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5200A - Location registration and release method of CT2 terminal with built-in wireless pager using wireless call network - Google Patents

Location registration and release method of CT2 terminal with built-in wireless pager using wireless call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5200A
KR19980045200A KR1019960063362A KR19960063362A KR19980045200A KR 19980045200 A KR19980045200 A KR 19980045200A KR 1019960063362 A KR1019960063362 A KR 1019960063362A KR 19960063362 A KR19960063362 A KR 19960063362A KR 19980045200 A KR19980045200 A KR 19980045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wireless
pager
base station
rel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33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199254B1 (en
Inventor
장영일
김영삼
Original Assignee
이봉훈
서울이동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봉훈, 서울이동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봉훈
Priority to KR1019960063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9254B1/en
Publication of KR19980045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52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9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9254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2Selective call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T2 단말기에 무선호출기의 기능을 추가하여 무선호출망을 이용한 무선호출기 내장형 CT2단말기의 위치등록 및 해제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registering and releasing a location of a built-in wireless pager CT2 terminal using a wireless call network by adding a function of a wireless pager to the CT2 terminal.

즉, 무선호출기가 무선호출 시스템으로부터 송출된 무선호출 신호를 수신하여 자신의 캡코드에 대응하는 어드레스 코드를 검출하는 단계와, 수신된 무선호출 신호의 메시지 코드워드에서 위치등록 또는 해제명령 데이타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등록 또는 해제명령 데이타가 검출되었을 때, 무선 호출기는 CT2에 상기 명령을 송출하는 단계, 상기 명령을 받은 CT2는 명령에 의거하여 위치등록 또는 해제를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무선호출망을 이용한 무선호출기 내장형 CT2단말기의 위치등록 및 해제방법이다. 또한 위치등록 혹은 해제의 구별은 POCSAG 신호의 메시지코드워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무선호출망과 CT2망과의 연동을 통하여 수행된다.That is, the radio pager receives the radio cal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adio call system, detects an address code corresponding to its cap code, and includes location registration or release command data in the message codeword of the received radio call signal.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operation is performed, and when the location registration or release command data is detected, the pager sends the command to CT2, and the CT2 receiving the command performs location registration or release based on the command. Location registration and release method of the built-in wireless pager CT2 terminal using a wireless call network consisting of. In addition, distinguishing the location registration or release is characterized by using the message codeword of the POCSAG signal and is performed through the interworking between the wireless call network and the CT2 network.

Description

무선호출망을 이용한 무선호출기 내장형 CT2 단말기의 위치등록 및 해제방법Location registration and release method of CT2 terminal with built-in wireless pager using wireless call network

본 발명은 무선호출망을 이용하여 무선호출기 내장형 CT2(Cordless Telephone 2nd generation) 단말기의 위치를 자동으로 등록 및 해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무선호출 및 CT2 가입자에게 효율적으로 착신서비스 및 위치등록을 이용하는 다양한 부가서비스 및 착신 서비스의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무선호출기 내장형 CT2 단말기의 위치등록 및 해제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automatically registering and releasing a location of a cordless telephone built-in cordless telephone 2nd generation (CT2) terminal using a wireless call networ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registering and releasing a location of a built-in wireless pager CT2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a bidirectional service of an additional service and an incoming service.

근래 무선호출망(Paging Network)과 무선호출기장치 관련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으로 서비스지역의 확장 및 통화수신율의 향상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무선호출 서비스 공중전화망(PSIN)과 무선호출망을 이용하여 가입자에게 호출신호와 메시지를 전달해주는 수신전용 서비스이며, 발신에 대한 가입자의 욕구충족을 위해 아날로그 방식의 가정용 무선전화(CT1)가 진보되어 옥외에서도 통신이 가능한 보행자 중심의 CT2라는 소형, 저출력 단말기를 이용한 대중적인 서비스가 출현하게 되었다. 공중용 CT2서비스는 발신전용 휴대전화 서비스로서 역, 상가, 공항, 버스터미널, 거리 등 사람들의 왕래가 빈번한 건물 벽면이나 옥상 등에 기지국을 설치하고 그 기지국의 통화반경(200m)내에서 등록된 단말기 가입자라면 누구나 통화할 수 있는 서비스이며 업무용과 가정용은 주로 건물내로 기지국을 설치한다. CT2는 발신만 가능하다는 점이 최대 단점으로 지적되면서 여러 가지 보완방법이 강구되고 있다. 무선호출 기능을 내장하는 방법외에 'Meet-Me' 서비스, 자동 및 수동착신 기능을 부가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중 무선호출 내장 및 'Meet-Me' 서비스는 간접착신방법이라 볼 수 있으며 수동착신 및 자동착신 CT2 단말기상으로 바로 착신이 가능한 방법이다. 'Meet-Me' 서비스는 발신자가 CT에 전화를 건 다음 전화를 끊지 않고 대기하고 있으면 CT2가입자가 CT2시스템으로 전화를 걸어 대기하고 있는 발진자와 통화하는 서비스이다. 수동착신을 CT2단말기 가입자가 이동시 직접 자기의 위치를 기지국에 등록, 이 기지국을 벗어나지 않는한 착신이 가능하다. 자동착신은 가입자가 수동으로 위치를 등록하지 않아도 기지국이 단말기를 추적, 자동으로 착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CT2는 초기의 발신전용에서 출발하여 현재는 착신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으로 있으며 향후 보다 개선된 위치등록의 적용과 핸드오버, 으로밍서비스 등을 적용함으로서 개인휴대통신의 보편적 서비스로 진화해갈 것으로 보이며 초기 CT2자체 망의 발전에서 타서비스망과의 연동 및 데이타 통신도 제공하는 방향으로 진화해가는 추세이다. CT2의 발전방향은 셀룰러와 함께 PCS의 한 축을 이룰 것이며, 이때 서비스의 형태를 셀룰러가 하이이 타이어(High Tier) PCS로 진화해 간다면 CT2는 로우 타이어(Low Tier) PCS로의 진화를 목표로 음성의 송수신은 물론 데이타의 송수신까지 가능한 개인 통신서비스로 진화할 것이다.Recently, with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related to the paging network and pager device, the service area has been expanded and the call reception rate has been improved, and the cal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ubscribers using the paging service network (PSIN) and the wireless call network. This is a reception-only service that delivers messages to and from the public.In order to satisfy subscribers' needs for outgoing calls, the analog-type home wireless telephone (CT1) has been advanced, and it is a popular service using a small, low-power terminal called pedestrian-oriented CT2 that can communicate outdoors Has emerged. The public CT2 service is a mobile phone service exclusively for outgoing calls.The base station is installed on the wall or on the roof of a building where frequent people come and go, such as stations, malls, airports, bus terminals, and streets, and subscribers registered within the call radius of the base station (200m) Ramen is a service that anyone can talk to. For business and home use, base stations are installed in the building. As CT2 is pointed out as the biggest disadvantage, only various transmission methods have been taken. In addition to the built-in wireless call function, there is a method of adding 'Meet-Me' service and automatic and manual call function. The built-in wireless call and 'Meet-Me' service can be regarded as an indirect call method and can be called directly on the CT2 terminal. The 'Meet-Me' service is a service in which a CT2 subscriber calls the CT2 system and talks to a waiting oscillator when the caller calls the CT and waits without hanging up. When the subscriber of the CT2 terminal moves the passive call, the user can register his / her location directly with the base station and receive the call as long as the subscriber does not leave the base station. In the automatic call forwarding, the base station tracks the terminal and can automatically receive the call without the subscriber registering the location manually. Therefore, CT2 is expected to start from the outgoing call only and provide the incoming service now, and it will evolve into the universal service of 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by applying the improved location registration, handover and roaming service in the future. From the development of the initial CT2 network itself, it is evolving toward providing interworking and data communication with other service networks.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CT2 will form an axis of PCS together with cellular, and if cellular evolves into a high tier PCS, the CT2 will transmit and receive voice with the aim of evolving to low tier PCS. Of course, it will evolve into a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여기에서 PCS(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 : 개인휴대통신)는 크게 두가지로 분류되는데 그 하나는 지금의 이동전화처럼 공중전화망(PSIN)에 의존하지 않고 자체의 셀망에 의해 데이타를 전송하는 'High Tier PCS'이며, 또 하나는 공중전화망을 통해 이뤄지는 'Low Tier PCS'이다.Here, PCS (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 is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One is 'High Tier PCS' which transmits data through its own cell network without relying on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PSIN) like mobile phones. The other is the 'Low Tier PCS', which is achieved through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더욱이 최근에는 무선호출 가입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무선호출망 및 CT2 사업자는 기존 무선호출기 호출 서비스에 부가하여 음성사서함서비스(Voice Mail Service)와 자동음성안내시스템(ARS)을 이용하여 다양한 가입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통신서비스품질 향장이라는 가입자의 욕구에 부응하고 편의를 도모하며, 다양한 통신 서비스의 능동적 제공을 통해 기존 무선호출 이용자의 편의를 제공함은 물론 기존 무선통신 관련 설비의 활용으로 통신자원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고, 무선호출사업자의 망구축 및 운용보전의 노우하우(Know-How) 등을 적극 활용하여 보다 저렴하고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CT2/무선호출 연계 부가서비스의 확대로서, 미아위치(迷兒位置) 추척서비스, 버스이동위치(bus 移動位置) 표시서비스, 근접택시(近接 taxi) 호출서비스, 도난차량(盜難車輛) 추적서비스 등 기타 신규의 부가서비스를 창출하고 무선호출과 CT2의 단방향성을 극복할 수 있는 다양한 응용부가서비스 개발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무선호출기 내장형 CT2 단말기의 위치등록 및 해제를 통하여 가능하며 CT2 및 무선호출을 결합한 더욱 향상된 착신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무선호출망에서 지원가능한 모든 부가 서비스를 무선호출기 내장형 CT2단말기를 통해 지원가능하도록 함으로서 무선호출망과 연계된 착신 서비스의 다양한 구현 및 망간 연동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가입자에게 이동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시스템은 가입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하고 무선호출 및 CT2 사업자가 필요시 가입자 단말기의 위치정보 데이타를 얻을 수 있으며 가입자 이동성관리 및 서비스 제공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satisfy various needs of wireless subscribers, wireless paging network and CT2 service providers use voice mail service and automatic voice guidance system (ARS) in addition to existing wireless pager calling service. Providing. It satisfies subscribers' desire to promote communication service quality and promotes convenience, and provides convenience to existing wireless calling users through active provision of various communication services, and maximizes utilization of communication resources by utilizing existing wireless communication related facilitie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re affordable and convenient service by actively utilizing the know-how (Know-How) of the network construction and operation maintenance of the wireless caller. As an extension of CT2 / wireless call-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MIA location tracking service, bus movement location indication service, proximity taxi call service, and stolen vehicle tracking service Various new value-added services can be created, and various application value-added services can be developed to overcome the unidirectionality of wireless calling and CT2. This is possible through location registration and release of the built-in wireless pager CT2 terminal, and further improved incoming call service combining CT2 and wireless call is possible. Therefore, by supporting all the additional services that can be supported in the wireless call network through the built-in wireless pager CT2 terminal, it is possible to implement various implementations of interworking services and inter-network interworking with the wireless call network. In addition, in order to provide mobile services to subscribers, the system must be able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subscribers, and when the wireless call and CT2 operators need to obtain location information data of subscriber terminals, it is necessary to efficiently perform subscriber mobility management and service provision. have.

따라서 본 발명은 무선호출망을 이용하여 무선호출기내장형 CT2 단말기의 위치를 등록 및 해제함으로서 무선호출 및 CT2 가입자에게 효율적으로 위치등록을 이용한 응용부가서비스 및 착신 서비스의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idirectional service of the application value-added service and the incoming service using the location registration to the wireless call and the CT2 subscriber by registering and releasing the location of the pager built-in CT2 terminal using the wireless call network.

도1은 본 발명의 방법이 적용되는 무선호출 및 CT2 시스템의 개략도,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radio calling and CT2 system to which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2(A)-(D)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호출기의 캡코드 및 메시지 코드워드를 포함하는 POCSAG 신호의 포맷도,2 (A)-(D) is a format diagram of a POCSAG signal including a cap code and a message code word of a pa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는 무선호출기 내장형 CT2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ireless pager built-in CT2 terminal for performing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A)는 도3의 CT2 단말기의 상세 기능블록도,Fig. 3A is a detailed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CT2 terminal of Fig. 3;

도4는 도3의 무선호출기 내장형 CT2 단말기에서,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4 is a flowchart showing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T2 terminal with built-in pager of FIG.

도5는 도4의 CT2 단말기의 위치등록 및 해제 수행 절차도이다.FIG. 5 is a flowchart of location registration and release of the CT2 terminal of FIG. 4.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 기지국2 : 기지국 제어장치1: base station 2: base station controller

3 : CT2 입력콜 스위치4 : 네크워크 관리시스템3: CT2 input call switch 4: network management system

5 : 무선호출 교환기6 : 무선호출 교환시스템5: wireless call exchanger 6: wireless call exchange system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무선호출기가 무선호출 시스템으로부터 송출된 무선호출 신호를 수신하여 자신의 캡코드에 대응하는 어드레스 코드를 검출하는 단계와, 수신된 무선호출 신호의 메시지 코드워드에서 위치등록 또는 해제명령 데이타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등록 또는 해제명령 데이타가 검출되었을 때, 무선호출기는 CT2에 상기 명령을 송출하는 단계, 상기 명령을 받은 CT2 단말기는 명령에 의거하여 위치등록 또는 해제를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receiving a radio call signal transmitted from a radio call system, detecting an address code corresponding to its own cap code, and a message codeword of the received radio call signal. Determining whether location registration or release command data is included in the step; and when the location registration or release command data is detected, the pager sends the command to CT2, and the CT2 terminal receiving the command Based on the location registration or release step.

또한 위치등록 또는 해제하는 단계는, 상기 명령을 받은 CT2 단말기가 기지국으로 링크를 요구하고 기지국은 기지국 제어장치 및 네트워크 관리시스템과 통신하여 CT2 단말기로 링크를 부여하며, CT2 단말기가 기지국으로 자기의 ID를 포함하는 등록 또는 해제에 대한 신호를 보내고, 기지국은 기지국 제어장치를 통하여 네트워크 관리시스템으로 단말기의 ID 및 기지국의 ID를 포함한 신호를 보냄으로써 이루어지며, 이는 CT2/CAI(Cordless Telephone 2nd generation/Common Air Interface) 프로토콜에 입각하여 수행이 이뤄진다. 또 위치등록 혹은 해제의 구별은 POCSAG 신호의 메시지코드워드를 사용한다.In the step of registering or releasing a location, the CT2 terminal receiving the command requests a link to the base station, and the base station communicates with the base station controller and the network management system to grant a link to the CT2 terminal, and the CT2 terminal transmits its ID to the base station. Sending a signal for registration or release comprising a, the base station is made by sending a signal including the ID of the terminal and the ID of the base station to the network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base station control device, which is CT2 / CAI (Cordless Telephone 2nd generation / Common) Air Interface) is performed based on the protocol. In order to distinguish between location registration and release, the message codeword of the POCSAG signal is used.

[실시예]EXAMPLE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발명의 방법이 적용되는 무선호출망 및 CT2망을 나타낸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wireless call network and a CT2 network to which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CT2/CAI(Cordless telephone 2nd generation/Common Air Interface) 표준에 기술된 무선통신 프로토콜은 주파수 분할 다중접속에 근거하며 각각 100KHz 대역폭에 40채널을 할당한다. 각 채널을 사용하여 통신을 하게 되는데, 이를 위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described in the CT2 / CAI (Cordless Telephone 2nd Generation / Common Air Interface) standard is based on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and allocates 40 channels to each 100KHz bandwidth. Each channel is used for communication. The configuration for this is as follows.

단말기와 CT2 무선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단말기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그 신호를 기지국 제어장치(2)에 보내는 기지국(1)이 있다. 기지국(1)과 기지국 제어장치(2)의 인터페이스 U 인터페이스(BSC; base station controller의 경우) 또는 비동기(async.)(BCU; base controller unit의 경우)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기지국 제어장치(2)는,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전화망), 기지국 및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4)과의 시그널링을 다룬다.There is a base station 1 which receives a signal from the terminal via the terminal and the CT2 radio interface and also sends the signal to the base station controller 2. Interfaces between the base station 1 and the base station controller 2 are made via an interface U interface (BSC; for base station controller) or async. (BCU; for base controller unit). In addition, the base station controller 2 handles signaling with a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a base station, and a network management system 4.

또한 PSTN과 연결되어 입력콜을 다루기 위한 CT2 입력콜 스위치(3)가 있다. 입력콜은 CT2 입력콜 스위치(3)러 라우트(route)되며 통신을 CT2 입력콜 스위치를 통하여 확립된다. 또한 CT2 입력콜 스위치(3)은 PDSN(Public Switched Data Network)을 통하여 후술하는 네크워크 관리시스템(4) 및 무선호출 교환기(5)와 연결되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CT2 input call switch 3 connected to the PSTN to handle input calls. The input call is routed to the CT2 input call switch 3 and communication is established through the CT2 input call switch. In addition, the CT2 input call switch 3 is connected to the network management system 4 and the radio call exchanger 5 described later through a public switched data network (PDSN).

한편 무선통신서비스망은 기존의 무선호출망에 CT2망과 상호 연동을 통한 관련 기능을 추가한 것이다. 즉, PSDN을 통하여 네트워크의 주요장비(기지국 제어장치(2)와 CT2 입력콜 스위치(3))와 연결되고 초기화, 경보(alarm), 유지, 소프트웨어 다운로딩 등 네트워크 동작의 원격 제어 및 모든 장비의 체크와 사용자 데이타베이스, 인증, 과금, 통계등 서비스의 집중화된 관리기능을 하는 네트워크 관리시스템(4)과, 무선호출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무선호출 교환기(5) 및 다수의 분산된 송신기(Tx1 - Txn)를 갖는 기존의 무선호출 교환시스템(6)으로 구성되어 있다.Meanwhi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network adds related functions through interworking with the CT2 network to the existing wireless call network. In other words, through the PSDN, the main equipment of the network (base station controller (2) and CT2 input call switch (3)) is connected and remote control of network operation such as initialization, alarm, maintenance, software downloading, Network management system (4) for centralized management of services such as checks and user databases, authentication, billing, statistics, radio call exchangers (5) for transmitting radio call signals, and multiple distributed transmitters (Tx1). It consists of the existing radio call switching system 6 which has Txn).

기지국 제어장치 또는 CT2 입력콜 스위치와 네트워크 관리시스템 사이에는 X.25를 사용하는 네트워크 즉 PSDN,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과 무선호출 교환기 사이에는 데이타 회선 L로 인터페이스된다.Between the base station controller or CT2 input call switch and the network management system, the network using X.25 is interfaced with data line L between the PSDN, the network management system and the radio switching center.

도2는 상기 무선호출망에서 생성되어 CT2단말기에 내장된 무선호출기로 전송되는 코드 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2 illustrates a code format generated in the wireless call network and transmitted to a wireless pager built in a CT2 terminal.

도2(A)는 일반적인 무선호출 신호(POCSAG)의 코드 포맷을 나타낸 것으로, CT2단말기에 내장된 무선호출기가 워드동기를 조정하는데 사용하며 2진수 1과 0이 반복되는 576비트 이상의 크기를 갖는 프리앰블 신호와, 이에 후속하여 32비트의 동기코드워드 SC 및 8개의 프레임 FR0 - FR7으로 구성된 배치(Batch)신호가 직렬로 이어진다. 각 프레임은 2개의 코드워드로 구성되며 각 코드워드는 32비트로 이루어진다. 도2(B)는 2게의 코드워드, 즉 어드레스 코드워드와 메시지 코드 워드를 나타낸다. 어드레스 코드워드는 2진수 0으로 시작하는 플래그 비트와, 가입자의 호출번호에 대응하는 무선호출기의 고유번호(ID number)인 7자리 캡코드(Cap code)의 2진 데이타로 표시되는 18비트의 어드레스 비트와, 이에 후속하는 2비트의 기능비트, 10개의 패리티 체크비트, 그리고 하나의 패리티 비트로 구성된다.Fig. 2 (A) shows a code format of a general wireless call signal (POCSAG), wherein a wireless pager built in a CT2 terminal is used to adjust word synchronization, and a preamble having a size of 576 bits or more in which binary 1s and 0s are repeated. The signal is followed by a batch signal consisting of a 32-bit sync codeword SC and eight frames FR0-FR7. Each frame consists of two codewords and each codeword consists of 32 bits. 2 (B) shows two codewords, namely, an address codeword and a message codeword. The address codeword is an 18-bit address represented by binary data of flag bits starting with binary 0 and 7-digit cap code, which is the ID number of the pager corresponding to the subscriber's calling number. Bit, followed by two functional bits, ten parity check bits, and one parity bit.

도2(C)는 상기한 어드레스 코드워드의 데이타 구성예를 보인 것으로, 무선호출기 출하기 제조회사에서 고유번호로 등록한 캡코드가 114357 이라 할 때에, 무선호출 시스템은 이에 대응한 2진비트 011011 1110 1011 0101를 프레임에 할당된 어드레서 코드로서 송신한다. 따라서 무선호출기는 자신에게 할당된 프레임의 어드레스를 체크하므로써 자신에 대한 호출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이 상위 18개 어드레스 비트에 후속하여 2개 기능 비트가 위치한다. 기능비트는 2비트의 조합에 의해 4종류의 후속되는 메시지 포맷을 결정한다. 본예에서는 0으로 숫자메시지를, 11로 문자메시지를 표시하도록 구분한다. 또한 비트 22에서 31까지 10비트는 패리티 비트이며, 비트 32는 짝수 패리티 비트로서 무선호출기에서 이를 이용하여 에러검출 및 정정에 사용된다.Fig. 2 (C) shows an example of the data structure of the above address codeword. When the cap code registered by the manufacturer of the wireless pager as a unique number is 114357, the wireless call system responds with the binary bit 011011 1110 1011. 0101 is transmitted as the address code assigned to the frame. Therefore, the pager determines whether the call is for itself by checking the address of the frame allocated to the pager. Two function bits are located following the upper 18 address bits. The function bits determine four subsequent message formats by a combination of two bits. In this example, the numeric message is divided into 0 and the text message is displayed as 11. In addition, 10 bits from bits 22 to 31 are parity bits, and bit 32 is an even parity bit, which is used for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in the pager.

도2(D)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의 캡코드 등록 및 해제 데이타를 포함하는 메시지 코드워드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이 메시지 코드워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무선호출기 내장형 CT2단말기의 위치등록 촉구/해제를 수행하는 무선호출 및 CT2 사업자가 임의로 지정한다. 통상의 상위비트 2부터 21까지는 정보비트로서 숫자 메시지는 5자, 문자 메시지지는 2와 6/7(한 문자당 7비트)를 전송할 수 있는 크기로 된다.2 (D) show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message codeword including second capcode registration and release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message codeword is arbitrarily designated by the wireless caller and the CT2 operator performing position registration prompt / release of the wireless pager built-in CT2 terminal as described above. Usually, the upper bits 2 to 21 are information bits, and the numeric message has 5 characters, and the text message sheet has a size capable of transmitting 2 and 6/7 (7 bits per character).

숫자메시지 포맷은 스페이스, 하이픈, 대괄호, 비상기호, 스페어를 포함한 10진수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도2(D)에서 3개 코드워드에 걸쳐 전송되는 정보 비트는 사업자가 설정한 4비트 조합의 2진 숫자 및 기호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CT2에 내장된 무선호출기에 CT2 단말기의 위치등록 및 해제할 것인지를 나타내는 제어 데이터로서 5개의 연속된 [10]] 또는 [01]]를 사용하며 사용자가 임의로 정의하여 지정이 가능하다. 도면에서 정보비트에 후속하는 아이들 코드는 메시지 전송시 배치구조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무선호출기에서 수신시는 이 아이들 코드가 무시된다.The numeric message format can consist of decimal numbers, including spaces, hyphens, square brackets, emergency symbols, and spares. That is, the information bits transmitted over three codewords in FIG. 2D represent binary numbers and symbols of four-bit combinations set by the service provider. For example, five consecutive [10]] or [01] are used as control data indicating whether to register or release the location of the CT2 terminal in the wireless pager built in the CT2. . In the figure, the idle code following the information bit is used to maintain the layout structure when transmitting the message, and this idle code is ignored when received at the pager.

도3은 상기 제어 데이터를 포함한 무선호출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무선호출기 내장형 CT2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면에서 상기 위치등록 및 해제 메시지를 판독하여 처리하기 위해 무선호출기내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장치인 MPU는 제어명령 데이터를 판별하기 위한 별도의 제어 프로그램을 내장한 ROM을 구비한다. 이외에 RF수신부, 고주파채널필터, 중간주파수필터, 복조부, 디코더, LCD 디스플레이, 진동표시판, 시스템 제어장치 및 무선호출기 자신의 캡코드 기억과 수신 메시지를 백업하는 EEPROM으로 구성된 전체 시스템은 종래의 것과 유사 즉 공지의 구성을 채용한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wireless pager built-in CT2 terminal for processing a wireless call signal including the control data. In order to read and process the location registration and release message in the figure, the MPU, which is a microprocessor device in the pager, includes a ROM incorporating a separate control program for determining control command data. In addition, the entire system consisting of an RF receiver, a high frequency channel filter, an intermediate frequency filter, a demodulator, a decoder, an LCD display, a vibration panel, a system controller, and an EEPROM that backs up the capcode memory and reception messages of the pager is similar to the conventional one. That is, a well-known structure is employ | adopted.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도3(A)는 무선호출기와 CT2 단말기와의 인터페이스부의 제어메시지가 기술된 CT2 단말기의 상세기능 블록도이다. CT2 단말기의 위치등록 및 해제처리 루틴은 CT2 단말기에 내장된 무선호출기의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위치등록 및 해제 제어데이타를 제어데이타 버스라인을 통하여 CT2단말기의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송출함으로써 CT2단말기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코딩된 프로그램에 의해 CT2/CAI에 의거해 수행이 이뤄지게 된다.Fig. 3A is a detailed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CT2 terminal in which the control message of the interface between the pager and the CT2 terminal is described. The position registration and release processing routine of the CT2 terminal is coded to the microprocessor of the CT2 terminal by sending the position registration and release control data from the microprocessor of the wireless pager built in the CT2 terminal to the microprocessor of the CT2 terminal through the control data bus line. The program is performed according to CT2 / CAI.

이와 같은 무선호출기 내장형 CT2 단말기 수신기에서 위치등록 및 해제 동작을 도4의 플로우챠트를 참고로하여 설명한다.Position registration and release operations in the CT2 terminal receiver with such a pag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4.

우선, 단계 S1에서 CT2에 내장된 무선호출기가 무선호출 시스템으로부터 송출된 무선호출신호를 수신하여 자신의 캡코드에 대응하는 어드레스코드를 검출하였다면, 단계 S2에서, 수신된 메시지코드워드에서 위치등록 및 해제명령 데이차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지정된 제어 명령 데이타로서 [10]] 또는 [01]]에 대응하는 데이타값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3에서는 상기 위치등록 또는 해제 명령 데이타가 검출되었을 때에 무선호출기는 CT2로 상기 검출된 명령을 보낸다. 내부제어신호를 통해 상기 명령을 받은 CT2는 그 명령대로 위치등록 또는 해제를 수행하게 한다(S4).First, in step S1, if the pager built in CT2 receives the radio call signal sent from the radio call system and detects an address code corresponding to its cap code, in step S2, the position registration and the received message code word are receiv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lease command data difference is included. Here,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 data value corresponding to [10]] or [01] is received as the specified control command data as described above. In step S3, when the position registration or release command data is detected, the pager sends the detected command to CT2. CT2, having received the command through the internal control signal, performs position registration or release according to the command (S4).

CT2 단말기는 위치등록 또 해제에 앞서서 기지국(1) 등과의 링크를 형성하는 데, 이를 도 5에 개관하여 나타낸다.The CT2 terminal forms a link with the base station 1 and the like prior to the location registration and release, which is shown in FIG.

즉, CT2 단말기가 기지국으로 링크를 요구하고, 기지국은 이 요구를 기지국 제어기를 통하여 네트워크 관리시스템에 보고하고 CT2 단말기로 링크를 부여하여 링크를 형성한다.That is, the CT2 terminal requests a link to the base station, and the base station reports the request to the network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base station controller and gives a link to the CT2 terminal to form a link.

상기와 같은 링크가 형성된 뒤에 위치등록시에 무선호출기 내장 CT2 단말기에 가장 인접한 기지국은 CT2 단말기의 PID를 포하하는 기능을 처리하는데, 그 기지국은 CT2 단말기의 PID 정보에 자신의 식별코드(ID)를 더하여 기지국 제어장치를 경유하여 네트워크 관리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그리하여 네트워크 관리시스템은 가입자 단말기의 위치를 식별하게 되며, 이러한 정보의 네트워크 관리시스템의 위치 데이타베이스에 저장하게 된다. 입력콜이 확입되어질 때에 만일 무선호출기 내장형 CT2 단말기에 가장 인접한 기지국이 단말기에 페이저하지 못한다면 가장 가까운 기지국에 입접해 있는 기지국에게 페이저하도록 요구한다. 각 기지국에 관하여 시스템은 근접해 있는 5개까지의 기지국 영역을 정의할 수 있으며 이 영역은 네트워크 관리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다. CT2에 내장된 무선호출기에 의한 위치등록 촉구 및 해제에 관한 무선호출기 내장형 CT2 단말기의 위치등록 및 해제 수행절차 및 처리과정은 CT2/CAI 프로토콜에 입각하여 수행하게 된다.When the location is registered after the above link is established, the base station closest to the wireless pager built-in CT2 terminal processes the function of including the PID of the CT2 terminal. The base station assigns its own identification code (ID) to the PID information of the CT2 terminal. In addition, it is stored in the database of the network management system via the base station controller. Thus, the network management system identifies the location of the subscriber station and stores this information in the location database of the network management system. When an incoming call is confirmed, if the base station closest to the pager embedded CT2 terminal fails to page the terminal, it requests the base station adjacent to the nearest base station to pager. For each base station, the system can define up to five adjacent base station areas, which are recorded in the network management system's database. The procedure and processing for location registration and release of the built-in wireless pager built-in CT2 terminal for prompting and releasing location registration by the built-in wireless pager are performed based on the CT2 / CAI protocol.

한편, 상기 단계 S2에서 수신된 메시지 코드워드가 위치등록 및 해제명령 데이타를 포함하고 있지 않는다면 일반 무선호출과 동일하게 인식하여 통상의 무선호출신호 수신 동작루틴으로 들어간다(S5).On the other hand, if the message codeword received in step S2 does not include location registration and release command data, it is recognized in the same manner as general radio call and enters the normal radio call signal reception operation routine (S5).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무선호출 및 CT2 사업자가 원격으로 무선호출기 내장 CT2단말기의 위치등록을 촉구 및 해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필요시 가입자 단말기의 위치정보 데이타를 얻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가입자 이동성 관리 및 다양한 응용부가정보 서비스를 가입자에게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caller and the CT2 service provider can remotely prompt and release the location registration of the wireless caller built-in CT2 terminal, thereby obtaining the location information data of the subscriber station if necessary. Subscriber mobility management and various application supplementary information services can be efficiently provided to subscribers.

Claims (3)

무선호출기가 무선호출 시스템으로부터 송출된 무선호출 신호를 수신하여 자신의 캡코드에 대응하는 어드레스 코드를 검출하는 단계와,Detecting, by the pager, an address code corresponding to its cap code by receiving a radio cal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adio call system; 수신된 무선호출 신호의 메시지 코드워드에서 위치등록 또는 해제명령 데이타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Determining whether location registration or release command data is included in the message codeword of the received radio call signal; 상기 위치등록 또는 해제명령 데이타가 검출되었을 때, 무선 호출기는 CT2에 상기 명령을 송출하는 단계,When the location registration or release command data is detected, the pager sending the command to CT2; 상기 명령을 받은 CT2단말기는 명령에 의거하여 위치등록 또는 해제를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무선호출망을 이용한 무선호출기 내장형 CT2단말기의 위치등록 및 해제방법CT2 terminal receiving the command position registration and release method of the built-in wireless pager-type CT2 terminal using a wireless call network consisting of the step of performing the position registration or release based on the comman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위치등록 또는 해제하는 단계는,Registering or releasing location, 상기 명령을 받은 CT2 단말기가 기지국으로 링크를 요구하고, 기지국은 기지국 제어장치 및 네트워트 관리시스템과 통신하여 CT2 단말기로 링크를 부여하며,The CT2 terminal receiving the command requests the link to the base station, and the base station communicates with the base station controller and the network management system to give the link to the CT2 terminal, CT2 단말기는 자기의 ID를 포함하는 등록 또는 해제에 대한 신호를 보내고,CT2 terminal sends a signal for registration or release containing its ID, 기지국은 기지국 제어장치를 통하여 네트워크 관리시스템으로 단말기의 ID 및 기지국의 ID를 포함한 신호를 보내는 것을 포함하는 CT2/CAI 프로토콜에 의거한 무선호출기 내장형 CT2단말기의 위치등록 및 해제방법.A base station registers and releases a location of a built-in wireless pager-based CT2 terminal based on the CT2 / CAI protocol comprising sending a signal including an ID of a terminal and an ID of a base station to a network management system through a base station controller. 제1항에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위치등록 혹은 해제의 구별은 POCSAG 신호의 메시지코드워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호출망을 이용한 무선호출기 내장형 CT2단말기의 위치등록 및 해제방법.A method of registering and releasing a location of a built-in wireless pager-type CT2 terminal using a wireless paging network, wherein the location registration or cancellation is performed using a message codeword of a POCSAG signal.
KR1019960063362A 1996-12-10 1996-12-10 Registration of ct-2 terminal using paging network KR1001992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3362A KR100199254B1 (en) 1996-12-10 1996-12-10 Registration of ct-2 terminal using paging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3362A KR100199254B1 (en) 1996-12-10 1996-12-10 Registration of ct-2 terminal using paging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5200A true KR19980045200A (en) 1998-09-15
KR100199254B1 KR100199254B1 (en) 1999-06-15

Family

ID=19486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3362A KR100199254B1 (en) 1996-12-10 1996-12-10 Registration of ct-2 terminal using paging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9254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199254B1 (en)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97920C (en) Operating mobile stations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in multiple modes by external control
EP0846388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subscriber unit location information in an integrated communication network
CA2274866C (en) System and method to inform a radio telecommunications network of the operating capabilities of a mobile terminal located therein
KR860001650A (en) Location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of Mobile Phone
US6731943B1 (en) System for efficient mobile subscriber station paging in cellular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s
JPH10257187A (en) Method and system for warning request for communication from second network, to station of one network
WO200006909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temporary identification numbers for mobile terminals
JPH0898232A (en) Method and device for call of mobile object communication system
KR100269135B1 (en) Geographical information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AU633444B2 (en) Extended range cordless telephone system
KR100199254B1 (en) Registration of ct-2 terminal using paging network
JP2909356B2 (en) Cordless phone system
KR100237458B1 (en) Roaming service
JP3313512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H09247748A (en) Emergency call control system
JP2003152867A (en) Emergency call notice system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001044917A (en) Transfer system for mobile station position information and mobile station
JP2861913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wireless device having a registered position information detecting function
JP2834093B2 (en) Mobile phone system
KR20010064870A (en) Method for servicing reserved call using short message service
JP3048204B2 (en) Radio selective calling method
KR100560568B1 (en) Method for service of short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JPH08265826A (en) Current position display method and device for personal handy phone system
KR100250666B1 (en) Method for asking to page in a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exchange system
KR100194755B1 (en) Cell-based two-way wireless data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wireless call network a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