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2126A -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2126A
KR19980032126A KR1019970019350A KR19970019350A KR19980032126A KR 19980032126 A KR19980032126 A KR 19980032126A KR 1019970019350 A KR1019970019350 A KR 1019970019350A KR 19970019350 A KR19970019350 A KR 19970019350A KR 19980032126 A KR19980032126 A KR 19980032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late
air
discharge port
lateral
lou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93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468537B1 (en
Inventor
모리노부유끼
가와이요시미
Original Assignee
야기즈구오
가부시끼가이샤후지쯔제너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24235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482766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68126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500872B2/en
Application filed by 야기즈구오, 가부시끼가이샤후지쯔제너랄 filed Critical 야기즈구오
Publication of KR19980032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21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8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8537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7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cams or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1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to avoid the formation of condensate, e.g. de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토출구내에, 거의 수평의 회전축선을 중심으로하여 종방향으로 회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종루버와, 연결판을 개재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고, 상기 종루버의 회전축선과 거의 직교하는 회전축선을 중심으로하여 횡방향으로 회동하는 복수의 횡루버가 마련되어 있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공기토출구의 상벽부는 상기 상벽부와의 사이의 소정 공간이 생기도록 커버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상기 커버플레이트에 부쉬를 개재하여 각 횡루버를 회동자재로 부착하며, 상기 부쉬에 형성되어 있는 횡루버 연결용 아암 및 연결판 등을 커버플레이트의 상부공간내에 배치하여, 공기토출구 내에서의 송풍효율 저하, 소음발생 및 이슬이 생기는 현상을 방지한다.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t least one longitudinal louver that rotate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bout an approximately horizontal rotational axis in an air discharge port, and is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connecting plate, and is substantially connected to the rotational axis of the longitudinal louver. In an air condition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ateral louvers that rotate in a lateral direction about an orthogonal rotation axis, the upper wall portion of the air discharge port is provided with a cover plate such that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between the upper wall portion, Each horizontal louver is attached to the cover plate through the bush by rotating material, and the horizontal louver connecting arm and connecting plate formed in the bush are disposed in the upper space of the cover plate to reduce the blowing efficiency in the air discharge port. It prevents noise and dew.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기토출구에 마련된 루버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unting structure of a louver provided at an air discharge port.

공기조화기의 공기토출구에는 열교환된 공기의 방향을 균일하게, 때로는 국소적을 조절하기 위한 루버가 마련되어 있다. 도 17은 종래예의 공기조화기의 일반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8은 공기토출구의 확대단면도이다.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로 이루어져 있고, 본 명세서에서 공기조화기라 함은 실내기를 칭한다.The air outlet of the air conditioner is provided with a louver for adjusting the direction of the heat exchanged air uniformly, and sometimes locally. Fig. 17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general structure of a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and Fig. 18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 discharge port. The air conditioner is composed of an indoor unit and an outdoor uni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air conditioner refers to an indoor unit.

구체적으로, 실내기로서의 공기조화기는 실내벽에 걸리도록 디자인된 하우징(1)을 포함하며, 이 예에서는 하우징(1)의 전면 및 상면에 각각 공기유입구(2)가 마련되어 있으며, 공기토출구(5)는 하우징(1)의 전면 하부에 마련되어 있다. 하우징(1)내의 공기유입구(2)로부터 공기토출구(5)에 이르는 공기통로에는, 열교환기(3) 및 송풍팬(4)이 마련되어 있다.Specifically, the air conditioner as the indoor unit includes a housing 1 designed to be hung on the interior wall. In this example, an air inlet 2 is provided on the front and top surfaces of the housing 1, respectively, and the air discharge port 5 is provided. Is provided in the front lower part of the housing 1. The heat exchanger 3 and the blower fan 4 are provided in the air passage from the air inlet 2 to the air outlet 5 in the housing 1.

공기토출구(5)에는, 예를 들어, 풍향을 종방향으로 조절하는 두 개의 종루버(7, 8) 및 풍향을 횡방향으로 조절하는 복수의 횡루버(6)가 마련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종루버(7, 8)는 공기토출구(5)를 외부(실내측)로부터 보았을 때, 횡루버의 전면에 위치하고, 공기토출구(5)의 상벽부(5a)로부터 수직연장된 지지편에 의해, 회전축(7a, 8a)이 거의 수평이 되도록 지지되어 있다. 즉, 종루버(7, 8)는 수평회전축(7a, 8a)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 각도 범위내에서 종방향으로 회전가능하다.The air discharge port 5 is provided with, for example, two longitudinal louvers 7 and 8 for adjusting the wind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louvers 6 for adjusting the wind direction in the lateral direction. In general, the longitudinal louvers 7 and 8 are located in front of the horizontal louvers when the air outlet 5 is viewed from the outside (inside), and is vertically extended from the upper wall portion 5a of the air outlet 5 to the supporting piece. As a result, the rotary shafts 7a and 8a are supported to be substantially horizontal. That is, the longitudinal louvers 7 and 8 are rotat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about the horizontal rotation shafts 7a and 8a.

도 17 및 도 18에는 단지 하나의 횡루버(6)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도면의 지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있다. 종래에는, 각 횡루버(6)는 공기토출구(5)의 상벽부(5a)에 마련된 지지축공(5b)에 부쉬(9)를 개재하여 종루버(7, 8)의 회전축선과 거의 직교하는 회전축선을 중심으로하여 횡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지지되어 있다.Only one lateral louver 6 is shown in Figs. 17 and 18, but a plurality of transverse louvers 6 are actually instal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of the drawing. Conventionally, each of the lateral louvers 6 has a rotation shaft that is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rotation axis of the longitudinal louvers 7, 8 via the bushing 9 in the support shaft hole 5b provided in the upper wall portion 5a of the air discharge port 5. It is supported to rotat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bout the line.

즉, 각 횡루버(6)는 슬릿(6b)이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슬릿(6b)에 의해 반경이 탄성적으로 감소될 수 있는 지지축(6a)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상벽부(5a)의 지지축공(5b)에 부쉬(9)를 끼워맞춘 후, 그 지지축(6a)을 부쉬(9)내에 강제로 끼워맞춤으로써, 각 횡루버(6)는 공기토출구(5)의 상벽부(5a)에 회동가능하게 유지된다. 또한, 각 횡루버(6)는, 날개편의 어깨부에 연결판(10)을 부착하기 위한 연결핀(6c)를 가지며, 그 연결판(10)을 개재하여 동기적으로 회동하도록 연결되어 있다.That is, each lateral louver 6 has a support shaft 6a in which a slit 6b is formed in the axial direction and whose radius can be elastically reduced by the slit 6b. After the bushing 9 is fitted into the support shaft hole 5b of 5a, the support shaft 6a is forcibly fitted into the bushing 9 so that each of the lateral louvers 6 is formed on the top of the air discharge port 5. It is rotatably held by the wall part 5a. Moreover, each lateral louver 6 has the connecting pin 6c for attaching the connecting plate 10 to the shoulder part of a wing piece, and is connected so that it may rotate synchronously through the connecting plate 10. As shown in FIG.

송풍팬(4)의 작동에 따라, 공기흡입구(2)로부터 공기가 흡입되면, 열교환기(3)에서 열교환된 후, 공기토출구(5)로부터 실내를 향하여 송풍되는데, 이 때, 횡루버(6)에 의해 횡방향의 풍향으로 조절되는 동시에, 종루버(7, 8)에 의해 상하방향의 풍향으로 조절된다.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lower fan 4, when air is sucked from the air inlet 2, heat is exchanged in the heat exchanger 3, and then the air is blown from the air outlet 5 toward the room. At this time, the lateral louver 6 Is adjusted to the wind direction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is adjusted to the wind dir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longitudinal louvers (7, 8).

이와 같은 방식으로, 풍향이 다양하게 조절되나, 종래예에 있어서는, 연결핀(6c) 및 연결판(10)이 공기토출구(5)내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그 부분에서 공기저항이 생기고, 풍향효율이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냉방운전시에는 연결핀(6c) 및 연결판(10) 부분에 이슬이 생겨, 극단적인 경우에는 이슬이 공기토출구(5)로부터 적하하여 실내를 오염시킬 염려가 있다.In this manner, the wind direction is variously controlled, but in the conventional example, since the connecting pin 6c and the connecting plate 10 are exposed in the air discharge port 5, air resistance is generated at that portion, and the wind direction efficiency is improved. In particular, during the cooling operation, dew is generated in the connecting pin 6c and the connecting plate 10, and in extreme cases, dew may be dropped from the air outlet 5 to contaminate the room. have.

또한, 상기 횡루버(6)를 모터에 의해 소정각도 범위내에서 왕복 회전시킬 경우, 종래에는 상기 연결판(10)과는 별도로, 도 19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동레버(13)를 각 횡루버(6)에 연결하는 동시에, 구동레버(13)의 일단을 링크 아암(14)을 개재하여 도시않은 모터의 구동축에 연결하도록 하고 있다.In addition, when the lateral louver 6 is reciprocally rotated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by a motor, a conventional drive lever 13 as shown in FIG. 19 is conventionally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onnecting plate 10. At the same time as connecting to (6), one end of the drive lever 13 is connected to a drive shaft of a motor (not shown) via the link arm 14.

이 링크아암(14)으로서는, 일단에 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된 구동공(14c)을 구비하고, 타단측에 연결핀(14a)이 마련되어 있는 링크아암이 이용되며, 그 연결핀(14a)에 구동레버(13)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공(13a)을 끼워맞추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연결핀(14a)에는 구동레버(13)가 축방향으로부터 쉽게 빠져나오지 않도록 팽창된 반경을 갖는 헤드부(14b)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레버(13)의 연결공(13a)측에는 슬릿(13b)을 형성하여, 연결공(13a)을 강제적으로 확장시킴으로써 연결핀(14a)에 끼워맞춘다.As the link arm 14, a link arm having a driving hole 14c coupled to a drive shaft of a motor at one end and provided with a connecting pin 14a at the other end thereof is used, and is driven to the connecting pin 14a. The connecting hole 13a formed at one end of the lever 13 is fitted. In this case, the connecting pin 14a is provided with a head portion 14b having an expanded radius so that the drive lever 13 does not easily come out of the axial direction. Therefore, the slit 13b is formed in the connection hole 13a side of the drive lever 13, and it fits in the connection pin 14a by forcibly expanding the connection hole 13a.

그러나, 이 연결구조에 따르면, 예를 들어 구동레버(13)측의 하중이 무거워질 경우, 그 연결공(13a)이 슬릿(13b)을 개재하여 연결핀(14a)으로부터 이탈되어 버리는 단점이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is connection structure, for example, when the load on the drive lever 13 side becomes heavy,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connection hole 13a is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pin 14a via the slit 13b. .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예의 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제1목적은, 복수의 횡루버를 연결하는 연결판 등을 노출시키지 않고, 횡루버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s first object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that can easily assemble a horizontal louver without exposing a connecting plate or the like connecting a plurality of horizontal louvers. will be.

본 발명의 제2목적은, 모터에 의해 구동레버를 개재하여 복수의 횡루버를 왕복회동시킬 경우, 구동레버를 확실하게 모터측의 링크아암에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갖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having connecting means for reliably connecting a drive lever to a link arm on the motor side when reciprocating a plurality of lateral louvers via a drive lever via a motor.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공기토출구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 discharge port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제1실시예에서 사용된 부쉬를 연결판 및 횡루버와 함께 나타낸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sh used in the first embodiment together with a connecting plate and a transverse louver;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공기토출구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ir discharge port of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제2실시예의 부분분해사시도,4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도 5는 제2실시예에 사용된 부시를 나타내는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sh used in the second embodiment,

도 6은 제2실시예에서 사용된 부쉬에 구동레버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riving lever is attached to a bush used in the second embodiment;

도 7은 제2실시예에 사용된 부쉬에 연결판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요부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plate is attached to the bushing used in the second embodiment,

도 8은 제2실시예에서 구동 레버와 링크 아암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ive lever and the link arm are separated in the second embodiment;

도 9a는 상기 구동레버에 링크아암이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9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link arm is attached to the drive lever;

도 9b는 상기 구동레버에 링크아암이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9B is a bottom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ink arm is attached to the drive lever;

도 10a 내지 도 10c는 전술한 구동 레버와 링크 아암의 작동 설명도,10A to 10C are explanatory views of the operation of the drive lever and the link arm described above;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공기토출구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ir discharge port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제3실시예의 부분분해사시도,12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hird embodiment;

도 13은 제3실시예에서 사용된 부쉬를 나타낸 사시도,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sh used in the third embodiment;

도 14는 제3실시예의 부쉬에 구동레버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사시도,14 is a principal part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drive lever is attached to a bush of a third embodiment;

도 15는 제3실시예의 제1구동레버 및 제2구동레버를 연결하는 접속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FIG.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the first driving lever and the second driving lever in the third embodiment; FIG.

도 16은 상기 연결수단의 작동설명도,16 is an operation explanatory diagram of the connecting means;

도 17은 종래 공기조화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1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도 18은 종래예의 공기토출구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및18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air discharge port of a conventional example, and

도 19는 종래예에서 사용된 구동레버와 링크 아암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ive lever and the link arm used in the prior art are separated.

상기 제1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기흡입구와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내의 상기 공기흡입구로부터 상기 공기토출구에 이르는 공기통로내에 열교환기 및 송풍팬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토출구내에는, 거의 수평의 회전축선을 중심으로하여 종방향으로 회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종루버와, 연결판을 개재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고, 상기 종루버의 회전축선과 거의 직교하는 회전축선을 중심으로하여 횡방향으로 회동하는 복수의 횡루버가 마련되어 있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공기토출구의 상벽부를 덮는 크기로 되어 있고, 상기 횡루버의 각 회전지지축과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복수의 투과공을 갖는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커버플레이트를 상기 공기토출구의 상벽부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투과공내로 화전자재로 부착되어 있는 부쉬를 구비하고, 상기 부쉬에는 상기 횡루버의 회전지지축과 결합하는 축공을 가지며, 기단부로부터 그 축공의 축선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상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그 선단부측에 상기 연결판에 대한 연결수단을 갖는 아암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각 횡루버는 상기 부쉬의 기단부를 개재하여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투과공에 회동자재로 유지되어 있고, 상기 아암 및 상기 연결판은 상기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공기토출구의 상벽부와의 사이의 공간내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first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having an air inlet and an air outlet, and a heat exchanger and a blower fan are provided in an air passage from the air inlet to the air outlet in the housing. In the air discharge port, at least one longitudinal louver that rotate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bout an approximately horizontal rotation axis, and a rotation axis that is interconnected via a connecting plate and 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of the longitudinal louver. An air condition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ateral louvers that rotate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air conditioner being sized to cover an upper wall portion of the air outlet, and having a plurality of penetration holes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rotational support shafts of the lateral louvers. The cover plate and the cover plate are spac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pper wall of the air discharge port. And a bush attached to the transmission hole of the cover plate by a chemical material, wherein the bush has a shaft hole engaged with the rotational support shaft of the lateral louver, and is orthogonal to the axis of the shaft hole from the proximal end. An arm having a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to the connecting plate is provided on the front end of the cover plate, and the transverse louvers rotate in the transmission hole of the cover plate through the base end of the bush. And the arm and the connecting plate are accommodated in a space between the cover plate and the upper wall portion of the air discharge port.

상기 공기토출구로부터 실내를 향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 지지수단의 바람직한 일예로서는, 상기 공기토출구의 상벽부의 상류측 위치로부터 상기 공기토출구내부를 향하여 수직연장된 제1멈춤편과, 상기 공기토출구의 상벽부의 하류측 위치로부터 상기 공기토출구 내부를 향하여 수직연장된 제2멈춤편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멈춤편을 사용하여 상기 공기토출구의 상벽부에 대하여 소정 간격을 두고 상기 커버플레이트를 지지하는 구성을 들 수 있다.Referring to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toward the room from the air discharge port, as a preferred example of the support means, a first stop piece vertically extended toward the inside of the air discharge port from an upstream position of the upper wall of the air discharge port And a second stop piece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downstream position of the upper wall portion of the air discharge port toward the inside of the air discharge port, and using the first and second stop pieces,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respect to the upper wall part of the air discharge port. And a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cover plate.

이 경우,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일단부측에는, 상기 제1멈춤편에 결합하는 V자 또는 U자 형상의 분기부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타단부와 상기 제2멈춤편과의 사이에, 요철결합에 의한 결합멈춤수단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의해, 간단한 작업으로 커버플레이트를 공기토출구에 조립할 수 있다.In this case, at one end side of the cover plate, a V-shaped or U-shaped branching portion is formed to engage the first stop piece, and the uneven coupling is form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cover plate and the second stop piece.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stop means for engagement, whereby the cover plate can be assembled to the air discharge port in a simple operation.

또한, 상기 제2멈춤편에, 상기 제2멈춤편을 탄성변형시켜 상기 결합멈춤수단의 요철결합을 분리시키는 파지부를 마련할 수도 있다.The second stop piece may also be provided with a gripping portion for elastically deforming the second stop piece to separate the uneven coupling of the engagement stop means.

상기 지지수단의 다른 구성예로서, 상기 공기토출구의 상벽부의 상류측 위치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마련된 제1멈춤편과, 상기 공기토출구의 상벽부의 하류측 위치로부터 상기 공기토출구내를 향하여 수직연장된 제2멈춤편을 구비하며,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일단부측을 실질적으로 상기 공기토출구의 일부분을 구성하도록 상기 제1멈춤편을 따라 입설되어 있고, 그 선단부에 상기 제1멈춤편의 단부에 결합하는 계단부를 마련하고, 상기 제2멈춤편에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타단부의 유지수단을 마련할 수도 있다.As another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supporting means, a first stop piece provided upward from an upstream position of the upper wall portion of the air discharge port, and a second length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downstream position of the upper wall portion of the air discharge port toward the inside of the air discharge port. A stop piece, the one end side of the cover plate being formed along the first stop piece to substantially constitute a part of the air discharge port, and a stepped portion provided at the distal end thereof to engage with the end of the first stop piece; The second stopper may be provided with holding means for the other end of the cover plate.

한편, 상기 각 횡루버에 걸쳐서 구동레버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구동레버를 개재하여 구동모터에 의해 상기 각 횡루버를 소정 각도 범위내에서 왕복 회동시킬 경우, 상기 구동레버에 상기 횡루버의 초기각도를 설정하기 위한 복수의 그루브를 포함하는 초기각도 설정수단을 형성하고, 상기 아암의 상면 또는 하면중 하나의 면에는 상기 초기각도설정수단내의 임의의 그루브에 결합하는 결합돌기를 마련하고, 상기 아암의 타방의 면에는 상기 연결판에 대한 연결수단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 driving lever is provided over each of the lateral louvers, and the initial angle of the lateral louvers is set to the driving lever when the lateral rotations of the lateral louvers are reciprocated by a driving motor through the driving levers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Forming an initial angle setting means including a plurality of grooves for setting, and providing an engaging projection coupled to any groove in the initial angle setting means on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arm, and the other side of the arm.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connecting means for the connecting plate on the surface.

이 경우, 상기 아암에 상기 구동레버 또는 상기 연결판에 인접하여 상기 횡루버의 회동범위를 규제하는 스톱퍼를 마련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arm may be provided with a stopper for restricting the rotation range of the lateral louver adjacent to the drive lever or the connecting plate.

또한, 상기 아암의 일방의 면에 상기 초기각도설정수단의 그루브가 상기 결합돌기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구동레버를 유지하는 제1유지프레임을 형성할 수도 있다.Further, a first holding frame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arm so as to hold the drive lever so that the groove of the initial angle setting means does not deviate from the engaging projection.

상기 연결판에 대한 연결수단으로서, 상기 연결판에 마련된 연결공과 상기 아암의 타방의 면에 형성된 연결핀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채용할 경우에는, 상기 아암의 타방의 면에는 상기 연결핀으로부터 상기 연결공이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연결판을 탄성적으로 유지하는 제2유지프레임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the connecting means for the connecting plate, when adopting a configuration consisting of a connecting hole provided in the connecting plate and the connecting pin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arm, the other side of the arm is separated from the connecting pin on the other side of the arm.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second holding frame for elastically holding the connecting plate.

본 발명은, 또한 공기흡입구와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내의 상기 공기흡입구로부터 상기 공기토출구에 이르는 공기통로내에 열교환기 및 송풍팬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공기토출구내에는 거의 수평의 회전축선을 중심으로하여 종방향으로 회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종루버와, 연결판을 개재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고, 상기 종루버의 회전축선과 거의 직교하는 회전축선을 중심으로하여 횡방향으로 회동하는 복수의 횡루버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각 횡루버에 걸쳐서 구동레버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동레버를 개재하여 구동모터에 의해 상기 각 횡루버를 소정 각도 범위내에서 왕복적으로 회동시키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레버의 단부와 상기 구동모터와의 사이에 부착된 링크 아암을 가지며, 상기 구동레버의 단부에는 연결공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단부의 주연부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한 설편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링크아암의 일단에는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결합하는 구동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링크아암의 타단측에는 상기 구동레버의 연결공에 결합하는 연결핀과, 상기 구동레버의 설편이 들어갈 수 있는 수납홈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링크아암이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상기 구동공을 중심으로하여 소정각도 범위내에서 회동될 때, 상기 설편이 상기 수납홈내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해 상기 제2목적이 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a housing having an air intake port and an air discharge port, a heat exchanger and a blower fan are provided in an air passage from the air intake port to the air discharge port in the housing, and in the air discharge port, a substantially horizontal rotating shaft. At least one longitudinal louver pivot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bout a line, and a plurality of transverse directions which are interconnected via a connecting plate, and rotate in a lateral direction about a rotation axis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rotation axis of the longitudinal louver. A louver is provided, and a driving lever is formed over each of the transverse louvers, and the drive is provided in the air conditioner which reciprocally rotates the transverse louvers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by a driving motor via the driving lever. The drive lever having a link arm attached between an end of a lever and the drive motor; A connection hole is provided at an end portion, a tongue piece partially protruding from the periphery of the end portion is provided, and at one end of the link arm a driving hole is formed to be coupled to a drive shaft of the drive motor, and at the other end of the link arm, the drive lever is provided. A connecting pin coupled to the connecting hole of the housing and a receiving groove into which the tongue of the driving lever can be provided, and when the link arm is rotated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about the driving hole by the driving motor, The tongue is positioned in the receiving groove, whereby the second purpose is achiev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설편은 상기 구동레버의 종방향에 대하여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ongue piece protrudes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ve lever.

또한, 본 발명은, 공기흡입구와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내의 상기 공기흡입구로부터 상기 공기토출구에 이르는 공기통로내에 열교환기 및 송풍팬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공기토출구내에는, 거의 수평의 회전축선을 중심으로하여 종방향으로 회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종루버와, 상기 종루버의 회전축선과 거의 직교하는 회전축선을 중심으로하여 횡방향으로 회동하는 복수의 횡루버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각 횡루버를 구동모터에 의해 소정각도범위내에서 왕복적으로 회동시키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공기토출구의 상벽부를 덮는 크기로 되어 있고, 상기 횡루버의 각 회전지지축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복수의 투과공을 갖는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커버플레이트를 상기 공기토출구의 상벽부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투과공내에 회전자재로 부착되어 있는 부쉬와, 상기 복수의 횡루버를 그의 거의 중앙으로부터 2개의 군으로 나누고, 그 각 루버의 군에 배당된 제1구동레버 및 제2구동레버와, 상기 구동레버의 서로 대향하는 단부를 접속하는 접속수단 및 그 구동레버의 일방을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하는 링크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부쉬에는 상기 횡루버의 회전지지축이 결합되는 축공을 가지며,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투과공내에 회전자재로 결합되는 기단부와, 상기 기단부로부터 그 축공의 축선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상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그 선단부측에 상기 구동레버에 대한 연결수단을 갖는 아암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 횡루버는 상기 부쉬의 기단부를 개재하여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투과공내에 회동자재로 유지되어 있으며, 상기 아암 및 상기 제1 및 제2구동레버는 상기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공기토출구의 상벽부와의 사이의 공간내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동레버를 2개로 분할함으로써, 그 제작, 우송 및 부품관리가 용이해진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having an air intake port and an air discharge port, a heat exchanger and a blower fan are provided in an air passage from the air intake port to the air discharge port in the housing, and substantially horizontally in the air discharge port. At least one longitudinal louver pivo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bout the rotational axis of the plurality of horizontal louvers pivoting in a transverse direction around the rotational axis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rotational axis of the longitudinal louver. An air conditioner for rotating a louver reciprocally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by a drive motor, the air conditioner being sized to cover the upper wall portion of the air discharge port, and a plurality of transmissions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rotation support shafts of the lateral louvers. A cover plate having a ball and the cover plat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n upper wall portion of the air discharge port Support means for holding and supporting, a bush attached to the permeation hole of the cover plate, and the plurality of lateral louvers are divided into two groups from almost the center thereof, and the first drive allocated to the groups of each louver. A lever and a second driving lever,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opposite ends of the driving lever, and a linking means for connecting one of the driving levers to the driving motor, wherein the bushing has a rotation support shaft of the lateral louver. And a base end coupled to the rotating material in the transmission hole of the cover plate and extending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so as to be orthogonal to the axis line of the shaft hole from the base end. An arm having a connecting means for a lever is provided, and each of the lateral louvers is disposed on the cover plate via a proximal end of the bush. And is maintained in the rotated material within the pore, the arm and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lever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ccommodated in a space between the top wall of the cover plate and the air discharge port. In this way, by dividing the drive lever into two, the production, mailing and parts management are facilitated.

상기 제1 및 제2 구동레버는 함께 소정 길이의 벨트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수단은 그 일방의 구동레버의 단부의 평탄면에 형성된 융기부와, 타방의 구동레버의 단부의 평탄면에 형성된 함몰부와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극히 간단한 작업으로 제1 및 제2구동레버를 연결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drive levers together are made of a belt plate of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connecting means are formed on a flat surface formed on a flat surface of an end of one of the drive levers, and a flat surface of an end of the other drive lever. It is preferable that it is made of a combination with the depression, whereby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levers can be connected in an extremely simple operation.

상기 타방의 구동레버의 상기 함몰부를 포함하는 단부에는, 상기 일방의 구동레버의 단부를 탄성변형을 수반하여 수용하는 U자 형상의 접속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의해 제1 및 제2 구동레버의 연결부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a U-shaped connecting piece for accommodating the end of the one drive lever with an elastic deformation is formed at an end including the depression of the other drive lever, whereby the first and second drives are formed. The connection of the lev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asily released.

또한, 조립작업 효율을 개선시키기 위해, 상기 일방의 구동레버의 상기 접속편의 개구부에 대한 삽입단부에는, 상기 개구부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일방의 구동레버의 상기 삽입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에는, 상기 접속편의 개구부에 인접하는 플랜지를 형성함으로써, 제1 및 제2의 구동레버의 연결부의 위치결합을 간단히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쉬는 탄성을 가지고, 윤활제를 함유한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n order to improve the assembly work efficiency, it is preferable to form an inclined surface for facilitating insertion into the opening portion at the insertion end of the one driving lever with respect to the opening portion of the connecting piece. Further, by forming a flange adjacent to the opening of the connecting piece at an end opposite to the insertion end of the one driving lever, position coupling of the connecting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levers can be easily performed. In addition, the bush is elastic and is preferably formed of a synthetic resin containing a lubricant.

본 발명에 따른 잇점은 이하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Advanta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etter understood through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제1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공기조화기의 공기토출구(5)의 부분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도시되어 있지 않은 다른 부분의 구성은 종례예로서 전술한 도 17을 참조하고자 한다.First,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Although only a part of the air discharge port 5 of the present air conditioner is shown in FIG. 1, a configuration of another part not show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7 as an example.

제1실시예에 있어서도, 전술한 종래예와 동일하게 공기토출구(5)내에는 2개의 종루버(7, 8)와, 복수의 횡루버(6)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도 1에는 횡루버(6)가 1개만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상기 도면의 지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종루버(7, 8)의 지지구조는 종래예와 동일한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Also in the first embodiment, two longitudinal louvers 7 and 8 and a plurality of lateral louvers 6 are provided in the air discharge port 5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conventional example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only one lateral louver 6 is shown in FIG. 1, but a plurality of lateral louvers 6 are actually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urface of the drawing. In addition,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longitudinal louvers 7 and 8 employ | adopts the structure similar to a prior art example.

공기토출구(5)로부터 실내를 향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공기토출구(5)의 상벽부(5a)의 상류측 위치에는, 공기토출구(5)내부를 향하여 수직연장된 제1멈춤편(51)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공기토출구(5)의 상벽부(5a)의 하류측 위치에는, 공기토출구(5) 내부를 향하여 수직연장된 제2멈춤편(5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멈춤편(52)에는 멈춤공(521)이 마련되어 있다.Based on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discharge port 5 toward the room, the upright position of the upper wall portion 5a of the air discharge port 5 extends vertically toward the inside of the air discharge port 5; One stop piece 51 is provided. Further, at a downstream side of the upper wall portion 5a of the air discharge port 5, a second stop piece 52 vertically extended toward the inside of the air discharge port 5 is provided, and the second stop piece 52 is provided. The stop hole 521 is provided in this.

이 제1멈춤편(51)과 제2멈춤편(52)에 의해, 커버플레이트(11)가 공기토출구(5)의 상벽부(5a)와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생기도록 지지되어 있다. 제1실시예에 있어서, 커버플레이트(11)는 그 후벽부에 제1멈춤편(51)의 연부에 결합하는 V자 또는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분기형태의 멈춤부(11b)를 가지고 있고, 그 전단측에는 돌기(11c)를 갖는 플랜지(11d)가 형성되어 있다.The cover plate 11 is supported by the first stop piece 51 and the second stop piece 52 so that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between the upper wall portion 5a of the air discharge port 5. In the first embodiment, the cover plate 11 has a branched stop portion 11b having a V or U shape which is joined to the edge of the first stop piece 51 at its rear wall portion. On the front end side, a flange 11d having a projection 11c is formed.

즉, 커버플레이트(11)는, 그 후단의 멈춤부(11b)를 제1멈춤편(51)의 단부 가장자리에 결합시켜, 전단의 플랜지(11d)를 제2멈춤편(52)을 따라 압박상승시켜, 그 돌기(11c)를 멈춤공(521)에 결합시키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제1멈춤편(51)과 제2멈춤편(52) 사이에 유지된다.That is, the cover plate 11 engages the stop portion 11b at the rear end thereof with the end edge of the first stop piece 51, and presses the flange 11d at the front end along the second stop piece 52. It is held between the first stop piece 51 and the second stop piece 52 by a simple operation of coupling the protrusion 11c to the stop hole 521.

커버플레이트(11)에는 각 횡루버(6)에 대응하는 복수의 투과공(11a)이 천설되어 있고, 각 횡루버(6)는 부쉬(9A)를 개재하여 투과공(11a)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The cover plate 1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enetrating holes 11a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transverse louvers 6, and each of the transverse louvers 6 is rotatable to the penetrating holes 11a via the bush 9A. Support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루버(6)의 상측연부에는 지지축(6a)이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축(6a)은 화살촉 형상의 헤드부를 가지고, 헤드부의 중앙으로부터 축선을 따라 슬릿(6b)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6b)에 의해, 지지축(6a)의 반경은 탄성적으로 감소가능하게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support shaft 6a is provided at the upper edge of the lateral louver 6. This support shaft 6a has an arrowhead-shaped head portion, and slits 6b are formed along the axis line from the center of the head portion. By the slit 6b, the radius of the support shaft 6a can be elastically reduced.

부쉬(9A)는, 상기 지지축(6a)이 결합된 축공(90)을 갖는 기단부(91)와, 기단부(91)의 상측연부로부터 축공(90)의 축선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연결된 아암(92)을 구비하고 있다. 기단부(91)는 커버플레이트(11)의 투과공(11a)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상측연부에는 투과공(11a)보다 큰 직경의 플랜지(9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축공(90)과 지지축(6a)에는 부쉬(9A)의 회전을 횡루버(6)에 전달하기 위한 평탄부가 형성되어 있다.The bush 9A has a base end 91 having a shaft hole 90 to which the support shaft 6a is coupled, and an arm 92 connected to be perpendicular to an axis of the shaft hole 90 from an upper edge of the base end 91. Equipped with. The proximal end 91 has a cylindrical shape rotatably coupled into the penetrating hole 11a of the cover plate 11, and a flange 93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penetrating hole 11a is formed at the upper edge thereof. Further, in the shaft hole 90 and the support shaft 6a, a flat portion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 of the bush 9A to the lateral louver 6 is formed.

아암(92)은 그 플랜지(93)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부에는 연결판(10)을 부착하기 위한 연겨핀(94)이 마련되어 있다. 연결판(10)에는 소정의 간격, 즉 각 횡루버(6)의 배치간격과 거의 동일한 간격을 갖는 복수의 연결공(10a)이 마련되어 있다. 연결핀(94)은 연결공(10a)보다 큰 직경의 헤드부를 갖는 원통형 핀으로 되어 있고, 그 헤드부의 중앙으로부터 축선을 따라 슬릿(94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94a)에 의해, 연결핀(94)의 반경은 탄성적으로 감소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arm 92 extends from the flange 93, and an edge pin 94 is provided at its distal end for attaching the connecting plate 10. As shown in FIG. The connecting plate 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nnecting holes 10a having a predetermined interval, that is, an interval substantially equal to the interval of arrangement of the lateral louvers 6. The connecting pin 94 is a cylindrical pin having a head portion larger in diameter than the connecting hole 10a, and a slit 94a is formed along the axis line from the center of the head portion. By this slit 94a, the radius of the connecting pin 94 can be elastically reduced.

조립시에는, 우선 커버플레이트(11)의 각 투과공(11a)내로 상방으로부터 부쉬(9A)의 기단부(91)를 삽입시킨다. 이어서, 커버플레이트(11)의 하방으로부터 각 횡루버(6)의 지지축(6a)의 반경을 감소시키면서 부쉬(9A)의 축공(90)내로 강제적으로 결합시키고, 그 헤드부를 축공(90)의 상부로 돌출시킨다. 이에 따라, 각 횡루버(6)는 탈락하지 않고, 부쉬(9A)를 개재하여 커버플레이트(11)에 유지된다. 그 다음에, 아암(92)의 연결핀(94)에 연결판(10)의 연결공(10a)을 강제적으로 결합하여, 연결판(10)을 부쉬(9A)에 부착한다. 이와 반대로, 연결판(10)을 부쉬(9A)에 부착한 다음, 부쉬(9A)에 횡루버(6)를 부착하여도 좋다.In assembling, first, the proximal end 91 of the bush 9A is inserted from above into the through holes 11a of the cover plate 11. Subsequently, while lowering the radius of the support shaft 6a of each lateral louver 6 from below the cover plate 11, it forcibly engages in the shaft hole 90 of the bush 9A, and the head part of the shaft hole 90 Protrude upwards. Accordingly, the lateral louvers 6 are held by the cover plate 11 via the bush 9A without falling off. Next, the connecting hole 10a of the connecting plate 10 is forcibly coupled to the connecting pin 94 of the arm 92, and the connecting plate 10 is attached to the bush 9A. On the contrary, the connecting plate 10 may be attached to the bush 9A, and then the lateral louver 6 may be attached to the bush 9A.

이와 같은 방식으로, 커버플레이트(11)에 복수의 횡루버(6)가 결합부착된다. 그리고, 커버플레이트(11)를 상기 순서에 따라 제1멈춤편(51)과 제2멈춤편(52)의 사이에 부착한다.In this manner, the plurality of transverse louvers 6 are attached to the cover plate 11. Then, the cover plate 11 is attached between the first stop piece 51 and the second stop piece 52 in the above order.

이에 따라, 커버플레이트(11)가 실질적으로 공기토출구(5)의 상벽부를 형성하고, 연결판(10)과 연결핀(94)을 덮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송풍효율이 저하되거나, 소음이 발생하거나, 이슬이 생기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Accordingly, since the cover plate 11 substantially forms the upper wall portion of the air discharge port 5 and covers the connecting plate 10 and the connecting pin 94, the air blowing efficiency is lowered or noise is generated as in the prior art. Or dew does not occur.

다음에는, 도 3 내지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커버플레이트(11)에 있어서, 상기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은, 제2멈춤편(52)의 하단에 파지부(5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점이다. 이 파지부(53)는 손가락으로 조작하기 쉽도록, 공기토출구(5)의 전면(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파지부(53)를 도 3의 인출도에 도시되어 있는 화살표 방향, 즉 상방으로 들어올림으로써, 멈춤공(521)과 돌기(11C)와의 결합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유지조작이 수행이 편리하다.Next, a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S. 3 to 10 will be described. First, the cover plate 11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grip portion 53 is integrall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top piece 52. The gripping portion 53 extends to the front surface (front) of the air discharge port 5 so as to be easily operated by a finger, and the gripping portion 53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hown in the drawing view of FIG. By lifting, the coupling | bonding of the stop hole 521 and the protrusion 11C can be performed simply. Therefore, the maintenance operation is convenient to carry out.

제2실시예에 있어서도, 각 횡루버(6)는 연결판(10)에 의해 동기적으로 회동하도록 상호 연결되어 있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외에도, 구동수단으로서 모터(12)에 의해 구동레버(13)를 개재하여 각 횡루버(6)가 소정 각도 범위내에서 왕복적으로 회동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Also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lateral louvers 6 are interconnected to rotate synchronously by the connecting plate 10, but as shown in FIG. 4, in addition to the motor 12 as a driving means. As a result, a configuration is adopted in which the lateral louvers 6 rotate reciprocally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via the driving lever 13.

이 때문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쉬(9B)의 아암(92)의 상면에는 구동레버(13)에 대한 결합수단으로서의 반구 형상의 돌기(95)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레버(13)의 하단측에는 복수의 그루브(131)를 파형으로 연속적으로 설치된 초기 각도 설정수단(132)이 형성되어 있다. 즉, 돌기(95)를 초기각도설정수단(132)내의 그루브(131)중 어느 하나에 결합시킴으로써, 횡루버(6)의 초기각도가 설정가능하게 하고 있다.For this reason, as shown in FIG. 5, the hemispherical protrusion 95 as a coupling means with respect to the drive lever 13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arm 92 of the bush 9B. On the contrary, as shown in FIG. 6, an initial angle setting means 132 is provided on the lower end side of the driving lever 13 in which a plurality of grooves 131 are continuously installed in waveform. That is, by engaging the projection 95 to any one of the grooves 131 in the initial angle setting means 132, the initial angle of the lateral louver 6 can be set.

이 돌기(95)와 그루브(131)를 적당한 마찰력을 가지고 결합하기 위해, 아암(92)의 상면에는 구동레버(13)가 삽입되는 문(gate) 형상의 유지프레임(96)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유지프레임(96)에는, 구동레버(13)를 돌기(95)측으로 부세하는 돌기(96a)가 마련되어 있다.In order to couple the protrusion 95 and the groove 131 with an appropriate friction force, a gate-shaped holding frame 96 into which the driving lever 13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rm 92. Moreover, the said holding frame 96 is provided with the processus | protrusion 96a which attaches the drive lever 13 to the processus | protrusion 95 side.

부쉬(9B)의 아암(92)의 하단측에는, 연결판(10)의 연결공(10a)에 결합하는 연결핀(97)이 돌설되어 있다. 이 아암(92)의 하면측에도, 연결핀(97)을 연결공(10a)에 결합시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편(98)이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유지편(98)은 아암(92)의 선단으로부터 거의 180도로 절곡되어 있고, 유지편(98)과 아암(92)의 하면과의 간격은 연결판(10)의 판두께와 거의 동일한 두께로 되어 있다.At the lower end side of the arm 92 of the bush 9B, a connecting pin 97 is engaged with the connecting hole 10a of the connecting plate 10. A holding piece 98 is also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side of the arm 92 to hold the coupling pin 97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10a.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lding piece 98 is bent almost 180 degrees from the tip of the arm 92, and the gap between the holding piece 98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arm 92 is the plate thickness of the connecting plate 10. It is almost the same thickness as.

또한, 제2실시예에 따르면, 아암(92)의 하면의 기단부(91)의 근처에는 횡루버(6)의 회동범위를 규제하는 스톱퍼(99)가 하방을 향하여 돌설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판(10)측에는 연결판(10)이 소정량 이동한 때에, 스톱퍼(99)에 인접하는 한쌍의 규제편(10b, 10b)이 마련되어 있다. 즉, 연결판(10)의, 예를 들어 오른쪽 방향으로의 이동량은 일방의 규제편(10b)에 의해 규제되고, 왼쪽 방향의 이동량은 타방의 규제편(10b)에 의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stopper 99 which restricts the rotation range of the lateral louver 6 protrudes downward near the base end 91 of the lower surface of the arm 92. In contrast, as shown in FIG. 7, a pair of regulating pieces 10b and 10b adjacent to the stopper 99 are provided on the connecting plate 10 side when the connecting plate 10 moves a predetermined amount. That is,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connecting plate 10 in the right direction, for example, is regulated by one regulating piece 10b, and the amount of movement in the left direction is regulated by the other regulating piece 10b.

구동레버(13)는, 아암(92)의 상면에 마련되어 있는 문 형상의 유지프레임(96)을 삽입합으로써, 부쉬(9B)에 연결시키고 (도 6 참조), 또한, 연결판(10)은 유지편(98)을 압연시킨 상태에서 연결공(10a)을 연결핀(97)에 결합시킴으로써, 부쉬(9B)에 연결된다(도 7 참조).The drive lever 13 is connected to the bush 9B by inserting the door-shaped retaining frame 96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rm 92 (see Fig. 6). By connecting the connecting hole 10a to the connecting pin 97 in the state in which the holding piece 98 is rolled, it is connected to the bush 9B (refer FIG. 7).

제2실시예에 있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횡루버(6)는 그의 거의 중앙으로부터 2개의 군으로 나누어지고, 이에 따라, 각 군에 연결판(10)이 배당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구동레버(13)는 하나로만 되어 있어, 각 군내의 어느 하나의 횡루버(6)에 대응하는 위치에 초기각도설정수단(13a)이 마련되어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as shown in Fig. 4, the plural lateral louvers 6 are divided into two groups from their nearly centers, whereby the connecting plates 10 are assigned to each group. On the other hand, the drive lever 13 has only one, and the initial angle setting means 13a is provided in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any one horizontal louver 6 in each group.

즉, 각 군내의 횡루버(6)는 각각의 연결판(10)에 의해 연결되기 때문에, 구동레버(13)에 의해 횡루버(6)를 회동시키는 구동력을 그 군내의 어느 하나의 횡루버(6)에 부여하면, 그 구동력은 연결판(10)을 개재하여 다른 횡루버(6)에 전달된다.That is, since the lateral louvers 6 in each group are connected by the respective connecting plates 10, the driving force for rotating the lateral louvers 6 by the drive lever 13 is one of the lateral louvers in the group. 6), the driving force is transmitted to the other transverse louver 6 via the connecting plate 10. As shown in FIG.

또한, 부쉬(9B)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동레버(13) 및 연결판(10) 등이 부착될 수 있기 때문에, 부쉬(9B)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기단부(91), 아암(92)등의 각 부분을 포함하고, 탄성을 가지고, 윤활제로서 왁스성분을 함유하는 폴리아세탈 수지 등의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since the drive lever 13, the connecting plate 10, and the like can be attached to the bush 9B, the base end 91 and the arm (in order to reduce the frictional resistance of the bush 9B) can be attached. It is preferable that it is formed integrally with synthetic resins, such as polyacetal resin, which contains each part, such as 92), and has elasticity and contains a wax component as a lubricant.

제2실시예에 있어서, 구동레버(13)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링크아암(14A)을 개재하여 모터(12)에 연결되어 있다. 그 연결구조를 설명하면, 구동레버(13)의 일단에는 연결공(133)이 마련되어 있고, 그 단부에는 부분적으로 돌출된 설편(134)이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설편(134)의 연장돌출방향은 구동레버(13)의 종방향에 대하여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되어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drive lever 13 is connected to the motor 12 via the link arm 14A shown in FIG. When explaining the connection structure, the connection hole 133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drive lever 13, and the tongue piece 134 which protrudes partially is provided at the end. In this case, the extending projection direction of the tongue piece 134 becomes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ve lever 13.

링크아암(14A)의 일단에는 구동모터(12)의 구동축(12a)(도 4 참조)에 결합하는 구동공(141)이 형성되어 있다. 링크아암(14A)의 타단측에는 구동레버(13)의 연결공(133)에 결합하는 연결핀(142)과, 구동레버(13)의 설편(134)이 삽입가능한 수납홈(143)이 설치되어 있다.At one end of the link arm 14A, a drive hole 141 is formed to engage the drive shaft 12a (see Fig. 4) of the drive motor 12. On the other end side of the link arm 14A, a connecting pin 142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hole 133 of the drive lever 13 and a receiving groove 143 into which the tongue piece 134 of the drive lever 13 can be inserted. have.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레버(13)와 링크아암(14A)은 그들의 종방향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연결핀(142)에 대하여 연결공(133)이 결합되고, 그 연결부를 중심으로 하여 구동레버(13)와 링크아암(14A)을 상대적으로 소정각도 회전시키면, 설편(134)이 수납홈(143)내로 삽입하게 된다. 따라서, 설편(134)이 수납홈(143)내로 삽입되어 있는 소정 각도 범위내에서는, 연결핀(142)과 연결공(133)이 그 축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는다.As shown in FIGS. 9A and 9B, the driving lever 13 and the link arm 14A are coupled to the connecting hole 133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pin 142 in a state in which their longitudinal directions coincide with each other. When the driving lever 13 and the link arm 14A are rotated relatively by a predetermined angle, the tongue piece 134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43. Therefore, within the predetermined angle range in which the tongue piece 134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43, the connecting pin 142 and the connection hole 133 do not deviate in the axial direction.

구체적으로는, 상기와 같이, 구동레버(13)와, 링크아암(14A)을 그들의 종방향으로 일치시킨 상태에서 연결한 후, 구동레버(13)에 대하여 링크아암(14A)을 설편(134)측으로 90도 회전시킨 상태에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아암(14A)을 구동모터(12)의 구동축(12a)에 부착한다.Specifically, as described above, after connecting the drive lever 13 and the link arm 14A in their longitudinally aligned state, the link arm 14A is attached to the drive lever 13 to the tongue piece 134. In the state rotated 90 degrees to the side, as shown in FIG. 10A, the link arm 14A is attached to the drive shaft 12a of the drive motor 12.

이 상태를 중립위치로 하여, 링크아암(14A)은 모터(12)에 의해 도 10b에 도시된 우측 한계 위치와, 도 10c에 도시된 좌측 한계위치간의 사이에서 왕복적으로 구동되지만, 설편(134)의 개방각의 크기를 그 회동범위내에서는 수납홈(143)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설계함으로써, 구동레버(13)의 링크아암(14A)으로부터의 탈락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With this state in the neutral position, the link arm 14A is driven reciprocally between the right limit position shown in FIG. 10B and the left limit position shown in FIG. 10C by the motor 12, but the tongue piece 134 By designing the size of the opening angle of φ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accommodation groove 143 within the rotation range,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the drive lever 13 from falling off from the link arm 14A.

다음으로, 제3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3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플레이트(11)를 지지하는데 있어서, 제1멈춤편(51a)을 공기토출구(5)의 상벽부(5a)의 상류측 위치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설치하고, 이에 대응하여 커버플레이트(11)의 일단부(111)측을 실질적으로 공기토출구(5)의 일부분을 구성하도록 제1멈춤편(51a)을 따라 입설하고, 그 선단부에는 제1멈춤편(51a)의 단부와 결합하는 융기형상의 멈춤계단부(112)를 형성하고 있다.Next, a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the third embodiment, as shown in Fig. 11, in supporting the cover plate 11, the first stop piece 51a is moved upward from the upstream position of the upper wall portion 5a of the air discharge port 5; And the one end 111 side of the cover plate 11 is installed along the first stopper 51a so as to substantially constitute a part of the air discharge port 5, and the first end of the cover plate 11 A raised stop step portion 112 is formed to engage with the end of the stop piece 51a.

또한, 공기토출구(5)의 상벽부(5a)의 하류측 위치에는 상기 각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멈춤공(521)을 갖는 제2멈춤편(52)이 수직연장되어 있으나, 실시예 3에 있어서는, 그 제2멈춤편(52)에 대응하는 커버플레이트(11)의 타단부(113)에, 암나사공(114)을 형성하고, 제2멈춤편(52)의 멈춤공(521)로부터 암나사공(114)으로 수나사(115)를 나사결합함으로써, 커버플레이트(11)의 타단부(13)를 제2멈춤편(52)에 대하여 나사결합하도록 하고 있다.Further, in the downstream position of the upper wall portion 5a of the air discharge port 5, the second stop piece 52 having the stop hole 521 is vertically extend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 embodiments, but in the third embodiment The female thread hole 114 is formed in the other end 113 of the cover plate 11 corresponding to the 2nd stop piece 52, and the female thread hole is received from the stop hole 521 of the 2nd stop piece 52. As shown in FIG. The male screw 115 is screwed to 114 to screw the other end 13 of the cover plate 11 to the second stopper 52.

제3실시예에 있어서도, 커버플레이트(11)의 일단부(111)측에 있는 멈춤계단부(112)를 제1멈춤편(51)의 단부에 나사결합하고, 커버플레이트(11)의 타단부(113)를 제2멈춤편(52)에 나사결합함으로써, 커버플레이트(11)를 공기토출구(5)의 상벽부(5a)와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생기도록 부착할 수 있다.Also in the third embodiment, the stop step 112 at the one end 111 side of the cover plate 11 is screwed to the end of the first stop piece 51, and the other end of the cover plate 11 is closed. By screwing the 113 to the second stopper 52, the cover plate 11 can be attached so as to create a predetermined space between the upper wall portion 5a of the air discharge port 5.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 있어서, 공기토출구(5)의 하벽부(5c)는 지지판(116)을 개재하여 커버플레이트(1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11에는 단지 하나의 지지판(116)이 도시되어 있으나, 도면의 지면과 직교하는 공기토출구(5)의 폭방향으로 지지판(16)들 사이에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커버플레이트(11)뿐만 아니라, 공기토출구(5)의 하벽부(5c)는 공기토출구(5)로부터 착탈가능하고, 공기토출구(5)에 부착될 경우, 하벽부(5c)의 후단부는 하우징(1)내에서 스크루(117)에 의해 프레임 부재(1a)에 고정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1, in the third embodiment, the lower wall portion 5c of the air discharge port 5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ver plate 11 via the support plate 116. As shown in FIG. Although only one support plate 116 is shown in FIG. 11, a plurality of support plates 116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between the support plates 16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 port 5 perpendicular to the ground of the drawing. Therefore, not only the cover plate 11 but also the lower wall portion 5c of the air discharge port 5 is detachable from the air discharge port 5, and when attached to the air discharge port 5, the rear end of the lower wall portion 5c It is fixed to the frame member 1a by the screw 117 in the housing 1.

상기 제2실시예에서는, 각 횡루버(6)를 연결판(10)으로 연결하고, 구동레버(13)를 개재하여 모터(12)에 의해 횡방향으로 왕복동시키도록 하고 있으나, 이 제3실시예에서는, 연결판(10)을 사용하지 않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레버(13)만으로 각 횡루버(6)를 구동하도록 하고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lateral louvers 6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plate 10 and reciprocated in the lateral direction by the motor 12 via the driving lever 13. In the example, as shown in FIG. 12, each horizontal louver 6 is driven only by the drive lever 13, without using the connecting plate 10. As shown in FIG.

복수의 횡루버(6)는, 상기 각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공기토출구(5)의 전체 폭에 걸쳐 부쉬(9C)를 개재하여 커버플레이트(11)에 일련 부착되나, 제3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횡루버(6)를 그의 거의 중앙위치로부터 2개의 군(GA, GB)으로 나누고, 구동레버(13)를 거의 동일한 길이의 제1구동레버(13A)와 제2구동레버(13B)의 두 개로 분할하고, 일방의 군(GA)에는 제1구동레버(13A)를 배당하고, 타방의 군(GB)에는 제2구동레버(13B)를 배당하고 있다.Similarly to the above embodiments, the plural lateral louvers 6 are attached to the cover plate 11 in series via the bush 9C over the entire width of the air discharge port 5, but in the third embodiment, Lateral lever 6 is divided into two groups (GA, GB) from its almost central position, and the driving lever 13 is divided into two parts of the first driving lever 13A and the second driving lever 13B of substantially the same length. The first drive lever 13A is allocated to one group GA, and the second drive lever 13B is allocated to the other group GB.

이에 의해, 구동레버(13)를 제1 및 제2구동레버(13A, 13B)로 분할함으로써, 구동레버(13)를 공기토출구(5)의 전체 폭을 덮는 길이로 제작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구동레버(13)를 합성수지제로 할 경우, 그 성형금형을 소형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만들 수 있고, 또한, 운송이나 보관 등의 면에서 취급이 쉽게 된다고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후술하는 설명에서, 특히 제1구동레버(13A)와 제2구동레버(13B)를 나누어 설명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이를 단순히 구동레버(13)라 한다.Thereby, by dividing the drive lever 13 into the first and second drive levers 13A and 13B, it is not necessary to produce the drive lever 13 to a length covering the entire width of the air discharge port 5, and therefore, When the drive lever 13 is made of synthetic resin, the molding die can be made compact and inexpensive, and it is easy to handle in terms of transportation and storage.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hen the first drive lever 13A and the second drive lever 13B do not need to be divided and described, this is simply referred to as the drive lever 13.

도 13에는 제3실시예에 사용되는 부쉬(9C)가 도시되어 있다. 즉, 부쉬(9c)는 커버플레이트(11)의 투과공(11a)내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기단부(91)와, 기단부(91)의 상연부에 연결설치된 아암(92)를 구비하고 있다. 기단부(91)에는, 횡루버(6)의 지지축(6a)이 결합되는 축공(90)이 마련되어 있다. 횡루버(6)의 지지축(6a)은, 화살촉 형상의 헤드부를 가지며, 그 헤드부의 중앙으로부터 축선을 따라 슬릿(6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6b)에 의해, 지지축(6a)의 반경은 탄성적으로 감소가능하도록 되어 있다.Fig. 13 shows a bush 9C used in the third embodiment. That is, the bush 9c has a base end 91 which is rotatably coupled into the penetrating hole 11a of the cover plate 11 and an arm 92 connected to the upper edge of the base end 91. The base end 91 is provided with a shaft hole 90 to which the support shaft 6a of the lateral louver 6 is engaged. The support shaft 6a of the lateral louver 6 has an arrowhead-shaped head portion, and a slit 6b is formed along the axis line from the center of the head portion. By this slit 6b, the radius of the support shaft 6a can be elastically reduced.

아암(92)은, 기단부(91)의 상연으로부터 축공(90)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상면에는 구동레버(13)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핀(97a)이 마련되어 있다. 아암(92)의 선단부에는, 연결핀(97a)의 상방을 덮도록 절곡된 플랜지(98a)가 설치되어 있다. 이 플랜지(98a)에는, 연결핀(97a)보다 큰 직경의 투과공(98b)이 형성되어 있고, 정상조건에서는, 투과공(98b)내에 연결핀(97a)의 헤드부가 들어가 있다. 또한, 아암(92)의 상면에는, 횡루버(6)의 회동범위를 규제하는 스톱퍼(99a)가 돌설되어 있다.The arm 92 extends from the upper edge of the proximal end 91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haft hole 90, and a coupling pin 97a for connecting the drive lever 13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t the distal end of the arm 92, a flange 98a bent to cover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ing pin 97a is provided. In this flange 98a, a through hole 98b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connecting pin 97a is formed. Under normal conditions, the head portion of the connecting pin 97a enters the through hole 98b. Moreover, the stopper 99a which restricts the rotation range of the lateral louver 6 protrude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rm 92. As shown in FIG.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레버(13)측에는, 상기 연결핀(97a)에 결합하는 연결공(135)이 형성되어 있고, 구동레버(13)가 소정량 이동한 때에 상기 스톱퍼(99a)에 인접하는 한쌍의 규제편(136, 136)이 마련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4, a driving hole 135 is formed on the driving lever 13 side to engage the connecting pin 97a. When the driving lever 13 moves a predetermined amount, the stopper 99a is moved. A pair of regulating pieces 136 and 136 adjacent to are provided.

부쉬(9C)는, 바람직하게는 탄성을 가지며, 윤활제로서 왁스성분을 함유하는 폴리아세탈 수지 등의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그 플랜지(98a)를 상방으로 들어올리고, 구동레버(13)의 연결공(135)에 연결핀(97a)을 결합시킴으로써, 각 부쉬(9C)에 대하여 구동레버(13)가 탈락하지 않게 연결된다.The bush 9C is preferably formed integrally with synthetic resin such as polyacetal resin, which is elastic and contains a wax component as a lubricant, and lifts the flange 98a upward, and the drive lever 13 By coupling the connecting pin 97a to the connecting hole 135 of, the driving lever 13 is connected to each bush 9C so as not to fall off.

제1 및 제2구동레버(13A, 13B)중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1구동레버(13A)가 상기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링크아암(14)을 개재하여 모터(12)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1구동레버(13A)와 제2구동레버(13B)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접속수단(20)에 상호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15는 접속수단(20)을 구동레버(13)의 저부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Among the first and second drive levers 13A and 13B,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drive lever 13A is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motor 12 via the link arm 14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first driving lever 13A and the second driving lever 13B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ans 20 shown in Figs. 15 and 16, respectively. 1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ng means 20 viewed from the bottom side of the drive lever 13.

즉, 접속수단(20)은 제1구동레버(13A)측에 형성된 프리즘형상의 접속돌기(21)와, 제2구동레버(13B)측에 형성된 접속공(22)을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접속돌기(21)와 접속공(22)은, 각 구동레버(13A, 13B)의 저면측에 마련되어 있고, 제2구동레버(13B)측에는, 일방의 측연부로부터 타방의 측연을 향하여 거의 U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고, 타방의 측연부가 개구부(23a)를 형성하는 유지편(23)이 형성되어 있다.That is, the connection means 20 is provided with the prism-shaped connection protrusion 21 formed in the 1st drive lever 13A side, and the connection hole 22 formed in the 2nd drive lever 13B side. In this case, the connection protrusion 21 and the connection hole 22 are provided in the bottom face side of each drive lever 13A, 13B, and the 2nd drive lever 13B side is toward the other side edge from one side edge part. The holding piece 23 is bent in a substantially U-shape and the other side edge portion forms the opening 23a.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동레버(13A)는, 그 단부를 레버(13A)의 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유지편(23)을 탄성변형시키면서, 유지편(23)내로 강제적으로 삽입하여, 접속돌기(21)를 접속공(22)내로 끼워맞춤으로써, 제2구동레버(13B)에 일체로 접속된다.As shown in Fig. 16, the first driving lever 13A is forcibly forced into the holding piece 23 while elastically deforming the holding piece 23 from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ver 13A. By inserting and fitting the connection protrusion 21 into the connection hole 22, it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2nd drive lever 13B.

이 경우, 제1구동레버(13A)의 일방의 측면에는, 유지편(23)내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테이퍼(21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구동레버(13A)의 타방의 측면에는 유지편(23)의 개구단부에 인접하는 플랜지(21b)가 형성되어 있고, 이 플랜지(21b)에 의해, 제1 및 제2구동레버(13A, 13B)의 직선성을 유지시켜 보다 정확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this case, the taper 21a for easy insertion into the holding piece 23 is formed in one side surface of 13 A of 1st drive levers. Moreover, the flange 21b which adjoins the opening end part of the holding piece 23 is formed in the other side surface of 13 A of 1st drive levers, and this flange 21b makes the 1st and 2nd drive levers ( The linearity of 13A and 13B is maintained, and it can connect more accurately.

이에 따라, 커버플레이트(11)가 실질적으로 공기토출구(5)의 상벽부를 형성하고, 연결판(10)과 연결핀(94)을 덮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송풍효율이 저하되거나, 소음이 발생하거나, 이슬이 생기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Accordingly, since the cover plate 11 substantially forms the upper wall portion of the air discharge port 5 and covers the connecting plate 10 and the connecting pin 94, the air blowing efficiency is lowered or noise is generated as in the prior art. Or dew does not occur.

제3실시예에 있어서도, 부쉬(9C) 및 구동레버(13)는, 공기토출구(5)의 상벽부(5a)와 커버플레이트(11)간의 공간내에 수용되기 때문에, 송풍효율이 저하되거나, 소음이 발생하거나, 이슬이 생기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Also in the third embodiment, since the bush 9C and the drive lever 13 are accommod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upper wall portion 5a of the air discharge port 5 and the cover plate 11, the blowing efficiency is lowered or the noise is reduced. This does not occur or the phenomenon that dew occurs.

또한, 제3실시예에 따르면, 커버플레이트(11)상에 횡루버(6) 및 그 구동레버(13) 등을 조립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그 조립작업성이 대폭 개선된다.Furth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since the lateral louver 6, its driving lever 13 and the like can be assembled on the cover plate 11, the assembling workability is greatly improved.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커버플레이트가 실질적으로 공기토출구의 상벽부를 형성하고, 연결판과 연결핀을 덮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송풍효율이 저하되거나, 소음이 발생하거나, 이슬이 생기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I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ver plate substantially forms the upper wall portion of the air discharge port, and covers the connecting plate and the connecting pin, airflow efficiency is lowered, noise is generated, or dew occurs as in the prior art. I never do that.

Claims (17)

공기흡입구와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내의 상기 공기흡입구로부터 상기 공기토출구에 이르는 공기통로내에 열교환기 및 송풍팬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토출구내에는, 거의 수평의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종방향으로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종루버와, 연결판을 개재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고, 상기 종루버의 회전축선과 거의 직교하는 회전축선을 중심으로하여 횡방향으로 회동하는 복수의 횡루버가 설치되어 있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A housing having an air inlet and an air outlet is provided, and a heat exchanger and a blower fan are provided in an air passage from the air inlet to the air outlet in the housing, and in the air outlet, around a substantially horizontal rotation axis. At least one longitudinal louver that rotat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connecting plate,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louvers that rotate in the lateral direction about the rotation axis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rotation axis of the longitudinal louver are installed. Air conditioner, 상기 공기토출구의 상벽부를 덮는 크기로 되어 있고, 상기 횡루버의 각 회전지지축과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복수의 투과공을 갖는 커버플레이트와,A cover plate having a size covering the upper wall portion of the air discharge port, the cover plate having a plurality of transmission holes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rotation support shafts of the lateral louvers; 상기 커버플레이트를 상기 공기토출구의 상벽부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지지하는 지지수단과,Support means for supporting the cover plat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respect to the upper wall portion of the air discharge port;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투과공내로 회전자재로 부착된 부쉬를 구비하고, 상기 부쉬에는 상기 횡루버의 회전지지축과 결합하는 축공을 가지며,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투과공내로 회전자재로 결합되는 기단부와, 상기 기단부로부터 그 축공의 축선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상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그 선단부측에 상기 연결판에 대한 연결수단을 갖는 아암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 횡루버는 상기 부쉬의 기단부를 개재하여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투과공에 회동자재로 유지되며, 상기 아암 및 상기 연결판은 상기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공기토출구의 상벽부와의 사이의 공간내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A bush attached to a rotating material in the transmission hole of the cover plate, the bush having a shaft hole coupled with the rotation support shaft of the lateral louver, and a proximal end coupled to the rotating material into the transmission hole of the cover plate; It extends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so as to be orthogonal to the axis line of the shaft hole from the proximal end, and an arm having a connecting means for the connecting plate is provided on the proximal end thereof, and each of the lateral louvers is a proximal end of the bush. And an arm and the connecting plate are accommodated in a space between the cover plate and an upper wall portion of the air discharge por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토출구로부터 실내를 향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공기토출구의 상벽부의 상류측 위치로부터 상기 공기토출구 내부를 향하여 수직연장된 제1멈춤편과, 상기 공기토출구의 상벽부의 하류측 위치로부터 상기 공기토출구의 내부를 향하여 수직연장된 제2멈춤편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멈춤편은 상기 커버플레이트를 상기 공기토출구의 상벽부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2. The first stop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means is vertically extended toward the inside of the air outlet from an upstream position of the upper wall of the air outlet, based on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outlet toward the room. And a second stop piece vertically extended from the downstream position of the upper wall portion of the air discharge port toward the inside of the air discharge port,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top pieces include the cover plate at an upper wall part of the air discharge port.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for supporting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respect to.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일단부측에는, 상기 제1멈춤편에 결합하는 V자 또는 U자 형상의 분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타단부와 상기 제2멈춤편과의 사이에는, 요철결합에 의한 결합멈춤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The V-shaped or U-shaped branching portion which is coupled to the first stop piece is formed on one end side of the cover plate, an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cover plate and the second stop piece.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stop means by the uneven coupling is provid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멈춤편에는, 상기 제2멈춤편을 탄성변형시켜 상기 결합멈춤수단의 요철결합을 분리하는 파지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second stop piece is provided with a gripping portion for elastically deforming the second stop piece to separate the uneven coupling of the engagement stop mea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토출구로부터 실내를 향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공기토출구의 상벽부의 상류측 위치로부터 상기 공기토출구내를 향하여 수직연장된 제1멈춤편과, 상기 공기토출구의 상벽부의 하류측으로부터 상기 공기토출구의 내부를 향하여 수직연장된 제2멈춤편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일단부측은 실질적으로 상기 공기토출구의 일부분을 구성하도록 상기 제1멈춤편을 따라 입설되어 있고, 그 선단부에는 상기 제1멈춤편과 결합하는 계단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2멈춤편에는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타단부의 유지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2. The first stop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means is vertically extended toward the inside of the air outlet from an upstream position of the upper wall of the air outlet, based on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outlet toward the room. And a second stop piece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downstream side of the upper wall portion of the air discharge port toward the inside of the air discharge port, wherein one end side of the cover plate substantially constitutes a part of the air discharge port. The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along the stop piece, the tip end portion is provided with a step portion for engaging with the first stop piece, and the second stop piece is provided with holding means for the other end of the cover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루버에 걸쳐서 구동레버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구동레버를 개재하여 구동모터에 의해 상기 각 횡루버를 소정 각도 범위내에서 왕복적으로 회동시키며, 상기 구동레버에는 상기 횡루버의 초기각도를 설정하기 위한 복수의 그루브를 포함하는 초기각도설정수단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아암의 상면 또는 하면의 일방의 면에는 상기 초기각도설정수단내의 임의의 그루브에 결합하는 결합돌기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아암의 타방의 면에는 상기 연결판에 대한 연결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2. The driving lev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driving lever is disposed over the lateral louvers, and the lateral levers are reciprocally rotated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by a driving motor via the driving lever, and the lateral lever has the transverse direction. Initial angle setting means including a plurality of grooves for setting the initial angle of the louver is formed, and one side of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arm is provided with a engaging projection for engaging any groove in the initial angle setting means. And the connecting means for the connecting plate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ar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에는 상기 구동레버 또는 상기 연결판에 인접하여 상기 횡루버의 회동범위를 규제하는 스톱퍼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arm is provided with a stopper for restricting a rotation range of the lateral louver adjacent to the driving lever or the connecting plat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의 일방의 면에는, 상기 초기각도설정수단의 그루브가 상기 결합돌기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구동레버를 유지하는 제1유지프레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7.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one surface of the arm is provided with a first holding frame for holding the drive lever so that the groove of the initial angle setting means is not separated from the engaging projection.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에 대한 연결수단은 상기 연결판에 마련된 연결공과 상기 아암의 타방의 면에 형성된 연결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아암의 타방의 면에는 상기 연결핀으로부터 상기 연결공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판을 탄성적으로 유지하는 제2유지프레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According to claim 6, The connecting means for the connecting plate comprises a connecting hole provided in the connecting plate and the connecting pin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arm, the other side of the arm is detached from the connecting pin from the connecting pin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holding frame is formed so as to elastically maintain the connecting plate. 공기흡입구와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내의 상기 공기흡입구로부터 상기 공기토출구에 이르는 공기통로내에 열교환기 및 송풍팬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공기토출구내에는, 거의 수평의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종방향으로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종루버와, 연결판을 개재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고, 상기 종루버의 회전축선과 거의 직교하는 회전축선을 중심으로하여 횡방향으로 회동하는 복수의 횡루버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 횡루버에 걸쳐서 구동레버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구동레버를 개재하여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상기 각 횡루버를 소정각도범위내에서 왕복적으로 회동시키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A housing having an air inlet and an air outlet is provided, and a heat exchanger and a blower fan are provided in an air passage from the air inlet to the air outlet in the housing, and the air outlet has a substantially horizontal axis of rotation. At least one longitudinal louver rot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louvers tha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connecting plate, and that rotate in a lateral direction about a rotation axis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rotation axis of the longitudinal louver. In the air conditioner, the driving lever is arranged over each of the lateral louvers, and the reciprocating rotation of the lateral louvers 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by the drive motor via the driving lever, 상기 구동레버의 단부와 상기 구동모터와의 사이에 부착된 링크아암을 가지며, 상기 구동레버의 단부에는 연결공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단부의 주연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된 설편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링크아암의 일단에는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결합하는 구동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링크아암의 타단측에는 상기 구동레버의 연결공에 결합하는 연결핀과, 상기 구동레버의 설편이 들어갈 수 있는 수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링크아암이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상기 구동공을 중심으로하여 소정각도범위내에서 회동될 때, 상기 설편이 상기 수납홈내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A link arm attached between an end of the drive lever and the drive motor, a connection hole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drive lever, a tongue piece partially protruding from the periphery of the end is provided, and one end of the link arm A driving hole is formed in the drive shaft to be coupled to the drive shaft. The other end of the link arm has a connecting pin coupled to the connecting hole of the driving lever, and a receiving groove into which the tongue of the driving lever can be formed. And the tongue piece is positioned in the receiving groove when the link arm is rotated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about the driving hole by the driving moto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설편은 상기 구동레버의 종방향에 대하여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tongue piece protrudes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ving lever. 공기흡입구와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내의 상기 공기흡입구로부터 상기 공기토출구에 이르는 공기통로내에 열교환기 및 송풍팬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공기토출구내에는, 거의 수평의 회전축선을 중심으로하여 종방향으로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종루버와, 연결판을 개재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고, 상기 종루버의 회전축선과 거의 직교하는 회전축선을 중심으로하여 횡방향으로 회동하는 복수의 횡루버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 횡루버를 구동모터에 의해 소정각도범위내에서 왕복적으로 회동시키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A housing having an air inlet and an air outlet is provided, and a heat exchanger and a blower fan are provided in an air passage from the air inlet to the air outlet in the housing, and the air outlet has a substantially horizontal axis of rotation. At least one longitudinal louver rot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lateral louv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connecting plate, and rotates laterally around a rotation axis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rotation axis of the longitudinal louver. In the air conditioner for rotating the lateral louvers reciprocally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by the drive motor, 상기 공기토출구의 상벽부를 덮는 크기로 되어 있고, 상기 횡루버의 각 회전지지지축과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복수의 투과공을 갖는 커버플레이트와,A cover plate having a size covering the upper wall portion of the air discharge port, the cover plate having a plurality of penetration holes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rotary support shafts of the lateral louver; 상기 커버플레이트를 상기 공기토출구의 상벽부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지지하는 지지수단과,Support means for supporting the cover plat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respect to the upper wall portion of the air discharge port;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투과공내로 회전자재로 부착된 부쉬와,A bush attached to the permeation hole of the cover plate by a rotating material, 상기 복수의 횡루버의 거의 중앙으로부터 2개의 군으로 분할된 각 루버군에 할당된 제1구동레버 및 제2구동레버와,A first driving lever and a second driving lever allocated to each of the louver groups divided into two groups from substantially centers of the plurality of lateral louvers; 상기 구동레버의 상호 대향하는 단부를 접속하는 접속수단 및 상기 구동레버의 일방을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하는 링크수단을 구비하며,Connection means for connecting opposite ends of the drive lever and link means for connecting one of the drive levers to the drive motor, 상기 부쉬에는 상기 횡루버의 회전지지축이 결합되는 축공을 가지며,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투과공내로 회전자재로 결합되는 기단부와, 상기 기단부로부터 그 축공의 축선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상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그 선단부측에는 상기 구동레버에 대한 연결수단을 갖는 아암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 횡루버는 상기 부쉬의 기단부를 개재하여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투과공내에 회동자재로 유지되며, 상기 아암 및 상기 제1 및 제2구동레버는 상기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공기토출구의 상벽부와의 사이의 공간내에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The bush has a shaft hole to which the rotational support shaft of the lateral louver is coupled, and a base end coupled to the rotating material into the transmission hole of the cover plate,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so as to be orthogonal to the axis of the shaft hole from the base end. An arm having a connecting means for the drive lever is provided on the tip end side thereof, and each of the lateral louvers is held in a rotational material in the transmission hole of the cover plate via the base end of the bush. And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levers are accommodated in a space between the cover plate and an upper wall portion of the air discharge por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구동레버는 소정크기의 벨트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수단은 그 일방의 구동레버의 단부의 평탄면에 형성된 융기부와, 타방의 구동레버의 단부의 평탄면에 형성된 함몰부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13.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levers of claim 12,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levers are made of a belt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d the connecting means includes a raised portion formed on a flat surface of an end of one of the driving levers, and an end of the other driving lever.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combination of depressions formed on the flat surface of th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타방의 구동레버의 상기 함몰부를 포함하는 단부에는, 상기 일방의 구동레버의 단부를 탄성변형을 수반하여 수용하는 U자형상의 접속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14.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a U-shaped connecting piece for accommodating an end of the one drive lever with elastic deformation is formed at an end including the depression of the other drive lever.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의 구동레버의 상기 접속편의 개구부에 대한 삽입단부측에는, 상기 개구부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an inclined surface for facilitating insertion into the opening portion is formed at an insertion end side of the one driving lever with respect to the opening portion of the connecting piec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의 구동레버의 상기 삽입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에는, 상기 접속편의 개구부에 인접하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a flange adjacent to the opening of the connecting piece is formed at an end opposite to the insertion end of the one driving lever. 제1항, 제6항 제10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부쉬는 탄성을 가지며, 윤활제를 함유한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claim 1, 6 or 10, wherein the bush is elastic and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containing a lubricant.
KR1019970019350A 1996-05-20 1997-05-19 Air conditioner KR10046853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124259 1996-05-20
JP12423596A JP3482766B2 (en) 1996-05-20 1996-05-20 Air conditioner
JP96-124235 1996-05-20
JP26812696A JP3500872B2 (en) 1996-10-09 1996-10-09 Air conditioner
JP96-268126 1996-10-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126A true KR19980032126A (en) 1998-07-25
KR100468537B1 KR100468537B1 (en) 2005-06-23

Family

ID=66000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9350A KR100468537B1 (en) 1996-05-20 1997-05-19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853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049B1 (en) * 2001-08-17 2003-11-15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Devic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wind of room air-conditio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049B1 (en) * 2001-08-17 2003-11-15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Devic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wind of room air-condi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8537B1 (en) 200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3780A (en) Air conditioner
DE69921219T2 (en) air conditioning
KR920008689Y1 (en) Door with an adjustable louver
US5411438A (en) Heating, ventilating and air-conditioning systems
KR19990082816A (en) Air conditioner
US4653384A (en) Air supply adjusting mechanism for air conditioner
EP1926947A2 (en) No-frost refrigeration device
CA2134945A1 (en) Construction of Air Conditioner Louver
US20100112931A1 (en) Combination bearing, linkage pin and shaft coupling for a damper
KR100468537B1 (en) Air conditioner
CN1278902A (en) Air directing device for air conditioner
JP3511837B2 (en) Air conditioner
US20070289178A1 (en) Swinging decoration of wind exit
US20090095105A1 (en) Gear and coupling system
JP2009186112A (en) Grill for gas supply and discharge
JP2000039209A (en) Ceiling embedded type air conditioner
KR102661220B1 (en) Assembly structure of indoor unit
JPH10274436A (en) Air conditioner
JP3463430B2 (en) Air conditioner
JP3438761B2 (en) Air conditioner wind direction adjustment device
JP3438762B2 (en) Air conditioner wind direction adjustment device
DE112021004259T5 (e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CN211503187U (en) Panel assembly of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with same
CN219328136U (en) Fixing structure of air outlet of air conditioner
US20080289233A1 (en) Swinging decoration of wind ex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