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0402A - Round volume with position detection - Google Patents

Round volume with position dete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0402A
KR19980050402A KR1019960069214A KR19960069214A KR19980050402A KR 19980050402 A KR19980050402 A KR 19980050402A KR 1019960069214 A KR1019960069214 A KR 1019960069214A KR 19960069214 A KR19960069214 A KR 19960069214A KR 19980050402 A KR19980050402 A KR 19980050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ume
round
microcomputer
round volum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92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219166B1 (en
Inventor
이재훈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69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9166B1/en
Publication of KR19980050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04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9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9166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7/00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 H03G7/007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of digital or coded sign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007Control dependent on the supply voltage

Landscapes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오디오에서 위치감지기능을 지닌 라운드볼륨에 관한 것이다. 이 장치는 종래 음량조절용 저항을 지닌 라운드볼륨에 외부키조작에 따라 변경하는 라운드볼륨의 위치를 감지하기위한 위치감지장치를 더 구비하여 구성을 이룬다. 이 장치를 이용하면 라운드볼륨의 위치가 감지되므로 볼륨모터의 구동을 정확히 제어하여 볼륨모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오디오의 부가적인 기능선택시에도 응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Disclosed is a round volume with position sensing in audio. The device further comprises a position detecting device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round volume to be changed according to the external key operation to the round volume having a conventional volume control resistor. By using this device, the position of the round volume is sensed, so that the volume motor durability can be improved by precisely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volume motor, and it can be also applied when selecting additional functions of audio.

Description

위치감지기능을 지닌 라운드볼륨Round volume with position sensing

본 발명은 오디오에 있어서, 음량레벨을 조절하기위한 라운드볼륨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capable of detecting a position of a round volume for adjusting a volume level in audio.

일반적으로 오디오의 라운드볼륨 내부에는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두 개의 저항을 지닌 볼륨모터가 있다. 사용자가 이 라운드볼륨의 위치를 변경하면 라운드볼륨의 위치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되어 사용자가 변경한 라운드볼륨의 위치에 맞는 레벨의 음량으로써 스피커를 통하여 음성신호가 출력된다. 이에 대한 일례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은 종래 라운드볼륨의 내부를 나타낸 구성블록도이다. 사용자가 라운드볼륨의 위치를 손으로 변경하여 음량레벨을 선택하거나 미도시된 리모콘 등을 이용하여 음량레벨을 선택하면, 이 선택된 음량레벨에 대한 선택신호는 마이콤(11)에 인가된다. 선택신호를 인가받은 마이콤(11)은 모터구동부(12)를 구동시키고 모터구동부(12)는 선택된 음량레벨의 업(Up)/다운(Down)에 맞도록 볼륨모터(13)를 회전시킨다. 볼륨모터(13)가 회전하는 만큼 저항(14)의 값이 변하게 되어 이 저항값에 따른 음성신호(AC-Signal)가 미도시된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된다. 그래서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한 레벨의 음량으로써 오디오를 청취할 수 있게 된다.Typically, there is a volume motor with two resistors to adjust the volume inside the round volume of the audio. When the user changes the position of the round volume, the resistance valu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round volume, and the sound signal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at a level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round volume changed by the user. An example of this is shown in FIG. 1.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side of a conventional round volume. When the user selects the volume level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round volume by hand, or selects the volume level by using a remote controller, not shown, the selection signal for the selected volume level is applied to the microcomputer 11. The microcomputer 11 receiving the selection signal drives the motor driver 12, and the motor driver 12 rotates the volume motor 13 to match the up / down of the selected volume level. As the volume motor 13 rotates, the value of the resistor 14 changes, so that an audio signal (AC-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sistance value is output through a speaker (not shown). Thus, the user can listen to audio at the volume of the level selected by the user.

사용자가 이렇게 오디오를 청취하다가 전원을 오프(Off)하면 라운드볼륨은 사용자가 청취할 때의 음량레벨위치에서 최소레벨위치로 이동되고 볼륨모터(13)는 라운드볼륨이 최대레벨위치에서 최소레벨위치까지 이동할 때 걸리는 시간동안 구동한 후 멈춘다.When the user listens to the audio and turns off the power, the round volume moves from the volume level position when the user listens to the minimum level position, and the volume motor 13 moves the round volume from the maximum level position to the minimum level position. It stops after driving for the time it takes to move.

이처럼 전술한 종래 라운드볼륨은 단순히 마이콤의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가 구동되는 식이었다. 그래서, 전원이 오프되면 청취시 라운드볼륨의 위치가 감지되지 못하여 볼륨모터는 전원오프될 때의 라운드볼륨위치에 상관없이 무조건 라운드볼륨의 최대레벨위치에서 최소레벨위치까지 이동할 때 걸리는 시간동안 구동된 후 정지하였다. 즉, 볼륨모터는 짧은 시간동안만 구동되어도 될 것을 긴 시간동안 구동되기도하여 그 결과 볼륨모터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라운드볼륨의 위치가 감지되지못함으로 인하여 음량레벨의 변경량에 따라 라운드볼륨의 속도제어가 불가능하였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round volume was simply a motor drive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microcomputer. Therefore,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the position of the round volume is not detected during listening and the volume motor is driven for the time required to move from the maximum level position to the minimum level position regardless of the round volume position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It stopped. In other words, the volume motor may be driven for a long time, which may be driven only for a short time, and as a result, the durability of the volume motor is inferior. In addition, since the position of the round volume was not detected, it was impossible to control the speed of the round volume according to the change amount of the volume level.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라운드볼륨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device capable of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round volume.

도 1은 종래 라운드볼륨의 내부를 나타낸 구성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side of a conventional round volum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라운드볼륨의 내부를 나타낸 구성블록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side of the round volu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볼륨모터회전각도와 DC전압과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3 is a diagram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volume motor rotation angle and a DC voltage;

도 4는 DC전압과 디지탈신호와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4 is a diagram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DC voltage and a digital signal;

도 5는 볼륨모터에 인가되는 펄스신호를 나타낸 파형도.5 is a waveform diagram illustrating a pulse signal applied to a volume motor.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 24 : 마이콤 12, 25 : 모터구동부11, 24: Micom 12, 25: motor drive unit

13, 26, M : 볼륨모터 14, 21 : 저항13, 26, M: volume motor 14, 21: resistance

22 : A/D컨버터 23 : 멀티플렉서22: A / D converter 23: multiplexer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음량조절용 저항을 지닌 라운드볼륨에 있어서, 외부키조작에 따라 변경하는 라운드볼륨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장치를 구비한 위치감지기능을 지닌 라운드볼륨을 제공하는 것이다.A characteristic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round volume having a volume control resistor, the round volume having a position sensing function having a position sensing device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round volume to change according to the external key operation To provide.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한다.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라운드볼륨의 내부를 나타낸 구성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라운드볼륨은 도시된 도 1의 종래 라운드볼륨에 DC전압검출용 저항(21)과 이 저항(21)에서 측정된 DC전압을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A/D컨버터(22), 이 디지탈신호를 인가받아 시리얼신호로 변환하는 멀티플렉서(23) 그리고 메모리기능을 지닌 마이콤(24)이 더 포함되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도록한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side of the round volu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round volume is the conventional round volume shown in Fig. 1 and the A / D converter 22 converting the DC voltage detection resistor 21 and the DC voltage measured by the resistor 21 into a digital signal. Also included are a multiplexer 23 for receiving a digital signal and converting the signal into a serial signal, and a microcomputer 24 having a memory function. The operation of the device constitut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제 3저항(21)으로부터 측정된 DC전압은 A/D컨버터(22)로 인가되어 8비트의 디지탈신호로 변환된다. 이 변환된 디지탈신호는 멀티플렉서(23)로 인가되고, 멀티플렉서(23)는 인가받은 신호를 시리얼신호(Serial Signal)로 변환한다. 멀티플렉서(23)는 마이콤(24)으로부터 키입력신호에 대한 동기신호를 인가받으면 마이콤(24)으로 시리얼신호를 출력한다. 마이콤(24)은 인가받은 시리얼신호에서 현재 라운드볼륨의 위치를 인식하게 된다. 마이콤(24)이 라운드볼륨의 위치를 인식하는 과정을 도 3과 도 4에 도시하였다. 도시한 것 처럼 도 3은 제 3저항(21)의 DC전압과 볼륨모터(26)의 회전된 각도와의 관계를 나타내었고, 도 4는 제 3저항(21)의 DC전압과 A/D컨버터(22)에서 변환된 디지탈신호의 출력과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렇게 해서 마이콤(24)은 현 라운드볼륨의 위치를 인식하여 내장된 메모리IC에 기억하여 두고, 오디오의 전원이 오프(Off)되면 인식된 현 라운드볼륨의 레벨위치에서 최소음량레벨위치까지로 이동할 동안만 볼륨모터(26)는 구동된다. 다시 오디오의 전원이 온(On)되면 전원이 오프되기 전에 인식하여 기억한 라운드볼륨의 레벨위치로 라운드볼륨은 이동된다.The DC voltage measured from the third resistor 21 is applied to the A / D converter 22 and converted into an 8-bit digital signal. The converted digital signal is applied to the multiplexer 23, and the multiplexer 23 converts the applied signal into a serial signal. The multiplexer 23 outputs a serial signal to the microcomputer 24 upon receiving a synchronization signal for the key input signal from the microcomputer 24. The microcomputer 24 recognizes the position of the current round volume in the serial signal. 3 and 4 illustrate a process of recognizing the location of the round volume by the microcomputer 24. 3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C voltage of the third resistor 21 and the rotated angle of the volume motor 26. FIG. 4 shows the DC voltage of the third resistor 21 and the A / D converter. The relationship with the output of the digital signal converted in (22) is shown. In this way, the microcomputer 24 recognizes the position of the current round volume and stores it in the built-in memory IC. When the audio power is turned off, the micom 24 moves from the recognized current round volume level position to the minimum volume level position. Only the volume motor 26 is driven. When the audio power is turned on again, the round volume is moved to the level position of the round volume that is recognized and stored before the power is turned off.

이제 사용자가 미도시된 리모콘 등의 키입력부를 통하여 라운드볼륨의 음량레벨을 선택하면 이 키입력신호는 마이콤(24)에 인가되고, 마이콤(24)은 키입력신호가 인가됨을 알리는 동기신호를 멀티플렉서(23)로 출력한다. 그러면 마이콤(24)은 인가받은 키입력신호에 따라 볼륨모터(26)를 구동시키기위한 모터구동부(25)를 제어한다. 이 모터구동부(25)는 마이콤(24)의 제어에 따라 키입력신호 즉, 음량레벨의 업/다운선택에 대한 펄스신호로써 볼륨모터(26)를 구동한다. 이 펄스신호는 도 5에 도시되었다. 즉, 음량레벨을 업하는 키입력신호가 인가되면 Port 1에는 도 5의 (a)에 도시된 펄스신호가 인가되고, Port 2에는 도 5의 (b)에 도시된 펄스신호가 인가된다. 또한, 음량레벨을 다운하는 키입력신호가 인가되면 Port 1에는 도 5의 (b)에 도시된 펄스신호가 인가되고, Port 2에는 도 5의 (a)에 도시된 펄스신호가 인가된다. 여기에서 시간(t)은 현 라운드볼륨의 음량레벨에서 선택되는 음량레벨로 되기까지 펄스가 입력되는 시간이다. 이 t의 크기에 따라 라운드볼륨의 이동속도가 달라진다. 즉, t가 크면 현 라운드볼륨의 음량레벨과 선택되는 음량레벨의 차가 크고, 차가 큰 만큼 라운드볼륨은 빠르게 이동한다. 또한, t가 작으면 현 라운드볼륨의 음량레벨과 선택되는 음량레벨의 차는 적고, 차가 적으므로인해 라운드볼륨은 서서히 이동한다. 이렇게 해서 라운드볼륨의 위치에 따라 라운드볼륨의 속도제어가 가능하게 된다.Now, when the user selects the volume level of the round volume through a key input unit such as a remote controller (not shown), the key input signal is applied to the microcomputer 24, and the microcomputer 24 multiplexes the synchronization signal indicating that the key input signal is applied. Output to (23). Then, the microcomputer 24 controls the motor driver 25 for driving the volume motor 26 according to the input key input signal. The motor driver 25 drives the volume motor 26 as a key input signal, that is, a pulse signal for up / down selection of the volume level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24. This pulse signal is shown in FIG. That is, when a key input signal for increasing the volume level is applied, the pulse signal shown in FIG. 5A is applied to Port 1, and the pulse signal shown in FIG. 5B is applied to Port 2. In addition, when a key input signal for decreasing the volume level is applied, the pulse signal shown in FIG. 5B is applied to Port 1, and the pulse signal shown in FIG. 5A is applied to Port 2. Here, the time t is the time that a pulse is input until it reaches the volume level selected from the volume level of the current round volume. Depending on the size of t, the moving speed of the round volume changes. That is, if t is large, the difference between the volume level of the current round volume and the selected volume level is large, and the larger the difference, the faster the round volume moves. In addition, when t is small, the difference between the volume level of the current round volume and the selected volume level is small, and since the difference is small, the round volume gradually moves. In this way, the speed of the round volume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round volume.

이렇게 볼륨모터(26)는 각 Port에 입력되는 펄스신호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그래서 두 개의 음량조절용 저항(14)을 통하여 선택된 음량레벨이 조절된 후 스피커를 통하여 음성신호가 출력되고, 한 개의 제 3저항(21)을 통해서 전술한 과정이 반복되어 라운드볼륨의 음량레벨위치가 감지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원하는 음량의 레벨로써 오디오를 청취할 수 있다.Thus, the volume motor 26 is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pulse signal input to each port. Thus, after the volume level selected through the two volume control resistors 14 is adjusted, a voice signal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and the above-described process is repeated through one third resistor 21, whereby the volume level position of the round volume is adjusted. Is detected. The user can then listen to the audio at the desired level of volume.

또한, 마이콤(24)은 메모리기능을 지니고 있고, 라운드볼륨의 위치는 인식되므로 이 라운드볼륨을 응용하여 몇 가지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첫 째로 사용자가 오디오의 기능(라디오, CD 혹은 테이프 등)별로 라운드볼륨의 음량레벨을 마이콤(24)에 각각 기억시켜놓을 수 있다. 그래서, 차후 사용자가 선택하는 오디오의 기능에 따라 혹은 기능 전환시에 라운드볼륨은 기억시켜놓은 각 기능의 해당 음량레벨로 자동적으로 찾아가도록 할 수 있다. 두 번 째로 사용자가 음량 뮤트(Mute)를 실행하고 싶으면 원하는 뮤트레벨에 해당하는 음량레벨 즉, 라운드볼륨의 레벨위치를 마이콤(24)에 기억시켜놓을 수 있다. 그래서 사용자가 키입력부를 통하여 뮤트실행키를 선택하면 라운드볼륨은 기억된 뮤트레벨의 음량레벨위치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키입력부를 통하여 음량레벨을 업/다운한다면 뮤트실행은 해제되고 전술한 과정을 통하여 음량레벨의 조절이 실행된다. 세 번 째로 라운드볼륨의 위치감지가 가능하므로 라운드볼륨이 고음량레벨위치에 있을 때 음량레벨을 업/다운한다면 라운드볼륨을 저속으로 제어하여 스피커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한다. 마지막으로 라운드볼륨이 고음량레벨위치에 있을 때 전원이 온되면 마이콤(24)은 라운드볼륨의 위치를 인식하여 임의 위치까지 라운드볼륨을 내린 후 시스템이 작동되도록하여 스피커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icrocomputer 24 has a memory function, and since the position of the round volume is recognized, the round volume can be applied to perform some additional functions. In other words, the user can memorize the volume level of the round volume in the microcomputer 24 for each audio function (radio, CD or tape, etc.). Therefore,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audio selected by the user later or at the time of switching of functions, the round volume can be automatically moved to the corresponding volume level of each stored function. Secondly, if the user wants to mute the volume, the volume level corresponding to the desired mute level, that is, the level position of the round volume, may be stored in the microcomputer 24. Thus, when the user selects the mute execution key through the key input unit, the round volume can be moved to the volume level position of the stored mute level. At this time, if the volume level is up / down through the key input unit, mute execution is canceled and the volume level is adjust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irdly, the position of the round volume can be detected, so if the volume level is up / down when the round volume is in the high volume level position, the round volume is controlled at a low speed to prevent the speaker from being damaged. Finally, when the power is turned on when the round volume is in the high volume level position, the microcomputer 24 recognizes the position of the round volume and lowers the round volume to an arbitrary position so that the system can be operated to protect the speaker. .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이용하면 라운드볼륨의 위치가 감지됨으로써 라운드볼륨이 최소레벨의 위치에 있을 때 볼륨모터의 구동이 정지되어 볼륨모터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마이콤의 메모리기능을 이용하여 상술한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스피커도 보호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As such, when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cted, the driving of the volume motor is stopped when the round volume is at the minimum level by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round volume, thereby improving durability of the volume motor, and using the memory function of the microcomputer. It has the added benefit of being able to perform additional functions and protect the speakers.

Claims (4)

음량조절용 저항을 지닌 라운드볼륨에 있어서,In a round volume with a volume control resistor, 외부키조작에 따라 변경하는 상기 라운드볼륨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장치를 구비한 위치감지기능을 지닌 라운드볼륨.Round volume having a position sensing function having a position sensing device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round volume to be changed according to an external key oper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라운드볼륨의 위치감지장치는 마이콤,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sition detection device of the round volume is microcomputer, 상기 마이콤의 제어에 의해 볼륨모터가 구동되어 위치감지용 저항에 의한 DC전압을 검출하는 검출부,A detection unit for driving a volume motor under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to detect a DC voltage by a position sensing resistor;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신호를 디지탈신호의 형태로 변환하는 A/D컨버터, 및An A / D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signal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into the form of a digital signal, and 상기 A/D컨버터로부터 디지탈신호를 인가받아 시리얼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마이콤으로 시리얼신호를 인가하는 멀1티플렉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감지기능을 지닌 라운드볼륨.Round volume having a position sens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multiplex multiplexer for receiving a digital signal from the A / D converter and converts it into a serial signal and applies a serial signal to the microcomputer.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은 메모리를 구비하고, 각 기능에 따라 사전설정된 음량을 저장하고 소망의 기능이 선택될 때 해당기능의 음량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감지기능을 지닌 라운드볼륨.3. The round volume having a position sensing function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microcomputer has a memory, stores a preset volume according to each function, and executes the volume of the corresponding function when a desired function is selected.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플렉서는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동기신호를 인가받을 때만 상기 마이콤으로 시리얼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감지기능을 지닌 라운드볼륨.3. The round volum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multiplexer outputs a serial signal to the microcomputer only when a synchronization signal is applied from the microcomputer.
KR1019960069214A 1996-12-20 1996-12-20 Round volume enable to detect position KR1002191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9214A KR100219166B1 (en) 1996-12-20 1996-12-20 Round volume enable to detect 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9214A KR100219166B1 (en) 1996-12-20 1996-12-20 Round volume enable to detect pos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0402A true KR19980050402A (en) 1998-09-15
KR100219166B1 KR100219166B1 (en) 1999-09-01

Family

ID=19489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9214A KR100219166B1 (en) 1996-12-20 1996-12-20 Round volume enable to detect posi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9166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19166B1 (en) 1999-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40643A1 (en) Hands-free, voice-operated remote control transmitter
EP1610306A3 (en) Wobble signal detection circuit and optical disk device
KR100219166B1 (en) Round volume enable to detect position
KR20080027147A (en) Remote control transmitter which is capable of controlling a plurality of light fittings without the need for a slidable switch
KR0127764B1 (en) Method &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characteristics of camcorder
US5315662A (en) Karaoke equipment
KR970046637A (en) Voice recognition shift mode converter and method
KR0131203Y1 (en) Sound-field mode auto-controlling circuit
JPH10503865A (en) Method for nonlinearly controlling operating parameters and circuit device thereof
EP1223672B1 (en) Electronic device
JP3988561B2 (en) Volume control device
JPH08214378A (en) Radio communication equipment
KR100255770B1 (en) Auto adjustment circuit of voice range using encoder volume
KR101100165B1 (en) Audio/video device capable auto controlling of speaker posi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 speaker position thereof
JP2514160B2 (en) Audio power control method
JP3522446B2 (en) Fader control device
KR0147165B1 (en) Controlling circuit of monitor with dynamic speaker
JP4429510B2 (en) Volume control device
JPH04319806A (en) Automatic sound volume control circuit
KR200159230Y1 (en) Level controller in using multi input system
KR200156787Y1 (en) Microphone jack connecter
JP2712708B2 (en) Voice detection device
JPH0538989Y2 (en)
JPH0713605A (en) Electrical operating device
KR100498033B1 (en) Automatic detection device of input sig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