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0767A - 가변형 유니트 캠 - Google Patents

가변형 유니트 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0767A
KR19980050767A KR1019960069612A KR19960069612A KR19980050767A KR 19980050767 A KR19980050767 A KR 19980050767A KR 1019960069612 A KR1019960069612 A KR 1019960069612A KR 19960069612 A KR19960069612 A KR 19960069612A KR 19980050767 A KR19980050767 A KR 19980050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adjusting means
fixing member
angle adjusting
displa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9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훈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69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0767A/ko
Publication of KR19980050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0767A/ko

Links

Landscapes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형 유니트 캠에 관한 것으로서, 공정단계의 차량용 소재(30) 놓이는 안착대(200); 안착대(200)를 전면에 구비하며, 좌우 소정 간격을 두고 횡봉(400)로 연결하여 횡봉(400)로 슬라이드 되어 좌우 폭간 조절이 자유로운 한쌍의 고정부재(300); 한쌍의 고정부재(300) 상단에 장착하여 소재(30)의 슬라이드면을 이루는 슬라이드부재(100)를 특징적 구성으로 하고, 상기 고정부재(300)는 안착대(200) 상에 놓이는 소재(30)의 공정각도의 변위에 따라 가변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소정의 위치에 고정부재(300)의 전후면 높이를 조절하는 제1각도조절수단(500)을 장착하여 구성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100)는 제1각도조절수단(500)에 의해 변환된 슬라이드부재(100)의 전후면 변환각을 조절하기 위하여 소정의 위치에 제2각도조절수단(600)을 장착한 구성으로, 상기 소재의 공정에 따라 변위되는 작업구간의 장단(長短)을 맞추기 위하여 재성형함이 없이 고정부재를 횡봉로 슬라이드 시켜 폭간 조절이 간단히 이루어 지고, 소재 공정각도의 변위, 즉 작업 방향 및 각도 조절의 위치 변경에 따른 고정부재의 전후면 각도 조절 및 이에 따른 슬라이드부재의 변환된 기울기는 제1각도조절수단에 제2각도조절수단에 의해 간단히 조절됨으로써, 작업구간, 작업방향, 작업각도의 변위에 따라 재설계 및 재제작이 배제되어 공수 절감 및 자재 절감에 의해 재품의 납기내에 신속히 대응함은 물론 원가 절감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변형 유니트 캠
본 발명은 차량용 패널(이하 소재라 함)의 성형 공정단계에서 작업구간 및 소재의 공정각도의 변위에 따라 길이 및 각도 조정이 가능한 가변형 유니트 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패널의 트림밍공정 및 천공공정상의 작업구간을 이루는 도 1에 나타내 고정형 유니트 캠은 소재(30)를 제어함과 동시에 슬라이드면을 이루는 슬라이드(10)와, 슬라이드(10)에 연결하여 소재(30)가 놓이는 안착대(20)를 일체 형상으로 제작하여 구성한다.
이에 작업구간이 긴 경우 종래의 고정형 유니트 캠은 슬라이드(10) 및 안착대(20)의 조절이 불가능하여 그 구간의 폭 만큼 대형 캠을 제작하게 되어 원가상승의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문제점은 소재(30)의 공정단계에서 작업 방향 및 각도와 작업 대상 부위가 바뀔 경우 캠을 재설계 및 재제작하게 되어 원가 상승은 물론 설계, 제작공수등에 의해 제품의 납기일에 신속한 대응이 어려운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착대를 구비한 고정부재를 상하각 및 좌우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작업구간의 장단(長短) 및 소재의 작업방향, 각도 조정이 용이한 가변형 유니트 캠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고정형 유니트 캠의 구성을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가변형 유니트 캠의 구성을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가변형 유니트 캠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슬라이드부재 200 : 안착대
300 : 고정부재 400 : 횡봉
500 : 제1각도조절수단 600 : 제2각도조절수단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 도 2와 도 3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 본 발명의 가변형 유니트 캠은 공정단계의 소재(30)가 놓이는 안착대(200); 안착대(200)를 전면에 구비하며, 좌우 소정 간격을 두고 횡봉(400)로 연결하여 횡봉(400)로 슬라이드 되어 좌우 폭간 조절이 자유로운 한쌍의 고정부재(300); 한쌍의 고정부재(300) 상단에 장착하여 소재(30)의 슬라이드면을 이루는 슬라이드부재(100)를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300) 하단에는 안착대(200) 상에 놓이는 소재(30)의 공정각도의 변위에 따라 가변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고정부재(300)의 전후면 높이를 조절하는 제1각도조절수단(500)을 장착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고정부재(300)와 슬라이드부재(100) 사이에는 제1각도조절수단(500)에 의해 변환된 슬라이드부재(100)의 전후면 변환각을 조절하기 위하여 제2각도조절수단(600)을 장착하여 구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변형 유니트 캠은 소재(30)의 공정에 따라 변위되는 작업구간의 장단(長短)을 맞추기 위하여 재성형함이 없이 고정부재(300)를 횡봉(400)로 슬라이드 시켜 폭간 조절이 간단히 이루어지고, 소재(30) 공정각도의 변위, 즉 작업 방향 및 각도 조절의 위치 변경에 따른 고정부재(300)의 전후면 각도 조절이 제1각도조절수단(500)에 의해 간단히 이루어지며, 이때 제1각도조절수단(500)에 의해 슬라이드부재(100)의 변환된 기울기는 제2각도조절수단(600)에 의해 간단히 조절된다.
이에 본 발명의 가변형 유니트 캠은 작업구간, 작업방향, 작업각도의 변위에 따라 재설계 및 재제작이 배제되어 공수 절감 및 자재 절감에 의해 재품의 납기내에 신속히 대응함은 물론 원가 절감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공정단계의 차량용 소재 놓이는 안착대; 안착대를 전면에 구비하며, 좌우 소정 간격을 두고 횡봉으로 연결하여 횡봉으로 슬라이드 되어 좌우 폭간 조절이 자유로운 한쌍의 고정부재; 한쌍의 고정부재 상단에 장착하여 소재의 슬라이드면을 이루는 슬라이드부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유니트 캠.
  2. 제 1항에 있어서, 고정부재는 안착대 상에 놓이는 소재의 공정각도의 변위에 따라 가변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소정의 위치에 고정부재의 전후면 높이를 조절하는 제1각도조절수단을 장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유니트 캠.
  3. 제 1항에 있어서, 슬라이드부재는 제1각도조절수단에 의해 변환된 슬라이드부재의 전후면 변환각을 조절하기 위하여 소정의 위치에 제2각도조절수단을 장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유니트 캠.
KR1019960069612A 1996-12-21 1996-12-21 가변형 유니트 캠 KR199800507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9612A KR19980050767A (ko) 1996-12-21 1996-12-21 가변형 유니트 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9612A KR19980050767A (ko) 1996-12-21 1996-12-21 가변형 유니트 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0767A true KR19980050767A (ko) 1998-09-15

Family

ID=66384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9612A KR19980050767A (ko) 1996-12-21 1996-12-21 가변형 유니트 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076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04361B1 (en) Adjustable vehicle seat
US4756503A (en) Slide device for an automotive seat
CN102787773A (zh) 用于隐藏地设置在门扇和门边框之间的门铰链
KR20010079969A (ko) 시트 현가 장치
JP2015058929A (ja) 車両用チャイルドシート
KR20140026546A (ko) 서랍
KR19980050767A (ko) 가변형 유니트 캠
DE332340T1 (de) Neigungsverstellmechanismus fuer einen sitz.
US6817065B1 (en) Door hinge
JP7006126B2 (ja) 車両前面構造
JP7258415B2 (ja) パネル部材の取付構造
CN103097187A (zh) 尤其在机动车辆的内饰配件区域中的调整机构
JP4897378B2 (ja) 椅子
JP3649816B2 (ja) 調整機能付き手摺り支持具
JP3806162B2 (ja) ディフレクタ取り付け装置
WO2021043701A1 (de) Komfortmodul für einen fahrzeugsitz
KR200213497Y1 (ko) 자동차의 시트장착용 브래킷구조
CN214943381U (zh) 三维可调转臂铰链
KR100422774B1 (ko) 차량용 도어 힌지 브라켓 제작용 하부 금형 구조
KR0157828B1 (ko) 자동차용 그릴의 구조
KR200153770Y1 (ko) 이동식 보조 매트걸이
ITMI960581U1 (it) Dispositivo per accogliere almeno un rullo trasportatore
JP7397264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0124371Y1 (ko) 자동차의 리어시트장착용 브라켓구조
KR0125552Y1 (ko) 프레스용 보조다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