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0683A - 회전익 항공기의 테일붐 및 그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회전익 항공기의 테일붐 및 그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0683A
KR19980060683A KR1019960080046A KR19960080046A KR19980060683A KR 19980060683 A KR19980060683 A KR 19980060683A KR 1019960080046 A KR1019960080046 A KR 1019960080046A KR 19960080046 A KR19960080046 A KR 19960080046A KR 19980060683 A KR19980060683 A KR 19980060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tail boom
layer
mandrel
rotorcr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80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36123B1 (ko
Inventor
최상민
에이프로쿠딘
Original Assignee
이대원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원,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대원
Priority to KR1019960080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6123B1/ko
Publication of KR19980060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0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6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61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1/0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 B29C41/02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1/22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00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10Manufacturing or assembling aircraft, e.g. ji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76Aircrafts
    • B29L2031/3088Helicop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테일붐의 스킨(skin)이 복합재의 패널 구조로 형성된 회전익 항공기의 테일붐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회전익 항공기의 제작방법은, 맨드렐의 외주면에 복합재 테이프를 감아 내주복합체층을 형성하는 제1 단계와, 상기 내주 복합재층의 외주면에 탄성체층을 형성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탄성체층의 외주면에 복합재 테이프를 감아 외주복합체층을 형성하는 제 3단계와, 상기 내주 및 외주 복합재층과 탄성체층을 경화하는 제 4단계와, 상기 경화되어 상호 결합된 내주복합재층, 외주복합재층 및 탄성체층과 상기 멘드렐을 서로 분리하는 제5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회전익 항공기의 테일붐 제작방법은, 종래의 금속 구조로 된 테일붐보다 중량이 상당히 감소하여 항공기의 경량화가 가능해지고, 일체로 성형이 가능해져서 접착성이 증가하고 기계적 손상에 강하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회전익 항공기의 테일붐 및 그 제작방법
본 발명은 회전익 항공기의 테일붐(tailboom)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테일붐의 스킨(skin)이 복합재의 패널 구조로 형성된 회전익 항공기의 테일붐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전익 항공기는 회전익을 회전시킴으로써 발생하는 양력으로 추진된다. 특히 헬리콥터와 같은 회전익 항공기는 화석 연료 엔진의 동력을 이용하여 동체의 상부에 설치된 회전익을 고속 회전시킴으로써, 고정익 항공기에서는 불가능한 수직 상승 및 하강 비행과 정지 비행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회전익 항공기의 테일붐 중 허니콤 패널구조의 테일붐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회전익 항공기의 테일붐은, 중공 실린더 형상으로 길게 형성된 스킨(10)과, 상기 스킨(10)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삽입 설치된 복수개의 벌크헤드(12)를 구비한다. 이 벌크헤드(12)는 스킨(10)의 내부구조를 보강하는 기능을 가진다. 그리고 테일붐의 스킨(10)은 외주스킨(16)과 내주스킨(14) 및 상기 2개의 스킨(14,16)사이에 개재되는 허니콤(18)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구비한 테일붐을 구성하는 허니콤(18)은 알루미늄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항공기에서 크게 요구되는 경량화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한다. 그리고 본드에 의하여 허니콤(18)과 내주스킨(14) 및 외주스킨(16)이 접착되므로, 사용할 때에 접착력이 약화될 위험성이 존재한다. 또한 진동에 의하여 허니콤(18) 조직의 갈라짐이 발생할 수 있고, 허니콤(18) 내부에 존재하는 습기가 고공비행시에 얼어서 셀이 터지거나 기계적 강도가 약화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경량화 및 기계적 특성이 향상되도록 다층구조의 복합재 스킨을 구비한 회전익 항공기의 테일붐 및, 복합재를 이용하여 다층구조의 회전익 항공기의 테일붐의 제작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회전익 항공기의 테일붐의 개략적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익 항공기 테일붐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 단면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익 항공기 테일붐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일붐을 채용한 회전익 항공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익 항공기의 테일붐의 제작공정에서, 멘드렐에 대한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도 5의 맨드렐의 외면에 홈을 형성한 상태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7a 및 도 7b는 도 5의 맨드렐의 외면에 내주복합재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2가지 방법으로 복합재 테이프를 감는 상태를 각각 도시한 도면,
도 8a는 고무테이프의 외면에 복합재 테이프를 감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b 및 도 8d는 도 8a의 고무테이프를 맨드렐의 외면에 감는 공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9는 멘드렐의 양단부에 인서트가 설치되고, 외주복합재층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맨드렐의 양단부에 벌크헤드를 형성하기 위하여 보조 멘드렐을 설치한 상태의 도면,
도 11은 완성된 맨드렐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21,31...스킨22,32...벌크헤드
25,35...내주복합재층26,36...외주복합재층
27,37...탄성체층28,38...고무셀
29,39...접촉층50...멘드렐
70,85...복합재테이프80...고무테이프
95...보조 멘드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익 항공기의 테일붐은, 중공 실린더 형상의 스킨을 구비하고 비행기의 동체 후미에 부착되는 회전익 항공기의 테일붐에 있어서, 상기 스킨은, 소정의 고무재료로 만들어지는 탄성체층과, 상기 탄성체층의 상하면에 각각 복합재가 적층되어 형성된 외주복합재층 및 내주복합재층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체층은, 그 단면이 세모형상인 링형의 복수개의 고무셀이 상기 스킨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소정방향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배열방향은, 밑면이 내주복합체층에 접촉되고, 꼭지점은 외주 복합재층에 접촉되는 정방향 고무셀이 인접하여 설치되고, 밑면이 상기 외주복합재층에 접촉되고 그 꼭지점이 상기 내주복합재층에 접촉되는 역방향 고무셀이 상기 인접하는 정방향 고무셀 사이에 삽입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고무셀의 내부에 스킨의 원주를 따라 연장되는 홀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내주복합체층과 외주복합체층은 각각 수지가 함침된 섬유 강화 복합재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는 레이어가 소정 높이만큼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익 항공기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구비한 테일붐이 후미에 설치된 동체와, 상기 테일붐의 꼬리부분에 설치되는 보조 회전익과, 상기 동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소정의 속도로 회전하여 양력을 제공하는 주 회전익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익 항공기의 제작방법은, 맨드렐의 외주면에 복합재 테이프를 감아 내주복합체층을 형성하는 제1 단계와, 상기 내주 복합재층의 외주면에 탄성체층을 형성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탄성체층의 외주면에 복합재 테이프를 감아 외주복합체층을 형성하는 제 3단계와,
상기 내주 및 외주 복합재층과 탄성체층을 경화하는 제 4단계와, 상기 경화되어 상호 결합된 내주복합재층, 외주복합재층 및 탄성체층과 상기 멘드렐을 서로 분리하는 제5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복합재테이프를 상기 멘드렐의 길이방향의 중심축에 대하여 직긱 방향과 소정각도를 가지는 원주를 따라 감는 단계와 복합재테이프를 상기 소정각도와 대칭되는 각도를 가지는 원주를 따라 감는 단계가 교번하여 행해져서 일정두께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정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고무테이프를 상기 멘드렐의 길이방향의 중심축에 대하여 소정각도를 가지는 원주를 따라 연속하여 감아 형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무테이프의 외면에 수지가 함침된 보강용 복합재 플라스틱 테이프를 감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무테이프의 단면이 삼각형상인 테이프를 2겹 적층하여 감아, 상기 상하부 고무테이프의 삼각형이 교대로 맞물리도록 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익 항공기의 테일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익 항공기 테일붐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회전익 항공기의 테일붐(20)은 중공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테이퍼진 스킨(21)과, 상기 스킨(21)의 양단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벌크헤드(22)를 구비한다.
상기 스킨(21)은 3개의 층을 적층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중간층에는 소정의 고무재료로 만들어지는 탄성체층(27)이 위치하고, 이 탄성체층(27)의 상하면에 복합재료로 만들어지는 외주복합재층(26)과 내주복합재층(25)이 설치된다. 상기 복합재층(25,26)을 형성하기 위하여, 각각 수지가 함침된 섬유 강화 복합재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는 레이어를 소정 높이 만큼 적층한다.
확대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체층(27)은, 단면이 세모형상인 링형의 복수개의 고무셀(28a,28b,28c..)이 상기 스킨(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진다. 안정된 삼각형 단면을 가지는 정방향 고무셀(28a,28c..)과 불안정한 삼각형 단면을 가지는 역방향 고무셀(28b)이 서로 교번하여 설치됨으로써, 상기 배열이 이루어진다. 정방향 고무셀(28a,28c)의 밑면이 내주복합재층(25)에 접촉되고, 그 꼭지점은 외주 복합재층(26)에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역방향 고무셀(28b)의 밑면이 상기 외주복합재층(26)에 접촉되고 그 꼭지점이 상기 내주복합재층(25)에 접촉된다. 이 역방향 고무셀(28b)이 상기 인접하는 정방향 고무셀(28a,28c) 사이에 삽입되어, 이들이 상호 맞물린다. 따라서 탄성체층(27)의 복합재층(25,26)과 접촉되는 상하면은 편평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각 고무셀(28a,28b,28c..)의 중앙부에는 스킨(21)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홀(23)이 연장되어 있어서, 탄성체층(27)이 유연성과 밀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고무셀의(28a,28b,28c) 외면에는 수지가 함침된 섬유 강화 복합재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접촉층(29)이 설치되는데, 이 접촉층(29)은 오븐에서 경화되어 접착제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상호 인접된 고무셀이 밀착 접촉되어 기밀성이 향상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익 항공기 테일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익 항공기의 테일붐(30)은 중공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된 스킨(31)과, 상기 스킨(31)의 양단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벌크헤드(32)를 구비한다.
상기 스킨(31)은 3개의 층이 적층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중간층에는 소정의 고무재료로 만들어지는 탄성체층(37)이 위치하고, 이 탄성체층(37)의 상하면에 복합재료로 만들어지는 외주복합재층(36)과 내주복합재층(35)이 설치된다. 상기 복합체층(35,36)은, 각각 수지가 함침된 섬유 강화 복합재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는 레이어가 소정 높이 만큼 적층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체층(37)은, 단면이 네모형상인 링형의 복수개의 고무셀(38a,38b,38c...)이 상기 스킨(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각 고무셀(38a,38b,38c)의 중앙부에는 스킨(31)의 원주방향을 따라 홀(33)이 연장되어 있어서, 탄성체층(37)의 유연성과 밀착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각 고무셀(38a,38b,38c...)의 외면에는 수지가 함침된 섬유 강화 복합재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접촉층(39)이 형성되는데, 이 접촉층(39)은 경화되어 접찹제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상호 인접된 고무셀이 밀착 접촉되어 기밀성이 향상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구비한 복합재 테일붐과 종래의 테일붐의 무게를 비교하면, 종래의 금속 테일붐에 비하여 도 2의 테일붐(20)은 약 40%의 중량을, 도 3의 테일붐(30)은 약 34%의 중량을 줄일 수 있다.
도 4에는 도 2 및 도 3에 의한 테일붐(20,30)을 구비한 회전익 항공기의 일종인 헬리콥터의 개략적인 외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헬리콥터(40)의 동체(41) 상부에는 주 회전익(42)이 설치되며, 동체(41)의 꼬리 부분에는 보조 회전익(43)이 설치된다. 주 회전익(42)은 헬리콥터(40)의 수직 승강 및 전진 비행의 추진력을 제공하며, 보조 회전익(43)은 헬리콥터(40)의 비행시에 동체(41)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킨다. 헬리콥터 동체의 후미에는 테일붐(20,30)이 설치되고, 이 테일붐(20,30)은 소정의 결합수단에 의하여 동체(41)의 머리부와 결합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익 항공기의 테일붐 제작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제작기구로서, 테일붐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된 멘드렐(50)을 설치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맨드렐(50)은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단부인 루트부(52)와 팁부(53) 사이에서 소정의 각도로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상기 멘드렐(50)의 양단부에는 지지돌기(55)가 돌출되어 있어서, 이 지지돌기(55)에 의하여 맨드렐(50)이 지지된다.
그리고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맨드렐(50)의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홈(60)을 형성하고, 상기 각 홈(60)에 복합재를 적층한다. 이 부분은 테일붐 스킨의 보강을 위한 심(도 11의 100)의 기능을 하게 된다.
그 다음에 맨드렐(50)의 외주면에 복합재 테이프(70)를 감아 내주복합체층(도 11의 101)을 형성한다. 이 과정은 도 7a에서 보는바와 같이, 복합재테이프(70)를 맨드렐(50)의 길이방향의 중심축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감는 방법과, 도 7b에서 보는바와 같이 맨드렐(50)의 길이방향의 중심축에 대하여 소정각도(α)를 가지는 방향으로 감는 방법으로 구분된다.
후자의 경우에는, 각도(+α)를 따라 복합재테이프(70)를 감는 단계와, 상기 각도(+α)와 절대치가 동일하고 방향인 반대인 각도(-α)를 따라 복합재테이프(70)를 감는 단계가 교번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각도(α)는 복합재테이프(70)에 함유된 보강섬유의 방향과, 항공기의 하중 상태등을 고려하여 가장 적당한 값을 선택하게 된다. 이와같이 형성되는 내주복합재층(101)은 상기 감는 회수를 여러번으로 하여 그 두께가 소정의 값에 이르도록 하여, 일정강도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복합재 테이프(50)는 수지가 함침된 보강용 복합재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서 후에 오븐속에서 경화된다.
그 다음에 상기 내주복합재층(101)의 외주면에 탄성체층(도 11의 102)을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도 8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정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긴 고무테이프(80)의 외면에 수지가 함침된 보강용 복합재 플라스틱 테이프(85)를 감는다. 그리고 외면에 복합재테이프가 감긴 고무테이프(80)를 맨드렐(50)의 길이방향의 중삼축에 대하여 소정각도을 가지는 원주를 따라 연속하여 감는다. 상기 고무테이프(80)는 그 단면이 사각형상인 것과 삼각형상인 것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데, 삼각형상의 고무테이프가 중량 및 기밀성의 측면에서 유리하다.
상기 삼각형의 고무테이프(8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8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하부 고무테이프(82)를 삼각형의 밑면이 내주복합체층(101)에 접촉하도록 감아서 바깥쪽으로 톱니 형상이 돌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8d에서와 같이, 하부 고무테이프(82) 위에 상부 고무테이프(83)를 반대로 감아서, 상부 고무테이프(83)의 삼각형의 꼭지점이 하부 고무테이프(82)의 삼각형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상하부 고무테이프(82,83)의 삼각형은 교대로 맞물려서, 완성된 탄성체층의 상하부면은 평탄한 면을 형성하게 된다.
그 다음에 도 9에서 보는바와 같이, 상기 맨드렐(50)의 양 단부에 소정형상의 인서트(90)를 설치하여, 원하는 형상의 스킨 단부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 인서트(90)의 형상은 테일붐과 결합될 동체와의 결합형상 및 결합방법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체층(102) 및 인서트(90) 외주면에 복합재 테이프를 감아 외주복합재층(103)을 형성한다. 이 외주복합재층(103)을 형성하는 과정은 도 7에서 설명된 바와 동일하게 내주복합재층(101)을 형성하는 과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 다음에 테일붐 스킨의 양단부에 벌크헤드(미도시)를 형성하기 위하여, 멘드렐(50)의 양단부에 보조 맨드렐(95)을 설치하고, 여기에 복합재를 적층한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 보조 멘드렐(95)은 벌크헤드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맨드렐(50)의 양단부에 인접하여 2개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 멘드렐(95)의 외측면에 복합재를 적층함으로써, 소정형상의 벌크헤드가 완성된다.
그 다음에 상기 내주복합체층(101)과 외주복합재층(103) 및 탄성체층(102)을 경화하여 테일붐을 완성한다. 이 과정은, 도 5로부터 도 10의 과정을 거친 맨드렐을 소정의 온도 및 압력으로 세팅된 오븐(미도시)속에 일정시간 유지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상기 오븐에서 경화되어 서로 결합된 내주복합재층(101) 및 외주복합재층(103), 탄성체층(102)으로부터 멘드렐을 분리한다. 이와 같이 분리되어 완성된 테일붐의 단면이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청구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한 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익 항공기의 테일붐 및 그 제작방법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진다.
첫째, 종래의 금속 구조로 된 테일붐보다 중량이 상당히 감소하므로 항공기의 경량화가 가능해진다.
둘째, 접착제 본딩방식이 아닌 수지 경화 접착방식이므로 일체로 성형이 가능해져서 접착성이 증가하고 기계적 손상에 강하다.
셋째, 탄성체를 사용하므로, 종래의 허니콤 패널 구조와 달리 진동에 의한 갈라짐 현상이나 습기로 인한 강도저하를 일으키지 않아서, 습기 및 진동에 대한 저항성이 강해진다.
넷째, 종래의 스킨 내부 여러곳에 설치해야 하는 보강용 벌크헤드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부품수가 감소하여 구조가 단순해진다.

Claims (21)

  1. 중공 실린더 형상의 스킨을 구비하고, 비행기의 동체 후미에 부착되는 회전익 항공기의 테일붐에 있어서,
    상기 스킨은,
    소정의 고무재료로 만들어지는 탄성체층과,
    상기 탄성체층의 상하면에 각각 복합재가 적층되어 형성된 외주복합재층 및 내주복합재층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익 항공기의 테일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층은, 그 단면이 세모형상인 링형의 복수개의 고무셀이 상기 스킨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소정방향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배열방향은,
    밑면이 내주복합체층에 접촉되고, 꼭지점은 외주 복합재층에 접촉되는 정방향 고무셀이 인접하여 설치되고,
    밑면이 상기 외주복합재층에 접촉되고 그 꼭지점이 상기 내주복합재층에 접촉되는 역방향 고무셀이 상기 인접하는 정방향 고무셀 사이에 삽입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익 항공기의 테일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층은, 그 단면이 네모형상인 링형의 복수개의 고무셀이 상기 스킨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인접하여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익 항공기의 테일붐.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고무셀의 내부에 스킨의 원주를 따라 연장되는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익 항공기의 테일붐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고무셀의 외면에 수지가 함침된 섬유 강화 복합재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는 접촉층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익 항공기의 테일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주복합체층과 외주복합체층은 각각 수지가 함침된 섬유 강화 복합재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는 레이어가 소정 높이만큼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익 항공기의 테일붐.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한 테일붐이 후미에 설치된 동체와,
    상기 테일붐의 꼬리부분에 설치되는 보조 회전익과,
    상기 동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소정의 속도로 회전하여 양력을 제공하는 주 회전익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익 항공기.
  8. 맨드렐의 외주면에 복합재 테이프를 감아 내주복합체층을 형성하는 제1 단계와,
    상기 내주 복합재층의 외주면에 탄성체층을 형성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탄성체층의 외주면에 복합재 테이프를 감아 외주복합체층을 형성하는 제 3단계와,
    상기 내주 및 외주 복합재층과 탄성체층을 경화하는 제 4단계와,
    상기 경화되어 상호 결합된 내주복합재층, 외주복합재층 및 탄성체층과 상기 멘드렐을 서로 분리하는 제5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익 항공기의 테일붐 제작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맨드렐은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양단부 사이에서 소정의 각도로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익 항공기의 테일붐 제작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맨드렐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각 홈에 복합재를 적층하여 보강용 심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익 항공기의 테일붐 제작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제 1 단계 및 제 3 단계에서,
    상기 복합재테이프를 상기 멘드렐의 길이방향의 중심축에 대하여 직긱 방향의 원주를 따라 감아 일정두께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익 항공기의 테일붐 제작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제 1 단계 및 제 3 단계는,
    상기 복합재테이프를 상기 멘드렐의 길이방향의 중심축에 대하여 직긱 방향과 소정각도를 가지는 원주를 따라 감아 일정두께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익 항공기의 테일붐 제작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제 1 단계 및 제 3 단계는,
    복합재테이프를 상기 멘드렐의 길이방향의 중심축에 대하여 직긱 방향과 소정각도를 가지는 원주를 따라 감는 단계와 복합재테이프를 상기 소정각도와 대칭되는 각도를 가지는 원주를 따라 감는 단계가 교번하여 행해져서 일정두께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익 항공기의 테일붐 제작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소정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고무테이프를 상기 멘드렐의 길이방향의 중심축에 대하여 소정각도를 가지는 원주를 따라 연속하여 감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익 항공기의 테일붐 제작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테이프의 외면에 수지가 함침된 보강용 복합재 플라스틱 테이프를 감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익 항공기의 테일붐 제작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테이프의 단면이 사각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익 항공기의 테일붐 제작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테이프의 단면이 삼각형상인 테이프를 2겹 적층하여 감아, 상기 상하부 고무테이프의 삼각형이 교대로 맞물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익 항공기의 테일붐 제작방법.
  1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와 제 3단계 사이에,
    상기 내주복합체층이 형성된 멘드렐의 양 단부에 소정형상의 인서트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익 항공기의 테일붐 제작방법.
  1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와 제 4 단계 사이에,
    상기 맨드렐의 단부 양측에 인접하여 소정의 형상을 가지는 보조 멘드렐을 각각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보조 멘드렐의 외측면에 복합재를 적층하여 벌크헤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익 항공기의 테일붐 형성방법.
  2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는,
    소정의 온도 및 압력으로 세팅된 오븐속에 상기 복합재층과 탄성체층이 형성된 맨드렐을 일정시간 유지시겨서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익 항공기의 테일붐 제작방법.
  2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 및 제 3단계에서,
    상기 복합재 테이프는 수지가 함침된 보강용 복합재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익 항공기의 테일붐 제작방법.
KR1019960080046A 1996-12-31 1996-12-31 회전익 항공기의 테일붐 및 그 제작방법 KR100236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80046A KR100236123B1 (ko) 1996-12-31 1996-12-31 회전익 항공기의 테일붐 및 그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80046A KR100236123B1 (ko) 1996-12-31 1996-12-31 회전익 항공기의 테일붐 및 그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683A true KR19980060683A (ko) 1998-10-07
KR100236123B1 KR100236123B1 (ko) 1999-12-15

Family

ID=19493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80046A KR100236123B1 (ko) 1996-12-31 1996-12-31 회전익 항공기의 테일붐 및 그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61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727B1 (ko) * 2017-12-01 2019-05-15 에어버스 헬리콥터스 회전익기용 테일 붐의 섹션들을 최적화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2583A (ko) * 2002-09-09 2004-03-16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붕산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의 처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727B1 (ko) * 2017-12-01 2019-05-15 에어버스 헬리콥터스 회전익기용 테일 붐의 섹션들을 최적화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36123B1 (ko) 1999-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89363B2 (en) Efficient sub-structures
US5332178A (en) Composite wing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JP4607583B2 (ja) 一体同時硬化複合材翼
US3028292A (en) Method of manufacturing plastic rotor blades
US6655633B1 (en) Tubular members integrated to form a structure
US4079903A (en) Lightweight contoured load carrying structure
US4749155A (en) Method of making wing box cover panel
US5129787A (en) Lightweight propulsor blade with internal spars and rigid base members
US4811540A (en) Fiber reinforced shell structure of synthetic material
US4662587A (en) Composite for aircraft wing and method of making
EP3415308B1 (en) Method for assembling an aircraft fuselage
US6110567A (en) Composite structural panel having a face sheet reinforced with a channel stiffener grid
US20040145080A1 (en) Method for fabricating wing
US4228976A (en) Main connector for an airfoil or wing
US20080277531A1 (en) Hybrid Composite Panel Systems and Methods
US6918839B2 (en) Damage tolerant shaft
US11613341B2 (en) Wing assembly having wing joints joining outer wing structures to center wing structure
KR100236123B1 (ko) 회전익 항공기의 테일붐 및 그 제작방법
EP3127808B1 (en) Rotorcraft rotor blade assembly
EP1595787B1 (en) Method for fabricating a composite material control surface for an aircraft.
US10822954B2 (en) Rotorcraft rotor blade assembly
US20160325820A1 (en) Structural component
US20230321928A1 (en) Composite part with crossbeam supports and methods of forming composite parts
US11059566B2 (en) Additive manufacture proprotor blade
US20230382510A1 (en) Composite core structures for aircraf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1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