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0891A - Head Cleaning Tape Count Recorder - Google Patents

Head Cleaning Tape Count Recor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0891A
KR19980030891A KR1019960050372A KR19960050372A KR19980030891A KR 19980030891 A KR19980030891 A KR 19980030891A KR 1019960050372 A KR1019960050372 A KR 1019960050372A KR 19960050372 A KR19960050372 A KR 19960050372A KR 19980030891 A KR19980030891 A KR 19980030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ape
ctl
head
head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03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종국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60050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0891A/en
Publication of KR19980030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0891A/en

Links

Landscapes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TL신호를 이용하여 헤드 크리닝 테이프의 사용횟수를 테이프의 소정 부분에 기록하고, 이를 근거로 테이프 사용시점마다 사용자에게 테이프 사용횟수를 알려 줄 수 있도록 된 헤드 크리닝 테이프 사용횟수 기록장치에 관한 것으로, 헤드 크리닝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기능선택부와, 소정 제어명령에 따라 약정된 듀티비의 콘트롤신호(CTL)를 기록 및 재생하는 CTL헤드, 이 CTL헤드에서 출력되는 콘트롤신호(CTL)를 구형파로 파형정형하기 위한 파형정형회로, 이 파형정형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듀티비를 근거로 해당 듀티비에 대응되는 소정 코드신호를 출력하는 펄스판정부, 이 펄스판정부로부터 출력되는 코드신호에 대하여 해당 코드신호에 대응되는 테이프 사용횟수 데이터를 저장하는 코드정보저장부, 소정 제어명령에 따라 테이프 사용횟수를 나타내는 소정 OSD패턴신호를 출력하는 OSD발생부, 이 OSD발생부의 출력신호와 재생영상신호를 믹싱하여 출력하는 믹서, 및 상기 기능선택부를 통해 헤드 크리닝기능이 선택되게 되면 재생동작을 통해 헤드 크리닝동작을 실행함과 더불어 상기 펄스판정부로부터 인가되는 코드데이터를 근거로 테이프 사용횟수를 독출 및 갱신기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 cleaning tape count recording device which records the number of times the head cleaning tape is used i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tape by using the CTL signal, and informs the user of the number of times the tape is used every time the tape is used. And a function selection section for selecting a head cleaning function, a CTL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a control signal CTL of a duty ratio contrac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trol command, and a control signal CTL output from the CTL head. A waveform shaping circuit for shaping a wave shape, a pulse judging outputting a predetermined cod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uty ratio based on the duty ratio of a signal output from the waveform shaping circuit, and a code signal output from the pulse judging circuit Code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tape count data corresponding to the code signal. An OSD generator for outputting a predetermined OSD pattern signal indicating the number of times; a mixer for mixing and outputting an output signal and a playback video signal of the OSD generator; and a head cleaning function when a head cleaning function is selected through the function selection unit. And a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o read and update the tape count based on the code data applied from the pulse determining unit.

Description

헤드 크리닝 테이프 사용횟수 기록장치Head Cleaning Tape Count Recorder

본 발명은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에 관한 것으로, 특히 CTL신호를 이용하여 헤드 크리닝 테이프의 사용횟수를 테이프의 소정 부분에 기록하고, 이를 근거로 테이프 사용시점마다 사용자에게 테이프 사용횟수를 알려 줄 수 있도록 된 헤드 크리닝 테이프 사용횟수 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cassette recorder, and more particularly, to record the number of times the head cleaning tape is used o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tape by using the CTL signal, and to inform the user of the number of times the tape is used every time the tape is used. A cleaning tape recording frequency recording apparatus.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이하, VCR이라 칭함)를 포함하여 일반 오디오기기에도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마그네틱 테이프는 자성 물질이 균일하게 도포된 박막을 소정 데이터에 해당하는 약정된 전자기적 신호에 의해 자화(磁化) 시킴으로써 정보를 기록하거나 이 역순의 방법으로 읽어내도록 된 것인 바, 도1은 종래 일반적인 VCR의 녹화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블럭도이다.Widely used in general audio equipment, including video cassette recorde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VCRs), magnetic tape is made by magnetizing a thin film uniformly coated with a magnetic material with a contracted electromagnetic signal corresponding to predetermined data. 1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recording function of a conventional general VCR.

도1에서 참조번호 1은 장치전반의 원격조종을 위한 리모콘장치이고, 2는 이 리모콘장치(1)로부터 송출되는 적외선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전기적인 코드신호로 변환출력하는 수신부, 3은 이 수신부(2)로부터 출력되는 코드신호를 근거로 장치전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서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이다.In FIG. 1, reference numeral 1 denotes a remote controller for remote control of the entire apparatus, and 2 denotes a receiver which receives an infrare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1 and converts it into an electrical code signal. A microprocessor serving a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ntire apparatus based on the code signal output from 2).

또한, 참조번호 4는 일정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감겨있던 테이프를 이송시켜주는 공급릴이고, 5는 이 공급릴(4)로부터 풀려져 나오는 테이프를 되감는 되감기릴, 6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로부터의 소정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공급릴(4)로부터 이송되어 나오는 테이프에 영상신호를 기록해 넣거나 기록되어져 있는 영상데이터를 독출해내는 녹화/재생용 헤드, 7은 이 녹화/재생용 헤드(6)를 구동제어하는 헤드 구동부, 8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로부터의 소정 제어신호를 근거로 녹화 또는 재생동작 실행에 따른 스위칭절환을 수행하는 스위칭부이다.In addition, reference numeral 4 is a supply reel for conveying the tape wound while rotating in a constant direction, 5 is a rewind reel to rewind the tape released from the supply reel (4), 6 is from the microprocessor (3) A recording / playback head for recording a video signal on a tape conveyed from the supply reel 4 or reading out recorded video data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of < RTI ID = 0.0 > 7, < / RTI > The head drive unit 8 for driving control is a switching unit that performs switching switching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operation on the basis of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from the microprocessor 3.

한편, 참조부호 Pin는 VCR에 접속된 TV수상기나 캠코더등으로부터 인가되는 영상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영상신호 입력단자이고, 참조번호 9는 이 영상신호 입력단자(Pin)를 통해 장치내부로 인가되는 영상신호를 휘도신호(Y)와 색조신호(C)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Y-C분리부, 10은 이 Y-C분리부(9)에서 분리되어 출력되는 휘도신호(Y)를 주파수변조(FM)하는 FM변조회로, 11은 Y-C분리부(9)에서 휘도신호와 분리되어 출력되는 색조신호(C)를 저대역 주파수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주파수 저역 변환회로, 12는 상기 FM변조회로(10)와 상기 주파수 저역 변환회로(11)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휘도신호(Y)와 색조신호(C)를 혼합하기 위한 믹서(MIXER), 13은 이 믹서(12)에서 혼합된 영상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하여 증폭된 신호를 상기 스위칭부(8)의 고정단자(R;recording)에 공급하는 증폭부이다.On the other hand, reference numeral P in denotes a video signal input terminal for receiving a video signal applied from a TV receiver or a camcorder connected to a VCR, and reference numeral 9 is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apparatus through this video signal input terminal P in . YC separation unit for separating and outputting the video signal to be divided into the luminance signal (Y) and the color tone signal (C), 10 is a frequency modulation (FM) of the luminance signal (Y) separated and output from the YC separation unit (9) FM modulation circuit, 11 is a frequency low-frequency conversion circuit for converting and outputting the tone signal (C) which is separated from the luminance signal in the YC separation unit 9 into a low-band frequency signal, 12 is the FM modulation circuit 10 and A mixer (MIXER) for mixing the luminance signal (Y) and the color tone signal (C) respectively output from the frequency low-frequency conversion circuit 11, 13 amplifies the video signal mixed in the mixer 12 to a predetermined level A signal for supplying the amplified signal to the fixed terminal (R; recording) of the switching unit (8) It's a wealth.

그리고, 참조부호 HD2는 음성신호의 기록 및 독출을 위한 오디오헤드이고, 참조번호 14는 이 오디오헤드(HD2)에서 독출된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 22는 재생동작시 상기 스위칭부(8)의 고정단자(P)측으로 인가된 영상재생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전치증폭부이다.Reference numeral HD2 denotes an audio head for recording and reading a voice signal, reference numeral 14 denotes an amplifier for amplifying and outputting a voice signal read from the audio head HD2, and 22 denotes the switching unit ( And a preamplifier for amplifying and outputting a video reproduction signal applied to the fixed terminal (P) side of 8).

참조번호 16은 상기 전치증폭부(22)로부터 출력되는 재생신호 가운데 휘도신호(Y)만을 검파하기 위한 고대역통과필터(HPF;High Pass Filter)이고, 17은 이 고대역통과필터(16)(이하, HPF라 칭함)로부터 출력되는 휘도신호를 복조하기 위한 FM복조회로, 18은 상기 전치증폭부(22)로부터 출력되는 재생신호 가운데 색조신호(C)만을 검파하기 위한 저대역통과필터(LPF;Low Pass Filter), 19는 이 저대역통과필터(18)(이하, LPF라 칭함)로부터 출력되는 색조신호를 소정 주파수 대역의 고주파신호로 변환하는 주파수 고역변환회로이며, 20은 상기 FM복조회로(17)로부터 출력되는 휘도신호(Y)와 상기 주파수 고역변환회로(19)로부터 출력되는 색조신호(C)를 합성하는 믹서(MIXER), 21은 이 믹서(20)에 의해 합성된 재생영상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하는 증폭부, 참조부호 Pout는 이 증폭부(21)에서 증폭된 재생영상신호를 TV와 같은 영상출력장치측으로 출력하는 출력단자이다.Reference numeral 16 denotes a high pass filter (HPF) for detecting only the luminance signal Y among the reproduction signals output from the preamplifier 22, and 17 denotes this high band pass filter 16 ( FM demodulation circuit for demodulating the luminance signal output from the HPF), 18 is a low pass filter LPF for detecting only the hue signal C among the reproduction signals output from the preamplifier 22; Low Pass Filter), 19 is a frequency high-frequency conversion circuit for converting a color tone signal output from the low pass filter 18 (hereinafter referred to as LPF) into a high frequency signal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and 20 is the FM demodulation circuit. Mixer (MIXER) for combining the luminance signal (Y) output from the furnace (17) and the color tone signal (C) output from the frequency high-frequency conversion circuit (19), 21 is a playback image synthesized by the mixer (20) an amplification section for amplifying the signal to a predetermined level, a reference numeral P out is the amplification section 21 An output terminal for outputting the standing amplified reproduced video signals toward the image output device such as a TV.

즉, 상기한 구성으로 된 종래의 일반적인 VCR은 사용자가 리모콘장치(1)를 통해 녹화실행명령을 입력시킴에 대하여, 영상신호를 기준으로 오디오신호는 트랙의 상단에, 컨트롤신호(CTL)는 트랙의 하단에 각각 기록되도록 되어 있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general VCR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hile the user inputs a recording execution command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1, the audio signal is at the top of the track and the control signal CTL is tracked based on the video signal. It is recorded at the bottom of each.

상기 컨트롤신호(CTL)는 캡스턴모터(CAPSTAN MOTOR)의 위상제어 및 테이프의 시작부분을 표시하기 위한 비스신호(VISS ; VHS Index Search System)의 근거로서 사용되는 신호인 바, 이는 도3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의 소정 부분에 일정간격의 CTL 피이크 신호를 기록하고, 재생시 상기 피이크 신호를 파형정형시켜 도3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의 듀티비를 판정함으로써, 테이프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확인하도록 되어 있다.The control signal CTL is a signal used as a basis for the VHS (VHS Index Search System) for controlling the phase of the capstan motor and marking the beginning of the tape. By recording the CTL peak signal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tape as shown in Fig. 2), and during peak playback, the peak signals are waveform-shaped to determine their duty ratios as shown in Fig. 3B. It is to confirm the information recorded in.

한편, VCR을 장시간 사용하다보면 헤드부분에 이물질이 끼게 되어 재생시 화질이 떨어지고 헤드 및 테이프에 손상을 주게 되는 사례가 발생되게 되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각 가정에서는 통상적으로 크리닝 테이프를 사용하게 된다. VCR의 헤드를 청소하는데 사용되는 크리닝 테이프는 제품출하시 그 사용횟수가 소정 횟수로서 제한되어 있으며, 이를 초과하여 사용하게 될 경우 오히려 헤드가 마모될 우려가 있는 바, 종래의 VCR에는 상기 크리닝 테이프의 사용횟수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기능이 없었으므로 간혹 크리닝 테이프의 사용횟수를 초과하게 됨에 따라 VCR의 헤드가 심하게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On the other hand, if the VCR is used for a long time, foreign substances may be caught in the head part, resulting in deterioration of image quality during playback and damage to the head and tape. To prevent this, cleaning tapes are generally used in each home. . The cleaning tape used to clean the head of the VCR is limited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when the product is shipped from the factory. If the cleaning tape is used more than this, the head may be worn out. Since there was no function of notifying the number of times of use,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cleaning tape sometimes exceeded, causing the head of the VCR to be severely damaged.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CTL신호를 이용하여 헤드 크리닝 테이프의 사용횟수를 테이프의 소정 부분에 기록하고, 이를 근거로 테이프 사용시점마다 사용자에게 테이프 사용횟수를 알려 줄 수 있도록 된 헤드 크리닝 테이프 사용횟수 기록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records the number of times the head cleaning tape is used i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tape using the CTL signal, and based on this, the user can be notified the number of times the tape is used at each point of use of the tap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for recording the number of times the head cleaning tape is used.

도1은 종래 일반적인 VCR의 녹화 및 재생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블럭도.1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recording and playback functions of a conventional general VCR.

도2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헤드 크리닝 테이프 사용횟수 기록기능이 부가된 VCR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VCR to which a head cleaning tape count record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ded.

도3은 테이프 사용횟수에 따른 CTL정보의 기록예를 예시한 도면.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recording CT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ape usage count.

도4는 테이프 사용횟수를 나타내는 안내자막의 출력상태를 예시한 도면.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utput state of a guide subtitle indicating the number of times tape is used.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

1, 28 : 리모콘장치 2, 29 : 수신부1, 28: remote control device 2, 29: receiver

3, 33 : 마이크로 프로세서 4 : 공급릴3, 33: microprocessor 4: supply reel

5 : 되감기릴 6 : 녹화/재생용 헤드5: Rewind 6: Head for recording / playback

7 : R/P 헤드 구동부 8 : 스위칭부7: R / P head drive unit 8: switching unit

9 : Y-C 분리부 10 : FM 변조회로9: Y-C separation unit 10: FM modulation circuit

11 : 주파수 저역변환회로 12, 20 : 믹서11: frequency low frequency conversion circuit 12, 20: mixer

13, 14, 21, 31 : 증폭부 15 : 오디오 헤드 구동부13, 14, 21, 31: amplifier 15: audio head drive

16 : HPF(High Pass Filter) 17 : FM 복조회로16: HPF (High Pass Filter) 17: FM demodulation circuit

18 : LPF(Low Pass Filter) 19 : 주파수 고역변환회로18: LPF (Low Pass Filter) 19: Frequency High Frequency Conversion Circuit

22 : 전치증폭부 30 : CTL헤드 구동부22: preamplifier 30: CTL head drive unit

32 : 파형정형회로 34 : 펄스판정부32: waveform shaping circuit 34: pulse judgment unit

35 : 코드정보저장부 36 : OSD발생부35: code information storage unit 36: OSD generation unit

37 : 믹서(MIXER) HD1 : CTL헤드37: Mixer HD1: CTL head

HD2 : 오디오 헤드HD2: Audio Head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헤드 크리닝 테이프 사용횟수 기록장치는 헤드 크리닝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기능선택부와, 소정 제어명령에 따라 약정된 듀티비의 콘트롤신호(CTL)를 기록 및 재생하는 CTL헤드, 이 CTL헤드에서 출력되는 콘트롤신호(CTL)를 구형파로 파형정형하기 위한 파형정형회로, 이 파형정형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듀티비를 근거로 해당 듀티비에 대응되는 소정 코드신호를 출력하는 펄스판정부, 이 펄스판정부로부터 출력되는 코드신호에 대하여 해당 코드신호에 대응되는 테이프 사용횟수 데이터를 저장하는 코드정보저장부, 소정 제어명령에 따라 테이프 사용횟수를 나타내는 소정 OSD패턴신호를 출력하는 OSD발생부, 이 OSD발생부의 출력신호와 재생영상신호를 믹싱하여 출력하는 믹서, 및 상기 기능선택부를 통해 헤드 크리닝기능이 선택되게 되면 재생동작을 통해 헤드 크리닝동작을 실행함과 더불어 상기 펄스판정부로부터 인가되는 코드데이터를 근거로 테이프 사용횟수를 독출 및 갱신기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ad cleaning tape recording frequency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 function selecting section for selecting a head cleaning function,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a control signal (CTL) of a duty ratio contrac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trol command. A CTL head, a waveform shaping circuit for shaping the control signal CTL output from the CTL head into a square wave, and outputting a predetermined cod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uty ratio based on the duty ratio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waveform shaping circuit. A code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tape count data corresponding to the code signal with respect to the code signal output from the pulse determiner, and outputting a predetermined OSD pattern signal indicating the tape coun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trol command. Through an OSD generator, a mixer for mixing and outputting the output signal and the reproduced video signal of the OSD generator, and the function selection unit When the head cleaning function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performs a head cleaning operation through a reproducing operation and controls to read and update the tape count based on code data applied from the pulse determining unit. do.

즉,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헤드 크리닝기능이 선택됨에 대하여 재생동작을 통해 헤드 크리닝 동작을 실행함과 더불어 상기 CTL헤드에 의해 독출된 데이터를 근거로 CRT화면상에 테이프 사용횟수에 관한 안내자막을 출력하고, 크리닝 동작이 종료된 이후 상기 테이프 사용횟수 정보를 갱신기록함으로써 크리닝 테이프를 사용할 때마다 사용자로 하여금 현재까지의 테이프 사용횟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control unit executes the head cleaning operation through the reproducing operation when the head cleaning function is selected by the user and on the CRT screen based on the data read out by the CTL head. By outputting a guide subtitle of the tape usage count and updating the tape usage information after the cleaning operation is completed, the user can check the tape usage count so far whenever the cleaning tape is us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크리닝 테이프 사용횟수 기록기능이 부가된 VCR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로, 도1에 도시된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VCR to which a cleaning tape count record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ded. Referring to the same elements as those shown in FIG. The numbers will be omitted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2에서 참조번호 28은 크리닝 테이프 사용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소정 기능키(도시되지 않음)가 추가로 구비된 리모콘장치이고, 29는 이 리모콘장치(28)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적외선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전기적인 코드신호로 변환출력하는 수신부, 33은 장치전반을 제어함과 더불어 사용자의 기능키 선택에 따라 테이프의 약정된 소정 부분에 사용횟수에 따른 데이터를 기록 또는 독출하는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로서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이다.In FIG. 2, reference numeral 28 denotes a remote controller device that is further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function key (not shown) for selecting a cleaning tape use function, and 29 receives an infrare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device 28 and A receiving unit for converting and outputting an electric code signal, 33 i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verall device and the function of recording or reading the data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of use o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tape according to the user's function key selection It is a microprocessor.

또한, 참조부호 HD1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3)로부터의 소정 제어신호에 따라 콘트롤신호(CTL)를 기록 또는 독출하는 CTL헤드이고, 참조번호 30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3)의 제어에 따라 상기 CTL헤드(HD1)를 구동제어하는 CTL헤드구동부, 31은 이 CTL헤드(HD1)에서 검출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이며, 참조번호 32는 슈미트트리거등을 이용하여 상기 증폭부(31)에서 증폭된 콘트롤신호(CTL)를 구형파로 파형정형하기 위한 파형정형회로, 참조번호 34는 이 파형정형회로(32)로부터 출력되는 구형파 펄스를 인가받아 이 펄스의 듀티(DUTY)비를 근거로 해당 듀티비에 대응되는 디지탈 코드신호를 출력하는 펄스판정부이다.Reference numeral HD1 denotes a CTL head for recording or reading a control signal CT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from the microprocessor 33, and reference numeral 30 denotes the CTL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processor 33. A CTL head driver for driving control of the head HD1, 31 is an amplifying part for amplifying a signal detected by the CTL head HD1, and reference numeral 32 is amplified by the amplifying part 31 using a Schmitt trigger or the like. A waveform shaping circuit for shaping the control signal CTL into a square wave, and reference numeral 34 receives a square wave pulse output from the waveform shaping circuit 32 and applies the square wave pulse to the corresponding duty ratio based on the duty ratio of the pulse. The pulse judging unit outputs a corresponding digital code signal.

그리고, 참조번호 35는 상기 펄스판정부(34)에 의해 검출되는 코드신호에 대하여 해당 코드신호가 의미하는 테이프 사용횟수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코드정보저장부이고, 36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3)의 제어에 따라 소정 OSD패턴의 색조신호(R,G,B) 및 블랭킹신호(Y')를 출력하는 OSD발생부, 37은 이 OSD발생부(36)의 출력신호와 상기 증폭부(21)로부터 출력되는 재생영상신호를 믹싱하여 접속포트(Pout2)를 통해 TV와 같은 영상출력장치로 전송하는 믹서이다.Reference numeral 35 is a code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tape means that the code signal means with respect to the code signal detected by the pulse determination unit 34, 36 is the microprocessor 33 OSD generation section for outputting the hue signal (R, G, B) and blanking signal (Y ') of the predetermined OSD pattern according to the control, 37 from the output signal of the OSD generating section 36 and the amplifier 21 It is a mixer that mixes the output video signal output and transmits it to a video output device such as a TV through the connection port (P out2 ).

이어, 상기한 구성으로 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device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사용자가 헤드 크리닝 테이프를 데크(도시되지 않음) 내부에 지입한 상태에서 상기 리모콘장치(28)에 구비된 기능키를 선택하게 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33)는 일단 테이프를 처음 위치까지 되감은 후, 재생동작을 실행하게 되는 바, 이때 테이프 앞부분의 소정 부분에 기록되어 있던 사용횟수 정보가 CTL헤드(HD1)에 의해 독출되게 된다.When the user selects a function key includ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28 while the head cleaning tape is inserted into the deck (not shown), the microprocessor 33 once rewinds the tape to the initial position, The reproducing operation is executed. At this time, the number of times of usag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front of the tape is read out by the CTL head HD1.

독출된 CTL 신호는 상기 증폭부(31)에 의해 소정 레벨로 증폭되어 예컨대 도3의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피이크 파형을 나타내게 되는데, 이 피이크 파형의 신호는 파형정형회로(32)를 거치면서 도3의 (라)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파 신호로 변환되게 된다.The read CTL signal is amplified to a predetermined level by the amplification unit 31 to exhibit a peak waveform, for example, as shown in (c) of FIG. 3, and the peak waveform signal passes through the waveform shaping circuit 32. At the same time, it is converted into a square wave signal as shown in FIG.

펄스판정부(34)는 상기 파형정형회로(32)로부터 출력되는 구형파 신호의 듀티비를 근거로 예컨대 7:3의 듀티비의 경우에는 2진 데이터 '1'로서, 3:7의 듀티비의 경우에는 2진 데이터 '0'으로서 각각 판정하여, 해당 듀티비에 따른 디지탈 코드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마이크로 프로세서(33)는 상기 코드정보저장부(35)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펄스판정부(34)로부터 인가되는 코드신호를 판정하여 해당 코드신호에 따른 테이프 사용횟수 데이터를 독출하게 된다.The pulse determiner 34 is binary data '1' in the case of a 7: 3 duty ratio based on the duty ratio of the square wave signal output from the waveform shaping circuit 32, and has a duty ratio of 3: 7. In this case, it is determined as binary data '0', respectively, and outputs a digital code signal according to the duty ratio. The microprocessor 33 performs the pulse based on the data stored in the code information storage unit 35. The code signal applied from the determination unit 34 is determined to read the tape count data according to the code signal.

이어, 마이크로 프로세서(33)는 상기한 과정에 의해 독출된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OSD발생부(36)를 구동제어하여 테이프 사용횟수에 따른 소정 OSD패턴데이터를 출력하게 되는 바, 그 결과 테이프 사용횟수를 나타내는 OSD패턴 신호와 상기 증폭부(21)로부터 출력되는 재생영상신호가 상기 믹서(37)에서 믹싱되어 출력단자(Pout2)를 통해 TV측으로 전송되게 됨으로써, 도4에 예시된 바와 같이 CRT화면상에는 테이프 사용횟수를 나타내는 안내자막이 출력되게 된다.Subsequently, the microprocessor 33 drives and controls the OSD generator 36 based on the data read by the above process, and outputs predetermined OSD pattern data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tape is used. The OSD pattern signal and the reproduced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amplifying unit 21 are mixed in the mixer 37 and transmitted to the TV through the output terminal P out2 , thereby as shown in FIG. 4. On the screen, a guide subtitle indicating the number of times of tape use is output.

한편, 마이크로 프로세서(33)는 재생동작을 통해 상기 녹화/재생용 헤드(6) 및 오디오 헤드(HD2)를 포함한 각종의 헤드의 크리닝작업을 실행하게 되며, 이후 크리닝 동작이 완료되게 되면 테이프를 되감아 테이프의 사용횟수가 기록된 부분의 CTL 정보에 대하여 사용횟수가 1회 가산된 데이터로서 갱신기록한 후 테이프를 이젝트시킴으로써 헤드의 크리닝 동작을 종료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microprocessor 33 performs a cleaning operation of various heads including the recording / reproducing head 6 and the audio head HD2 through a reproducing operation, and then returns a tape when the cleaning operation is completed. The head cleaning operation is completed by ejecting the tape after updating and recording the data by adding the number of times of use to the CTL information of the portion where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tape is recorded.

즉,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CTL신호를 이용하여 헤드 크리닝 테이프의 사용횟수를 테이프의 소정 부분에 기록하고, 이를 근거로 테이프 사용시점마다 사용자에게 테이프 사용횟수를 알려 줄 수 있게 된다.That is,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the number of times the head cleaning tape is used is recorded i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tape by using the CTL signal, and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tape can be informed to the user every time the tape is used.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로 하여금 헤드 크리닝 테이프의 사용횟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테이프의 사용횟수가 지나치게 초과되어 헤드가 손상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user to check the number of times the head cleaning tape is used, thereby preventing the problem of excessively exceeding the number of times the tape is used to damage the head.

Claims (1)

헤드 크리닝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기능선택부와,A function selector for selecting a head cleaning function, 소정 제어명령에 따라 약정된 듀티비의 콘트롤신호(CTL)를 기록 및 재생하는 CTL헤드,A CTL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a control signal (CTL) of a duty ratio contrac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trol command, 이 CTL헤드에서 출력되는 콘트롤신호(CTL)를 구형파로 파형정형하기 위한 파형정형회로,A waveform shaping circuit for shaping the control signal (CTL) output from the CTL head into a square wave; 이 파형정형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듀티비를 근거로 해당 듀티비에 대응되는 소정 코드신호를 출력하는 펄스판정부,A pulse judging unit outputting a predetermined cod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uty ratio based on the duty ratio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waveform shaping circuit; 이 펄스판정부로부터 출력되는 코드신호에 대하여 해당 코드신호에 대응되는 테이프 사용횟수 데이터를 저장하는 코드정보저장부,A code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tape count data corresponding to the code signal with respect to the code signal output from the pulse judgment unit; 소정 제어명령에 따라 테이프 사용횟수를 나타내는 소정 OSD패턴신호를 출력하는 OSD발생부,An OSD generator for outputting a predetermined OSD pattern signal indicating the number of times of tape us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trol command; 이 OSD발생부의 출력신호와 재생영상신호를 믹싱하여 출력하는 믹서, 및A mixer for mixing and outputting the output signal and the reproduced video signal of the OSD generator; 상기 기능선택부를 통해 헤드 크리닝기능이 선택되게 되면 재생동작을 통해 헤드 크리닝동작을 실행함과 더불어 상기 펄스판정부로부터 인가되는 코드데이터를 근거로 테이프 사용횟수를 독출 및 갱신기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크리닝 테이프 사용횟수 기록장치.If the head cleaning function is selected through the function selection unit, the controller performs a head cleaning operation through a reproducing operation, and controls to read and update the tape count based on code data applied from the pulse determining unit. Head cleaning tape recording frequency recor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KR1019960050372A 1996-10-30 1996-10-30 Head Cleaning Tape Count Recorder KR1998003089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0372A KR19980030891A (en) 1996-10-30 1996-10-30 Head Cleaning Tape Count Recor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0372A KR19980030891A (en) 1996-10-30 1996-10-30 Head Cleaning Tape Count Recor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0891A true KR19980030891A (en) 1998-07-25

Family

ID=66316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0372A KR19980030891A (en) 1996-10-30 1996-10-30 Head Cleaning Tape Count Recor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089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6419A (en) Video system using two different kinds of recording media
US5040082A (en) Recording apparatus
GB2124056A (en) Video tape recorder
KR950002653B1 (en) Apparatus for recording video signal on recording medium
KR19980030891A (en) Head Cleaning Tape Count Recorder
KR19980030878A (en) Video cassette recorder with video playback status display
KR0146455B1 (en) Video cassette tape with the function of recorded data searching and searched output recording
KR19980030892A (en) Video cassette recorder with recording date of cleaning tape
KR100221839B1 (en) Vcr with viss-recording using contrast level
KR0146454B1 (en) Video cassette recorder with the function of recorded data erasing at the time of recording cancellation
KR100220350B1 (en) Vcr with double speed function using control signal
KR19980085955A (en) Video cassette recorder with automatic moving playback of video tape section
KR19980085957A (en) Video cassette recorder with bad section indexing function
KR100238082B1 (en) Recorder for automatically selecting recording mode
KR19980085958A (en) Video cassette recorder with automatic moving recording of video tape section
KR0124403B1 (en) Audio dubbing apparatus for cd/vcr
KR19980050205A (en) Video cassette recorder with status notification
KR0111781Y1 (en) Apparatus for autometic search in video cassette recorder
KR920005669Y1 (en) Frequency band mode converting circuit for recorder
KR19980085969A (en) Video cassette recorder with recording control by skip time setting during recording
KR0139686B1 (en) Method for mode selecting in vcr with cd-rom driver
KR19980041423A (en) Device for discriminating circuit error in video cassette recorder
KR200183501Y1 (en) Vtr with auto search ability
JPH0319118Y2 (en)
KR19980030879A (en) Video cassette recorder with missed caption recheck outpu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