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5227A - 솔라카용 마운팅 구조 - Google Patents

솔라카용 마운팅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5227A
KR19980045227A KR1019960063402A KR19960063402A KR19980045227A KR 19980045227 A KR19980045227 A KR 19980045227A KR 1019960063402 A KR1019960063402 A KR 1019960063402A KR 19960063402 A KR19960063402 A KR 19960063402A KR 19980045227 A KR19980045227 A KR 19980045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flange
groove
upper panel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3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29270B1 (ko
Inventor
이윤호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63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9270B1/ko
Publication of KR19980045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5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9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92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4/00Connections between vehicle body and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솔라카용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 태양광을 이용한 솔라카의 메인 프레임과 상측 패널의 고정작업이 용이하며 고정된 부위의 고정력이 증대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하측패널이 부착된 차체프레임에 결합되는 상측패널의 단부가 위치하는 경계부에 플렌지의 고정을 위한 관통공과 받침부를 형성하며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록킹부재가 삽입되어 안내되며 승강과 회동을 위한 삽입공과 양 단부에 록킹홈과 해지홈이 연결된 가이드 홈이 각각 구비되는 플렌지와 상기 플렌지의 삽입공에 삽입되어 가이드 홈을 따라 회동하는 록킹부재와 상기 록킹부재가 승강하기 위하여 외력에 의하여 회동되는 승강부재와 나사 결합되며 상기 회동되는 승강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차체프레임에 결합되는 상측패널의 고정작업이 솔라카의 외측에서 고정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차체프레임에 고정되는 상측패널의 위치설정에 따른 고정작업이 용이하며 동시에 차체프레임에 고정되는 상측패널의 체결력 증가에 따른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여 차체프레임과 상측패널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한 솔라카용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솔라카용 마운팅 구조
본 발명은 솔라카용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 태양광을 이용한 솔라카의 메인 프레임과 상측 패널의 고정작업이 용이하며 고정된 부위의 고정력이 증대되도록 한 솔라카용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광을 이용한 솔라카는 에너지의 효율을 최대한 증대하여 활용하기 위하여 일반 자동차와는 다른 형상으로 제작되어 왔다.
이에 따라 상기의 솔라카는 차체의 하중을 최대한 줄이기 위하여 부품과 형상의 단순화를 필요로 하였으며 차체의 결합방법도 일반 자동차와는 다른 방법으로 고정되어 솔라카가 제작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솔라카의 차체에 소정의 형상으로 구비된 상측패널을 고정시키는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패널(140)이 부착되는 차체프레임(100)의 소정 위치에 다수의 결합돌기(110)를 돌출 고정하며 상기 결합돌기(110)가 삽입되는 결합공(120)을 상측패널(130)의 소정 위치에 구비하여 차체프레임(100)의 결합돌기(110)가 상측패널(130)의 결합공(120)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측패널(130)이 고정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결합구조를 갖는 마운팅 구조는 차체 프레임에 돌출 고정된 결합돌기에 상측패널에 관통된 결합공의 위치를 확인하여 삽입하여야만 되는 작업성의 불량으로 차체프레임에 상측패널의 고정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차체프레임에 돌출된 결합돌기가 상측패널의 결합공에 삽입된 후 별도의 고정작업을 수행할 수 없어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공에 삽입된 상태 그대로 방치되어 솔라카의 주행에 따른 유동으로 차체프레임과 상측패널에 유동이 발생되는 원인으로 제기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차체프레임에 결합되는 상측패널의 고정작업이 솔라카의 외측에서 고정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차체프레임에 고정되는 상측패널의 위치설정에 따른 고정작업이 용이하며 동시에 차체프레임에 고정되는 상측패널의 체결력 증가에 따른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여 차체프레임과 상측패널의 유동을 방지되도록 한 솔라카와 마운팅 구조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마운팅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 구조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 마운팅 구조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관통공2 --- 받침부
10 --- 플렌지11 --- 삽입공
12 --- 록킹홈13 --- 해지홈
14 --- 가이드 홈20 --- 록킹부재
21 --- 록킹봉30 --- 승강부재
31 --- 걸림턱32 --- 작동홈
40 --- 커버41 --- 방지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측패널이 부착된 차체프레임에 결합되는 상측패널의 단부가 위치하는 경계부에 플렌지의 고정을 위한 관통공과 받침부를 형성하며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록킹부재가 삽입되어 안내되며 승강과 회동을 위한 삽입공과 양단부에 록킹홈과 해지홈이 연결된 가이드 홈이 각각 구비되는 플렌지와 상기 플렌지의 삽입공에 삽입되어 가이드 홈을 따라 회동하는 록킹부재와 상기 록킹부재가 승강하기 위하여 외력에 의하여 회동되는 승강부재와 나사 결합되며 상기 회동되는 승강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소기의 목적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플렌지는 차체 프레임의 하측 외부로 노출되게 고정되며 상기 플렌지의 삽입공에 삽입된 승강부재를 외부에서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한 특징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승강부재는 상측단에 커버와 결합되는 걸림턱과 작동홈이 하측단에 형성되며 외주연에 록킹부재와 나사 결합하여 상기 승강부재에 의하여 록킹부재가 상기 플렌지의 가이드 홈을 따라 회동되며 양단부의 록킹홈과 해지홈을 따라 승강되도록 한 특징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커버는 내측에 회동되는 승강부재의 상측단에 형성된 걸림턱이 삽입되어 이탈을 방지하는 방지편이 돌출되며 상기 플렌지의 상측단에 나사결합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 구조의 결합상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의 마운팅 구조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패널(140)이 부착된 차체프레임(100)에 상측패널(130)의 단부가 위치하는 경계부에 플렌지(10)의 고정을 위한 관통공(1)과 받침부(2)를 형성하며 상기 관통공(1)에 삽입 고정되며 록킹부재(20)가 구비된 승강부재(30)가 삽입되는 삽입공(11)과 상기 승강부재(30)의 록킹부재(20)가 회동되며 승강을 가이드 하는 록킹홈(12)과 해지홈(13)이 양단부에 연결되는 가이드 홈(14)이 구비되는 플렌지(10)와 상기 플렌지(10)의 삽입공(11)에 삽입되어 가이드 홈(14)을 따라 회동하는 록킹봉(11)이 돌출된 록킹부재(20)는 상기 록킹부재(20)의 승강을 위하여 외력에 의하여 회동되는 승강부재(30)와 나사 결합되며 상기 회동되는 승강부재(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40)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플렌지(10)는 차체 프레임(100)의 하측 외부로 노출되게 고정되며 상기 플렌지(10)의 삽입공(11)에 삽입된 승강부재(30)를 외부에서 회동시키도록 된 특징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승강부재(30)는 상측단에 커버(40)와 결합되는 걸림턱(31)과 작동홈(32)이 하측단에 형성되며 외주연에는 록킹부재(20)와 나사 결합하여 상기 승강부재(30)에 의하여 록킹부재(20)가 상기 플렌지(10)의 가이드 홈(14)을 따라 회동되며 양단부의 록킹홈(12)과 해지홈(13)을 따라 승강되도록 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커버(40)는 내측에 승강부재(30)의 상측단에 형성된 걸림턱(31)이 삽입되어 상기 승강부재(30)의 이탈을 방지하는 방지편(41)이 일체로 돌출 되며 상기 플렌지(10)의 상측단에 나사 결합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록킹부재(20)가 나사결합된 승강부재(30)는 상기 플렌지(10)의 삽입공(11)에 상기 록킹부재(20)의 록킹봉(21)이 가이드 홈(14)에 위치되어 돌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승강부재(30)의 상측단에 형성된 걸림턱(31)이 커버(40)의 방지편(41)에 의하여 이탈이 방지되며 상기 플렌지(10)의 상측단부에 나사 결합된다.
상기 플렌지(10)의 삽입공(11)에 삽입된 승강부재(30)는 하측의 작동홈(32)은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에 의하여 회동될 수 있도록 십자홈이나 렌치홈으로 형성되어 솔라카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외부의 작용력에 의하여 회동된다.
이때 상기 승강부재(30)의 외주연에 나사 결합된 록킹부재(20)는 록킹봉(21)이 가이드 홈(14)을 따라 상기 승강부재(30)와 일체로 이동되며 상기 가이드 홈(14)의 양 단부에 형성된 해지홈(13)이나 록킹홈(12)에 의하여 록킹봉(21)의 이동이 제어된다.
이와 동시에 록킹부재(20)의 록빙봉(21)은 가이드 홈(14)에 의하여 이동범위가 제어됨에 따라 승강부재(30)와 일체로 회동되는 동작이 정지되며 상기 록킹홈(12)이나 해지홈(13)을 따라 승강된다.
즉, 록킹부재(20)의 록킹봉(21)이 상측패널(130)을 록킹하려면 승강부재(30)의 회동에 의하여 가이드 홈(14)을 따라 회동되며 상기 록킹봉(21)이 록킹홈(12)과 접촉되어 록킹부재(20)의 회동이 정지되며 동시에 승강부재(30)의 회동에 의하여 나사 결합된 록킹부재(20)가 하강되어 일체로 된 록킹봉(21)이 하강되므로서 상측패널(130)의 단부를 눌러주게 된다.
이때 상기 상측패널(130)은 단부의 하측에 구비된 받침부(2)에 압착됨과 동시에 상기 상측패널(130)이 고정된다.
또한 상측패널(130)의 록킹을 위항 록킹봉(21)이 록킹홈(12)을 하강한 록킹부재(20)는 승강부재(30)에 의하여 하강된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상측패널(130)의 해지는 승강부재(30)를 록킹부재(20)의 록킹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록킹부재(20)가 상기 록킹홈(12)을 따라 상승되며 록킹봉(21)의 상승이 왼료되어 가이드 홈(14)에 위치되면 상기 록킹부재(20)의 상승이 정지되며 상기 승강부재(30)와 일체로 가이드 홈(14)을 따라 회동되어 해지홈(13)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해지홈(13)에 위치된 록킹봉(21)은 상기 승강부재(30)에 의한 회동이 정지되며 상기 해지홈(13)을 따라 상승되어 상측패널(130)의 록킹력이 완전히 해지된다.
이때 회동되는 승강부재(30)는 상측에 일체로 형성된 걸림턱(31)이 플렌지(10)의 상단부에 나사 결합된 커버(40)의 방지편(41)에 의하여 플렌지(10)의 하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인 솔라카용 마운팅 구조를 제공하면 차체프레임에 결합되는 상측패널의 고정작업이 솔라카의 외측에서 고정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차체프레임에 고정되는 상측패널의 위치설정에 따른 고정작업이 용이하며 동시에 차체프레임에 고정도는 상측패널의 체결력 증가에 따른 상측패널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여 차체프레임과 상측패널의 유동을 방지하며 이에 따른 결합부위의 파손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하측패널(140)이 부착된 차체프레임(100)에 상측패널(130)의 단부가 위치하는 경계부에 플렌지(10)의 고정을 위한 관통공(1)과 받침부(2)를 형성하며, 상기 관통공(1)에 삽입 고정되며 록킹부재(20)가 구비된 승강부재(30)가 삽입되는 삽입공(11)과, 상기 승강부재(30)의 록킹부재(20)가 회동되며 승강을 가이드 하는 록킹홈(12)과, 해지홈(13)이 양단부에 연결되는 가이드 홈(14)이 구비되는 플렌지(10)와, 상기 플렌지(10)의 삽입공(11)에 삽입되어 가이드 홈(14)을 따라 회동하는 록킹봉(21)이 돌출된 록킹부재(20)는 상기 록킹부재(20)의 승강을 위하여 외력에 의하여 회동되는 승강부재(30)와 나사 결합되며 상기 회동되는 승강부재(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카용 마운팅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플렌지(10)는 차체 프레임(100)의 하측 외부로 노출되게 고정되며 상기 플렌지(10)의 삽입공(11)에 삽입된 승강부재(30)를 외부에서 회동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카용 마운팅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승강부재(30)는 상측단에 카버(40)와 결합되는 걸림턱(31)과 작동홈(32)이 하측단에 형성되며 외주연에는 록킹부재(20)와 나사 결합하여 상기 승강부재(30)에 의하여 록킹부재(20)가 상기 플렌지(10)의 가이드 홈(14)을 따라 회동되며 양단부의 록킹홈(12)과 해지홈(13)을 따라 승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카용 마운팅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커버(40)는 내측에 승강부재(30)의 상측단에 형성된 걸림턱(31)이 삽입되어 상기 승강부재(30)의 이탈을 방지하는 방지편(41)이 일체로 돌출 되며 상기 플렌지(10)의 상측단에 나사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카용 마운팅 구조.
KR1019960063402A 1996-12-10 1996-12-10 솔라카용 마운팅 구조 KR100229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3402A KR100229270B1 (ko) 1996-12-10 1996-12-10 솔라카용 마운팅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3402A KR100229270B1 (ko) 1996-12-10 1996-12-10 솔라카용 마운팅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5227A true KR19980045227A (ko) 1998-09-15
KR100229270B1 KR100229270B1 (ko) 1999-11-01

Family

ID=19486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3402A KR100229270B1 (ko) 1996-12-10 1996-12-10 솔라카용 마운팅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92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819B1 (ko) * 2006-12-14 2008-02-1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바디 마운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819B1 (ko) * 2006-12-14 2008-02-1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바디 마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9270B1 (ko) 1999-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55863B2 (ja) ガラスホルダー及び該ガラスホルダーを用いた窓ガラスの取付方法
US5449149A (en) Pantograph jack
WO2003095270A1 (en) Load carrier support
KR19980045227A (ko) 솔라카용 마운팅 구조
CA2139939A1 (en) Dismounting Device for Heavy Load Hoisting Member
CN109763715B (zh) 一种锁定装置
KR100448336B1 (ko) 차량용 도어글라스 그립
KR0137044Y1 (ko) 자동차용 잭
KR200497353Y1 (ko) 일체형 래치가 적용된 방수형 등기구
KR200296578Y1 (ko) 인상링을 구비하여 잠금기능을 갖는 맨홀뚜껑 조립체
KR0135511Y1 (ko) 자동차의 도어 레귤레이터 핸들 고정구조
KR200230595Y1 (ko) 프레스 금형 고정용 클램프
JPH0142385Y2 (ko)
KR100307097B1 (ko) 자동차의 배터리 장착구조
GB2238774A (en) A jack for a motor vehicle
KR100473327B1 (ko) 잠금기능을 구비한 맨홀뚜껑 및 그 조립체
KR200152674Y1 (ko) 자동차의 보조핸들
KR0137529Y1 (ko)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접이장치
KR0139493Y1 (ko) 트레일러와 콘테이너 자동연결장치
JPH0748375Y2 (ja) 供廻りの防止具
JPH048565Y2 (ko)
KR970003329Y1 (ko) 차량의 엔진후드 지지구조
KR19980045255U (ko) 자동차의 도어록 액튜에이터 로드 연결장치
CA1250457A (en) Riveting tool for one side riveting of rivet nuts
KR100337354B1 (ko) 시작차 간이 지그의 록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