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2159U - Automatic volume control - Google Patents

Automatic volume contr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2159U
KR19980062159U KR2019970006465U KR19970006465U KR19980062159U KR 19980062159 U KR19980062159 U KR 19980062159U KR 2019970006465 U KR2019970006465 U KR 2019970006465U KR 19970006465 U KR19970006465 U KR 19970006465U KR 19980062159 U KR19980062159 U KR 1998006215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ume
audio signal
microphone
adjusting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646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덕찬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700064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2159U/en
Publication of KR199800621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2159U/en

Links

Landscapes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요 반주 기기의 자동 음량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마이크로폰(10)과 오디오 신호처리부(20)를 포함하며, 입력되는 마이크로폰의 음량 레벨과 오디오 음량 레벨을 동일하게 조절하여 출력하기 위하여, 마이크로폰(10)에서 입력되는 음성 신호와 오디오 신호처리부(20)에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는 저역 통과 필터(40)와, 저역 통과 필터(40)로부터 필터링된 음성 신호와 오디오 신호의 전압차를 비교하는 비교기(50)와, 비교기(50)로부터의 신호 레벨에 따라 적응적으로 현재 마이크로폰의 음량 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음량 데이터를 출력하는 마이크로컴퓨터(60)와, 출력되는 마이크로폰의 음량 레벨을 마이크로컴퓨터(60)의 음량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량 레벨로 조절하는 음량 조절부(30)를 각각 구성하므로써, 사용자의 수작업으로 음량을 조절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뿐만아니라, 보다 정확하게 음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volume control apparatus of a flexible accompaniment apparatus, and includes a microphone 10 and an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20, and in order to output the same by adjusting the volume level and the audio volume level of the input microphone, A low pass filter 40 for removing noise of the audio signal input from the audio signal input from the audio signal processor 20 and a low pass filter 40, and a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audio signal and the audio signal filtered from the low pass filter 40. The comparator 50 for comparing the, the microcomputer 60 for outputting volume data for adaptively adjusting the volume level of the current microphone according to the signal level from the comparator 50, and the volume level of the output microphone By respectively configuring the volume adjusting section 30 for adjusting the volume level corresponding to the volume data of the microcomputer 60, the user manually Not only does it eliminate the hassle of adjusting the volume, but it also allows you to adjust the volume more accurately.

Description

자동 음량 조절 장치Automatic volume control

본 고안은 가요 반주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요 반주 기기의 오디오 음량 레벨과 마이크로폰 음량 레벨을 동일하게 유지하기 위한 자동 음량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exible accompanimen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volume control device for maintaining the audio volume level and the microphone volume level of the flexible accompaniment device.

일반적으로, 가요 반주 기기에서는 사용자의 볼륨 업/다운 키 조작에 의해 설정된 볼륨 레벨로 마이크로폰 음량을 출력하며, 또한 출력되는 오디오 음량의 소음 정도에 따라 사용자가 볼륨 업/다운 키조작을 수행한다.In general, the flexible accompaniment device outputs the microphone volume at the volume level set by the user's volume up / down key operation, and the user performs the volume up / down key operation according to the noise level of the output audio volume.

따라서, 사용자의 수작업에 의해 일일이 볼륨 레벨을 높히거나 낮춰서 청취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there is an uncomfortable problem of listening to the user by manuall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volume level.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가요 반주 기기의 자동 음량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n automatic volume control device for a flexible accompaniment devic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마이크로폰(10)과 오디오 신호처리부(20)를 포함하며, 입력되는 마이크로폰의 음량 레벨과 오디오 음량 레벨을 동일하게 조절하여 출력하기 위한 가요 반주 기기의 음량 조절 장치로서, 마이크로폰(10)에서 입력되는 음성 신호와 오디오 신호처리부(20)에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는 저역 통과 필터(40)와, 저역 통과 필터(40)로부터 필터링된 음성 신호와 오디오 신호의 전압차를 비교하는 비교기(50)와, 비교기(50)로부터의 신호 레벨에 따라 적응적으로 현재 마이크로폰의 음량 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음량 데이터를 출력하는 마이크로컴퓨터(60)와, 출력되는 마이크로폰의 음량 레벨을 마이크로컴퓨터(60)의 음량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량 레벨로 조절하는 음량 조절부(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 반주 기기의 음량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icrophone 10 and an audio signal processor 20, and a volume control device of a flexible accompaniment apparatus for outputting the same volume level and audio volume level of the microphone to be input. As a low pass filter 40 for removing noise from the audio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10 and the audio signal input from the audio signal processor 20, the voice signal and the audio signal filtered from the low pass filter 40 A comparator 50 for comparing the voltage difference of the microcomputer 60, a microcomputer 60 for outputting volume data for adaptively adjusting the volume level of the current microphone according to the signal level from the comparator 50, and the output of the microphon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olume control unit 30 for adjusting the volume level to the volume level corresponding to the volume data of the microcomputer 60 Provides a volume control device for the accompaniment.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요 반주 기기의 자동 음량 조절 장치의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of an automatic volume control device of a flexible accompani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가요 반주 기기의 음량 조절 과정의 순서도.Figure 2 is a flow chart of the volume control process of the accompaniment apparatus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 symbol about the principal part of drawing>

10 : 마이크로폰 20 : 오디오신호처리부10: microphone 20: audio signal processor

30 : 음량조절부 40 : 저역통과필터30: volume control unit 40: low pass filter

50 : 비교기 60 : 마이크로컴퓨터50: comparator 60: microcomputer

본 고안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The above object and various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가요 반주 기기의 음량 조절 장치의 블록도가 도시된다.1, a block diagram of a volume control device of a flexible accompani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동 도면에 있어서, 마이크로폰(10)은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며, 오디오 신호 처리부(20)는 디스크 및 테이프의 오디오 신호를 독취 및 처리하여 출력한다.In the figure, the microphone 10 converts a user's voic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he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20 reads, processes, and outputs audio signals of disks and tapes.

음량 조절부(30)는 마이크로컴퓨터(60)로부터의 음량 데이터 값에 대응하여 도시 생략된 스피커로 증폭도를 조절한다.The volume control unit 30 adjusts the amplification degree with a speaker not shown in correspondence with the volume data value from the microcomputer 60.

저역 통과 필터(40)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20)로부터의 오디오 신호와 마이크로폰(10)으로부터의 음성 신호에서 노이즈 성분이 포함된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여 출력한다. 또한, 비교기(50)는 저역 통과 필터(40)로부터 필터링된 오디오 신호와 음성 신호를 비교하여, 그에 따른 전압차를 마이크로컴퓨터(60)로 출력시킨다.The low pass filter 40 removes and outputs a high frequency component including a noise component from the audio signal from the audio signal processor 20 and the audio signal from the microphone 10. In addition, the comparator 50 compares the audio signal and the audio signal filtered from the low pass filter 40, and outputs the voltage difference accordingly to the microcomputer 60.

그리고, 마이크로컴퓨터(60)는 마이크로폰(10)의 초기 입력신호가 감지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음량 조절을 제어한다. 즉, 마이크로컴퓨터(60)는 비교기(50)로부터 출력된 전압차에 따라 적응적으로 현재 마이크로폰(10)의 음량 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음량 데이터를 음량 조절부(30)로 출력한다.When the initial input signal of the microphone 10 is detected, the microcomputer 60 controls the volume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at is, the microcomputer 60 adaptively outputs volume data for adjusting the volume level of the current microphone 10 to the volume controller 30 according to the voltage difference output from the comparator 50.

다음에, 상술한 구성부를 포함하는 본 고안의 동작 과정을 첨부한 도 2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ure 2 attached to the operation of the subject innovation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가요 반주 기기에 포함되어 있는 음향 기기, 예로 테이프 및 디스크, 가 작동을 개시하고 마이크로폰(10)이 온 되었을 경우, 마이크로컴퓨터(60)는 마이크로폰(10)으로부터 그에따른 신호를 감지한다(단계 100).First, when the acoustic devices included in the flexible accompaniment apparatus, such as tape and disk, start operation and the microphone 10 is turned on, the microcomputer 60 detects the corresponding signal from the microphone 10 (step 100).

마이크로폰(10)으로부터의 온 신호가 감지되면, 마이크로컴퓨터(60)는 입력되는 비교기(50)의 신호에 따라 적응적으로 각기 다른 음량 데이터를 음량 조절부(30)로 출력시킨다(단계 102).When the on-signal from the microphone 10 is detected, the microcomputer 60 adaptively outputs different volume data to the volume controller 30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comparator 50 input (step 102).

즉, 비교기(50)에서 출력된 신호가 하이(high)신호이면, 마이크로컴퓨터(60)는 해당 음량 데이터를 음량 조절부(30)로 출력시킨다(단계 104).That is, if the signal output from the comparator 50 is a high signal, the microcomputer 60 outputs the corresponding volume data to the volume controller 30 (step 104).

음량 조절부(30)는 출력되는 마이크로폰(10)의 음량 레벨을 상술한 마이크로컴퓨터(60)의 음량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량 레벨로 조절한다. 다시말해서, 마이크로폰(10)에서 출력되는 음량 레벨과 오디오 신호처리부(20)에서 출력되는 음량 레벨의 차만큼 마이크로폰(10)의 음량 레벨을 감한다(단계 106).The volume controller 30 adjusts the volume level of the microphone 10 to be output to a volume level corresponding to the volume data of the microcomputer 60 described above. In other words, the volume level of the microphone 10 is subtract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volume level output from the microphone 10 and the volume level output from the audio signal processor 20 (step 106).

만일, 비교기(50)에서 출력된 신호가 로(low)신호이면, 마이크로컴퓨터(60)는 해당 음량 데이터를 음량 조절부(30)로 출력시킨다(단계 108).If the signal output from the comparator 50 is a low signal, the microcomputer 60 outputs the corresponding volume data to the volume controller 30 (step 108).

음량 조절부(30)는 출력되는 마이크로폰(10)의 음량 레벨을 상술한 마이크로컴퓨터(60)의 음량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량 레벨로 조절한다. 다시말해서, 마이크로폰(10)에서 출력되는 음량 레벨과 오디오 신호처리부(20)에서 출력되는 음량 레벨의 차만큼 마이크로폰(10)의 음량 레벨을 올린다(단계 110).The volume controller 30 adjusts the volume level of the microphone 10 to be output to a volume level corresponding to the volume data of the microcomputer 60 described above. In other words, the volume level of the microphone 10 is rais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volume level output from the microphone 10 and the volume level output from the audio signal processor 20 (step 110).

이상과 같은 동작과정을 거쳐, 마이크로폰의 음량 레벨과 오디오의 음량 레벨을 항상 동일하게 유지하게 된다.Through the above operation process, the volume level of the microphone and the volume level of the audio are always kept the same.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가요 반주 기기에서 마이크로폰의 음량 레벨과 오디오의 음량 레벨을 자동적으로 동일한 레벨로 출력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수작업으로 음량을 조절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뿐만아니라, 보다 정확하게 음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outputs the volume level of the microphone and the audio level of the audio from the accompaniment apparatus, thereby eliminating the trouble of manually adjusting the volume, and more accurately adjusting the volume. There is an adjustable effect.

Claims (1)

마이크로폰(10)과 오디오 신호처리부(20)를 포함하며 입력되는 마이크로폰의 음량 레벨과 오디오 음량 레벨을 동일하게 조절하여 출력하기 위한 가요 반주 기기의 음량 조절 장치로서,A volume adjusting device of a flexible accompaniment apparatus including a microphone 10 and an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20 and outputting the same by adjusting a volume level and an audio volume level of an input microphone, 상기 마이크로폰(10)에서 입력되는 음성 신호와 상기 오디오 신호처리부(20)에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는 저역 통과 필터(40);A low pass filter 40 for removing noise from a voice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10 and an audio signal input from the audio signal processor 20; 상기 저역 통과 필터(40)로부터 필터링된 상기 음성 신호와 오디오 신호의 전압차를 비교하는 비교기(50);A comparator (50) for comparing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audio signal and the audio signal filtered from the low pass filter (40); 상기 비교기(50)로부터의 신호 레벨에 따라 적응적으로 현재 마이크로폰의 음량 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음량 데이터를 출력하는 마이크로컴퓨터(60);A microcomputer (60) for outputting volume data for adaptively adjusting the volume level of the current microphone according to the signal level from the comparator (50); 출력되는 마이크로폰의 음량 레벨을 상기 마이크로컴퓨터(60)의 음량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량 레벨로 조절하는 음량 조절부(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 반주 기기의 음량 조절 장치.Volume control unit of the accompani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volume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volume level of the output microphone to the volume level corresponding to the volume data of the microcomputer (60).
KR2019970006465U 1997-03-31 1997-03-31 Automatic volume control KR19980062159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6465U KR19980062159U (en) 1997-03-31 1997-03-31 Automatic volume contr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6465U KR19980062159U (en) 1997-03-31 1997-03-31 Automatic volume contro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2159U true KR19980062159U (en) 1998-11-16

Family

ID=69679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6465U KR19980062159U (en) 1997-03-31 1997-03-31 Automatic volume contr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2159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90585A (en) Hearing aid
US5844992A (en) Fuzzy logic device for automatic sound control
US9232322B2 (en) Hearing aid devices with reduced background and feedback noises
JPH034611A (en) On-vehicle automatic sound volume adjustment device
JPH0786857A (en) Method and equipment to correspond and adjust sound volume of regerative apparatus for car to peripheral noise
JPH0968997A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voice
KR19980062159U (en) Automatic volume control
JPH11308062A (en) Automatic volume adjusting device for sound output device
JPH05218769A (en) Audio equipment for automobile
JP2000134051A (en) Compressor
JPH09130885A (en) Headphone with automatic sound volume adjustment function
JPH0374914A (en) Audio signal processor
KR0114190Y1 (en) Automatic volume compensation circuit of portable acoustic machinery
KR20020089884A (en) Method for automatically adujusting level of audio output signal
KR100301837B1 (en) Method for controlling echo &amp; tone of the A/V system
KR970004684B1 (en) Hi-fi noise elimination apparatus for vcr
KR940003350B1 (en) Volume automatic control system
JPS628079B2 (en)
JP3861388B2 (en) Audio output control device
KR920006293B1 (en) Power control method
KR19990001945A (en) Noise canceling device for recording equipment
KR0136701B1 (en) Initial amplifying level adjusting method of audio system
KR20000074242A (en) Circuit for removing noise of voice
KR100197612B1 (en) Apparatus for restricting sound level
KR950001488Y1 (en) Level correction circuit of input sig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