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7501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7501A
KR19980047501A KR1019960065995A KR19960065995A KR19980047501A KR 19980047501 A KR19980047501 A KR 19980047501A KR 1019960065995 A KR1019960065995 A KR 1019960065995A KR 19960065995 A KR19960065995 A KR 19960065995A KR 19980047501 A KR19980047501 A KR 19980047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washing machine
tank
bracket
suspension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5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훈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65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7501A/ko
Publication of KR19980047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7501A/ko

Links

Landscapes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탈수초기에 발생하는 진동을 감쇠시키도록 수조의 진동변위를 저감시키는 세탁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에서 탈수초기의 진동을 저감시키도록 현가봉(14)에 브래킷(20)과 마찰하는 마찰부재(50)를 설치한다.
따라서, 마찰부재(50)와 브래킷(20)사이의 마찰에 의해 수평방향의 진동을 감쇠하여 세탁조(11) 등의 균형유지를 촉진시키고, 세탁기의 진동에 의해 세탁기에 무리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탈수초기에 발생되는 세탁기의 과도진동 또한 효과적으로 감쇠시킬 수 있어 진동으로 인한 세탁기의 소음을 저감시킬 뿐만 아니라, 세탁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세탁기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기의 내부구조를 개선하여 탈수시에 발생되는 수조의 초기 진동을 감쇠시키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를 동력으로 하여 세탁조내의 회전날개 또는 교반날개를 구동하여 수류를 형성, 수류가 세탁물에 충격을 주어 세탁을 하는 세탁기는 세탁, 헹굼, 탈수의 기능을 갖는다.
이와 같은 기능을 하는 종래 세탁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를 이루는 케이스(1)내에 수조(3)를 구비하고, 이 수조(3) 내부에는 세탁물이 담기는 세탁조(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 세탁조(2) 내에는 수류를 형성하는 펄세이터(2a)가 설치되며, 수조(3)의 외측 하부에 마련되어 필요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구동부(4)가 있다.
한편, 수조를 지지하도록 세탁기 케이스(1)내 브래킷(5)에 고정된 현가봉(6)이 마련되는데, 브래킷(5)은 상부 각 모서리에 설치된 상부브래킷(5a)과 수조(3)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브래킷(5b)으로 구성되고, 현가봉(6)의 양단이 각각 이들에 결합된다. 현가봉(6)의 상단에는 걸이부(6a)가 설치되어 상부브래킷(5a)내에 안착되어 현가봉(6)의 이탈을 방지하고, 현가봉(6)의 하단에는 수조(3)의 진동을 감쇠시키는 댐퍼(7)가 설치되는데, 댐퍼(7)는 하우징(7a) 내부에 수용된 현가봉(6)에 설치된 탄성부재(7b)와, 탄성부재(7b)의 하단을 지지하면서 하우징(7a) 내부에서 슬라이딩되면서 탄성부재(7b)를 압축하는 걸림부(7c)를 구비한다.
그리고, 세탁조(2)의 상단에는 세탁조(2)의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고, 그 내부에 간수가 수용된 밸런서(8)가 마련되어 회전하면서 편심되는 세탁조(2)의 균형을 유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세탁기는 전원이 인가되면 동력구동부(4)의 선택적인 동작으로 세탁, 헹굼, 탈수의 행정 등에 따라 펄세이터(2a)나 세탁조(2)를 회전시켜 세탁을 한다. 이 때, 이러한 행정의 동작으로 세탁조(2) 등에 진동이 발생되는데, 특히, 탈수시에 세탁조(2)와 함께 수조(3)에 진동이 발생된다. 탈수시에는 세탁조(2) 측으로 전달되는 진동과 그에 따른 떨림을 간수의 유동에 의해 완충시키게 되고, 현가봉(6)의 하단에 설치된 댐퍼(7)에 의해 수조의 수직방향의 진동을 감쇠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세탁기에서 세탁조가 고속으로 회전되기 전, 탈수 초기에는 세탁물이 세탁조내에 편중되어 배치되어 있거나 균일하게 분포되지 않은 상태에서 정지되어 있다가 회전이 시작되기 때문에 과도진동이 발생된다. 이 때는 회전력이 약하여 간수도 세탁조의 편심부위 부근에 몰리기 때문에 밸런서도 균형을 유지하기에는 무리가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세탁조의 진동은 수조에 까지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수조에 설치된 댐퍼는 탄성부재의 탄력방향이 수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수직방향의 진동을 어느 정도 감쇠시키지만, 수평방향의 진동은 효과적으로 감쇠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탈수초기에 발생되는 과도 진동은 좌우진폭이 큰 진동이므로 댐퍼만으로는 불충분하며, 이를 감쇠시키기 위해 감쇠력을 증대하면 완충력이 저하되어 케이스로 진동이 전달되며, 완충력을 증대시키면 좌우진폭을 빨리 감쇠시킬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탈수초기에 발생하는 진동을 감쇠시키도록 수조의 진동변위를 저감시키는 세탁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세탁기의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감쇠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케이스 12...수조 14...현가봉
20...브래킷 40...나사부 50...마찰부재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케이스 내부에 마련되어 세탁조를 수용하는 수조, 케이스내 상단부와 수조의 하부에 설치된 브래킷, 그 양단이 브래킷에 결합되어 수조를 지지하는 현가봉을 구비한 세탁기에 있어서, 브래킷에는 수조의 유동에 따라 현가봉이 소정유동될 수 있게 결합되는 유동홀이 형성되며, 현가봉의 외주면에는 현가봉의 유동에 따라 함께 브래킷과 마찰하여 유동을 감쇠시키도록 마찰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를 이루는 케이스내(10)에 세탁과 탈수가 행해지는 세탁조(11)와 일정량의 물이 저장되는 수조(12)가 마련된다. 세탁조(11)는 일정간격을 갖고 수조(12)내에 배치되는데, 이러한 세탁조(11)내에는 수류를 형성하는 펄세이터(11a)가 마련되고, 이 펄세이터(11a)나 세탁조(11)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동력구동부(13)가 수조(12) 하부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세탁기는 마이콤에 프로그램화되어 있는 세탁, 헹굼, 탈수 등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구동제어하며, 동력구동부(13)에 의한 펄세이터(11a)와 세탁조(11)의 동작으로 세탁물이 전자동으로 세탁되어 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세탁기에서 수조(12)를 지지하도록 브래킷(20)에 고정되는 현가봉(14)이 마련되는데, 케이스(10)의 각 모서리에 설치된 상부브래킷(21)에 현가봉(14) 상단의 걸이부(14a)가 걸쳐져서 고정되며, 수조(12)에 설치된 하부브래킷(22)에 그 하단부가 고정되어 현가봉(14)이 수조(12)를 내부에 수용된 세탁조(11)의 진동에 따라 유동가능하게 지지한다. 그리고, 현가봉(14)은 브래킷(20)에 형성된 각각의 상, 하부유동홀(23a,23b)에 의해 헐겁게 결합되어 수조(12)의 진동에 따라 유동홀(23)내에서 소정유동된다. 또한, 현가봉(14)의 하단에는 진동시에 진동을 감쇠시키는 댐퍼(30)가 설치되는데, 현가봉(14)의 끝단부를 수용하는 하우징(31)과, 하우징(31) 내부에 설치된 탄성부재(32), 탄성부재(32)의 하부를 지지하면서 상하진동에 따라 탄성부재(32)를 압축하는 걸림부(33)를 구비한다. 또한, 세탁조(11)의 상단 내주면에는 간수가 저장되어 고속으로 회전되는 세탁조(11)의 유동에 따라 세탁조(11)가 편심되는 반대편에 간수가 편중됨으로써 균형을 유지하는 밸런서(15)가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특징적인 부분으로, 탈수시에 발생하는 초기진동, 특히, 수평방향의 진동을 감쇠시키도록 현가봉(14)의 양단부 외주면에는 마찰부재((50)가 설치된다. 이 마찰부재(50)는 브래킷(20)과 인접한 현가봉(14)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현가봉의 유동에 따라 함께 유동되어 브래킷(20)과 마찰을 일으킴으로서 진동을 감쇠하게 된다. 이들은 현가봉(14)의 양단부, 다시 말하면, 걸이부(14a)로 부터 연장된 현가봉(14)의 외주면과 댐퍼(30)의 하우징(31)으로 부터 연장된 현가봉(14)의 외주면에 나사부(40)를 설치하고, 이에 상응하게 마찰부재(50)에 나사홀(51a, 52a)을 형성하여 이들을 결합고정시켜 현가봉(14)과 함께 마찰부재(50)도 유동하게 된다. 또한, 마찰부재(50)와 접하는 브래킷(20)의 일면을 라운딩형성하고, 마찰부재(50) 또한, 라운딩된 판상으로 형성하여 좌우진동하는 동작이 더 유연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마찰부재의 동작을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은 상부브래킷과 상부마찰부재의 작동을 보인 도면으로, 수조(3)가 수평방향으로 진동하게 되면 상부브래킷(21)의 유동홀(23a)에 헐겁게 결합된 현가봉(14)이 유동하게 된다. 이 때, 상부나사부(41)에 결합된 마찰부재(50)도 함께 유동하는데, 상부마찰부재(51)는 상부브래킷(21)과 접하여 유동되기 때문에 이들사이의 마찰에 의하여 진동이 감쇠된다.
도 3b은 하부브래킷과 하부마찰부재의 작동을 보인 도면으로, 탈수시의 세탁조(11) 진동에 따라 수조(12)로 전달되어 온 진동은 역시 현가봉(14)을 함께 유동시키며 이와 결합된 하부마찰부재(52)도 함께 유동된다. 이 하부마찰부재(52)는 하부브래킷(22)과 인접하게 위치하여 유동에 따라 마찰을 일으키고, 이 마찰력에 의해 수평방향의 진동은 감쇠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에서 탈수초기의 진동을 저감시키도록 현가봉에 브래킷과 마찰하는 마찰부재를 설치한다.
따라서, 마찰부재와 브래킷사이의 마찰에 의해 수평방향의 진동을 감쇠하여 세탁조 등의 균형유지를 촉진시키고, 세탁기의 진동에 의해 세탁기에 무리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탈수초기에 발생되는 세탁기의 과도진동 또한 효과적으로 감쇠시킬 수 있어 진동으로 인한 세탁기의 소음을 저감시킬 뿐만 아니라, 세탁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케이스 내부에 마련되어 세탁조를 수용하는 수조, 상기 케이스내 상단부와 상기 수조의 하부에 설치된 브래킷, 그 양단이 상기 브래킷에 결합되어 상기 수조를 지지하는 현가봉을 구비한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20)에는 상기 수조(12)의 유동에 따라 상기 현가봉(14)이 소정유동될 수 있게 결합되는 유동홀(23)이 형성되며, 상기 현가봉(14)의 외주면에는 상기 현가봉(14)의 유동에 따라 함께 상기 브래킷(20)과 마찰하여 유동을 감쇠시키도록 마찰부재(5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가봉(14)의 양단부에는 나사부(40)가 형성되고, 상기 마찰부재(50)에는 상기 나사부(40)에 상응하는 나사홀(51a, 52a)이 형성되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19960065995A 1996-12-14 1996-12-14 세탁기 KR199800475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5995A KR19980047501A (ko) 1996-12-14 1996-12-14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5995A KR19980047501A (ko) 1996-12-14 1996-12-14 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7501A true KR19980047501A (ko) 1998-09-15

Family

ID=66521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5995A KR19980047501A (ko) 1996-12-14 1996-12-14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75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5801A1 (ko) * 2020-05-18 2021-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5801A1 (ko) * 2020-05-18 2021-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4913B1 (ko) 드럼세탁기용 방진구조체
JP4555755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3101519B2 (ja) 脱水洗濯機
KR19980047501A (ko) 세탁기
KR100366691B1 (ko) 드럼세탁기의 진동 방지장치
KR100195442B1 (ko) 세탁기
KR0131268Y1 (ko) 세탁기의 진동감쇠장치
KR0154449B1 (ko) 세탁기의 현가장치
KR100189133B1 (ko) 세탁기
KR200169590Y1 (ko) 드럼세탁기의진동흡수장치
KR200142968Y1 (ko) 세탁조 진동감쇠용 댐핑장치를 갖는 세탁기
KR200233841Y1 (ko) 세탁기의완충장치
KR0169351B1 (ko) 세탁기의 방진장치
KR100206833B1 (ko) 세탁기의 진동저감장치
KR200147712Y1 (ko) 세탁기의 탈수진동 감쇠장치
KR19990002720U (ko) 세탁기
KR0136465Y1 (ko) 진동감쇠부재를 갖는 세탁기
KR0136445Y1 (ko) 세탁조의 진동감쇠용 댐핑장치를 갖는 세탁기
KR200214974Y1 (ko) 세탁기
KR200142966Y1 (ko) 세탁기의 세탁조 진동 감쇠용 댐핑장치
KR0136459Y1 (ko) 세탁조 진동감쇠용 댐핑장치를 갖는 세탁기
KR0136451Y1 (ko) 세탁기의 세탁조 진동감쇠장치
KR0136467Y1 (ko) 세탁조의 진동감쇠용 댐핑장치를 갖는 세탁기
KR200149374Y1 (ko) 세탁기의 현가장치
KR0136464Y1 (ko) 세탁조의 진동감쇠용 댐핑장치를 갖는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