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1227A - 비연결형 데이터 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비연결형 데이터 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1227A
KR19980031227A KR1019960050776A KR19960050776A KR19980031227A KR 19980031227 A KR19980031227 A KR 19980031227A KR 1019960050776 A KR1019960050776 A KR 1019960050776A KR 19960050776 A KR19960050776 A KR 19960050776A KR 19980031227 A KR19980031227 A KR 19980031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less
server
protocol
cell
dat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0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194592B1 (ko
Inventor
전병천
박천관
김영선
Original Assignee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준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준,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양승택
Priority to KR1019960050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4592B1/ko
Publication of KR19980031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1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4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4592B1/ko

Links

Landscapes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전달효율이 우수한 비동기 전송모드 적응계층5를 적용하여 비연결형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비동기 전송모드 적응계층5를 사용하면서도 단말과 비연결형 서버간에 하나의 가상채널만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비연결형 서버는 필연적으로 메시지 단위 처리를 하여야 하는데 만약 양단간에 하나의 비연결형 서버만을 거쳐 통신이 이루어질 경우 메시지 단위 처리 방식의 비연결형 서버를 사용하여도 종단간 지연은 크게 문제시 되지 않으나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가 다수의 비연결형 서버를 경유하는 경우 지연이 누적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비연결형 서버와 서버간에는 가상 경로를 설정하고 가상경로내의 다수의 가상채널을 이용하여 동시에 다수의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를 다중화하여 전달하는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비연결형 서버간에는 셀단위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였고 이런 방식을 사용할 경우 서버간 전달시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를 구성하는 첫번째 셀의 오류검사 없이 경로지정을 수행하여도 최종 목적지 단말이 접속된 비연결형 서버에서는 메시지 단위로 처리되면서 오류검사가 이루어지므로 가입다 단말로 오류가 발생된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가 전달되지 않게 됨으로 첫번째 셀의 오류검사를 수행하지 않아도 가입자에게는 오류를 검사하는 경우와 동일한 정도의 서비스 품질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비연결형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본 발명은 비동기 전송모드(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망에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데이터 전달효율이 우수한 ALL5를 적용하여 비연결형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비동기 전송모드 망은 모든 정보를 일정 길이의 셀로 만들어 전달함으로써 음성과, 데이터와, 화상 등을 하나의 망에서 동일한 형태로 전달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트래픽을 전달하기 위하여 종단간에 일정 수준의 서비스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가상 전송로를 확보하여야 하므로 상기 비동기 전송모드 망은 반드시 가상연결의 설정절차를 거친 후 트래픽을 전달하는 연결형으로 동작한다.
그러나 종래의 근거리 통신망(LAN)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여러 데이터 링크 계층 및 망계층 프로토콜들 즉 근거리 통신망의 매체 접근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와, 논리 연결 제어(Logical Link Control, LLC)와, 비연결형 네트워크 프로토콜(Connectionless Network Protocol, CLNP) 및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등은 연결설정 과정없이 패킷의 헤더에 있는 목적지 주소에 의하여 목적지로 전달되는 비연결형으로 동작한다.
따라서 상기 종래의 비연결형 프로토콜 데이터들을 연결형 비동기 전송모드 망을 통하여 전달하기 위한 방법들이 연구되어 왔다.
상기 비동기 전송모드 망에서 비연결형 트래픽을 전달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비연결형 트래픽을 전달하는 두 종단간에 직접 가상채널을 설정하는 간접형과 비동기 전송모드 망내에 비연결형 트래픽을 집중시켜 교환할 수 있도록 패킷교환기와 유사한 비연결형 서버를 두고 모든 가입자는 비연결형 서버와 설정된 가상채널을 통하여 트래픽을 서버로 전달하여 서버내에 최종 목적지로 전달하는 직접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간접형은 데이터의 교환이 필요한 단말의 수가 적을 경우 효과적이나 동시에 다수의 단말과 통신하거나 매우 많은 단말간에 통신이 필요한 경우에는 가상채널의 수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공중망과 같이 다수의 가입자에게 비연결형 데이터 전달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비연결형 서버를 사용하는 직접형 방식이 사용된다.
상기 직접형 비연결형 트래픽 전달방법으로는 국제통신연합(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ITU)의 I. 364 권고안에 정의된 비연결형 데이터 서비스가 있다.
상기 I. 364의 비연결형 데이터 서비스에서는 사용자 정보를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CLNAP-PDU)로 캡슐화하여 비연결형 서버로 전달하며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의 헤더에 있는 목적지 주소 영역에 의하여 목적지 단말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는 비동기 전송모드 적응계층3/4(이하 ALL3/4라 한다)에 따라 일정길이로 분할되어 셀화된 후 비동기 전송모드 망을 통하여 전달된다.
상기 국네통신연합(ITU) I. 364 권고안의 비연결형 서비스는 AAL3/4를 적용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는데, 이는 비연결형 서버내의 지연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셀단위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셀단위 처리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셀단위 다중화 기능 및 목적지 주소가 포함된 헤더 오류 검색기능이 반드시 필요하지만 비동기 전송모드 적응계층5는 하나의 메시지를 구성하는 셀들을 모두 수신하여야만 오류여부를 알 수 있으므로 큰 오버헤드에도 불구하고 AAL3/4를 선택하였다.
따라서 도 2와 같이 사용자 정보를 포함한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단위(CLNAP-PDU) 공통 컨버전스 서브층(Common Part Covergence Sublayer, CPCS) 헤더와 공통 컨버전스 서브층 트레일러를 부가하여 이를 44 바이트로 나눈 후 다시 각각 2 바이트의 셀 분할·조립(Segmentation and Reassembly, SAR) 헤더와 셀 분할·조립 트레일러를 부가하여 셀 분할·조립-프로토콜 데이터 단위(SAR-PDU)를 구성한다.
상기 AAL3/4의 복잡성으로 인하여 대부분의 응용들은 AAL5를 사용하게 되자 AAL5를 지원하는 다양하고 저렴한 소자들이 개발되고 있는 반면에 AAL3/4를 지원하는 소자들은 다양하지 못한 상황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는 비연결형 데이터 서비스로 AAL5를 사용하되 비연결형 서버는 메시지 단위 처리방식을 채택하는 방법이었다.
상기 방법은 비연결형 서버에서는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CLNAP-PDU)를 구성하는 모든 셀들을 수신한 후 오류여부를 검사하고 목적지 주소값에 따라 전달함으로써 목적지와 설정된 가상채널에 셀단위 다중화의 필요성이 없다.
따라서 처리가 단순한 반면 비연결형 서버에서는 상기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 재조립 지연이 발생한다.
특히 다수의 비연결형 서버를 경유하여 목적지로 전달되는 경우 비연결형 서버들의 지연이 누적되어 비연결형 데이터 서비스의 요구지연을 만족시키기 어렵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AAL5를 사용하면서도 비연결형 서버내에서의 재조립 지연을 감소시키기 위한 종래 기술로는 비연결형 서버에서 셀단위로 경로지정을 처리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셀단위 처리를 위해서는 다음 2가지의 문제점을 해결하여야 한다.
그 첫번째 문제는 상기 AA5는 셀단위 다중화를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동일한 목적지로 향하는 다수의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가 동시에 비연결형 서버에 도착할 경우 이들을 목적지로 적절히 전달하는 방법이다.
다음 두번째 문제는 상기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를 구성하는 목적지 주소를 포함한 첫번째 셀이 도착했을때 경로지정 처리를 해야하나 첫번째 셀에 오류발생 여부는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를 구성하는 모든 셀이 도착하여야만 가능하다는 점이다.
상기 종래 기술의 첫번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비연결형 서버와 목적지간에 다수의 가상채널을 설정하여 동시에 다수의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가 동일한 목적지로 전달되어야 할때 서로 다른 가상채널을 경유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상기 방법은 셀단위 경로지정을 가능하게 하나 하나의 비연결형 서비스 단말이 다수의 가상채널을 사용하게 되므로 망자원 낭비의 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많은 수의 가상채널 관리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을 야기한다.
또한 상기 두번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 선택사양 정보를 실을 수 있는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의 헤더 확장자 영역에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의 오류를 검출할 수 있는 순환중복코드(CRC)를 실어 전달하는 방법과 하나의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를 헤더 부분과 나머지 부분으로 나누어 2개의 AAL5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로 전달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상기 후자의 경우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의 헤더 부분은 순환중복코드를 포함한 하나의 AAL5 셀로 전달되므로 오류검사 후 전달을 가능하게 하나 단말은 하나의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로 분리하여 전달하고 수신시 본래의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로 재조립하는 기능이 추가되어야 한다.
그리고 비연결형 서버에서도 분리된 뒷쪽의 AAL5 공통 컨버전스 서브층-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는 앞쪽 공통 컨버전스 서브층-프로토콜 데이터 단위의 경로지정 결과에 따라 출력 경로가 결정되어야 하므로 기능이 복잡하게 될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표준 규격과 상이하여 실제 적용이 어렵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AL5를 적용하여 비연결형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로서, 단말은 서버와 설정된 하나의 가상채널을 통하여 셀단위의 다중화를 허용하지 않는 AAL5를 적용하여 메시지를 전달함으로써 단말을 단순화 할 수 있으며, 서버와 서버간에는 가상경로(VP)로 접속하여 가상경로내의 다수의 가상채널(VC)로 메시지를 다중화 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수신된 셀에 포함된 목적지 주소값이 다른 비연결형 서버에 속한 단말을 나타내는 경우 메시지를 재조립하지 않고 해당 서버로 그대로 전달함으로써 메시지 재조립 지연을 제거하도록 하고, 목적지 주소값이 해당 서버에 속한 단말인 경우에는 메시지를 재조립한 후 오류가 없는 경우에만 목적지로 전달하여 오류 메시지가 가입자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비연결형 데이터 서비스 제공을 위한 비연결형 망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가입자 단말에서 사용자 정보를 비동기 전송모드 적응계층 3/4를 적용한 셀화 개략도,
도 3은 종래의 사용자 정보를 비동기 전송모드 적응계층5를 적용한 셀화 개략도,
도 4A는 종래의 비동기 전송모드 적응계층3/4를 적용한 비연결형 서버에서 다수의 셀이 다중화되어 출력되는 개략도,
도 4B는 종래의 비동기 전송모드 적응계층5를 적용한 비연결형 서버에서 다수의 셀이 다중화되어 출력되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비연결형 망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 전송모드 적응계층5를 적용한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의 셀화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비연결형 서버에서 입력된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의 처리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비연결형 서버를 경유하는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 포맷의 예약영역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비동기 전송모드 망11:비연결형 서버
12:단말
본 발명은 데이터 전달효율이 우수한 AAL5를 이용하여 비연결형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비연결형 데이터 서비스 제공을 위한 비연결형 망 구성도로서, 비동기 전송모드(ATM) 망(10)내에 비연결형 서버(11)를 두고 서버와 단말(12)간 또는 서버와 서버간에는 비동기 전송모드 망(10)의 가상채널을 이용하여 접속한다.
상기 각각의 단말(12)은 비연결형 서버(11)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하나의 가상 채널만을 가지고 있으며 비연결형 서버(11)는 단말(12)로부터 입력된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PDU)를 적절한 목적지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국제통신연합(ITU)에서는 데이터 트래픽을 비동기 전송모드 망(10)을 통하여 전달할때 적용할 수 있는 셀화 방법으로 AAL3/4와 AAL5를 정의하고 있다.
다음의 도 2는 종래의 가입자 단말에서 사용자 정보를 AAL3/4를 적용한 셀화 개략도이다.
먼저 AAL3/4에서는 사용자 정보에 오류감시 및 유효정보의 길이를 알려주기 위한 공통 컨버전스 서브층(Common Part Convergence Sublayer, CPCS) 헤더와 공통 컨버전스 서브층 트레일러를 추가하여 공유 컨버전스 서브층-프로토콜 데이터 단위(CPCS-PDU)를 구성한다.
그리고 다시 이를 44 바이트 크기로 나눈 후 해당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PDU)가 본래 메시지의 첫번째인지 중간것인지 또는 마지막것인지를 나타내는 분할 형태(Segment Type, ST)와,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의 순서를 나타태는 순서 번호(Sequence Number, SN)와, 복수의 사용자 메시지를 하나의 가상채널에 다중화하여 전달하는 경우에도 본래의 메시지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해주는 메시지 식별자(Message Identifier, MID)를 헤더에 추가한다.
그리고 해당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 내의 유효 데이터의 크기를 나타내는 길이 지시(Length Indication, LI)와,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내의 오류를 감지하기 위한 순환중복코드(Cyclic Redundancy Code, CRC)를 트레일러에 추가하여 셀 분할·조립(Segmentation and Reassembly, SAR)-프로토콜 데이터 단위(PDU)를 구성한다.
실제 상기 셀 분할·조립-프로토콜 데이터 단위(SAR-PDU)가 가상채널을 통하여 전달되는 경우에는 헤더에 5 바이트의 비동기 전송모드 헤더를 추가한 53 바이트 셀단위로 전달이 이루어진다.
도 3은 종래의 사용자 정보를 AAL5를 적용한 셀화 개략도로서, 상기 AAL5에서 사용자 메시지에 메시지의 길이를 나타내는 영역과 오류검출을 위한 영역을 트레일러로 부가한 후 48 바이트 크기로 나누어 셀 분할·조립-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를 만든다.
그리고 상기 셀 분할·조립-프로토콜 데이터 단위에 5 바이트의 비동기 전송모드 헤더를 부가한 53 바이트 셀로 만들어 전달한다.
상기 구조에 AAL3/4를 사용하면 메시지 식별자 값에 의한 다수의 사용자 메시지를 셀단위로 다중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셀 분할·조립-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마다 오류감지를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상기 특징은 셀단위로 처리하는 비연결형 서버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해주므로 사용자 메시지 전체가 도착한 후 처리하는 메시지 단위 처리 방식의 연결형 서버에 비하여 서버내의 지연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해준다.
다음의 도 4A는 종래의 AAL3/4를 적용한 비연결형 서버에서 다수의 셀이 다중화 되어 출력되는 개략도로서, 다수의 가입자로부터 도착한 셀화된 메시지가 동시에 특정 가입자로 집중될때 셀 분할·조립-프로토콜 데이터 단위 헤더에 있는 메시지 식별자에 의한 셀단위 다중화 기능을 이용하여 하나의 가상채널에 동시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셀 분할·조립-프로토콜 데이터 단위 트레일러에 있는 순환중복코드에 의한 셀단위 오류검출이 가능하므로 하나의 메시지를 구성하는 다수의 셀들중 목적지 주소가 포함된 첫번째 셀이 도착하면 즉시 오류가 있는지를 검사하고 해당 셀을 목적지로 전달할 수 있다.
다음의 도 4B는 종래의 AAL5를 적용한 비연결형 서버에서 다수의 셀이 다중화되어 출력되는 개략도로서, 셀단위 다중화 기능이 없으므로 입력되는 셀들을 모아 본래의 메시지를 구성하고 메시지 단위로 다시 셀화하여 전달하는 방식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비연결형 서버내에서의 지연이 증가한다.
또한 AAL5는 셀단위 오류검출 기능이 없고 메시지 전체를 수신한 이후에 공통 컨버전스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 끝의 순환중복코드에 의한 메시지 오류를 판별할 수 있어서 목적지 주소가 포함된 첫번째 셀이 도착하자 마자 목적지를 결정할 경우 오류가 발생된 메시지를 잘못 전달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AAL3/4에서는 사용자 메시지가 셀화될때 3번의 캡슐화를 거쳐야 하므로 헤더 및 트레일러에 의한 오버헤드가 많아 이용효율이 감소되며 매 셀 분할·조립-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마다 순환중복코드 계산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처리가 복잡한 단점이 있다.
상기 AAL5에서도 2번의 캡슐화가 필요하나 AAL3/4에 비하여 단순하며 셀단위 순환중복코드 계산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처리가 단순하고 전송효율이 높아 대부분의 데이터 통신 응용에서 AAL5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 AAL3/4를 사용하는 경우 특정 가입자로 동시에 메시지가 집중되면 비연결형 서버에서는 단순시 메시지 식별자(MID) 영역을 이용하여 다중화를 하여 가입자로 전달하면 되나 가입자는 다중화된 셀흐름으로부터 본래의 미세지를 복원하기 위하여 복잡한 처리를 수행하여야 한다.
또한 단말과 서버간에 최대 다중화 갯수와, 메시지 식별자 값의 사용범위 등을 미리 협상하여야 하는데 이는 단말의 간격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비연결형 망 구성도로서, 가입자 단말로부터 전달된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CLNAP-PDU)형태의 메시지를 메시지내의 목적지 주소값에 따라 목적지 단말로 전달해주는 하나 이상의 비연결형 서버와, 상기 비연결형 서버와 단말 및 비연결형 서버간 연결은 가상채널을 사용한다.
그러나 비연결형 서버간 연결은 가상경로를 사용하고 가상경로내에 다수의 가상채널을 이용하여 동시에 다수의 메시지들을 전달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각각의 사용자 단말은 목적지 주소가 포함된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를 AAL5를 적용하여 셀화한 후 기 설정된 가상채널을 통하여 비연결형 서버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단말은 서버와 하나의 가상채널만을 사용하여 접속되므로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를 구성하는 셀들을 연속하여 전달하며, 송신할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가 다수인 경우 동시에 송신하지 못하므로 송신할 순서를 정하여 차례로 송신하여야 한다.
또한 비연결형 서버로부터 셀들을 수신할 경우에도 하나의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를 구성하는 셀들이 연속하여 도착되므로 이들을 본래의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로 복원하는 과정이 다수의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가 다중화되어 수신되는 경우에 비하여 매우 단순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AAL5를 적용한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의 셀화 개략도로서, 각 단말에서 사용자 정보를 비동기 전송모드 셀로 만드는 각 계층별 과정 또는 비연결형 서버로부터 셀들을 수신할때 본래의 사용자 정보를 복원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즉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 계층에서는 사용자 정보를 국제통신연합(ITU-TS I. 364) 권 고안에 정의된 바와 같이 목적지 주소가 포함된 헤더와 선택사항인 순환중복코드를 포함한 트레일러를 부착하여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 형태의 메시지를 구성한다.
그리고 비동기 전송모드 정합계층에서는 국제통신연합(ITU-TS I. 364)의 AAL5 권 고안에 따라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를 셀 분할·조립-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로 분할하고, 비동기 전송모드 계층에서 5 바이트의 비동기 전송모드 헤더를 부가하여 비동기 전송모드 셀로 만드는 과정을 나타낸다.
상기 과정을 역으로 수행하면 수신된 셀들로부터 본래의 사용자 정보를 복원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상기 비연결형 서버에서는 수신된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들의 목적지 주소에 따라 자신에 접속된 단말 또는 다른 비연결형 서버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비연결형 서버는 가입자 단말 또는 타 비연결형 서버와 설정된 다수의 가상체널로부터 셀들을 수신하게 된다.
그리고 타 비연결형 서버와는 가상경로를 통하여 접속되었지만 셀을 수신하는 서버의 입장에서는 가상경로내에 다수의 가상채널을 통하여 셀들을 수신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가 있으므로 가입자 단말이 접속된 가상채널과 동일하게 처리된다.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비연결형 서버에서 입력된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의 처리흐름도로서, 상기 비연결형 서버의 가상채널 각각으로부터 셀을 수신하여 가입자 단말 또는 타 비연결형 서버로 전달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즉 특정 가상채널로부터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CLNAP-PDU)를 구성하는 첫번째 셀, 즉 목적지 주소값이 포함된 셀이 수신되면(1), 목적지 주소값을 검색하여 해당 셀이 포함된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가 타 비연결형 서버로 전달되어야 하는 것인지 아니면 자신의 비연결형 서버에 접속된 단말로 전달될 것인지를 판단한다(2).
이는 목적지 주소값이 계층적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64 비트의 주소값 중 일부 비트들만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셀이 타 비연결형 서버로 전달되어야 하는 경우, 해당 비연결형 서버와 설정된 가상경로를 검색하며(3), 검색된 해당 가상경로 내에서 사용가능한 가상채널들중 현재 사용되지 않은 가상채널을 선택하여 셀을 전달하며(4),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를 구성하는 나머지 셀들이 연속하여 수신되면 첫번째 셀과 동일한 가상경로/가상채널로 전달한다(5).
따라서 타 비연결형 서버로 전달되는 셀들은 비연결형 서버내에서 해당 셀이 포함된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를 구성하는 셀들이 모두 수신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전달되므로 메시지 단위 처리방식에 비하여 지연이 적다.
그리고 상기 송신한 셀이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를 구성하는 마지막 셀인가를 판단한 후(6),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를 전달한 가상채널을 사용한 상태로 표시한다(7).
만약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을 구성하는 첫번째 셀의 목적지가 해당 서버에 연결된 단말인 경우 해당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로 구성하는 모든 셀들이 수신될 때까지 기다려 AAL5 순환중복코드에 의한 오류검사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과정에서 해당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가 출력되어야 할 가상채널을 검색한다(8).
그리고 상기 순환중복코드 오류검사를 판단해서(9) 오류가 없으면 해당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를 구성하는 셀들을 검색된 가상채널을 통하여 전달한다(10).
만약 상기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에 순환중복코드 오류가 발생하면 수신된 셀들을 모두 제거한다(11).
따라서 망내에서 오류가 발생된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는 가입자로 전달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적용된 비연결형 서버를 사용하여 망을 구성하는 경우 도 8과 같이 단말 1로부터 단말 2로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가 전달될때 비연결형 서버 1과 비연결형 서버 2에서는 셀단위로 처리되어 전달된다.
그리고 비연결형 서버 3에서만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를 구성하는 모든 셀들이 수신될 때까지 기다린 후 오류검사에서 통과되면 단말 2로 전달되므로 다수의 비연결형 서버를 경유하는 경우에도 종단간 지연이 크게 증가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타 서버로 전달되는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에 오류가 발생하여 비정상적인 경로로 전달될 경우에도 가입자로 전달되지 않고 제거된다.
따라서 첫번째 셀의 오류검사를 위한 특별한 기능이 없어도 되므로 종래 기술에 비하여 비연결형 서버를 단순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타 서버로 전달되는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의 첫번째 셀의 오류검사를 수행하여 망 내부에서 전달되는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에 대해서도 신뢰도를 높일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 헤더의 예약되어 있는 영역을 순환중복코드로 사용하면 된다.
즉 도 9와 같은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 포맷의 5번째 워드 하위 16 비트는 예약 영역으로 설정되어 있으나 현재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영역을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 헤더의 순환중복코드 영역으로 사용하면 타 비연결형 서버로 전달하는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 헤더의 오류 검사를 할 수 있어 망내 데이터 전달시에도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단말에서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 송신시 목적지 주소와, 소스 주소 및 제어정보 영역의 순환중복코드를 계산하여 순환중복코드 영역에 넣어 전달하며 비연결형 서버에서는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 헤더 오류검사를 수행하여 오류가 없는 셀에 대해서만 목적지 주소값으로 타 비연결형 서버 또는 자신의 비연결형 서버에 접속된 단말로 전달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대역폭 이용효율이 높고 처리가 단순한 비동기 전송모드 적응계층5(AAL5)를 사용하여 가입자 단말의 저가격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면서도 비연결형 서버는 메시지가 전달되는 최종단에서만 메시지를 재조립함으로써 전달지연이 작은 AAL3/4를 적용하고 셀단위로 처리하는 비연결형 서버를 사용하는 방식과 거의 유사한 정도의 낮은 지연특성을 갖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비동기 전송모드 적응계층5(이하 ALL5라 한다)를 사용하면서도 비연결형 데이터 서비스 단말은 단지 하나의 가상채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단말을 단순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며, 비연결형 서버와 단말간에 하나의 가상채널만을 사용함으로써 필연적으로 야기되는 비연결형 서버에서의 메시지 단위 처리에 의한 과다한 지연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Claims (2)

  1. 비동기 전송모드(ATM) 망에서 하나 이상의 비연결형 서버에 다수의 단말들이 비동기 전송모드망의 가상연결로 접속되어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를 전달하는 비연결형 데이터 서비스 망에 있어서,
    각각의 가입자 단말은 비연결형 서버와 하나의 가상채널로 접속되고 비연결형 서버간에는 가상경로로 연결되어 있으며 가입자 단말은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를 비동기 전송모드 적응계층5를 적용하여 셀화하여 비연결형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비연결형 서버는 특정 가상채널로부터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를 구성하는 목적지 주소값이 포함된 첫번째 셀이 수신되면 목적지 주소값을 검색하여 해당 셀이 포함된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이 타 비연결형 서버로 전달되어야 하는지 아니면 자신의 비연결형 서버에 접속된 단말로 전달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셀이 타 비연결형 서버로 전달되어야 하는 경우 해당 비연결형 서버와 설정된 가상경로 및 해당 가상경로내에서 사용가능한 가상채널들 중 현재 사용하지 않는 가상채널을 선택하여 셀을 전달하며, 동일한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를 구성하는 나머지 셀들이 연속하여 수신되면 즉시 첫번째 셀과 동일한 가상경로/가상채널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를 구성하는 첫번째 셀의 목적지가 해당 비연결형 서버에 연결된 가입자 단말인 경우 해당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가 출력되어야 할 가상채널을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를 구성하는 모든 셀들이 수신될 때까지 기다린 후 비동기 전송모드 적응층5 순환중복코드에 의한 오류검사를 수행하여 오류가 없으면 해당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를 구성하는 셀들을 검색된 가상채널을 통하여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에 순환중복코드 오류가 발생하면 수신된 셀들을 모두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결형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연결형 서버의 수신된 첫번째 셀의 전송방법은
    가입자 단말에서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 헤더의 순환중복코드 값을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에 실어서 전송된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를 구성하는 첫번째 셀 수신시 헤더 오류여부를 검사하여 오류가 없는 경우에만 목적지 주소값을 검색하여 해당 셀이 포함된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가 타 비연결형 서버로 전달되어야 하는 것인지 아니면 자신의 비연결형 서버에 접속된 단말로 전달될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오류검사 후 오류가 발견되면 해당 셀을 제거하고 해당 셀이 포함된 비연결형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프로토콜 데이터 단위의 나머지 셀들이 수신되면 이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결형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9960050776A 1996-10-31 1996-10-31 비연결형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194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0776A KR100194592B1 (ko) 1996-10-31 1996-10-31 비연결형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0776A KR100194592B1 (ko) 1996-10-31 1996-10-31 비연결형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227A true KR19980031227A (ko) 1998-07-25
KR100194592B1 KR100194592B1 (ko) 1999-06-15

Family

ID=66316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0776A KR100194592B1 (ko) 1996-10-31 1996-10-31 비연결형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45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356B1 (ko) * 2009-05-07 2011-03-04 김진원 자동차의 부품도장용 작업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356B1 (ko) * 2009-05-07 2011-03-04 김진원 자동차의 부품도장용 작업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194592B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20436B2 (ja) Atm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交換装置、トラフィック管理デバイスおよび交換方法
US5452293A (en) Apparatus and method of transmitting call information prior to establishing a connection path
US5345558A (en) Topology independent broadcast of cells in an ATM network or the like
US6909720B1 (en) Device for performing IP forwarding and ATM switching
US5408469A (en) Routing device utilizing an ATM switch as a multi-channel backplane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6639916B1 (en) AAL receiving circuit and method of processing ATM cells
EP0906711B1 (en) Atm partial cut-through
US602886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packet synchronized switch-over
JP2005253077A (ja) Atmデータをリアルタイムで再組立する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6449275B1 (en) Internal routing through multi-staged ATM node
EP0543957A1 (en) Connectionless switching for an atm switch
KR100194592B1 (ko) 비연결형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JP3214450B2 (ja) Atm加入者通信網における代理呼制御装置
Cisco ATM Technology
Cisco ATM Technology
Cisco ATM Technology
US6493345B1 (en) Single sender private multicast server for use with LAN emulation in asynchronous transfer mode networks
Cisco ATM Technology
Cisco ATM Technology
KR100222223B1 (ko) Atm 망을 통해 접속부를 결합시키는 방법 및 시스템
JP3349725B2 (ja) Lan間接続制御方法
KR100440579B1 (ko) 비동기전송모드 기반 멀티프로토콜레이블스위칭 시스템의가상채널 머징 제어기에서의 패킷처리방법
KR100388969B1 (ko) 투명적 랜 서비스를 위한 에이티엠과 이더넷 랜 정합 장치및 그 방법
KR100293993B1 (ko) 광대역정합장치에서프로토콜정합방법
EP116181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packet synchronized switch-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0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