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9561A - Sub-screen control device of television receiver - Google Patents

Sub-screen control device of television receiv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9561A
KR19980039561A KR1019960058591A KR19960058591A KR19980039561A KR 19980039561 A KR19980039561 A KR 19980039561A KR 1019960058591 A KR1019960058591 A KR 1019960058591A KR 19960058591 A KR19960058591 A KR 19960058591A KR 19980039561 A KR19980039561 A KR 19980039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illuminance
screen
television receiver
tu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85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명기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60058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9561A/en
Publication of KR19980039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9561A/en

Links

Landscapes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텔레비전 수상기가 설치되는 주위의 조도에 따라 부화면(Picture in Picture)의 주연부 칼라를 조정함으로써 시청자가 부화면을 항상 선명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해주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부화면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주화면을 위한 방송채널을 선국하기 위한 제1 튜너와, 부화면을 위한 방송채널을 선국하기 위한 제2 튜너, 상기 제1 튜너에 의해 선국된 방송채널로부터 제1 영상신호를 검파하는 제1 영상검파수단, 상기 제2 튜너에 의해 선국된 방송채널로부터 제2 영상신호를 검파하는 제2 영상검파수단, 상기 제2 영상신호에 대해 부화면처리를 실행하는 부화면처리수단 및, 상기 제1 영상신호와 상기 부화면처리된 제2 영상신호를 근거로 CRT상에 표시될 영상화면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영상처리수단을 구비한 텔레비전 수상기에 있어서, 텔레비전 수상기가 설치되는 주위의 조도를 검출하기 위한 조도검출수단과, 이 조도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조도에 대응하는 주연부 칼라 제어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수단 및, 상기 조도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조도를 근거로 상기 메모리수단으로부터 제어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부화면처리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b-screen control device of a television receiver that enables viewers to recognize the sub-pictures at all times by adjusting the color of the periphery of the picture in accordance with the ambient light around which the television receiver is installed. A first image tuner for tuning the broadcast channel for the main picture, a second tuner for tuning the broadcast channel for the sub picture, and a first image for detecting a first video signal from the broadcast channel tuned by the first tuner Detection means, second video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 second video signal from a broadcast channel tuned by the second tuner, sub-screen processing means for performing sub-screen processing on the second video signal, and the first video A television receiver having image processing means for generating a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a video screen to be displayed on a CRT based on the signal and the second video signal processed on the sub-screen. The illuminance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the illuminance of the surroundings in which the television receiver is installed, the memory means storing the peripheral color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the illuminance detected by the illuminance detecting means, and the illuminance detecting means And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b-screen processing means by reading control data from the memory means based on the received illuminance.

Description

텔레비전 수상기의 부화면제어장치Sub-screen control device of television receiver

본 발명은 텔레비전 수상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텔레비전 수상기가 설치되는 주위의 조도에 따라 부화면(Picture in Picture)의 주연부 칼라를 조정함으로써 시청자가 부화면을 항상 선명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해주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부화면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levision receiv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levision receiver that adjusts the peripheral color of a picture in picture according to the ambient light around which a television receiver is installed so that viewers can always clearly recognize the sub picture. It relates to a screen control device.

최근, 텔레비전 수상기에 있어서는 하나의 CRT상에 주화면과 부화면의 서로 다른 2개의 방송화면을 생성하여, 시청자가 주화면을 통해 하나의 방송채널을 시청하면서 부화면을 통해 다른 방송채널을 시청할 수 있도록 된 부화면기능이 채용되고 있다.Recently, in a television receiver, two different broadcast screens of a main picture and a sub picture are generated on one CRT, so that a viewer can watch another broadcast channel through a sub picture while watching one broadcast channel through the main picture. The sub-screen function is adopted.

도 1은 상기한 부화면기능을 갖춘 텔레비전 수상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levision receiver having a sub-screen function as described above.

도 1에서 참조번호 1은 방송주파수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이고, 2는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주화면을 위한 방송채널을 선국하기 제1 튜너, 3은 이 제1 튜너(2)에 의해 선국된 방송신호의 중간주파수신호(IF)를 증폭하는 제1 IF증폭부, 4는 이 제1 IF증폭부(3)에서 출력되는 중간주파수신호로부터 음성중간주파수신호(SIF)와 영상중간주파수신호(PIF)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예컨대 표면탄성파 필터(SAW Filter) 등의 제1 P/S분리부, 5는 이 P/S분리부(4)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중간주파수신호(PIF)를 검파하여 주화면을 위한 복합영상신호(CV)를 출력하는 제1 영상검파부이다.In Fig. 1, reference numeral 1 denotes an antenna for receiving a broadcast frequency signal, 2 denotes a first tuner for tuning a broadcast channel for a main pictur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and 3 denotes a tuner by the first tuner 2. A first IF amplifying unit for amplifying the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IF of the broadcast signal; and 4, an audio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SIF and an image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SIF) from the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IF amplifier 3; The first P / S separation unit 5, such as a surface acoustic wave filter (SAW Filter), which separates and outputs the PIF, detects an image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PIF) output from the P / S separation unit 4. A first image detector outputs a composite image signal (CV) for a screen.

또한, 도면에서 참조번호 6은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부화면을 위한 방송채널을 선국하기 제2 튜너이고, 7은 이 제2 튜너(6)에 의해 선국된 방송신호의 중간주파수신호(IF)를 증폭하는 제2 IF증폭부, 8은 이 제2 IF증폭부(7)에서 출력되는 중간주파수신호로부터 영상중간주파수신호(PIF)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제2 P/S분리부, 5는 이 P/S분리부(8)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중간주파수신호(PIF)를 검파하여 부화면을 위한 복합영상신호(CV)를 출력하는 제2 영상검파부이다.In the drawing, reference numeral 6 denotes a second tuner for tuning the broadcast channel for the sub pictur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and 7 denotes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IF of the broadcast signal tuned by the second tuner 6. A second IF amplifying unit for amplifying a, 8 is a second P / S separating unit for separating and outputting an image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PIF) from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IF amplifying unit (7), and A second image detector detects an image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PIF output from the P / S separation unit 8 and outputs a composite image signal CV for a sub picture.

그리고, 참조번호 10은 소정의 제어데이터(DATA) 및 클록신호(CLK)와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H, V)를 근거로 상기 제2 영상검파부(9)에서 출력되는 복합영상신호(CV)를 처리하여 부화면을 위한 R(Red), G(Green), B(Blue) 및 부화면 블랭킹신호(F)를 출력하는 PIP처리부이다.Reference numeral 10 denotes a composite image signal CV output from the second image detector 9 based on predetermined control data DATA and a clock signal CLK and horizontal and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s H and V. FIG. ) Is a PIP processing unit which outputs R (Red), G (Green), B (Blue) and sub-screen blanking signals (F) for the sub-screen.

또한, 도면에서 참조번호 11은 상기 제1 영상검파부(5)에서 출력되는 복합영상신호(CV)와 상기 PIP처리부(10)에서 출력되는 RGB 및 부화면 블랭킹신호(F)를 근거로 CRT상에 표시될 영상화면에 대응하는 RGB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영상처리부이고, 12는 이 영상처리부(11)에서 출력되는 RGB신호를 근거로 CRT를 구동하는 CRT구동부이다In the drawing, reference numeral 11 denotes a CRT image based on the composite image signal CV output from the first image detector 5 and the RGB and sub picture blanking signals F output from the PIP processing unit 10. An image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n RGB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mage screen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and 12 is a CRT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CRT based on the RGB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11).

한편, 도면에서 참조번호 13은 시청자가 텔레비전 수상기를 조작하기 위한 리모콘장치이고, 14는 이 리모콘장치(13)로부터 인가되는 적외선신호를 수신하여 그에 대응하는 전기적인 코드신호를 출력하는 수신부, 15는 이 수신부(14)로부터 인가되는 코드신호에 따라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이다.In the drawing, reference numeral 13 denotes a remote control device for the viewer to operate the television receiver, 14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n infrared signal applied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13 and outputting an electric code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entire apparatus in accordance with the code signal applied from the receiving unit 14.

즉,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리모콘장치(13)를 제어하여 부화면기능을 선택하게 되면, 제어부(15)는 PIP처리부(10)를 제어하여 부화면을 위한 RGB 및 PIP 블랭킹신호(F)를 출력하게 된다.That is, in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user controls the remote control device 13 to select the sub picture function, the control unit 15 controls the PIP processing unit 10 to control the RGB and PIP blanking signals F for the sub picture. Will print

이때, 상기 PIP처리부(10)로부터 출력되는 RGB신호는 제2 튜너(6)에 의해 선국된 방송채널의 영상신호에 대응되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 제2 튜너(6)에 의한 방송채널의 선국은 리모콘장치(13)를 통한 시청자의 선택에 따라 제어부(15)가 제2 튜너(6)를 선국제어함으로써 실행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RGB signal output from the PIP processing unit 10 corresponds to the video signal of the broadcast channel tuned by the second tuner 6, wherein the tuner of the broadcast channel by the second tuner 6 is a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viewer's selection through the device 13, the control unit 15 is executed by pre-international language of the second tuner 6.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PIP처리부(10)로부터 RGB신호와 PIP 블랭킹신호(F)가 출력되게 되면, 영상처리부(11)는 상기 PIP 블랭킹신호(F)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1 영상검파부(5)에서 인가되는 복합영상신호(CV)에 대응하는 RGB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PIP 블랭킹신호(F)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PIP 처리부(10)에서 인가되는 RGB신호를 출력함으로써 CRT상에 제1 튜너(2)에 의한 주화면과 제2 튜너(6)에 의한 부화면을 동시적으로 생성하게 된다.Meanwhile, when the RGB signal and the PIP blanking signal F are output from the PIP processing unit 10 as described above, the image processing unit 11 may be the first image detector when the PIP blanking signal F is not input. (5) outputs an RGB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mposite video signal (CV) applied in the case, and when the PIP blanking signal (F) is input, outputs an RGB signal applied by the PIP processing unit (10) to the CRT The main screen by the first tuner 2 and the sub-screen by the second tuner 6 are simultaneously generated.

그런데, 상술한 부화면기능을 갖춘 텔레비전 수상기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게 된다.By the way, the following problems arise in the television receiver provided with the sub picture function mentioned above.

시청자가 리모콘장치(13)를 조작하여 부화면 기능을 선택하게 되면, 상술한 동작에 따라 CRT상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화면의 소정 영역에 부화면이 생성되게 되고, 이때 상기 주화면과 부화면을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해 소정의 칼라를 갖는 주연부가 표시되게 된다.When the viewer selects the sub picture function by operating the remote control device 13, the sub picture is generated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main screen on the CRT as shown in FIG. 2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In order to clearly distinguish the screen, a peripheral part having a predetermined color is displayed.

여기서, 상기 부화면의 위치와 그 주연부의 칼라는 텔레비전 수상기를 제조할 때 선택되는 것으로서, 제어부(15)는 시청자가 리모콘장치(13)를 조작하여 부화면기능을 선택하게 되면 제조시에 설정된 동작프로그램에 따라 PIP 처리부(10)를 제어함으로써 부화면의 위치와 그 주연부의 칼라를 설정하게 된다.Here, the position of the sub-screen and the color of the periphery of the sub-screen are selected when the television receiver is manufactured, and the control unit 15 operates when the viewer operates the remote controller 13 to select the sub-screen function. By controlling the PIP processing unit 10 in accordance with the program, the position of the sub-screen and the color of its peripheral part are set.

그런데, 상술한 동작시에 만일 주화면에 표시되는 영상화면의 칼라톤과 상기 주연부의 칼라톤이 유사한 경우에는 부화면의 식별을 위해 설정되는 주연부가 주화면의 일부분으로 인식되게 되는 바, 이러한 경우에는 주화면과 부화면의 경계가 불분명해지게 됨으로써 시청자가 부화면을 식별하기가 곤란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if the color tone of the video screen displayed on the main screen and the color tone of the peripheral edge are similar, the peripheral edge set for identification of the sub-screen is recognized as part of the main screen. As the boundary between the screen and the sub-screen becomes unclear, it becomes difficult for a viewer to identify the sub-screen.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시청자가 주화면의 칼라톤에 관계없이 항상 부화면을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해주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부화면제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b-screen control apparatus of a television receiver that enables a viewer to clearly recognize a sub-screen at all times regardless of the color tone of the main screen.

도 1은 일반적인 부화면기능을 갖춘 텔레비전 수상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levision receiver having a general sub-screen function.

도 2는 CRT상에 표시되는 부화면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2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a sub-screen displayed on a CRT;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전 수상기의 부화면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sub picture of a television receiv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서 조도센서의 특성을 나타낸 특성곡선도.Figure 4 is a characteristic curve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lluminance sensor in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Brief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 : 안테나, 2, 6 : 튜너,1: antenna, 2, 6: tuner,

5, 9 : 영상검파부, 10 : 부화면처리부,5, 9: image detector, 10: sub-screen processing unit,

11 : 영상처리부, 31 : 리모콘장치,11: image processing unit, 31: remote control device,

32 : 조도검출부, 33 : 데이터 메모리,32: illuminance detection unit, 33: data memory,

34 : 제어부, 321 : 조도센서,34: control unit, 321: illumination sensor,

322 :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322: analog to digital converter.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텔레비전 수상기의 부화면제어장치는 주화면을 위한 방송채널을 선국하기 위한 제1 튜너와, 부화면을 위한 방송채널을 선국하기 위한 제2 튜너, 상기 제1 튜너에 의해 선국된 방송채널로부터 제1 영상신호를 검파하는 제1 영상검파수단, 상기 제2 튜너에 의해 선국된 방송채널로부터 제2 영상신호를 검파하는 제2 영상검파수단, 상기 제2 영상신호에 대해 부화면처리를 실행하는 부화면처리수단 및, 상기 제1 영상신호와 상기 부화면처리된 제2 영상신호를 근거로 CRT상에 표시될 영상화면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영상처리수단을 구비한 텔레비전 수상기에 있어서, 텔레비전 수상기가 설치되는 주위의 조도를 검출하기 위한 조도검출수단과, 이 조도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조도에 대응하는 주연부 칼라 제어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수단 및, 상기 조도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조도를 근거로 상기 메모리수단으로부터 제어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부화면처리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sub-screen of a television receiver includes a first tuner for tuning a broadcast channel for a main screen, and a second tuner for tuning a broadcast channel for a sub-screen. A first video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 first video signal from a broadcast channel tuned by the first tuner, a second video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 second video signal from a broadcast channel tuned by the second tuner; A sub picture processing means for performing sub picture processing on the second picture signal, and a picture signal corresponding to a picture picture to be displayed on a CRT based on the first picture signal and the sub picture processed second picture signal. A television receiver having image processing means for generating, the illuminance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illuminance around the television receiver is installed, and corresponding illuminance detected by the illuminance detecting means. And memory means for storing peripheral color control data, and control means for reading the control data from the memory means based on the illuminance detected by the illuminance detection means to control the sub-screen processing means. do.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하면, 텔레비전 수상기가 설치되는 주위의 조도에 따라 부화면의 주연부 칼라가 조정되어, 주위의 조도가 높은 경우에는 어두운 계통의 칼라로 주연부 칼라가 설정되고 주위의 조도가 낮은 경우에는 밝은 계통의 칼라로 주연부 칼라가 설정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peripheral color of the sub-screen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ambient illuminance in which the television receiver is installed, and when the ambient illuminance is high, the peripheral color is set to a dark system color and the ambient illuminance is set. In the lower case, the peripheral color is set to the bright color.

따라서, 시청자가 항상 명확하게 주화면과 부화면을 구분하여 텔레비전 수상기를 시청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viewer can always clearly distinguish the main screen and the sub-screen to watch the television receiver.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전 수상기의 부화면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로, 도 3에서 상술한 도 1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ub-screen control apparatus for a television receiv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3,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parts as in FIG. 1,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3에서 참조번호 31은 시청자가 부화면의 주연부 칼라 자동조정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키를 구비한 리모콘장치이다.In FIG. 3, reference numeral 31 denotes a remote controller having a selection key for the viewer to select a peripheral color automatic adjustment function of the sub-screen.

또한, 도면에서 참조번호 32는 텔레비전 수상기가 설치되는 주위의 조도를 검출하기 위한 조도검출부로서, 이는 전원전압(Vcc)과 접지사이에 직렬접속된 저항(R1) 및 조도센서(321)와, 이 저항(R1) 및 조도센서(321)의 접속노드에 결합되어 상기 조도센서(321)에 걸리는 전압치를 디지탈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32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In the drawing, reference numeral 32 denotes an illuminance detector for detecting illuminance around the television receiver, which includes a resistor R1 and an illuminance sensor 321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power supply voltage Vcc and ground. And an analog / digital converter 322 coupled to the connection node of the resistor R1 and the illuminance sensor 321 to convert the voltage value applied to the illuminance sensor 321 into digital data and output the digital data.

도 4는 상기 조도센서(321)의 조도 대 저항특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4(A)는 포지티브형(Positive Type), 도 4(B)는 네가티브형(Negative Type)의 조도센서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FIG. 4 is a diagram showing illuminance versus resistance characteristics of the illuminance sensor 321. FIG. 4 (A) shows a positive type and FIG. 4 (B) shows a negative type of illuminance sensor. will be.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조도센서(321)는 주위의 조도에 따라 그 저항값이 변경되게 된다. 따라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도센서(321)에 걸리는 전압치를 디지탈 데이터로 변환하게 되면, 이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322)로부터는 주위의 조도에 대응하는 디지탈 데이터가 출력되게 된다.As shown in FIG. 4, the illuminance sensor 321 changes its resistance value according to the ambient illuminance. Therefore, as shown in FIG. 3, when the voltage value applied to the illuminance sensor 321 is converted into digital data, the analog / digital converter 322 outputs the digital data corresponding to the ambient illuminance.

또한, 도 3에서 참조번호 33은 PIP 처리부(10)를 제어하여 부화면의 주연부 칼라를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칼라제어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메모리로서, 이 데이터 메모리(33)는 예컨대 ROM테이블로 구성되어 상기 조도검출부(32)에서 출력되는 조도데이터에 각각 대응하여 주연부칼라 제어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게 된다.In FIG. 3, reference numeral 33 denotes a data memory in which a plurality of color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the PIP processing unit 10 to set the peripheral color of the sub-screen are stored. The data memory 33 is, for example, a ROM table. The peripheral color control data is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illuminance data output from the illuminance detection unit 32.

그리고, 도면에서 참조번호 34은 시청자가 상기 리모콘장치(31)를 조작하여 주연부칼라 자동조정기능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조도검출부(32)로부터 인가되는 조도데이터에 따라 상기 데이터 메모리(32)로부터 소정의 칼라제어데이터를 독출하고, 이를 근거로 상기 PIP처리부(10)를 제어함으로써 부화면의 주연부칼라를 제어하는 제어부이다.In the drawing, reference numeral 34 denotes a predetermined value from the data memory 32 in accordance with the illuminance data applied from the illuminance detector 32 when the viewer operates the remote control device 31 to select the peripheral color automatic adjustment function. The color control data is read out,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IP processing unit 10 based on the color control data.

즉, 상기한 구성으로 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시청자가 리모콘장치(31)를 조작하여 주화면의 주연부칼라 자동조정기능을 선택하게 되면, 제어부(34)가 조도검출부(32)로부터 인가되는 조도데이터에 따라 데이터 메모리(33)로부터 주연부칼라 제어데이터를 독출하여 PIP처리부(10)를 제어하게 된다.That is, in the embodiment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hen the viewer operates the remote controller 31 to select the automatic color adjustment function of the peripheral edge of the main screen, the control unit 34 is applied to the illuminance data applied from the illuminance detection unit 32. Accordingly, the peripheral color control data is read from the data memory 33 to control the PIP processing unit 10.

그리고, 이때 상기 데이터 메모리(33)에는 조도데이터에 따른 주연부칼라 데이터가 상호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게 되는 바, 예컨대 조도가 높을수록 어두운 계통의 주연부칼라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데이터가, 조도가 낮을수록 밝은 계통의 주연부칼라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peripheral memory color data according to the illumination data is stored in the data memory 33 in correspondence with each other. For example, the higher the illumination intensity, the brighter the control data for generating the peripheral color of the dark system, Control data for generating the peripheral color of the system is stored.

따라서, 시청자가 부화면의 주연부칼라 자동조정기능을 선택하게 되면, 텔레비전 수상기가 설치되어 있는 주위의 조도, 즉 시청환경이 어두운 경우에는 밝은 계통의 칼라로 주연부가 설정되고, 시청환경이 밝은 경우에는 어두운 계통의 칼라로 주연부가 설정되게 됨으로써 시청자는 항상 주화면과 부화면의 경계부분을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viewer selects the automatic color adjustment function for the peripheral edge of the sub-screen, the peripheral edge of the ambient light in which the television receiver is installed, that is, the dark edge is set in a bright color when the viewing environment is dark, and when the viewing environment is bright By setting the periphery part in the dark color, viewers can always clearly recognize the boundary between the main picture and the sub pictur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텔레비전 수상기가 설치되는 주위의 조도에 따라 부화면의 주연부의 칼라가 자동으로 조정되게 됨으로써 시청자가 항상 주화면과 부화면의 경계부분을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or of the peripheral part of the sub-screen is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illuminance of the surroundings where the television receiver is installed, so that the viewer can always clearly recognize the boundary between the main screen and the sub-screen. .

Claims (2)

주화면을 위한 방송채널을 선국하기 위한 제1 튜너와, 부화면을 위한 방송채널을 선국하기 위한 제2 튜너, 상기 제1 튜너에 의해 선국된 방송채널로부터 제1 영상신호를 검파하는 제1 영상검파수단, 상기 제2 튜너에 의해 선국된 방송채널로부터 제2 영상신호를 검파하는 제2 영상검파수단, 상기 제2 영상신호에 대해 부화면처리를 실행하는 부화면처리수단 및, 상기 제1 영상신호와 상기 부화면처리된 제2 영상신호를 근거로 CRT상에 표시될 영상화면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영상처리수단을 구비한 텔레비전 수상기에 있어서,A first image tuner for tuning the broadcast channel for the main picture, a second tuner for tuning the broadcast channel for the sub picture, and a first image for detecting a first video signal from the broadcast channel tuned by the first tuner Detection means, second video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 second video signal from a broadcast channel tuned by the second tuner, sub-screen processing means for performing sub-screen processing on the second video signal, and the first video A television receiver having image processing means for generating a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a video screen to be displayed on a CRT based on a signal and the second video signal processed on the sub-screen, 텔레비전 수상기가 설치되는 주위의 조도를 검출하기 위한 조도검출수단과,Illuminance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illuminance around the television receiver; 상기 조도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조도에 대응하는 주연부 칼라 제어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수단 및,Memory means for storing peripheral color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the illuminance detected by the illuminance detecting means; 상기 조도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조도를 근거로 상기 메모리수단으로부터 제어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부화면처리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부화면제어장치.And control means for reading the control data from the memory means and controlling the sub picture processing means based on the illuminance detected by the illuminance detection means. 제1항에 있어서, 시청자가 조도에 따른 주연부칼라 자동조정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수단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부화면제어장치.2. The sub-screen control apparatus for a television receiver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selecting means for the viewer to select a peripheral color automatic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illuminance.
KR1019960058591A 1996-11-25 1996-11-25 Sub-screen control device of television receiver KR1998003956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8591A KR19980039561A (en) 1996-11-25 1996-11-25 Sub-screen control device of television recei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8591A KR19980039561A (en) 1996-11-25 1996-11-25 Sub-screen control device of television receiv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9561A true KR19980039561A (en) 1998-08-17

Family

ID=66482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8591A KR19980039561A (en) 1996-11-25 1996-11-25 Sub-screen control device of television receiv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956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6825B1 (en) Image mode selection method and apparatus
KR19980039561A (en) Sub-screen control device of television receiver
KR19980056957A (en) OSD Brightness Control on Television Receiver
KR19990013191A (en) TV receiver with automatic adjustment of OSD brightness according to ambient light
KR100190899B1 (en) Television receiver with osd data automatic change output function in followed televiewer position
KR970000831B1 (en) Method for auto-controlling picture state in tv set
KR19980039562A (en) Sub-screen control device of television receiver
KR200155134Y1 (en) Automatic control apparatus using wide screen signal
KR20000027974A (en)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output of television when exterior signal is inputted
KR0141857B1 (en) Picture control function with television receiver using sub-picture
KR200160088Y1 (en) Light control device of text letter
KR100252618B1 (en) Tv having an automatic adjusting pip color level which is adapted to main color level
KR0158322B1 (en) Television receiver equipped with broadcasting fanal channel osd function
KR19980056954A (en) OSD Color Adjuster on Television Receiver
KR19980039560A (en) Sub-screen control device of television receiver
KR0181803B1 (en) Television receiver with automatic control function output direction osd
KR20000021578A (en) Method for controlling caption display on tv
KR100214806B1 (en) A television having alarm function at starting a tv program
KR19990012838U (en) Device that automatically adjusts the brightness of the OSD screen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ambient light
KR19990021042U (en) Digital Television Receiver with Sub-Screen Position Control
KR20000027972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osd character output of television
KR20000027976A (en) Device for switching into same broadcasting channel of tv and method the same
KR20000040644A (en)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screen based on the user preference
KR19990025599A (en) Television's video / subtitle editing system
KR19990043041A (en) Television receiver with guide character position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