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6991U - 클램프의 구조 - Google Patents

클램프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6991U
KR19980036991U KR2019960050006U KR19960050006U KR19980036991U KR 19980036991 U KR19980036991 U KR 19980036991U KR 2019960050006 U KR2019960050006 U KR 2019960050006U KR 19960050006 U KR19960050006 U KR 19960050006U KR 19980036991 U KR19980036991 U KR 1998003699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body portion
fixed
protrusions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00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길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500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6991U/ko
Publication of KR199800369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6991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11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a substantially-radial tightening or securing member

Abstract

직경이 서로 다른 여러개의 고정하려는 부품에 한 가지의 클램프를 사용함으로서, 각 직경의 부품마다 각기 다른 클램프를 사용해야 되는 불편함을 해소하였고, 또한 시간이 경과되어도 항상 탄성이 작용하므로 피고정물이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클램프를 제공하기 위하여,
고정하고자 하는 피고정물의 외주면을 압착하는 몸체부(8)와, 상기한 몸체부(8)의 후측으로 몸체부(8)와 일체로 형성된 몸체부(8)에 탄성을 부여하고, 피고정물의 크기를 보상하는 텐션 작용부(16)와, 상기한 텐션 작용부(16)의 반대쪽으로 양단이 개방되고, 이 개방된 양단에 형성된 돌출부(10)와, 상기한 돌출부(10)의 홈(18)에 삽입되어 몸체부(10)를 고정하는 볼트(12)와 너트(14)로 이루어진 클램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클램프의 구조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클램프가 프로텍터의 외주에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
제2도는 제1도 A-A선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클램프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4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클램프 장착상태의 단면도.
제5도는 제4도 B-B선의 단면도.
제6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2 : 클램프2,104 : 파이프4 : 어퍼 프로텍터
6 : 로어 프로텍터8,108 : 몸체부10,110 : 돌출부
12,112 : 볼트14,114 : 너트16 : 텐션 작용부
18 : 홈106 : 호스
[산업상 이용분야]
본 고안은 각종 연결부위의 고정을 위해 사용되는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직경이 서로 다른 다수의 파이프에 프로텍터 장착시 및 연결시에 한가지 규격의 클램프를 이용하여 연결 및 고정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시간이 경과되어도 고정부위가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클램프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일반적으로 클램프는, 파이프와 호스연결시, 또는 파이프의 보호를 위해 파이프 둘레에 프로텍터 장착시등 각종 연결되는 부품의 고정을 위해 사용된다.
제4도는 현재 사용되는 클램프(102)로 파이프(104)와 호스(106)의 연결부위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의 단면도이고, 제5도는 제4도 B-B선의 단면도이다.
상기한 파이프(104)를 호스에 끼운후 호스의 외주면에 클램프(102)를 장착하여 양측을 고정한다. 이러한 클램프(102)는, 호스(106)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호스(106)을 압착하는 일측이 개방되어 있는 원통상의 몸체부(108)와, 이 몸체부의 양단이 개방되고, 이 개방된 양측으로 돌출부(110)가 형성되어 몸체부(108)와 일체로 되어 있다. 이 돌출부(110)중 한 돌출부(110)는, 볼트(112)와 결합을 위한 너트(114)가 용접 고정되어 있고, 다른 돌출부(110)는 볼트(112)가 끼워져 볼트(112)를 조임으로서 호스(106)과 파이프(104)를 서로 연결한다.
제6도는 상기한 클램프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파이프(104)와 호스(106)의 연결부의 직경이 클램프(102)의 규정 크기보다 클때의 사용 상태도이다.
상기한 파이프(104)와 호스(106)의 직경에 비해 클램프(102)의 사용규격이 작을 경우 클램프(102)를 호스(106)의 외주면에 장착하면 클램프(102) 몸체부(108)의 돌출부(110)는 서로 벌어지게 된다. 이렇게 벌어진 돌출부(110)에 볼트(112)로서 고정할 경우 너트(114)가 몸체부에 고정되어 있어 볼트(112)가 억지로 끼워진 상태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문제점]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하려는 부품의 직경과 클램프의 사용규격이 서로 다를 경우 너트가 몸체부의 한단에 용접되어 있는 상태에서 볼트로 조임으로서 볼트는 휘어지게 되고, 볼트 및 너트의 나사산이 마모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직경이 서로 다른 파이프에 클램프를 사용할 경우 각기 규격이 다른 클램프를 사용해야 되므로 오조립이 발생하고, 제작비가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한 가지 규격의 클램프를 사용하여 직경이 서로 다른 부품의 고정 및 연결을 함으로서 여러 크기의 클램프 사용시 발생하는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고, 클램프의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고정하고자 하는 피고정물의 외주면을 압착하는 몸체부와, 상기한 몸체부의 후측으로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된 몸체부에 탄성을 부여하고, 피고정물의 크기를 보상하는 텐션 작용부와, 상기한 텐션 작용부의 반대쪽으로 양단이 개방되고, 이 개방된 양단에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한 돌출부의 홈에 삽입되어 몸체부를 고정하는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클램프를 제공한다.
[작용]
이와 같이 이루어진 클램프는, 고정하고자 하는 피고정물의 외주면에 클램프의 몸체부로 감싸게 되면 클램프의 텐션 작용부에서 피용접물의 외경의 부족분 만큼을 보상하고, 몸체부가 피고정물의 외측면을 조여 줄 수 있도록 탄성을 부여한다. 그런 다음 돌출부의 구멍에 볼트를 끼운후 반대측에 있는 너트로서 볼트와 결합시켜 조이게 되면 몸체부는 피용접물을 고정한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클램프(1)가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제2도는 제1도 A-A선의 단면도로서, 파이프(2)의 외주에 프로텍터(4),(6)를 설치한 후 클램프(1)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프로텍터는, 어퍼 프로택터(4)와 로어 프로텍터(6)로 이루어져 있으며, 파이프(2)내에 흐르는 유체의 온도를 유지하거나 파이프 보호용으로 파이프(2)의 외주에 양 프로텍터(4),(6)를 씌운 후, 이 프로텍터의 외주면에 클램프(1)를 설치하여 프로텍터를 파이프(2)에 고정한다.
상기한 클램프(1)는, 프로텍터(4),(6)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프로텍터를 파이프(2)에 압착하는 원통상의 몸체부(8)와 이 몸체부(8)의 한단이 개방되어 이 개방된 양끝단에서 돌출된 돌출부(10)가 몸체부(8)와 일체로 이루어져 있고, 이 돌출부(10)에 형성된 홈에 끼워져서 몸체부(8)를 조이기 위한 볼트(12)와, 이 볼트와 끼워지는 너트(1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몸체부(8)는, 탠션을 가진 재질을 사용하고, 그 형상은 타원형의 통으로 되어 있어 고정하고자 하는 원통상의 피용접물의 외면을 감싸게 되면, 이 몸체부(8)의 후측에 몸체부(8)와 일체로 형성된 탠션 작용부(16)가, 몸체부(8)의 상하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시켜 프로텍터(4),(6)를 조여 준다. 이러한 탠션 작용부(16)는, 고정하고자 하는 부품의 외경이 클 경우 그 커진양만큼 보상하여 준다. 그러므로 일정 범위내의 직경이 다른 파이프는 이 한가지의 클램프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몸체부(8)는, 타원형의 통 한단이 개방되어 있고, 이 개방된 양측으로 돌출부(1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10)는, 일단 부품을 탠션에 의해 고정한 몸체부(8)의 양단을 서로 결합시켜 몸체부(8)가 부품에 완전히 고정될 수 있도록 잡아준다. 이러한 몸체부(8)의 고정을 위해 돌출부(10)의 양단에는 홈(18)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18)으로 볼트(12)를 통과시켜 반대편에 있는 너트(14)와 결합시킨다.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클램프(1)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클램프의 조립 전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클램프(1)가 조립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몸체부(8)가 타원형으로 되어 있고, 부품을 조립한 상태에서는 그 부품의 외경에 맞게 원형을 이룬다. 이와 같이 타원형의 몸체부(8)는, 원형이 되면서 고정하고자 하는 부품의 외주면을 조여 주게되고, 또한 탠션 작용부(16)의 크기가 부품의 외경에 따라 달라진다. 이렇게 탠션 작용부(16)는 몸체부(8)에 탄성을 부여할 뿐 아니라 부품의 외경 크기에 따라 그 양만큼 보상하여 준다.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클램프는, 직경이 서로 다른 여러개의 고정하려는 부품에 한 가지의 클램프를 사용함으로서, 각 직경의 부품마다 각기 다른 클램프를 사용해야 되는 불편함을 해소하였고, 또한 시간이 경과되어도 항상 탄성이 작용하므로 피고정물이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고정하고자 하는 피고정물의 외주면을 압착하는 몸체부(8)와,
    상기한 몸체부(8)의 후측으로 몸체부(8)와 일체로 형성된 몸체부(8)에 탄성을 부여하고, 피고정물의 크기를 보상하는 텐션 작용부(16)와,
    상기한 텐션 작용부(16)의 반대쪽으로 양단이 개방되고, 이 개방된 양단에 형성된 돌출부(10)와,
    상기한 돌출부(10)에 형성된 홈(18)에 삽입되어 몸체부(8)를 고정하는 볼트(12)와 너트(14)로 이루어진 클램프의 구조.
KR2019960050006U 1996-12-17 1996-12-17 클램프의 구조 KR1998003699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0006U KR19980036991U (ko) 1996-12-17 1996-12-17 클램프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0006U KR19980036991U (ko) 1996-12-17 1996-12-17 클램프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6991U true KR19980036991U (ko) 1998-09-15

Family

ID=53990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0006U KR19980036991U (ko) 1996-12-17 1996-12-17 클램프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699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51419B1 (en) Pipe coupling with seal pressing device
KR100716062B1 (ko) 파이프 커플링
AU677871B2 (en) Earless, stepless clamp structure
US6073977A (en) Device for coupling pipe sections
KR19980036991U (ko) 클램프의 구조
KR200142760Y1 (ko) 클램프의 구조
KR100336734B1 (ko) 호스 연결부 조임용 클램프
KR200146518Y1 (ko) 호스와 튜브의 접속체결구
KR200150381Y1 (ko) 파이프와 호스 연결용 클램프
KR20010088989A (ko) 파이프연결구
KR200365425Y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200142245Y1 (ko) 호스 고정용 클립
KR200234952Y1 (ko) 파이프 연결용 밴드
KR200169307Y1 (ko) 하네스, 케이블, 파이프 및 호스의 고정장치
JPH0332876Y2 (ko)
SU1622705A1 (ru) Петлевой зажим дл закреплени гибких шлангов на патрубках, штуцерах
JP3069678B2 (ja) コルゲート管用管継ぎ手
KR0139738Y1 (ko) 자동차용 엑셀 케이블의 연결구조
SU1323815A1 (ru) Зажим дл креплени эластичных трубок на жестком патрубке
KR19980054884A (ko) 관 이음구
KR200395247Y1 (ko) 면접촉부를 갖는 파이프 커플링의 체결부재
KR200201324Y1 (ko) 파이프 이음쇠의 패킹 구조
KR19980049043U (ko) 자동차 연료탱크의 호스조인트 체결구조
KR19980018727U (ko) 밴드클램프
KR19980020443U (ko) 클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