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2442A - Coil-type Electronic Component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Coil-type Electronic Component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2442A
KR19980042442A KR1019970060088A KR19970060088A KR19980042442A KR 19980042442 A KR19980042442 A KR 19980042442A KR 1019970060088 A KR1019970060088 A KR 1019970060088A KR 19970060088 A KR19970060088 A KR 19970060088A KR 19980042442 A KR19980042442 A KR 19980042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core
blade
type electronic
electronic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00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아마다요시히로
아오바히데오
오오쯔카카즈히코
우메야마노부히로
코이즈미카쯔오
마마다노부오
후지카와이와오
시바노부야스
우에하라타카유키
Original Assignee
카와다미쯔구
타이요오유우덴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34973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319697B2/en
Priority claimed from JP835281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172853A/en
Application filed by 카와다미쯔구, 타이요오유우덴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와다미쯔구
Publication of KR19980042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2442A/en

Links

Landscapes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코일형 전자부품의 신뢰성, 실장성,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한다. 갈이방향의 단면이 대략 원형인 코어(1a)의 양단에 각진 형태의 칼날(1b)이 형성되어 있다. 칼날(1b)에는, 각 측면에 홈(2)이 형성되어 있고, 거기다 외부전극용 도전피막(3)이 형성되어 있다. 코어(1a)에는, 코일(4)이 감겨져 있다. 코일(4)의 인출선 내지 단말(5)은, 상기 홈(5)에 있어서 상기 외부전극용 도전피막(3)에 접속된다. 코일(4)위에는, 외장재(6)가 설치된다. 이 외장재(6)는, 칼날(1b)의 형상을 따른 사각기둥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표면(6a)은, 평탄화되어 있다.To improve the reliability, mountability, and productivity of the coil type electronic component. Angled blades 1b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re 1a having a substantially circular cross section. In the blade 1b, the groove | channel 2 is formed in each side surface, and the electrically conductive film 3 for external electrodes is formed in addition. The coil 4 is wound around the core 1a. The leader line to the terminal 5 of the coil 4 is connected to the conductive film 3 for external electrodes in the groove 5. On the coil 4, the exterior material 6 is provided. This exterior packaging material 6 has a rectangular pillar shape along the shape of the blade 1b, and its surface 6a is flattened.

Description

코일형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Coil-type Electronic Component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인덕터, 트랜스, 쵸오크코일 등의 코일형 전자부품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oil type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inductors, transformers, choke coils, and the like.

코일형 전자부품으로서는, 이미 여러 가지가 실용화되어 있고, 또한 여러 가지로 개량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실개소 51-115547호 공보에는, 단부에 칼날부를 갖는 권심의 코어부에 코일을 감음과 함께, 칼날부의 주면에 도전층을 형성하고, 이 도전층에 코일의 리이드선의 단부를 접속하고, 또한, 프린트기판의 도전부에도 접속하도록 한 고정 인덕턴스소자가 개시되어 있다. 실개소 56-110612호 공보에는, 칼날부에 홈을 형성하고, 이 홈 내에 코일단부를 수납하도록 한 인덕턴스소자가 개시되어 있다.As a coil type electronic component, various things have already been put into practical use, and various improvement has been carried out. For example,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51-115547, a coil is wound around a core portion of a core having a blade portion at an end, a conductive layer is formed on the main surface of the blade portion, and an end of the lead wire of the coil is formed on the conductive layer. The fixed inductance element which connected and connected also to the electrically conductive part of a printed circuit board is disclose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56-110612 discloses an inductance element in which a groove is formed in a blade portion and a coil end is accommodated in the groove.

일본국 특개소 57-73916호 공보에는, 코어 중앙에 감겨진 코일의 단부를 코어단부의 칼날부에 형성된 도전체층에 접속함과 함께, 수지봉지후 단면에 전극을 형성한 소형 인덕터가 개시되어 있다. 더욱이, 실개소 61-144616호 공보에는, 사각형의 칼날부에 코일인출홈을 설치하여 리이드선을 인출함과 함께, 칼날부 측면에도 전극을 설치하도록 한 팁 코일이 개시되어 있다.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57-73916 discloses a small inductor in which an end portion of a coil wound around a core is connected to a conductor layer formed on a blade portion of a core end, and an electrode is formed on a cross section after resin sealing. . Further,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61-144616 discloses a tip coil in which a coil lead-out groove is provided in a rectangular blade portion to draw out a lead wire and an electrode is also provided in the side of the blade portion.

이상과 같이, 코일형 전자부품은, 코어부에 코일을 감음과 함께, 이 코일의 인출선을 칼날부의 전극에 접합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코일형 전자부품은, 예를 들면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다. 먼저, 동 도면(A)에 단명을 나타내듯이, 코어부(900)의 단부에 칼날부(902)를 각각 구비한 권심이 준비된다. 다음으로, 동 도면(B)에 나타내듯이, 칼날부(902)의 측면 및 단면에, 전극(904)이 담금(dip)법 등에 의해 형성된다. 다음으로, 동 도면(C)에 나타내듯이, 코어부(900)에 코일(906)이 감겨짐과 함께, 그 인출선(908)이 상기 전극(904)에 예를 들면 열압착에 의해 접합된다.As described above, the coil-type electronic component has a structure in which a coil is wound around the core portion and the lead wire of the coil is joined to the electrode of the blade portion. Such a coil type electronic component is manufactured by the method as shown in FIG. 27, for example. First, as shown in the same figure (A), the winding core provided with the blade part 902 in the edge part of the core part 900, respectively is prepared. Next, as shown to the same figure (B), the electrode 904 is formed in the side surface and end surface of the blade part 902 by the dip method etc. Next, as shown in the drawing (C), the coil 906 is wound around the core portion 900, and the leader line 908 is bonded to the electrode 904 by, for example, thermocompression bonding. .

다음으로, 동 도면(D)에 나타내듯이, 코일(906)이 감겨진 코어부분에 수지 내지 도료가 외장(901)으로서 도포된다. 그 후, 동 도면(E)에 나타내듯이, 전극(904)의 부분에 Ni 등에 의한 도금(12)이 실시된다. 더욱이, 동 도면(F)에 나타내듯이, 전체가 예를 들면 사각기둥형상이 되도록 정형된다.Next, as shown in the same drawing (D), resin or paint is applied as the exterior 901 to the core portion on which the coil 906 is wound. Thereafter, as shown in the drawing (E), plating 12 by Ni or the like is applied to a portion of the electrode 904. Moreover, as shown to the same figure F, it shape | molds so that the whole may become a square pillar shape, for example.

그런데, 근래의 전자기품의 소형화, 경량화의 진전에 동반하여, 코일형 전자부품에도 소형화, 경량화가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또한, 저비용화의 관점에서, 실장성의 개선이나 생산성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However, in recent years, along with the progress of miniaturization and weight reduction of electromagnetic products, miniaturization and weight reduction have been strongly demanded for coil-type electronic components. Moreover, from a viewpoint of cost reduction, improvement of mountability and improvement of productivity are calculated | required.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점들에 주목한 것으로, 그 목적은, 성능이나 신뢰성의 저하를 초래하는 일없이 코일형 전자부품의 소형화,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코일형 전자부품의 실장성이나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se points, and its object is to reduce the size and weight of the coil-type electronic component without causing a decrease in performance and reliability. Another object is to improve the mountability and productivity of the coil type electronic component.

본 발명의 코일형 전자부품은, 코어 및 그 양단에 설치된 칼날을 포함하는 권심 ; 상기 칼날에 형성된 외부전극 ; 상기 코어에 감겨서, 인출선이 상기 외부전극에 접속된 코일 ; 상기 코일 상에 형성되어 있고, 평탄화된 표면을 갖는 외장재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il type electronic component of this invention is winding core containing a core and the blade provided in the both ends; An external electrode formed on the blade; A coil wound around the core and having a lead wire connected to the external electrode; And an exterior member formed on the coil and having a flattened surface.

본 발명의 코일형 전자부품의 제조방법은, 권심용 소체를 가공하여 코어와 칼날을 포함하는 권심을 얻는 공정 ; 상기 칼날에 외부전극을 형성하는 공정 ; 상기 코어에 코일을 감음과 함께, 그 인출선을 상기 외부전극에 접속하는 공정 ; 평탄화된 표면을 갖는 외장재를 상기 코일에 설치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il-type electronic component of this invention is the process of processing the core body for core winding, and obtaining the core containing a core and a blade; Forming an external electrode on the blade; Winding a coil around the core and connecting the lead wire to the external electrode; And installing a packaging material having a planarized surface in the coil.

이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이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팁형상 인덕터의 기본적인 형태의 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단면도, 및 변형예의 측면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erspective view, sectional drawing, and the side view of a modification which show an example of the basic form of the tip inducto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도 2는 도 1과 다른 외부전극용 도전피막을 갖는 권심의 단면도, 및 다른 코일의 접속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FIG. 2 is a sectional view of a core having a conductive film for external electrodes different from that of FIG. 1, and a plan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another coil; FIG.

도 3은 다른 팁형상 인덕터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3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other tip-shaped inductor.

도 4는 또 다른 팁형상 인덕터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other tip-shaped inductor.

도 5는 본 발명에 관련된 권심의 제조방법의 한 예에 있어서의 주요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5 is a perspective view and a 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step in one example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다른 권심의 제조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nother winding;

도 7은 또 다른 제조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단면도 및 측면도.7 is a perspective view, a sectional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manufacturing method.

도 8은 권심 및 전극의 다른 제조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other method of manufacturing a core and an electrode.

도 9는 또 다른 권심 및 전극의 제조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단면도(端面圖) 및 단면도(斷面圖).9 is a side view, a sectional view, and a 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till further core and an electrode manufacturing method.

도 10은 코일형 전자부품의 다른 제조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other method of manufacturing a coil-type electronic component.

도 11은 도 10의 방법에서 사용하는 캡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ap used in the method of FIG. 10.

도 12는 권심의 제조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12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re;

도 13은 또 다른 권심의 제조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斷面圖) 및 (斷面圖).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nother winding;

도 14는 또 다른 코일형 전자부품의 제조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주요부의 확대도.Fig. 14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nother coiled electronic component, and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도 15는 또 다른 코일형 전자부품의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사시도.15 is a side view and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still another coil type electronic component;

도 16은 또 다른 코일형 전자부품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Fig. 1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still another coil type electronic component.

도 17은 또 다른 코일형 전자부품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1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coil type electronic component.

도 18은 코일과 인출선과 전극과의 접합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1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bonding method between a coil, a leader line, and an electrode.

도 19는 다른 예의 코일의 인출선과 전극과의 접합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1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bonding method between a leader line and an electrode of a coil of another example.

도 20은 코일의 인출선과 전극과의 접합방법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사시도.20 is a sectional view and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joining method of a leader line and an electrode of a coil;

도 21은 또 다른 예의 권심의 사시도 및 도체접합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Fig. 2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and a conductor joining method of still another core;

도 22는 또 다른 코일의 인출선과 전극과의 접합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Fig. 22 is a perspective view and a 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joining a lead line of another coil to an electrode;

도 23은 또 다른 코일의 인출선과 전극과의 접합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Fig. 2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joining a lead line of another coil to an electrode.

도 24는 외장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斷面圖), 단면도(端面圖) 및 측면도.24 is a cross-sectional view, a cross-sectional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packaging material.

도 25는 외장재의 다른 예 및 실장상태의 한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단면도(斷面圖), 및 단면도(端面圖).25 is a side view, a sectional view, and a 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packaging material and an example of a mounted state.

도 26은 또 다른 권심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코일형 전자부품의 예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사시도.Fig. 2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core, and a perspective view of an essential part showing an example of the coil type electronic component.

도 27은 배경기술에 있어서의 코일형 전자부품의 주요한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Fig. 27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oil-type electronic component in the background art.

이 발명에는 수많은 형태가 있을 수 있지만, 여기서는 적절한 수의 형태와 실시예를 나타내고, 상세하게 설명한다.There may be many forms of this invention, but an appropriate number of forms and examples are shown and described in detail here.

도 1(A), (B)는, 팁형상 인덕터의 한 예를 나타낸다. 동 도면에서, 자성권심(10은, 단면원형인 코어부(1a)와, 그 양단에 설치된 한 변이 예를 들면 0.08㎜의 각진 형태의 칼날(1b,1b)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면 페라이트로 만들어진 것이다. 각 면에 각각 예를 들면 깊이가 0.06㎜인 V형 홈(2)이 형성된 칼날(1b,1b)의 외측면 및 주면에는, 도금 또는 담금질·인화에 의해, 은, 은-백금, 또는 동과, 그들 위에 피착된 니켈, 납-주석 등으로 이루어지는 외부전극용 도전피막(3,3)이 형성된다.1A and 1B show an example of a tip inductor. In the figure, the magnetic core 10 is composed of a core portion 1a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one side provided at both ends thereof, for example, 0.08 mm square blades 1b and 1b, for example, ferrite furnace. On the outer and main surfaces of the blades 1b and 1b on which the V-shaped grooves 2 each having a depth of 0.06 mm, for example, are formed on each surface, silver, silver-platinum, Or copper and conductive films 3 and 3 for external electrodes made of nickel, lead-tin, and the like deposited thereon.

이 자성권심(1)의 코어부(1a)에, 예를 들면 20∼120㎛의 지름을 갖고 피복재료가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이미드 등의 절연피복전선을 감아서, 코일(4)이 감겨져 있다. 코일(4)의 단발(5,5)은, 칼날(1b)의 V형 홈(2,2)에 삼입되어, 외부전극용 도전피막(3,3)에 용접, 열압착, 또는 초음파진동에 의해 접합되어 접속된다. 이들 중, 열압착법으로는, 가열된 헤드를 절연피복전선의 단말(5)에 가압하는 것에 의해, 상기 단면(5)이 변형되어 편평해지고, 상기 도전피막(3)에 접합된다. 또한, 초음파진동법으로는, 헤드의 진동에 의해 단말(50의 절연피복이 제거되어, 클리닝된 동선과 상기 도전피막(3)이, 가열헤드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 접합된다.The coil 4 is wound around the core portion 1a of the magnetic core 1 with a diameter of, for example, 20 to 120 µm, and a coating material wound around an insulation coating wire such as polyurethane or polyamideimide. . The single coils 5 and 5 of the coil 4 are infiltrated into the V-shaped grooves 2 and 2 of the blade 1b, and then welded, thermocompressed, or ultrasonically vibrated to the conductive films 3 and 3 for external electrodes. Are joined together. Among them, in the thermocompression method, the end face 5 is deformed and flattened by pressing the heated head to the terminal 5 of the insulated coated wire, and then bonded to the conductive film 3. In addition, in the ultrasonic vibration method, the insulation coating of the terminal 50 is removed by the vibration of the head, and the cleaned copper wire and the conductive film 3 are joined by pressing with the heating head.

코어부(1a)의 단면은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절연피복전선을 코어부(1a)의 표면에 밀착시켜서 감을 수 있고, 코어부의 단면을 각진 형태로 한 경우에 비해 인덕턴스치의 불균일이 적고, 전선의 절연피복을 손상할 우려가 없다. 외장재(6)는 코일(4)의 전 외주면에 예를 들면 도장 포팅에 의해 피착된 예를 들면 에폭시계의 합성수지(필라를 넣어도 좋다.) 등의 절연재료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장재(6)의 표면은, 상기 칼날(1b,1b)의 주면보다 안쪽에서, 또한 칼날(1b,1b)의 각부(角部)에 대응하는 부분이 칼란(1b,1b)의 내접면보다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평면화되어 있다. 즉, 도 1(B)에 나타내듯이, 칼날(1b,1b)의 형상을 따른 각주형상으로서, 칼날(1b,1b)보다도 안쪽에 표면이 위치하도록, 외장재(6)가 형성되어 있다.Since the cross section of the core portion 1a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it is possible to wind the insulation coated wire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core portion 1a, and has less uneven inductance value than the case where the cross section of the core portion is angled. There is no risk of damaging the insulation coating of the wire. The packaging material 6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epoxy synthetic resin (you may put a pillar) deposited on the entir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il 4 by, for example, painting potting. The surface of the exterior material 6 has an inner side from the main surfaces of the blades 1b and 1b, and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rner portions of the blades 1b and 1b is outside the inner surface of the callan 1b and 1b. It is flattened to protrude toward. That is, as shown in FIG. 1 (B), the exterior member 6 is formed in a columnar shape along the shapes of the blades 1b and 1b so that the surface is located inside the blades 1b and 1b.

이 인덕터는, 자성권심(1)을 사용하고 있지만, 고주파용 인덕터의 경우에는, 아르미나 등의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권심도 좋다. 또한, 외장재(6)를, 코일(4)의 전외주면이 아니라, 도 1(C),(D)에 나타내듯이, 축방향의 양단부를 제외하는 코일(4)의 중간부 위에 전 주변에 걸쳐서 동일폭으로 또는 폭을 바꿔서 피복해도 된다.This inductor uses a magnetic winding 1, but in the case of a high frequency inductor, a winding made of an insulator such as armina may be used. In addition, the exterior member 6 is not covered with the entir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il 4, but as shown in Figs. You may coat | cover with the same width or changing width.

상기 팁형상 인덕터는, 자동실장기의 흡인노즐을 상기 외장재(6)의 평면화된 표면(6a)에 붙여서 흡착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프린트기판 위에 이송배치된다. 그리고, 칼날(1b)에 형성된 외부전극 도전피막(3,3)을, 프린트기판의 도전부에 납땜하는 것에 의해, 프린트기판에 실장된다. 이러한 팁형상 인덕터는, 프린트기판 위에 배치할 때의 실장면에 대하여, 특별히 배려할 필요가 없다. 또한, 권심(1)의 칼날(1b)은 각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원형 칼날의 경우와 같이 구르는 일이 없다.The tip-shaped inductor is easily disposed on the printed board by adsorbing the suction nozzle of the automounter onto the flattened surface 6a of the packaging material 6 and adsorbing it. Then, the external electrode conductive films 3 and 3 formed on the blade 1b are mounted on the printed board by soldering the conductive parts of the printed board. Such a tip inductor need not be particularly concerned about the mounting surface when the tip inductor is disposed on the printed board. Moreover, since the blade 1b of the core 1 is formed in an angular form, it does not roll like the circular blade.

상기 외부전극용 도전피막(3,3)은, 권심(1)의 칼날(1b,1b)에 대한 담금의 깊이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도 2(A)에 나타내듯이 칼날(1b,1b)의 폭의 일부의 주면에 피착해도 되고, 혹은 도 2(B)에 나타내듯이 칼날(1b,1b)의 내측면까지 피착해도 된다.The external electrode conductive films 3 and 3 are formed by changing the depths of the immersion of the blades 1b and 1b of the core 1 as shown in Fig. 2A. It may be deposited on a part of the main surface of the width, or may be deposited to the inner surfaces of the blades 1b and 1b as shown in Fig. 2B.

또한, 상기 권심(1)의 칼날(1b,1b)에는, 코일(4)의 단말(5)을 삽입하는 홈(2,2)을 형성했지만, 이 홈(2,2)은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코일(4)의 단말(5)은, 도 2(C),(D)에 나타내듯이, 칼날(1b)의 두께방향에 대하여 경사시키고, 혹은 칼날(1b,1b)의 외측면을 따라서 절곡한 상태에서 외부전극용 도전피막(3,3)에 접속해도 된다. 이들의 경우에도, 도 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코일(4)의 단말(5,5)은, 칼날(1b)의 외부전극용 도전피막(3,3)에, 용접, 열압착, 또는 초음파진동에 의해 편평히 변형하여 접합된다.Moreover, although the grooves 2 and 2 which insert the terminal 5 of the coil 4 are formed in the blades 1b and 1b of the said core 1, these grooves 2 and 2 do not need to be formed. . In addition, the terminal 5 of the coil 4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blade 1b, as shown to FIG. 2 (C), (D), or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s 1b and 1b. In the bent state, you may connect to the electroconductive films 3 and 3 for external electrodes. Also in these cases, as shown in FIG. 1, the terminals 5 and 5 of the coil 4 are welded, thermocompressed, or ultrasonically vibrated to the conductive films 3 and 3 for the external electrodes of the blade 1b. It flatly deform | transforms by and joins.

도 3은, 다른 팁형상 인덕터의 예를 나타낸다. 이 인덕터에서는, 상기 외장재(6)는, 각진 형태의 칼날(1b,1b)의 주면의 한 변에 대응하는 코일(4)의 외주면상에 피착된다. 이 외장재(6)의 표면(6a)은, 칼날(1b,1b)의 주면보다 내측에서 또한 평면화되어 있다. 기타 구조는 도 1에 나타내는 것과 다르지 않다. 이 외장재(6)는, 각진 형태의 칼날(1b,1b0의 주면의 다른 한 변 또는 두 변에 대응하는 코일(4)의 외주면상에도 마찬가지로 피착할 수 있다.3 shows an example of another tip-shaped inductor. In this inductor, the exterior member 6 is deposi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il 4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the main surface of the sharp edged blades 1b and 1b. The surface 6a of this exterior packaging material 6 is further planarized inside from the main surfaces of the blades 1b and 1b. The other structure is not different from that shown in FIG. The exterior member 6 can be similarly deposi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il 4 corresponding to the other side or two sides of the main surfaces of the angled blades 1b and 1b0.

칼날(1b)에 형성하는 홈(2)은, 도 1에 나타내는 인덕터에서는 칼날(1b,1b)의 각각의 변에 형성하고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 적당한 수로 설정할 수 있다. 칼날(1b)을 4변 모두에 홈(2)을 형성한 경우, 코일(4)의 단말(5,5)은, 원하는 인덕턴스치를 얻기 위해서, 4개의 홈(2) 중 어느 것에 삽입하여 접합할 수 있다.The grooves 2 formed in the blade 1b are formed on each side of the blades 1b and 1b in the inductor shown in FIG. 1, but can be set to appropriate numbers as necessary. When the groove 1 is formed on all four sides of the blade 1b, the terminals 5 and 5 of the coil 4 are inserted into and joined to any of the four grooves 2 in order to obtain a desired inductance value. Can be.

도 4(A),(B)는, 또 다른 팁형상 인덕터의 예를 나타낸다. 이들 인덕터의 자성 또는 절연성 권심(11)은, 단면이 대략 원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이것에 절연피복전선을 감은 코일(4)이 감겨지고, 코일(4)의 단말(5)에 압접하도록 상기 권심(11)의 양단부에 각진 형태의 외부전극용 도전캡(7)이 감합되어, 고착된다. 상기 코일(4)의 전 외주면상에는, 예를 들면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외장재(6)가 피복된다. 이 외장재(6)도, 도 1의 실시예와 같이, 외부전극용 도전캡(7,7)을 따른 사각기둥형상으로서, 평탄화된 표면(6a)이 도전캡(7,7)보다도 안쪽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4A and 4B show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tip inductor. The magnetic or insulating core 11 of these inductors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ircular cross section, and the coil 4 wound around the insulation coating wire is wound thereon, and the core (the core 5 is pressed against the terminal 5 of the coil 4). 11, the conductive caps 7 for external electrodes of angular form are fitted and fixed to both ends of 11).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il 4, an exterior member 6 made of, for example, a synthetic resin is coated. As with the embodiment of Fig. 1, this exterior member 6 also has a rectangular pillar shape along the conductive caps 7 and 7 for external electrodes, so that the flattened surface 6a is inward of the conductive caps 7 and 7. , Is formed.

도 4(C),(D)는, 도 4(A),(B)의 변형예이다. 이들 인덕터는, 각진 형태의 외부전극용 도전캡(7)이 단면원형으로 형성된 자성 또는 절연성 권심(11)의 양단부에 감합된 후, 상기 권심(11)에 감겨져서 장착된 코일(4)의 양단말(5,50이 상기 캡(7,7)의 외주면에 전술한 바와 같은 접합에 의해 접속되는 것으로, 기타 구성은, 도 4(A),(B)에 나타내는 것과 같다.4C and 4D are modified examples of FIGS. 4A and 4B. These inductors have the amount of coils 4 wound around and mounted on the core 11 after the angular shape of the conductive cap 7 for external electrodes is fitted to both ends of the magnetic or insulating core 11 formed in a circular cross section. The terminals 5 and 50 are connect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caps 7 and 7 by the above-described joining, and other configurations are as shown in Figs. 4A and 4B.

도 4에 나타내는 인덕터에 있어서, 외장재(6)는, 도 1(C),(D)와 같이 코일(4)의 축방향의 양단을 제외하는 중간부의 외주면상에 전 주위에 걸쳐서 피착해도 되고, 혹은, 도 3과 같이 각진 형태의 외부전극용 도전캡(7)의 주면의 적어도 한 변에 대응하는 코일(4)의 외주면상에 피착할 수 있다.In the inductor shown in FIG. 4, the exterior member 6 may be deposited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termediate portion excluding both end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oil 4 as shown in FIGS. 1C and 1D. Alternatively, as illustrated in FIG. 3, the film may be deposi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il 4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side of the main surface of the angular shape conductive cap 7 for the external electrode.

또한, 상기 예에 있어서, 외장재(6)의 표면은, 자동피착기의 흡인노즐에 의한 흡착에 지장이 없도록 평면화되어 있으면 좋다. 즉, 단면형상이 코어부(1a)의 동심원형상이 아닌 정도로, 또한 코어부(1a)의 축방향에서는 절연피복전선의 감김에 의한 요철을 완화시키는 형상으로 좋다. 또한, 외장재(6)는, 어느 것이나 칼날(1b) 또는 상기 도전캡(7)의 주면에 의해 안쪽에 형성했지만, 실제 장착상의 필용성에서, 그들 주면의 동일면으로 하여도 좋고, 그들 주면보다도 바깥쪽으로 해도 좋다. 더욱이, 외장재(6)로서, 예를 들면 페라이트분말, 산화제2철가루 등의 자성분말을, 에폭시계등의 수지재에 섞은 것을 사용해도 좋다. 이러한 재료를 사용하면, 인덕턴스치가 향상하고, 그 증가분만큼 감는 횟수를 감소할 수 있음과 함께, 자기적인 보호효과도 생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권심(1)의 칼날(1b)을, 그 바깥쪽의 각부(角部)를 곡면형상으로 한 사각기둥형상으로 했지만, 각진 형태라면 다각기둥형상으로 해도 좋다. 각부의 곡면가공도 임의이다.In addition, in the above example, the surface of the exterior member 6 may be flattened so as to prevent adsorption by the suction nozzle of the automatic attaching machine. In other words, the cross-sectional shape is not concentric with the core portion 1a, an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ore portion 1a. In addition, although the exterior material 6 was formed in the inner surface by the main surface of the blade 1b or the said conductive cap 7, all the exterior materials 6 may be made into the same surface of those main surfaces, and may be outward from those main surfaces in actual peelability on mounting. You may also Further, as the packaging material 6, a mixture of magnetic powders such as ferrite powder and ferric oxide powder, for example, with epoxy resin or the like may be used. By using such a material, the inductance can be improved, the number of windings can be reduced by that increase, and a magnetic protective effect is also generated. Moreover, in the said Example, although the blade 1b of the core 1 was made into the square pillar shape which made the outer corner | angular part of the outer side curved surface, if it is an angular form, you may have a polygonal pillar shape. The curved surface processing of each part is also arbitrary.

도 5에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련한 권심의 제조방법이 나타나 있다. 동 도면중, (D)는 (A)의 #1-#1선을 딸서 화살표방향으로 본 단면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내듯이, 사각기둥형상의 권심용 소체(10)의 단면에는, 그 중앙에 중심부분을 내기 위한 오목부(1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권심용 소체(10)를, 동 도면(B)에 화살표(F1)로 나타내도록 오목부(12)를 가운데로 하요 회전시켜서 중앙부분을 없애는 것으로, 동 도면(C)에 나타낸 바와 같은, 원주형상의 코어부(14)의 단부에 사각기둥형상의 칼날부(16)를 구비한 권심(18)을 얻을 수 있다. 필요하다면, 동 도면(D)에 나타내듯이, 정상부에 R가공을 실시하도록 해도 좋다.In FIG. 5,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winding core which concerns on another Example is shown. In the same figure, (D) is the cross section which it looked at the arrow direction along the # 1- # 1 line | wire of (A). As shown in these figures, in the cross section of the rectangular column core body 10, the recessed part 12 for providing a central part in the center is formed, respectively. The circumference as shown in the drawing (C) by removing the center portion by rotating the recess 12 in the center so that the core body 10 is indicated by the arrow F1 in the drawing (B). The core 18 provided with the square-shaped blade part 16 in the edge part of the core part 14 of a shape can be obtained. If necessary, as shown in the drawing (D), the R processing may be performed on the top portion.

또한, 코어부(14)와 칼날부(16)의 부분에 굴곡부분(20)을 형성하는 것으로, 코어부(14)와 칼란부(16)와의 접합강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12)는, 그대로 있어도 지장은 없지만, 동 도면(C)에 화살표(F2)로 나타내는 위치에서 잘라내고, 게다가는 정상부에 R가공을 실시하여 동 도면(D)에 나타내는 형상으로 해도 좋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bent portion 20 in the core portion 14 and the blade portion 16, the joint strength between the core portion 14 and the callan portion 16 can be improved. In addition, although the recessed part 12 is still intact, it does not interfere, but it cuts out at the position shown by the arrow F2 in the same drawing (C), and also performs R processing to the top part, and has the shape shown in the drawing (D). You may also

다음으로, 도 6(A)에 나타내는 권심용 소체(22)에서는, 단부에 볼록부(24)가 형성되어 있고, 이것을 회전중심으로 해서 동 도면(B)에 나타내듯이 코어부(26), 칼날(28)이 가공된다. 이 예에 있어서도, 동 도면(C)에 나타내듯이, 필요에 따라서 볼록부(24)를 절단해도 좋다. 다음으로, 동 도면(D)에 나타내는 예는, 권심용 소체(30) 단부에 리이드선(32)을 접합한 것이다. 그리고, 이들 리이드선(3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켜서, 동 도면(E)에 나타내듯이 코어부(34) 및 칼날부(36)를 가공한다. 리이드선(32)은, 물론 그대로 사용해도 좋고, 상기 예의 오목부(12)와 볼록부(24)와 같이 절단해도 좋다.Next, in the core body 22 for core shown in FIG. 6 (A), the convex part 24 is formed in the edge part, and this is made into the center of rotation, and as shown to the same figure B, the core part 26 and a blade are shown next. 28 is processed. Also in this example, as shown to the same figure (C), you may cut | disconnect the convex part 24 as needed. Next, the example shown to the same drawing (D) bonds the lead wire 32 to the edge part of the core body 30 for cores. And the core part 34 and the blade part 36 are machined as it rotates centering around these lead wires 32, as shown to the same figure (E). The lead wire 32 may of course be used as it is, and you may cut | disconnect like the recessed part 12 and the convex part 24 of the said example.

다음으로, 도 7(A)에 나타내는 예는, 사각기둥형상의 권심용 소체(40)의 각 측면에 홈(4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홈(42)을, 동 도면(B)의 화살표(F3)로 나타내듯이 척으로 고정시키는 것으로 권심용 소체(40)를 지지하고, 상술한 예와 같이 코어부와 칼날부를 가공한다. 동 도면(C)에 나타내는 예는, 사각기둥형상의 권심용 소체(44)의 각 측면 및 단면에 V자형상의 홈(6)이 형성되어 있고, 단면중앙에서 교차하고 있다. 이 교차점(48)에서, 동 도면(D)에도 화살표(F4)로 나타내듯이 척으로 고정하는 것으로 권심용 소체(44)를 지지하고, 상술한 예와 같이 코어부와 칼날부를 가공한다. 또한, 동 도면(D)은, 가공후의 상태이다.Next, in the example shown in FIG. 7 (A), grooves 42 are formed in each side surface of the rectangular core core body 40. And the core 42 for winding cores is supported by fixing these groove | channels 42 with the chuck as shown by the arrow F3 of the same drawing B, and a core part and a blade part are processed like the above-mentioned example. In the example shown in the same figure (C), the V-shaped groove 6 is formed in each side surface and end surface of the square pillar core body 44, and intersects in the cross section center. At this intersection point 48, the core body 44 for the core is supported by fixing with a chuck in the drawing D as shown by the arrow F4, and the core portion and the blade portion are processed as in the above-described example. In addition, the same drawing (D) is a state after a process.

이상과 같이, 도 5 내지 도 7의 예의 의하면, 가공된 중심부내기가 양호하게 행해지기 때문에, 높은 가공정도(精度)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이후의 전극형성과 코일감기 등의 작업성도 향상된다. 또한, 칼날부를 코어부의 일단에만 형성하는 경우는, 중심부내기용 오목부를 한 쪽은 칼날부에, 다른 쪽은 코어부에 형성해도 좋다.As mentioned above, according to the example of FIGS. 5-7, since the center part processed is performed satisfactorily, high processing precision can be obtained. Therefore, workability | operativity, such as electrode formation and coil winding after this, is also improved. In addition, when forming a blade part only in the one end of a core part, you may provide one recessed part for center part in a blade part, and the other in a core part.

다음으로, 도 8의 예는, 칼날부에 대응하는 전극의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극은, 예를 들면 동 도면(C)에 나타내듯이, 칼날부(50)를 은 등을 주성분으로 한 페이스트(52)에 대한 칼날부(500의 침지깊이가 변화하기 때문에, 정도가 좋게 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Next, the example of FIG. 8 relates to the formation method of the electrode corresponding to a blade part. For example, as shown in the same figure (C), since the immersion depth of the blade part 500 with respect to the paste 52 which mainly has the blade part 50 as silver etc. changes, the electrode is good to a degree. Can be formed.

그래서, 이 예에서는, 권심용 소체(54)의 단부에 담금법 등 정정한 방법으로 전극(56)을 미리 형성해 놓는다. 소체 전체에 도체막을 형성해도 좋다. 그리고, 이 권심용 소체(54)를, 예를 들면 상기 예와 같이 가공하여 코어부(58), 칼날부(60)를 각각 형성한다. 이 때, 동 도면(B)에 나타내듯이, 전극(56)의 일부를 없애는 가공을 행하는 것으로, 전극(56)을 정도가 좋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 방법에 의하면, L(인덕턴스치)과 Q(양호도)도 정도 좋게 조정할 수 있다.So, in this example, the electrode 56 is previously formed in the edge part of the core body 54 by a immersion method, such as a immersion method. You may form a conductor film in the whole body. And the core body 54 for windings is processed like the said example, and the core part 58 and the blade part 60 are formed, respectively. At this time, as shown to the same figure (B), the process which removes a part of electrode 56 is performed, and the electrode 56 can be formed to a good grade. According to this method, L (inductance value) and Q (goodness) can also be adjusted to a good degree.

또한, 페이스트(52)의 점성 내지 점도가 낮으면, 동 도면(E)에 나타내듯이 전극(56)이 칼날표면을 따라 비교적 평탄하게 형성된다. 한편, 페이스트(52)의 점성이 높으면, 동 도면(D)에 나타내듯이 전극(56)이 부풀어오르도록 형성되어, 각부 내지 정상부에서 전극막이 두껍게 되어 좋은 상태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페이스트로서 점성이 높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점도가 낮은 페이스터와 높은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두 번 도포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최초 점도가 낮은 페이스트로 아래를 도포하고, 다음으로 점도가 높은 페이스트로 위를 도포하는 경우이다.If the viscosity or viscosity of the paste 52 is low, the electrode 56 is formed relatively flat along the blade surface as shown in FIG. On the other hand, if the viscosity of the paste 52 is high, the electrode 56 is formed to swell as shown in the drawing (D), and the electrode film becomes thick in each part or the top part, which is a good state. For this reason, it is preferable to use a thing with high viscosity as a paste. Alternatively, the paste may be applied twice using a paste having a low viscosity and a high paste. For example, it is a case where the below is apply | coated with the paste with a low initial viscosity, and the following is apply | coated with a paste with a high viscosity.

다음으로, 권심의 재료로서 세라믹을 사용하는 경우, 소성후는 딱딱해지는 성질이 있다. 그래서, 도 9의 예에서는, 소성전에 가공을 행하도록 한다. 먼저, 동 도면(A)에 나타내듯이, 소성전의 세라막에 의해 사각기둥형상의 권심용 소체(62)를 준비한다. 또한, 권심용 소체(62)의 측면에는, 동 도면(B)에 단면을 나타내듯이, 홈(64)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 소성전의 가공하기 쉬운 상태에서, 동 도면(C)에 나타내듯이 코어부(66), 칼날부68)를 가공한다. 또한, 이 가공에는, 상술한 실시예와 같은 중심부내기를 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 가공 후에, 권심용 소체(62)의 소성이 행해진다.Next, when ceramic is used as the material of the core, there is a property of hardening after firing. So, in the example of FIG. 9, processing is performed before baking. First, as shown to the same figure (A), the rectangular core core body 62 is prepared by the cera film before baking. Moreover, the groove | channel 64 is formed in the side surface of the core body 62 for winding as shown to the cross section in the same figure (B). Next, in the state which is easy to process before this baking, as shown to the same figure (C), the core part 66 and the blade part 68 are processed. In addition, you may make center process the same as the Example mentioned above for this process. After this processing, firing of the core body 62 for winding is performed.

도 10에는, 또 다른 실시예가 나타나 있다. 이 예에서는, 동 도면(A)에 단면을 나타내듯이, 권심(80)의 양단에, 리이드선(82)이 딸린 캡(84)이 씌워진다. 권심(80)은, 칼날부(85)가 코어부(86)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고, 칼날부(85)에는 전극(8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권심(80) 대신에, 상술한 기둥형상의 권심소체에 캡(84)을 접합하고, 리이드선(82)을 중심으로 하여 칼날부와 코어부를 가공하도록 해도 좋다. 캡(84)은, 예를 들면,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상이 되어 있고, 권심(80)의 칼날부(85)가 끼워 넣어지는 오목부(89A)를 구비하고 있고, 칼날부(85)의 코일 인출선 접속부위에 대응하여 슬릿형상의 창(83)이 형성되어 있다.In Fig. 10, another embodiment is shown. In this example, as shown in the figure (A), the cap 84 with the lead wire 82 is covered on both ends of the core 80. As for the core 80, the blade part 85 is formed in the both ends of the core part 86, and the electrode part 81 is formed in the blade part 85. As shown in FIG. In addition, instead of the core 80, the cap 84 may be bonded to the above-mentioned pillar-shaped core body, and the blade part and the core part may be processed centering on the lead wire 82. As shown in FIG. The cap 84 has a shape as shown in FIG. 11 (A), for example, and has a concave portion 89A into which the blade portion 85 of the core 80 is fitted. A slit-shaped window 83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coil leader line connecting portion of 85.

다음으로, 이 상태에서, 동 도면(C)에 나타내듯이, 리이드선(82)으로부터 칼날부(85)를 걸쳐서 코어부(86)에 이르도록 코일(90)이 감긴다. 그 후, 동 도면(D)에 나타내듯이, 코일(90)에 인출선 부분이, 캡(84)의 창(83)을 개재하여, 땜납(91)에 의해 전극(81)에 접합된다. 또한, 코어부(86)에 감겨진 코일(90)에 대하여 수지 등의 외장(92)이 실시된다. 다음으로, 코일 인출선의 납땜 개소를 억제하면서 캡(84)을 잡아당기는 등의 적정한 방법으로 권심(80)으로부터 캡(84)을 떨어뜨리면, 인출선이 절단되어서, 동 도면(E)에 나타내듯이 된다. 그 후, 전극(810과 납땜 개소에 Ni 등에 의한 도금(도면에서의 표시는 생략함)이 실시된다.Next, in this state, as shown in the drawing (C), the coil 90 is wound so as to reach the core portion 86 from the lead wire 82 to the blade portion 85. Thereafter, as shown in the drawing (D), the leader line portion is joined to the electrode 81 by the solder 91 via the window 83 of the cap 84 in the coil 90. Moreover, the exterior 92, such as resin, is given with respect to the coil 90 wound by the core part 86. As shown in FIG. Next, when the cap 84 is dropped from the core 80 by an appropriate method such as pulling the cap 84 while suppressing the soldering point of the coil lead wire, the lead wire is cut off, as shown in FIG. do. Thereafter, plating is performed on the electrode 810 and the soldering points by Ni or the like (omitted in the drawing).

도 11(B),(C)에는, 캡(84)의 다른 예가 나타나 있다. 동 도면(A)에 나타내는 캡(84)은, 권심용 소체(80)가 사각기둥형상의 경우의 예이고, 그것에 대응하는 사각기둥형상의 오목부(89A)를 구비하고 있다. 동 도면(B)에 나타내는 캡(84A)은, 권심용 소체(80)가 원주형상의 경우의 예이고, 그것에 대응하는 원주형상의 오목부(89B), 창(83A)을 구비하고 있다. 동 도면(C)에 나타내는 캡(84B)도, 권심용 소체(80)가 원주형상의 경우의 예이고, 그것에 대응하는 원주형상의 오목부(89C), 창(83b)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각종 형상의 소체와 리이드선이 딸린 캡을 조합하는 것으로, 리이드선이 딸린 부품의 제조설비를 그대로 이용하여 코일형 전자부품을 제조할 수 있다.11B, another example of the cap 84 is shown. The cap 84 shown to the same figure (A) is an example of the case where the core body 80 is a square pillar shape, and is provided with the recessed part 89A of the square pillar shape corresponding to it. The cap 84A shown in the same drawing (B) is an example of the case where the core body 80 is columnar, and has a columnar recessed portion 89B and a window 83A corresponding thereto. The cap 84B shown in the same drawing (C) is also an example of the case where the core body 80 is columnar, and has a cylindrical recessed portion 89C and a window 83b corresponding thereto.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by combining a body having various shapes and a cap with a lead wire, a coil-type electronic component can be manufactured using a manufacturing facility for a component with a lead wire as it is.

다음으로, 도 12에 나타내는 예는, 마찬가지로 캡을 사용한 예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판위에 실장하는 점에서는, 칼날부에 평탄면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대량 장착의 점에서는 방향성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조건을 만족시키는 칼날형상의 하나가 사각형상이다. 그러나, 가공의 용이성이라는 점에서는 원주형상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동 도면(A)에 나타내듯이, 원주코어의 단부에 사각형상의 칼날 캡을 접합하는 것으로,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고 있다.Next, the example shown in FIG. 12 is an example similarly using a cap. As described above, from the point of mounting on the substrate, it is preferable that the blade has a flat surface, and from the point of mass mounting, it is preferable that there is no directivity. One blade shape that satisfies these conditions is a rectangular shape. However, the columnar shape is preferable at the point of ease of processing.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the drawing (A), such a demand is satisfied by joining a rectangular blade cap to the end of the circumferential core.

상술하면, 원주코어(100)에는, 약간 두꺼운 단부(102)와 중앙의 코어부(104)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가공은, 단면에 형성된 오목부(106)를 중심으로서 행해진다. 한편, 칼날캡(108)은, 상기 단부(102)에 대응하는 원주형상의 오목부(110)를 구비하고 있고, 이 부분에 원주코어(100)의 단부(102)를 압입하거나, 접착체로 접착한다. 접합후의 길이방향 단면은, 동 도면(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 이렇게 하여, 코어부가 원주형상, 칼날부가 사각기둥형상의 권심이 얻어진다. 또한, 칼날캡(108)의 측면에 미리 홈을 형성해 두어도 좋다.In detail, the slightly thicker end part 102 and the center core part 104 ar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core 100. These processes are performed centering on the recessed part 106 formed in the cross section. On the other hand, the blade cap 108 is provided with a columnar concave portion 110 corresponding to the end portion 102, in which the end portion 102 of the circumferential core 100 is press-fit or adhered with an adhesive body. do. The longitudinal cross section after joining becomes as shown to the same figure (B). In this way, the core part is obtained in the circumferential shape, and the blade part is the core of the square pillar shape. In addition, a groove may be formed in the side of the blade cap 108 in advance.

도 13에는, 이상의 실시예의 변형예가 나타나 있다. 먼저, 동 도면(A)의 예는, 원주형상의 코어부재(12)의 단부에, 오목부(122)를 갖는 칼날캡(124)을 접착체(126)로 접착한 것이다. 칼날캡(1240으로서는, 예를 들면 동 도면(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단면이 사각형상인 것이 사용된다. 또한, 동 도면(C)에 나타내듯이, 칼날캡(124)의 측면에 홈(126)을 형성해도 좋다. 동 도면(D)에 나타내는 예는, 원주형상의 코어부재(130)의 단부에, 관통공(132)을 갖는 칼날캡(134)을 접착제(136)로 부착한 예이다. 단면에서 보면, 동 도면(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13, the modification of the above embodiment is shown. First, the example of the same figure (A) attaches the blade cap 124 which has the recessed part 122 to the edge part of the columnar core member 12 with the adhesive body 126. As shown in FIG. As the blade cap 1240, for example, a cross section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s shown in the drawing (B) is used. As shown in the drawing (C), the groove 126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blade cap 124. The example shown in the same drawing (D) is an example which attached the blade cap 134 which has the through-hole 132 with the adhesive agent 136 to the edge part of the cylindrical core member 130. In this case, it is as shown in the same figure (E).

또한, 도 12, 도 13의 어느 하나의 예에 있어서도, 필요에 따라서 캡에 홈을 형성해도 좋다. 캡을 세라믹으로 형성하여 그 표면에 전극을 형성하도록 해도 좋고, 캡 전체를 금속으로 형성해도 좋다. 이렇게 하면, 칼날부 전체가 방열체로서 작용하고, 방열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로서는, 절연성 수지, 도전성 접착재와 납 등 여러 가지를 사용해도 좋다.12 and 13, a groove may be formed in a cap as needed. The cap may be formed of ceramic to form an electrode on the surface thereof, or the entire cap may be formed of metal. In this case, the whole blade part acts as a heat radiator, and a heat radiating effect can be expected. Moreover, you may use various things, such as insulating resin, an electroconductive adhesive material, and lead as an adhesive agent.

다음으로, 도 14(A)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는, 코일에 관한 것이다. 권심(14)에는 코일(142)이 감겨져 있고, 그 위에는 외장으로서 도료(144)가 도포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화살표(F5)로 나타내듯이, 도료(144)가 코일(142)측에 압입되어 있다. 그러면, 동 도면(B)에 확대하여 나타내듯이, 코일(154)의 위치가 거친 면에 의하여 방지되게 된다.Next, the embodiment of Fig. 14A will be described. This embodiment relates to a coil. The coil 142 is wound around the core 14, and a coating material 144 is applied thereon as an exterior. In this example, the paint 144 is press-fitted to the coil 142 side as indicated by arrow F5. Then, as shown enlarged in the same drawing (B), the position of the coil 154 is prevented by the rough surface.

다음으로, 도 15에는, 전극부(칼날부 및 전극에 상당)에 대한 코일인출선의 접속위치에 관한 실시예가 나타나 있다. 먼저, 동 도면(A)에 나타내는 예는, 전극부(200,202)에 있어서의 홈(204,206)이, 권심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벗어난 배치가 되어 있다. 코일(208)의 인출선(210,212)은, 각각 홈(204,206)에서 전극에 접합된다. 이러한 홈배치로 하는 것으로, 외장수지의 수축에 의한 스트레스가 완화된다고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동 도면(B)에 나타내는 예는, 전극부(220)에 홈(222,224,226,228)을 형성하여, 전극부(202)에 홈(232,234,236,238)을 형성한 예이다. 어느 홈에 코일 인출선(210,212)을 접합하느냐에 따라, 코일(208)의 감는 수가 변화하고, 나아가서는 L과 Q를 간편하게 조정하여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동 도면(c)에 나타내는 예는, 전극부(240)에 형성된 홈(242)과, 칼날부(244)에 형성된 홈(246)이, 사각기둥의 다른 면에 형성된 예이다. 이 예에서도, 코일의 감는 수가 변화하여 L과 Q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B) 및 (C)을 조합하도록 하면, L, Q를 더욱 정도 좋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Next, in FIG. 15, the Example regarding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coil lead wire with respect to an electrode part (equivalent to a blade part and an electrode) is shown. First, in the example shown in the same figure (A), the grooves 204 and 206 in the electrode portions 200 and 202 are arranged out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re. Leading lines 210 and 212 of the coil 208 are joined to the electrodes in the grooves 204 and 206, respectively. By making such a groove arrangement, the effect that the stress by shrinkage of an exterior resin is alleviated is acquired. In the example shown in FIG. 2B, grooves 222, 224, 226, and 228 are formed in the electrode part 220, and grooves 232, 234, 236, and 238 are formed in the electrode part 202. Depending on which groove the coil lead wires 210 and 212 are joined to, the number of windings of the coil 208 changes, and furthermore, L and Q can be easily adjusted to improve productivity. The example shown in (c) is an example in which the groove 242 formed in the electrode portion 240 and the groove 246 formed in the blade portion 244 ar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quare pillar. Also in this example, the number of windings of the coil is changed so that L and Q can be adjusted. In addition, by combining (B) and (C), L and Q can be adjusted to a greater extent.

다음으로, 도 16을 참조해서 또 다른 예를 설명한다. 이 예는, 코일상에 도포되는 도료 내지 수지를 두 번 도포하도록 한 것이다. 먼저, (A)에 종단면, (B)에 횡단면을 나타내듯이, 권심(310)(전극은 도시 생략)에 감겨진 코일(312) 상에 원주형상으로 도료(314)를 도포한다. 다음으로, (C)에 종단면, (D)에 횡단면을 나타내듯이, 도료(314)상에 사각기둥형상으로 도료(316)를 도포한다. 아래도포(314)를 점도가 낮은 것으로 행한 것으로, 선재인 코일(312) 사이에 도료를 입혀, 선재의 고정과 선재간의 절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윗도포(316)를 점도가 높은 것으로 행하는 것으로, 도료의 두께를 정비하여 정형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다시 여러 번 나눠서 도포하도록 해도 좋다.Next, another exampl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is example is made to apply | coat twice the coating material or resin apply | coated on a coil. First, as shown in the longitudinal section in (A) and the cross section in (B), the coating material 314 is applied in a circumferential shape on the coil 312 wound around the core 310 (the electrode is not shown). Next, the coating material 316 is applied on the coating material 314 in the shape of a square column, as shown in the vertical section in (C) and the cross section in (D). By applying the lower coating 314 with a low viscosity, coating is applied between the coils 312 which are wire rods, and the fixation of a wire rod and the insulation between wire rods can be aimed at. In addition, by performing the upper coating 316 with a high viscosity,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material can be maintained and shaping can be performed satisfactorily. As needed, you may divide and apply again several times.

다음으로, 도 17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동 도면(A)에서는, 코어부(350)에 감겨져 있는 코일(352)의 인출선은, 칼날부(354)의 전극(356)에 접합되지만, 외장(358)과의 사이에 간격(360)이 존재한다. 이러한 간격(360)이 있으면, 단선 등의 불량발생의 원인이 된다. 그래서, 본 예에서는, 코일(352)의 외장(358) 위에, 다시 보호용 외장(362)이 실시되어 있다. 권심단면에서는, 전극(356)에 접하도록 도전성 수지(364)가 담금법과 전사법 등으로 형성되고, 다시 그 위에 도금(366)이 형성된다. 이러한 간격(360)을 보호용 외장(362)으로 보호하는 것으로, 단선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코일(352) 위의 외장(358)과 보호용 외장(362)을 개별적으로 형성해도 좋지만, 동 도면(B)에 나타내듯이, 동시에 형성해도 좋다. 또한 보호용 외장을 간격부분에 띠형상으로 형성하기만 해도 좋다. 도 17(C)은, 간격(360)을 도전성 수지(363)로 보호하도록 한 예이다.Next, the example of FIG. 17 is demonstrated. In addition, although the lead line of the coil 352 wound around the core part 350 is joined to the electrode 356 of the blade part 354 in FIG. 360) is present. If there is such a gap 360, it causes a defect such as disconnection. Therefore, in this example, the protective exterior 362 is again provided on the exterior 358 of the coil 352. In the core cross section, the conductive resin 364 is formed by a immersion method, a transfer method, or the like so as to contact the electrode 356, and a plating 366 is formed thereon. By protecting the gap 360 with the protective exterior 362, disconnection or the like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although the exterior 358 and the protective exterior 362 on the coil 352 may be formed separately, you may form simultaneously, as shown to the same figure (B). In addition, the protective sheath may be formed in a band shape in the gap portion. 17C is an example in which the gap 360 is protected by the conductive resin 363.

다음으로, 도 18을 참조하면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한다. 코일로서 사용되는 선은, 도 18(A)에 나타내듯이, 도체(410)에 절연물에 의한 피복(412)을 실시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코일 인출선을 전극에 접속할 때는, 피복(412)을 어떤 한 방법으로 제거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18, it demonstrat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wire used as a coil has the structure which coat | covered the conductor 410 with the insulator 412 as shown to FIG. 18 (A). Therefore, when connecting the coil leader line to the electrode, the cover 412 is removed by any method.

이 때, 본 실시예에서는, 동 도면(B)에 나타내듯이 도체(410)에 표면을 거칠게 하여 요철(거친 면)(414)을 형성한다. 요철(414)은, 예를 들면, 피복(412)을 박리할 때에 도체(410)의 표면을 기계적으로 마찰하도록 하면 간단히 형성할 수 있다. 요철(414)이 형성된 도체(410)는, 동 도면(C)에 길이방향 단면, (D)에 길이방향 수직단면을 나타내듯이, 칼날부(416)에 형성된 전극(418) 위에 놓여져, 도체(410)는 열압착, 용접, 초음파 압착 등의 방법으로 전극(418)과 접합된다. 도체(410)와 전극(418)의 접합상태는, 동 도면(E),(F)에 나타내듯이, 이른바 앵커 효과에 의해 요철(414)에 따라서 전극(418)에 대한 도체(410)의 달라붙음이 잘 되고, 결합의 강도가 향상된다.At this time,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the drawing (B), the surface of the conductor 410 is roughened to form an uneven surface (rough surface) 414. The unevenness 414 can be easily formed by mechanically rubbing the surface of the conductor 410 when the coating 412 is peeled off, for example. The conductor 410 on which the unevenness 414 is formed is placed on the electrode 418 formed on the blade portion 416, as show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ross section in FIG. The 410 is bonded to the electrode 418 by a method such as thermocompression, welding, or ultrasonic compression. The bonding state of the conductor 410 and the electrode 418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ductor 410 with respect to the electrode 418 depending on the unevenness 414 due to the so-called anchor effect as shown in the figures (E) and (F). Good adhesion and strength of bonding are improved.

동 도면(G) 내지 (K)에는 변형예가 나타나 있다. 이 예는, 칼날부(416)에 단면 U자형상의 홈(420)을 형성한 것이다(동 도면(G), (H)참조).도체(410)는, 홈(420) 내에 있어서 전극(418)과 접합되지만, 이 때, 도체(410)의 요철(414)과, 전극(418)이 연결되게 되어, 양자의 결합의 강도가 상기 실시예와 같이 향상된다(동 도면(I), (J)참조). 또한, 도체(410)가, 동 도면(K)에 나타내듯이 홈(420) 내에 수집되도록 해도 좋다. 이렇게 하면, 실장면에서 좋은 상태가 된다.Modifications are shown in the drawings (G) to (K). In this example, the groove 420 having a U-shaped cross section is formed in the blade portion 416 (refer to the figures (G) and (H)). The conductor 410 is an electrode 418 in the groove 420. ), But the unevenness 414 of the conductor 410 and the electrode 418 are connected at this time, so that the strength of the coupling between the two is improved as in the above embodiment (Figs. I and J). )Reference). In addition, the conductor 410 may be collected in the groove 420 as shown in FIG. This is in a good state in terms of mounting.

이들 실시예에 의하면, 홈(420)을 형성했기 때문에, 도체(410)와 전극(418)의 접합면적이 증대하고, 이것에 의해서도 접합강도가 증가하게 된다. 더욱이, 도체(410)가 홈(420) 내에 수집되게 되어 전극(418)으로부터의 돌출이 저감된다. 이 때문에, 기판(도시 생략)의 전극패턴과의 접합성이 향상되고, 부착이 안전한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se embodiments, since the groove 420 is formed, the joining area of the conductor 410 and the electrode 418 increases, thereby increasing the joining strength. Moreover, the conductor 410 is collected in the groove 420 so that the protrusion from the electrode 418 is reduced. For this reason, the adhesiveness with the electrode pattern of a board | substrate (not shown) improves, and there exists an advantage that attachment is safe.

다음으로, 도 19를 참조하면서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동 도면(a)은 코일 보빈의 길이방향 단면에서, 이 2#-#2선에 따라서 화살표방향으로 본 단면 주요부가 (B),(C)에 각각 나타나 있다. 권심(430)의 칼날부(432)에는, 그 측면 및 단면에 전극(434)이 각각 형성된다.Next, another Example is described, referring FIG. The same figure (a) shows the principal part of the cross section seen from the longitudinal cross section of a coil bobbin in the direction of an arrow along this 2 '-# 2 line, respectively (B) and (C). On the blade portion 432 of the core 430, electrodes 434 are formed on the side and end surfaces thereof, respectively.

그런데, 전극(434)을 형성하는 도전성 페이스트, 예를 들면 은페이스트에는, 결합제로서 유리 슬릿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도전성 접착제(내지는 도전성 수지)의 경우에는, 결합제로서 유기성분(예를 들면, 에폭시수지, 페놀수지, 아크릴수지)이 포함되어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동 도면(B)에 화살표(F6)로 방향을 나타내듯이, 칼날부(432)측일수록 유리 슬릿 농도가 짙고, 표면측일수록 유리 슬릿 농도가 낮아지도록, 전극(434)이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칼날측에서 유리 슬릿(434A)의 농도가 높고, 반대로 표면측에서 은립(434B)의 농도가 높아지게 되어, 표면측의 요철이 커진다. 이러한 농도비울은, 인화온도를 조정하는, 혹은 칼날부 소체와의 젖는 성질을 조성하는 등의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전극(434)에 대하여, 동 도면(C)에 나타내듯이, 코일의 인출선 도체(436)가 열압착 등에 의해 결합된다.By the way, the conductive paste which forms the electrode 434, for example, silver paste, contains the glass slit as a binder.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conductive adhesive (or conductive resin), an organic component (for example, epoxy resin, phenol resin, acrylic resin) is contained as a binder. Thus,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by the arrow F6 in the same drawing (B), the glass slit concentration is higher at the blade portion 432 side, and the glass slit concentration is lower at the surface side, so that the electrode 434 is lowered. Is formed. In other words, the concentration of the glass slit 434A on the blade side is high, on the contrary, the concentration of the silver 434B is increased on the surface side, and the unevenness on the surface side becomes large. Such concentration drops can be formed by adjusting the ignition temperature or by forming a wet property with the blade body. With respect to such an electrode 434, as shown in the drawing (C), the leader wire conductor 436 of the coil is joined by thermocompression bonding or the like.

일반적으로 은페이스트는, 유리 슬릿 농도가 높아질수록 접합강도가 증대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칼날부(432)를 형성하는 코어재와 전극(434)을 형성하는 은페이스트는, 높은 유리 슬릿 농도에 의해 큰 강도로 접하는 것이 된다. 다른 쪽, 은페이스트와 코일 인출선 도체(436)다의 접합은, 동 도면 (B), (C)에 나타내듯이 은립(34B)에 의한 요철이 존재하기 때문에,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앵커 효과에 의해 강력한 것이 된다.In general, silver paste tends to increase in bonding strength as the glass slit concentration increases. Therefore, the core material which forms the blade part 432, and the silver paste which forms the electrode 434 come into contact with a large intensity | strength by high glass slit density | concentration. On the other hand, the joint between the silver paste and the coil lead wire conductor 436 has an anchor effect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ecause the unevenness due to the silver ribs 34B exists as shown in the figures (B) and (C). It becomes powerful by.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전극과 칼날부와의 밀착성과, 전극과 코일 인출선 도체와의 접합성의 양방이 모두 향상하여, 양호한 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도, 칼날부(432)에 홈을 형성하여 접합력을 강화하도록 해도 좋다.As mention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xample, both the adhesiveness of an electrode and a blade part, and the adhesiveness of an electrode and a coil lead wire conductor are both improved, and favorable reliability can be obtained. Also in this embodiment, a groove may be formed in the blade portion 432 to strengthen the bonding force.

전극을 복수의 층으로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20(A)에 나타내듯이, 칼날부(4320 위에 은전극(431)을 형성함과 함께, 더욱이 그 위해 Sn-Pb도금(433)을 실시하여, 이것에 인출선 도체(436)를 초음파 및 가열에 의해 용융접합(합금접합을 포함)하도록 해도, 도 19의 예와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접합의 방법으로서는, 도 19에 나타낸 기계적 접합, 도 20(A)에 나타낸 용융접합 외에, 도체와 하지의 재료가 확산하여 결합하는 확산결합이 있다. 물론, 그들의 기계적 접합, 용융접합, 확산접합을 2이상 조합해도 좋다.The electrode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layer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0A, the silver electrode 431 is formed on the blade portion 4320, and Sn-Pb plating 433 is further applied to the lead portion 436. ) Can be obtained by the ultrasonic wave and the heating by the melt bonding (including alloy bonding), and the same effect as in the example of Fig. 19. As the method of joining, the mechanical bonding shown in Fig. 19 and the melt shown in Fig. 20A are shown. In addition to the bonding, there are diffusion bonding in which the conductor and the underlying material are diffused and bonded, of course, two or more of these mechanical bonding, melt bonding, and diffusion bonding may be combined.

더욱이, 동 도면(B)에 나타내듯이, 칼날부(432)의 측면에 있어서의 전극(434)의 단위치(434P)를 화살표(F7)로 나타내듯이 변경하는 것으로, 결과적으로 전극(434)과 인출선(436)과의 결합강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홈(438)이 폭넓게 형성되어 있고, 인출선(436)을, 권심 길이방향(도면 중의 화살표(F7)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전극(434)에 접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인출선(436)의 굴곡각도가 완화되어, 단선이 방지된다.Furthermore, as shown in the same figure (B), the unit value 434P of the electrode 434 on the side of the blade portion 432 is changed as indicated by the arrow F7, and as a result, the electrode 434 and Coupling strength with the leader line 436 can be adjusted. Moreover, in this example, the groove 438 is widely formed, and the leader line 436 can be joined to the electrode 434 in the direction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re (the arrow F7 direction in the drawing). . As a result, the bending angle of the leader line 436 is alleviated, and disconnection is prevented.

다음으로, 도 21을 참조하면서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동 도면(A)에는 권심이 나타나 있고, 중앙의 원주형사의 코어부(440)의 단부에 사각기둥형상의 칼날부(44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칼날부(442)에는, 각 측면의 대략 중앙에 역테이퍼형상의 홈(44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동 도면(B)에는, 화살표(F8)방향에서 본 홈(444)의 단면이 나타나 있고, 칼날부(442)의 표면에는 전극(448)이 형성된다. 그리고, 코일 인출선 도체(446)가 홈(444) 내에 삽입되어 전극(448)에 압착된다.Next, another Example is described, referring FIG. The winding core is shown by the same figure (A), and the square-blade blade part 442 is each formed in the edge part of the core part 440 of the center columnar shape. In the blade portion 442, a reverse tapered groove 444 is formed at approximately the center of each side surface. The same figure B shows the cross section of the groove | channel 444 seen from the arrow F8 direction, and the electrode 448 is formed in the surface of the blade part 442. As shown in FIG. The coil leader wire conductor 446 is inserted into the groove 444 and pressed onto the electrode 448.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홈(444)이 역테이퍼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압착후의 코일 인출선 도체(446)가, 동 도면(C)에 나타내듯이 홈(444)에 박히게 된다. 전극과 코일 인출선 도체와의 접합강도는, 접합시의 조건에 의해 나빠지고, 경우에 따라서는 인출선 도체가 박리되버리는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접합시의 조건이 다소 나빠져도, 역테이퍼형상의 홈(444)에 대한 인출선 도체가 박힘에 의해 결합상태가 유지되어, 인출선의 박리가 방지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however, the groove 444 has an inverted tape shape as described above. For this reason, the coil lead wire conductor 446 after crimping | bonding becomes lodged in the groove | channel 444 as shown to the same figure (C).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coil lead wire conductor is deteriorated by the conditions at the time of bonding, and in some cases, the lead wire conductor may peel off.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owever, even when the conditions at the time of joining become slightly worse, the lead wire conductors to the reverse tapered grooves 444 are held together, whereby the bonded state is maintained, thereby preventing the lead wires from peeling off.

다음으로, 도 22를 참조하면서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동 도면(A)에는 실시예의 외관이 나타나 있고, 그 3#-#3선을 따라서 화살표방향으로 본 단면이 (B)에 나타나 있다. 또한, 코일 인출선 도체와 전극과의 접합부분이 (C)에 확대되어 나타나 있다.Next, another Example is described, referring FIG. The same figure (A) shows the external appearance of an Example, and the cross section seen in the arrow direction along the 3 '-3' line is shown to (B). In addition, the junction part of a coil lead wire conductor and an electrode is expanded and shown in (C).

권심 중앙의 코어부(450)에는, 코일(452)이 감겨져 있다. 그리고, 권심 단면의 칼날부(454)에는, 권심 안쪽에서 바깥쪽을 따라서 관통공(456)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또한 측면 및 단면에 전극(458)이 형성되어 있다. 코일(452)의 인출선 도체(460)는, 각각 칼날부(454)의 관통공(456)에 삽입되어 있다. 코일 인출선 도체(460)의 선단은, 전극(458)에 대하여 예를 들면 도전성 페이스트에 의해 접합한다.The coil 452 is wound around the core part 450 of the core. And through-hole 456 is provided in the blade part 454 of the core end surface from the inside of the core to the outer side, and the electrode 458 is formed in the side surface and the cross section. The leader wire conductor 460 of the coil 452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456 of the blade portion 454, respectively. The tip of the coil leader wire conductor 460 is joined to the electrode 458 by, for example, a conductive paste.

이렇게, 본 실시예에 의하면, 코일 인출선 도체(460)가 칼날부(454) 내에 삽입되어 칼날부(454)의 측면에는 설치되지 않는다. 따라서, 코일 인출선 도체(460)에 대한 외력의 작용이 저감되어, 전극(458)과의 결합은 양호하게 유지된다. 또한, 칼날부(454)의 측면이 양호하게 평탄하게 유지되므로, 기판측 도체패턴(도시 생략)과의 결합도 양호해진다. 더욱이, 관통공(456)이 코어부(450)에 가까울수록, 코일 인출선 도체(460)에 대한 외력의 영향이 저하하여, 코일 인출선 도체(460)의 단선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u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coil leader wire conductor 460 is inserted into the blade portion 454 and is not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blade portion 454. Therefore, the action of the external force on the coil leader wire conductor 460 is reduced, so that the coupling with the electrode 458 is maintained well. In addition, since the side surface of the blade portion 454 is kept flat, the bonding with the substrate-side conductor pattern (not shown) is also good. In addition, the closer the through hole 456 is to the core portion 450, the less the influence of the external force on the coil lead wire conductor 460, thereby preventing disconnection of the coil lead wire conductor 460.

다음으로, 도 23을 참조하면서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동 도면(A)에 나타내는 실시예로부터 설명하면, 칼날부(470)의 측면에 각각 단면 U자형상의 홈(472)이 형성되어 있고, 더욱이 칼날부(470)의 측면 및 단면에 전극(47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전극(474)의 표면에 요철(476)이 형성되어 있다. 요철(476)은, 예를 들면 샌드블래스트, 선택에칭 등의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코일 인출선 도체(도시 생략)는, 홈(472) 내에 있어서 전극(474)과 압착접합되지만, 이 때, 전극(474)의 요철(476)이 연결되게 되어, 양자의 결합의 강도가 향상된다. 또한, 이 실시예와 도 18의 실시예를 조합하여, 인출선 도체측과 전극측의 쌍방에 요철을 형성하면, 다시 양자의 결합강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Next, another Example is described, referring FIG. First, referr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same drawing (A), the U-shaped grooves 472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blade portion 470, and the electrodes (side) and the end surfaces of the blade portion 470 are formed. 474 is formed. In the present embodiment, unevenness 476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de 474. The unevenness 476 can be formed by, for example, sandblasting or selective etching. The coil lead wire conductor (not shown) is press-bonded to the electrode 474 in the groove 472, but at this time, the unevenness 476 of the electrode 474 is connected, so that the strength of the coupling between the two is improved. . In addition, by combining this embodiment with the embodiment of Fig. 18, if the unevenness is formed on both of the leader line conductor side and the electrode side, the bonding strength of both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홈(472)을 형성했기 때문에, 인출선 도체와 전극(474)와의 접합면적이 증대하여, 이것에 의해서도 접합강도가 증가하게 된다. 더욱이, 인출선 도체가 홈(472) 내에 수집되도록 되어 전극(474)으로부터의 돌출이 저감된다. 이 때문에, 기판(도시생략)의 전극패턴과의 접합성이 향상하고, 부착도 안정하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groove 472 is formed, the bonding area between the leader wire conductor and the electrode 474 increases, whereby the bonding strength also increases. Moreover, the leader wire conductor is allowed to collect in the groove 472 so that the protrusion from the electrode 474 is reduced. For this reason, the adhesiveness with the electrode pattern of a board | substrate (not shown) improves, and attachment is also stable.

다음으로, 동 도면(B)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칼날부(480)에는 홈(482)이 형성되어 있고, 그 측면 및 단면에는 전극(48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코일 인출선 도체(486)의 선단이 칼날부(480)의 단면(480A)보다 안쪽의 위치에서, 전극(484)에 접합된다. 코일 인출선 도체(486)의 선단이 칼날부(480)의 단면(480A)까지 오면, 도금시나 벌크실장시에 선단부분이 마찰되어 코일 인출선(486)이 전극(484)으로부터 박리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 의하면 그러한 박리가 양호하게 방지된다.Next, the Example shown to the same figure (B) is demonstrated. Grooves 482 are formed in the blade portion 480, and electrodes 484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s and the end surfaces thereof. In this embodiment, the tip of the coil leader wire conductor 486 is joined to the electrode 484 at a position inside the cross section 480A of the blade portion 480. When the tip of the coil lead wire conductor 486 reaches the cross section 480A of the blade portion 480, the tip portion is rubbed during plating or bulk mounting, so that the coil lead wire 486 may peel off from the electrode 484.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uch peeling is prevented favorably.

다음으로 동 도면(C)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칼날부(490)에는 홈(492)이 형성되어 있고, 그 측면 및 단면에는 전극(49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코일 인출선 도체(496)의 선단이 홈(492)보다도 돌출해 있고, 그 선단이 칼날부(490)의 각부 R형상을 따라서 단면측에 감겨 들어가, 전극(494)에 접합되어 있다. 코일 인출선 도체(496)의 선단이 칼날부 단면까지 감겨 들어가 있기 때문에, 전극(494)과의 접합면적이 증대하고, 양자의 결합강도가 향상한다. 따라서, 도금시나 실장시에 있어서의 코일 인출선 도체(496)의 선단부분의 박리가 양호하게 방지된다.Next, the Example of the same drawing (C) is demonstrated. Grooves 492 are formed in the blade portion 490, and electrodes 494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s and the end surfaces thereof. In this embodiment, the tip of the coil lead wire conductor 496 protrudes more than the groove 492, and the tip is wound around the end face along the R-shape of the blade portion 490 and joined to the electrode 494. It is. Since the tip of the coil lead wire conductor 496 is wound up to the blade section end face, the junction area with the electrode 494 increases, and the bond strength of both improves. Therefore, peeling of the tip part of the coil lead wire conductor 496 at the time of plating or mounting is prevented favorably.

다음으로, 도 24를 참조하면서, 외장부분의 평탄성을 개량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동 도면(A)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외장을 실시한 직후의 단면이 나타나 있다. 동 도면에 있어서, 권심(510)은, 중앙의 코어부(512)의 단부에 사각형상의 칼날부(514)가 각각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칼날부(514)의 각 측면 및 단면에는, 코일 인출선 접속용 전극(516)이 형성되어 있다. 코어부(512)에는, 코일(518)이 감겨져 있고, 그 양단의 인출선(520)은, 전극(516)에 각각 열압착 등의 방법으로 접합되어 있다. 더욱이, 전극(516)의 표면에는, Ni 등에 의한 도금(522)이 실시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24, the Example which improved the flatness of an exterior part is demonstrated. The same figure (A) shows the cross section immediately after applying the exterior in the present Example. In the figure, the core 510 has a structure in which rectangular blade portions 514 are provided at ends of the central core portion 512, respectively. Coil leader wire connection electrode 516 is formed in each side surface and end surface of the blade part 514. The coil 518 is wound around the core part 512, and the lead wires 520 at both ends thereof are joined to the electrode 516 by a method such as thermocompression bonding. Furthermore, plating 522 by Ni or the like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electrode 516.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코일(512)상에 도료 내지 수지에 의해 외장코오트가(524)가 실시된다. 이 외장(524)은, 동 도면(B)에 (A)의 측면을 나타내듯이, 도금(522)보다도 바깥쪽으로 나오도록 충분히 크게 실시한다. 이 상태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외장 코오트(524)가 연마 등에 의해 가공되어, 도금(522)으로 돌출한 부분이 제거되어 평탄화된다. 이것에 의해, 사각기둥형상의 각 측면의 평면성이 향상되어, 흡착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음과 함께, 기판상에 있어서의 안정성도 향상된다. 더욱이, 외장코오트(524)의 연마를 칼날부(514)의 측면보다도 깊게 행하도록 하면, 기판과의 간격을 정도 좋게 형성할 수 있다. 평면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은, 여기에 나타낸 연마에만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금형을 사용한 인젝션수지성형에 의한 방법이라도 좋다.In the present embodiment, however, the exterior coat 524 is applied on the coil 512 by paint or resin. The exterior 524 is made sufficiently large so as to emerge outward from the plating 522, as shown in FIG. In this stat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uter coat 524 is processed by polishing or the like, and the portion protruding to the plating 522 is removed and flattened. Thereby, the planarity of each side surface of a square pillar shape improves, adsorption can be performed favorably, and stability on a board | substrate also improves. Further, when the exterior coat 524 is polished deeper than the side surface of the blade portion 514, the distance from the substrate can be formed to a good degree. The method of improving planarity is not only limited to the grinding | polishing shown here, For example, the method by injection resin molding using a metal mold | die may be sufficient.

도 24(C)에는, 실장시의 상태가 나타나 있고, 외장코오트(524)에는 간격(52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판(528)상의 다른 부품(530)이 간격(526) 내가 되도록, 코일형 전자부품이 실장되어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외장코오트(524)의 칼날부측이 다소 남도록 하여 간격(526)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코일(518)의 인출선(520)과 전극(516)과의 접합에 외장코오트의 연마가공에 의하여 지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state at the time of mounting is shown by FIG. 24C, and the space | column 526 is formed in the exterior coat 524. As shown to FIG. And the coil type electronic component is mounted so that the other components 530 on the board | substrate 528 may be in the space | interval 526. As shown in FIG. In this example, the gap 526 is formed with the blade side of the exterior coat 524 remaining somewhat. This is to prevent trouble from being caused by the polishing process of the outer coat at the junction between the leader line 520 of the coil 518 and the electrode 516.

다음으로, 도 25(A),(B)의 예는, 외장코오트의 평탄부분의 비율에 관한 실시예이다. 외장코오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흡착성이나 안정성의 관점에서 평탄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그 전체가 평탄할 필요는 없다. 즉, (A)에 평면, (B)에 (A)의 #4-#4선을 따라서 화살표방향으로 본 단면을 나타내듯이, 코어부(539)에는 코일(541)이 감겨져 있고, 양단의 전극부(540)는 사각기둥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중앙의 외장코오트(542)는, 각 측면에 있어서의 평탄면(544)의 폭(WP)의 비율이 측면 전체의 폭(WT)에 대하여 30%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 정도의 평탄화도, 양호하게 그 흡착을 행할 수 있고, 기판상에 있어서의 안전성도 유지할 수 있는 것이 판명되고 있다. 또한, 평탄면이고 해도, 완전평면일 필요는 없고, 다소의 굴곡이 있어도 좋다.Next, the example of FIG. 25 (A), (B) is an Example regarding the ratio of the flat part of an exterior coat. As described above, the exterior coat is preferably flat from the viewpoint of adsorptivity and stability, but it is not always necessary that the exterior coat is flat. That is, the coil 541 is wound around the core part 539 as shown in the arrow direction along the # 4- # 4 line of (A) to (A) plane, (B), and the electrode of both ends, The part 540 has a rectangular pillar shape. However, in the center exterior coat 542, the ratio of the width WP of the flat surface 544 in each side surface is 30% with respect to the width WT of the whole side surface. However, it has been found that this degree of flattening can be satisfactorily carried out and the stability on the substrate can be maintained. In addition, even if it is a flat surface, it is not necessary to be a perfect plane and there may be some curvature.

동 도면(C)에 나타내는 실시예는, 칼날부(550)사이의 코일(552) 위에 형성된 외장코오트(554)의 표면을 거친 면(요철)으로 한 예이다. 이러한 거친 면을 얻는 방법으로서는, (1)외장코오트의 도료로서 점성이 높은 것을 사용하는 것으로, 코일(552)의 요철이 약간 도드라지도록 한다, (2)외장도료에 소정 굵기의 필라를 섞는 것에 의해 외장코오트의 표면 거칠기를 크게 한다, 등이다. 이렇게, 외장코오트(554)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는 것으로, 벌크공급시에 부품이 서로 마찰되는 것에 의한 정전기의 발생이 저감된다. 또한, 실장시에 흡착노즐을 돌릴 때에 발생하는 부품의 위치이탈도 저감된다.The embodiment shown in the same figure (C) is an example which made the surface (uneven | corrugated) which roughened the surface of the exterior coat 554 formed on the coil 552 between the blade parts 550. As shown in FIG. As a method of obtaining such a rough surface, (1) Use a highly viscous paint as a coating material for the exterior coating so that the unevenness of the coil 552 is slightly raised. (2) To mix a pillar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with the exterior coating. This increases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exterior coat. Thus, by forming minute unevenness on the surface of the exterior coat 554, the generation of static electricity due to the friction of the components with each other during the bulk supply is reduced. In addition, the positional deviation of components generated when the suction nozzle is turned during mounting is also reduced.

다음으로, 도 25(D)에 나타내는 실시예는, 기판위에 있어서의 도전성페이스트, 예를 들면 납땜에 관한 예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듯이, 본 예에 의하면, 전극부(560)의 각 측면에 홈(56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562)의 어느 하나에 코일의 인출선(도시 생략)이 접합되어 있다. 기판(564)상에 부품을 놓으면, 정확히 도 25(D)에 나타내듯이 된다. 이 상태에서 땜납(566)을 붙이면, 땜납(566)이 홈(562)에 끌려 들어가게 되어, 소량의 땜납이라도 양호한 필렛을 형성할 수 있고, 큰 접합강도가 얻어지게 된다. 이 때문에, 소형화, 경량화에 적합하다. 종래와 같이, 전극(560)의 전체에 땜납을 붙이면, 그 땜납의 영향으로 부품이 나눠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그러한 문제점도 양호하게 개선된다.Next, the Example shown to FIG. 25D is an example regarding the electrically conductive paste on a board | substrate, for example, soldering. As shown in the figure, according to this example, grooves 562 are formed in each side surface of the electrode portion 560, respectively. The lead wire (not shown) of the coil is joined to any one of 562. When the component is placed on the substrate 564, it is exactly as shown in Fig. 25D. When the solder 566 is attached in this state, the solder 566 is attracted to the grooves 562, so that even a small amount of solder can form a good fillet and a large bonding strength can be obtained. For this reason, it is suitable for downsizing and weight reduction. As in the related art, when solder is attached to the entire electrode 560, problems such as the division of parts due to the influence of the solder occur, but such problems are also improved in this embodiment.

다음으로, 도 26(A)에 나타내는 실시예는 부품의 높이가 낮아진 예이고, 권심의 칼날부(570)의 단면형상이 장방형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칼날부(570)의 사이의 코어부(572)는, 동 도면(B)에 #5-#5선에 따라서 화살표방향으로 본 단면을 나타내듯이, 타원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칼날부(570)의 측면에는, 코일 인출선 접속용 홈(57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칼날부(570)의 긴 변 쪽의 측면이 기판면과 접촉하는 배치로 한 것으로, 부품의 높이가 낮아지는 것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칼날부(570)의 짧은 변 쪽의 측면이 기판면과 접촉하는 배치로 되는 것으로, 부품의 전유면적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본 예에 의하면, 같은 부품을, 낮은 높이, 적은 실장면적의 용도에 따라서 나누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코어부 단면을 타원으로 하는 것으로, 코어면적이 확보되어 있다.Next, the Example shown to FIG. 26 (A) is an example in which the height of a component became low,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blade part 570 of the core is set to rectangle. And the core part 572 between these blade parts 570 is elliptical shape, as shown in the figure (B) as shown in the arrow direction along the # 5- # 5 line. Moreover, the coil lead wire connection groove | channel 574 is formed in the side surface of the blade part 570, respectively. The side surface of the long side of the blade portion 570 is arranged in contact with the substrate surface, and the height of the component can be reduced. Moreover, since the side surface of the short side of the blade part 570 is arrange | positioned in contact with a board | substrate surface, the whole oil area of a component can be reduced. According to this example, the same component can be divided and used according to the use of a low height and a small mounting area. Moreover, the core area is ensured by making an ellipse the cross section of a core part.

동 도면(C)에 나타내는 실시예는, 칼날부(580)의 전극(582)과, 코일(584)의 인출선(586)과의 접합부분에, 퓨우즈(588)를 형성한 예이다. 이 예에서는, 퓨우즈(588)의 기능이 충분히 달성되도록, 전극(582)이 두꺼운 막으로 형성된다. 퓨우즈(588)가 소정 전류 이상으로 끊을 수 있도록 설계한 것으로, 회로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퓨우즈를 별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소형화, 경량화에도 기여한다. 또한, 퓨우즈 이외의 다른 회로요소, 예를 들면 저항이나 콘덴서를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칼날부(580)에 홈 등의 오목부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 내에 회로요소를 형성하도록 하면, 실상상 매우 적합하다.The embodiment shown in the same drawing (C) is an example in which the fuse 588 is formed at the junction between the electrode 582 of the blade portion 580 and the lead line 586 of the coil 584. In this example, the electrode 582 is formed of a thick film so that the function of the fuse 588 is sufficiently achieved. The fuse 588 is designed to be cut off by a predetermined current or more, so that the circuit can be protected. In addition, there is no need to install fuses separately, which contributes to miniaturization and light weight. Further, other circuit elements other than fuses, for example, resistors and capacitors may be formed. In the blade portion 580, if a recess such as a groove is formed and a circuit element is formed in the recess, it is practically suitable.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권심은, 예를 들면 페라이트나 아르미나를 소성하는 것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단부의 칼날부의 표면에 형성된 전극은, Ag, Ag-Pb,Ag-Pi,Cu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1∼60㎛의 박막층 내지는 두꺼운 막층과, 그 위에 형성된 Ni,Sn,Sn-Pb 등에 의한 1∼10㎛의 도금층에 의하여 형성된다. 또한 치수의 한 예를 나타내면, 권심의 길이는 1.6㎜정도, 폭 및 높이는 0.08㎜정도이다. 권심 중앙의 코어부의 지름은 0.2∼0.7㎜이고, 칼날부(16)의 폭은 0.02∼0.5㎜이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core is formed by firing ferrite or armina, for example. The electrod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lade portion at the end includes a thin film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 to 60 µm or a thick layer mainly composed of Ag, Ag-Pb, Ag-Pi, Cu, or the like, and Ni, Sn, Sn-Pb or the like formed thereon. Formed by a plating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 to 10 µm. Moreover, when an example of a dimension is shown, the length of a core is about 1.6 mm, and the width and height are about 0.08 mm. The diameter of the core part in the center of the core is 0.2-0.7 mm, and the width | variety of the blade part 16 is 0.02-0.5 mm.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1)코일상에 평탄화된 표면을 갖는 외장재를 형성하는 것으로 했으므로, 프린트기판에 자동장착기로 실장할 때, 이 흡인노즐로 용이 또는 확실히 흡착하여 부품을 이송할 수 있다.(1) Since an exterior member having a flattened surface is formed on the coil, when the printer is mounted on the printed board as an automatic mounting machine, the suction nozzle can be easily or reliably adsorbed to transfer the parts.

(2)부품 전체가 각주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원형의 칼날을 갖는 드럼형 권심의 경우와 같이 프린트기판 위를 구르지 않고, 실장하기 쉽다.(2) Since the whole part is in the shape of a column, it is easy to mount without rolling on the printed board as in the case of the drum type core having a circular blade.

(3)권심용 소체에 중심을 나타내는 요철을 형성하는 것으로 했으므로, 정도가 높은 가공을 행할 수 있음과 함께, 작업성도 향상된다.(3) Since the unevenness | corrugation which shows the center is formed in the core body for core winding, while high degree of processing can be performed, workability also improves.

(4)전극을 없애서 가공형성하도록 했기 때문, 그 형성정도가 향상된다.(4) Since the electrode was removed to form the workpiece, the degree of formation was improved.

(5)권심용 소체의 단부에 캡을 부착하는 것으로 했으므로, 각종 형상으로 양호하게 대응할 수 있다.(5) Since the cap is attached to the end of the core body, it can cope well with various shapes.

(6)코일 중에 도료를 밀어놓는 것으로 했으므로, 절연성이 향상한다.(6) Since the paint is pushed in the coil, insulation improves.

(7)권심의 코어부를 거친 면으로 했으므로, 코일의 위치이탈이 방지된다.(7) Since the core part of the core is roughened, the coil is prevented from being displaced.

(8)칼날부와 코어부의 접합부분에 굴곡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했으므로, 강도가 향상된다.(8) Since the bent portion is formed at the joint portion of the blade portion and the core portion, the strength is improved.

(9)제조에 필요한 작업수가 저감되어 생산성이 개선되고, 각종 회로에 대응할 수 있는 다양한 코일형 전자부품을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9) The number of work required for manufacturing is reduced, productivity is improved, and various coil type electronic components that can cope with various circuits can be efficiently produced.

(10)인출선을, 권심길이방향에 대하여 벗어난 위치에서 상기 전극에 접속하는 것으로 했으므로, L이나 Q를 조정할 수 있다.(10) Since the lead wire was connected to the electrode at a position deviated from the winding length direction, L and Q can be adjusted.

(11)보호용 외장을 형성하는 것으로 했으므로, 단선 등이 방지되어 품질과 생산성이 향상된다.(11) Since the protective sheath is to be formed, disconnection and the like are prevented and the quality and productivity are improved.

(12)코일 인출선 도체, 또는 전극의 적어도 한 쪽의 접합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것으로 했으므로, 양자의 접합이 강화된다. 또한, 권심의 칼날부에 홈을 설치하는 것으로 했으므로, 양자의 접합면적이 증대하고, 더욱이 접합력이 강화됨과 함께, 칼날측면이 평탄화되어 실장에 매우 적합하게 된다.(12) Since the unevenness | corrugation was formed in the coil lead wire conductor or the at least one joining surface of an electrode, joining of both is strengthened. In addition, since the groove is provided in the blade portion of the core, the joining area of both is increased, the bonding force is further strengthened, and the blade side surface is flattened to be very suitable for mounting.

(13)전극을 도전성 페이스트로 형성할 때에, 결합제가 칼날부측에서 크게 인출선 도체측에서 자아지도록 농도조정했으므로, 칼날부와 전극, 전극과 코일 인출선 도체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접합강도가 증대한다.(13) When the electrode was formed of a conductive paste, the concentration was adjusted so that the binder was largely grown on the leader line conductor side at the blade side, so that the bonding strength was increased in all of the blade portion, the electrode, the electrode, and the coil leader wire conductor.

(14)칼날부의 홈을 역테이퍼형상으로 했으므로, 코일 인출선 도체가 홈 내로 박히게 되고, 결합강도가 증대하여 도체의 박리가 방지됨과 함께, 칼날측면이 평탄화되어 양호하게 실장가능하게 된다.(14) Since the groove of the blade portion is in the reverse tapered shape, the coil lead wire conductor becomes lodged in the groove, the bonding strength is increased, the peeling of the conductor is prevented, and the blade side is flattened and can be mounted satisfactorily.

(15)칼날부의 관통공을 설치하고, 이것에 코일 인출선 도체를 삽입하는 것으로 했으므로, 도체의 박리가 방지됨과 함께, 칼날부의 평탄측면이 그대로 유지되어 실장에 적합하다.(15) Since the through hole of the blade portion is provided and the coil lead wire conductor is inserted therein, the peeling of the conductor is prevented, and the flat side surface of the blade portion is maintained as it is and is suitable for mounting.

(16)코일 인출선 도체의 선단이, 칼날부의 홈의 약간 안쪽의 위치로 하거나, 혹은, 칼날부 단면에 돌아서 들어가는 위치로 하는 것으로, 도금시나 실장시에 있어서의 도체의 박리가 양호하게 방지된다.(16) The tip of the coil lead wire conductor is set to a position slightly inside the groove of the blade portion, or the position of turning around the blade portion end face, whereby peeling of the conductor at the time of plating or mounting is prevented satisfactorily. .

(17)전극부로부터 부풀어지도록 형성된 외장코오트를 제거하는 것에 의하여 소정형상으로 가공하는 것으로 했으므로, 정도 좋게 평면화를 실현하여 실장성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필요가 있으면, 소망간격을 정도 좋게 형성할 수 있다.(17) Since the external coat formed to be inflated from the electrode portion is removed to be processed into a predetermined shape, the planarization can be achieved with good planarity and the mountability can be improved. If necessary, the desired interval can be formed to a good degree.

(18)외장코오트 표면을 거친 면으로 했으므로, 정전기의 발생과 위치이탈이 저감되어, 실장성이 개선된다.(18) Since the surface of the exterior coat was made into a rough surface, the generation and displacement of static electricity was reduced, and the mountability was improved.

(19)전극부 측면에 홈을 형성하는 것으로 했으므로, 소량의 땜납 또는 도전페이스트로 높은 기판과의 접합강도를 얻을 수 있고, 실장성이 개선된다.(19) Since grooves are formed on the side of the electrode portion, bonding strength with a high substrate can be obtained with a small amount of solder or conductive paste, and the mountability is improved.

(20)칼날부를, 단면이 장방형의 사각기둥형상으로 했으므로, 높이가 낮아지는 것과 실장면적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20) Since the blade section has a rectangular rectangular cross section, the height can be reduced and the mounting area can be reduced.

(21)코일 인출선과 전극과의 사이에 회로요소를 형성하는 것으로 했으므로, 부품점수를 삭감하여, 나아가서는 실장성을 개선할 수 있다.(21) Since a circuit element is formed between the coil lead wire and the electrode,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and hence the mountability can be improved.

이 설명에는 수많은 실시예가 있고, 이상의 개시에 기초하여 다양하게 개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것도 포함된다.There are many embodiments in this descrip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ased on the above disclosure. For example, the following is also included.

(1)상기 실시예에서는, 코어 중앙이 원주형상, 칼날부가 사각형상의 권심을 나타냈지만, 코어 중앙부를 사각기둥형상으로 하는 등 각종 권심형상으로 하는 것을 방해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코어부의 한 쪽에만 칼날부를 구비한 종형의 코일형 전자부품에도 작용가능하다. 칼날부 측면의 홈의 유무도 마찬가지다. 코일 인출선을 접합하는 칼날부의 홈은 1개소라도 좋지만, 칼날부의 측면에 각각 설치하는 것과 실장과 특성조정에 적합하다. 각 부분에 사용하는 재료도, 필요에 따라서 적정히 선택해도 좋다.(1) In the above embodiment, the core center has a cylindrical shape and the blade portion has a rectangular core, but it does not prevent the core center from having various core shapes such as a rectangular pillar shape. For example, it can act also on the vertical coil type electronic component which has a blade part only in one side of a core part. The same is true of grooves on the side of the blade. The groove of the blade portion joining the coil lead wire may be one place, but it is suitable for mounting on the side of the blade portion and for mounting and characteristic adjustment. You may select suitably the material used for each part as needed.

(2)상기 실시예를 조합하도록 해도 좋다.(2) The above embodiments may be combined.

(3)상기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주로 하여 인덕터에 적용했지만, 그 이외의 일반모드 쵸오크 코일, 트랜스, 비이즈 어레이 등, 각종 코일형 전자부품에 적용가능하다.(3) In the abov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mainly applied to an inductor, but can be applied to various coil type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general mode choke coils, transformers, and beads arrays.

(4)상기 실시예에서는, 은페이스트 등으로 전극을 형성했지만, 도금, 스푸터, 증기 등, 각종 방법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은 페이스트이 외에, Cu,Ni,Ni-Cr 등의 페이스트와 도전성 수지를 사용해도 좋다.(4) Although the electrode was formed from silver paste or the like in the above embodiment, various methods such as plating, sputtering, and steam may be used. In addition to the silver paste, a paste such as Cu, Ni, Ni-Cr, or a conductive resin may be used.

Claims (25)

코어 및 그 양단에 설치된 칼날을 포함하는 권심;A core comprising a core and blades installed at both ends thereof; 상기 칼날에 형성된 외부전극;An external electrode formed on the blade; 상기 코어에 감겨, 인출선이 상기 외부전극에 접속된 코일;A coil wound around the core and having a lead wire connected to the external electrode; 상기 코일상에 형성되어 있고, 평탄화된 표면을 갖는 외장재;An exterior member formed on the coil and having a flattened surface;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형 전자부품.Coil-type electronic component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의 측면에 있어서, 권심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벗어난 위치에, 상기 외부전극에 상기 인출선을 접속하기 위한 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형 전자부품.The coil type electronic component as set forth in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groove for connecting the lead wire to the external electrode at a position deviated from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re on the side surface of the blade.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선 또는 상기 외부전극의 적어도 한쪽의 접합면에 요철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형 전자부품.The coil type electronic compone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irregularities are formed on at least one joining surface of the leader line or the external electr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전극을 도전성 페이스트에 의하여 상기 칼날에 형성함과 함께,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 중의 접합제를, 칼날측에서 크고, 인출선 측에서 작아지도록 농도조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형 전자부품.The coil typ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ternal electrode is formed on the blade by a conductive paste, and the bonding agent in the conductive paste is density-adjusted so as to be larger on the blade side and smaller on the leader line side. Electronic par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전극이, 상기 칼날과의 밀착성이 높은 층과, 상기 인출선과의 접합성이 높은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형 전자부품.The coil type electronic compone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ternal electrode includes a layer having high adhesion to the blade and a layer having high adhesion to the leader l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홈을 형성하여, 이 홈에 상기 코일의 인출선을 수납하여 상기 외부전극과 접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형 전자부품.The coil type electronic compone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groove is formed in at least one side surface of the blade, and the lead wire of the coil is received in the groove and bonded to the external electrod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홈을 역테이퍼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형 전자부품.The coil type electronic component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groove is formed in an inverted taper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에 관통공을 형성함과 함께, 이 관통공에 상기 코일의 인출선을 통과하여 상기 외부전극과 접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형 전자부품.The coil type electronic compone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blade, and the through hole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electrode through a lead line of the coi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선의 선단이 상기 칼날의 어느 하나의 내면이 되는 위치에서, 상기 인출선과 상기 외부전극을 접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형 전자부품.The coil type electronic compone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ad wire and the external electrode are joined at a position where the tip of the lead wire becomes one of the inner surfaces of the bla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형 전자부품.The coil type electronic compone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fine irregularities are formed on a surface of the packaging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의 권심길이방향 수직의 단면을 타원형상으로 함과 함께, 상기 칼날의 권심길이방향 수직의 단면을 장방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형 전자부품.The coil type electronic compone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ross section of the co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re is made oval and a cross section of the co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ade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인출선과 상기 외부전극과의 사이에 회로요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형 전자부품.The coil type electronic compone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ircuit element is provided between the lead wire of the coil and the external electrode. 권심용 소체를 가공하여 코어와 칼날을 포함하는 권심을 얻는 공정;Processing a core body for cores to obtain cores including a core and a blade; 상기 칼날에 외부전극을 형성하는 공정;Forming an external electrode on the blade; 상기 코어에 코일을 감는 것과 함께, 그 인출선을 상기 외부전극에 접속하는 공정;Winding a coil around the core and connecting the lead wire to the external electrode; 평탄화된 표면을 갖는 외장재를 상기 코일에 설치하는 공정;Installing a sheath having a planarized surface on the coil;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형 전자부품의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a coil-type electronic component comprising a.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권심용 소체의 단면에 중앙부를 내기 위한 오목부 내지는 볼록부를 형성하고, 이들 오목부 내지는 볼록부를 중심으로 하여 권심용 소체를 회전시켜서 가공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형 전자부품의 제조방법.1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further comprising a step of forming a concave portion or a convex portion for forming a central portion in a cross section of the core body, and rotating and processing the core body around the concave portion or the convex portion. Manufacturing method of coil type electronic componen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권심용 소체의 단면에 중앙부를 내기 위한 리이드선을 형성하고, 이 리이드선을 중심으로 하여 권심용 소체를 회전시켜서 가공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형 전자부품의 제조방법.The coil type electronic component according to claim 13, further comprising a step of forming a lead wire for extending a center portion at a cross section of the core body, and rotating and processing the core body around the lead wire. Manufacturing metho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권심용 소체의 측면에 지지용 오목부 내지는 볼록부를 형성하여, 이들 오목부 내지는 볼록부를 이용하여 권심용 소체를 지지함과 함께 회전시켜서 가공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형 전자부품의 제조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further comprising a step of forming a supporting recess or a convex portion on a side surface of the core body, and supporting the core body for rotation by using the recess or the convex portion to rotate the workpiece. Method of manufacturing a coil-type electronic componen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권심용 소체에 전극을 형성하고, 그 일부를 가공시에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형 전자부품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oil-type electronic component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an electrode is formed in the core body and a part of the core is removed during processing.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에 가공용 캡을 부착함과 함께, 상기 코일을 상기 외부전극에 접합한 후에 상기 캡을 떼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형 전자부품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oil-type electronic component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cap is attached to the blade and the cap is detached after the coil is bonded to the external electrod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권심용 소체의 단면에, 상기 칼날 내지는 상기 외부전극으로 해서 기능하는 캡을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형 전자부품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oil-type electronic component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a cap functioning as the blade or the external electrode is attached to a cross section of the core body.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권심용 소체에 있어서의 상기 코어의 표면을 거친 면으로 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형 전자부품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oil-type electronic component according to claim 13, further comprising a step of forming a surface roughened by the surface of the core in the core body.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와 상기 칼날의 접합개소에 곡면부분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형 전자부품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oil-type electronic component according to claim 13,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forming a curved portion at a junction between the core and the blad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전극을, 점성이 높은 담금액을 사용하여 담금법에 의해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형 전자부품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oil type electronic component according to claim 13,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forming the external electrode by a immersion method using a high viscosity liquid solution.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로서 수지를 사용함과 함께, 이 수지를 상기 코일 사이에 밀어 넣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형 전자제품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oil-type electronic product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resin is used as the packaging material and the resin is pressed between the coil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로서 수지를 사용함과 함께, 이 수지를 여러 번 나누어서 상기 코일에 도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형 전자부품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oil type electronic component according to claim 13, further comprising a step of dividing the resin several times and applying the resin to the coil while using a resin as the packaging material.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로서 수지를 사용함과 함께, 이 수지를 상기 외부전극의 표면보다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도포하는 공정;The method of claim 13, further comprising: applying a resin as the packaging material and projecting the resin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surface of the external electrode; 이 공정에 의해 형성된 외장재의 표면을 제거해서 원하는 형상으로 가공하는 공정;Removing the surface of the packaging material formed by this step and processing it into a desired shape;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형 전자부품의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a coil-type electronic component comprising a.
KR1019970060088A 1996-11-29 1997-11-14 Coil-type Electronic Component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9980042442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334973 1996-11-29
JP33497396A JP3319697B2 (en) 1996-11-29 1996-11-29 Wound electronic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8352817A JPH10172853A (en) 1996-12-14 1996-12-14 Coil type electronic part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96-352817 1996-12-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442A true KR19980042442A (en) 1998-08-17

Family

ID=66092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0088A KR19980042442A (en) 1996-11-29 1997-11-14 Coil-type Electronic Component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2442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834B1 (en) * 2018-07-27 2019-12-09 삼성전기주식회사 Coil component
CN110706901A (en) * 2018-07-10 2020-01-17 三星电机株式会社 Coil component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06901A (en) * 2018-07-10 2020-01-17 三星电机株式会社 Coil component
KR20200006450A (en) * 2018-07-10 2020-01-20 삼성전기주식회사 Coil component
US11335496B2 (en) 2018-07-10 2022-05-17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oil component
CN110706901B (en) * 2018-07-10 2022-10-18 三星电机株式会社 Coil component
KR102052834B1 (en) * 2018-07-27 2019-12-09 삼성전기주식회사 Coil component
CN110783082A (en) * 2018-07-27 2020-02-11 三星电机株式会社 Coil component
US11367561B2 (en) 2018-07-27 2022-06-2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oil compon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4280A (en) Wire wound electronic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6223419B1 (en) Method of manufacture of an improved monolithic inductor
US6535095B2 (en) Wound type common mode choke coil
US10468177B2 (en) Coil component
US10720273B2 (en) Coil component
US10861638B2 (en) Coil component
JPH10172832A (en) Wound electronic parts
JP3443509B2 (en) Wound electronic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960005687B1 (en) Flat coil and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10984943B2 (en) Electronic device
CN113808824A (en) Coil component
JP3402973B2 (en) Manufacturing method for wound type electronic components
JP2000012362A (en) Beads inductor and its manufacture
US6437676B1 (en) Inductance element
KR19980042442A (en) Coil-type Electronic Component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12927887B (en) Core for winding, coil compon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il component
JP3319697B2 (en) Wound electronic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3693529B2 (en) Inductance element
JPH10172853A (en) Coil type electronic part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6912853B2 (en) Coil parts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s
JP2020057655A (en) Coil component and electronic apparatus
US11532427B2 (en) Coil component and electronic device
JP3664534B2 (en) Surface mount type choke coil
KR920008500Y1 (en) Coil
JP2023081522A (en) Coil compon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20312

Effective date: 2003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