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0306A - 화상전화 시스템에서의 자동 응답방법 - Google Patents

화상전화 시스템에서의 자동 응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0306A
KR19980030306A KR1019960049686A KR19960049686A KR19980030306A KR 19980030306 A KR19980030306 A KR 19980030306A KR 1019960049686 A KR1019960049686 A KR 1019960049686A KR 19960049686 A KR19960049686 A KR 19960049686A KR 19980030306 A KR19980030306 A KR 19980030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call data
video call
signal
video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9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43925B1 (ko
Inventor
안성진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60049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3925B1/ko
Publication of KR19980030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0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3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39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 H04M1/656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for recording convers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전화 시스템에 있어서 가입자 단말기가 온상태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화가 걸려 온 경우 소정 시간 후 자동적으로 상대방 메시지가 메모리에 저장됨과 더불어 메시지 확인이 될 수 있도록 된 화상전화 시스템에서의 자동 응답방법에 관한 것으로, 영상전화 서비스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 접속된 가입자와 타 가입자간의 화상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타 가입자로부터의 화상 전화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제 1 단계(S1)와; 이 제 1 단계(S1)의 화상 전화신호에 대해 응답여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S2); 이 제 2 단계(S2)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화상 전화신호에 응답하는 경우 통상 화상 전화 통화 루틴을 수행하는 제 3 단계(S3) 및; 상기 제 2 단계(S2)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화상 전화신호에 응답하지 않는 경우 상대방 통화 메시지를 저장수단에 기록하여 저장하는 제 4 단계(S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상전화 시스템에서의 자동 응답방법 (Method for providing the answering program in the visual telephone system)
본 발명은 화상전화 시스템에서의 자동 응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상전화 시스템에 있어서 가입자 단말기가 온상태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화가 걸려 온 경우 소정 시간 후 자동적으로 상대방 메시지가 메모리에 저장됨과 더불어 메시지 확인이 될 수 있도록 된 화상전화 시스템에서의 자동 응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멀티미디어 표준화를 위한 활동이 국제 표준 기관과 민간 표준화 단체들을 중심으로 활발히 진행 되고 있는 가운데, 국제 표준 기관인 ISO 와 IEC에서 정한 MPEG-2가 화상 압축 분야에서 세계 공통 표준으로 확정되어 모든 영상기기들이 이 표준에 맞추어 개발되고 있으며, 각기 다른 제어 명령어를 가진 디지탈 저장 매체들이 상대방의 데이터를 접근하려고 할 때에는 상대방의 제어 명령어로 일일이 전환해야하는 부담을 해결하기 위해 디지탈 저장 매체의 종류에 상관없이 매체에 저장된 MPEG 비트스트림을 공통적으로 관리하고 제어하는 표준안으로 DSM-CC 프로토콜(ISO/IEC 13818-6)이 제안되어 있다.
한편, 민간단체로서 디지탈 오디오/비디오 서비스의 표준화 단체인 DAVIC (Digital Audio Visual Council)에서도 이용자가 보고싶은 비디오를 원하는 시간에 통신망을 통해 받아 볼 수 있는 서비스인 주문형 비디오(VOD : Video On Demand) 시스템의 세션 설정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으로 DSM-CC User-Network 접속 규격을 채택하고, 사용자간의 응용제어를 위해 DSM-CC User to User 접속규격을 활용하고 있어계속해서 새로운 응용의 DSM-CC 확장 프로토콜이 개발되고 있는 형편이며, 앞으로 국제 표준으로 확정될 전망이다.
최근 들어 종합정보통신망(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이하, ISDN 이라 칭함)과 더 나아가 광대역 ISDN(B-ISDN)이 활발히 연구되면서 통신분야에 새로운 서비스 이외에 영상 및 데이터를 함께 통신할 수 있는 새로운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대하고 있는 바, 이러한 새로운 서비스의 가장 대표적인 예가 바로 화상 전화(visual telephone) 이다.
상기 화상 전화 시스템과 관련된 국제 전기통신 연합의 전기통신 표준화 분야(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t-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 이하, ITU-T 라 칭함)의 권고안은 다음 표 1과 같다.
권 고 안 내 용
H.320 협대역 시청각 스템의 기술규격
H.242 호 설정 및 해제
H.230 제어 및 표시용 신호
H.221 멀티미디어 정보의 다중화 및 역다중화
H.261 비디오 부호화
G.711 64Kbps PCM 오디오
G.722 48,56,64 Kbps ADPCM 오디오
G.728 16 Kbps 오디오
I 시리즈 단말과 망간의 인터페이스
그리고, 화상전화를 구현하기 위한 국제적인 협력과 비디오신호의 압축기술의 향상에 따라 상기 표 1과 같은 화상전화관련 표준이 제안될 수 있었고, 이를 구현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 경주되고 있다.
상기 ITU-T 의 권고안에 따라 실제로 구현되고 있는 일반적인 화상전화 시스템의 구성과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화상전화 시스템에 있어서 가입자 단말기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화상전화 시스템은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모니터(61)와 통화자를 촬상하기 위한 비디오 카메라(62)가 설치되어 있고, 음성통화를 위해 스피커(또는 수화기; 63)와 마이크(또는 송화기; 64)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화상전화 시스템의 가입자 단말기(60)에는 ISDN 망(66)에 접속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화상전화 시스템에 있어서 통화 진행과정을 도시한 흐름이다. 여기서, 제 50 단계(S50)에서 임의의 영상 전화 서비스를 요청하고자 하는 가입자는 영상 전화 서비스의 요청신호와 가입자 자신(이하, 요청자로 칭함)의 ID 및 전화를 받을 상대방(이하, 응답자로 칭함)의 전화번호를 전송망, 예컨대 ISDN 망 또는 전달시스템을 이용하여 ISDN 중계국(도시되지 않음)이나 서비스공급 시스템으로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ID는 특정 식별자나 자신의 이름, 전화번호 등 자신을 구별할 수 있는 것으로 하게 된다.
이후, 제 51 단계(S51)에서 상기 ISDN 중계국이나 서비스공급 시스템은 입력된 영상전화 서비스 요청신호와 요청자의 ID를 입력받아 상기 요청자의 ID가 서비스 가입자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가를 판다하게 된다. 그리고, 제 52 단계(S52)에서 상기 제 51 단계(S51)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통화 개시 또는 통화 거부가 수행되게 된다.
여기서, 제 52-1 단계(S52-1)에서 가입자의 ID가 서비스 가입자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을 경우 요청자와 응답자간의 통화가 개시되고, 제 52-2 단계(S52-2)에서 가입자의 ID가 서비스 가입자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지 않을 경우 요청자는 영상전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없어 응답자와 통화를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제 53 단계(S53)에서 요청자가 수화기를 내려 놓으면 통화를 종료하게 된다.
한편, 종래 화상전화 시스템의 경우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상당한 거리에 위치하게 되면, 가입자 단말기로부터의 수신전화 벨신호를 감지할 수 없게 되어 수신전화에 대한 응답할 수 없게 되어 수신 화상전화에 대한 응답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상전화 시스템에 있어서 가입자 단말기가 온상태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화가 걸려 온 경우 소정 시간 후 자동적으로 상대방 메시지가 메모리에 저장됨과 더불어 메시지 확인이 될 수 있도록 된 화상전화 시스템에서의 자동 응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영상전화 서비스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 접속된 가입자와 타 가입자간의 화상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타 가입자로부터의 화상 전화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제 1 단계와; 이 제 1 단계의 화상 전화신호에 대해 응답여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이 제 2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화상 전화신호에 응답하는 경우 통상 화상 전화 통화 루틴을 수행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화상 전화신호에 응답하지 않는 경우 상대방 통화 메시지를 저장수단에 기록하여 저장하는 제 4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화상전화 시스템에 있어서 가입자 단말기가 온상태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화가 걸려 온 경우 소정 시간 후 자동적으로 상대방 메시지가 메모리에 저장됨과 더불어 메시지 확인이 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화상전화 시스템에 있어서 가입자 단말기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화상전화 시스템에 있어서 통화 진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는 DAVIC(Digital Audio Visual Council) 참조모델을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참조모델의 제어블록도,
도 5는 일반적인 화상전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일반적인 I-CATV 시스템에 있어서 가입자 단말기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반적인 화상전화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서의 자동 응답방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도 7에 나타낸 기록방법에 의해 기록된 자동응답 메시지를 확인 처리하는 방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서비스 정보부, 12: 응용제어 정보부,
13: 스트림 서비스부, 14: 서비스 게에트 웨이트부,
15: 세션 제어부, 16: 망제어부,
17: 망접속부, 18: 서비스관련 제어부,
19: 망관련 제어부(19), 20: 중심망,
21: 접근망, 22: 가내망,
23: 내용공급 시스템, 24: 서버,
25: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SPS), 30: 전달시스템(DS),
31: 망접속장치(NIU), 32: 셋톱장치,
35: 비디오/오디오 입출력장치, 40,60: 가입자 단말기,
51: 비디오 입출력부, 52,232: 비디오 코덱,
53: 오디오 입출력부, 54,231: 오디오 코덱,
55 메모리, 56,229: 다중화 및 역다중화기,
57: 모뎀, 58,213: 중앙처리장치,
61: 모니터, 62: 카메라,
63: 스피커, 64: 마이크,
230: 멀티플렉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DAVIC(Digital Audio Visual Council) 참조모델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여기서, 상기 DAVIC 참조모델은 시스템 개체(system entity)와, 정보흐름(information flow), 참조점(reference point) 및, 인터페이스(interface)에 대한 정의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시스템 개체는 정보를 보유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25; SPS)과, 이 시스템(25)으로부터의 정보를 전달하는 전달시스템(30; DS) 및, 오디오/비디오 서비스를 최종적으로 사용하는 가입자 단말기(40)로 구성되게 된다.
한편, 정보흐름은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규정한 오디오/비디오 비트 스트림이 전달되는 주 서비스흐름(S1)과, 이 주 서비스흐름(S1)을 제어하거나 응용프로그램을 다운로딩받을 수 있도록 제어하는 응용제어흐름(S2), 상기 주 서비스 흐름(S1)과 응용제어흐름(S2)에 대한 세션을 설정/해제하는 세션 설정/해제 흐름(S3), 세션의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연결 프로토콜로 이루어진 연결 설정/해제 흐름(S4) 및, 관리평면흐름(S5)으로 정의되게 된다.
또한, 참조점은 시스템 외부와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참조점들(A1∼A11)과 가입자시스템 내에서만 존재하는 참조점(A0, RP2, RP3, RP4, RP7 등)으로 나누어지는데, A9 참조점은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25)과 전달시스템(30)의 인터페이스를 ATM을 기본으로 정의하고 있고, A1 참조점은 서비스 사용자인 가입자 단말기(40; SUS)와 전달시스템(30)의 접속을 정의한 것인데 다양한 매체를 지원할 수 있도록 정의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25; SPS)은 객체 개념을 바탕으로 서비스를 표현하고, 개방형시스템(OSI) 모델을 이용하여 정의된 서비스 요소의 집합을 나타내고 있다. 즉,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25)은 서비스 정보부(11; content service element), 응용제어 정보부(12; application service element), 세션제어부(15; session control function), 스트림 서비스부(13; stream service element), 망제어부(16; network control function), 서비스 게이트 웨이트부(14; service gateway element), 망접속부(17; network interface function)로 구성되게 된다. 이후, 가입자 단말기(40)로부터 정보 요청신호에 의해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가입자 단말기(40; SUS)는 셋톱장치(32; STU)와 그 주변장치로 구성되고, A1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달시스템(30)에 접속되게 된다. 상기 셋톱장치(32; STU)는 4 개의 STU 기본장치(32-1∼32-4)와 망접속장치(NIU)로 구성되고, 이들 간의 인터페이스는 A0 인터페이스로 정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셋톱장치(32)의 서비스 처리부(32-1; product entity)는 실제 사용자가 요구한 서비스 정보를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출력해주는 역할을 수행함과 더불어 주서비스흐름(S1)을 담당하게 된다. 그리고, 응용처리부(32-2; application entity)는 응용서비스를 수용하거나 창출하는 역할을 수행과 더불어 모든 응용 서비스 제어흐름(S2)을 처리하게 된다.
또한, 동작환경 처리부(32-3; environment entity)는 응용서비스 프로그램들이 동작할 수 있는 환경(세션설정, 품질등급(QoS))을 조성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더불어 세션 설정/해제 흐름(S3)을 담당하게 된다. 그리고, 연결 처리부(32-4; connectivity entity)는 셋톱장치(32)와 망접속장치(NIU)를 통해 통신망과의 오류없는 상호정보 교환기능을 수행하고, 연결 설정/해제 흐름(S4)을 담당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망접속장치(NIU)는 셋톱장치(32)의 통신망 처리장치로서 다양한 통신망(예컨대, ATM망, FTTC, HFC, ADSL, 위성통신망 등)과 셋톱장치(32)를 연결하여 주는 부분으로서, 통신망 관련정보를 모두 처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셋톱장치(32)는 서버에 접속하여 각종 응용서비스를 제공받게 되는데, 실제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용 데이터는 멀티미디어 타이틀 형태가 되게 된다.
또한, 멀티미디어 타이틀에는 비디오, 오디오 등의 스트림외에도 이들을 적절히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포함된다. 이와 같이 DAVIC 관련 기술은 정보과확회지 제 13 권 제 10 호(1995 년 10 월) 페이지 31 내지 45에 디지탈 AV서비스기술의 표준화동향 이라는 제목으로 양재우 외 1 인이 자세히 기술한 바 있으며, 전자공학회지 제 22 권 7 호(1995 년 7 월) 디지탈 영상서비스기술 특집편에서도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참조모델의 제어블록도이다. 여기서, 상기 제어블록도는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25)과 전달시스템(30) 및 가입자 단말기(40)로 구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20)는 서비스 정보부(11)와, 응용제어 정보부(12), 스트림 서비스부(13), 서비스 게이트 웨이트부(14), 세션제어부(15), 망제어부(16) 및, 망접속부(17)로 구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전달 시스템(30)은 서비스관련 제어부(18)와, 망관련 제어부(19), 중심망(20: Core Network), 접근망(21: Access Network) 및, 가내망(22: In house Network)으로 구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입자 단말기(40)는 망접속 장치(31: Network Interface Unit)와, 셋톱장치(32: Set-Top Unit) 및, 비디오/오디오 입출력장치(35)로 구성되게 된다.
상기 셋톱장치(32)는 서비스 처리부(32-1: Product Entity)와, 응용 처리부(32-2: Application Entity), 동작환경 처리부(32-3: Environment Entity) 및, 연결 처리부(32-4: Connectivity Entity)로 구성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전달 시스템(30)의 서비스관련 제어부(18)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25)의 세션 제어부(15)와 가입자 단말기(40)를 연결하고, 상기 망관련 제어부(19)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25)의 망제어부(16)와 가입자 단말기(40)를 연결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중심망(20)은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25)과 가입자 단말기(40)사이의 연결 설정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접근망(21)은 상기 중심망(20)과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25) 이외의 시스템에서 가입자 단말기(40)로 서비스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의 서비스 정보를 다중화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내망(22)은 접근망(21)의 종단점과 가입자 단말기(40)를 연결시키게 된다.
또한, 가입자 단말기(40)의 망접속장치(31)는 전달 시스템(30)으로부터 전달되는 망의 특정한 내용 정보를 받아들여 가입자 단말기(40)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시켜서 셋톱장치(32)의 연결 처리부(32-4)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망접속장치(31)는 망의 규격이 변경되더라도 최소한의 장치의 교체로 전달시스템(30)과 가입자 단말기(40)의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분리된 장치로서 구현되게 된다. 즉, 외장이나 Plug Play 장치로 구현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셋톱장치(32)의 서비스 처리부(32-1)는 실제 가입자 요구 서비스 정보를 받아 이를 가입자가 사용하는 가입자 단말기(40)에 적합하게 나타내 주고, 상기 응용 처리부(32-2)는 응용 서비스를 수용하거나 요구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더불어 모든 응용 서비스의 제어정보를 다루게 된다.
또한, 상기 동작환경 처리부(32-3)는 상기 응용 서비스 프로그램들이 동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연결처리부(32-4)는 가입자 단말기(40)와 망접속장치(31)를 통해 오류 없는 정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비디오/오디오 입출력장치(35)는 상기 셋톱장치(32)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가입자가 보고나 들을 수 있도록 출력하거나, 가입자의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다.
도 5는 일반적인 화상전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영상 전화 서비스의 전체 시스템은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25)과, 전달시스템(30) 및, 가입자 단말기(40)로 구성되게 된다. 상기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25)은 내용공급 시스템(23; Content Provider System)과, 서버(24; Server)로 구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입자 단말기(40)는 망접속 장치(31 ;Network Interface Unit)와 셋톱장치(32 ;Set-Top Unit) 및 비디오/오디오 입출력 장치(35)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내용 공급 시스템(23)은 주소화된 정보 내용을 상기 서버(24)에 공급한다. 상기 서버(40)는 상기 내용공급 시스템(23)으로부터 정보 내용을 수신하여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으로 구성한 후 부호화와, 다중화, 암호화, 순방향 에러 정정(Forward Error Correcting; 이하 FEC 로 칭함) 및, 고주파 변환한 다음 전달시스템(30)으로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달시스템(30)은 상기 서버(24)나 가입자 단말기(40)로부터 보내지는 정보의 내용이 에러없이 지정된 목적지까지 전송되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입자 단말기(40)의 망접속장치(31)는 전달시스템(30)으로부터 특정한 트랜스포트 스트림만을 받아들여 셋톱장치(31)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시킨 후, 셋톱장치(31)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망접속장치(31)는 망의 규격이 변경되더라도 최소한의 장치(Unit)의 교체로 상기 전달시스템(30)과 상기 가입자 단말기(40)의 셋톱장치(32)의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분리된 유닛으로 구현하게 된다. 즉, 외장이나 Plug Play 장치인 것이다.
또한, 상기 셋톱장치(32)는 상기 망접속장치(31)로부터 입력받은 트랜스포트 스트림를 역다중화와, 복호화 및, 암호 해독하여 상기 비디오/오디오 입출력장치(35)로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비디오/오디오 입출력장치(35)는 상기 셋톱장치(32)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가입자가 보거나 들을 수 있도록 출력하거나, 가입자의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게 된다.
한편, 도 1에 나타낸 화상전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화상전화 시스템은 응답자의 단말기가 작동중인 상태에서 화상전화가 걸려 온 경우 응답자가 자리를 비워 응답할 수 없게 되면,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가 응답하지 않은 상태가 유지될 때 시스템이 스스로 응답한 후 부재상태를 알리는 화면과 메시지를 전달하게 된다. 또한, 요청자로부터 메시지가 입력되는 경우 요청자의 메시지를 저장함과 더불어 저장된 메지시를 표시하게 된다.
도 6은 일반적인 I-CATV 시스템에 있어서 가입자 단말기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입자 단말기(40)의 셋톱장치(32: STU)는 망접속장치(31: NIU)와 인터페이스를 위한 망접속장치(NIU) 인터페이스부(201)와; 수신된 비트 스트림의 암호를 해제하는 암호해독부(202: decryption engine); MPEG-2 비트 스트림을 수신하는 MPEG-2 트랜스포트부(203); MPEG-2 비트 스트림으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MPEG-2 오디오 디코더(204); MPEG-2 비트 스트림으로부터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MPEG-2 비디오 디코더(206); 그래픽 제어부(208);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NTSC 영상신호로 인코딩하는 NTSC 인코더(209); 디스크램블러(210); 디스크램블링된 베이스밴드 영상신호(baseband video)를 채널 3 또는 채널 4의 RF로 변조하는 RF변조기(211); 소정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시스템을 제어하는 프로세서(213); 타이머(212); DMA제어기(211); 스마트 리더(SMART reader:215); IR블러스터(IR blaster:216); PCM-CIA(217); RS-232(218); 키보드(219); 디스플레이(214); 메모리(205, 207, 221, 222, 223, 224); 전원부(220); 다중화 및 역다중화기(229); 멀티플렉서(230); 오디오 코덱(231); 비디오 코덱(232)로 구성되게 된다. 여기서, 키보드(219)와, 디스플레이(214) 및, 각종 입출력 포트들은 CATV망을 가입자와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맨머신 인터페이스(MMI) 수단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셋톱장치(32)는 아날로그 CATV 수신기능과, 아날로그 유료채널 디스크램블링 기능, 디지탈 영상 및 음성신호 복원 및 NTS C디코딩, 가상 VCR 기능(Play, Pause, Rewind, fast Forward등),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및, 인터페이스기능 등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디스크램블러(210)는 수신조건을 만족하는 가입자만이 정상적인 수신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가입자에게는 수신을 방해하게 된다. 그리고, PC/MCIA 포트는 RS-232포트를 사용하지 않는 디바이스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포트로서 최대 전송속도는 약 22Mbps 정도이고, 상기 포트를 통해 외부기기와 접속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 6에 있어서, 화상 전화 기능을 갖는 I-CATV 시스템은 응답자의 단말기가 작동중인 상태에서 화상전화가 걸려 온 경우 응답자가 자리를 비워 응답할 수 없게 되면,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가 응답하지 않은 상태가 유지될 때 시스템이 스스로 응답한 후 부재상태를 알리는 화면과 메시지를 전달하게 된다. 또한, 요청자로부터 메시지가 입력되는 경우 요청자의 메시지를 저장함과 더불어 저장된 메지시를 표시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반적인 화상전화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서의 자동 응답방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도 1에 나타낸 화상전화 시스템과 도 6에 나타낸 화상전화 기능을 갖는 I-CATV 시스템을 예로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영상전화 서비스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 접속된 가입자와 타 가입자간의 화상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단계(S1)는 요청자의 가입자 단말기로부터의 화상 전화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고, 제 2 단계(S2)는 상기 제 1 단계(S1)의 화상 전화신호에 대해 응답의 여부를 판단하며, 제 3 단계(S3)는 상기 제 2 단계(S2)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화상 전화신호에 응답하는 경우 통상 화상 전화 통화 루틴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제 4 단계(S4)는 상기 제 2 단계(S2)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화상 전화신호에 응답하지 않는 경우 상대방 통화 메시지를 저장부, 예컨대 DRAM(55, 221)에 기록하여 저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단계(S1)는 전달시스템, 예컨대 ISDN 망과 같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대방 가입자 단말기로부터의 화상 전화신호를 수신하는 제 1-1 단계(S1-1)와; 중앙처리장치(58, 213)가 상기 화상 전화신호에 대한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는 제 1-2 단계(S1-2); 상기 중앙처리장치(53, 213)가 상기 인터럽트 신호에 대해 소정 처리를 수행하는 제 1-3 단계(S1-3); 상기 중앙처리장치(53, 213)가 상기 인터럽트 신호에 대해 인터럽트 처리루틴을 수행하는 제 1-4 단계(S1-4) 및; 이 제 1-4 단계(S1-4)의 처리루틴 수행 결과 상기 인터럽트 신호에 의해 타이머의 동작과, 전화 수신음향의 발생 및, 화면상에 화상 전화신호의 수신상태를 표시하는 제 1-5 단계(S1-5)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제 4 단계(S4)는 요청자의 단말기에서 디폴트 신호에 의해 전송할 화상 통화데이터, 예컨대 메시지를 저장하고 있는 파일을 저장부(도시되지 않음)로 로드하는 제 4-1 단계(S4-1)와; 이 제 4-1 단계(S4-1)를 수행한 후 상기 화상 통화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4-2 단계(S4-2); 응답자의 단말기는 요청자의 가입자 단말기로부터의 화상 통화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대기하는 제 4-3 단계(S4-3); 이 제 4-3 단계(S4-3)의 대기와 동시에 타이머가 동작하는 제 4-4 단계(S4-4); 이 제 4-4 단계(S4-4)의 타이머의 동작 후 소정 시간의 경과 여부를 판단하는 제 4-5 단계(S4-5); 이 제 4-5 단계(S4-5)의 판단 결과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요청자의 단말기로 시간 초가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4-6 단계(S4-6); 상기 제 4-5 단계(S4-5)의 판단 결과 소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요청자의 단말기로부터 화상 통화데이터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화상 통화의 종료를 수행하는 제 4-7 단계(S4-7); 이 제 4-7 단계(S4-7)의 판단 결과 상기 화상 통화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요청자의 화상 통화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제 4-8 단계(S4-8) 및; 상기 저장된 화상 통화데이터에 대한 수신상태의 기록과, 자동응답의 수신 및, 화상 통화데이터의 카운트를 증가시키는 제 4-9 단계(S4-9)로 이루어지게 된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기록방법에 의해 기록된 자동응답 메시지를 확인 처리하는 방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여기서, 상기 도 7에 나타낸 제 4 단계(S4)에 의해 저장된 화상 통화데이터를 확인하는 방법은 화상 통화데이터에 대한 확인신호를 발생하는 제 11 단계(S11)와; 상기 확신신호에 의해 자동응답 화상 통화데이터의 카운트를 감소시키는 제 12 단계(S12); 상기 확신신호에 의해 저장부(55, 221)에 저장된 화상 통화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13 단계(S13) 및; 이 제 13 단계(S13)의 화상 통화데이터의 출력 후 자동응답 화상 통화데이터의 카운트가 0 인가의 여부를 판단하여 0 인 경우 자동응답 화상 통화데이터의 출력을 종료하고, 0 이 아닌 경우 상기 제 12 단계(S12)로 이동하는 제 14 단계(S14)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원 청구범위의 각 구성요건에 병기된 도면참조부호는 본원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본원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로 한정할 의도에서 병기한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전화 시스템에 있어서 가입자 단말기가 온상태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화가 걸려 온 경우 소정 시간 후 자동적으로 상대방 메시지가 메모리에 저장됨과 더불어 메시지 확인이 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영상전화 서비스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 접속된 가입자와 타 가입자간의 화상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타 가입자로부터의 화상 전화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제 1 단계(S1)와; 이 제 1 단계(S1)의 화상 전화신호에 대해 응답여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S2); 이 제 2 단계(S2)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화상 전화신호에 응답하는 경우 통상 화상 전화 통화 루틴을 수행하는 제 3 단계(S3) 및; 상기 제 2 단계(S2)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화상 전화신호에 응답하지 않는 경우 상대방 통화 메시지를 저장수단(55, 221)에 기록하여 저장하는 제 4 단계(S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전화 시스템에서의 자동 응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S1)는 전달시스템을 통해 상대방 가입자 단말기로부터의 화상 전화신호를 수신하는 제 1-1 단계(S1-1)와; 중앙처리장치(58, 213)가 상기 화상 전화신호에 대한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는 제 1-2 단계(S1-2); 상기 중앙처리장치(53, 213)가 상기 인터럽트 신호에 대해 소정 처리를 수행하는 제 1-3 단계(S1-3); 상기 중앙처리장치(53, 213)가 상기 인터럽트 신호에 대해 인터럽트 처리루틴을 수행하는 제 1-4 단계(S1-4) 및; 이 제 1-4 단계(S1-4)의 처리루틴 수행 결과 상기 인터럽트 신호에 의해 타이머의 동작과, 전화 수신음향의 발생 및, 화면상에 화상 전화신호의 수신상태를 표시하는 제 1-5 단계(S1-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전화 시스템에서의 자동 응답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4 단계(S4)는 요청자의 단말기에서 디폴트 신호에 의해 전송할 화상 통화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파일을 저장수단으로 로드하는 제 4-1 단계(S4-1)와; 이 제 4-1 단계(S4-1)를 수행한 후 상기 화상 통화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4-2 단계(S4-2); 응답자의 단말기는 요청자의 가입자 단말기로부터의 화상 통화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대기하는 제 4-3 단계(S4-3); 이 제 4-3 단계(S4-3)의 대기와 동시에 타이머가 동작하는 제 4-4 단계(S4-4); 이 제 4-4 단계(S4-4)의 타이머의 동작 후 소정 시간의 경과 여부를 판단하는 제 4-5 단계(S4-5); 이 제 4-5 단계(S4-5)의 판단 결과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요청자의 단말기로 시간 초가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4-6 단계(S4-6); 상기 제 4-5 단계(S4-5)의 판단 결과 소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요청자의 단말기로부터의 화상 통화데이터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화상 통화의 종료를 수행하는 제 4-7 단계(S4-7); 이 제 4-7 단계(S4-7)의 판단 결과 상기 화상 통화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요청자의 화상 통화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제 4-8 단계(S4-8) 및; 상기 저장된 화상 통화데이터에 대한 수신상태의 기록과, 자동응답의 수신 및, 화상 통화데이터의 카운트를 증가시키는 제 4-9 단계(S4-9)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전화 시스템에서의 자동 응답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제 4 단계(S4)에 의해 저장된 화상 통화데이터를 확인하는 방법은 화상 통화데이터에 대한 확인신호를 발생하는 제 11 단계(S11)와; 상기 확신신호에 의해 자동응답 화상 통화데이터의 카운트를 감소시키는 제 12 단계(S12); 상기 확신신호에 의해 저장수단(55, 221)에 저장된 화상 통화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13 단계(S13) 및; 이 제 13 단계(S13)의 화상 통화데이터의 출력 후 자동응답 화상 통화데이터의 카운트가 0 인가의 여부를 판단하여 0 인 경우 자동응답 화상 통화데이터의 출력을 종료하고, 0 이 아닌 경우 상기 제 12 단계(S12)로 이동하는 제 14 단계(S1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전화 시스템에서의 자동 응답방법.
KR1019960049686A 1996-10-29 1996-10-29 화상전화 시스템에서의 자동 응답방법 KR100243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9686A KR100243925B1 (ko) 1996-10-29 1996-10-29 화상전화 시스템에서의 자동 응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9686A KR100243925B1 (ko) 1996-10-29 1996-10-29 화상전화 시스템에서의 자동 응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0306A true KR19980030306A (ko) 1998-07-25
KR100243925B1 KR100243925B1 (ko) 2000-02-01

Family

ID=19479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9686A KR100243925B1 (ko) 1996-10-29 1996-10-29 화상전화 시스템에서의 자동 응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39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9293A (ko) 2022-01-13 2023-07-20 유상현 백라이트 백시트 광확산 필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7399A (ko) * 1993-05-31 1994-12-10 김광호 리모콘 겸용 무선전화기 및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9293A (ko) 2022-01-13 2023-07-20 유상현 백라이트 백시트 광확산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3925B1 (ko) 2000-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52923B1 (en) Cable connected wan interconnectivity services for corporate telecommuters
US10075397B2 (en) Facility management platform for a hybrid coaxial/twisted pair local loop network service architecture
US6570974B1 (en) Cable connected network server platform for telephone white-yellow page services and emergency 911 location identification
US6510152B1 (en) Coaxial cable/twisted pair fed, integrated residence gateway controlled, set-top box
US6714534B1 (en) Lifeline service for HFCLA network using wireless ISD
US20020012353A1 (en) Isd controlled set-top box
US6480748B1 (en) Facility management platform for a hybrid coaxial/twisted pair local loop network service architecture
US6292210B1 (en) Integrated remote control and phone user interface
US5613190A (en) Customer premise wireless distribution of audio-video, control signals and voice
US6246695B1 (en) Variable rate and variable mode transmission system
US6396531B1 (en) Set top integrated visionphone user interface having multiple menu hierarchies
US5539449A (en) Integrated television services system
US6970127B2 (en) Remote control for wireless control of system and displaying of compressed video on a display on the remote
US8151306B2 (en) Remote control for wireless control of system including home gateway and headend, either or both of which have digital video recording functionality
US20060020993A1 (en) Advanced set top terminal having a call management feature
US20020059637A1 (en) Home gateway for video and data distribution from various types of headend facilities and including digital video recording functions
US20020044199A1 (en) Integrated remote control and phone
US20020019984A1 (en) Headend cherrypicker with digital video recording capability
US8416273B2 (en) Integration of home entertainment devices with a software client for telephony
RU2149511C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и
JPH07502629A (ja) 需要に即応じるビデオサービスのためのpstnアーキテクチャ
CN102075799A (zh) 一种在有线电视网络中实现可视电话的机顶盒系统
KR100243925B1 (ko) 화상전화 시스템에서의 자동 응답방법
KR100243465B1 (ko) 화상전화 시스템에서의 자동 응답방법
WO199601747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services on dem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0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