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5787A - Automotive auxiliary brake - Google Patents

Automotive auxiliary brak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5787A
KR19980035787A KR1019960054232A KR19960054232A KR19980035787A KR 19980035787 A KR19980035787 A KR 19980035787A KR 1019960054232 A KR1019960054232 A KR 1019960054232A KR 19960054232 A KR19960054232 A KR 19960054232A KR 19980035787 A KR19980035787 A KR 19980035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brake
brake device
ecu
auxiliary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42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종완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54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5787A/en
Publication of KR19980035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5787A/en

Links

Landscapes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조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동작 시 엔진 브레이크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보조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brake device, and to provide an auxiliary brake device for a vehicle that can improve an engine brake effect during operation.

본 발명은 피스톤(p)의 압축 행정 시 압축되는 혼합기를 배출시켜 폭발 동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엔진 브레이크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된 브레이크 수단을 배기밸브(EV)에 연결하여 구성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by connecting a brake means configured to obtain an engine brake effect by discharging the mixer compressed during the compression stroke of the piston p to reduce the explosion power, to the exhaust valve EV.

Description

자동차용 보조 브레이크 장치Automotive auxiliary brake

본 발명은 보조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brake device.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브레이트 장치는 푸트 브레이크와 주차 브레이크로 구분되는 바, 상기한 푸트 브레이크 장치는 유압 또는 공압을 사용함과 아울러 배력 장치를 사용하게 된다.In general, a car brate device is divided into a foot brake and a parking brake. The foot brake device uses hydraulic or pneumatic pressure and a power boost device.

상기한 푸트 브레이크 장치는 브레이크 페달과, 상기한 브레이크 페달에 연결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흡기의 부압이 연통되도록 설치된 부스터와, 상기한 부스터와 연결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전, 후륜 브레이크에 유압 배관으로 연결된 마스터 실린더로 구성되어 있다.The foot brake device is connected to the brake pedal and the brake pedal as well as a booster installed so that the negative pressure of the intake air communicates, and a master cylinder connected to the booster as well as hydraulic pipes to the front and rear brakes. Consists of

즉, 브레이크 페달을 밟게 되면 이와 연결된 부스터에 의해 답력이 배력됨과 아울러 마스터 실린더에서 유압 또는 공압이 전, 후륜 브레이크에 전달되면서 제동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brake pedal is pressed, the stepping force is boosted by the booster connected thereto, and the hydraulic or pneumatic pressure is transmitted from the master cylinder to the front and rear brakes to perform a braking action.

여기서, 상기한 푸트 브레이크 장치는 주 제동 장치인 바, 비교적 길게 형성된 내리막길 등에서 제동을 계속하면 유체에 공기가 발생되어 제동 능력이 저하되는 소위 스펀지 현상이 발생되기 때문에 이때 사용할 수 있는 보조 브레이크 장치가 사용된다. 상기한 보조 브레이크 장치는 배기 브레이크, 리타더 등이 사용되는 바, 상기한 배기 브레이크는 배기 가스의 방출 시 저항을 줌으로써 엔진 회전에 저항력을 발생시키고 이를 통해 엔진 브레이크 효과를 나타내게 되는 것이다.Here, the foot brake device is a main braking device, and if the braking is continued on a downhill road formed relatively long, an auxiliary brake device that can be used at this time may generate a so-called sponge phenomenon in which air is generated in the fluid and the braking ability is reduced. Used. In the auxiliary brake device, an exhaust brake, a retarder, or the like is used. The exhaust brake generates resistance to engine rotation by providing resistance when the exhaust gas is discharged, thereby exhibiting an engine brake effect.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배기 브레이크 등과 같은 보조 브레이크는 배기 가스의 배출 효율을 감소시켜 엔진 브레이크 효과를 얻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엔진에서 발생된 동력 자체가 감소하지는 않는 바, 엔진 브레이크가 효과가 미약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auxiliary brake such as the exhaust brake reduces the emission efficiency of the exhaust gas to obtain the engine brake effect, the power generated by the engine does not substantially decrease. Therefore, the engine brake has a weak effect. hav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동작 시 엔진 브레이크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보조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n auxiliary brake device for a vehicle that can improve an engine brake effect during operation.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스톤의 압축 행정 시 압축되는 혼합기를 배출시켜 폭발 동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엔진 브레이크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된 브레이크 수단을 배기 밸브에 연결 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realiz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rake means configured to obtain an engine brake effect by reducing the explosive power by discharging the mixer is compressed during the compression stroke of the piston,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the exhaust valve.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보조 브레이크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로서,Figure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uxiliary brake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가)도는 실린더의 압축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A) A cross section showing the compressed state of the cylinder,

(나)도는 압축 시 배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B)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exhaust state during compress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 피스톤2 : ECU1: Piston 2: ECU

3 : 스위치4 : 크랭크 각 센서3: switch 4: crank angle sensor

5 : 스프링6 : 유로5: spring 6: euro

7 : 밸브 바디8 : 흡입 포트7: valve body 8: suction port

9 배출 포트10 : 솔레노이드 밸브9 Outlet port 10: Solenoid valve

11 : 흡입 배관12 : 저장 탱크11 suction pipe 12 storage tank

13 : 펌프14 : 배출 배관13 pump 14 discharge pipe

15 : 리저버15: reservoir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보조 브레이크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피스톤(P)의 압축 행정 시 압축되는 혼합기를 배출시켜 폭발 동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엔진 브레이크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된 브레이크 수단이 배기밸브(EV)에 연결 설치되어 있다.Figure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uxiliary brake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ke means configured to obtain an engine brake effect by reducing the explosion power by discharging the mixer is compressed during the compression stroke of the piston (P) exhaust valve ( EV) is installed.

상기한 브레이크 수단은 배기밸브(EV)의 상면에 접촉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1)과, 상기한 피스톤(1)을 동작시키기 위하여 설치된 구동수단과, 상기한 구동 수단을 동작시키도록 설치된 ECU(2)에 연결된 스위치(3)와, 상기한 ECU(2)에 연결된 크랭크 각 센서(4)로 구성되어 있다.The brake means is not only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exhaust valve EV, but also capable of lifting and lowering the piston 1, drive means provided for operating the piston 1, and the drive means. And a crank angle sensor 4 connected to the ECU 2 described above.

즉, 상기한 피스톤(1)이 구동 수단에 의해 압축 행정에서 배기밸브(EV)를 개방시키게 되고, 상기한 개방 시 혼합기가 소량 배출됨으로써 엔진 브레이크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piston 1 opens the exhaust valve EV in the compression stroke by the driving means, and a small amount of the mixer is discharged in the opening to obtain the engine brake effect.

상기한 구동 수단은 피스톤(1)의 저면이 스프링(5)으로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한 피스톤(1)의 상면에 연장되도록 유로(6)가 형성된 밸브 바디(7)와, 상기한 유로(6)의 선단에 형성된 흡입, 배출 포트(8, 9)와, 상기한 흡입, 배출 포트(8, 9)에 설치되어 유체를 제한하고 스위치(3)에 연결된 솔레노이드 밸브(10)와, 상기한 흡입 포트(8)에 흡입 배관(11)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저장 탱크(12)에 연결되고 ECU(2)에 의해 제어되는 펌프(13)와, 상기한 배출 포트(9)에 배출 배관(14)으로 연결된 저장 탱크(12)로 구성되어 있다.The driving means has a valve body 7 in which a flow path 6 is formed so as to support the liftable in a state in which the bottom surface of the piston 1 is supported by a spring 5 and exten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iston 1. And a solenoid valve installed at the suction and discharge ports 8 and 9 formed at the tip of the flow path 6 and the suction and discharge ports 8 and 9 to restrict fluid and be connected to the switch 3. 10), a pump 13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8 to the suction port 8 and connected to the storage tank 12 and controlled by the ECU 2, and the discharge port 9 described above. It consists of the storage tank 12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ing 14 in the

특히, 상기한 흡입 배관(11)에는 유로에 인입되는 유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리저버(15)가 설치되어 있다.In particular, the suction pipe 11 is provided with a reservoir 15 so as to maintain a constant pressure of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flow path.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자동차의 고속 주행중 운전자가 감속하려고 하면 스위치(3)를 동작시키게 된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river tries to decelerate during the high speed driving of the vehicle, the switch 3 is operated.

스위치(3)가 동작되면 ECU(2)에 동작 신호가 인가됨과 아울러 크랭크 각 센서(4)로 부터 피스톤(P)의 행정에 대한 신호가 ECU(2)에 인가된다.When the switch 3 is operated, an operation signal is applied to the ECU 2, and a signal for the stroke of the piston P is applied to the ECU 2 from the crank angle sensor 4.

이때, 상기한 피스톤(P)의 행정이 압축 행정일 경우에 ECU(2)를 통해 솔레노이드 밸브(10)에 전류가 인입되고, 상기한 솔레노이드 밸브(10)가 동작되면서 흡입 포트(8)가 개방된다.At this time, when the stroke of the piston P is a compression stroke, current flows into the solenoid valve 10 through the ECU 2, and the suction port 8 is opened while the solenoid valve 10 is operated. do.

흡입 포트(8)가 개방되면 펌프(13) 및 리저버(15)로부터 유체가 인입되는 바, 상기 한 유체는 펌프(13)를 통해 리저버(15)에 일정 유압으로 저장된 상태에서 흡입 포트(8)를 통해 유로(6)로 인입됨과 아울러 피스톤(1)의 상면을 압박하게 된다.When the suction port 8 is opened, fluid is introduced from the pump 13 and the reservoir 15, and the one fluid is sucked into the reservoir 15 through the pump 13 in a state of being stored hydraulically in the reservoir 15. In addition to being introduced into the flow path 6 through the pressur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iston (1).

피스톤(1)의 상면이 압박되면 유압에 의해 피스톤(1)이 스프링(5)의 탄성을 극복하면서 하강하게 되고, 상기한 피스톤(1)의 하강에 의해 이와 접촉된 배기밸브(EV)가 하향되면서 혼합기가 배출된다.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piston (1) is pressed, the piston (1) is lowered by overcoming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5) by the hydraulic pressure, the exhaust valve (EV) in contact with this by the lowering of the piston (1) is downward The mixer is discharged.

물론, 상기한 배기밸브(EV)의 열림 시간 및 열림 정도 즉, 혼합기의 배출량은 리저버(15) 및 ECU(2)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엔진 동력의 불안정이 발생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루어지게 된다.Of course, the opening time and the opening degree of the exhaust valve EV, that is, the discharge amount of the mixer, are controlled by the reservoir 15 and the ECU 2, so that the instability of the engine power is not generated.

혼합기가 일정량 배출되면 실린더 내부에서 폭발하는 폭발력이 상기한 혼합기만큼 감소되는 바, 상기한 행정에서의 엔진 동력이 감소된다.When a certain amount of the mixer is discharged, the explosive force exploding in the cylinder is reduced by the above-mentioned mixer, so that the engine power in the stroke is reduced.

일정 행정에서 엔진 동력이 감소되면 현재 자동차의 속도 등에 적합하지 않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피스톤(P)이 엔진 브레이크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If the engine power is reduced in a certain stroke, it is not suitable for the current vehicle speed, and as a result, the piston P serves as the engine brake.

즉, 피스톤(P)을 통해 차속에 적합한 일정한 동력이 발생되어야 하지만 피스톤(P)이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키지 못하게 되면 크랭크 축을 회전시키는 힘이 현재 상태에 비해 작아지게 되고, 이는 엔진 브레이크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constant power suitable for the vehicle speed should be generated through the piston P, but when the piston P fails to generate the required power, the force for rotating the crankshaft becomes smaller than the current state, which acts as an engine brake. will be.

감속이 완료되면 운잔자가 스위치(3)를 오프시키게 되는 바, 상기한 스위치(3)의 오프를 ECU(2)가 체크하여 솔레노이드 밸브(10) 동작을 해제시킴과 아울러 유로(6) 내부의 유체가 배출 포트(9)를 통해 저장 탱크(12)로 이송된다.When the deceleration is completed, the unwinder turns off the switch 3. The ECU 2 checks that the switch 3 is turned off, releases the solenoid valve 10, and the fluid inside the flow path 6. Is transferred to the storage tank 12 through the discharge port 9.

상기한 바와 같이 피스톤(P)의 폭발력을 제어함으로써 엔진 브레이크 효과를 얻게 되면 종래 배기 가스를 제어하는 것에 비해 직접적으로 엔진 동력을 제어하기 때문에 엔진 브레이크 효과가 매우 크게 발생되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engine brake effect is obtained by controlling the explosive force of the piston P, the engine brake effect is very large because the engine power is directly controlled a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exhaust gas control.

즉, 종래에 비해 푸트 브레이크를 보다 조금 사용하여도 충분한 감속을 얻을 수있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a sufficient deceleration can be obtained even if the foot brake is used a little more than in the related ar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브레이크 수단으로 엔진의 동력 발생을 제어함으로써 배기 브레이크 등과 같이 간접적으로 제동력을 얻는 장치에 비해 제동력 및 제동 효율이 우수하게 되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braking force and the braking efficiency are superior to those of the device that indirectly obtains the braking force such as the exhaust brake by controlling the power generation of the engine by the brake means.

Claims (3)

피스톤의 압축 행정 시 압축되는 혼합기를 배출시켜 폭발 동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엔진 브레이크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된 브레이크 수단을 배기밸브에 연결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조 브레이크 장치.An auxiliary brake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a brake means configured to connect an exhaust valve configured to obtain an engine brake effect by discharging a mixer that is compressed during a compression stroke of the piston to reduce explosion power. 제 1 항에 있어서, 브레이크 수단은 배기밸브의 상면에 접촉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과, 상기한 피스톤을 동작시키기 위하여 설치된 구동수단과, 상기한 구동 수단을 동작시키도록 설치된 ECU에 연결된 스위치와, 상기한 ECU에 연결된 크랭크 각 센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조 브레이크 장치.2. The brake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rake means is connect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exhaust valve and is connected to a piston that is capable of lifting and lowering, a driving means installed to operate the piston, and an ECU installed to operate the driving means. An auxiliary brake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a switch and a crank angle sensor connected to the ECU. 제 2 항에 있어서, 구동 수단은 피스톤의 저면이 스프링으로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한 피스톤의 상면에 연장되도록 유로가 형성된 밸브 바디와, 상기한 유로의 선단에 형성된 흡입, 배출 포트와, 상기한 흡입, 배출 포트에 설치되어 유체를 제한하고 스위치에 연결된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한 흡입 포트에 흡입 배관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저장 탱크에 연결되고 ECU에 의해 제어되는 펌프와, 상기한 배출 포트에 배출 배관으로 연결된 저장 탱크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조 브레이크 장치.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drive means is a valve body formed with a flow path so as to support the lifting and lowering in the state that the bottom of the piston is supported by a spring and extend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iston, suction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flow path, A discharge port, a solenoid valve installed at the suction and discharge ports for restricting fluid and connected to a switch, a pump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to the suction port and connected to a storage tank and controlled by the ECU; An auxiliary brake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storage tank connected to a discharge pipe by a discharge port.
KR1019960054232A 1996-11-15 1996-11-15 Automotive auxiliary brake KR1998003578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4232A KR19980035787A (en) 1996-11-15 1996-11-15 Automotive auxiliary brak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4232A KR19980035787A (en) 1996-11-15 1996-11-15 Automotive auxiliary brak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787A true KR19980035787A (en) 1998-08-05

Family

ID=66321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4232A KR19980035787A (en) 1996-11-15 1996-11-15 Automotive auxiliary brak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578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166193A (en) Regenerative braking system for an i.c. engine powered vehicle
JPH10512831A (en) Automotive hydraulic brake system with automatic brake control for brake slip control and / or traction control and / or driving dynamics control
US5924775A (en) Antiskid hydraulic braking system
US7537294B2 (en) Vehicle braking system with active hydraulic brake force assistan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010024455A (en) Valve arrangement
JP2008094150A (en) Braking device of vehicle
KR19980035787A (en) Automotive auxiliary brake
JPH10264793A (en) Brake device for type utilizing also regenerative braking for electric vehicle
JPS61102336A (en) Braking device for vehicles
US4211312A (en) Emergency brake system for vehicles
JPH08510423A (en) Fluid circuit having a capacity forming a distributor
KR100285181B1 (en) Braking system
US4717210A (en) Brake-slip-controlled brake system
JPH0537891Y2 (en)
KR100435754B1 (en) Auxiliary oil pressure supplying apparatus of vrake system in vehicle
WO2007118353A1 (en) A vacuum assist pump system
KR19980013939U (en) Brake oil supply of vehicle
JPH05213169A (en) Hydraulic control device of brake
JP3407553B2 (en) Master cylinder with booster and hydraulic brake system
JPH0331652Y2 (en)
KR20070043432A (en) Apparatus for increasing power of brake booster for vehicle
JPS6230832Y2 (en)
JPH05254422A (en) Braking device for vehicle
RU2408481C2 (en) Auxiliary vacuum pump system
KR200220804Y1 (en) exhaust brake system for a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