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6981U - Road boundary block - Google Patents

Road boundary bl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6981U
KR19980056981U KR2019970001078U KR19970001078U KR19980056981U KR 19980056981 U KR19980056981 U KR 19980056981U KR 2019970001078 U KR2019970001078 U KR 2019970001078U KR 19970001078 U KR19970001078 U KR 19970001078U KR 19980056981 U KR19980056981 U KR 1998005698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undary block
road boundary
road
sidewalk
add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107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명식
Original Assignee
최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명식 filed Critical 최명식
Priority to KR20199700010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6981U/en
Publication of KR199800569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6981U/en

Links

Landscapes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도와 인도를 구분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도로 경계블럭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ad boundary block that is installed to distinguish the road and the sidewalk.

본 고안의 구성은, 차도와 인도를 구분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도로 경계블럭(10)과, 상기 도로 경계블럭(10)은 도로의 여건에 따라 일정길이의 도로 경계블럭을 소정의길이 만큼 연장시킬 수 있는 연결수단(20)과, 도로 경계블럭(10)의 측면으로 부터 관통되어 가로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전선을 수용할 수 있는 배선용관(31)과, 주로 야간에 운전자로 하여금 인도(1)와 차도(2)의 구분이 용이 하도록 도로 경계블럭(10)의 길이 만큼 그 전면에 형성되어지는 홈의 표면에 부착 및 도색되는 반사부재(30)로 구성되어 진다.The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ad boundary block 10 is installed to distinguish the road and the sidewalk, the road boundary block 10 can extend the road boundary block of a predetermined length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accordance with the conditions of the road. And a wiring tube 31 for accommodating wires penetrating from the side of the road boundary block 10 to be installed to supply power to the street light, and mainly to the driver at night. It is composed of a reflective member 30 attached to and painted on the surface of the groove formed on the front of the road boundary block 10 so as to easily distinguish 1) and the roadway 2.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주로 산업 폐기물인 페타이어나 폐플라스틱을 곱게 분쇄한 후 이를 다시 압착성형 하여 제작된 도로 경계블럭(10)은 외부 기온이나 환경에 관계없이 그 강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외부 압력에도 자체 탄성력에 의하여 쉽게 파손되지 않는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road boundary block 10 produced by crushing finely the waste tires or waste plastics, which are mainly industrial wastes and then crimped again can maintain the strength regardless of the outside temperature or environment. It is not easily broken by its elastic force even under external pressure.

또, 도로 경계블럭(1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체결공(21)에 체결봉(22a)이 결합됨으로 별도의 높이 조절을 하지 않아도 설치함과 동시에 높이가 일정하게 조절되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fastening rods 22a are coupled to the fastening holes 21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oad boundary block 10, the height is constantly adjusted while being installed without a separate height adjustment.

그리고, 그 내부에 배선용관(31)이 형성되어 있어 가로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선을 필요에 따라 수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배선용관을 매설할 필요가 없으므로 경제적인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wiring tube 31 is formed therein, the wiring for supplying power to the street lamp can be accommodated as needed, so there is no need to bury a separate wiring tube.

또, 도로 경계블럭(10)의 전면에 설치되는 반사부재(30)에 의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도로의 굴곡상태 및 차도(2)와 인도(1)의 구분이 쉽게 인지 되어지는 것이다.In addition, by the reflective member 30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road boundary block 10, the driver can easily recognize the curved state of the road and the division of the roadway 2 and the sidewalk 1.

이러한 도로 경계블럭(10)은 그 재질이 갖고 있는 탄성력에 의하여 차량이 도로변에 주.정차 시나 도로 이탈 사고 시 차량의 펌퍼가 도로 경계블럭에 부딪쳐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road boundary block 10 may prevent the vehicle pump from colliding with the road boundary block when the vehicle is parked or stopped at the side of the road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material.

그리고, 상기 도로 경계블럭의 결합이 손쉬워 보수 및 유지가 용이하고 자체 탄성력에 의하여 파손이 잘되지 않으므로 경제적인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In addition, the combination of the road boundary block is easy and easy to repair and maintain, it is very economical very useful design because it is not easy to break by its elastic force.

Description

도로 경계블럭Road boundary block

본 고안은 차도와 인도의 경계를 위해 설치되는 도로 경계블럭에 관한 것으로써, 더 상세하게는 양측에 홀이 형성되도록 성형된 도로 경계블럭의 양측 홀에 연결봉을 삽입하여 다른 도로 경계블럭의 측면에 형성된 홀에 삽입하므로 설치 및 지지가 용이하고 그 전면에 투사 되는 빛을 반사 시킬 수 있는 반사부재를 도색 및 부착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인도와 차도의 구분이 용이하며 운전자 및 도로 통행자에게 도로의 굴곡 상태를 쉽게 인지시킬 수 있도록 한 도로 경계블럭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ad boundary block installed for the boundary between a roadway and a sidewalk. More specifically, a connecting rod is inserted into both sides of a road boundary block shaped to form holes on both sides, and thus, the side of the other road boundary block. As it is inserted into the formed hole, it is easy to install and support and paints and attaches the reflective member that can reflect the light projected on the front, so that the driver can easily distinguish between the sidewalk and the roadway, and the state of the road to the driver and the road pedestrian. It is related to the road boundary block to make it easy to recognize.

일반적으로 도로 경계블럭은 직육면체로 내부가 채워진 동일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작은 크기의 석재와 세멘트를 포함한 콘크리트재로 성형되어 있다.In general, the road boundary block has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filled with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is formed of a concrete material including a small stone and cement.

이러한 콘크리트재의 도로 경계블럭은 경도 및 내열성등이 우수하여 나름대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The road boundary block of such concrete material is used in its own way because of its excellent hardness and heat resistance.

이와 같이 직육면체로 되어 있는 도로 경계블럭은 시공시 각각의 경계블럭을 지면에 밀착시킨 후 시멘트 몰탈로 그 경계를 연결하는 방법으로 시공하고 있다.Thus, road boundary blocks made of rectangular parallelepiped are constructed by connecting each boundary block to the ground during construction and then connecting the boundary with cement mortar.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재로 이루어진 도로 경계블럭은 경도가 우수한 반면 약간의 충격에도 파손되기 쉬운 취성을 가지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oad boundary block made of concrete has excellent hardness, but has brittleness that is easy to be damaged even with a slight impact.

따라서, 취급상의 부주의나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등이 가해질 경우에는 파손이 자주 발생되어 그 파손된 도로 경계블럭의 부위를 교체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이에 따라 국가 적으로 많은 경계적인 피해를 주는 폐단이 있다.Therefore, in case of careless handling or impact from outside, damage occurs frequently and it is troublesome to replace the part of the damaged road boundary block. There is this.

그리고, 도로의 여건에 따라 소정의 길이 만큼 연장 되어지는 도로 경계블럭의 설치시 그 연장 되어진 높이를 일일히 일정하게 맞추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In addition, when installing the road boundary block exten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according to the road conditions, there is a need to uniformly adjust the extended height daily.

또, 인도를 따라 설치되는 가로등에 전원등을 공급하기 위하여 각종 배선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배선을 미관상 지하로 매설하게 된다. 그러므로 전선의 피복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배선용관을 매설하여 그 내부에 수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In addition, various wires are installed to supply power lamps to street lamps installed along sidewalks, and these wires are buried underground.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the coating of the wire, there is a hassle to embed a separate wiring pipe and accommodate it therein.

본 고안의 목적은 설치가 용이하고, 가로등이나 차량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 설치되는 신호등과 같은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배선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그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배선용관이 형성되어 있는 도로 경계블럭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install, the wiring tube is formed so that the wiring used to supply power to devices such as street lights or traffic lights installed for smooth flow of the vehicle can be accommodated therein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o provide road boundary blocks.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주로 야간에 운전자로 하여금 인도와 차도의 구분이 용이하며 운전자 및 도로 통행자에게 도로의 굴곡 상태를 쉽게 인지시킬 수 있도록 한 도로 경계블럭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ad boundary block that enables the driver to easily distinguish between a sidewalk and a driveway at night, and to easily recognize the driver's and road pedestrians' road curvature.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 상태를 보인 일부 절결 정면도Figure 2 is a front view of a part cut away showing the combined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측단면도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결합 상태를 보인 일부 절결 정단면도Figure 4 is a partial cutaway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coupl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설치 상태를 보인 참고도5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인도2-차도1-India2-Drive

10-도로 경계블럭20-연결수단10-road boundary block 20-connection

21-체결공22a-체결봉21-fastener 22a-fastener

22b-체결돌기30-반사부재22b-locking projection 30-reflective member

31-배선용관31-wiring tube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도와 인도를 구분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도로 경계블럭(10)과, 상기 도로 경계블럭(10)을 도로의 여건에 따라 소정의 길이 만큼 일정 길이의 도로 경계블럭을 소정의길이 만큼 연장시킬 수 있는 연결수단(20)과, 도로 경계블럭(10)의 측면으로 부터 관통되어 가로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전선을 수용할 수 있게 배선용관(31)과, 상기 도로 경계블럭(10)의 전면에 홈이 형성되어 그 표면에 부착 및 도색되어 주로 야간에 운전자로 하여금 전조등에 반사되어 인도(1)와 차도(2)의 구분이 용이 하고 도로의 굴곡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 반사부재(30)로 구성되어진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ad boundary block 10, which is provided to distinguish a road and a sidewalk, and a road boundary block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by a predetermined length, depending on the road boundary conditions. A connection pipe 20 which can extend by a length, a wiring pipe 31 to accommodate a wire which is penetrated from the side of the road boundary block 10 and is installed to supply power to the street light, and the road boundary Grooves ar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lock 10 and attached to and painted on the surface thereof, so that the driver is mainly reflected at the headlights at night, so that the sidewalk 1 and the roadway 2 can be easily distinguished and the curvature of the road can be grasped. This is achieved by being composed of one reflective member 30.

따라서, 도로 경계블럭 양측면의 일정한 위치에 형성된 연결수단(20)에 의하여 소정의 길이만큼 연결되어지는 도로 경계블럭(10)을 손쉽게 설치할 수 있고, 별도의 배선용관을 설치할 필요 없이 도로 경계블럭(10)의 내부에 성형되어진 배선용관(31)에 가로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을 수용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easily install the road boundary block 10 that is connected by a predetermined length by the connecting means 20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both sides of the road boundary block, the road boundary block 10 without the need for installing a separate wiring pipe The wire for supplying power to the street light is to be accommodated in the wiring tube 31 formed in the inside.

또, 상기 도로 경계블럭(10)의 전면에 설치되는 반사부재(30)는 특히 야간에 차량의 전조등에 의하여 반사되어 운전자로 하여금 차도(2)와 인도(1)의 구분이 용이하며 도로의 굴곡상태를 쉽게 인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reflective member 30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road boundary block 10 is reflected by the headlight of the vehicle at night, so that the driver can easily distinguish the roadway 2 and the sidewalk 1 and the road bends. This makes it easy to recognize the state.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도로 경계블럭을 보인 사시도로서, 일반적인 그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본 고안으로 제작되는 도로 경계블럭(10)은 주로 산업 폐기물인 폐타이어를 곱게 분쇄한 후 접촉제를 혼합하여 이를 다시 금형틀에 넣어 압력을 가하여 성형하는 것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ad boundary block, showing a general shape thereof. The road boundary block 10 manufactur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mainly formed by crushing finely used waste tires, which are industrial wastes, and then mixing the contactants and putting them back into the mold.

이러한 재질의 도로 경계블럭(10)은 주위 환경에 관계없이 강도가 유지되며 외부 압력에도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The road boundary block 10 of such a material is maintained in strength regardless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can maintain its shape even under external pressure.

상기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일정 길이의 도로 경계블럭(10)을 도로의 여건에 따라 소정의 길이 만큼 연장시킬 수 있도록 양측에 연결수단(20)이 구비되어 있다.The connecting means 20 is provided at both sides so that the road boundary block 1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made of the above material can be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road.

이러한 도로 경계블럭(10)은 그 재질이 갖고 있는 탄성력에 의하여 차량이 도로변에 주.정차 시나 도로 이탈 사고 시 차량의 펌퍼가 도로 경계블럭에 부딪쳐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road boundary block 10 may prevent the vehicle pump from colliding with the road boundary block when the vehicle is parked or stopped at the side of the road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material.

상기 연결수단(20)은 도로 경계블럭(10)의 양측에 복수개의 체결공(21)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21)에 체결봉(22a)의 삽입하여 다른 도로 경계블럭(10)의 체결공(21)에 체결하여 연결하게 되는 것이다.The connecting means 20 has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21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road boundary block 10, and the fastening rod 22a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21 of the other road boundary block 10. Will be connected to the fastening hole (21).

이러한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도로 여건에 맞도록 길이를 연장할 수 있는 것이다.By repeating these tasks, you can extend the length to meet the road conditions.

이때, 체결공(21)은 각각의 도로 경계블럭(10) 측면에 일정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체결봉(22a)에 의하여 결합하게 되면 별도의 높이를 조절할 필요없이 도로 경계블럭(10)의 높이는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다.At this time, since the fastening hole 21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each side of the road boundary block 10, the height of the road boundary block 10 is constant without the need to adjust a separate height when the road is coupled by the fastening rod 22a. Will be maintained.

상기 연결수단(20)의 일실시예로 도로 경계블럭(10)의 성형시 일측에는 체결공(21)을 형성하고 다른 일측에는 체결돌기(22b)를 일체로 형성하여 체결봉(22a)을 사용하지 않고 도로 경계블럭(10)을 바로 연결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한 것이다.As an embodiment of the connecting means 20, when forming the road boundary block 10, a fastening hole 21 is formed on one side and a fastening protrusion 22b is integrally formed on the other side to use the fastening rod 22a. The road boundary block 10 may be directly connected without being used.

또, 상기 도로 경계블럭(10)은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가로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을 수용할 수 있는 배선용관(31)이 형성되어 있어 별도의 배선용관을 매설할 필요 없이 도로 경계블럭(10)에 형성되어 있는 배선용관(31)에 수용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road boundary block 10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ring pipe 31 that can accommodate the electric wire for supplying power to the street lamp is formed, the road boundary block without the need for embedding a separate wiring pipe ( It is accommodated in the wiring tube 31 formed in 10).

상기 도로 경계블럭(10)의 전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홈을 성형하고 그 표면에 발광물질을 부착 및 도색하여 차량의 전조등에 반사되어 발광하게 되는 반사부재(30)를 설치하는 것이다.The front of the road boundary block 10 is to form a gro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o attach and paint a light emitting material on the surface of the road boundary block 10 to install a reflecting member 30 that is reflected by the headlight of the vehicle to emit light.

상기의 반사부재(30)는 주로 야간에 통행자로 하여금 인도(1)와 차도(2)의 구분이 용이 하도록하며, 운전자에게 도로의 굴곡 상태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reflective member 30 is mainly to allow the passengers to easily distinguish the sidewalk (1) and the roadway (2) at night, and to allow the driver to easily recognize the bending state of the road.

그리고, 상기 반사부재(30)는 그 사용 여건에 따라 유리가루나 발광도료 및 야광재료를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reflective member 30 is to use glass powder, light-emitting paint and luminous material according to the use conditions.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곱게 분쇄되어 압착하여 제작된 도로 경계블럭(10)은 외부 기온이나 환경에 관계없이 그 강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외부 압력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는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road boundary block 10 produced by crushing finely crushed can maintain its strength regardless of the external temperature or environment and is not easily broken even by external pressure.

또, 도로 경계블럭(10)을 양측에 일정하게 형성되는 체결공에 의하여 별도의 높이 조절을 하지 않아도 설치함과 동시에 높이가 일정하게 조절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road boundary block 10 is installed at both sides by a fastening hole which is formed to be constant, the height is adjusted at the same time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height adjustment.

그리고, 내부에 배선용관(31)이 형성되어 있어 갈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선을 필요에 따라 수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배관용관을 매설할 필요가 없으므로 경제적인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wiring tube 31 is formed inside, the wiring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flict can be accommodated as needed, so it is economical because there is no need to bury a separate piping tube.

또, 도로 경계블럭(10)의 전면에 설치되는 반사부재(30)에 의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도로의 굴곡상태 및 차도(2)와 인도(1)의 구분이 쉽게 인지 되어지는 것이다.In addition, by the reflective member 30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road boundary block 10, the driver can easily recognize the curved state of the road and the division of the roadway 2 and the sidewalk 1.

이러한 도로 경계블럭(10)은 결합이 손쉬워보수 및 유지가 용이하고 자체 탄성력에 의하여 파손이 잘되지 않으므로 매우 경제적인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This road boundary block 10 is a very economical useful design because it is easy to combine and easy maintenance and maintenance is not broken by its own elastic force.

Claims (6)

차도와 인도를 구분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도로 경계블럭(10)과, 상기 도로 경계블럭(10)은 도로의 여건에 따라 일정길이의 도로 경계블럭을 소정의 길이 만큼 연장시킬 수 있는 연결수단(20)과, 도로 경계블럭(10)의 측면으로부터 관통되어 가로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전선을 수용할 수 있는 배선용관(31)과, 주로 야간에 운전자로 하여금 인도(1)와 차도(2)의 구분이 용이 하도록 도로 경계블럭(10)의 길이 만큼 그 전면에 형성되어지는 홈의 표면에 부착 및 도색되는 반사부재(30)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블럭.Road boundary block 10 is installed to distinguish the road and sidewalk, and the road boundary block 10 is connected to the road boundary block 20 of a predetermined length depending on the conditions of the road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wiring tube (31) capable of accommodating electric wires penetrating from the side of the road boundary block (10) to be installed to supply power to the street lamp, and mainly for the driver at night (1) and driveway (2). Road boundary block,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reflective member 30 is attached to and painted on the surface of the groove formed on the front of the road boundary block 10 so as to facilitate the separation of.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20)은 도로 경계블럭(10)의 양측에 복수개의 첵결공(21)이 형성되어 이 체결공(21)으로 체결봉(22a)이 삽입되어 양측 경계블럭(10)을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블럭.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means 20 has a plurality of pinholes 21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oad boundary block 10, the fastening rods 22a ar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21, so that both side boundary blocks ( 10) road boundary block,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20)은 도로 경계블럭의 일측에 복수개의 체결공(21)이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는 체결돌기(22b)가 일체로 형성되어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블럭.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necting means 20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2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road boundary block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22b is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road boundary block. Road boundary block.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30)는 유리가루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블럭.The road boundary block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flecting member is made of glass powd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30)는 발광도료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블럭.The road boundary block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flective member (30) is made of a luminous pain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30)는 야광재료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블럭.The road boundary block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flective member (30) is made of a luminous material.
KR2019970001078U 1997-01-27 1997-01-27 Road boundary block KR19980056981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1078U KR19980056981U (en) 1997-01-27 1997-01-27 Road boundary b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1078U KR19980056981U (en) 1997-01-27 1997-01-27 Road boundary blo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6981U true KR19980056981U (en) 1998-10-15

Family

ID=69697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1078U KR19980056981U (en) 1997-01-27 1997-01-27 Road boundary bl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6981U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9639B1 (en) * 2013-08-21 2015-07-27 김숙자 A Road Boundary Stone
KR20200057379A (en) * 2018-11-16 2020-05-26 황형중 Boundary stone combined with a flowerpot using a waste plastic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9639B1 (en) * 2013-08-21 2015-07-27 김숙자 A Road Boundary Stone
KR20200057379A (en) * 2018-11-16 2020-05-26 황형중 Boundary stone combined with a flowerpot using a waste plastic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4714B1 (en) Embedded led lighting system
US5951144A (en) Low voltage lighting system
KR100694289B1 (en) Device for emitting light using pedestrian crossing footpath of road
CN117616487A (en) Ground walking signal machine
KR20200086947A (en) Solar road marker
EP1805454B1 (en) Led-based lighting device for ground, wall, floor and road surface mounting
US7883234B2 (en) Embeddable lighting systems
KR100864457B1 (en) Road structure
KR200416773Y1 (en) Plastic boundary stone having lamp
KR200416774Y1 (en) Plastic boundary stone having lamp interlocking traffic signal of cross walk
KR19980056981U (en) Road boundary block
JP3166105U (en) Road structure and boundary block
US8899775B2 (en) Low-angle thoroughfare surface lighting device
KR102335547B1 (en) System for controlling a reclamation type signal lamp of the ground
KR101272709B1 (en) Cable Tube with Light Emitting Indicator for Boundary Lines
KR20120071726A (en) Curb stone for road
KR200265876Y1 (en) Structure For Use In Crosswalk
KR20110028973A (en) Street lamp pole with transparent cover
KR200389202Y1 (en) A Display Unit For Crosswalk
KR20090004779U (en) A structure of streetlight support
KR102621400B1 (en) Road boundary stone assembly
JP2009144332A (en) Road structure and boundary block
KR200468006Y1 (en) Banding device for guard bar of arch-type fence
KR101158106B1 (en) The construction a method and led line of sight guidance apparatus
KR101021918B1 (en) Lighting apparatus for preventing dirty 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