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5195A - Spare Tire Dispenser - Google Patents

Spare Tire Dispens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5195A
KR19980045195A KR1019960063357A KR19960063357A KR19980045195A KR 19980045195 A KR19980045195 A KR 19980045195A KR 1019960063357 A KR1019960063357 A KR 1019960063357A KR 19960063357 A KR19960063357 A KR 19960063357A KR 19980045195 A KR19980045195 A KR 19980045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room
support
spare tire
sp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33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손중호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63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5195A/en
Publication of KR19980045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5195A/en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용차의 스페어 타이어 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트렁크 룸의 스페어 타이어를 실내에서 스위치만 작동시키면 손쉽게 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타이어(1)를 고정시키는 브래킷(2)이 설치된 타이어 받침대(3)와, 스페어 타이어 룸(4) 내에서 타이어 받침대(3)를 받치는 스톱퍼(5)와, 스페어 타이어 룸(4) 내에서 유압에 따라 타이어 받침대(3)를 상승시키며 타이어(1)의 자중에 따라 타이어 받침대(3)의 후방이 밑으로 경사지도록 타이어 받침대(3)와 편심되게 축결합되는 다단실린더(6)와, 다단실린더(6)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원(7)과, 유압원(7)과 다단실린더(6) 간에 설치되는 방향제어밸브(8), 그리고 이 방향제어밸브(8)를 작동시키는 스위치(9)로 이루어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re tire taking out device of a passenger car.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easily remove the spare tire of the trunk room by simply operating the switch in the room, the tire stand 3 is provided with a bracket (2) for fixing the tire (1), and in the spare tire room (4) The stopper 5 supporting the tire support 3 and the tire support 3 are raised in the spare tire room 4 according to the hydraulic pressure, and the rear of the tire support 3 is lowered depending on the weight of the tire 1. Installed between the multistage cylinder (6) eccentrically coupled to the tire support (3) so as to be inclined, the hydraulic source (7) for supplying hydraulic pressure to the multistage cylinder (6), and between the hydraulic source (7) and the multistage cylinder (6) It consists of a direction control valve 8, and a switch 9 for operating the direction control valve (8).

Description

스페어 타이어 인출장치Spare Tire Dispenser

본 발명은 승용차의 스페어 타이어 인출장치(Spare Tire Feed Out Apparatus)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re tire feed out apparatus of a passenger car.

승용차 뒷부분에 있는 트렁크 룸 밑바닥에는 스페어 타이어를 내장할 수 있는 스페어 타이어 룸이 형성되어 있고, 그 위에는 매트가 깔려 있어 스페어 타이어를 꺼낼 일이 없으면 매트 위에 화물을 싣도록 하고 있다. 종래의 스페어 타이어는 일반적으로 도 5와 같이 타이어(21)를 스페어 타이어 룸(22)의 중앙에 설치된 브래킷(23)에 고정볼트(24)와 너트(25)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도록 하고 있다.At the bottom of the trunk room at the rear of the passenger car, there is a spare tire room that can accommodate spare tires. On top of that, a mat is placed on the mat, so that the luggage can be loaded on the mat if it is not to be taken out. In the conventional spare tire, as shown in FIG. 5, the tire 21 is fixed to the bracket 23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spare tire room 22 using a fixing bolt 24 and a nut 25.

그러나, 타이어가 펑크가 났을 때 그 펑크난 타이어를 스페어 타이어와 교환하기 위하여 스페어 타이어 룸으로 부터 중량의 스페어 타이어를 꺼낸다는 것은 특히 여성운전자의 경우 매우 힘든 일이다. 왜냐하면 스페어 타이어 룸이 비교적 깊어서 그로 부터 중량의 타이어를 꺼내기 위해서는 많은 힘이 필요하기 때문이다.However, when a tire is punctured, it is particularly difficult for a female driver to remove a heavy spare tire from the spare tire room in order to replace the flat tire with a spare tire. This is because the spare tire room is relatively deep and requires a lot of force to remove heavy tires from it.

본 발명의 목적은 트렁크 룸의 스페어 타이어를 실내에서 스위치만 작동시키면 손쉽게 꺼낼 수 있는 스페어 타이어 인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pare tire take-out device that can be easily taken out by simply operating the switch in the room spare tire of the trunk room.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구성도.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종래의 스페어 타이어 장착예시도.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of mounting a conventional spare tir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타이어, 2: 브래킷, 3: 타이어 받침대, 4: 스페어 타이어 룸,1: tire, 2: bracket, 3: tire support, 4: spare tire room,

5: 스톱퍼, 6: 다단실린더, 7: 유압원, 8: 방향제어밸브,5: stopper, 6: multi-stage cylinder, 7: hydraulic source, 8: directional control valve,

9: 스위치, 11: 피봇, 12: 고정볼트9: switch, 11: pivot, 12: fixing bol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s follows.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타이어(1)를 고정시키는 브래킷(2)이 설치된 타이어 받침대(3)와, 스페어 타이어 룸(4) 내에서 상기 타이어 받침대(3)를 받치는 스톱퍼(5)와, 스페어 타이어 룸(4) 내에서 유압에 따라 상기 타이어 받침대(3)를 상승시키며 타이어(1)의 자중에 따라 상기 타이어 받침대(3)의 후방이 밑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타이어 받침대(3)와 편심되게 축결합되는 다단실린더(6)와, 이 다단실린더(6)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원(7)과, 이 유압원(7)과 상기 다단실린더(6) 간에 설치되는 방향제어밸브(8), 그리고 이 방향제어밸브(8)를 작동시키는 스위치(9)로 구성시킨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includes a tire support 3 provided with a bracket 2 for fixing the tire 1, a stopper 5 supporting the tire support 3 in the spare tire room 4, and a spare tire. In the room 4, the tire support 3 is lifted in accordance with the hydraulic pressure, and the rear end of the tire support 3 is eccentrically coupled with the tire support 3 so as to be inclined downward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tire 1. A multistage cylinder (6), a hydraulic source (7) for supplying hydraulic pressure to the multistage cylinder (6), a directional control valve (8) provided between the hydraulic source (7) and the multistage cylinder (6), and The switch 9 is configured to operate the directional control valve 8.

더욱 구체적으로, 타이어 받침대(3)는 타이어(1)를 고정시키는 브래킷(2)이 상면 중앙에 그 양단이 용접된 것으로, 브래킷(2)의 내면 중앙에는 너트(10)가 용접되어 타이어(1)가 고정볼트(12)로 고정되고, 타이어(1)를 받칠 수 있도록 원판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타이어 받침대(3)는 스페어 타이어 룸(4) 내에서 상하로 유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More specifically, the tire support 3 is a bracket (2) fixing the tire (1) is welded at both ends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the nut 10 is welded to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racket (2) tire (1) ) Is fixed to the fixing bolt 12, it is made of a disk-shaped to support the tire (1). This tire support 3 is provided so that it may flow up and down in the spare tire room 4.

스톱퍼(5)는 스페어 타이어 룸(4) 내에서 바닥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타이어 받침대(3)를 받칠 수 있도록 원통으로 구성되거나 막대형으로 구성하여 스페어 타이어 룸(4)의 전후방향에 설치된다. 이 스톱퍼(5)는 완충력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고무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The stopper 5 is installed on the floor in the spare tire room 4. The stopper 5 is formed in a cylindrical or rod shape to support the tire support 3, and is install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spare tire room 4. . The stopper 5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in order to have a buffering force.

다단(telescopic)실린더(6)는 스페어 타이어 룸(4) 내에서 유압에 따라 상기 타이어 받침대(3)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스페어 타이어 룸(4)의 바닥 중앙에서 전방쪽으로 약간 이동된 지점에 설치된다. 이 다단실린더(6)의 상단은 상기 타이어 받침대(3)와 편심되게 피봇(11)으로 축결합되는 것으로서, 다단실린더(6)의 상승시 타이어(1)의 자중에 따라 상기 타이어 받침대(3)의 후방이 밑으로 경사지는데 이때의 회전중심은 피봇(11)이다. 도 1의 T는 타이어 받침대(3)의 중심과 다단실린더(6)의 중심 간에 벌어진 거리로서, 이것이 편심을 나타낸 것이다.The telescopic cylinder 6 is installed at the point slightly moved forward from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spare tire room 4 so that the tire support 3 can be raised in accordance with the hydraulic pressure in the spare tire room 4. . The upper end of the multi-stage cylinder (6) is axially coupled to the tire support (3) by the pivot (11), the tire support (3)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tire (1) when the multi-stage cylinder (6) is raised The rear of the inclined downward, the center of rotation is the pivot (11). T in FIG. 1 is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tire support 3 and the center of the multistage cylinder 6, which shows eccentricity.

이 다단실린더(6)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원(7)은 예컨데 동력조향장치에서 오일을 압송하는 오일펌프를 이용할 수 있다. 타이어(1)의 교환은 차량이 멈춰 있는 상태이므로 오일펌프의 유압을 그대로 사용하면 다단실린더(6)의 작동이 가능해진다. 이를 위해서는 오일펌프의 출력측에 별도의 방향전환밸브(8)를 설치하여 스위치(9) 조작과 동시에 다단실린더(6) 쪽으로 유압이 작용하도록 하여야 한다.As the hydraulic pressure source 7 for supplying hydraulic pressure to the multi-stage cylinder 6, for example, an oil pump for pumping oil in a power steering apparatus may be used. Since the tire 1 is in a stopped state, the oil pressure of the oil pump can be used as it is to operate the multistage cylinder 6. To this end, a separate directional valve 8 is installed on the output side of the oil pump so that hydraulic pressure acts on the multistage cylinder 6 simultaneously with the operation of the switch 9.

상기 유압원(7)과 상기 다단실린더(6) 간에 설치되는 방향제어밸브(8)는 스위치(9)의 ON에 따라 개방되어 다단실린더(6)에 오일을 급송하고, 스위치(9)를 OFF시키면 닫혀 다단실린더(6) 내의 오일이 타이어(1)의 자중에 의하여 오일펌프쪽으로 서서히 빠져나가도록 한 것이다. 상기 스위치(1)는 실내의 운전석 주위에 설치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트렁크 룸 내에 설치할 수도 있다.The direction control valve 8 installed between the hydraulic pressure source 7 and the multistage cylinder 6 is opened in accordance with the ON of the switch 9 to feed oil to the multistage cylinder 6, and the switch 9 is turned off. If it is closed, the oil in the multi-stage cylinder (6) is to gradually escape to the oil pump by the weight of the tire (1). The switch 1 may be installed around the driver's seat in the room, and may be installed in the trunk room in some cas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도 1과 같은 상태에서는 다단실린더(6)가 들어가 있고, 타이어 받침대(3)는 스톱퍼(5) 위에 얹혀 있으며, 타이어(1)는 고정볼트(12)에 의하여 브래킷(2)에 고정되어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state as shown in Figure 1, the multi-stage cylinder (6) is entered, the tire support (3) is mounted on the stopper (5), the tire (1) to the fixing bolt 12 Is fixed to the bracket (2).

이러한 상태에서 스위치(9)를 ON시키면 방향제어밸브(8)가 열려 유압원(7)으로 부터 발생되는 유압이 다단실린더(6)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다단실린더(6)가 상승하여 도 1의 가상선과 같이 타이어 받침대(3)를 상승시킨다. 그런데, 이와 같이 상승하는 타이어 받침대(3)는 다단실린더(6)에 편심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타이어 받침대(3)는 타이어(1)의 자중에 의하여 피봇(1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타이어 받침대(3)의 후방이 밑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고정볼트(12)를 풀고, 타이어(1)를 내려 교환한 후 다시 타이어(1)를 고정볼트(12)로 고정시킨다. 그리고 스위치(9)를 OFF시키면 방향제어밸브(8)가 닫히고, 다단실린더(6) 내의 오일은 타이어(1)의 자중에 의하여 서서히 빠져나가므로, 다단실린더(6)는 서서히 내려와 스톱퍼(5) 위에 얹혀져 도 1의 실선과 같이 스페어 타이어 룸(4) 내에 들어가 있게 된다.When the switch 9 is turned on in this state, the direction control valve 8 is opened to supply the hydraulic pressure generated from the hydraulic pressure source 7 to the multistage cylinder 6. As a result, the multistage cylinder 6 is raised to raise the tire pedestal 3 as shown in the virtual line of FIG. By the way, since the tire support 3 which rises in this way is eccentrically connected to the multistage cylinder 6, the tire support 3 rotates about the pivot 11 by the weight of the tire 1, and a tire support ( The rear of 3) is inclined downward. Accordingly, the fixing bolt 12 is released, the tire 1 is lowered and replaced, and then the tire 1 is fixed with the fixing bolt 12 again. When the switch 9 is turned off, the direction control valve 8 closes, and the oil in the multistage cylinder 6 gradually escapes due to the weight of the tire 1, so that the multistage cylinder 6 gradually descends to the stopper 5 It is placed on the top and enters the spare tire room 4 as shown in the solid line of FIG.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타이어 교환시 스위치만 조작하면 트렁크 룸 내에 있는 타이어를 쉽게 꺼낼 수 있고, 단순한 부품으로 이루어졌으면서도 기구적으로 타이어의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사양 고급화 및 상품성 증대에 크게 기여하게 되며, 사용이 간편하여 펑크시 당황하지 않고 쉽게 타이어 교환을 행할 수 있으므로 자동차의 정비신뢰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take out the tire in the luggage compartment by simply operating the switch when replacing the tire, and easily made to take out the tire mechanically, even though it is made of a simple component, greatly contributes to the high-end specifications and increase in merchandise It is easy to use and can easily replace tires without panic when punctured, thereby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maintenance of the vehicle.

Claims (1)

타이어를 고정시키는 브래킷이 설치된 타이어 받침대와, 스페어 타이어 룸 내에서 상기 타이어 받침대를 받치는 스톱퍼와, 스페어 타이어 룸 내에서 유압에 따라 상기 타이어 받침대를 상승시키며 타이어의 자중에 따라 상기 타이어 받침대의 후방이 밑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타이어 받침대와 편심되게 축결합되는 다단실린더와, 이 다단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원과, 이 유압원과 상기 다단실린더 간에 설치되는 방향제어밸브, 그리고 이 방향제어밸브를 작동시키는 스위치를 구비하는 스페어 타이어 인출장치.A tire support provided with a bracket for fixing a tire, a stopper for supporting the tire support in the spare tire room, and an increase in the tire support according to the hydraulic pressure in the spare tire room, and the rear of the tire support is lowered depending on the weight of the tire. A multistage cylinder eccentrically axially coupled to the tire support so as to be inclined to a side, a hydraulic source for supplying hydraulic pressure to the multistage cylinder, a directional control valve installed between the hydraulic source and the multistage cylinder, and operating the directional control valve Spare tire taking out device provided with a switch.
KR1019960063357A 1996-12-09 1996-12-09 Spare Tire Dispenser KR1998004519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3357A KR19980045195A (en) 1996-12-09 1996-12-09 Spare Tire Dispen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3357A KR19980045195A (en) 1996-12-09 1996-12-09 Spare Tire Dispens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5195A true KR19980045195A (en) 1998-09-15

Family

ID=66521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3357A KR19980045195A (en) 1996-12-09 1996-12-09 Spare Tire Dispens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5195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1235B1 (en) * 2000-10-19 2003-04-2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Spare tire carrier for a truck
US20180079457A1 (en) * 2016-09-20 2018-03-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pare tire presentation device and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1235B1 (en) * 2000-10-19 2003-04-2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Spare tire carrier for a truck
US20180079457A1 (en) * 2016-09-20 2018-03-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pare tire presentation device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5648B1 (en) Motor vehicle pneumatic jacklift system
US20060163551A1 (en) Hydraulic vehicle jack system
US4993688A (en) Built-in power jack
US5219429A (en) Hydra-lift system
KR19980045195A (en) Spare Tire Dispenser
JPS611515A (en) Chassis height adjusting device
JPH07300063A (en) Lift device of vehicle
GB2322837A (en) Vehicle tilt system
CN104925147A (en) Overturning limiting device of driver cab
CN207790225U (en) Vehicle-mounted placed type tyre detacher
KR200470711Y1 (en) Wrecker with auxiliary wheel
KR100265685B1 (en) Spare tire lifting system for a car
US20040036311A1 (en) Gas spring and air cylinder combination for lifting a variable height roller assembly
CN204688237U (en) Driver's cab turnover inhibiting device
KR100951724B1 (en) Suspension apparatus for adjusting vehicle height
KR100817795B1 (en) Do each kind pyeaeksangryu withdrawal crab-spawn in scrapped vehicle system
US1193570A (en) Habby lohmiller
CN212400803U (en) Stable hydraulic lifting device for automobile traction seat
KR200295496Y1 (en) Auto Screw Lifting Container
KR0111718Y1 (en) Elevating apparatus for spate wheel using hydraulic pressure
KR200224296Y1 (en) Lifting device of freight vehicle with single acting hydraulic cylinder
JPH0616390A (en) Preventing device for overturn of crane-loading vehicle
KR100369552B1 (en) Storage for spare tire in motor-omnibus
KR970003530Y1 (en) Roof air dam
KR100507532B1 (en) Cab tilting cylinder for tru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