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8494U - 조명기구 구조 - Google Patents

조명기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8494U
KR19980058494U KR2019970002916U KR19970002916U KR19980058494U KR 19980058494 U KR19980058494 U KR 19980058494U KR 2019970002916 U KR2019970002916 U KR 2019970002916U KR 19970002916 U KR19970002916 U KR 19970002916U KR 19980058494 U KR19980058494 U KR 1998005849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bulb
led
fastened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29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61160Y1 (ko
Inventor
한계호
Original Assignee
김기영
삼공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영, 삼공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기영
Priority to KR20199700029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1160Y1/ko
Publication of KR199800584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84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11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11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면에 부착된 조명기구내의 전구를 LED방식으로 개선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게 하면서 조명기구의 고장으로 인한 렌즈의 파손 또는 기판교환을 손쉽게 할수 있도록한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 종래 조명기구는 전구방식으로 벽면에 부착하여 사용중 일정기간 경과시 전구가 손상되기 때문에 전구를 수시로 교체해야 되며, 상기 전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소켓이 파손되었을 경우 전구를 고정시키기 위한 렌즈를 몸체에서 분리하고 다시 전구를 소켓에서 분리한후 몸체 내부에 나사에 의해 체결고정된 소켓을 분리하여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일정기간이 경과할 때 마다 전구를 교체해야 하므로 전구를 수시로 구입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의 전구방식을 LED방식으로 개선하여 전구를 반 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하게 하고, LED에서 발광된 빛을 반사하는 렌즈가 파손되었을 때 제품의 전면을 통하여 간단하게 렌즈만을 교체가능하게 하면서 동시에 LED에 연결된 기판을 정비할 경우 렌즈를 몸체에서 분리하지 않고 몸체의 후면에서 손쉽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조명장치에 적용한다.

Description

조명기구 구조
본 고안은 벽면에 부착된 조명기구내의 전구를 LED방식으로 개선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게 하면서 라이트의 고장으로 인한 렌즈의 파손 또는 기판교환을 손쉽게 할수 있도록한 벽면부착형 조명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조명기구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에 부착되는 몸체(20)와, 상기 몸체 내부에 위치되어 발광하는 전구(21)와, 전구(21)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체결되는 소켓(22)과, 나사(23)에 의해 전구(21)가 연결된 소켓(22)이 몸체(20)에 체결고정시 전구(21)에서 발광된 빛을 외부로 반사시키기 위한 몸체(20)의 전면에 체결되는 반사렌즈(24)와, 나사(23-1)에 의해 반사렌즈(24)를 몸체(20)에 체결고정시키기 위한 프레임(25)과, 상기 프레임(25)이 체결고정된 몸체(20)의 저면에 부착되어 상기 몸체(20)를 벽면에 부착시 밀착시켜 몸체(20)와 벽면사이를 방수시키는 패드(26)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조명기구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품을 벽면에 부착시키고자 할 경우 먼저, 사용자는 몸체(20)의 내부에 전구(21)가 체결된 소켓(22)을 위치시킨후 나사(23)를 이용하여 상기 소켓(22)를 몸체(20)의 내부에 체결고정시킨다.
몸체(20)내부에 전구(21)가 체결된 소켓(22)이 체결완료되었으면 사용자는 나사를 이용하여 몸체(20)를 벽면에 체결고정시키게 되는바 상기 벽면에 부착되는 몸체(20)의 전면 후단에는 패드(26)가 부착되어 있어 상기 몸체(20)를 벽면에 부착시 제품과 벽면사이는 방수가 되게 밀착된다.
이와 같이 몸체(20)가 벽면에 밀착되었으면 사용자는 몸체(20)의 내부 소켓(22)에 체결된 전구(21)를 보호하고 동시에 전구(21)에서 발광된 빛이 외부로 반사되도록 반사렌즈(24)를 체결시킨다.
즉, 사용자는 몸체(20)가 벽면에 밀착되게 체결고정되었으면 전구(21)가 위치된 몸체(20)부분에 렌즈(24)를 위치시킨후 나사(23-1)를 이용하여 프레임(25)를 렌즈(24)가 위치한 몸체(20)에 체결시키므로서 상기 렌즈(24)가 몸체(20)에 체결고정되면서 동시에 벽면에 몸체(20)가 견고하게 체결고정된다.
이와 같이 벽면에 고정된 몸체(20)내부의 전구(21)에 전원을 인가하여 장기간 외부로 빛을 반사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 벽면에 부착하는 조명기구는 전구방식으로 벽면에 부착하여 사용중 일정기간 경과시 전구가 손상되기 때문에 전구를 수시로 교체해야 되며, 상기 전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소켓이 파손되었을 경우 전구를 고정시키기 위한 렌즈를 몸체에서 분리하고 다시 전구를 소켓에서 분리한후 몸체 내부에 나사에 의해 체결고정된 소켓을 분리하여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일정기간이 경과할 때 마다 전구를 교체해야 하므로 전구를 수시로 구입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의 전구방식을 LED방식으로 개선하여 전구를 반 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하게 하고, LED에서 발광된 빛을 반사하는 렌즈가 파손되었을 때 제품의 전면을 통하여 간단하게 렌즈만을 교체가능하게 하면서 동시에 LED에 연결된 기판을 정비할 경우 렌즈를 몸체에서 분리하지 않고 몸체의 후면에서 손쉽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조명기구의 단면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2는 종래 조명기구의 단면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 조명기구의 단면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 조명기구의 구조를 보인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조명기구의 구조를 보인 B-B선 단면도.
먼저, 본 고안 조명기구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에 부착시키기 위한 몸체(1)와, 상기 몸체(1)의 상단에 체결되어 빛을 반사시키는 중앙에 빛을 양면으로 모으기 위해 홈(2-1)이 형성된 렌즈(2)와, 상기 렌즈(2)를 몸체(1)에 고정지지하기 위한 프레임(3)과, 상기 벽면에 몸체(1)를 밀착시 방수되도록 몸체(1)의 하단에 부착된 패드(4)와, 몸체(1)의 좌우에 형성된 체결구멍(1-1)에 체결되어 몸체(1)를 벽면에 체결고정시키면서 제품내부를 방수시키기 위한 체결봉(5)와, 상기 렌즈(2)의 내부에 위치하여 발광하는 다수개의 LED(6)와, 상기 LED(6)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면서 고정지지하는 양면기판(7)과, 상기 양면기판(7)을 사용할 때 기판과 기판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체결되어 뻬크라이트의 탭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스텐레스재질의 헬리코일(7-1)과, 상기 LED(6)가 연결된 양면기판(7)을 고정지지하기 위해 몸체(1)의 후단저면에 나사(8)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LED브라켓(9)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미설명 부호 10,11은 나사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마커 라이트를 조립하여 벽면에 부착시키고자 할 경우 먼저, 사용자는 일측에 다수개(12개)의 LED(6)를 각각 6개씩 직렬로 연결한후 이를 다시 병렬로 연결한후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양면기판(7)에 체결한다.(상기 LED는 양면을 합하여 각각 12개씩 직렬로 연결되어있다.)
양면기판(7)에 각각의 LED(6)가 연결되었으면 상기 양면기판(7)을 LED브라켓(9)을 이용하여 체결고정시키고 동시에 나사(8)를 이용하여 상기 LED브라켓(9)을 몸체(1)의 후단저면에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LED(6)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양면기판(7)을 사용할 경우 상기 기판과 기판사이에 빼크라이트로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빼크라이트사용으로 양면기판(7)을 LED브라켓(9)에 체결고정시 빼크라이트의 탭 마모방지를 위해 상기 빼크라이트로 형성된 공간에 스텐레스 재질의 헬리코일(7-1)을 체결한다.
이와 같이, 양면기판(7)이 몸체(1)의 후단저면에 체결고정완료시 상기 몸체(1)의 전면 좌우에 형성된 체결구멍(1-1)이 벽멱에 위치되게 한후 별도의 체결봉(5)을 상기 몸체(1)의 전면 좌우에 형성된 체결구멍(1-1)에 체결시켜 몸체(1)를 벽면에 밀착되게 부착시키면서 제품내부가 방수되도록 한다.
이때, 벽면에 부착된 몸체(1)부위에는 별도의 패드(4)가 부착되어 있어 상기 몸체(1)를 벽면에 부착시킬 때 패드(4)에 의해 몸체(1)가 벽면에 밀착되면서 방수된다.
이후, 몸체(1)가 벽면에 밀착되게 부착완료되었으면 LED(6)가 위치한 몸체(1)부분에 렌즈(2)를 위치시킨후 상기 렌즈(2)가 체결고정되도록 나사(10)를 이용하여 몸체(1)에 프레임(3)을 체결고정하여 상기 렌즈(2)를 몸체(1)에 체결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제품이 조립완료되어 렌즈(2)를 통해 빛이 반사되도록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양면기판(7)에 연결된 다수개의 LED(6)가 발광하므로서 렌즈(2)를 통해 외부로 빛이 반사되게 되는바, 상기 렌즈(2)의 중앙에는 양면으로 빛을 모으고 상기 렌즈(2)의 방향을 잡아주기 위해 홈(2-1)이 형성되어 있어 LED(6)가 발광시 렌즈(2)의 중앙에 형성된 홈(2-1)을 통해 빛이 외부로 반사되게 된다.
일정기간이 경과후 빛이 외부로 반사시키기 위한 렌즈(2)가 파손되었을 경우 사용자는 렌즈(2)를 체결고정시키기 위한 프레임(3)이 몸체(1)에서 분리되도록 나사(10)를 분리하므로서 제품의 전면에서 손쉽게 렌즈(2)를 교체할 수 있게 되며, LED(6)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양면기판(7)이 손상되었을 경우 상기 양면기판(7)을 교체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먼저 몸체(1)를 벽면에서 분리시킨후 몸체(1)의 후단저면에 나사(8)에 의해 체결고정된 LED브라켓(9)를 분리한후 다시 나사(11)를 분리하여 LED브라켓(9)과 양면기판(7)이 분리되도록 하므로서 사용자는 손상된 기판을 교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LED(6)를 장기간 사용할 때 상기 일측에 다수개(12개)의 LED(6)를 6개씩 직렬로 연결한후 이를 다시 병렬로 연결하고 타측에도 상기와 같이 LED(6)가 연결된 상태이므로, 상기 일측에 직렬로 연결된 6개의 LED(6)가 손상되어도 다른 6개의 LED(6)는 계속적으로 발광하게 되므로서 반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측과 타측에 각각 다수개의 LED를 직렬과 병렬로서 서로 연결하므로서 반영구적으로 LED를 발광시킬 수 있으며 상기 LED에서 발광된 빛을 외부로 반사시키는 렌즈가 파손되었을 경우 제품의 전면을 통해 손쉽게 교체가 가능하고, 상기 LED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양면기판이 손상되었을 경우 제품의 후면을 통해 손쉽게 교체가 가능하므로서 제품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벽면에 부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에 체결되어 빛을 외부로 반사시키는 렌즈와, 상기 렌즈를 몸체에 고정지지하기 위한 프레임과, 상기 벽면에 몸체를 부착시 방수되도록 밀착시키기 위한 벽면에 부착되는 부위의 몸체 하단에 부착된 패드와, 상기 벽면에 부착된 몸체가 체결고정되도록 나사가 체결되는 나사체결구멍으로 구성된 벽면에 부착되는 조명기구에 있어서,
    렌즈(2)를 통해 빛이 외부로 반사되도록 렌즈(2)의 내부에 위치하여 발광하는 다수개의 LED(6)와, 상기 LED(6)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양면기판(7)과, 상기 양면기판(7)을 고정지지하기 위해 몸체에 나사(8)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LED브라켓(9)으로 구성된 조명기구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양면기판(7)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LED(6)는 일측에 각각 6개의 LED를 직렬로 연결한후 다시 직렬로 연결된 6개의 LED를 병렬로 연결하여 일측에 직렬로 연결된 6개의 LED가 손상되어도 다른 6개의 LED가 계속적으로 발광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LED(6)에서 발광된 빛이 외부로 반사되도록 몸체(1)에 체결된 렌즈(2)의 중앙에는 렌즈(2)의 방향을 잡아주고 LED(6)에서 발광된 빛을 양면으로 집중되도록 무늬모양의 홈(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외부로 빛을 반사시키는 렌즈가 파손되었을 경우 몸체(1)의 전면을 통해 렌즈(2)를 교환하도록 하고, LED(6)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LED브라켓(9)에 고정된 양면기판(7)이 손상되었을 경우 렌즈(2)를 분리하지 않고 몸체(1)의 후면을 통해 손쉽게 교체할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구조.
KR2019970002916U 1997-02-24 1997-02-24 조명기구 구조 KR2001611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2916U KR200161160Y1 (ko) 1997-02-24 1997-02-24 조명기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2916U KR200161160Y1 (ko) 1997-02-24 1997-02-24 조명기구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494U true KR19980058494U (ko) 1998-10-26
KR200161160Y1 KR200161160Y1 (ko) 1999-11-15

Family

ID=19496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2916U KR200161160Y1 (ko) 1997-02-24 1997-02-24 조명기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116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7957B1 (ko) * 1999-08-23 2003-06-25 김용규 매입형 조명등기구
KR20150075780A (ko) * 2013-12-26 2015-07-06 인지전기공업 주식회사 조명등용 방열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7957B1 (ko) * 1999-08-23 2003-06-25 김용규 매입형 조명등기구
KR20150075780A (ko) * 2013-12-26 2015-07-06 인지전기공업 주식회사 조명등용 방열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1160Y1 (ko) 1999-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81307B2 (ja) 光学部位置決め装置
US7234840B2 (en) Lighting element and lighting element fixture with said element
US8007128B2 (en) Lighting device having LED light bars
KR20080098762A (ko) 엘이디 램프를 이용한 조명장치
KR20140038460A (ko) 평면 패널 조명 장치 및 구동 회로
JP2002304904A (ja) Led照明装置
RU2003110176A (ru) Светодиодный фонарь световой сигнализации
US5504342A (en) Inline handrail blacklight
KR200161160Y1 (ko) 조명기구 구조
JP2011049143A (ja) Led灯照明装置とそれに使用される連結治具、led灯保持具及び直管型led灯
KR101812187B1 (ko) 교체형 led 엣지등
KR200463715Y1 (ko) 의료용 조명등의 조립구조
JP2013109933A (ja) 蛍光灯型led照明器具
KR101961785B1 (ko) 자유 조립식 평판형 led 등기구
EP3470732A1 (en) Light-emitting joint for connection of luminaires and light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20120036738A (ko) 착탈이 용이한 엘이디 매입등
KR200448501Y1 (ko) 누광 차단구조를 구비하는 엘이디 조명기
US20150316243A1 (en) Driver Circuit Integrated LED Module
KR200460187Y1 (ko) 천정등
KR101413497B1 (ko) 엘이디 조명등
KR200298344Y1 (ko) 형광등 케이스의 투광판 탈착구조
KR200185903Y1 (ko) 형광등용 접속고정구
KR200303151Y1 (ko) 형광등용 안정기
DE59913601D1 (de) Befestigungselement für lichttechnische Komponenten in einer Leuchte
JP2018195460A (ja) Ledランプ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8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