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6525U - Developer of Electrophotographic Processor - Google Patents

Developer of Electrophotographic Proces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6525U
KR19980056525U KR2019970000536U KR19970000536U KR19980056525U KR 19980056525 U KR19980056525 U KR 19980056525U KR 2019970000536 U KR2019970000536 U KR 2019970000536U KR 19970000536 U KR19970000536 U KR 19970000536U KR 19980056525 U KR19980056525 U KR 1998005652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developing
developing roller
roller
photosensitive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053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배병철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700005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6525U/en
Publication of KR199800565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6525U/en

Links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e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ngs.

본 고안은 현상롤러의 표면에 남아있는 잔류 토너를 제거할 수 있는 현상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eloping apparatus capable of removing residual toner remaining on the surface of a developing roller.

나.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I. The technical problem that the invention is trying to solve.

본 고안은 현상롤러의 표면에 남은 잔류토너를 제거하여 고해상도의 화상을 형성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 high resolution image by removing the residual toner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developing roller.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All. The gist of the solution of the invention.

본 고안은 교반기에 의해 교반된 토너를 현상롤러 측으로 공급하는 공급롤러와, 감광드럼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현상시키는 현상롤러를 구비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롤러의 상부에는 상기 감광드럼의 정전잠상을 토너화상으로 현상시킨 후 상기 현상롤러 표면에 남은 토너를 상기 토너적재부에서 유입되는 토너와 혼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토너를 회수하는 리셋 플레이트가 현상기 프레임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eloping apparatus of an electrophotographic processor comprising a supply roller for supplying the toner stirred by a stirrer to the developing roller side, and a developing roller for developing the toner on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drum, wherein the upper portion of the feed roller is provided. And a reset plate for recovering the toner in order to mix the toner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developing roller with the toner flowing from the toner loading part after developing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of the photosensitive drum into a toner image. do.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la. Important uses of the devise.

본 고안은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에 적용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image forming apparatus of an electrophotographic processor.

Description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Developing apparatus for an electrophotographic processor.

본 고안은 레이져 빔 프린터, 복사기, 일반용지 팩시밀리, 복합기 등의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현상롤러의 표면에 붙어 있는 오래된 토너를 제거하여 새로운 토너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eloping device for an electrophotographic processor such as a laser beam printer, a copier, a plain paper facsimile machine, and a multifunction machine. Relates to a developing apparatus.

통상적으로,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이용한 인쇄기기는 대별하여 빛을 조사하면 도체의 성질을 갖고 빛을 조사하지 않으면 부도체의 성질을 각각가져 소정의 잠상을 맺히게 하는 감광드럼과, 상기 감광드럼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대전시키는 대전장치의 대전롤러와, 소정의 컴퓨터로부터 전송되는 소정의 문자신호 또는 화상신호를 상기 감광드럼상의 소정부위에 균일하게 대전시켜 전기적인 에너지를 빛에너지로 노광시키는 노광부와, 상기 감광드럼상에 소정의 형태로 대전되는 국부적인 미세한 토너분말을 점착시키는 현상롤러와, 상기 감광드럼에 점착된 미세한 토너분말을 고압으로 기록용지에 전사시키는 전사장치의 전사부와, 고열 및 고압에 의해 미세토너를 상기 기록용지상에 정착시키기 위한 정착부와, 상기 기록용지를 소정의 위치로 이송시키는 급지부와, 상기 각각의 구성요소를 상호유기적으로 구동시키는 구동부로 이루어져 있다.Typically, a printing apparatus using an electrophotographic developing method has a property of a conductor when irradiated with light, and a photosensitive drum which has a property of an insulator when the light is not irradiated to form a predetermined latent image, and a high voltage is applied to the photosensitive drum. A charging roller of a charging device to be charged and applied, an exposure unit for uniformly charging a predetermined text signal or image signal transmitted from a predetermined computer to a predetermined portion on the photosensitive drum, and exposing electrical energy to light energy; A developing roller for adhering the local fine toner powder charged in a predetermined form on the photosensitive drum; A fixing unit for fixing fine toner on the recording paper, and transferring the recording paper to a predetermined position. Key is made up of a drive unit for driving the paper-feeding unit, and the respective components to each other organically.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를 도 1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인쇄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refore, a general printing process of the developing apparatus of the electrophotographic processo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먼저, 토너적재부(20)에 토너(22a)가 공급되어지면, 상기 토너(22a)는 교반기(38)에 의해 교반되어져 마찰에 의한 정전기를 발생하게 되어 일정 전하를 가지게 된다. 그후, 상기 교반된 토너(22a)는 상기 교반기(38)의 회전에 의해 공급롤러(18) 측으로 반송되어진다. 그후, 상기 토너(22a)는 공급롤러(18)의 회전에 의해 현상롤러(14) 측으로 공급되어지며, 상기 현상롤러(14) 표면에 형성된 토너(22a)는 규제 블레이드(16)에 의해 일정한 높이로 균일하게 규제되어 진다.First, when the toner 22a is supplied to the toner loading part 20, the toner 22a is agitated by the stirrer 38 to generate static electricity by friction and thus has a constant charge. Thereafter, the stirred toner 22a is conveyed to the supply roller 18 side by the rotation of the stirrer 38. Thereafter, the toner 22a is supplied to the developing roller 14 side by the rotation of the feed roller 18, and the toner 22a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developing roller 14 is fixed by the regulating blade 16. Is regulated uniformly.

그후, 대전롤러(34)의 전기적 작용에 의해 감광드럼(12)의 표면을 전기적으로 균일하게 (-)극성으로 대전시키고, 상기 감광드럼(12)의 회전에 의해 대전된 부분은 노광부(36)를 통해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받아 노광되어진다. 이때, 초기 대전된 상태에서 빛을 받은 부분이 정전잠상을 형성하게 된다. 그후, 상기 감광드럼(12)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은 현상롤러(14)를 지나는 동안 토너화상으로 현상되어 가시상으로 변하게 된다.Thereafter, the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drum 12 is electrically uniformly (-) polarized by the electrical action of the charging roller 34, and the portion charged by the rotation of the photosensitive drum 12 is exposed to the exposed portion 36. Is exposed to receive an electrical signal for forming an image. At this time, the portion that receives light in the initial charged state forms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Thereafter,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drum 12 is developed into a toner image while passing through the developing roller 14 to become a visible image.

그후, 도시되지 않은 카세트에 장착된 기록용지(30)가 픽업롤러에 의해 전사롤러(32) 측으로 급지되며, 그후 상기 기록용지(30)에는 전사롤러(32)의 고압 작용으로 상기 감광드럼(12) 표면의 토너화상이 전사된다. 그후, 상기 기록용지(30)에는 도시하지 않은 정착부의 히팅롤러와 압축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열과 압력에 의해 상(image)이 정착되어져 받침대 측으로 이송되어 원하는 인쇄가 이루어진다.Thereafter, the recording paper 30 mounted in the cassette (not shown) is fed to the transfer roller 32 by the pick-up roller, and the recording paper 30 is then subjected to the photosensitive drum 12 by the high pressure action of the transfer roller 32. ) The toner image on the surface is transferred. Thereafter, the recording paper 30 has an image fixed by heat and pressure while passing between the heating roller and the compression roller of the fixing unit (not shown), and is transferred to the pedestal side to achieve desired printing.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에서 종래의 현상장치는 현상롤러의 표면에 붙어 있는 오래된 토너를 제거하고 상기 오래된 토너와 새로운 토너를 함께 섞는 크리닝장치가 설치되지 않았다.In the developing apparatus of the electrophotographic processo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developing apparatus does not have a cleaning apparatus for removing old toner adhering to the surface of the developing roller and mixing the old toner with the new toner together.

즉, 종래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셋 플레이트가 없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로서, 상기 현상장치에는 감광드럼(12)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전하를 띤 토너(22a)를 현상시키는 현상롤러(14)가 상기 감광드럼(12)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현상롤러(14)의 일측에는 교반기(38)에 의해 균일하게 교반된 토너(22a)를 현상롤러(14) 측으로 공급하는 공급롤러(18)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현상롤러(14)의 상단부에는 현상롤러(14) 표면에 형성된 토너(22a)를 일정한 높이로 균일하게 규제하는 규제 블레이드(16)가 일정한 압력으로 접촉되어 설치되어 있다.That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eveloping apparatus of an electrophotographic processor without a reset plate as shown in FIG. 2, wherein the developing apparatus has a negative toner having a negative charge on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drum 12. A developing roller 14 for developing 22a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hotosensitive drum 12, and one side of the developing roller 14 carries the toner 22a uniformly stirred by the stirrer 38. The supply roller 18 which supplies to the 14 side is provided. In addition, at the upper end of the developing roller 14, a regulating blade 16 for uniformly regulating the toner 22a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developing roller 14 to a constant height is provided in contact with a predetermined pressure.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서, 토너적재부(20)로부터 유입된 토너(22a)는 공급롤러(18)의 회전에 의해 현상롤러(14) 측으로 공급되어지며, 상기 현상롤러(14)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22a)는 규제 블레이드(16)에 의해 일정한 높이로 균일하게 규제되어진다. 그후, 감광드럼(12)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은 상기 감광드럼(12)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현상롤러(14) 표면에 형성된 토너(22a)층을 지나는 동안 토너화상으로 현상되어 가시상으로 변하게 된다. 그후, 상기 현상롤러(14)의 표면에 남아 있는 토너(22b)는 공급롤러(18)의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일부만이 회수되어지고, 대부분의 잔류 토너(22b)는 상기 현상롤러(14)의 표면에 그대로 남아 있게 된다. 그후,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쇄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toner 22a introduced from the toner loading part 20 is supplied to the developing roller 14 side by the rotation of the supply roller 18, and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developing roller 14. The toner 22a is uniformly regulated to a constant height by the regulating blade 16. Thereafter,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drum 12 is developed as a toner image while the photosensitive drum 12 is rotated in a clockwise direction while passing through the toner 22a lay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developing roller 14. Will change to Thereafter, only a part of the toner 22b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developing roller 14 is recovered by the rotation of the feed roller 18 in a clockwise direction, and most of the remaining toner 22b is the developing roller 14. ) Will remain on the surface. Thereafter, a printing process is performed as described in FIG. 1.

그러나, 위와 같이 구성된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는 감광드럼과 규제 블레이드와 현상롤러는 서로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현상롤러의 표면에 붙어서 회전하고 있는 토너는 피로가 많이 발생하여 다량의 프린팅(printing) 또는 장기간 보관시에 화질저하 및 이상화상이 형성되며, 또한 상기 감광드럼 표면에 토너화상을 형성시킨 후 상기 현상롤러 표면에 남은 잔류 토너가 제거되지 않고 계속해서 붙어 있기 때문에 상기 현상롤러의 전압과 규제 블레이드의 전압에 의해 불균일하게 토너가 대전되며, 고해상도의 화상을 형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However, in the developing apparatus of the electrophotographic processo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hotosensitive drum, the regulating blade, and the developing roller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toner that is rotating on the surface of the developing roller is fatigued, and thus a large amount of printing or Deterioration of image quality and abnormal images are formed during long-term storage, and after the toner image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drum, the residual toner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developing roller is not removed and is continuously attached. The toner is unevenly charged by the voltage of, and a problem arises in that a high resolution image cannot be form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현상롤러 표면에 남은 잔류토너를 제거하여 고해상도의 화상을 형성시킬 수 있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eloping apparatus of an electrophotographic processor capable of forming a high-resolution image by removing residual toner remaining on a surface of a developing roller.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현상롤러의 표면에 붙어 있는 오래된 토너와 새로운 토너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eloping device for an electrophotographic processor that can be mixed with old toner and new toner attached to the surface of a developing roller.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현상롤러 표면의 토너를 항상 균일하게 대전시킬 수 있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eloping device for an electrophotographic processor capable of always and uniformly charging the toner on the surface of the developing roll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교반기에 의해 교반된 토너를 현상롤러 측으로 공급하는 공급롤러와, 감광드럼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현상시키는 현상롤러와, 상기 현상롤러 표면의 토너를 일정한 높이로 균일하게 규제하는 독터-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롤러의 상부에는 상기 감광드럼의 정전잠상을 토너화상으로 현상시킨 후 상기 현상롤러 표면에 남은 토너를 상기 토너적재부에서 유입되는 토너와 혼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토너를 회수하는 리셋 플레이트가 현상기 프레임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pply roller for supplying the toner stirred by the stirrer to the developing roller, a developing roller for developing the toner on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drum, and An developing apparatus of an electrophotographic processor having a doctor-blade that is uniformly regulated to a certain height, wherein the developing roller has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of the photosensitive drum formed into a toner image, and then the toner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developing roller is And a reset plate for recovering the toner to be mixed with the toner flowing from the toner loading part.

도 1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eveloping apparatus of an electrophotographic processor commonly used.

도 2는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셋 플레이트(reset plate)가 없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eveloping apparatus of an electrophotographic processor without a reset pla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ior art;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현상롤러 표면의 잔류토너를 제거하는 리셋 플레이트가 설치된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eveloping apparatus of an electrophotographic processor with a reset plate for removing the residual toner on the surface of the developing 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리셋 플레이트12: 감광드럼10: reset plate 12: photosensitive drum

14: 현상롤러16: 규제 블레이드14: developing roller 16: regulating blade

18: 공급롤러20: 토너적재부18: Supply roller 20: Toner loading part

22a,22b: 토너24: 현상기-프레임22a, 22b: toner 24: developer-frame

22a는 토너적재부에서 유입된 토너.22a indicates toner flowing from the toner loading part.

22b는 현상롤러가 감광드럼 표면에 토너를 현상시키고 남은 토너.22b shows the toner remaining after the developing roller develops the toner on the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drum.

22c는 리셋 플레이트에 의해 회수되어진 토너.22c is toner recovered by a reset plate.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현상롤러 표면의 잔류토너를 제거하는 리셋 플레이트(reset plate)가 설치된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eveloping apparatus of an electrophotographic processor in which a reset plate for removing residual toner on the surface of a developing 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장치에는 감광드럼(12)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전하를 띤 토너(22a)를 현상시키는 현상롤러(14)가 상기 감광드럼(12)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현상롤러(14)의 일측에는 교반기(38)에 의해 균일하게 교반된 토너(22a)를 현상롤러(14) 측으로 공급하는 공급롤러(18)가 설치된다. 상기 현상롤러(14)의 일측 상부면에는 현상롤러(14) 표면에 형성된 토너(22a)를 일정한 높이로 균일하게 규제하는 규제 블레이드(16)가 일정한 압력으로 접촉되어 설치된다.As shown in FIG. 3, the developing apparatus includes a developing roller 14 for developing a negatively charged toner 22a on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drum 12 on one side of the photosensitive drum 12. On one side of the developing roller 14, a supply roller 18 for supplying the toner 22a uniformly stirred by the stirrer 38 to the developing roller 14 side is installed. On one upper surface of the developing roller 14, a regulating blade 16 for uniformly regulating the toner 22a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developing roller 14 to a predetermined height is installed in contact with a predetermined pressure.

그리고, 상기 공급롤러(18)의 상부에는 상기 현상롤러(14)가 감광드럼(12) 표면의 정전잠상을 토너화상으로 현상시킨 후에 상기 현상롤러(14) 표면에 남은 토너(22b)를 회수하여 상기 토너적재부(20)에서 공급롤러(18) 측으로 유입되는 토너(22a)와 서로 혼합시키는 리셋 플레이트(10)가 현상기 프레임(24)에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리셋 플레이트(10)의 일측 끝단부는 상기 현상롤러(14)로부터 회수되어진 토너(22c)가 리셋 플레이트(10)의 상부면을 타고 이동한 후에 상기 토너(22a)와 혼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토너(22c)를 하부방향으로 흘려보내는 곡면부(10a)가 일정한 각도로 라운딩(rounding)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리셋 플레이트(10)의 타측 끝면은 상기 현상롤러(14) 표면에 남아있는 토너(22b)를 긁으면서 회수하기 위하여 상기 현상롤러(14)의 표면과 2mm 정도의 간격을 유지하고 하부면은 상기 공급롤러(18)의 표면과 2mm 정도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되어 있다.Then, on the top of the supply roller 18, the developing roller 14 develops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on the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drum 12 into a toner image, and then collects the toner 22b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developing roller 14. A toner 22a flowing into the feed roller 18 from the toner loading part 20 and a reset plate 10 mixed with each other are fixedly installed in the developer frame 24. At this time, one end of the reset plate 10 is mixed with the toner 22a after the toner 22c recovered from the developing roller 14 move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set plate 10. The curved surface portion 10a for flowing 22c downward is formed to be round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ddition, the other end surface of the reset plate 10 maintains a distance of about 2 mm from the surface of the developing roller 14 to recover while scraping the toner 22b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developing roller 14, and the lower surface It is installed to maintain a distance of about 2 mm from the surface of the feed roller 18.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서, 상기 토너적재부(20)로부터 유입된 토너(22a)는 공급롤러(18)의 회전에 의해 현상롤러(14) 측으로 공급되어지며, 상기 현상롤러(14) 표면에 형성된 토너(22a)는 규제 블레이드(16)에 의해 일정한 높이로 균일하게 규제되어 진다. 그후, 감광드럼(12)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은 상기 감광드럼(12)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현상롤러(14) 표면에 형성된 토너(22a)층을 지나는 동안 토너화상으로 현상되어 가시상으로 변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toner 22a introduced from the toner loading part 20 is supplied to the developing roller 14 side by the rotation of the supply roller 18, and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developing roller 14. The toner 22a is uniformly regulated to a constant height by the regulating blade 16. Thereafter,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drum 12 is developed as a toner image while the photosensitive drum 12 is rotated in a clockwise direction while passing through the toner 22a lay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developing roller 14. Will change to

그후, 상기 현상롤러(14)의 표면에 남아 있는 전량의 토너(22b)는 리셋 플레이트(10)의 끝면에 부딧히게 된다. 이어서, 상기 토너(22b)의 대부분은 상기 리셋 플레이트(10)의 상부면을 타고 이동하며 나머지 소량의 토너(22b)는 공급롤러(18)의 하부측으로 회수되어진다. 그후, 상기 리셋 플레이트(10)의 상부면을 타고 이동한 토너(22c)는 리셋 플레이트(10)의 곡면부(10a)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떨어져 상기 토너적재부(20)에서 유출되는 새로운 토너(22a)와 섞여지게 된다. 그후, 상기 공급롤러(18)는 새로운 토너(22a)와 잔류 토너(22c)로 혼합된 토너(22a+22c)를 다시 현상롤러(14) 측으로 공급시킨다. 그후,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쇄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Thereafter, the entire amount of toner 22b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developing roller 14 is buried on the end surface of the reset plate 10. Subsequently, most of the toner 22b move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set plate 10 and the remaining toner 22b is recovered to the lower side of the supply roller 18. Thereafter, the toner 22c mov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set plate 10 is dropped downward by the curved portion 10a of the reset plate 10 and is discharged from the toner loading portion 20. 22a). Thereafter, the supply roller 18 supplies the toner 22a + 22c mixed with the new toner 22a and the residual toner 22c back to the developing roller 14 side. Thereafter, a printing process is performed as described in FIG. 1.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는 현상롤러의 표면에 남아있는 잔류토너를 완전히 제거하므로서 상기 현상롤러의 표면에 오래된 토너가 존재하지 않으며, 이로인해 상기 토너를 항상 균일하게 대전시킬 수 있으며, 또한 장시간 또는 연속적으로 프린팅시에도 현상롤러의 피로 때문에 발생하는 이상화상을 없앨 수 있으며, 또한 고해상도의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eveloping apparatus of the electrophotographic proces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ly removes the residual toner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developing roller, so that the old toner does not exist on the surface of the developing roller. It can be uniformly charged, and also eliminates abnormal images caused by fatigue of the developing roller even when printing for a long time or continuously, and also has the effect of forming a high resolution image.

Claims (4)

교반기에 의해 교반된 토너를 현상롤러 측으로 공급하는 공급롤러와, 감광드럼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현상시키는 현상롤러와, 상기 현상롤러 표면의 토너를 일정한 높이로 균일하게 규제하는 독터-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A supply roller for supplying the toner stirred by the stirrer to the developing roller, a developing roller for developing the toner on the electrostatic latent surfac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drum, and a doctor-blade for uniformly regulating the toner on the surface of the developing roller at a constant height. A developing device for an electrophotographic processor provided, 상기 공급롤러(18)의 상부에는 상기 감광드럼(12)의 정전잠상을 토너화상으로 현상시킨 후 상기 현상롤러(14)의 표면에 남은 토너(22b)를 상기 토너적재부(20)에서 유입되는 토너(22a)와 혼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토너(22b)를 회수하는 리셋 플레이트(10)가 현상기 프레임(24)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After developing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of the photosensitive drum 12 to a toner image, the toner 22b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developing roller 14 is introduced from the toner loading part 20 on the supply roller 18. And a reset plate (10) for collecting the toner (22b) to be mixed with the toner (22a) is provided in the developer frame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 플레이트(10)의 일측 끝면은 상기 현상롤러(14) 표면에 남아 있는 토너(22b)를 회수하기 위하여 상기 현상롤러(14)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one end surface of the reset plate 10 is installed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eveloping roller 14 to recover the toner 22b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developing roller 14. A developing device for an electrophotographic processor, characterized in tha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 플레이트(10)의 일측 끝면은 상기 현상롤러(14)와 2mm 정도의 간격을 유지하고 하부면은 상기 공급롤러(18)와 2mm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부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According to claim 2, wherein one end surface of the reset plate 10 is spaced about 2mm from the developing roller 14, and the lower surface is predetermined in the upper direction while maintaining a distance of 2mm with the feed roller 18 Developing apparatus for an electrophotographic processor,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clined at an angle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플레이트(10)의 일측에는 상기 현상롤러(14)로부터 회수되어진 토너(22c)가 상기 토너적재부(20)에서 유입된 토너(22a)와 혼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토너(22c)를 하부방향으로 흘려보내기 위한 곡면부(10a)가 라운딩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oner 22c recovered from the developing roller 14 is mixed with the toner 22a introduced from the toner loading part 20 at one side of the reset-plate 10. And a curved portion (10a) for rounding the toner (22c) downward.
KR2019970000536U 1997-01-16 1997-01-16 Developer of Electrophotographic Processor KR19980056525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0536U KR19980056525U (en) 1997-01-16 1997-01-16 Developer of Electrophotographic Proces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0536U KR19980056525U (en) 1997-01-16 1997-01-16 Developer of Electrophotographic Process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6525U true KR19980056525U (en) 1998-10-15

Family

ID=69672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0536U KR19980056525U (en) 1997-01-16 1997-01-16 Developer of Electrophotographic Process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6525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4689B1 (en) Preventing ghost device of development roller
KR19980021698U (en) Developing apparatus for an electrophotographic processor
KR0135733Y1 (en) A development apparatus of electrophotographic processor
KR100242117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electro photographic processor
KR19980056525U (en) Developer of Electrophotographic Processor
JP447043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144674Y1 (en) Toner Layer Thickness Control Device of Developing Roller
KR200157543Y1 (en) Device to input electrical charge voltage into electrical charge roller
KR200160163Y1 (en) Developing device for electrophotograph processor
KR100191213B1 (en) A developing device in electrophotographic process
KR0174680B1 (en) The toner supply device
KR100193868B1 (en) Developer of Electrophotographic Processor
KR0174684B1 (en) Toner Layer Thickness Control Device of Developing Roller
KR19980015577U (en) Residual toner removal device on feed roller surface
KR19990000831U (en) Development roller cleaning device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or
KR19990020320A (en) Charging device of electrophotographic process
KR19980021700U (en) Image forming apparatus of electrophotographic processor
KR19990010941U (en) Developer of Electrophotographic Processor
KR19980036478U (en) Image forming apparatus of electrophotographic processor
KR19980063758U (en) Charge roller cleaning device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or
KR19980077407A (en) Transfer roller cleaning device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or
KR19980049484U (en) Feed roller with conductive material
KR19980051634A (en) Image forming apparatus of electrophotographic processor
KR19990002427U (en) Developer of Electrophotographic Processor
KR19980067300U (en) Charge roller contamination prevention device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