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9841U - 휴지타올 인출기 - Google Patents

휴지타올 인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9841U
KR19980029841U KR2019960042920U KR19960042920U KR19980029841U KR 19980029841 U KR19980029841 U KR 19980029841U KR 2019960042920 U KR2019960042920 U KR 2019960042920U KR 19960042920 U KR19960042920 U KR 19960042920U KR 19980029841 U KR19980029841 U KR 1998002984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wel
tissue
storage box
storage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29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정해
전종호
Original Assignee
유정해
전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정해, 전종호 filed Critical 유정해
Priority to KR20199600429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9841U/ko
Publication of KR199800298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9841U/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6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with mechanical dispensing, roll switching or cutting devices
    • A47K10/3631The cutting devices being driven manual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33Details of the housing, e.g. hinges, connection to the wal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수 및 세면을 한 후 면타올 대신에 사용되는 휴지타올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한 휴지타올 인출기에 관한 것으로, 상,중,하단에 휴지타올 수납실과 투입실 및 수거실을 형성하여서 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상단의 수납실의 하단부 양측에 힌지로서 결합되어 상향이 개구되는 수납함과, 상기 수납함의 전면에 휴지타올을 인출할 수 있는 인출구의 상단에는 전방을 향해 하향으로 경사진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 끝단에서 수직상으로 절곡된 절취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절취판과, 상기 인출구 하단에 부착되며, 인출되는 휴지타올이 수납함의 전면에서 어느 정도 이격되게 받쳐주는 받침구와, 상기 수납함의 내부에 티슈식 휴지타올 상자 및 두루마리식 휴지타올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 및
상기 수납함의 양측 내벽면에 두루마리식 휴지타올의 보빈 양단을 받쳐줄 수 있도록 대칭상으로 부착시킨 걸이구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휴지타올 인출기
본 고안은 세수 및 세면을 한 후 면타올 대신에 사용되는 휴지타올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한 휴지타올 인출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고안은 보빈에 원형으로 말아 놓은 두루마리식 휴지타올이나 상자속에 수겹으로 접혀져서 낱장씩 계속해서 인출할 수 있는 티슈식 휴지타올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중이 사용하는 화장실 등에는 세면대 주위에 손이나 얼굴을 닦을 수 있는 휴지타올을 준비해 놓고 있으며, 상기 휴지타올이 수납된 인출함은 주로 벽면에 부착시키는 부착형으로 되어 있다.
종래 기술의 휴지타올 인출함은 휴지타올의 인출구를 하방 중앙에 설치하고 있는 바, 이는 낱장씩 인출되는 이른바 티슈식 휴지타올은 상자속에 차곡차곡 적층된 상태에서 중앙에서 잡아 빼야만 다음장이 인출될 수 있기 때문에 인출함의 인출구를 하방에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휴지타올 인출함은 반드시 상자속에 수납된 티슈타올만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두루마리식 휴지타올은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벽면 부착형이기 때문에 설치위치의 변경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상자속에 담겨있는 티슈식 휴지타올이나 두루마리식 휴지타올에 구애받지 않고 수납 및 인출이 용이하게 하고, 또한 두루마리식 휴지타올의 경우에는 휴지타올을 사용만큼 인출한 다음 절취선을 따라 간편하고 정확하게 절취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고안한 것이며, 또한 휴지타올 인출함 자체를 이동설치가 가능하게 함과 동시 사용한 휴지타올을 수거할 수 있는 수거통을 함께 구비하여 사용의 편리성과 함께 주변환경을 보다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특징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중,하단에 휴지타올 수납실과 투입실 및 수거실을 형성하여서 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상단의 수납실의 하단부 양측에 힌지로서 결합되어 상향이 개구되는 수납함과;
상기 수납함의 전면에 휴지타올을 인출할 수 있는 인출구의 상단에는 전방을 향해 하향으로 경사진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 끝단에서 수직상으로 절곡된 절취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절취판과;
상기 인출구 하단에 부착되며, 인출되는 휴지타올이 수납함의 전면에서 어느 정도 이격되게 받쳐주는 받침구와;
상기 수납함의 내부에 티슈식 휴지타올 상자 및 두루마리식 휴지타올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과;
상기 수납함의 양측 내벽면에 두루마리식 휴지타올의 보빈 양단을 받쳐줄 수 있도록 대칭상으로 부착시킨 걸이구와;
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2는 두루마리식 휴지타올을 사용할 때이며,
도 3은 티슈식 휴지타올을 사용할 때이다.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6는 본 고안의 두루마리식 휴지타올을 인출하는 실시예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인출함 2 : 수납실
3 : 투입실 4 : 수거실
5,32,41 : 힌지 6 : 수납함
7a : 두루마리식 휴지타올 7b : 티슈식 휴지타올
7 : 보빈 31 : 문
42 : 개폐문 43,61 : 괘정구
44 : 수거통 62 : 인출구
63 : 절취판 64 : 받침구
65 : 수납공간 66 : 걸이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며,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6는 본 고안의 두루마리식 휴지타올을 인출하는 실시예의 정면도로서,
도면부호 1은 인출함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인출함(1)은 상,중,하단으로 구분되는데, 상단에는 수납실(2)을, 중단에는 투입실(3)을, 하단에는 수거실(4)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수납실(2)에는 하단부에 힌지(5)로 개폐가능하게 수납함(6)이 착설되는데, 상기 수납함(6)은 상부가 개구된 상태이며, 전면 상단부에는 괘정구(61)가 설치되어 열쇠를 이용하여 수납함(6) 자체를 잠글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수납함의 중간부분에 수평상으로 형성된 인출구(62)의 상단에는 하향으로 경사진 경사부(63a)와 수직상으로 절곡된 절취부(63b)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절취판(63)이 부착되어 있으며, 또 인출구(62) 하단에는 인출되는 휴지타올을 받쳐주는 받침구(6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함(6)의 내부에는 두루마리식 휴지타올(7a)과 티슈식 휴지타올 상자(7b)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65)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 내벽면에는 두루마리식 휴지타올(7a)의 보빈(7) 양단을 지지하는 걸이구(66)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납함(6)의 전면 일측에는 휴지타올의 수납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투시창(67)이 구비되어 있다.
다음 상기 인출함(1) 중단의 투입실(3)에 착설되는 문(31)은 상측의 힌지(32)에 의하여 내측으로 자유롭게 열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투입실(3)은 하단의 수거실(4)과 연통된 상태이다.
상기 수거실(4)은 일측 상,하단이 힌지(41)에 의하여 여닫이식으로 부착된 개폐문(42)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문(42)에도 괘정구(43)를 설치하여 잠글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또한 상기 수거실(4) 내부에는 개폐문(42)을 통해 수납 및 인출이 가능한 수거통(44)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인출함(1)의 상단에 형성된 수납실(2)에 설치된 수납함(6)은 힌지(5)에 의하여 상단부가 전방으로 회전하여 열릴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같이 열린 수납함(6)의 개방폭은 두루마리식 휴지타올(7a)과 티슈식 휴지타올(7b)의 상자를 수납할 수 있도록 넓게 열린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수납함(6)은 두루마리식 휴지타올(7a)과 상자안에서 낱장씩 인출되는 티슈식 휴지타올(7b)을 겸하여 수납할 수 있는데, 두루마리식 휴지타올(7a) 의 경우에는 도 2 및 도 4이 도시예와 같이 두루마리식 휴지타올(7a) 양측으로 연출되어 있는 보빈(7)의 양단을 걸이구(66)에 걸어 주므로서 두루마리식 휴지타올(7a)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되며, 그 인출단은 수납함(6) 내측에서 인출구(62)를 통해 외측으로 인출시키게 되면 외부에서 두루마리식 휴지타올(7a)을 인출할 수 있게 되는데, 상기 인출구(62) 상단에는 인출구(62)의 전방을 막아주는 절취판(63)이 부착되어 있으므로 먼지나 물기가 휴지타올에 묻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인출구(62) 하단에는 인출된 휴지타올은 받침구(64)에 의하여 받쳐진 상태가 되어 인출된 휴지타올이 수납함(6)의 전면에 밀착되는 사례가 방지되어 사용자는 인출된 휴지타올을 용이하게 손으로 잡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두루마리식 휴지타올(7a)을 필요한 길이만큼 인출한 다음에는 도 6의 도시예와 같이 휴지타올을 위로 잡아 당겨 절취부(63b)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위로 찢어내게 되면 두루마리식 휴지타올 자체는 그에 형성된 절취선부분이 정확하게 절단되는 것이다.
다음 상기 수납함(6)에 도 3 및 도 5의 도시예와 같이 낱장씩 인출되는 티슈식 휴지타올(7b)이 내장된 상자를 수납공간(65)에 수납할 경우에는 상기 상자에 형성된 인출공이 인출구(62)를 향하도록 한 다음 상자의 인출공으로 인출된 티슈식 휴지타올(7b)을 인출구(62)로 인출시킨 상태에서 티슈식 휴지타올을 한 장씩 인출할 수 있게 되며, 이때에도 인출구(62)로 한 장씩 인출되는 휴지타올은 절취판(63)에 의해 보호되고 있는 상태이고, 또 받침구(64)에 의해 인출이 용이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인출함(1)에서 휴지타올을 꺼내어 사용한 후에는 중단의 투입실(3)에 형성된 문(31)을 내측으로 밀어 주면서 수거실(4)로 투입하게 되면 사용된 휴지타올은 수거통(44)에 수거되는 것이며, 상기 수거통(44)을 비우고자 할 때에는 열쇠를 이용하여 괘정구(43)을 해정하여 개폐문(42)을 열고 수거통(44)을 인출하므로서 수거작업이 간편해지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인출함(1)은 종래와 같이 벽면 부착형이 아니라 바닥에 세워 놓는 타입이므로 이동설치가 가능하여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인출함 자체를 이동설치가 가능하게 구성하였으므로 설치작업이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으며, 특히 휴지타올을 수납하는 수납함 내부의 수납공간에 두루마리식 휴지타올과 티슈식 휴지타올을 겸하여 수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바, 이같은 효과는 인출함 관리자가 구입비용이 저렴한 휴지타올을 선택하여 수납할 수 있으므로서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두루마리식 휴지타올을 수납하였을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필요한 길이만큼만 인출한 다음 절취판을 이용하여 간편하고 정확하게 절취할 수 있어 두루마리식 휴지타올의 불필요한 낭비를 줄일 수 있는 등의 이점을 제공하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상,중,하단에 휴지타올 수납실과 투입실 및 수거실을 형성하여서 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상단의 수납실의 하단부 양측에 힌지로서 결합되어 상향이 개구되는 수납함과;
    상기 수납함의 전면에 휴지타올을 인출할 수 있는 인출구의 상단에는 전방을 향해 하향으로 경사진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 끝단에서 수직상으로 절곡된 절취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절취판과;
    상기 인출구 하단에 부착되며, 인출되는 휴지타올이 수납함의 전면에서 어느 정도 이격되게 받쳐주는 받침구와;
    상기 수납함의 내부에 티슈식 휴지타올 상자 및 두루마리식 휴지타올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과; 및
    상기 수납함의 양측 내벽면에 두루마리식 휴지타올의 보빈 양단을 받쳐줄 수 있도록 대칭상으로 부착시킨 걸이구와;
    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지타올 인출기.
KR2019960042920U 1996-11-28 1996-11-28 휴지타올 인출기 KR1998002984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2920U KR19980029841U (ko) 1996-11-28 1996-11-28 휴지타올 인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2920U KR19980029841U (ko) 1996-11-28 1996-11-28 휴지타올 인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841U true KR19980029841U (ko) 1998-08-17

Family

ID=53985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2920U KR19980029841U (ko) 1996-11-28 1996-11-28 휴지타올 인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984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893B1 (ko) * 2008-01-22 2008-04-03 정신균 휴지함을 갖는 휴지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893B1 (ko) * 2008-01-22 2008-04-03 정신균 휴지함을 갖는 휴지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14679A (en) Roll holder and dispenser
US5765717A (en) Wet hygienic towel dispenser
US6098836A (en) Wet hygienic towel dispenser
US6302350B1 (en) Toilet tissue dispenser
US4135678A (en) Toilet paper roll dispenser and holder
US2390399A (en) Paper dispenser
US20070181738A1 (en) Multiple-roll toilet tissue holder and dispenser
US5385318A (en) Apparatus for dispensing sheet material
US4775109A (en) Toilet paper holder
US3147051A (en) Cabinet for towel dispensers
US4362278A (en) Roll dispenser
KR200453206Y1 (ko) 일회용 식탁보 공급장치
KR19980029841U (ko) 휴지타올 인출기
KR101996364B1 (ko) 오토매틱 욕실장
EP0026241A2 (en) Holder and dispenser for stacked rolls
US20050156080A1 (en) Internal Toilet Paper Dispenser and Storage Unit
US1408283A (en) Roller-towel cabinet
KR200433892Y1 (ko) 페이퍼타월 디스펜서
JPH07275161A (ja) 悪戯防止用トイレットペ−パ−ホルダ−
CA1141716A (en) Rolled web dispenser with reserve roll escapement means
KR102161747B1 (ko) 수평식 핸드페이퍼 디스펜서
US20010048047A1 (en) Dispenser of flexible material, provided with a multi-roll holder
KR200309989Y1 (ko) 휴지 보관대
JPH0548799U (ja) 汚物入れ
KR20120131062A (ko) 휴지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