote control does not work, the visually impaired audio user recognizes the function of each button through Braille 6 on the various buttons. Then, a visually impaired audio user presses the lock switch button 2 again to turn the lock switch 18 on. As a result,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16 is supplied to the modulation unit 12 and the infrared light emitting unit 14. In this state, when the user presses the desired button, the corresponding key signal is modulated by the modulator 12 and emitted by the infrared emitter 14 in the form of infrared rays, and transmitted to the main body of the audio system. Accordingly, the audio system performs a function of the user's desired operation.

전술한 설명에서는 시각장애를 가진 오디오 사용자가 락스위치 버튼 2를 누른 후 버튼의 용도를 확인하였지만 그렇게 하지 않고도 버튼의 용도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모콘의 전원을 온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버튼의 용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리모콘의 전원이 온된 상태에서는 각 버튼상을 살짝만 터치해도 버튼상에 새겨진 점자를 확인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visually impaired audio user confirms the use of the button after pressing the lock switch button 2, but the use of the button can be confirmed without doing so. For example, the purpose of the button can be checked without turning on the power of the remote controller. In addition, you can check the braille on the buttons with a slight touch on each button while the remote is on.

본 고안에서는 오디오의 리모콘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시각장애인을 위한 전화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즉 전화번호 버튼에도 각 전화번호를 나타내는 점자를 새겨 놓을 수도 있다. 그러므로 상술한 본 고안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형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와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described the remote control of the audio, it can be applied to a telephone for the visually impaired. In other words, the phone number buttons can also be engraved braille for each phone number. Therefore,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to be determin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and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오디오 리모콘의 버튼상에 버튼용도를 나타내는 점자를 새겨 놓음으로서 시각 장애인도 오디오시스템을 쉽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해 주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making the audio system easy to operate even by visually impaired users by placing a braille indicating a button use on a button of an audio remote controller.

Claims (3)

오디오 시스템의 리모콘에 있어서,In the remote control of the audio system, 리모콘의 버튼상에 버튼용도를 나타내는 점자를 새겨 놓음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리모콘.An audio remote control characterized by inscribed Braille on the button of the remote control indicating the purpose of the butt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장애인이 점자를 해독하기 위해 상기 버튼을 터치할 시 발생 가능한 상기 리모콘의 오동작을 발생하기 위해 오동작방지용 스위치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리모콘.The audio remote control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malfunction preventing switch for generating a malfunc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which can be generated when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touches the button to read the brail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동작 방지용 스위치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온/오프되어 상기 리모콘의 전원을 차단/공급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리모콘.The audio remote control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malfunction preventing switch is turned on / off by a user's selection to cut off / supply the power of the remote controller.
KR2019970007790U 1997-04-15 1997-04-15 Audio remote control for the blind KR19980063294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790U KR19980063294U (en) 1997-04-15 1997-04-15 Audio remote control for the bli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790U KR19980063294U (en) 1997-04-15 1997-04-15 Audio remote control for the blin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294U true KR19980063294U (en) 1998-11-16

Family

ID=69671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7790U KR19980063294U (en) 1997-04-15 1997-04-15 Audio remote control for the bli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3294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6465A (en) * 2017-07-10 2019-01-18 강영모 Iot-based voice recognition gas safety cut-off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6465A (en) * 2017-07-10 2019-01-18 강영모 Iot-based voice recognition gas safety cut-off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2743B1 (en) Remote controller
US20060164395A1 (en) Arrangement for integration of key illumination into keymat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6469694B1 (en) Mouse emulation keyboard system
AU761690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uitive keypad navigation with audio feedback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GB2342541A (en) Mobile radio station provided with combined status indicating control button arrangement
KR19980063294U (en) Audio remote control for the blind
CA2169143A1 (en) Key Telephone System Capable of Simulation by Button Operations
WO2000051358A3 (en) Communication device with a main control button
TW202117510A (en) Stylus structure
NO980512L (en) Pocket-format interface for a smart disk
CA2549639A1 (en) Exchange system, button telephone set and exchange
CN212413333U (en) Novel television remote controller
JPH11288351A (en) Wireless type operation unit
CN217484855U (en) Multifunctional touch screen
CN212032929U (en) Associated switch with background light
KR200402338Y1 (en) Point mp3 player
CN216211195U (en) Intelligent fingerprint lock capable of being positively and negatively installed on glass
CN211125449U (en) Touch and key structure with decoration function
CN209283437U (en) Earmuff and earphone
JPH04132493A (en) Remote control transmitter
JP4433643B2 (en)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2505916Y (en) Computer keyboard capable of displaying contact key position
JPH02108118A (en) Optical touch panel control system
KR200172521Y1 (en) A cellurar phone having a pointing function
JP2003297174A (en) Switch and touch panel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