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7419A - Prevention Method of Paper Roll in Compression Roller of Image Forming Device - Google Patents

Prevention Method of Paper Roll in Compression Roller of Image Form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7419A
KR19980057419A KR1019960076709A KR19960076709A KR19980057419A KR 19980057419 A KR19980057419 A KR 19980057419A KR 1019960076709 A KR1019960076709 A KR 1019960076709A KR 19960076709 A KR19960076709 A KR 19960076709A KR 19980057419 A KR19980057419 A KR 19980057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roller
sensor
driving
discharg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67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원모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76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7419A/en
Publication of KR19980057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7419A/en

Links

Landscapes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압착롤러에 용지가 말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end. TECHNICAL FIELD This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venting paper from curling in a pressing roller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an electrophotographic developing method.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압착롤러에 용지가 말리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압착롤러에 용지가 말릴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an effort to provide a method of preventing paper from curling in a pressing roller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an electrophotographic developing method, and notifying a user when paper is curled in the pressing roller.

다. 그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급지감지센서 및 배지감지센서를 구비하며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압착롤러 용지말림 방지방법에 있어서, 프린팅명령에 응답하여 이송중인 인쇄용지가 규정된 시간내에 상기 배지감지센서에 도달하는가를 검사하는 과정과, 인쇄용지가 규정된 시간내에 상기 배지감지센서에 도달하지 않을 경우 압착롤러를 기 설정치로 더 구동시키면서 재차 배지감지센서 도달여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압착롤러 구동중 인쇄용지가 상기 배지감지센서에 도달되지 않을 경우 구동중인 압착롤러를 정지시킨후 잼 발생보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All. SUMMARY OF THE INVENTION A method of preventing the curling of a paper roller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a paper feed sensor and a paper discharge sensor, using an electrophotographic development method, wherein a printing paper being conveyed in response to a printing command is defined. A process of checking whether the paper discharge sensor is reached within the process, and if the printing paper does not reach the paper discharge sensor within a predetermined time period, again driving the press roller to a predetermined value and checking whether the paper discharge sensor is reached again. When the printing paper does not reach the discharge detection sensor during the driving of the pressing roller, the process of reporting the occurrence of jam after stopping the driving roll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la. Important use of the invention: It can be used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an electrophotographic developing method.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의 압착롤러 용지말림 방지방법How to prevent curling of the roller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압착롤러에 용지가 말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an electrophotographic develop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preventing paper from curling in a pressing roller.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로는 레이저 빔 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 등이 있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들은 대전=노광=현상=전시=정착=배지라는 일련의 전자사진 현상 프로세스과정을 통해 용지상에 소정의 화상을 인쇄하게 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전자사진 현상 프로세스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고 한다.An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an electrophotographic development method includes a laser beam printer, a copier, a facsimile, and the like. Such image forming apparatuses print a predetermined image on a paper through a series of electrophotographic developing processes of charging = exposure = developing = exhibiting = settlement = badge. Hereinafter, the electrophotographic development proces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도 1은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이용하는 레이저 빔 프린터의 개략적인 엔진 메카니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서 대전부(100)는 감광드럼(102)상에 균일한 전하를 형성케한다. 레이저 스캐너 유니트(104)는 이미지 데이타에 따른 레이저빔(L)을 발생하여 감광드럼(102)을 노광시킴으로써 감광드럼(102)상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현상부(106)는 감광드럼(102)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제(토우너)를 전달한다. 픽업 롤러(110)는 용지 카세트(108)에 적재된 용지를 픽업하여 급지시킨다. 이송 롤러(112)는 픽업 롤러(110)에 의해 급지되는 용지를 레지스터 롤러(114)로 이송한다. 레지스터 롤러(114)는 픽업 롤러(110) 및 이송 롤러(112)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를 정렬하여 전사부(116)로 이송한다. 전사부(116)는 감광드럼(102)에 형성된 현상제를 용지에 전사시킨다. 정착부(118)는 용지에 전사된 현상제를 열과 압력에 의해 용지에 정착시킨다. 배지 롤러(120,122)는 정착이 완료된 용지를 프린터 밖으로 배출시킨다. 그리고 참조부호 124는 용지의 이송경로를 나타낸다. 한편 레이저 빔 프린터에서는 통상적으로 프린터 각 부의 동작상태 또는 용지의 이송상태 등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들이 설치된다. 이러한 센서들중 용지의 잼 검출과 관련되는 센서들을 도 1에 도시하였다. 우선 제1센서(S1)는 급지감지 및 이송감지센서로서 이송 롤러(12)와 레지스터 롤러(114) 사이의 용지이송경로(124)상에 설치되어 용지의 이송을 감지한다. 그리고 제2센서(S2)는 배출감지센서로서 정착부(118)와 배지롤러(120) 사이의 용지이송경로상에 설치된다. 하기 설명에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센서를 각각 급지감지센서와 배지감지센서로 명명하기로 한다.Figure 1 shows a schematic engine mechanism diagram of a laser beam printer using an electrophotographic development method. In FIG. 1, the charging unit 100 forms a uniform charge on the photosensitive drum 102. The laser scanner unit 104 forms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on the photosensitive drum 102 by generating the laser beam L according to the image data to expose the photosensitive drum 102. The developing unit 106 transfers a developer (toner) to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formed on the photosensitive drum 102. The pickup roller 110 picks up and loads paper loaded in the paper cassette 108. The conveying roller 112 conveys the paper fed by the pickup roller 110 to the register roller 114. The register roller 114 aligns the sheet conveyed by the pickup roller 110 and the transfer roller 112 and transfers the sheet to the transfer unit 116. The transfer unit 116 transfers the developer formed on the photosensitive drum 102 to the paper. The fixing unit 118 fixes the developer transferred to the paper on the paper by heat and pressure. The discharge rollers 120 and 122 discharge the finished paper out of the printer. Reference numeral 124 denotes a paper conveyance path. On the other hand, in the laser beam printer, sensors for detecting the operating state of each part of the printer or the conveying state of paper are usually installed. Among these sensors, sensors related to jam detection of paper are shown in FIG. 1. First, the first sensor S1 is installed on the paper feed path 124 between the feed roller 12 and the register roller 114 as a paper feed detection and feed detection sensor to detect the transfer of paper. The second sensor S2 is installed on the paper feed path between the fixing unit 118 and the discharge roller 120 as a discharge detection senso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will be referred to as a paper feed sensor and a badge sensor, respectively, to aid in understanding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엔진 메카니즘 구성을 갖는 종래 화상형성장치에서의 잼 발생 유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세가지로 분류된다. 첫번째의 경우는 급지단계에서 발생되는 용지 잼이고, 두번째의 경우는 전사단계에서 발생되는 용지의 잼이며, 세번재의 경우는 정착 및 배지단계에서 발생되는 용지 잼이다. 이러한 용지 잼발생의 감지는 정해진 사긴내에 용지선단이 상기 급지감지센서 및 배지감지센서를 통과하지 않을때 이루어진다. 상술한 세가지 유형의 잼 발생시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의 커버를 열고 잼 발생용지를 제거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잼 발생용지 자동 제거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 잼 발생용지 자동 제거방법은 용지가 화상형성장치 내부에서 아주 심하게 찢어지거나 구겨진 것을 제외하고는 사용자가 잼 발생시 커버만 열고 닫으면 자동적으로 모터가 설정횟수로 역회전한후 다시 정회전함으로서 잼 발생용지를 기기 밖으로 배출시키는 방법이다. 그러나 상술한 잼 발생용지 자동 제거방법을 채용한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우선 도 2는 도 1중 정착부(118)의 상세 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정착부(118)는 히팅롤러(118a)와 압착롤러(118b)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압착롤러(118b)는 지지프레임(118d)내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히팅롤러(118a)에는 용지말림 방지용 쯔메(118c)가 부착되어 용지가 히팅롤러(118a)에 말리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한편 압착롤러(118b)는 통상 실리콘 등의 고무를 재질로 하여 형상화됨으로서 접촉형의 쯔메를 설치할 수 없어 지지프레임(118d)을 통해 압착롤러(118b)에 용지가 말리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압착롤러(118b)가 오염되어 용지선단이 상기 압착롤러(118b)와 지지프레임(118d)간의 갭(a) 사이로 들어가 버리면 배지감지센서에 의해 잼 발생이 보고되고, 이후 사용자가 잼 발생용지를 제거코자 커버를 열고 닫으면 상술한 잼 발생용지 자동 제거방법에 의해 모터가 역회전 및 정회전을 수행함에 따라 용지가 완전히 압착롤러(118b)에 말리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잼 발생용지를 제거하기 위해 화상형성장치를 완전히 분해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또한 히팅롤러(118a)로부터 발생되는 고열에 의해 압착롤러(118b)에 말린 용지에 불이 붙을 수 있는 문제점도 있었다.Looking at the jam generation type in the conventional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above-described engine mechanism configuration is classified into three as follows. The first case is paper jam generated at the feeding stage, the second case is paper jam generated at the transfer stage, and the third case is paper jam generated at the fixing and discharging stage. Detection of such a paper jam occurs when the paper edge does not pass through the paper feed sensor and the paper discharge sensor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When the three types of jams are generated, the user needs to open the cover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remove the jam generating paper.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automatic jam generating paper removal method has recently been widely used. The automatic jam generating paper removal method is that when the user only opens and closes the cover when the jam is generated, except that the paper is very badly torn or crumpled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the motor automatically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and then rotates forward again. Is discharged out of the device. However, the following problem occurs in the conventional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automatic jam generating paper described above. Referring to FIG. 2, firstly, FIG. 2 illustrate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fixing unit 118 of FIG. 1. The fixing unit 118 includes a heating roller 118a and a pressing roller 118b. The pressing roller 118b is located in the support frame 118d. And the heating roller 118a is attached to the paper curl prevention tsume 118c to prevent the paper from curling on the heating roller 118a. On the other hand, the pressing roller 118b is usually made of rubber such as silicon, so that the contact type can not be installed, thereby preventing the paper from being rolled on the pressing roller 118b through the support frame 118d. However, when the pressing roller 118b is contaminated and the leading edge of the paper enters between the gap a between the pressing roller 118b and the support frame 118d, the jam is reported by the discharge sensor, and then the user generates the jam paper. When the cover is opened and closed, the paper is completely rolled onto the pressing roller 118b as the motor performs reverse rotation and forward rotation by the above-described automatic jam generating paper removal method. Therefore, the user is inconvenient to completely disassembl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in order to remove the jam generating paper, and also a problem that the paper curled on the pressing roller 118b may catch fire by the high heat generated from the heating roller 118a. There was also.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압착롤러에 용지가 말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eventing the paper from curling in the pressing roller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electrophotographic development metho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에 용지가 말릴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notifying a user of paper curled in a fixing roller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an electrophotographic development metho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급지감지센서 및 배지감지센서를 구비하며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압착롤러 용지말림 방지방법에 있어서, 프린팅명령에 응답하여 이송중인 인쇄용지가 규정된 시간내에 상기 배지감지센서에 도달하는가를 검사하는 과정과, 인쇄용지가 규정된 시간내에 상기 배지감지센서에 도달하지 않을 경우 압착롤러를 기 설정치로 더 구동시키면서 재차 배지감지센서 도달여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압착롤러 구동중 인쇄용지가 상기 배지감지센서에 도달되지 않을 경우 구동중인 압착롤러를 정지시킨후 잼 발생보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eed sensor and a discharge sensor, and in the method of preventing curling of a paper roller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an electrophotographic development method, the printing paper being conveyed in response to a printing command is defined. A process of inspecting whether the discharge sensor is reached within a time period, and a process of inspecting whether the discharge sensor is reached again while further driving the pressing roller to a preset value when printing paper does not reach the discharge sensor within a prescribed time period. And, when the printing paper does not reach the discharge detection sensor during the driving of the pressing roll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 of the jam occurs after stopping the driving roll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 of reporting.

도 1은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이용하는 레이저 빔 프린터의 개략적인 엔진 메카니즘 구성도.1 is a schematic engine mechanism configuration diagram of a laser beam printer using an electrophotographic development method.

도 2는 도 1중 정착부(118)의 상세 구성도.FIG. 2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fixing unit 118 of FIG. 1.

도 3은 일반적인 레이저 빔 프린터의 블럭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of a general laser beam printer.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지말림 방지를 위한 처리흐름도.Figure 4 is a flow chart for preventing the paper curl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용지말림 방지를 위한 처리흐름도.Figure 5 is a flow chart for preventing the paper curl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 정착롤러의 회전수와 구체적인 처리흐름 등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many specific details such as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fixing roller and the specific processing flow are presented to provide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3은 일반적인 레이저 빔 프린터의 블럭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레이저 빔 프린터는 크게 비디오 컨트롤러(200)와 OPE(202) 및 프린트 엔진부(204)로 구성된다. 비디오 컨트롤러(200)는 다시 컴퓨터 인터페이스(206)와, 비디오 제어부(208)와 엔진 인터페이스(210)로 구성된다. 컴퓨터 인터페이스(206)는 호스트 컴퓨터와 비디오 제어부(208) 사이의 입출력신호를 인터페이싱한다. 비디오 제어부(208)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을 구비한 롬(ROM)을 구비하는 동시에 OPE(202) 및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데이타를 임시저장하는 램(RAM)을 구비한다. 또한 비디오 제어부(208)는 상기 컴퓨터 인터페이스(206)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타를 프린터 엔진이 처리할 수 있는 비디오데이타로 변환하여 프린트 엔진부(204)로 전송한다. 엔진 인터페이스(210)는 상기 비디오 제어부(208)의 제어하에 프린트 엔진부(204)와 입출력신호를 인터페이싱한다. 한편 OPE(202)는 비디오 제어부(208)에 의해 제어되며 각종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키들과 프린터동작에 따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다.3 is a block diagram of a general laser beam printer. The laser beam printer includes a video controller 200, an OPE 202, and a print engine unit 204. The video controller 200 again includes a computer interface 206, a video controller 208, and an engine interface 210. The computer interface 206 interfaces the input / output signals between the host computer and the video control unit 208. The video controller 208 includes a ROM having a control pro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RAM for temporarily storing various data input from the OPE 202 and a host computer. The video controller 208 converts the data received from the computer interface 206 into video data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printer engine,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print engine 204. The engine interface 210 interfaces an input / output signal with the print engine 204 under the control of the video controller 208. The OPE 202 is controlled by the video controller 208 and includes a plurality of keys for inputting various commands and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inter operation.

프린트 엔진부(204)는 비디오 인터페이스(212)와 엔진 제어부(214)와 I/O(Input/Output)인터페이스(216)와 센서회로(218)와 기구구동부(220)와 전자사진 현상부(222)로 구성되어 비디오 컨트롤러(200)에 연결된다. 비디오 인터페이스(212)는 비디오 컨트롤러(200)와 엔진 제어부(214)간 송수신 신호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엔진 제어부(214)는 비디오 컨트롤러(200)의 제어에 따라 기구구동부(220)와 전자사진 현상부(222)를 제어하며 비디오 컨트롤러(200)로부터 수신되는 비디오데이타에 따른 화상을 용지에 인쇄한다. 또한 엔진 제어부(214)는 센서회로(218)를 통해 프린트 엔진부(200) 각 부분의 동작상태(예를들면 잼 발생 유/무감지 및 현상제량등)를 감지한다. I/O인터페이스(216)는 엔진 제어부(214)와 센서회로(218), 기구구동부(220), 전자사진 현상부(222)사이에 연결되어 엔진 제어부(204)의 입출력신호를 인터페이스한다. 센서회로(218)는 프린트 엔진부(200) 각 부분의 동작상태, 잼발생 검출 및 현상제량등을 감시하기 위한 각종 센서들을 구동하며 각 센서들의 감지신호를 엔진 제어부(24)에 제공한다. 이때 상기 센서회로(218)는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착부(118)와 전사부(116) 사이에 설치된 제3센서(S3)를 포함한다. 기구구동부(220)는 엔진 제어부(214)의 제어에 따라 프린트 엔진부(204)의 주동력원인 모터를 포함한 각종 기구를 구동시킨다. 한편 전자사진 현상부(222)는 엔진 제어부(214)의 제어하에 수신된 비디오데이타에 따른 화상을 전자사진 현상방식으로 인쇄한다.The print engine unit 204 includes a video interface 212, an engine control unit 214, an input / output (I / O) interface 216, a sensor circuit 218, an instrument driving unit 220, and an electrophotographic developing unit 222. It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video controller 200. The video interface 212 provides an interfa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between the video controller 200 and the engine controller 214, and the engine controller 214 is electrophotographic with the mechanical driver 220 under the control of the video controller 200. The developing unit 222 is controlled and an image according to video data received from the video controller 200 is printed on paper. In addition, the engine control unit 214 detects an operation state (eg, jam occurrence / non-detection and developer amount) of each part of the print engine unit 200 through the sensor circuit 218. The I / O interface 216 is connected between the engine controller 214, the sensor circuit 218, the mechanical driver 220, and the electrophotographic developing unit 222 to interface the input / output signals of the engine controller 204. The sensor circuit 218 drives various sensors for monitoring the operation state of each portion of the print engine unit 200, jam occurrence detection, developer amount, and the like, and provides a detection signal of each sensor to the engine controller 24. In this case, as illustrated in FIG. 1, the sensor circuit 218 includes a third sensor S3 installed between the fixing unit 118 and the transfer unit 116. The mechanism driving unit 220 drives various mechanisms including a motor which is a main power source of the print engine unit 204 under the control of the engine control unit 214. Meanwhile, the electrophotographic developing unit 222 prints an image according to the video data received under the control of the engine control unit 214 in an electrophotographic developing method.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지말림 방지를 위한 비디오 제어부(208)의 제어흐름도를 도시한 것으로,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인쇄중 정착롤러(118b)에 용지가 말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비디오 제어부(208)의 제어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of the video controller 208 for preventing the curl of pa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paper is curled in the fixing roller 118b during printing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A control process of the video controller 208 to prevent the above will be described.

우선 도 4의 300단계에서 비디오 제어부(208)는 호스트컴퓨터로부터 프린트명령의 입력이 있는가를 검사하여 프린트 명령의 입력이 있으면 310단계로 진행하여 급지를 시작한다. 이후 비디오 제어부(208)는 320단계에서 이송중인 용지가 규정된 시간내에 급지감지센서에 도달하는가를 검사하여 도달하지 못하면 370단계로 진행하여 OPE(202)를 통해 사용자에게 잼 발생을 보고한다. 반면 320단계의 검사결과 이송용지가 규정된 시간내에 급지감지센서에 도달하였으면, 비디오 제어부(208)는 330단계로 진행하여 규정된 시간내에 용지가 배지감지센서에 도달하는가를 검사한다. 만약 규정된 시간내에 용지가 배지감지센서에 도달하지 못하면 비디오 제어부(208)는 340단계로 진행하여 압착롤러(118b)를 1회전 더 구동시킨다. 이때 상기 압착롤러(118b)의 구동회전수(1회전)는 용지가 압착롤러(118b)에 말려도 사용자가 세트(set)를 분해하지 않고 용지를 제거할 수 있는 거리로서 산정한다. 한편 압착롤러(118b)를 1회전 더 구동시키는 중에 비디오 제어부(208)는 다시 350단계에서 용지가 배지감지센서에 도달하는가를 검사한다. 검사결과 용지가 배지감지센서에 도달하지 않으면 비디오 제어부(208)는 용지가 압착롤러(118b)에 말린 것으로 인지하여 360단계에서 구동중인 모터를 정지시킨후 370단계로 진행한다. 이후 370단계에서 비디오 제어부(208)는 OPE(202)를 통해 사용자에게 잼 발생을 보고한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과정을 종료한다. 한편 사용자는 OPE(202)를 통해 잼 발생보고를 접한후 커버를 열어 압착롤러(118b)에 말린 용지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First, in step 300 of FIG. 4, the video controller 208 checks whether a print command is input from the host computer, and if there is an input of the print command, proceeds to step 310 to start feeding. Thereafter, the video controller 208 checks whether the paper being conveyed reaches the paper feed sensor within a prescribed time in step 320, and if not, proceeds to step 370 and reports the jam to the user through the OPE 202. On the other hand, if the inspection sheet in step 320 reaches the paper feed sensor within the prescribed time, the video controller 208 proceeds to step 330 to check whether the paper reaches the discharge detection sensor within the prescribed time. If the paper does not reach the discharge detection sensor within the prescribed time, the video controller 208 proceeds to step 340 to further drive the compression roller 118b by one revolution. At this time, the driving speed (1 rotation) of the pressing roller 118b is calculated as the distance that the user can remove the paper without disassembling the set even if the paper is rolled on the pressing roller 118b. Meanwhile, while driving the compression roller 118b one more revolution, the video controller 208 again checks whether the paper reaches the discharge detection sensor in step 350. If the paper does not reach the discharge detection sensor as a result of the inspection, the video controller 208 recognizes that the paper is curled in the pressing roller 118b, and stops the motor in operation 360 and proceeds to step 370. Thereafter, in step 370, the video controller 208 reports the jam occurrence to the user through the OPE 202, and then ends the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other hand, the user can contact the jam occurrence report through the OPE (202) and open the cover to be able to remove the paper roll on the pressing roller (118b).

도 5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용지말림 방지를 위한 비디오 제어부(208)의 제어흐름도를 도시한 것으로, 이하 도 1 및 도 3, 도 5를 참조하여 인쇄중 압착롤러(118b)에 용지가 말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비디오 제어부(208)의 제어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flow of the video control unit 208 for preventing the curl of pap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compression roller during printing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3, and 5. A control process of the video controller 208 for preventing the paper from curling at 118b is as follows.

우선 도 5의 400단계에서 비디오 제어부(208)는 호스트컴퓨터로부터 프린트명령의 입력이 있는가를 검사하여 프린트 명령의 입력이 있으면 410단계로 진행하여 급지를 시작한다. 이후 비디오 제어부(208)는 420단계에서 이송중인 용지가 규정된 시간내에 급지감지센서에 도달하는가를 검사하여 도달하지 못하면 480단계로 진행하여 OPE(202)를 통해 사용자에게 잼 발생을 보고한다. 반면 420단계의 검사결과 이송용지가 급지감지센서에 도달하였으면, 비디오 제어부(208)는 430단계로 진행하여 규정된 시간내에 용지가 정착부(118)에 도달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용지가 정착부(118)에 도달하는가를 검사하는 과정은 정착부(118)와 전사부(116) 사이이의 용지이송경로상에 설치된 제3센서(S3)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 만약 규정된 시간내에 용지가 정착부(118)에 도달하지 못하였으면 비디오 제어부(208)는 480단계로 진행하여 잼 발생을 보고한다. 반면, 430단계의 검사결과 규정된 시간내에 용지가 정착부에 도달하면 비디오 제어부(208)는 440단계로 진행하여 규정된 시간내에 용지가 배지감지센서에 도달하는가를 검사한다. 만약 규정된 시간내에 용지가 배지감지센서에 도달하지 못하면 비디오 제어부(208)는 450단계로 진행하여 압착롤러(118b)를 1회전 더 구동시킨다. 이때 상기 압착롤러(118b)의 구동회전수(1회전)는 상술한 바와 같이 용지가 압착롤러(118b)에 말려도 사용자가 세트(set)를 분해하지 않고 용지를 제거할 수 있는 거리로서 산정된다. 한편 압착롤러(118b)를 1회전 더 구동시키는 중에 비디오 제어부(208)는 460단계에서 용지가 배지감지센서에 도달하는가를 검사한다. 검사결과 용지가 배지감지센서에 도달하지 않으면 비디오 제어부(208)는 용지가 압착롤러(118b)에 말린 것으로 인지하여 470단계에서 구동중인 모터를 정지시킨후 480단계로 진행한다. 이후 480단계에서 비디오 제어부(208)는 OPE(202)를 통해 사용자에게 잼 발생을 보고한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과정을 종료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OPE(202)를 통해 잼 발생보고를 접한후 커버를 열어 압착롤러(118b)에 말린 용지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First, in step 400 of FIG. 5, the video controller 208 checks whether a print command is input from the host computer, and if there is an input of the print command, proceeds to step 410 to start feeding. Thereafter, the video controller 208 checks whether the paper being conveyed reaches the paper feed sensor within a prescribed time in step 420, and if not, proceeds to step 480 and reports the jam to the user through the OPE 202. On the other hand, if the transport paper reaches the paper feed detection sensor in step 420, the video controller 208 proceeds to step 430 to check whether the paper reaches the fixing unit 118 within the prescribed time. The process of checking whether the paper reaches the fixing unit 118 may be detected by a third sensor S3 installed on the paper transfer path between the fixing unit 118 and the transfer unit 116. If the paper does not reach the fixing unit 118 within the prescribed time, the video control unit 208 proceeds to step 480 and reports the jam occurrence. On the other hand, if the paper reaches the fixing unit within the prescribed time as a result of the check in step 430, the video control unit 208 proceeds to step 440 to check whether the paper reaches the discharge detection sensor within the prescribed time. If the paper does not reach the discharge detection sensor within the prescribed time, the video controller 208 proceeds to step 450 to drive the compression roller 118b one more revolution. At this time, the driving speed (one rotation) of the pressing roller 118b is calculated as the distance that the user can remove the paper without disassembling the set even if the paper is rolled on the pressing roller 118b as described above. On the other hand, while driving the compression roller 118b one more revolution, the video controller 208 checks whether the paper reaches the discharge sensor in step 460. If the paper does not reach the discharge detection sensor as a result of the inspection, the video controller 208 recognizes that the paper is curled in the pressing roller 118b, stops the motor in operation 470 and proceeds to step 480. In operation 480, the video controller 208 reports the jam occurrence to the user through the OPE 202, and then ends the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user can contact the jam occurrence report through the OPE 202 and open the cover to remove the paper rolled on the pressing roller (118b).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압착롤러에 용지가 감길 경우 구동중인 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킴으로서 용지가 완전히 압착롤러에 감겨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preventing the paper from being completely wound on the pressing roller by stopping the rotation of the driving motor when the sheet is wound on the pressing roller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electrophotographic development method.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레이저 빔 프린터를 일예로 설명하였으나 별다른 변형없이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이용하는 디지탈 복사기, 팩시밀리, 복합기등의 화상형성장치에 적용할 수도 있다.Meanwhile, alth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a laser beam printer as an example, it may be applied to an image forming apparatus such as a digital copying machine, a facsimile machine, a multifunction machine, etc. without using any modification.

Claims (4)

급지감지센서 및 배지감지센서를 구비하며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압착롤러 용지말림 방지방법에 있어서,Claims [1] A method of preventing paper curl in a roller forming an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a paper feed sensor and a paper discharge sensor, 프린팅명령에 응답하여 이송중인 인쇄용지가 규정된 시간내에 상기 배지감지센서에 도달하는가를 검사하는 과정과,In response to a printing command, checking whether the printing paper being conveyed reaches the discharge sensor within a prescribed time; 인쇄용지가 규정된 시간내에 상기 배지감지센서에 도달하지 않을 경우 압착롤러를 기 설정치로 더 구동시키면서 재차 배지감지센서 도달여부를 검사하는 과정과,If the printing paper does not reach the discharge sensor within the prescribed time, the process of checking whether the discharge sensor is reached again while driving the press roller further to the preset value; 상기 압착롤러 구동중 인쇄용지가 상기 배지감지센서에 도달되지 않을 경우 구동중인 압착롤러를 정지시킨후 잼 발생보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롤러 용지말림 방지방법.When the printing paper does not reach the discharge sensor during the driving of the pressing roller, stopping the driving roller is stopped, and then reporting the occurrence of ja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롤러를 더 구동시키기 위한 기 설정치는 인쇄용지가 상기 압착롤러에 감기어도 세트의 분해없이 감겨진 용지를 제거할 수 있는 회전수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롤러 용지말림 방지방법.2. The paper curling roll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eset value for further driving the pressing roller is set at a rotation speed capable of removing the rolled up paper without disassembling the set even if printing paper is wound on the pressing roller. Prevention method. 용지의 급지 및 배지상태를 각각 감지하기 위한 급지 및 배지감지센서와, 전사수단과 정착수단 사이의 용지이송경로상에 용지이송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화상형성장치의 압착롤러 용지말림 방지방법에 있어서,In the feed roller discharge prevention method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in which a paper feed and discharge sensor for detecting paper feeding and discharge status, and a paper feed sensor on the paper transfer path between the transfer means and the fixing means , 프린팅명령에 응답하여 이송중인 인쇄용지가 규정된 시간내에 상기 용지이송감지센서에 도달하는가를 검사하는 과정과,In response to a printing command, checking whether the paper being transported reaches the paper feed sensor within a prescribed time; 상기 용지이송감지센서를 통과한 인쇄용지가 규정된 시간내에 상기 배지감지센서에 도달하는가를 검사하는 과정과,Inspecting whether the printing paper passing through the paper feed sensor reaches the discharge sensor within a prescribed time; 인쇄용지가 규정된 시간내에 상기 배지감지센서에 도달하지 않을 경우 압착롤러를 기 설정치로 더 구동시키면서 재차 배지감지센서 도달여부를 검사하는 과정과,If the printing paper does not reach the discharge sensor within the prescribed time, the process of checking whether the discharge sensor is reached again while driving the press roller further to the preset value; 상기 압착롤러 구동중 인쇄용지가 상기 배지감지센서에 도달되지 않을 경우 구동중인 압착롤러를 정지시킨후 잼 발생보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롤러 용지말림 방지방법.When the printing paper does not reach the discharge sensor during the driving of the pressing roller, stopping the driving roller is stopped, and then reporting the occurrence of ja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롤러를 더 구동시키기 위한 기 설정치는 인쇄용지가 상기 압착롤러에 감기어도 세트의 분해없이 감겨진 용지를 제거할 수 있는 회전수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롤러 용지말림 방지방법.4. The curling roller paper curling method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a predetermined value for further driving the pressing roller is set at a rotation speed capable of removing the rolled paper without disassembling the set even if printing paper is wound on the pressing roller. Prevention method.
KR1019960076709A 1996-12-30 1996-12-30 Prevention Method of Paper Roll in Compression Roller of Image Forming Device KR1998005741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6709A KR19980057419A (en) 1996-12-30 1996-12-30 Prevention Method of Paper Roll in Compression Roller of Image Form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6709A KR19980057419A (en) 1996-12-30 1996-12-30 Prevention Method of Paper Roll in Compression Roller of Image Form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419A true KR19980057419A (en) 1998-09-25

Family

ID=66396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6709A KR19980057419A (en) 1996-12-30 1996-12-30 Prevention Method of Paper Roll in Compression Roller of Image Form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741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121B1 (en) * 2002-02-26 2004-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Image forming device having function of detecting paper ja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121B1 (en) * 2002-02-26 2004-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Image forming device having function of detecting paper ja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3344B1 (en) How to remove paper jam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256608B1 (en) Method for paper jam error in image forming apparatus.
KR0150146B1 (en) Control method of automatic adjusting transfer voltage in electrophotography developing type printer
KR0132039B1 (en) Method of removing jam of electronic image fixing printer
JP2764816B2 (en) Automatic composition / duplex machine
US5485247A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paper feeding device having improved paper jam detection capability
KR0141676B1 (en) Method removing jam used for electronic image forming device
KR0164383B1 (en) Warming-up controlling method of image forming device
JP7452218B2 (en) Image rea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KR19980057419A (en) Prevention Method of Paper Roll in Compression Roller of Image Forming Device
KR19980057456A (en) How to prevent curling of photosensitive drum paper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US1114400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5805955A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with divisional image forming provisions
KR0174610B1 (en) How to remove jams in devices using electrophotographic development
JP3387295B2 (en) How to check paper feed sensor
KR0159676B1 (en) Fixing paper and detecting jam device and method thereof
KR950014875B1 (en) Exposure timing control method
JP2010008879A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0164366B1 (en) Jam eliminating method of image forming device
KR100334092B1 (en) Paper feeding method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202419B1 (en) Paper feeding method by hand for oa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JPH0524713A (en) Paper sheet wrinkle detector
KR100189758B1 (en) Driving clutch method in jamming
JP2024040033A (en) Sheet transport device, automatic document transport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KR980010861A (en) An output paper sorting method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