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7638A - 음극선관 - Google Patents

음극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7638A
KR19980057638A KR1019960076937A KR19960076937A KR19980057638A KR 19980057638 A KR19980057638 A KR 19980057638A KR 1019960076937 A KR1019960076937 A KR 1019960076937A KR 19960076937 A KR19960076937 A KR 19960076937A KR 19980057638 A KR19980057638 A KR 19980057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dow mask
frame
ray tube
cathode ray
vertica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6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해수
Original Assignee
손욱
삼성전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욱, 삼성전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손욱
Priority to KR1019960076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7638A/ko
Publication of KR19980057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7638A/ko

Links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음극선관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표면에 다수의 빔통과공이 형성된 새도우 마스크와; 상기 새도우 마스크와 일체로 형성되어 새도우 마스크를 지지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단부에서 내부로 수직연장된 수평부를 가지는 프레임과; 내부에 상기 새도우 마스크 및 프레임이 고정되는 패널;을 포함하여 된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프레임이 열변형량을 보상해주는 열변형보상부를 포함하여 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을 채용함으로써, 프레임의 열팽창에 의한 새도우마스크의 곡률변화를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음극선관
본 발명은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새도우 마스크를 지지하는 프레임의 구조가 개선된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칼라브라운관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넬(11)의 내면에 형광막 및 알루미늄 증착막이 형성되어 있고, 형광막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새도우 마스크(12)가 고정되며, 패널(13)의 네크부내에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전자빔을 발사하는 전자총(14)이 고정됨과 아울러 네크부의 외측에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코일(15)이 고정되어 있다.
새도우 마스크형 칼라브라운관은 형광면에서 가까운 곳에 새도우 마스크(12)를 프레임(16)으로 지지하고 있는데 이 새도우 마스크(12)는 얇은 철판에다 극히 작은 구멍을 무수히 뚫어 놓은 것이므로 그 전자빔의 투과율은 비교적 저조한 것이다. 실제로 칼라브라운관의 휘도 전력중 약 80%는 새도우 마스크(12)에 흡수되고, 이 에너지는 열로 변화되어 새도우 마스크(12) 및 프레임(16)등의 금속부품을 가열시키게 된다. 따라서, 단시간 내에 대전류가 흐르면 새도우마스크(12)는 급격히 가열되어 팽창되는데 초기에는 비교적 열용량이 큰 프레임(16)은 변하지 않으므로 새도우 마스크(12)가 돔(dome)상이 되어 전자빔이 투과하는 새도우 마스크(12)상의 랜딩이 이탈하게 된다.
이와 같은 랜딩이탈 현상을 보상하기 위하여 프레임(16)의 외측변에 바이메탈스프링(17)을 부착한다. 이 바이메탈스프링(17)은 열팽창된 프레임(16)을 살짝 들어주는 작용을 하여 초기의 랜딩위치와 동일 주사선상에 일치하게 한다.
도 2는 도 1의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프레임(16)은 롤상의 소재를 소정 길이 만큼 절단하며 프레스 가공을 통해서 중앙공간부(16a)를 천공 형성한다. 프레임(16)의 내측 가장자리의 장변부(16c)는 단변부(16b)와 마찬가지로 완전한 호형을 이룬 채 그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한 프레임(16)에 새도우 마스크가 고정되는 방식은 두가지가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도우 마스크(12)의 플랜지부(12a)를 프레임(16)의 내측에 걸쳐지게 하여 새도우 마스크를 고정하는 방식이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6)의 외측에 새도우 마스크(12)의 플랜지부(12a)를 걸쳐지게 하여 고정하는 방식이 있다. 이때, 프레임(16)은 지면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수평부(16d) 및, 지면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수직부(16e)가 일체로 형성되어 만들어지며, 이 수평부(16d)와 수직부(16e)가 각각 직선형으로 편평하게 만들어지므로 열팽창은 지면에 마주하는 방향으로 수직부(16e)의 외측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열팽창을 보상하기 위하여 바이메탈 스프링(17)을 사용하지만, 음극선관의 내부에 계속해서 전자빔의 충격열이 프레임(16)에 전해지므로 이 상태에서 어느 정도 시간이 경과하면 프레임(16)이 초기상태로 복원될 수 없게 열팽창되어 새도우 마스크(12)의 곡률을 변화시키게 되고, 상기 전자빔의 새도우 마스크(12)상의 랜딩이 또 한번 이탈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열팽창의 보상이 이루어지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프레임을 채용한 음극선관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음극선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음극선관의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새도우 마스크가 부착된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새도우 마스크가 부착된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새도우 마스크가 부착된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새도우 마스크가 부착된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새도우 마스크가 부착된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새도우 마스크가 부착된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51,61,71...새도우 마스크
52,62,72,80...프레임
52b,62b,72b...수직부
52a,62a,72a...수평부
52c...연장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표면에 다수의 빔통과공이 형성된 새도우 마스크와; 상기 새도우 마스크와 일체로 형성되어 새도우 마스크를 지지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단부에서 내부로 수직연장된 수평부를 가지는 프레임과; 내부에 상기 새도우 마스크 및 프레임이 고정되는 패널;을 포함하여 된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열변형량을 보상해주는 열변형보상부를 포함하여 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새도우 마스크가 부착된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새도우 마스크가 부착된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새도우 마스크가 부착된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새도우 마스크가 부착된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총에서 발사된 각전자비임을 해당 형광점에만 주사하도록 다수의 구멍이 질서있게 배열된 새도우 마스크(51)를 구비한다. 이 새도우 마스크(51)의 양단에는 플랜지부(51a)가 형성되어 프레임(52)의 내측에 걸쳐지게 된다. 이 프레임(52)은 상기 새도우 마스크(51)와 일체로 형성되어 새도우 마스크(51)를 지지하는 수평부(52a)와 상기 수평부(52b)의 단부에서 새도우 마스크(51)를 향하여 직각으로 연장된 수직부(52b)를 가진다. 이 수직부(52b)의 연장선상으로 연장부(52c)가 형성되는데, 이 연장부(52c)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직부(52b)와 직각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음극선관은 전자총으로부터 발사되어 새도우 마스크(51)의 구멍을 통과하지 못한 전자비임은 새도우 마스크(51)에 충돌하여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프레임(52)도 열변형을 하게 된다. 열변형을 하는 프레임(52)은 두가지의 힘을 받게 된다. 하나는 수평부(52a)와 수직부(52b)의 상호 작용으로 서로 근접하거나 이격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아 구부려지는 열변형이고, 다른 하나는 연장부(52c)와 수직부(52b)의 상호작용으로 서로 근접하거나 이격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아 구부리거나 이격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아 구부려지는 열변형이다. 상기 열변형들은 서로 대항하는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상쇄되어 프레임(52)의 전체적인 구조에 있어서는 열변형의 영향을 주지 못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6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62)의 수평부(62a)와 직각으로 일체형인 수직부(62b)가 바깥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구부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 프레임(62)의 내측에 새도우 마스크(61)의 플랜지부(61a)가 걸쳐지게 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프레임(62)은 전자총으로부터 발사되어 새도우 마스크(61)의 구멍을 통과하지 못한 전자빔이 새도우 마스크와 총돌함에 따라 열이 발생되고 이 열은 프레임(62)의 열변형을 야기시킨다. 그러나, 프레임(62)의 수직부(62b)가 외측으로 소정 곡률을 가지고 구부러져 있기 때문에 수직부(62b)의 내측 및 외측에서 서로 대항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여 열변형을 야기시키므로 두 힘이 서로 상쇄되어 결과적으로 프레임(62)에 열변형을 남기지 않는다.
도 7은 새도우 마스크(71)를 프레임(72)의 외측에 결합시킨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도우 마스크(71)의 양단에는 플랜지부(71a)가 형성되고, 이 플랜지부(71a)는 수직부(72b)의 외측에 걸쳐져 결합되며, 수직부(72b)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내측으로 구부러져 있다. 수직부(72b)의 하단에는 수평부(72a)가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프레임(72)은 전자총으로부터 발사되어 새도우 마스크(71)의 구멍을 통과하지 못한 전자빔이 새도우 마스크와 총돌함에 따라 열이 발생되고 이 열은 프레임(72)의 열변형을 야기시킨다 할지라도 프레임(72)의 수직부(72b)가 외측으로 소정 곡률을 가지고 구부러져 있기 때문에 수직부(72b)의 내측 및 외측에서 서로 대항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여 열변형을 야기시키므로 두 힘이 서로 상쇄되어 결과적으로 프레임(72)에 열변형을 남기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80)은 수직부(81)의 소정부위에 소정길이 바깥방향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81a)를 구비하고 있다. 이 돌출부(81a)에 새도우 마스크의 플랜지부를 용접하여 고정함으로써 새도우 마스크로부터 전해지는 열로 인한 열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프레임에 열이 전달되어 열변형을 함에 따라 이 열팽창량을 프레임(80)의 수직부(81)에 형성된 돌출부(81a)가 흡수하여 길이방향으로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레임(52)의 열변형에 의한 새도우 마스크(51)의 곡률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은 프레임(52)의 열변형을 완화시키기 위해 열변형보상부를 구비하므로 프레임(52)의 열변형으로 인한 새도우 마스크(51)의 곡률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열변형 보상부를 형성하는 방법은 수직부(52b)의 단부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부(52c)를 수직연장하는 것과, 바깥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상기 수직부(52b)를 구부리는 것과, 내부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수직부(52b)를 구부리는 것과, 상기 수직부(52b)의 소정부위에 소정길이 바깥방향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81a)가 구비되는 것 등의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나, 모두 다 열변형의 방향을 서로 마주하게 하여 자체적으로 서로 상쇄되게 보상하는 방법이다.
둘째, 외부 충격에 대해 견디는 정도가 크다.
외부적 충격이 가해진다해도 가해진 충격으로 인해 프레임(52)의 손상이 야기되지 않는다. 즉, 음극선관에 충격이 가해져 그 충격으로 프레임(52)에 변형이 온다해도 상기 열변형 보상부재의 작용으로 그 변형에 대향하는 보상이 가해져 서로 상쇄되기 때문에 결국 프레임(52)이 갖게 되는 외부적 충격의 크기는 적어진다. 그래서, 외부적 충격에 대해 견디는 정도가 크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5)

  1. 표면에 다수의 빔통과공이 형성된 새도우 마스크와;
    상기 새도우 마스크와 일체로 형성되어 새도우 마스크를 지지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단부에서 내부로 수직연장된 수평부를 가지는 프레임과;
    내부에 상기 새도우 마스크 및 프레임이 고정되는 패널;을 포함하여 된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열변형량을 보상해주는 열변형보상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변형보상부는 상기 수직부의 단부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각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변형보상부는 상기 수직부를 바깥방향으로 소정의 곡률로 구부림으로써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변형보상부는 상기 수직부가 내부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구부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변형보상부는 상기 수직부의 소정부위에 소정길이 바깥방향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KR1019960076937A 1996-12-30 1996-12-30 음극선관 KR199800576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6937A KR19980057638A (ko) 1996-12-30 1996-12-30 음극선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6937A KR19980057638A (ko) 1996-12-30 1996-12-30 음극선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638A true KR19980057638A (ko) 1998-09-25

Family

ID=66396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6937A KR19980057638A (ko) 1996-12-30 1996-12-30 음극선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763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27307A (en) Shadow mask for color cathode ray tube
US5680004A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an improved shadow mask-to-frame connection
KR100612824B1 (ko) 평면 브라운관용 텐션마스크 구조체
US4659958A (en) Support means for use with a low expansion color-selection electrode
KR950005110B1 (ko) 새도우 마스크-프레임 어셈블리 지지체를 갖는 컬러수상관
KR19980057638A (ko) 음극선관
US4739216A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a shadow mask mounted under compressive stress in a support frame
KR100206268B1 (ko) 음극선관의 새도우마스크의 열변형보상방법 및 이에 따른 새도우마스크-프레임조립체
US5394052A (en) Shadow mask frame assembly
US6479925B1 (en) Shadow mask support frame for color cathode ray tube
KR200147271Y1 (ko) 마스크 프레임 구조체
KR950003514B1 (ko) 칼라 음극선관
KR200193433Y1 (ko) 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와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EP1223601A1 (en) Cathode-ray tube and image display comprising the same
KR100346967B1 (ko) 경화된지지스프링과이것을사용하는음극선관
KR100234039B1 (ko) 음극선관용 스프링
US6166482A (en) Shadow mask structure with specific skirt portion
KR20000033506A (ko) 음극선관용 마스크 프레임
KR100249210B1 (ko) 칼라 브라운관용 스프링
KR200173429Y1 (ko) 칼라음극선관용 스프링
KR100261123B1 (ko) 섀도우마스크 조립체
KR200200887Y1 (ko) 음극선관용마스크프레임지지체
US6222309B1 (en) Color cathode ray tube with specific skirt portion
KR20010097387A (ko) 칼라 브라운관의 마스크 프레임
KR100300398B1 (ko) 칼라음극선관용섀도우마스크프레임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