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7718A - Door glass defroster - Google Patents

Door glass defros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7718A
KR19980037718A KR1019960056514A KR19960056514A KR19980037718A KR 19980037718 A KR19980037718 A KR 19980037718A KR 1019960056514 A KR1019960056514 A KR 1019960056514A KR 19960056514 A KR19960056514 A KR 19960056514A KR 19980037718 A KR19980037718 A KR 19980037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lass
door
power supply
wir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65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명동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56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7718A/en
Publication of KR19980037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7718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23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including defroster or demisting means
    • B60S1/02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including defroster or demisting means using electr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글래스 성애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우천시 등의 상태에서 주행할 때 도어 글래스에 발생되는 성애를 빠른시간내에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도어 글래스 성애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프론트 도어의 도어 글래스 표면에 발생된 성애를 제거함에 있어서, 성애 제거수단은 도어 글래서의 내측면에 소정간격으로 전원이 공급되면 가열되는 열선부와, 상기 열선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와, 상기 열선부와 전원공급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중간부에 전원공급부로부터 열선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스위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glass defros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a door that can secure the driver's field of vision by automatically removing the defrost generated in the door glass when driving in a rainy state, etc. The glass defrosting apparatus, and in removing the defrost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door glass of the front door, the defrosting removing means is a hot wire portion that is heated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glass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hot wire portion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a connection unit for connecting the heating unit and the power supply unit, and an operation switch for controlling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to the heating unit in the middle of the connection unit.

Description

도어 글래스 성애 제거장치Door glass defroster

본 발명은 도어 글래스 성애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우천시 등의 상태에서 주행할 때 도어 글래스에 발생되는 성애를 빠른시간내에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이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도어 글래스 성애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glass defros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a door that allows the driver to secure a field of view by automatically removing the defrost generated in the door glass when driving in a rainy state or the like. It relates to a glass defrosting device.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방 양측에는 프론트 도어가 이루어지고, 상기 프론트 도어에는 레귤레이터에 의하여 상, 하로 승강되면서 개폐되는 도어 글래스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In general, a front door is formed at both front sides of the vehicle, and the front door is provided with a door glass that is opened and closed while being lifted up and down by a regulator.

상기와 같은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에는 우천시나 동절기 또는 습도가 높은 장소에서 주행할 때 차내, 외부의 온도차 등에 의하여 성애가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발생된 성애를 제거하기 위하여는 히트를 가동하여 성애를 제거시켜주거나 또는 프론트 도어에 형성된 사이드 에어 덕트를 이용하여 차내, 외부의 온도차를 줄여서 성애를 제거하고 있는 것이다.When driving in rainy weather or in winter or in places with high humidity, the door glass of the vehicle generates sexual love due to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ar. By removing or using the side air duct formed in the front door to reduce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ar is removing the frost.

그리고 상기한 프론트 도어의 구조를 살펴보면, 종래에는 도 3과 같이 프론트 도어 프레임(102)의 내측에 트림 패널(104)이 이루어지고, 상기 트림 패널(104)의 상단에는 도어 글래서(106)가 승강되게 장착되고, 상기 트림 패널(104)의 소정위치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사이드 에어 덕트(108)가 배치되어 이루어진다.In addition, referring to the structure of the front door, conventionally, the trim panel 104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front door frame 102 as shown in FIG. The side air duct 108 is dispos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sid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trim panel 104.

그러나 종래와 같이 도어 글래스에 발생된 성애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히터를 이용하는 방식은, 차량의 시동을 걸어서 엔진이 워밍업이 되어야 되는데 상기 엔진이 워밍업 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도어 글래스로 히터의 송풀량이 미흡하여 성애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하게 되므로 운전자의 시야가 확보되지 못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이 뒤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method using a heater as a method for removing the frost generated in the door glass, the engine should be warmed up by starting the vehicle, but it takes a considerable time until the engine is warmed up,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was followed because the driver's field of view could not be secured because the amount of pine trees could not be effectively removed.

또한 사이드 에어 덕트를 이용하는 방식은 미관을 해치게됨은 물론 이를 형성하기 위하여 별도의 공정이 소요되므로 인하여 제작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method using the side air duct ha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due to a separate process is required to form a course as well as to harm the aesthetic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천시 등의 상태에서 주행할 때 도어 글래스에 발생되는 성애를 빠른 시간내에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 할 수 있는 도어 글래스 성애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sure that the driver's field of vision by automatically removing the frost generated in the door glass when driving in a rainy state, etc.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oor glass defrosting devic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프론트 도어의 도어 글래스 표면에 발생된 성애를 제거함에 있어서, 성애 제거수단은 도어 글래스의 내측면에 소정간격으로 전원이 공급되면 가열되는 열선부와, 상기 열선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와, 상기 열선부와 전원공급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중간부에 전원공급부로부터 열선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스위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 removing the defrost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door glass of the front door, the defrost removal means is hea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glass is heated when the power is suppli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heating unit, a connection unit for connecting the heating unit and the power supply unit, and an operation switch for controlling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to the heating unit in the middle of the connection unit. do.

이에 따라 프론트 도어의 도어 글래스 표면에 성애가 발생되면 조작스위치를 온 상태로 한다.Accordingly, when frost is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door glass of the front door, the operation switch is turned on.

상기 조작스위치가 온 상태로 되면 전원공급부의 전원이 연결부를 통하여 열선부로 공급된다.When the operation switch is turned on,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is supplied to the hot wire through the connection.

상기 열선부로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열선부가 가열되면서 도어 글래스의 표면에 발생된 성애를 증발시켜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As power is supplied to the hot wire unit, the hot wire unit is heated to remove evaporation of frost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door glas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도어의 도어 글래스가 닫혀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losed state of the door glass of the front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도어의 도어 글래스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that the door glass of the front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ned.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프론트 도어를 도시한 측면도이다.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 front do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도어의 도어 글래스가 닫혀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glass of the front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losed.

프론트 도어는 외관을 이루는 도어 프레임(2)과, 상기 도어 프레임(2)의 내측 하부에 고정되는 글래스 채널(4)이 배치되고, 상기 글래스 채널(4)을 따라서 승, 하강되는 도어 글래스(6)로 이루어진다.The front door is provided with a door frame 2 forming an appearance and a glass channel 4 fixed to an inner lower portion of the door frame 2, and a door glass 6 that is raised and lowered along the glass channel 4. )

상기 프론트 도어에는 차내, 외의 온도차 등에 의하여 도어 글래스(6)의 표면에 발생되는 성애를 가열하여 제거하기 위한 성애 제거 수단이 이루어진다.Defrost removal means for heating and removing the frost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door glass 6 by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vehicle is provided in the front door.

상기 성애 제거수단은 도어 글래스(6)의 내측면에 소정간격으로 전원이 공급되면 가열되는 열선부(8)와, 상기 열선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0)와, 상기 열선부와 전원공급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12)와, 상기 연결부의 중간부에 전원공급부로부터 열선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스위치(14)로 이루어진다.The defrosting means includes a heating wire part 8 that is heated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glass 6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power supply part 10 for supplying power to the heating wire part, and the heating wire part; Connection portion 12 for connecting the power supply and the operation switch 14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to the heating portion in the middle of the connection portion.

상기 열선부(8)는 도어 글래스(6)에 발생된 성애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도어 글래스(6)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ot wire portion 8 is preferably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door glass 6 so as to effectively remove the frost generated in the door glass 6.

상기 연결부(12)는 열선부(8)에 연결되고 도어 글래스(6)에 고정되는 고정와이어(16)와, 상기 고정와이어(16)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도어 프레임(2)에 고정되는 연결와이어(18)로 이루어진다.The connecting portion 12 is connected to the heating wire (8) and the fixing wire 16 is fixed to the door glass 6, th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fixing wire 16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door frame (2) It is made of a connecting wire (18).

상기 연결와이어(18)는 도어 글래스(6)의 승, 하강에 따라 용이하게 휠수 있도록 플렉시블 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ion wire 18 is preferably made flexible so that it can be easily bent in accordance with the rising and falling of the door glass (6).

상기 조작스위치(14)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도어 트림 패널(미도시)의 내측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peration switch 14 is preferably installed to the inside of the door trim panel (not show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operate.

상기 성애 제거수단은 도 1 및 도 2에서는 프론트 도어에 장착하고 있으나, 리어 도어에도 동일한 방식에 의하여 장착할 수 있음을 물론이다.The defrost removal means is mounted to the front door in Figures 1 and 2, of course, can be mounted to the rear door in the same manner.

이에 따라 프론트 도어의 도어 글래스(6) 표면에 성애가 발생되면 조작스위치(14)를 온 상태로 한다.Accordingly, when frost is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door glass 6 of the front door, the operation switch 14 is turned on.

상기 조작스위치(14)가 온 상태로 되면 전원공급부(10)의 전원이 연결부(12)의 연결와이어(18)와 고정와이어(16)를 통하여 열선부(8)로 공급된다.When the operation switch 14 is turned on,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10 is supplied to the hot wire unit 8 through the connection wire 18 and the fixing wire 16 of the connection unit 12.

상기 열선부(8)로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열선부(8)가 가열되면서 도어 글래스(6)의 표면에 발생된 성애를 증발시켜 짧은 시간내에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As power is supplied to the hot wire unit 8, the hot wire unit 8 is heated, and the frost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door glass 6 is evaporated and removed in a short time.

상기와 같이 도어 글래스(6)의 성애 제거가 완료되면 조작스위치(14)를 오프상태로 하여 열선부(8)로 공급되는 전원공급부(10)의 전원을 차단시켜준다.When the defrosting of the door glass 6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switch 14 is turned off to cut off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10 supplied to the hot wire unit 8.

그리고 상기 연결와이어(18)는 플렉시블하기 때문에 도 1과 같이 도어 글래스(6)가 닫혀진 상태에서 도 2에서와 같이 도어 글래스(6)가 열려진 상태로 되어도 용이하게 휠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connection wire 18 is flexible, the door glass 6 can be easily bent even when the door glass 6 is opened as shown in FIG. 2 while the door glass 6 is closed as shown in FIG. 1.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우천시 등의 상태에서 주행할 때 도어 글래스에 발생되는 성애를 빠른시간내에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사이드 에어 덕트의 삭제로 인하여 미관을 향상하게 되고, 제작원가도 절감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remove the frost generated in the door glass when driving in a rainy weather condition, so as to secure the driver's vision and prevent safety accidents in advance. Deletion of the aesthetics will be improved, and manufacturing costs will be reduced.

Claims (4)

프론트 도어의 도어 글래스 표면에 발생된 성애를 제거함이 있어서, 성애 제거수단은 도어 글래스의 내측면에 소정간격으로 전원이 공급되면 가열되는 열선부와, 상기 열선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와, 상기 열선부와 전원공급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중간부에 전원공급부로부터 열선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스위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글래스 성애 제거장치.The defrost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door glass of the front door is removed, and the defrost removal means includes a heating wire that is heated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glas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heating wire; And a connection part for connecting the hot wire part and the power supply part, and an operation switch for controlling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part to the hot wire part in an intermediate part of the connection par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부는 도어 글래스에 발생된 성애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도어 글래스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글래스 성애 제거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hot wire part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door glass so as to effectively remove the defrost generated in the door glas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열선부에 연결되고 도어 글래스에 고정되는 고정와이어와, 상기 고정와이어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도어 프레임에 고정되는 연결와이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글래스 성애 제거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hot wire, the fixing wire is fixed to the door glass, the door glass defrost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is connected to the fixing wire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door frame Devic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와이어는 도어 글래스의 승, 하강에 따라 용이하게 휠 수 있도록 플렉시블 하게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글래스 성애 제거장치.The door glass defroster of claim 3, wherein the connection wire is made flexible so as to be easily bent as the door glass moves up and down.
KR1019960056514A 1996-11-22 1996-11-22 Door glass defroster KR1998003771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6514A KR19980037718A (en) 1996-11-22 1996-11-22 Door glass defros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6514A KR19980037718A (en) 1996-11-22 1996-11-22 Door glass defros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7718A true KR19980037718A (en) 1998-08-05

Family

ID=66320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6514A KR19980037718A (en) 1996-11-22 1996-11-22 Door glass defros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771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37718A (en) Door glass defroster
JPS6347164Y2 (en)
KR100442977B1 (en) Apparatus for removing moisture on the door glass in a front door
KR100491745B1 (en) defrost structure of side mirror
KR0184412B1 (en) Door glass defrost device for a car
KR970007207Y1 (en) Frost exclusion device of a car window
KR0132252B1 (en) Removal device for frost on car window
KR100387769B1 (en) Apparatus for defrosting side glasses of vehicles
KR900009399Y1 (en) Rear view mirror
KR100447320B1 (en) A defrosting device for front glass of auto
KR100354094B1 (en) Defrost apparatus for vehicle rear window
KR100332587B1 (en) Defroster of windshield glass for automobile
KR200165737Y1 (en) Defroster for a car
KR200151635Y1 (en) A fuel tank door an automobile with heating wire
KR20000003151U (en) Heating device of windshield of automobile
KR200388235Y1 (en) Device of heating door window glass
KR940004610Y1 (en) Frost remover for car
KR19980039707U (en) Detachable Glass Demister
KR19980060291A (en) Automotive Defroster
KR19980018658U (en) Defrosting device for winter car windshield glass
KR19980051849A (en) Defroster operation control device of car rear windshield
KR19990010808A (en) Front roof grille for car defrosting
KR19980040377U (en) Defrost device of car rear door glass
KR19980012879U (en) Door glass defroster of car
KR19980012192U (en) Defoaming device for auto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